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525B1 -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 Google Patents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525B1
KR101807525B1 KR1020160125762A KR20160125762A KR101807525B1 KR 101807525 B1 KR101807525 B1 KR 101807525B1 KR 1020160125762 A KR1020160125762 A KR 1020160125762A KR 20160125762 A KR20160125762 A KR 20160125762A KR 101807525 B1 KR101807525 B1 KR 101807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toothbrush
bristle
bristle head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승호
Original Assignee
양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09438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0752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호 filed Critical 양승호
Priority to KR1020160125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5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5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55Brush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normally separate from the brushing process, e.g. combs, razors, mirrors
    • A46B15/0081Brushes with a scraper, e.g. tongue scrap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5Brushes with a feature for storage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97Self supporting, e.g. brushes that stand upright or in other particular way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The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comprises: a handle unit; a bristle head unit provided on one end of the handle unit and including bristles; and a tongue cleaner unit provided on the other end of the handle unit and including at least one coated tongue removal wing capable of scraping coated tongue generated on the tongue surface. A decoration pattern in which a polygonal shape is arranged with a regular pattern is formed in an embossed or engraved form on the surface of the handle unit. The coated tongue removal wing is formed in an embossed form.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coated tongue removal wing is 2 mm.

Description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0001]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0002]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brush having a tongue cleaner.

보통 칫솔을 이를 닦는 기능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뿐만 아니라 혀의 청결도도 중요한 작용을 한다. 입안의 냄새는 이에 문제점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주요한 원인으로서 혀에 달라붙어 있는 백태와 박테리아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보통의 칫솔을 가지고 혀의 백태와 박테리아를 제거하는데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칫솔모를 가지고 혀에 있는 백태와 박테리아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Usually, toothbrushes have the ability to wipe their teeth. But not only this, but also the cleanliness of the tongue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The smell of the mouth is not only a problem, but also a cause and a bacterium attached to the tongue as a major cause.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removing the whites and bacteria of the tongue with a normal toothbrush. That is,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remove the whites and bacteria on the tongue with the conventional bristles.

그러므로, 통상적인 칫솔에 있어서는 혀 클리너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구강의 청결을 위하여 별도의 혀 클리너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혀 클리너를 칫솔에 부착하는 것이 국내 실용신안 공개 제90-4533호, 제95-296378호, 제98-14213호등에 알려져 있다.Therefore, since a conventional toothbrush does not have a tongue cleaner, it is necessary to use a separate tongue cleaner for cleansing the oral cavity.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is, attachment of a tongue cleaner to a toothbrush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Nos. 90-4533, 95-296378, 98-14213, and the like.

그러나 종래 대부분의 칫솔은 수평한 일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손으로 파지하기가 어렵고, 칫솔 손잡이의 표면에 단순히 상표 또는 단순한 문자를 표시한 것이 대부분이어서 칫솔의 형상이 단순하여 미려하지 못하였다.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toothbrushes are formed in a horizontal line shape, so tha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m by hand, and the surface of the toothbrush handle is simply a trademark or a simple character, so that the shape of the toothbrush is simple and unfamiliar.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칫솔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인체공학적인 설계에 따른 디자인에 의해 사용의 편리함이 증대되며, 칫솔 전체 외관이 미려해지도록 한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which can grasp and use the toothbrush stably, has an improved ergonomic design, .

본 발명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칫솔모를 포함하는 칫솔모헤드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혀 표면에 생기는 설태를 긁어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설태제거날개를 포함하는 혀 클리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의 표면에는 다각형 형상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된 장식무늬가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태제거날개는 양각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설태제거날개의 돌출되는 높이는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le; A bristle head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including bristles; And a tongue cleaner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portion and including at least one tongue removal blade capable of scraping a tongue on the tongue surface, wherein a decorative pattern having a polygonal shape arranged in a constant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ongue portion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embossed or engraved shape, the tongue removing blade is formed in an embossed shape, and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tongue removing blade is 2 mm.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엄지손가락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may include a thumb support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상기 칫솔은 상기 칫솔을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혀 클리너부로부터 상기 칫솔모헤드부를 향해 상향 또는 하향하면서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toothbrush may have a shape curved upward or downward toward the bristle head portion from the tongue cleaner portion when viewed from the side of the toothbrush.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혀 클리너부 주변에 오목하게 형성된 새끼손가락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may include a little finger support formed concavely around the tongue cleaner portion.

상기 혀 클리너부는 상기 칫솔의 평면 및 저면에서 볼 때 부채꼴 형상을 갖고, 상기 설태제거날개는 상기 부채꼴 형상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tongue cleaner part may have a fan shape when viewed from the plane and bottom of the toothbrush, and the tongue removing blade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n shap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은 상기 칫솔모헤드부의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U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U자 형상의 양측 끝단부가 상기 칫솔모헤드부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칫솔모헤드거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toothbrush hav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U-shap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bristle head, and both ends of the U-shape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edge of the bristle head And a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은 상기 칫솔모헤드부가, 상기 손잡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칫솔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홈을 포함하는 칫솔모헤드; 상기 칫솔모헤드의 전체 길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칫솔모헤드의 상단부 방향의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칫솔모커버부; 및 상기 칫솔모헤드의 전체 길이의 나머지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칫솔모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칫솔모헤드의 일면에서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칫솔의 보관시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칫솔모커버부의 내부로 수납되고 양치시에는 상기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칫솔모커버부의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이동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othbrush comprising a tongue cleaner, wherein the bristle head includes a sliding groov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and including a sliding groov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A bristle cover portion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entire length of the bristle head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and one surface of the bristle head in an upper end direction opened; And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ther half of the entire length of the bristle head, wherein the bristle head is slidably coupled along the sliding groove on one side of the bristle head, and when the toothbrush is stored, And a moving head which is moved inside the bristle cover portion and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sliding groove and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when the bristle cover is swollen.

본 발명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에 의하면, 칫솔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인체공학적인 설계에 따른 디자인에 의해 사용의 편리함이 증대되며, 칫솔 전체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oothbrush provided with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brush can be grasped and used stably, the convenience of use is increased by the design according to the ergonomic design, and the whole appearance of the toothbrush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을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칫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칫솔이 칫솔거치부재에 의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칫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동헤드가 칫솔모커버부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toothbrush hav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1 viewed from the front. Fig.
FIG.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oothbrush hav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oothbrush shown in Fig. 4 is mounted by the toothbrush holder;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oothbrush hav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ing head shown in Fig. 8 is housed inside the bristle cover por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칫솔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칫솔을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urface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othbrush shown in Fig. 1, Fig. As viewed from the fro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100)은, 손잡이부(110), 칫솔모헤드부(120), 혀 클리너부(130)를 포함한다.1 to 3, a toothbrush 100 hav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110, a bristle head 120, and a tongue cleaner 130 do.

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칫솔을 파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손잡이부(110)는 미려하게 형성된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110)의 표면에는 다각형 형상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된 장식무늬(111)가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다각형 형상은 다이아몬드 형상일 수 있다.The handle 110 is a portion for the user to grasp the toothbrush. The handle 110 is formed to be beautiful. For this, the decorative pattern 111, which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f a polygonal shap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andle 110 in the form of a relief or an engraved. For example, the polygonal shape may be diamond-shaped.

칫솔모헤드부(120)는 사용자의 양치질을 위한 부분이다. 칫솔모헤드부(120)는 손잡이부(11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칫솔모(121)를 구비한다. 이러한 칫솔모헤드부(120)는 작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구강 내에 쉽게 삽입이 가능하며 사용이 용이하다.The bristle head portion 120 is a portion for brushing the user. The bristle head 1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11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ristles 121. The bristle head 120 is formed in a small streamlined shape and is easily inserted into various users' mouths and is easy to use.

혀 클리너부(130)는 혀 표면에 생기는 설태를 제거하기 위한 부분이다. 혀 클리너부(130)는 손잡이부(110)의 타단부, 즉 칫솔모헤드부(120)의 반대편에 구비되며, 혀 표면에 생기는 설태를 긁어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설태제거날개(131)를 포함한다. 설태제거날개(131)는 양각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혀 클리너부(1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설태제거날개(131)의 돌출되는 높이는 2mm일 수 있다. 일 예로, 설태제거날개(131)는 2개일 수 있다. 여기서, 설태제거날개(131)의 높이가 2mm이고 2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다수의 실험에 의해 상기 조건이 설태를 긁어내는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러한 혀 클리너부(130)는 칫솔의 평면 및 저면에서 볼 때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설태제거날개(131)는 부채꼴 형상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The tongue cleaner part 130 is a part for removing the tongue on the tongue surface. The tongue cleaner part 130 includes at least one tongue removal blade 131 whic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grip part 110,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ristle head part 120, and can scrape the tongue on the tongue surface do. The tongue removal blades 131 are formed in an embossed shape. In other words, it is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tongue cleaner part 130. At this time,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tongue removing blade 131 may be 2 mm. For example, the number of the tongue removing blades 131 may be two.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tongue removing blades 131 is 2 mm and the tongue of the tongue removing blades 131 is 2, which is an optimal effect that the condition is scraping the tongue by a number of experiments. The tongue cleaner 130 has a fan shape when viewed from the plane and bottom of the toothbrush, and the tongue removing blade 131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an shape.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100)은 인체공학적 설계를 갖는다. 이를 위해, 칫솔은 도 3과 같이 칫솔의 정면에서 볼 때 혀 클리너부(130)로부터 칫솔모헤드부(120)를 향해 상향 또는 하향하면서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즉, 칫솔모(121)가 아래로 향하는 측면으로 볼 때 칫솔은 혀 클리너부(130)로부터 칫솔모헤드부(120)를 향해 상향하면서 굴곡진 형상이고, 칫솔모(121)가 위로 향하는 측면으로 볼 때 칫솔은 혀 클리너부(130)로부터 칫솔모헤드부(120)를 향해 하향하면서 굴곡진 형상이다.Meanwhile, the toothbrush 100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rgonomic design. For this, the toothbrush has a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3,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toothbrush, from the tongue cleaner part 130 toward the bristle head part 120 upward or downward.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re the bristles 121 face downward, the toothbrush is curved upward from the tongue cleaner part 130 toward the bristle head part 120, and when viewed from the side where the bristles 121 are upward, Is curved downward from the tongue cleaner part (130) towards the bristle head part (120).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100)은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쉬운 구조를 갖는다. 즉, 손잡이부(110)는 엄지손가락지지부(112) 및 새끼손가락지지부(113)를 포함한다. 엄지손가락지지부(112)는 손잡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칫솔모(121)가 구비되는 면에서 연장되어 있는 손잡이부(110)의 일면에 돌출 형태로 형성된다. 새끼손가락지지부(113)는 설태제거날개(131) 주변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즉, 새끼손가락지지부(1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칫솔의 평면 및 저면에서 볼 때 혀 클리너부(130)와 혀 클리너부(130)에 인접한 손잡이부(110)의 일측 사이의 양측이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다. 이러한 새끼손가락지지부(113)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손가락 길이가 가장 짧은 새끼손가락이 쉽게 감싸 쥘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toothbrush 100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For this purpose, the handle 110 has a structure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at is, the grip portion 110 includes the thumb support portion 112 and the little finger support portion 113. The thumb support 11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110 and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on one side of the handle 110 extending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bristles 121 are provided. The little finger support portion 113 is formed concavely around the tongue removal blade 131. In other words, the little finger support portion 113 is provided on both sides between the tongue cleaner portion 130 and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110 adjacent to the tongue cleaner portion 130 as viewed from the plane and bottom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s. 1 and 2 Is a concave formed portion. Since the little finger support portion 113 is concave and has a small diameter, the little finger having the shortest finger length can be easily wrapped.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100)은 양치질 및 설태제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양치질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10)의 엄지손가락지지부(112)에 엄지손가락을 지지시키고 새끼손가락지지부(113)를 새끼손가락으로 감싸서 손잡이부(110)를 파지한 상태로 칫솔모(121)를 통해 양치질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설태제거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치질의 경우와 반대, 즉 혀 클리너부(130)가 손의 위로 오는 상태가 되도록 손잡이부(110)를 파지하여 혀 클리너부(130)의 설태제거날개(13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혀 표면에 생긴 설태를 제거할 수 있다.The toothbrush 100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for cleansing the teeth and cleaning the teeth. That is, in order to brush the toothbrush, a user holds his / her thumb on the thumb support 112 of the handle 110 and the thumb finger 113 is wrapped with the little finger to hold the handle 110, So that the user can brush his teeth. When the tongue cleaner 130 is to be removed, the tongue cleaner 130 grips the grip 110 so that the tongue cleaner 130 is in contact with the tongue cleaner 130 ) Can be used to remove the user's tongue surface.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100)은 아래와 같은 이점이 있다.The toothbrush 100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손잡이부(110)에 엄지손가락지지부(112) 및 새끼손가락지지부(113)가 형성됨에 따라 손잡이부(110)를 쉽고 안정적으로 손으로 파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칫솔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thumb support portion 112 and the little finger support portion 113 are formed on the handle 110, the handle 110 can be easily and stably gripped by hand. Accordingly, the user can grasp the toothbrush securely .

둘째, 칫솔을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혀 클리너부(130)로부터 상기 칫솔모헤드부(120)를 향해 상향 또는 하향하면서 굴곡진 형상을 갖는 인체공학적인 설계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의 편리함이 증대될 수 있다.Second, since the toothbrush is ergonomically designed to have a bent shape upward or downward from the tongue cleaner part 130 toward the bristle head part 120 when viewed from the sid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셋째, 손잡이부(110)의 표면에 양각 또는 음각 형태의 장식무늬(1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잡이부(110) 및 칫솔 전체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Third, since the handle 110 has the embossed or embossed decorative pattern 111, the appearance of the embossed portion 110 and the entire toothbrush can be improv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칫솔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칫솔이 칫솔거치부재에 의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brush hav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toothbrush is fixed by the toothbrush mounting membe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200)은 손잡이부(210), 칫솔모헤드부(220), 혀 클리너부(230),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를 포함한다.4 and 5, a toothbrush 200 hav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210, a bristle head 220, a tongue cleaner 230, And a mounting member 240.

손잡이부(210), 칫솔모헤드부(220), 혀 클리너부(2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의 손잡이부(210), 칫솔모헤드부(220), 혀 클리너부(23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grip 210, the bristle head 220 and the tongue cleaner 230 may include a handle 210 of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stle head 220,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will be mainly described.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는 칫솔모헤드부(220)의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U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U자 형상의 양측 끝단부가 상기 칫솔모헤드부(220)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 예로,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는 U자 형상의 몸체부(241), 몸체부(241)의 U자 형상의 양쪽 끝단부에 형성된 회전핀(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핀(242)의 결합을 위해 칫솔모헤드부(220)의 가장자리에는 체결구멍(220a)이 형성될 수 있다.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is provided in a U-shap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bristle head 220, and both ends of the U-shape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edge of the bristle head 220 . For example,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may include a U-shaped body portion 241 and a rotation pin 242 formed at both ends of the U-shaped body portion 241. A fastening hole 220a may be formed at the edge of the bristle head 220 for coupling the rotation pin 242. [

이러한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는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칫솔모헤드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핀(242)을 감싸는 신축성 재질의 튜브(243)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243)를 회전핀(242)을 감싸도록 회전핀(242)과 결합한 상태에서 튜브(243) 및 회전핀(242)을 상기 체결구멍(220a) 내에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회전핀(242) 외면과 체결구멍(220a)의 내면 사이에 튜브(243)가 위치하게 되고, 튜브(243)의 마찰력에 의해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가 회전된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may be coupled to the bristle head portion 220 to maintain a rotated angle. The tubes 243 and 243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pin 242 so as to surround the rotation pin 242. The tubes 243 and 243 are connected to the rotation pin 242, The rotation pin 242 can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220a and fastened. In this case, the tube 243 is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pin 24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hole 220a, and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is maintained by the frictional force of the tube 243 .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200)은 칫솔의 사용 후 칫솔모(121)를 건조하기에 용이하다. 즉, 양치질 후 칫솔모(121)는 물에 젖은 상태가 되는데, 물에 젖은 칫솔모(121)를 건조하기 위해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를 사용하여 건조할 수 있다.The toothbrush 200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dry the bristles 121 after use of the toothbrush. That is, after brushing, the bristles 121 become wet. The bristles 121 may be dried using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to dry the bristles 121 wet with water.

물에 젖은 칫솔모(121)의 건조를 위해 칫솔모헤드부(220)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감싸고 있는 상태의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를 칫솔모헤드부(220)의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와 칫솔모헤드부(220)가 이루는 각이 예각 또는 둔각인 상태가 되도록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가 평평한 면, 예를 들면, 세면대의 상면, 테이블의 상면 등과 같은 평평한 면에 놓이도록 칫솔을 놓아 보관할 수 있다.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which surrounds the upper edge of the bristle head 220 is rotat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bristle head 220 in order to dry the bristles 121 wetted with water. For example,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is rotated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and the bristle head 220 becomes acute or obtuse. In this state, the toothbrush can be placed and stored such that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is placed on a flat surface, for example, a flat surface such as a top surface of a washstand, a top surface of a table or the like.

도 6과 같이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가 평평한 면에 놓인 상태에서 칫솔모헤드부(220)는 칫솔이 놓인 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칫솔이 놓인 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이때 칫솔은 기울어져 있으므로 칫솔모(121)를 적신 물은 칫솔모헤드부(220)의 아래 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됨에 따라 칫솔모(121)가 건조될 수 있다.6, the bristle head 220 is spaced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toothbrush is placed as the bristle head 220 is kept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surface on which the toothbrush is placed. At this time, The water impregnated with the bristles 121 flows downward under the bristle head 220 so that the bristles 121 can be dried.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200)은 칫솔의 사용 후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를 통해 칫솔을 평면 상에 거치하여 쉽게 건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칫솔(200)을 거치하여 건조하기 위한 별도의 칫솔거치대가 필요 없게 된다.The toothbrush 200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ried by mounting the toothbrush on a plane through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after use of the toothbrush, 200) to dry the toothbrush without a separate toothbrush holder.

또한,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를 통해 칫솔모헤드부(220)를 거치하면 칫솔모헤드부(220)가 외부요소의 면과 접촉하지 않게 되므로 칫솔모헤드부(220)에 이물질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칫솔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When the bristle head 220 is put through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the bristle head 220 is not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external element, so that the bristle head 220 is prevented from contacting the brush head 220. So that hygienic use of the toothbrush can be made possible.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의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는 합성수지재질 또는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of the toothbrush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metal material.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가 금속재질인 경우,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의 외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이 도포된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붕산 및 탄산나트륨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붕산 및 탄산나트륨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 10 중량%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도포층의 도포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탄산나트륨 또는 탄산칼슘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 coating layer coated with the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so as to effectively prevent and remove the adhesion of the contaminants. have. The antifouling coating composition contains boric acid and sodium carbonate in a molar ratio of 1: 0.01 to 1: 2, and the total content of boric acid and sodium carbonate is 1 to 10 wt% with respect to the total aqueous solution. In addition, sodium carbonate or calcium carbonate may be used as a material for improving the coating property of the coating layer, but sodium carbonate is preferably used. The molar ratio of boric acid to sodium carbonate is preferably 1: 0.01 to 1: 2. If the molar ratio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coating property of the base material is lowered or the moisture adsorption on the surface is increased.

상기 붕산 및 탄산나트륨은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The boric acid and sodium carbonate are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 to 10% by weight in the aqueous solution of the composition. If less than 1% by weight, the coating property of the base material is deteriorated. If the amount is more than 10% by weight, It is easy to occur.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 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As a method of applying the composition for anti-fouling coating on a substrate,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coating composition by a spray method. The thickness of the final coated film on the substrate is preferably 500 to 2000 angstroms, and more preferably 1000 to 2000 angstroms. When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is less than 500 ANGSTROM, there is a problem that it deteriorates in the case of a high-temperature heat treatment. When the thickness is more than 2000 ANGSTROM, crystallization of a coated surface tends to occur.

또한,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붕산 0.1 몰 및 탄산나트륨 0.05 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for antifouling coating can be prepared by adding 0.1 mol of boric acid and 0.05 mol of sodium carbonate to 1000 mL of distilled water and then stirring.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칫솔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동헤드가 칫솔모커버부 내측으로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FIG. 7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toothbrush hav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toothbrush shown in FIG. 7, And the head is housed inside the bristle cover por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300)은 손잡이부(310), 칫솔모헤드부(320), 혀 클리너부(330)를 포함한다.7 and 8, a toothbrush 300 having a tongue clea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andle 310, a bristle head 320, and a tongue cleaner 330 .

손잡이부(310), 혀 클리너부(3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100)의 손잡이부(110), 혀 클리너부(13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칫솔모헤드부(32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handle 310 and the tongue cleaner 330 are the same as the handle 110 and the tongue cleaner 130 of the toothbrush 100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brush head 320 will be mainly described.

칫솔모헤드부(320)는 칫솔모헤드(321), 칫솔모커버부(322) 및 이동헤드(3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ristle head portion 320 may include a bristle head 321, a bristle cover portion 322, and a moving head 323.

칫솔모헤드(321)는 손잡이부(3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칫솔모커버부(322) 및 이동헤드(323)의 길이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다. The bristle head 32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310 and has a length at least two times the length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and the moving head 323.

칫솔모커버부(322)는 이동헤드(323)를 수용한다. 칫솔모커버부(322)는 이동헤드(323)를 수용하기 위해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칫솔모커버부(322)는 단면 형상이 역방향 V자 형상을 갖는 하우징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칫솔모커버부(322)는 칫솔모헤드(321)의 상면에 구비되며 칫솔모헤드(321)의 전체 길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칫솔모커버부(322)는 칫솔모헤드(321)의 상단부 방향의 일면이 개방되어 이동헤드(323)가 출입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칫솔모커버부(322)는 플렉시블한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양치질시 칫솔모커버부(322)는 자유롭게 수축됨에 따라 양치질시 치아 및 잇몸에 부딪히더라도 치아 및 잇몸에 충격을 가하지 않는다.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receives the moving head 323.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may be in the form of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for receiving the moving head 323. In one example,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may be in the form of a housing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a reverse V-shape.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stle head 321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entire length of the bristle head 321. The bristle cover 322 is opened on one side of the bristle head 321 in the direction of the upper end so that the moving head 323 can move in and out. In addition, the bristle cover 322 is made of a flexible silicone material, so that the bristle cover 322 is freely contracted when brushing the toothbrush so that no impact is applied to the teeth and the gums even when the brush covers the tooth and gums.

이동헤드(323)는 칫솔모(3232)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양치질시 사용되는 부분이다. 이동헤드(323)는 칫솔모헤드(321)의 상면에서 칫솔모커버부(322)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칫솔모헤드(3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헤드(323)는 칫솔모헤드(321)의 전체 길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다.The moving head 323 is provided with a bristle 3232 to be used for brushing the user. The moving head 323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bristle head 321 to move inward and outward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ristle head 321. The moving head 323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entire length of the bristle head 321.

이러한 이동헤드(323)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을 위해 칫솔모헤드(321)에는 슬라이딩홈(3211)이 형성되고, 이동헤드(323)의 저면부에는 슬라이딩돌기(3231)가 형성된다.A sliding groove 3211 is formed in the bristle head 321 and a sliding protrusion 3231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head 323 in order to allow the movable head 323 to be slidable.

슬라이딩홈(3211)은 칫솔모헤드(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슬라이딩홈(3211)의 길이는 이동헤드(323)가 칫솔모커버부(322)의 내외로 이동할 수 있는 길이이다. 일 예로, 슬라이딩홈(3211)은 칫솔모헤드(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부(3211a), 가이드부(3211a)의 일측에 연결되고 칫솔모커버부(322)의 외측에 위치하는 원 형상의 제1 고정부(3211b), 가이드부(3211a)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칫솔모커버부(322)의 내측에 위치하는 원 형상의 제2 고정부(32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3211b) 및 제2 고정부(3211c)의 직경은 가이드부(3211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The sliding groove 3211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stle head 321. The length of the sliding groove 3211 is a length at which the moving head 323 can move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The sliding groove 3211 includes a guide portion 3211a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ristle head 321, a circular portion 3211a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uide portion 3211a and positioned outside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And a circular second fixing portion 3211c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portion 3211a and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 The diameter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211b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211c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portion 3211a.

슬라이딩돌기(3231)는 슬라이딩홈(3211)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돌기(3231)를 따라 이동한다. 일 예로, 슬라이딩돌기(3231)는 이동축(3231a) 및 지지돌기(3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축(3231a)은 슬라이딩돌기(3231)를 따라 이동하는 축이고 슬라이딩홈(3211)의 제1 고정부(3211b) 및 제2 고정부(3211c)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다. 이동축(3231a)의 길이는 칫솔모헤드(321)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지지돌기(3231b)는 이동축(3231a)의 끝단부에 형성되며 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돌기(3231b)의 직경은 슬라이딩홈(3211)의 제1 고정부(3211b) 및 제2 고정부(3211c)에 강제 삽입하면 제1 고정부(3211b) 및 제2 고정부(3211c)를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지지돌기(3231b)는 이동헤드(323)를 이동시킬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The sliding protrusion 3231 is engaged with the sliding groove 3211 and moves along the sliding protrusion 3231. In one example, the sliding protrusion 3231 may include a moving shaft 3231a and a supporting protrusion 3231b. The moving shaft 3231a moves along the sliding protrusion 3231 and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fixing portion 3211b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211c of the sliding groove 3211. [ The length of the moving shaft 3231a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ristle head 321. [ The supporting protrusion 3231b is formed at the end of the moving shaft 3231a and is formed in a ball shape. Whe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rotrusion 3231b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first fixing portion 3211b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211c of the sliding groove 3211, the first fixing portion 3211b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3211c And has a diameter that can pass through. The support protrusion 3231b serves as a handle for moving the movable head 323.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300)은 양치질 및 설태제거에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혀 클리너의 사용 과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에서 설명한 과정과 같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칫솔모헤드부(320)를 통한 양치질 과정 및 칫솔의 보관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toothbrush 300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used for cleansing the teeth and cleaning the tongue. The process of using the tongue cleaner includes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ushing head 320 and the toothbrush hold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As shown in FIG.

칫솔의 보관시 이동헤드(323)는 도 9와 같이 칫솔모커버부(322)에 보관된다. 즉, 이동헤드(323)는 칫솔모커버부(322)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보관된다. 이때, 이동헤드(323)에 구비된 칫솔모(3232) 역시 칫솔모커버부(322)의 내부공간에 수납되어 외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된다.When the toothbrush is stored, the moving head 323 is stored in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as shown in FIG. That is, the moving head 323 is housed and stor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At this time, the bristles 3232 provided on the moving head 323 are also hou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and protected from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이러한 보관 상태에서 사용자는 양치질을 하기 위해 이동헤드(323)를 칫솔모커버부(322)의 외부로 인출한다. 이때, 사용자는 칫솔(300)의 손잡이부(310)를 잡은 상태에서 칫솔모헤드(321)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이동헤드(323)의 슬라이딩돌기(3231)의 지지돌기(3231b)를 칫솔모헤드(321)의 상단부 방향으로 밀면, 이동헤드(323)의 슬라이딩돌기(3231)의 이동축(3231a)이 슬라이딩홈(3211)의 제2 고정부(3211c)로부터 가이드부(3211a)를 따라 이동하여 제1 고정부(3211b)로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동헤드(323)는 도 8과 같이 칫솔모커버부(322)의 외부로 인출된다.In this storage state, the user draws the moving head 323 to the outside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for brushing. The user holds the supporting protrusion 3231b of the sliding protrusion 3231 of the moving head 323 protruding from the head 321 of the bristle while holding the handle 310 of the toothbrush 300 to the bristle head 321, The moving shaft 3231a of the sliding protrusion 3231 of the moving head 323 moves along the guide portion 3211a from the second fixing portion 3211c of the sliding groove 3211, As shown in Fig. Through this process, the moving head 323 is drawn out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as shown in FIG.

이동헤드(323)가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헤드(323)에 구비된 칫솔모(3232)를 이용하여 양치질을 할 수 있다. 양치질이 끝나면 칫솔의 보관을 위해 사용자는 이동헤드(323)를 다시 칫솔모커버부(322) 내로 수납시킨다. 이동헤드(323)가 도 9와 같이 칫솔모커버부(322)로 수납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이동헤드(323)가 칫솔모커버부(322)에서 인출되는 과정의 역순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head 323 is drawn out, the user can brush his / her teeth using the bristles 3232 provided on the moving head 323. After brushing, the user retracts the moving head 323 back into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to store the toothbrush. 9, the movement head 323 is housed in the bristle cover 322. Since the moving head 323 described above is taken out from the bristle cover 322,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300)은 양치질을 위해 칫솔모(3232)를 사용할 때에는 이동헤드(323)를 칫솔모커버부(322)의 내부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고, 보관시에는 이동헤드(323)를 칫솔모커버부(322)의 내부로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으므로 칫솔모(3232)를 외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따라서 별도의 케이스 없이도 칫솔모(3232)의 보호가 가능해지며, 이에 의해 칫솔(300)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해진다.The toothbrush 300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raws the moving head 323 from the inside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when using the bristles 3232 for brushing teeth, Since the movable head 323 can be housed and stored in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at the time of storage, a separate case for protecting the bristles 3232 from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the like is not required,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bristles 3232 without a case, thereby facilitating the storage and carrying of the toothbrush 300.

한편, 합성수지재의 상기 이동헤드(323)에는 내산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RD(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를 첨가한다. 이러한 RD는 내오존성 및 내산화성을 증가시키며, 이동헤드(323)의 부식 및 산화를 방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RD (Polymerized trimethyl dihydroquinoline) is added to the moving head 323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to increase the oxidation resistance. This RD increases ozone resistance and oxidation resistance, and prevents corrosion and oxidation of the moving head 323.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와 RD의 합이 100 중량부일 경우, RD는 0.4~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는 RD의 첨가량이 상술된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내산화성을 획득하기 어려우며, 상술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조직의 밀도 및 견고성에 영향을 주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m of the synthetic resin and RD is 100 parts by weight, the RD preferably includes 0.4 to 1.2 parts by weight. This is because if the addition amount of RD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difficult to obtain oxidation resistance, and if it exceeds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density and firmness of the tissue are affected.

이러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의 이동헤드(323)에 RD가 더 첨가되므로 내산화성이 크게 향상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Since RD is further added to the moving head 323 of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oxidation resist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reatly improved, thereby maximizing the service life of the product.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들의 칫솔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손잡이부(110, 210, 310), 칫솔모헤드부(120, 220, 320) 및 혀 클리너부(130, 230, 330)는 알루미늄 소재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부(110, 210, 310), 칫솔모헤드부(120, 220, 320) 및 혀 클리너부(130, 230, 330)의 표면이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해 금속재의 표면 도포재료로 도포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도포층은 알루미나 분말 60중량%, NH4Cl 30중량%, 아연 2.5중량%, 구리 2.5중량%, 마그네슘 2.5중량%, 티타늄 2.5중량%로 구성된다.Meanwhile, the toothbrush of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bristle head parts 120, 220 and 320 and the tongue cleaner parts 130, 230 and 330 may b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In this case, the handle parts 110, 210 and 310, The surfaces of the bristle head portions 120, 220, and 320 and the tongue cleaner portions 130, 230, and 330 are coated with the surface of the metal material to prevent corrosion of the surface from dust, A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e coating layer is composed of 60 wt% of alumina powder, 30 wt% of NH 4 Cl, 2.5 wt% of zinc, 2.5 wt% of copper, 2.5 wt% of magnesium and 2.5 wt% of titanium.

상기 알루미나 분말은 고온으로 가열될 때 소결, 엉킴, 융착 방지 등의 목적으로 첨가된다. 이러한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소결, 엉킴, 융착 방지의 효과가 떨어지며, 알루미나 분말이 60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알루미나 분말은 6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lumina powder is added for the purpose of sintering, entangling, fusion prevention, etc. when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When such an alumina powder is ad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60% by weight, the effect of sintering, entangling and fusion prevention is deteriorated. When the alumina powder exceeds 60% by weight, the above effect is not further improved, but the material cost is greatly increa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d 60 wt% of the alumina powder.

상기 NH4Cl은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하여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NH4Cl은 30중량% 첨가된다. NH4Cl이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증기 상태의 알루미늄, 아연, 주식 구리 및 마그네슘과 반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에 따라 확산 및 침투를 활성화시키지 못한다. 반면에, NH4Cl이 30중량%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NH4Cl은 30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H 4 Cl reacts with steam, aluminum, zinc, copper, and magnesium to activate diffusion and penetration. This NH 4 Cl is added in an amount of 30% by weight. When NH 4 Cl is added in an amount of less than 30% by weight, the reaction with aluminum, zinc, copper and magnesium in a vapor state is not properly performed, thereby failing to activate diffusion and penetration. On the other hand, if NH 4 Cl exceeds 30 wt%,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not further improved, but the material cost is greatly increa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add 30 wt% of NH 4 Cl.

상기 아연은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방지하는 것과 전기 방식용으로 사용되도록 배합된다. 이러한 아연은 2.5중량%가 혼합된다.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물에 닿는 금속의 부식을 제대로 방지시키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아연의 혼합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아연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zinc is compounded to prevent corrosion of the metal that is in contact with water and to be used for electrical applications. 2.5% by weight of this zinc is mixed. If the mixing ratio of zinc exceeds 2.5% by weight, corrosion of the metal which is in contact with water can not be properly preven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mixing ratio of zinc exceeds 2.5% by weight,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not further improved, but the material cost is greatly increa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zinc is mixed at 2.5% by weight.

상기 구리는 상기 알루미늄과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구리는 2.5중량% 혼합된다. 구리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알루미늄과 조합될시 금속의 경도 및 인장강도를 제대로 높이지 못하게 된다. 반면에 구리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구리는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pper is combined with the aluminum to increase the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of the metal. This copper is mixed at 2.5% by weight. If the mixing ratio of copper is less than 2.5 wt%, the hardness and tensile strength of the metal can not be properly increased when combined with aluminum. On the other hand, when the mixing ratio of copper exceeds 2.5% by weight,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not further improved, but the material cost is greatly increased. Therefore, copper is preferably mixed at 2.5% by weight.

상기 마그네슘의 순수한 금속은 구조강도가 낮으므로 상기 아연 등과 함께 조합하여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을 높이는 용도로 배합된다. 이러한 마그네슘은 2.5중량% 혼합된다.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아연 등과 함께 조합될 시 금속의 경도, 인장강도 및 염수에 대한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마그네슘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가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마그네슘는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pure metal of magnesium has a low structural strength, i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zinc and the like to improve the hardness, tensile strength and corrosion resistance of the metal. This magnesium is mixed at 2.5% by weight. When the mixing ratio of magnesium is less than 2.5% by weight, the hardness,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corrosion resistance to the salt water of the metal are not greatly improved when they are combined with zinc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when the mixing ratio of magnesium exceeds 2.5% by weight, the above-mentioned effect is not further improved, but the material cost is greatly increa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magnesium is mixed with 2.5% by weight.

상기 티타늄은 가볍고 단단하고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 원소로 은백색의 금속광택이 있는바, 뛰어난 내식성과 비중이 낮아 강철 대비 무게는 60% 밖에 되지 않으므로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은 줄이되 광택을 높이고 뛰어난 방수성 및 내식성을 갖도록 배합된다.The titanium is a lightweight, hard and corrosion resistant transition metal element with a silver-white metallic luster. Because it ha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and specific gravity, it weighs only 60% of steel. Therefore, the weight of the co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metal base material is reduced, Excellent water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이러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된다.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 미만이면, 금속모재에 도포되는 도포재의 중량이 그다지 경감되지 않고, 광택성, 방수성, 내식성이 크게 개선되지 않는다. 반면에, 티타늄의 혼합 비율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상술한 효과는 더 개선되지 않는 반면에 재료비는 크게 증가된다. 따라서 티타늄은 2.5중량%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titanium is mixed at 2.5% by weight. If the mixing ratio of titanium is less than 2.5% by weight, the weight of the coating material applied to the metal base material is not so reduced, and glossiness, water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are not greatly improv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mixing ratio of titanium exceeds 2.5% by weight, the above effect is not further improved, but the material cost is greatly increased. Therefore, titanium is preferably mixed at 2.5% by weight.

도포층의 도포방법은 다음과 같다.The application method of the application layer is as follows.

도포층이 형성되어야 할 모재와 상기 구성으로 배합된 도포재료를 폐쇄로 내에 함께 투입시키고 폐쇄로 내부에는 모재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2 L/min의 비율로 아르곤 가스를 주입시킨다, 아르곤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700℃ 내지 800℃의 온도로 4 ~ 5 시간 동안 유지한다.The base material in which the coating layer is to be formed and the coating material blended in the above composition are put in the closed furnace together with the argon gas being injected at a rate of 2 L / min in order to prevent oxidation of the base material inside the furnace. And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800 ° C for 4 to 5 hours.

상기 단계를 수행하여 증기 상태의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이 폐쇄로 내부에 형성되고, 알루미늄 분말, 알루미나 분말, 아연, 구리, 마그네슘 및 티타늄 배합물은 모재의 표면에 침투하여 도포층이 형성된다.Aluminum powder, alumina powder, zinc, copper, magnesium, and titanium compounds penetrate into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to form a coated layer, .

도포층이 형성된 후 폐쇄로 내부의 온도를 도포 물질/기재 복합물이 800℃~900℃로 하여 30 ~ 40시간을 유지하면 모재의 표면에는 부식 방지용 도포층이 형성되어 모재의 표면과 외기를 격리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 급격한 온도 변화는 모재 표면의 도포층이 박리될 수 있으므로 60℃/hr의 비율로 온도 변화를 시킨다.After the coating layer is formed, the inside temperature of the closed material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800 ° C. to 900 ° C. for 30 to 40 hours so that a coating layer for corrosion preven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to isolate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from the outside air do. At this time, the abrupt temperature change in the above-mentioned process may cause the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base material to peel off, so that the temperature is changed at a rate of 60 ° C / hr.

본 발명의 도포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The coat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본 발명의 도포층은 매우 넓은 범위의 용도를 가지므로 커튼 도포, 스프레이 페인팅, 딥 도포, 플루딩(flooding)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Since the applicat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wide range of applications, it can be appli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curtain coating, spray painting, dip coating, flooding and the like.

본 발명의 도포층은 부식 및/또는 스케일에 대한 원칙적인 보호 기능에 추가하여 도포가 매우 얇은 층두께로 도포될 수 있어 전기전도성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물질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열간 성형 과정 이후에도 높은 전기전도성이 바람직하다면 얇은 전기전도성 프라이머가 도포층의 상부에 도포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principle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and / or scale, the application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ith a very thin layer thickness in addition to improving electrical conductivity, as well as material and cost saving. A thin electrically conductive primer may be applied to the top of the application layer if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is desired after the hot forming process.

성형 과정 또는 열간 성형 과정 이후, 도포 물질은 기재의 표면상에 유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긁힘 내성을 증가시키며, 부식 보호를 개선하고, 미적 외관을 충족시키며, 변색을 방지하고, 전기전도성을 변화시키며 종래 다운스트림 공정(예, 침린 및 전기이동 딥 도포)용 프라이머로 제공될 수 있다.After the molding process or the hot forming process, the coating material can be retain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for example, to increase scratch resistance, to improve corrosion protection, to meet aesthetic appearance, to prevent discoloration, And may be provided as a primer for conventional downstream processes (e.g., impregnated and electro-mobile dip applic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손잡이부(110, 210, 310), 칫솔모헤드부(120, 220, 320) 및 혀 클리너부(130, 230, 330)가 알루미늄 소재의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이와 같은 재질의 손잡이부(110, 210, 310), 칫솔모헤드부(120, 220, 320) 및 혀 클리너부(130, 230, 330)의 표면에 알루미나 분말, NH4Cl, 아연, 구리, 마그네슘,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도포층이 도포되므로 먼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손잡이부(110, 210, 310), 칫솔모헤드부(120, 220, 320) 및 혀 클리너부(130, 230, 330)의 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where the handle parts 110, 210, 310, the bristle head parts 120, 220, 320 and the tongue cleaner parts 130, 230, 330 ar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The surfaces of the grips 110, 210 and 310, the bristle head parts 120 and 220 and the tongue cleaner parts 130 and 230 and 330 are made of alumina powder, NH 4 Cl, zinc, copper, magnesium, It is possible to prevent corrosion of the surfaces of the grips 110, 210, 310, the bristle head portions 120, 220, 320 and the tongue cleaner portions 130, 230, 330 from dust, .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의 손잡이부(110, 120, 130)가 합성수지재인 경우, 손잡이부(110, 120, 130)에는 살균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handles 110, 120 and 130 of the toothbrush having the tongue clean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ade of synthetic resin, the handles 110, 120 and 130 may be coated with a fragrance- have.

상기 방향제 물질은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머틀 오일(Myrtle oil) 50중량%, 릿치아 쿠베아 오일(Litsea cubeba oil) 50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unctional oil may be mixed with 95 to 97% by weight of a perfume and 3 to 5% by weight of a functional oil. The functional oil may include 50% by weight of myrtle oil, And 50% by weight of Litsea cubeba oil.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Here, the functional oil is preferably mixed in an amount of 3 to 5% by weight with respect to the perfume. If the mixing ratio of the functional oil is less than 3 wt%, the effect is insignificant. If the mixing ratio of the functional oil exceeds 5 wt%, the function is not greatly improved, but the manufacturing cost is greatly increased.

상기 머틀 오일의 주 화학성분은 cineol, myrtenol 등이며, 새순이나 작은 가지 등에서 스팀증류법으로 추출되는데 노란색을 띠며 상쾌하고 싱그러운 향을 가지고 있고, 살균작용, 방부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The main chemical composition of the myrtle oil is cineol, myrtenol, etc. It is extracted by steam distillation method in spruce or small branches, has a yellow color, has a refreshing and refreshing flavor, and has a good effect on sterilization action and side effect.

상기 릿치아 쿠베아 오일은 열매에서 스팀 증류법을 이용하여 오일을 추출하는데 달콤하면서도 레몬그라스와 비슷하면서도 강한 향을 갖고 있으며, 주 화학성분으로는 85%이상을 차지하는 citral을 비롯하여 linalol, neral 등을 함유하고 있고, 강한 방부효과를 내며 살균작용으로 박테리아균 등을 죽이는 작용효과가 우수하다.The Ricciakube oil is extracted from the fruit using steam distillation method. It is sweet but similar to lemon grass. It has a strong aroma. It contains citral which occupies more than 85% as main chemical ingredient, linalol, neral etc. It has a strong antiseptic effect and is excellent in the action effect of killing bacteria and the like by bactericidal action.

따라서, 손잡이부(110, 120, 130)에 이러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되면 실내 욕실 등에 칫솔을 보관할 때 실내의 각종 오염원으로부터 보호 및 살균이 가능해짐에 따라 칫솔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ragrance material is coated on the grips 110, 120, and 130, it is possible to protect and sterilize the indoor toothbrush when the toothbrush is stored in an indoor bathroom or the like, so that hygienic use of the toothbrush can be possibl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10, 120, 130 : 손잡이부 120, 220, 320 : 칫솔모헤드부
130, 230, 330 : 혀 클리너부
110, 120, 130: handle 120, 220, 320: bristle head
130, 230, 330: tongue cleaner part

Claims (4)

손잡이부(110, 210, 310);
상기 손잡이부(110, 210, 310)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칫솔모(121, 221, 3232)를 포함하는 칫솔모헤드부(120, 220, 320); 및
상기 손잡이부(110, 210, 310)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혀 표면에 생기는 설태를 긁어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설태제거날개(131)를 포함하는 혀 클리너부(130, 230, 33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10, 210, 310)의 표면에는 다각형 형상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된 장식무늬(111)가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태제거날개(131)는 양각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설태제거날개(131)의 돌출되는 높이는 2mm이며;
상기 칫솔은,
상기 칫솔모헤드부(220)의 상단부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U자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U자 형상의 양측 끝단부가 상기 칫솔모헤드부(220)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칫솔모헤드거치부재(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
Handles 110, 210 and 310;
A plurality of bristle head portions 120, 220 and 320 provided at one ends of the grip portions 110, 210 and 310 and including bristles 121, 221 and 3232; And
A tongue cleaner 130, 230, 330 including at least one tongue removal blade 131 whic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110, 210 and can scrape the surface of the tongue, Including,
A decorative pattern 111 having polygonal shap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grips 110, 210 and 310 in the form of a relief or an obtuse angle,
The tongue removing blades 131 are formed in an embossed shape,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tongue removing blade 131 is 2 mm;
The toothbrush comprises:
A bristle head mounting member 240 having a U-shape surrounding the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bristle head 220 and having both ends of the U-shape rotatably coupled to an edge of the bristle head 220, Lt; RTI ID = 0.0 > 1, < / RTI &
A toothbrush comprising a tongue clea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손잡이부(110, 210, 310);
상기 손잡이부(110, 210, 310)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칫솔모(121, 221, 3232)를 포함하는 칫솔모헤드부(120, 220, 320); 및
상기 손잡이부(110, 210, 310)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혀 표면에 생기는 설태를 긁어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설태제거날개(131)를 포함하는 혀 클리너부(130, 230, 330)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110, 210, 310)의 표면에는 다각형 형상이 일정한 패턴으로 배열된 장식무늬(111)가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설태제거날개(131)는 양각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설태제거날개(131)의 돌출되는 높이는 2mm이며;
상기 칫솔모헤드부(320)는,
상기 손잡이부(31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칫솔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홈(3211)을 포함하는 칫솔모헤드(321);
상기 칫솔모헤드(321)의 전체 길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칫솔모헤드(321)의 상단부 방향의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칫솔모커버부(322); 및
상기 칫솔모헤드(321)의 전체 길이의 나머지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칫솔모(3232)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칫솔모헤드(321)의 일면에서 상기 슬라이딩홈(321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칫솔의 보관시에는 상기 슬라이딩홈(321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칫솔모커버부(322)의 내부로 수납되고 양치시에는 상기 슬라이딩홈(3211)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칫솔모커버부(322)의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된 이동헤드(3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클리너를 구비하는 칫솔.
Handles 110, 210 and 310;
A plurality of bristle head portions 120, 220 and 320 provided at one ends of the grip portions 110, 210 and 310 and including bristles 121, 221 and 3232; And
A tongue cleaner 130, 230, 330 including at least one tongue removal blade 131 which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110, 210 and can scrape the surface of the tongue, Including,
A decorative pattern 111 having polygonal shape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grips 110, 210 and 310 in the form of a relief or an obtuse angle,
The tongue removing blades 131 are formed in an embossed shape,
The protruding height of the tongue removing blade 131 is 2 mm;
The bristle head 320 includes:
A bristle head (321) integrally formed with the handle (310) and including a sliding groove (3211) formed so as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A bristle cover part (322)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half the total length of the bristle head (321) and having an inner space, the bristle cover part (322) having one side open in the upper end direction of the bristle head (321); And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other half of the entire length of the bristle head 321 and has bristles 3232 and is slidably coupled along the sliding groove 3211 on one side of the bristle head 321 And moves along the sliding groove 3211 to be housed in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and move along the sliding groove 3211 when brushing the toothbrush 322 so that the bristles cover the outside of the bristle cover portion 322 And a moving head (323) configured to draw the recording medium
A toothbrush comprising a tongue cleaner.
KR1020160125762A 2016-09-29 2016-09-29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KR1018075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762A KR101807525B1 (en) 2016-09-29 2016-09-29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762A KR101807525B1 (en) 2016-09-29 2016-09-29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525B1 true KR101807525B1 (en) 2017-12-12

Family

ID=6094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762A KR101807525B1 (en) 2016-09-29 2016-09-29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5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455A (en) * 2018-05-23 2019-12-03 임성빈 Tongue cleaning thoothbrush with excellent effect for removing coated tongu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924Y1 (en) * 1999-09-29 2000-03-15 양남길 Toothbrush having tongue cleaner
KR200298194Y1 (en) * 2002-09-06 2002-12-16 홍원길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JP2009268879A (en) 2008-05-09 2009-11-19 Soichi Miyazaki Assembling type toothbrush device, and manufacture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924Y1 (en) * 1999-09-29 2000-03-15 양남길 Toothbrush having tongue cleaner
KR200298194Y1 (en) * 2002-09-06 2002-12-16 홍원길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JP2009268879A (en) 2008-05-09 2009-11-19 Soichi Miyazaki Assembling type toothbrush device, and manufacture of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455A (en) * 2018-05-23 2019-12-03 임성빈 Tongue cleaning thoothbrush with excellent effect for removing coated tongue
KR102197685B1 (en) * 2018-05-23 2020-12-31 임성빈 Tongue cleaning thoothbrush with excellent effect for removing coated tong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5405B1 (en) Two-in-one toothbrush
US20150121637A1 (en) Cleaning Implement
KR20200085318A (en) Oral care appliances
US7246400B2 (en) Hygienic toothbrush with cover
US20060207623A1 (en) Self-cleaning hair brush
TWI300338B (en)
WO2006023503A3 (en) Toothbrush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807525B1 (en)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US5014383A (en) Offset denture brush
EP1868745B1 (en)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and cleaning fluid reservoir
US20060168749A1 (en) Bendable bathing scrubber
KR20180093362A (en) A toothbrush with a tongue cleaner
GB2342565A (en) Domestic Utensil with a hand or mouth guard
WO2007020660A1 (en) The spray toothbrush
CN207803754U (en) A kind of oral cavity mucosa cleaning device
CN106413474B (en) Oral care systems
US20090183327A1 (en) Fingernail cleaning brush
WO2007049298A1 (en) Trigger spray tothbrush
JP6159039B1 (en) Toothpaste receiver and toothbrush having the same
KR20230080631A (en) Sharp dental floss and interdental brush
WO2007046114A1 (en) Spray brush
BRMU8900865U2 (en) toothbrush with thimble
US9545149B1 (en) Hygienic toothbrush maintenance system
KR20160003092U (en) toothbrush with curved degree
CA2444137A1 (en) Flexible oral hygiene tool and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872;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1224

Effective date: 2021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