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230B1 - Process for reforming polypropylene and electrode tab thereof - Google Patents

Process for reforming polypropylene and electrode tab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230B1
KR101806230B1 KR1020150082068A KR20150082068A KR101806230B1 KR 101806230 B1 KR101806230 B1 KR 101806230B1 KR 1020150082068 A KR1020150082068 A KR 1020150082068A KR 20150082068 A KR20150082068 A KR 20150082068A KR 101806230 B1 KR101806230 B1 KR 10180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present
resi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0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45422A (en
Inventor
김태경
이무재
임장규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주)이지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켐 filed Critical (주)이지켐
Priority to KR1020150082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230B1/en
Publication of KR20160145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23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01M2/2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46Reaction with unsaturated dicarboxylic acids or anhydrides thereof, e.g. malein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2Polyprop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용액에 (메타)아크릴산과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등의 성분을 퍼옥사이드계 촉매 하에 투입하여 반응하는 단계 및 미반응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극탭에 관한 것으로, 결합력 및 내전해질성 특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propylene solution, which comprises reacting a polypropylene solution with components such as (meth) acrylic acid, glycidyl methacrylate and epihalohydrin compounds under a peroxide cataly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propylene reforming method and an electrode tab using the same, and has an excellent effect of bonding strength and electrolyte resistance.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극탭{Process for reforming polypropylene and electrode tab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reforming polypropylene,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의 개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극탭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에 다양한 작용기를 부여하여 폴리프로필렌을 개질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적용한 전극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odifying a polypropylene and an electrode tab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odifying a polypropylene by imparting various functional groups to the polypropylene and an electrode tap us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produced by the method will be.

일반적으로 대표적인 이차전지인 리튬 이차전지는 양극, 음극 등을 포함하는 전극부, 전해질 등이 봉입된 파우치 및 이들을 결합하는 고분자 필름 등의 구성을 포함하는 전극탭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양극과 음극의 전기를 외부에 취출하기 위한 리드 선을 봉입하기 위한 봉입제로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또는 금속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General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hich is a typical secondary battery, is composed of an electrode tab including an electrode portion including an anode and a cathode, a pouch encapsulating an electrolyte or the like, and a polymer film combining them. And may further include a metal foil or metal such as aluminum as an encapsulating material for encapsulating the lead wire for taking out the electricity of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to the outside.

이러한 전극부 및 파우치 등을 결합하는 고분자 필름은 방습성, 밀봉성, 절연성, 내열성, 내한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이 요구되며, 특히 각 구성들 간의 결합력, 고분자 필름 자체 간의 결합력이 요구된다. 즉, 각 구성에 대한 결합력이 우수하여 분리되지 않아야 하며, 고분자 필름 자체의 결합력이 우수하여 상기 필름이 박리되지 않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전해질에 용해되지 않는 강한 내전해질성 또한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 KR1340242B1에는 다양한 종류의 중합체들과의 블렌드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고함량의 변성 폴리올레핀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공지되어 있지만, 금속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지 못하며, 내전해질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KR2012-0102737A에는 금속과의 결합력이 향상된 관능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가교 마스터배치로서의 사용에 적합한 조성물에 관하여 공지되어 있지만, 여전히 전해질에 취약한 낮은 내전해질성의 문제가 있다.The polymer film that combines such electrode parts and pouches is required to have properties such as moisture-proofing property, sealing property, insulation property, heat resistance, cold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and particularly, a bonding force between each constitution and a bonding force between the polymer film itself is required. That is, the bonding force for each constitution is excellent and it should not be separated, and the bonding force of the polymer film itself is excellent, so that the film should not be peeled off. In addition, strong electrolyte resistance, which is not soluble in electrolytes, is also essential. For example, Korean patent KR1340242B1 discloses a method for producing a modified polyolefin resin which is suitable for blending with various kinds of polymers and can easily produce a high amount of modified polyolefin. Howev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lytic property is very poor.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2012-0102737A discloses a composition suitable for use as a crosslinked masterbatch comprising a functional polyolefin having improved bonding strength with a metal, but still has a problem of low electrolyte resistance, which is vulnerable to electrolytes.

따라서 폴리올레핀 자체의 결합력 및 금속과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전해질성이 우수한 고분자 수지 또는 고분자 필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polymer resin or the polymer film which is excellent not only in the bonding force of the polyolefin itself and the bonding force with the metal, but also in the electrolyte resistance.

한국등록특허 KR1340242B1Korean registered patent KR1340242B1 한국공개특허 KR2012-0102737A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2012-0102737A

본 발명의 목적은 방습성, 밀봉성, 절연성, 내열성, 내한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결합력, 파우치 등의 비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금속 등의 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및 내전해질성 특성 또한 우수하도록 폴리프로필렌을 개질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극탭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ypropylene resin which is excellent in properties such as moisture-proof property, sealing property, insulation property, heat resistance property, cold resistance property and corrosion resistance property and is also excellent in bonding force of polypropylene itself, bonding force with non-polar substrate such as pouch, A method of modifying polypropylene so as to have excellent electrolytic properties and an electrode tab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폴리프로필렌을 개질하는 방법에 의해,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 등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전극탭용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수지 또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sin or film comprising a modified polypropylene for an electrode tab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elastic modulus by a method of modifying polypropyle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결합력, 파우치 등의 비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금속 등의 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및 내전해질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극탭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propylene reforming method which is excellent in the bonding force of polypropylene itself, the bonding force with a non-polar substrate such as a pouch, the bonding force with a polar substrate such as metal, and the electrolyte resistance property, Tab.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적용된 전극탭은 금속을 포함하는 전극부, 전해질을 포함하는 파우치 및 상기 전극부와 상기 파우치를 결합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tab to which the modified polypropylene is applied may include an electrode portion including a metal, a pouch containing an electrolyte, and an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electrode portion and the pouch.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 및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로 개질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component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glycidyl methacrylate and epihalohydrin compounds, and a modified polypropylene modified with a (meth) acrylic acid monomer .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프로필렌 중합체와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 수지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is not limited to atta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manufactured, for example, including a blend resin of a propylene polymer and the modified polypropylene.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프로필렌 랜덤 중합체,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ylene polymer is not limited to atta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ny one selected from, for example, a propylene random polymer, a propylene homopolymer, a propylene copolymer, and a copolymer of propylene and another monomer, And may include two or more.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은,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폴리프로필렌 용액에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 및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를 퍼옥사이드계 촉매 하에 투입하여 반응하는 단계 및a) reacting a polypropylene solution with a component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glycidyl methacrylate and epihalohydrin compounds and a (meth) acrylic acid monomer under a peroxide catalyst; and

b) 미반응물을 제거하는 단계b) removing the unreacted material

를 포함할 수 있다.. ≪ / RTI >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폴리프로필렌 용액은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용매 10 내지 2,000 중량부를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propylene solution in step a) is not limit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prepared, for example, by dissolving 10 to 2,00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in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propylene resin.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산 5 내지 200 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 0.1 내지 100 중량부 및 퍼옥사이드계 촉매 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contains 5 to 200 parts by weight of (meth) acrylic acid, And 0.1 to 100 parts by weight of a component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epihalohydrin-based compound and 0.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peroxide-based catalyst.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수지 또는 필름은 전극탭의 일 구성인 전극부와 파우치를 결합하는 접착층에 적용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or film compris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polypropylene reforming method can be applied to an adhesive layer which bonds the pouch with the electrode portion constituting one of the electrode tabs.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으로 개질된 카복실산기,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수지 또는 필름은 방습성, 밀봉성, 절연성, 내열성, 내한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결합력, 파우치 등의 비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금속 등의 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및 내전해질성 특성 또한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resin or film comprising a modified polypropylene having a functional group such as a carboxylic acid group or an epoxy group modified by the polypropylene re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properties such as moisture-proof property, sealability, insulation property, heat resistance, cold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 The bonding strength of the polypropylene itself,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non-polar substrate such as the pouch,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polar substrate such as metal, and the electrolyte resistance property.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으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수지 또는 필름은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The resin or film containing modified polypropylene by the polypropylene re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elastic modulus.

또한 이차전지의 전극부 및 파우치가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수지 또는 필름으로 결합된 본 발명의 전극탭은 상기 특성들은 물론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tab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lectrode portion and the pouch of the secondary battery are combined with the resin or the film contain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has the above-described characteristics as well as excellent durability.

이하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극탭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olypropylene reform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ectrode tab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nnecessarily Descriptions of the blurred notice function and configuration ar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 없이 불분명하게 사용된 %의 단위는 중량을 의미한다.Also, units of% used unclearly herein, unless otherwise specified, means weight.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로 지적되었던 금속을 포함하는 전극부 및 파우치 등을 결합하는 고분자 필름(접착층) 자체의 결합력이 저하되어 박리되는 문제, 상기 전극부 및 파우치 등의 각 구성을 결합하는 고분자 필름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력이 저하되어 분리되는 문제 및 전해질에 용해되어 내전해질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결합력, 파우치 등의 비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금속 등의 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및 내전해질성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극탭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in which the bonding strength of the polymer film (th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electrode part including the metal and the pouch and the like itself is deteriorated and peeled off, To solve the problems of separation and dissolution in the electrolyte and deterioration of electrolytic resistanc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propylene reforming method which is excellent in bonding force of polypropylene itself, bonding force with a non-polar substrate such as a pouch, bonding force with a polar substrate such as metal, and electrolyte resistance property.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의 개질 방법으로 제조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적용된 전극탭은 전극부, 파우치 및 상기 전극부와 상기 파우치를 결합하는 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tab to which the modified polypropylene manufactured by the modific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include an electrode portion, a pouch, and an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electrode portion and the pouch.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 및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로 개질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includes a component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glycidyl methacrylate and epihalohydrin compounds, and a modified polypropylene modified with a (meth) acrylic acid monomer .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하나 이상 또는 다수의 전극(금속을 포함하는)들이 결합된 구조체를 의미하며, 전극의 수, 형태, 구조 등은 요구 목적, 환경, 디자인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므로,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unit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electrodes (including metal) are coupled, and the number, shape, and structure of the electrodes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it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컨대 전해질이 장입되어 밀봉된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이차전지 등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 등에 주로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uch includes an electrolyte, and the electrolyte may be sealed to enclose the electrolyte. A secondary battery, and the like, and may be one generally used mainly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or the like.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전극탭은 전극리드(전극리드선)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전극부와 파우치가 결합되는 일 면 또는 일 측에 구비되거나, 파우치 안/밖으로 취출되어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 밀봉 접착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결합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electrode tab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de lead (electrode lead wire). For example, the electrode tab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r one side to which the electrode portion and the pouch are coupled, To form a bonded structure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sealingly bonded with propylene.

따라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적용된 전극부, 파우치 및 이들을 결합하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전극탭에 전극리드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경우, 구조적 안정성의 감소에 따라 접착층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변성 폴리프로필렌이 적용된 접착층일 경우, 폴리프로필렌(또는 폴리프로필렌 블렌드 수지) 자체의 결합력, 파우치 등의 비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및 금속 등의 극성 기재와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전해질성 특성도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when the electrode leads are additionally formed on the electrode tabs composed of the electrode parts, the pouches, and the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may be reduced as the structural stability is reduced. However, in the case of the adhesive layer to which the modified polypropyle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not only the bonding force of the polypropylene (or the polypropylene blend resin) itself, the bonding force with the non-polar substrate such as the pouch and the bonding force with the polar substrate such as metal are excellent, The electrolytic property also has an excellent effect.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프로필렌 중합체와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블렌드 수지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layer is not limited to atta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manufactured, for example, including a blend resin of a propylene polymer and the modified polypropylene.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프로필렌 랜덤 중합체,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가 프로필렌 랜덤 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일 경우, 파우치 등의 비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및 금속 등의 극성 기재와의 결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폴리프로필렌(또는 폴리프로필렌 블렌드 수지) 자체의 결합력(접합부 외의 접착층 자체의 결합력)이 보다 향상되어 접착층 내부로부터 파단되거나 뜯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pylene polymer is not limited to atta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ny one selected from, for example, a propylene random polymer, a propylene homopolymer, a propylene copolymer, and a copolymer of propylene and another monomer, And may include two or more. In a preferred example, when the propylene polymer is a propylene random polymer and / or a propylene homopolymer, not only is it excellent in bonding force with a non-polar base material such as a pouch and with a polar base material such as a metal, Resin) itself (bonding force of the adhesive layer itself other than the bonding portion) is further improved, so that the phenomenon of breakage or breakage from the inside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 수지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프로필렌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0.1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접착층 내부로부터 파단되거나 뜯어지는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end resin is not limited to atta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0.1 to 1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modified polypropylene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opylene polymer , And more preferably 0.2 to 30 parts by weight. When the above range is satisfied,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phenomenon of breakage or tearing from the inside of the adhesive layer.

이하 본 발명의 전극탭에 적용되는 접착층의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개질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modify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of the adhesive layer applied to the electrode tab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개질 방법은,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ified polypropylene-

a) 폴리프로필렌 용액에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 및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를 퍼옥사이드계 촉매 하에 투입하여 반응하는 단계 및a) reacting a polypropylene solution with a component comprising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glycidyl methacrylate and epihalohydrin compounds and a (meth) acrylic acid monomer under a peroxide catalyst; and

b) 미반응물을 제거하는 단계b) removing the unreacted material

를 포함할 수 있다.. ≪ / RTI >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용매를 용해하여 폴리프로필렌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a) 단계는 질소분위기 하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용매를 가열 용해하여 폴리프로필렌 용액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a) may include a step of dissolving a solvent in the polypropylene resin to prepare a polypropylene solution. As a specific example, the step a) may be a step of heating and dissolving a solvent in a polypropylene resin under a nitrogen atmosphere to prepare a polypropylene solution.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폴리프로필렌 용액은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용매 10 내지 2,000 중량부를 용해시켜 제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propylene solution in step a) is not limit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prepared, for example, by dissolving 10 to 2,00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in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propylene resin.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고밀도 폴리프로필렌(HDPP), 저밀도 폴리프로필렌(LDPP), 선상 저밀도 폴리프로필렌,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및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카복실산기 및 에폭시기 등의 관능기의 부여 확률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propylene resin is not limited to atta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ncludes an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a propylene homopolymer, a propylene copolymer, and a copolymer of propylene and another monomer can do.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propylene resin include high density polypropylene (HDPP), low density polypropylene (LDPP), linear low density polypropylene, isotactic polypropylene, and atactic polypropylene. When such a polypropylene resin is used, the probability of imparting functional groups such as a carboxylic acid group and an epoxy group can be improved, which is preferable. However, this is a preferable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용매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톨루엔, 크실렌, 시클로핵산 등을 포함하는 탄화수소계 용매, 메틸 에틸 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을 포함하는 케톤계 용매, 초산에틸, 초산부틸 등을 포함하는 에스테르계 용매, 디옥산,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을 포함하는 에테르계 용매, 펜탄, 헥산, 헵탄 등을 포함하는 지방족계 탄화수소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용매 중 톨루엔을 사용하는 것이 점도 조절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vent of step (a)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hydrocarbon solvents such as toluene, xylene, and cyclic nucleic acid,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Ester solvents such as ethyl acetate, butyl acetate and the like; ether solvents such as dioxane and ethylene glycol diethyl ether; and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pentane, hexane and heptane. Or < / RTI > Although the use of toluene in the above listed solvents is preferred in terms of viscosity control, this is a preferred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폴리프로필렌 용액에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 및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를 퍼옥사이드계 촉매 하에 투입하여 반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퍼옥사이드계 촉매 하에 폴리프로필렌 용액, (메타)아크릴산 및 상기 성분이 반응하는 과정에서 카복실산기 및 에폭시기를 가지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결합력, 비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금속 등의 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및 내전해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a) is a step in which a component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lycidyl methacrylate and epihalohydrin compounds and a component containing a (meth) acrylic acid monomer in a polypropylene solution are mixed with a peroxide Based catalyst and reacting it.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prepare a polypropylene solution, (meth) acrylic acid and a modified polypropylene having a carboxylic acid group and an epoxy group in the course of reacting the components under a peroxide-based catalyst. Therefore, the bonding force of the polypropylene itself, the bonding force with the non-polar substrate, the bonding force with the polar substrate such as metal, and the electrolyte resistance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반응 온도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7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30℃일 수 있다. 70℃ 이상의 온도에서 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폴리프로필렌에 카복실기 및 에폭시기의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ction temperature in the step a)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For example, it may be 70 to 150 ° C, preferably 80 to 130 ° C. The reaction at a temperature of 70 ° C or higher can improve the reaction of the carboxyl group and the epoxy group in the polypropylene, but this is a preferred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산 5 내지 200 중량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 0.1 내지 100 중량부 및 퍼옥사이드계 촉매 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반응을 진행하는 것이 카복실산기 및 에폭시기를 폴리프로필렌에 적절히 부여하여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결합력, 파우치 등의 비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금속 등의 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및 내전해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a)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contains 5 to 200 parts by weight of (meth) acrylic acid, And 0.1 to 100 parts by weight of a component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an epihalohydrin-based compound and 0.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peroxide-based catalyst. The reaction within the above range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appropriately applying a carboxylic acid group and an epoxy group to the polypropylen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of the polypropylene itself, the bonding force with the non-polar substrate such as the pouch, the bonding force with the polar substrate such as metal, . However, this is a preferable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 개질하기 위하여, (메타)아크릴산을 사용하였지만, 이 외에도 말레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하이믹산, 비시클로(2,2,2)옥타-5-엔-2,3-디카복실산, 4-메틸시클로헥사-4-엔-1,2 디카복실산, 1,2,3,4,5,8,9,10-옥타히드로나프탈렌-2,3-디카복실산, 비시클로(2,2,1)옥타-7-엔-2,3,5,6-테트라카복실산, 7-옥사비시클로(2,2,1)헵타-5-엔-2,3-디카복실산 등도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meth) acrylic acid is used in order to modify the modified polypropylene having mor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maleic acid, itaconic acid, citraconic acid, hyaluronic acid, bicyclo , 2) octa-5-ene-2,3-dicarboxylic acid, 4-methylcyclohexa-4-ene-1,2-dicarboxylic acid, 1,2,3,4,5,8,9,10-octahydro Naphthalene-2,3-dicarboxylic acid, bicyclo (2,2,1) octa-7-ene-2,3,5,6-tetracarboxylic acid, 7-oxabicyclo (2,2,1) -En-2,3-dicarboxylic acid and the like can also be used.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폴리프로필렌에 에폭시기를 부여하기 위하여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a), a component includ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glycidyl methacrylate and epihalohydrin-based compounds may be used to impart an epoxy group to the polypropylene.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으로 개질하기 위하여,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언급하였지만, 이 외에도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의 유도체 등도 사용할 수 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glycidyl methacrylate is mentioned in order to modify the modified polypropylene having mor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but derivatives of glycidyl methacrylate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 above.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은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에피클로로히드린, 에피브로모히드린 및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중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사용하는 것이 범용적인 측면에서 사용이 용이하며, 에폭시기 부여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pihalohydrin compound is not limited to attai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ay be any compound selected from epichlorohydrin, epibromohydrin, and? -Methyl epichlorohydrin, One or two or more. Among the epihalohydrin compounds listed above, the use of epichlorohydri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use from a general viewpoint and has an excellent epoxy group-imparting ability, but this is a preferred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퍼옥사이드계 촉매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디큐밀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및 디벤조일퍼옥사이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열된 퍼옥사이드계 촉매 중 디큐밀퍼옥사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단위 평균 분자량 기준, 카복실산기 및 에폭시기의 결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좋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oxide-based catalyst is not limited as far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Any one selected from dicumylperoxide, methylethylketoneperoxide, benzoylperoxide and dibenzoylperoxide, And may include two or more. Among the peroxide-based catalysts listed above, the use of dicumyl peroxide may improve the degree of bonding of the carboxylic acid group and the epoxy group on the basis of the unit average molecular weight, but this is merely a preferred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미반응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세정 용매를 사용하여 잔류하는 미반응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 단계에서 수득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아세톤 등의 세정 용매로 수 회 세정하여 (메타)아크릴산,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및 퍼옥사이드계 촉매 등의 미반응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세정 용매는 변성 폴리프로필렌과 반응하지 않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므로, 공지된 세정 용매를 사용해도 무방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moving the unreacted material in the step b) may include a step of removing the remaining unreacted material using a cleaning solvent. Specifically, the modified polypropylene obtained in the step a) is washed several times with a washing solvent such as acetone to obtain a solution of (meth) acrylic acid, glycidyl methacrylate, epihalohydrin compound and peroxide-based catalyst And removing the reactants. Further, the cleaning solven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react with the modified polypropylene, so that a known cleaning solvent may be used.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미반응물을 제거하는 단계는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removing the unreacted material in step b) may include a step of filtering.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정 및/또는 여과 이후, 감압건조기 등으로 건조하여 잔류하는 미반응물을 증류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이며 비 제한적인 일 예로, a) 단계에서 수득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세정 및/또는 여과한 이후, 감압건조기에서 에피할로히드린계 화합물 등의 미반응물을 증류 제거하는 단계를 예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b) may include a drying step. Specifically, it may include washing and / or filtration, followed by drying with a reduced pressure dryer or the like to distill off the remaining unreacted material. As a specific but non-limiting example, the step of washing and / or filter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obtained in the step a) may be followed by a step of distilling off unreacted materials such as epihalohydrin compounds in a vacuum dryer .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감압건조기 등을 이용한 건조 온도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50 내지 18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6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50℃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temperature using the reduced-pressure dryer or the lik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o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For example, the drying temperature is 50 to 180 ° C, preferably 60 to 160 ° C, more preferably 70 to 150 ° C Lt; / RTI > However, this is a preferable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감압건조기 등을 이용한 건조 시간은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0.5 내지 3 시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일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on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ying time using the reduced-pressure dryer or the like is not limited so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ut may be, for example, 0.5 to 3 hours. However, this is a preferable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b) 단계의 다단계 제거 방법으로 미반응물이 제거된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후에 혼련/압출을 거쳐,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이를 포함하는 블랜드 수지로 전극탭의 구성인 전극부 및 전해질 등이 봉입된 파우치들을 결합하는 고분자 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odified polypropylene in which the unreacted material has been removed by the multistage elimination method in the step b) is subjected to kneading / extruding, and then the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or the blended resin containing the electrode part and the electrolyte Can be used as a polymer film that combines pouches filled with a polymer.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의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전극탭 필름용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제조 방법은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고분자 중합체를 배합하여 혼련하는 단계 및 압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ducing a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for an electrode tap film us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ep of mixing and knead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and the polymer, and a step of extruding.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혼련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텀블러 배합기 등의 배합기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고분자 중합체(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등)를 배합하여 혼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텀블러 배합기 등의 배합기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 중합체를 배합하여 1 내지 30 분 동안 혼련하여 블랜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예시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kneading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However, the step of blend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and the high molecular weight polymer (such as the propylene polymer) with a blender such as a tumbler blender . ≪ / RTI > As a specific example, the modified polypropylene and the propylene polymer may be mixed with a blender such as a tumbler blender and kneaded for 1 to 30 minutes to prepare a blend resin.

본 발명의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압출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목적 달성에 한해서는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50 내지 70 mm 트윈압출기 등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 내지 250℃, 바람직하게는 220 내지 230℃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200 내지 400 rpm,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50 rpm의 스크류 속도로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200 내지 600 mesh,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500 mesh 필터에 통과시켜 수지를 제조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법으로 혼련 및 압출하는 경우,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및 프로필렌 중합체의 결합력이 향상되어 최종적으로 균일한 분포도를 갖는 전극탭 필름용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제조가 가능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extruding is not limited as far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For example, the extruder may be extruded at a temperature of 200 to 250 캜, preferably 220 to 230 캜, using an extruder such as a twin- It is preferable to proceed at a screw speed of 200 to 400 rpm, preferably 250 to 350 rpm, and it is preferable to pass the resin through 200 to 600 mesh, preferably 300 to 500 mesh filter. In the case of kneading and extruding in this manner, the binding strength of the modified polypropylene and the propylene polymer is improved, and finally a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for an electrode tap film having a uniform distribution degree can be produced.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수지 또는 필름은 전극탭의 구성인 금속을 포함하는 전극부와 파우치를 결합시키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부, 상기 파우치 및 이들을 결합하는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접착층으로 이루어진 전극탭은 방습성, 내열성, 내한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결합력, 파우치 등의 비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금속 등의 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및 내전해질성 특성 또한 우수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resin or film contain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produced by the polypropylene reforming method can be used for bonding the pouch with the electrode portion including the metal which is the constitution of the electrode tab. Therefore, the electrode tab made of the adhesive layer including the electrode portion, the pouch and the modified polypropylene for bonding the electrode portion, the pouch and the pouch is excellent not only in the properties such as moisture resistance, heat resistance, cold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but also the bonding strength of the polypropylene itself A bonding strength with a non-polar base material, a bonding force with a polar base material such as a metal, and an electrolyte resistance property, and thus has an excellent durability.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XAMPLE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프로필렌 공중합체(VESTOPLAST 408, 에보닉사) 1 kg을 톨루엔 9 kg에 투입하여 질소분위기 하에서 가열 용해시킨 후, 100℃에서 메타크릴산 단량체 0.4 kg, 에피클로르히드린 0.1 kg 및 디큐밀퍼옥사이드 0.01 kg을 투입하여 카복실산기 및 에폭시기를 갖는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3 회 아세톤으로 세정하여 미반응물을 제거하였다. 이어서 감압건조기로 100℃에서 1 시간 이상 충분히 감압하여 아세톤 등의 용제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외선분광광도계(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FT-IR)로 측정하였으며, 카복실산기 피크 및 에폭시기 피크가 확인됨을 알 수 있다.1 kg of a propylene copolymer (VESTOPLAST 408, Evonix) was added to 9 kg of toluene and dissolved by heating in a nitrogen atmosphere, and then 0.4 kg of methacrylic acid monomer, 0.1 kg of epichlorohydrin and 0.01 kg of dicumyl peroxide And a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having a carboxylic acid group and an epoxy group was prepared. The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was washed three times with acetone to remove unreacted materials. Subsequently, the pressure was sufficiently reduced at 100 DEG C for 1 hour or longer by a reduced pressure dryer to remove the solvent such as acetone. The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thus prepared was measured by a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photometer (FT-IR),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ak of the carboxylic acid group and the peak of the epoxy group were confirmed.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1 kg 및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VESTOPLAST 792, 에보닉사) 9 kg을 텀블러 배합기로 배합하여 10 분 동안 혼련한 후, 58 mm 트윈압출기를 이용하여 225℃에서 280 rpm의 스크류 속도로 400 mesh 필터에 통과시켜 펠렛형의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고르게 혼합된 전극탭용 블랜드 수지를 제조하였다.1 kg of the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and 9 kg of propylene homopolymer (VESTOPLAST 792, Evonix) were blended with a tumbling blender and kneaded for 10 minutes, and then kneaded using a 58 mm twin extruder at a screw speed of 280 rpm at 225 DEG C mesh filter to prepare a blend resin for electrode taps in which pellet-shaped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was uniformly mixed.

실시예 1의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0.5 kg 및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VESTOPLAST 792, 에보닉사) 9.5 kg을 텀블러 배합기로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극탭용 블랜드 수지를 제조하였다.A blend resin for electrode taps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5 kg of the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of Example 1 and 9.5 kg of propylene homopolymer (VESTOPLAST 792, Evonix) were blended with a tumbling blender.

실시예 1의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1 kg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VESTOPLAST) 888, 에보닉사) 9 kg을 텀블러 배합기로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극탭용 블랜드 수지를 제조하였다.A blend resin for electrode taps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9 kg of a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of Example 1, 1 kg of propylene copolymer (VESTOPLAST) 888, Evonix) was blended with a tumbling blender.

실시예 1의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0.5 kg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VESTOPLAST) 888, 에보닉사) 9.5 kg을 텀블러 배합기로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극탭용 블랜드 수지를 제조하였다.A blend resin for electrode taps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5 kg of the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of Example 1 and 9.5 kg of a propylene copolymer (VESTOPLAST) 888, Evonixa were blended with a tumbling blender.

실시예 1의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1 kg 및 프로필렌 랜덤 중합체(RANPELEN SFC-851, 롯데케미칼사) 9 kg을 텀블러 배합기로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극탭용 블랜드 수지를 제조하였다.A blend resin for electrode taps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 kg of the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of Example 1 and 9 kg of a propylene random polymer (RANPELEN SFC-851, Lotte Chemical Co., Ltd.) were blended with a tumbling blender.

실시예 1의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0.5 kg 및 프로필렌 랜덤 중합체(RANPELEN SFC-851, 롯데케미칼사) 9.5 kg을 텀블러 배합기로 배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극탭용 블랜드 수지를 제조하였다.A blend resin for electrode taps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0.5 kg of the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of Example 1 and 9.5 kg of a propylene random polymer (RANPELEN SFC-851, Lotte Chemical) were blended with a tumbling blender.

실시예 1의 에피클로로히드린 대신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전극탭용 블랜드 수지를 제조하였다.A blend resin for electrode taps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glycidyl methacrylate was used instead of epichlorohydrin of Example 1.

하기 표 1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 따른 전극탭용 고분자 수지의 인장강도 및 인장탄성률을 ASTM D 638: 2010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 및 상기 고분자 수지의 열접착강도를 ASTM F 88-09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Table 1 below shows the tensile strength and tensile elastic modulus of the polymeric resin for electrode taps according to Examples 1 to 6 according to the ASTM D 638: 2010 method and the thermal bonding strength of the polymeric resin according to ASTM F88-09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Figure 112015056083316-pat00001
Figure 112015056083316-pat00001

실시예 1 내지 6 모두 인장강도, 인장탄성률 및 열접착강도가 우수하여 폴리프로필렌 자체의 결합력, 파우치 등의 비극성 기재와의 결합력, 금속 등의 극성 기재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것을 직/간적접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Examples 1 to 6, both of the tensile strength, the tensile elastic modulus and the heat bonding strength were excellent, and it was confirmed directly or indirectly that the bonding strength of the polypropylene itself, the bonding force with the non-polar substrate such as the pouch, .

또한 프로필렌 랜덤 중합체를 블렌딩하여 사용한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경우가 그렇지 않은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대비, 인장강도, 인장탄성률 및 열접창강도 모두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It was also confirmed that Examples 5 and 6, which were blended with propylene random polymer, were more excellent in both tensile strength, tensile elastic modulus and heat resistance than Examples 1 to 4 which were not blended.

또한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7의 경우,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사용한 실시예 1 대비, 인장강도 및 인장 탄성률이 보다 우수하였으며, 열접착강도 또한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In addition, in Example 7 using glycidyl methacrylate,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tensile elastic modulus were superior to those of Example 1 using epichlorohydrin, and the heat bonding strength was also remarkably excellent.

또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블랜드 수지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전극부의 금속과 파우치 사이를 밀봉한 전극탭에 대한 기밀 시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그 결과, 변성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적용된 전극탭의 경우, 8 atm에서도 기밀성(밀봉성)이 유지되었으며, 블랜드 수지가 적용된 전극탭의 경우, 10 atm 이상에서도 파우치 내부의 전해질이 누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Also, the airtightness test was performed on the electrode tabs sealed between the metal of the electrode part and the pouch with the blend resin prepared in Example 1 and the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prepared in Example 1, respectively.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irtightness (sealability) was maintained even at 8 atm in the case of the electrode tab to which the modified polypropylene resin was applied, and the electrolyte inside the pouch did not leak even in the case of the electrode tab to which the blended resin was applied, .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Claims (9)

금속 전극부;
파우치; 및
상기 금속 전극부와 상기 파우치를 직접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접착층은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와, 상기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변성 폴리프로필렌 0.2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블랜드 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에피클로로히드린계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로 개질된 것인 전극탭.
A metal electrode portion;
pouch; And
And an adhesive layer for directly bonding the metal electrode portion and the pouch,
Wherein the adhesive layer comprises a propylene homopolymer and a blend resin comprising 0.2 to 30 parts by weight of a modified polypropylen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opylene homopolymer,
Wherein the modified polypropylene is modified with an epichlorohydrin compound and a (meth) acrylic acid monom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금속 전극부와 파우치를 직접 접착시키는 전극탭 봉입용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
폴리프로필렌 용액에 에피클로로히드린계 화합물 및 (메타)아크릴산 단량체를 퍼옥사이드계 촉매 하에 투입 및 반응시켜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과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를 혼련하여 블랜드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블렌드 수지는 상기 프로필렌 동종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 0.2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전극탭 봉입용 수지의 제조 방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sin for sealing an electrode tab in which a metal electrode portion and a pouch are directly bonded,
Adding a epichlorohydrin compound and a (meth) acrylic acid monomer to a polypropylene solution under a peroxide catalyst to produce a modified polypropylene; and
And kneading the modified polypropylene and the propylene homopolymer to prepare a blend resin,
Wherein the blend resin comprises 0.2 to 30 parts by weight of the modified polypropylen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ropylene homopolym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용액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용매 10 내지 2,000 중량부를 용해시켜 제조되는 전극탭 봉입용 수지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lypropylene solution is prepared by dissolving 10 to 2,00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in 100 parts by weight of a polypropylene resi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타)아크릴산 5 내지 200 중량부, 에피클로로히드린계 화합물 0.1 내지 100 중량부 및 퍼옥사이드계 촉매 0.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전극탭 봉입용 수지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dified polypropylene comprises 5 to 200 parts by weight of (meth) acrylic acid, 0.1 to 100 parts by weight of an epichlorohydrin compound, and 0.01 to 10 parts by weight of a peroxide-based catalys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propylene resin. A method for producing an encapsulating res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클로로히드린계 화합물은 에피클로로히드린 및 β-메틸에피클로로히드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전극탭 봉입용 수지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epichlorohydrin-based compound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epichlorohydrin and? -Methyl epichlorohydrin.
삭제delete
KR1020150082068A 2015-06-10 2015-06-10 Process for reforming polypropylene and electrode tab thereof KR1018062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068A KR101806230B1 (en) 2015-06-10 2015-06-10 Process for reforming polypropylene and electrode tab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068A KR101806230B1 (en) 2015-06-10 2015-06-10 Process for reforming polypropylene and electrode tab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22A KR20160145422A (en) 2016-12-20
KR101806230B1 true KR101806230B1 (en) 2017-12-08

Family

ID=57734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068A KR101806230B1 (en) 2015-06-10 2015-06-10 Process for reforming polypropylene and electrode tab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23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04552B (en) * 2018-01-09 2023-06-11 日商東亞合成股份有限公司 Adhesive composition, and material for battery,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thermal fusible member, and packging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each using adhesive composi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1268A (en) * 2011-10-26 2013-05-16 Kaneka Corp Adhesive laminate for insert-mold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53525B1 (en) 2009-12-03 2013-01-25 Arkema France USEFUL COMPOSITION AS A CROSSLINKING MIXTURE COMPRISING A FUNCTIONAL POLYOLEFIN
KR101340242B1 (en) 2012-01-27 2013-12-10 삼성토탈 주식회사 Method for preparation of modified polyolefin res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91268A (en) * 2011-10-26 2013-05-16 Kaneka Corp Adhesive laminate for insert-mol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422A (en)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304B1 (en) Adhesive composition, laminated structure, package material for electrical storage device, container for electrical storage device and electrical storage device
KR101899265B1 (en) Polyolefin-based adhesive composition
JP6155652B2 (en)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JP7287276B2 (en)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
CN103059375B (en) Lithium-ion battery diaphragm master batch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5053334B2 (en) Carbon fiber reinforced 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and molded article thereof
CN114032053B (en) Lithium battery aluminum plastic film inner layer adhesiv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4271670A (en) Polyalkylene carbonate and polyolefine-based structure
JPWO2001075904A1 (en) Electric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and electric wire or cable coated with the same
KR101806230B1 (en) Process for reforming polypropylene and electrode tab thereof
TWI813648B (en) Polyolefin adhesive composition
Lee et al. In situ crosslinkable acrylic random copolymer binders for silicon anodes in lithium‐ion batteries
CN109679577A (en) A kind of graft type polyethylene copolymer Epoxy resin hot melt adhesiv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H01311145A (en) Crosslinked polymer composition, its production and obtained molded product
EP0450982B1 (en) Method of producing modified polyolefin
CN1693329A (en) Process for preparing functional polyolefins resin mixed with rare earth compound
KR102236412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N115819678A (en) Preparation method of lithium battery aluminum plastic film inner layer adhesive
JP5486165B2 (en) Surface hydrophilic polyolefin molded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134593B2 (en) Carbon fiber reinforced propylene-based composite material and molded article thereof
KR101458178B1 (en) Method for preparing long fiber composites
JP4596784B2 (en) Reactive polymer-supported porous film for battery separator and its use
JP2018024765A (en) Fiber-reinforced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JP5647468B2 (en) Multilayer film of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film having thermal adhesiveness to different materials and different material films
CN112048262A (en) Design method of curing system of lithium battery aluminum plastic film adhes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