KR101808033B1 -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8033B1 KR101808033B1 KR1020150187443A KR20150187443A KR101808033B1 KR 101808033 B1 KR101808033 B1 KR 101808033B1 KR 1020150187443 A KR1020150187443 A KR 1020150187443A KR 20150187443 A KR20150187443 A KR 20150187443A KR 101808033 B1 KR101808033 B1 KR 1018080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te
- version
- harmful
- operating system
- addr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3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 H04L63/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lawful interception, monitoring or retaining of communications or communication related information intercepting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s, e.g. Web, Internet or IMS commun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 G06F17/30867—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Abstract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에 있어서, 운영체제(OS)의 접근성(accessibility) 기능을 이용하여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텍스트에 사이트 주소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이트 주소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제1 사이트가 미리 설정된 유해 사이트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해 사이트 차단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서 운영체제(OS)의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하여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유해 사이트를 차단시킬 수 있는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은 PDA폰이라고 불리며, 휴대폰에 초소형 컴퓨터를 결합한 것이다. 스마트폰은 전화, 문자메시지 나아가 모바일 무선 인터넷이 지원되는 휴대용 이동 통신장치와 휴대형 컴퓨터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스마트폰 사용자는 이동 중에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 정보검색, 전자우편, 동영상, 게임, 음악 다운로드 등의 데이터 통신 및 팩스 전송, 인명부, 스케줄, 메모 등을 통합 관리하는 개인정보관리, 액정디스플레이에 전자펜으로 문자를 입력하거나 약도 등 그림 정보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은 선택사양인 데이터 어댑터를 장착하면 일반 전화선으로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의 큰 인기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어플리케이션"이란, 넓은 의미에서는 운영체제 위에서 실행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뜻한다. 따라서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웹 브라우저들 뿐만 아니라 컴파일러나 링커 등도 어플리케이션이다. 또는 좁은 의미에서는 운영체제 위에서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게 되는 소프트웨어들을 뜻한다.
그러나, 최근의 스마트폰의 큰 보급으로 많은 수의 미성년자들도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쉽게 인터넷에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미성년자들은 유해한 어플리케이션이나 유해한 인터넷 사이트에 무차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이에 대한 별다른 통제 수단도 존재하지 않아 미성년자들의 정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하는 유해 사이트를 운영체제의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하여 차단할 수 있는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접근성 기능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거나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에 있어서, 운영체제(OS)의 접근성(accessibility) 기능을 이용하여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텍스트에 사이트 주소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이트 주소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제1 사이트가 미리 설정된 유해 사이트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은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미리 설정된 기준 버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이상인 경우 상기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은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접근성 기능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접근성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은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사이트 주소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제2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2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은 상기 제1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사이트로의 접근 차단 이유를 알릴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특정 사이트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에 있어서, 운영체제(OS)의 접근성(accessibility) 기능을 이용하여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된 텍스트에 사이트 주소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주소 판단부; 상기 사이트 주소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제1 사이트가 미리 설정된 유해 사이트인지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제1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는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을 확인하는 버전 확인부; 및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미리 설정된 기준 버전 이상인지 판단하는 버전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이상인 경우 상기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는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접근성 기능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접근성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사이트 주소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제2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인지 판별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2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사이트로의 접근 차단 이유를 알릴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특정 사이트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하는 유해 사이트를 운영체제의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하여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접근성 기능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거나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접근성 기능 기반과 히스토리 감시 기반 모두를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의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근성 기능 기반 유해 사이트 차단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히스토리 감시 기반 유해 사이트 차단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근성 기능 기반 유해 사이트 차단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히스토리 감시 기반 유해 사이트 차단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모바일 기기 예컨대, 스마트폰의 운영체제(OS) 중 안드로이드(Android) 버전 6.0미만의 경우 브라우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DB)에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영체제 버전 6.0 미만에서는 브라우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운영체제 버전 6.0 이상인 경우 브라우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없도록 정책이 변경됨으로써, 히스토리 브라우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기가 어려워졌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정책 변경으로 인하여 운영체제의 버전에 따라 운영체제의 버전이 기준 버전 예를 들어, 버전 6.0 이상인 경우 운영체제의 접근성(accessibility) 기능 또는 이벤트를 이용하여 브라우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 예를 들어, 접근성 이벤트 콜백(callback)을 등록함으로써, 접근성 이벤트 콜백을 통해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를 모니터링 또는 수신하고,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에 사이트 주소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한 후 사이트 주소가 포함된 경우 사이트 주소를 추출하며, 추출된 사이트 주소에 대응하는 해당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인 것으로 판별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그램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동의를 통해 접근성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영체제 접근성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 접근성이란, 사용자의 신체적 필요에 맞게 안드로이드 기기를 맞춤 설정할 수 있는 기능으로, 자막, 확대 동작, 큰 글씨로 보기, 고대비 텍스트, 전원 버튼으로 통화 종료, 화면 자동 전환, 비밀번호 말하기, 접근성 단축키, 텍스트 음성 변환(TTS) 출력, 길게 누르기 지연, 색상 반전, 색보정 등의 접근성 설정 항목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접근성 기능은 브라우저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에서의 링크를 통해 변경되거나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렇게 입력 또는 변경되는 텍스트 또는 사이트 주소가 접근성 기능에 의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브라우저에서 입력되는 텍스트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는 모든 수단으로 입력되는 텍스트를 접근성 기능을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운영체제의 버전이 미리 설정된 기준 버전 이상인 경우 접근성 기능을 사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지만, 운영체제의 버전이 기준 버전 미만인 경우 접근성 기능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기존 방식의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 유해 사이트 차단 방식과 접근성 기능 기반 유해 사이트 차단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의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접근성 이벤트 또는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유해 여부를 판별하고, 접속하고자 하는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인 경우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함으로써, 유해 사이트로의 차단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는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모바일 기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운영체제는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브라우저로 입력되거나 수신되는 텍스트를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이트의 유해 여부를 판별하고,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는 경우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접근성 기능은 브라우저와 관련된 접근성 기능으로, 접근성 이벤트 콜백(callback)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브라우저 또는 화면 상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링크 등에 의해 브라우저에서 변경되는 사이트 주소를 포함하는 텍스트를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로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접근성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접근성 기능이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 또는 브라우저의 주소창에서 변경되거나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에 대한 정보를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로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제(OS) 버전을 확인하고, 확인된 운영체제 버전이 미리 결정된 기준 버전 이상인지 판단한다(S210, S220).
여기서, 운영체제의 기준 버전은 브라우저 히스토리 DB로의 접근이 차단된 운영체제 6.0일 수 있으며, 기준 버전은 브라우저 히스토리 DB로의 접근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운영체제가 안드로이드이고, 기준 버전이 6.0이라 가정하고 설명한다.
단계 S220 판단 결과, 모바일 기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안드로이드 6.0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접근성 기능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고, 모바일 기기의 안드로이드 버전이 안드로이드 6.0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모바일 기기의 접근성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판단한다(S230, S240).
여기서, 접근성 기능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는 단계(S230)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240 판단 결과, 접근성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히스토리 감시 기반 또는 접근성 기능 기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고, 접근성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접근성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한다(S250, S260).
여기서,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는 단계(S260)는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단계 S250은 안드로이드 버전이 안드로이드 6.0 미만이면서 접근성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로,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도 있고, 접근성 기능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도 있으며,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과 접근성 기능 기반 모두를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설정은 본 발명을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정해지거나,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근성 기능 기반 유해 사이트 차단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근성 기능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는 단계(S230)는 운영체제(OS)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를 모니터링한다(S310).
여기서, 단계 S3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접근성 기능 예를 들어, 콜백 기능이 사용자의 선택 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의해 활성화됨으로써, 브라우저로 텍스트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 링크에 의해 변경되는 사이트 주소와 같이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를 모니터링하여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310의 모니터링에 의해 수신되는 텍스트에 사이트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사이트 주소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사이트 주소를 추출하며, 추출된 사이트 주소의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320 내지 S340).
여기서, 단계 S320은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가 사이트 주소 뿐만 아니라 검색 키워드 등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트 주소의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상황에 따라 브라우저 주소창으로 입력되는 텍스트만을 수신하도록 접근성 기능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단계 S320과 S330에 대한 과정이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 S340의 유해 사이트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탑재되거나 별도의 서버에 구비된 유해 사이트 판별 엔진으로 단계 S330에서 추출된 사이트 주소에 대한 유해 여부를 질의하고, 유해 사이트 판별 엔진으로부터 유해 여부에 대한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인지 그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물론, 유해 사이트 판별 엔진은 유해 사이트에 대한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해 사이트에 대한 리스트는 일정 주기 간격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단계 S340의 판별 결과, 해당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즉, 유해 사이트 판별 엔진으로부터 유해 사이트라는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하고,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 차단 이유를 알릴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특정 사이트로 연결함으로써, 브라우저 화면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사이트의 접근 차단 이유를 제공한다(S350, S360).
여기서, 단계 S360의 특정 사이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결정된 특정 서버의 주소일 수도 있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자체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대한 주소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안드로이드 버전이 안드로이드 6.0 이상인 경우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고, 따라서 브라우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없더라도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히스토리 감시 기반 유해 사이트 차단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안드로이드 버전이 6.0 미만이면서 접근성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에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는 단계(S260)는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를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 사용자 입력 또는 링크 등을 통해 브라우저 주소창에 사이트 주소가 입력되면 브라우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입력된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410, S420).
여기서,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은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420의 판별 결과, 해당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하고,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 차단 이유를 알릴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특정 사이트로 연결함으로써, 브라우저 화면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사이트의 접근 차단 이유를 제공한다(S430, S440).
여기서, 단계 S440의 특정 사이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결정된 특정 서버의 주소일 수도 있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자체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대한 주소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은 브라우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없는 운영체제 버전에서 모바일 기기에서 접속하는 유해 사이트를 운영체제의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하여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방법은,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제 버전에 따라 접근성 기능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거나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접근성 기능 기반과 히스토리 감시 기반 모두를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의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100)는 버전 확인부(510), 버전 판단부(520), 기능 확인부(530), 모니터링부(540), 주소 판단부(550), 판별부(560) 및 차단부(570)를 포함한다.
버전 확인부(510)는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제 버전을 확인한다.
버전 판단부(520)는 확인된 운영체제 버전이 미리 결정된 기준 버전 이상인지 판단한다. 예컨대, 버전 판단부(520)는 확인된 안드로이드 버전이 안드로이드 6.0 이상인지 판단한다.
본 발명의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100)에 대해 안드로이드 버전이 1) 안드로이드 6.0 이상인 경우와 2) 안드로이드 6.0 미만인 경우로 나눠서 설명한다.
1) 안드로이드 6.0 이상인 경우
모니터링부(540)는 운영체제(OS)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를 모니터링한다.
이 때, 모니터링부(540)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접근성 기능이 사용자의 선택 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에 의해 활성화됨으로써, 브라우저로 텍스트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 링크에 의해 변경되는 사이트 주소와 같이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가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이렇게 모니터링된 텍스트가 스트링 형태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모니터링부(540)는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제 접근성 기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100)는 모니터링부(540)에 의해 모니터링된 텍스트만을 수신할 수도 있다.
주소 판단부(550)는 모니터링된 텍스트에 사이트 주소의 포함 여부를 판단한다.
판별부(560)는 텍스트에 사이트 주소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이트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사이트가 미리 설정된 유해 사이트인지 판별한다.
이 때, 판별부(560)는 해당 장치에 탑재되거나 별도의 서버에 구비된 유해 사이트 판별 엔진으로 추출된 사이트 주소에 대한 유해 여부를 질의하고, 유해 사이트 판별 엔진으로부터 유해 여부에 대한 결과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인지 그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차단부(570)는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한다.
이 때, 차단부(570)는 유해 사이트 판별 엔진으로부터 유해 사이트라는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하고,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 차단 이유를 알릴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특정 사이트로 연결함으로써, 브라우저 화면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사이트의 접근 차단 이유를 제공할 수 있다.
2) 안드로이드 6.0 미만인 경우
기능 확인부(530)는 안드로이드 접근성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한다.
안드로이드 6.0 미만인 경우에는 안드로이드 접근성 활성화 여부에 따라 접근성 기능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도 있고,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도 있다. 즉, 안드로이드 접근성이 비활성화된 경우에는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고, 안드로이드 접근성이 활성화된 경우에는 접근성 기능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도 있고,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도 있으며, 접근성 기능 기반과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을 함께 이용하여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1)에서 접근성 기능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기에, 2)에서는 브라우저 히스토리 감시 기반으로 유해 사이트를 차단하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모니터링부(540)는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를 모니터링한다.
판별부(560)는 사용자 입력 또는 링크 등을 통해 브라우저 주소창에 사이트 주소가 입력되면 브라우저 히스토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된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입력된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차단부(570)는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한다.
이 때, 차단부(570)는 유해 사이트 판별 엔진으로부터 유해 사이트라는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하고, 해당 사이트로의 접근 차단 이유를 알릴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특정 사이트로 연결함으로써, 브라우저 화면에 접근하고자 하는 사이트가 유해 사이트라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사이트의 접근 차단 이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서 비록 안드로이드 버전 6.0 이상인 경우와 미만인 경우에 유해 사이트를 차단할 수 있는 모든 구성을 포함하고 있지만, 상황에 따라 안드로이드 버전 6.0 이상의 구성만으로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 삭제
- 모바일 기기에서의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에 있어서,
운영체제(OS)의 접근성(accessibility) 기능을 이용하여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모니터링된 텍스트에 사이트 주소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이트 주소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제1 사이트가 미리 설정된 유해 사이트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미리 설정된 기준 버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이상인 경우 상기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접근성 기능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하는 단계는
상기 접근성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를 모니터링하는 단계;
상기 사이트 주소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제2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2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사이트로의 접근 차단 이유를 알릴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특정 사이트로 연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 삭제
- 모바일 기기에서의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에 있어서,
운영체제(OS)의 접근성(accessibility) 기능을 이용하여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텍스트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
상기 모니터링된 텍스트에 사이트 주소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는 주소 판단부;
상기 사이트 주소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제1 사이트가 미리 설정된 유해 사이트인지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제1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차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을 확인하는 버전 확인부; 및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미리 설정된 기준 버전 이상인지 판단하는 버전 판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이상인 경우 상기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접근성 기능에 대한 활성화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 확인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접근성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운영체제의 접근성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운영체제의 버전이 상기 기준 버전 미만인 경우 상기 브라우저로 입력되는 사이트 주소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판별부는
상기 사이트 주소가 입력되면 미리 저장된 브라우저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제2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인지 판별하며,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2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2 사이트로의 접근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제1 사이트가 상기 유해 사이트로 판별되면 상기 제1 사이트로의 접근 차단 이유를 알릴 수 있는 미리 결정된 특정 사이트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사이트 차단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7443A KR101808033B1 (ko) | 2015-12-28 | 2015-12-28 |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 |
PCT/KR2016/010208 WO2017115976A1 (ko) | 2015-12-28 | 2016-09-09 |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7443A KR101808033B1 (ko) | 2015-12-28 | 2015-12-28 |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7503A KR20170077503A (ko) | 2017-07-06 |
KR101808033B1 true KR101808033B1 (ko) | 2017-12-12 |
Family
ID=59225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7443A KR101808033B1 (ko) | 2015-12-28 | 2015-12-28 |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8033B1 (ko) |
WO (1) | WO2017115976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8235B1 (ko) | 2021-03-23 | 2022-08-04 | 주식회사 투링크 |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30059015A (ko) | 2021-10-25 | 2023-05-03 | 주식회사 투링크 |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8771B1 (ko) * | 2008-02-13 | 2009-05-20 | (주)소만사 | Isp에 의한 인터넷 유해사이트 우회 접속 차단 방법 및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
KR101218255B1 (ko) * | 2012-05-15 | 2013-01-21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유해 정보 차단 방법 및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10044818A1 (en) * | 2000-02-21 | 2001-11-22 | Yufeng Liang |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blocking pornogarphic and other web content on the internet |
KR100418446B1 (ko) * | 2001-03-20 | 2004-02-14 | (주) 세이프아이 | 유해사이트 접속 차단 방법과 장치 그리고 그를 위한 랜카드 |
KR100935411B1 (ko) * | 2007-11-23 | 2010-01-06 | 주식회사 가자아이 | 유해 사이트 차단 제어방법 및 그 시스템 |
-
2015
- 2015-12-28 KR KR1020150187443A patent/KR1018080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9-09 WO PCT/KR2016/010208 patent/WO201711597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8771B1 (ko) * | 2008-02-13 | 2009-05-20 | (주)소만사 | Isp에 의한 인터넷 유해사이트 우회 접속 차단 방법 및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기록매체 |
KR101218255B1 (ko) * | 2012-05-15 | 2013-01-21 | 플러스기술주식회사 | 유해 정보 차단 방법 및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8235B1 (ko) | 2021-03-23 | 2022-08-04 | 주식회사 투링크 |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30059015A (ko) | 2021-10-25 | 2023-05-03 | 주식회사 투링크 | 유해 사이트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115976A1 (ko) | 2017-07-06 |
KR20170077503A (ko) | 2017-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26203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icture | |
US9223941B2 (en) | Using a URI whitelist | |
WO2021068634A1 (zh) | 页面跳转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
US10176327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application in an operating system from being uninstalled | |
JP6051173B2 (ja) |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WO2013142321A1 (en) |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web application or extension offered by website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application or extension gathered from a trusted site | |
KR20160120733A (ko) | 데이터 프록시 서비스 기법 | |
US10298586B2 (en) | Using a file whitelist | |
US10691390B2 (en) | Method and device for video rendering | |
US8856958B1 (en) | Personalized content access prompt | |
KR20140047579A (ko) | 크로스 플랫폼 서비스 통지 | |
CN104199701A (zh) | 一种在浏览器中启动应用的方法及装置 | |
US2015026927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ploading information | |
KR101808033B1 (ko) | 접근성 이벤트를 이용한 유해 사이트 차단 방법 및 장치 | |
KR20140068940A (ko) | 애플리케이션용 콘텐츠 핸들링 기법 | |
KR101392737B1 (ko) | Url 호출 탐지장치 및 방법 | |
JP6018344B2 (ja) | 動的読み込みコード解析装置、動的読み込みコード解析方法及び動的読み込みコード解析プログラム | |
US20170134933A1 (en) | Optimizing setup for wireless devices | |
US20160179483A1 (en) | Automatic componentization engine | |
CN106933666B (zh) | 一种调用信息输入程序的方法及一种电子设备 | |
KR101024444B1 (ko) | 단말에서의 웹어플리케이션 플랫폼 및 웹어플리케이션 플랫폼 동작 방법 | |
US973617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ecurity exposures of VOIP devices | |
US10530835B2 (en) | Application recording | |
KR102031810B1 (ko) | 어플리케이션서비스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
CN108471635B (zh) | 用于连接无线接入点的方法和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