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5502B1 -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502B1
KR101805502B1 KR1020160104154A KR20160104154A KR101805502B1 KR 101805502 B1 KR101805502 B1 KR 101805502B1 KR 1020160104154 A KR1020160104154 A KR 1020160104154A KR 20160104154 A KR20160104154 A KR 20160104154A KR 101805502 B1 KR101805502 B1 KR 10180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gas
amount
power ratio
eng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영
노중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5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3/04Driving of auxiliaries from power plant other than propulsion power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4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combustion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 연료가스로 운행되는 엔진의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여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한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이 장착된 선박의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IAS가 상기 선박의 운행기간에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수집하는 연료량 수집단계; 상기 IAS가 상기 연료를 공급받은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량을 수집하는 전력량 수집단계; 상기 IAS가 상기 연료량 수집단계 및 상기 전력량 수집단계에 의해 수집된 연료량 및 전력량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연료가스로 운행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는 전력비율 계산단계; 및 상기 IAS가 상기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 방법{SYSTEM FOR MANAGING POWER RATIO OF SHIP AND METHOD FOR MANAGING FUEL GAS POWER RATIO}
본 발명은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 연료가스로 운행되는 엔진의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여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한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대량의 광물이나 원유, 천연가스, 또는 몇천 개 이상의 컨테이너 등을 싣고 대양을 항해하는 운송수단으로서, 강철로 이루어져 있고 부력에 의해 수선면에 부유한 상태에서 프로펠러의 회전을 통해 발생되는 추력을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선박은 엔진을 가동함으로써 추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때 엔진은 가솔린 또는 디젤을 사용하여 피스톤을 움직여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크랭크 축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크랭크 축에 연결된 샤프트가 회전되어 프로펠러가 가동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이하 LNG라 칭함)를 운반하는 LNG 운반선에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을 가동하는 LNG 연료공급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엔진의 연료로 LNG를 사용하는 방식은 LNG 운반선 외의 다른 선박에도 적용되고 있다.
특히, EPS 및 MEGI 엔진을 탑재한 LNG 운반선의 경우 운항 중 연료가스와 연료오일을 사용하여 추진 시스템을 구동할 수 있다.
연료가스의 경우는 LNG 카고 탱크내에서 자연 기화되는 증발가스를 연료 가스로 사용하기 때문에 연료 오일을 이용하는 것보다 운행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선주들은 LNG 운반선의 운행기간에 얼마만큼의 운행비 절감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확인하고 싶은 요구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41134호(2016.04.18) "엔진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공급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 연료가스로 운행되는 엔진의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여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한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이 장착된 선박의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IAS가 상기 선박의 운행기간에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수집하는 연료량 수집단계; 상기 IAS가 상기 연료를 공급받은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량을 수집하는 전력량 수집단계; 상기 IAS가 상기 연료량 수집단계 및 상기 전력량 수집단계에 의해 수집된 연료량 및 전력량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연료가스로 운행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는 전력비율 계산단계; 및 상기 IAS가 상기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IAS가 상기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상기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연료가스 목표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IAS가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 의해 결정된 연료가스 목표치를 초과하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발전엔진에 공급되도록 연료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사이의 연료가스 공급라인에 설치된 연료가스용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가스 목표치는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 연료가스모드로 운용되는 엔진에 의해 소모되는 연료가스량과,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의해 소모되는 연료량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IAS가 상기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상기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 정지시킬 적어도 하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IAS가 상기 선택받은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구동정지신호를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가스 전력비율은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 연료가스모드로 운용되는 엔진에 의해 생산된 전력량과,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의해 생산된 총전력량을 이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이 장착된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으로서, 연료가스를 저장하는 연료가스 저장탱크; 연료오일을 저장하는 연료오일 저장탱크; 상기 연료가스 저장탱크 및 연료오일 저장탱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 상기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연료량을 수집하고, 상기 연료량을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으로부터 생산된 전력량을 수집하는 IAS를 포함하되, 상기 IAS는 상기 수집된 연료량 및 전력량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연료가스로 운행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IAS는 상기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상기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연료가스 목표치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 정지시킬 적어도 하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발전엔진에 공급되도록 연료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사이의 연료가스 공급라인에 설치된 연료가스용 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IAS는 상기 연료가스 목표치를 초과하도록 상기 연료가스용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지시킬 적어도 하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은 연료오일로 운용되는 엔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 연료가스로 운행되는 엔진의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여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연료오일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선박의 운행비율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및
도 3은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나타낸 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은 LNG 등의 화물을 저장하는 연료가스 저장탱크(10), 연료오일을 저장하는 연료오일 저장탱크(20), 연료가스 저장탱크(10), 연료오일 저장탱크(20), 또는 연료가스 저장탱크(10) 및 연료오일 저장탱크(2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과,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에 의해 생산된 전력량 중에서 연료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받은 연료가스에 의해 생산된 전력량을 이용하여 연료가스로 운행되는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미리 설정된 연료가스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IAS(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IAS(40)는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미리 설정된 연료가스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별 연료가스의 목표치를 결정하거나 또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 중에서 정지시킬 엔진, 즉 연료오일모드로 운용되는 엔진을 선택받을 수 있다.
연료가스 저장탱크(10)와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 사이의 연료가스 공급라인(FGL)에는 연료가스 저장탱크(10)로부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량을 측정하기 위한 연료가스 유량계(M11, M21,.., M61)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연료오일 저장탱크(20)와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 사이의 연료오일 공급라인(FOL)에는 연료오일 저장탱크(20)로부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에 공급되는 연료오일을 측정하기 위한 연료오일 유량계(M12, M22,.., M62)가 설치된다.
연료가스 공급라인(FGL)에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에 공급되는 연료가스량을 조절하기 위한 연료가스용 밸브(B11, B21,.., B61)이 설치되고, 연료오일 공급라인(FOL)에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에 공급되는 연료오일을 조절하기 위한 연료오일용 밸브(B12, B22,.., B62)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6대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이 구비된 선박을 예를 들고 있으나, 이중연료 발전엔진의 대수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2대 이상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이 구비된 선박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은 연료가스 저장탱크(10) 및 연료오일 저장탱크(20)의 연료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전기를 발생시키는 제 1 내지 제 6 발전기(312, 322,.., 362)와, 제 1 내지 제 6 발전기(312, 322,.., 362)와 체결되어 제 1 내지 제 6 발전기(312, 322,.., 362)를 구동시키는 제 1 내지 제 6 이중연료(DF: Duel Fuel) 엔진(311, 321,.., 361)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6 DF 엔진(311, 321,.., 361)은 4행정 발전엔진일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DF 엔진(311, 321,.., 361)은 연료가스 저장탱크(10), 연료오일 저장탱크(20), 또는 연료가스 저장탱크(10) 및 연료오일 저장탱크(2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다. 연료가스 저장탱크(10)에서 공급되는 연료가스는 연료가스 저장탱크(10)에서 자연 기화된 증발가스(BOG)이고, 연료오일 저장탱크(20)에 저장된 연료는 예를 들어, MDO(마린디젤오일) 또는 HFO(중유)일 수 있다.
제 1 내지 제 6 DF 엔진(311, 321,.., 361)은 각각 미도시된 스위치보드를 구비한다. 스위치 보드는 복수의 부하와 연결되어 있고, 복수의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량을 분배한다. 이러한 스위치 보드는 해당 발전기에 의해 생산되어 공급된 전력량을 복수의 부하에 분배시킨다.
제 1 내지 제 6 DF 엔진(311, 321,.., 361)에 의해 구동되어 제 1 내지 제 6 발전기(312, 322,.., 362)에서 생산된 전력량은 스위치 보드 또는 PMS를 통해 IAS(40)에 전송한다.
IAS(40)는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31, 32,.., 36)의 제 1 내지 제 6 발전기(312, 322,.., 362)로부터 생산된 전력량이 수집된다.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31, 32,.., 36)별로 수집된 전력량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IAS(40)는 선박의 운행기간에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31, 32,.., 36)에 의해 생산된 총전력량과 연료가스를 사용하여 생산된 전력량을 이용하여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한다. 도 3에서는 연료오일을 사용하지 않고 연료가스를 최대로 사용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지만, 조작자의 요청에 따라 연료오일이 공급되어야 하는 상황이거나, 첫 항차 등의 안전 조건에 따라 어쩔수 없이 연료오일이 사용되는 상황에서 연료오일을 사용하여 생산된 전력량이 수집될 수 있다.
연료가스 전력비율(FGPR: Fuel Gas Power Ratio)은 아래의 수학식 1을 통하여 계산된다.
Figure 112016079623817-pat00001
여기서, PFL은 선박 내 전기를 생산하고 있는 엔진 중 연료가스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전력량이고, PFO는 선박 내 전기를 생산하고 있는 엔진 중 연료오일을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한 총전력량이다.
특히, IAS(40)는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력비율보다 낮음 경우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연료가스 목표치를 결정하여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31, 32,.., 36)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거나, 또는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31, 32,.., 36) 중에서 연료오일로 동작되는 임의의 DF 발전엔진을 선택받아 해당 임의의 DF 발전 엔진에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신호를 인가한다.
IAS(40)는 결정된 연료가스 목표치를 초과하도록 연료가스 저장탱크(10)와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31, 32,.., 36) 사이의 연료가스 공급라인(FGL)에 설치된 연료가스용 밸브(B11, B21.., B61)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때, IAS(40)는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31, 32,.., 36)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증가로 인하여 연료가스 저장탱크(10)의 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아지면 연료가스의 공급을 중단하고 연료오일 저장탱크(20)에서 연료오일로 공급되도록 전환시킨다.
IAS(40)는 연료가스 저장탱크(10)에 설치된 압력센서를 통해 연료가스 저장탱크(10)의 압력을 수신하여 모니터링하여 연료가스 저장탱크(10)의 압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연료가스를 연료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연료가스 공급라인(FGL)에 설치된 연료가스용 밸브(B11, B21.., B61)의 개도를 제어한다.
연료가스 목표치는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31, 32,.., 36) 중 연료가스모드로 운용되는 엔진의 연료가스량과,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31, 32,.., 36)에 공급되는 연료량(즉, 연료오일량과 연료가스량의 합)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연료가스량과 연료오일량은 연료가스 저장탱크(10) 및 연료오일 저장탱크(20)와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31, 32,.., 36)사이의 연료가스 공급라인(FGL) 및 연료오일 공급라인(FOL)에 설치된 유량계(M11, M12, M21, M22,.., M61, M62)를 통해 측정된 값이다.
연료가스 공급라인(FGL) 및 연료오일 공급라인(FOL)에 설치된 유량계(M11, M12, M21, M22,.., M61, M62)에 의해 측정된 유량값은 IAS(40)에서 수신하여 운행기간동안 누적한다.
즉, IAS(40)는 연료가스 공급라인(FGL) 및 연료오일 공급라인(FOL)에 설치된 유량계(M11, M12, M21, M22,.., M61, M62)로부터 수집된 유량을 이용하여 연료가스 목표치를 계산할 수 있다.
도 3에서 FGFC는 해당 이중연료 엔진에 공급된 연료가스의 유량값으로, 운행기간동안 누적된 DF 엔진별 연료가스 유량값을 의미한다. FOC는 해당 이중연료 엔진에 공급된 연료오일의 유량값으로, 운행기간동안 누적된 DF 엔진별 연료오일 유량값을 의미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행기간 중에 상술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통해 선박에 장착된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로 생산된 전력량 중에서 얼마만큼의 연료가스를 소모하여 생산된 전력량을 사용하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연료가스 저장탱크(10)에서 연료가스모드로 운용되는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늘리거나 또는 연료오일로 운용되는 엔진을 정지시켜 연료가스전력비율이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료가스 전력비율의 모니터링을 통해 연료가스의 동작비율 관리로 실시간 운행비율을 절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IAS(40)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에 공급되는 연료량, 즉 연료가스량과 연료오일량을 수집한다(S11). 즉 IAS(40)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과 연료가스 저장탱크(10)사이의 연료가스공급라인(FGL)에 설치된 연료가스 유량계(M11, M21,.., M61)로부터 측정된 연료가스량을 각각 수집하고,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과 연료오일 저장탱크(20)사이의 연료오일 공급라인(FOL)에 설치된 연료오일 유량계(M12, M22,.., M62)로부터 측정된 연료오일량을 각각 수집한다.
또한, IAS(40)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에 의해 생산된 전력량을 수집한다(S13).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에 각각 포함된 이중연료 엔진에 각각 체결되는 발전기에 의해 생산된 전력량을 IAS(40)에서 수신한다.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에 의해 발전된 전력량을 공급받은 스위치보드는 전력량을 IAS(40)에 전송하고, 전력량을 스위치 보드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부하에 분배되도록 하다.
상술된 S11 단계 및 S13 단계는 후술하는 S15 단계 이전에 수행되어 연료량 및 전력량을 각각 수집하면 구현가능하다.
IAS(40)는 수집된 전력량을 상술된 수학식 1에 반영하여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한다(S15).
이후, IAS(40)는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별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한다(S17). 이때,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 중에서 연료가스로 운용되는 엔진에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중에서 연료오일로 운용되는 엔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으로도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IAS(40)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별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해당 이중연료 발전엔진과 연결된 연료가스 공급라인(FGL)에 설치된 연료가스용 밸브(B11, B21,..,B61)의 개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31, 32,.., 36) 중에서 연료오일로 운용되는 엔진을 선택하여 구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연료가스용 밸브(B11, B21,..,B61)의 개도를 제어할 때는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연료가스 목표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연료가스 목표치를 초과하도록 연료가스용 밸브(B11, B21,..,B61)의 개도값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10 : 연료가스 저장탱크 20 : 연료오일 저장탱크
31, 32,.., 36 : 제 1 내지 제 6 DF 발전엔진 40 : IAS

Claims (9)

  1.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이 장착된 선박의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IAS가 상기 선박의 운행기간에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수집하는 연료량 수집단계;
    상기 IAS가 연료가스 저장탱크 및 연료오일 저장탱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은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의해 생산되는 전력량을 수집하는 전력량 수집단계;
    상기 IAS가 상기 연료량 수집단계 및 상기 전력량 수집단계에 의해 수집된 연료량 및 전력량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연료가스로 운행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는 전력비율 계산단계; 및
    상기 IAS가 상기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력비율 계산단계는 상기 선박의 운행기간에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의해 생산된 총전력량과 연료가스를 사용하여 생산된 전력량을 이용하여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되,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과 상기 연료가스 저장탱크 사이의 연료가스 공급라인에 설치된 연료가스용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에서 연료오일로 동작되는 엔진을 선택받아 선택받은 이중연료 발전엔진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정지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IAS가 상기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상기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연료가스 목표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IAS가 상기 결정하는 단계에 의해 결정된 연료가스 목표치를 초과하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발전엔진에 공급되도록 상기 연료가스용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료가스 목표치는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 연료가스모드로 운용되는 엔진에 의해 소모되는 연료가스량과,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의해 소모되는 연료량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방법.
  4. 삭제
  5. 삭제
  6.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이 장착된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으로서,
    연료가스를 저장하는 연료가스 저장탱크;
    연료오일을 저장하는 연료오일 저장탱크;
    상기 연료가스 저장탱크 및 연료오일 저장탱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탱크로부터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공급되는 연료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및
    상기 유량계를 통해 측정된 연료량을 수집하고, 상기 연료량을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으로부터 생산된 전력량을 수집하는 IAS를 포함하되,
    상기 IAS는 상기 수집된 연료량 및 전력량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연료가스로 운행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고,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미리 설정된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조절하고,
    상기 IAS는 상기 선박의 운행기간에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에 의해 생산된 총전력량과 연료가스를 사용하여 생산된 전력량을 이용하여 연료가스 전력비율을 계산하고,
    상기 IAS는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로 공급되는 연료가스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되,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과 상기 연료가스 저장탱크 사이의 연료가스 공급라인에 설치된 연료가스용 밸브의 개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 중에서 연료오일로 동작되는 엔진을 선택받아 선택받은 이중연료 발전엔진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구동정지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IAS는 상기 계산된 연료가스 전력비율이 상기 최대전력비율에 맞춰지도록 상기 복수의 이중연료 발전엔진별 연료가스 목표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IAS는 상기 연료가스 목표치를 초과하도록 상기 연료가스용 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9. 삭제
KR1020160104154A 2016-08-17 2016-08-17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 방법 KR10180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54A KR101805502B1 (ko) 2016-08-17 2016-08-17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154A KR101805502B1 (ko) 2016-08-17 2016-08-17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502B1 true KR101805502B1 (ko) 2017-12-07

Family

ID=6092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154A KR101805502B1 (ko) 2016-08-17 2016-08-17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50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2326B1 (ko) 선박
US912848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energy consumption in a marine vessel
KR101599401B1 (ko) 선박용 엔진 운전 방법
US9896982B1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total emissions produced by a multi-engine power system
US10767573B2 (en) Liquefied gas fuel feeding system and a method of operating a power plan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powered with liquefied gas
KR20070085670A (ko) 선박용 디젤기관의 연료분사 제어방법 및 그 장치
RU2634647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топлива в двигатель судна
US20150274275A1 (en) Dynamic load-sharing power system
KR101884823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시스템
KR101712474B1 (ko) 전기 추진 선박용 제어 장치
US10323581B2 (en) Gaseous fuel pumping system
KR102275649B1 (ko) 판정 장치 및 판정 방법
CN104350322A (zh) 用于供给气体的设备
KR101805499B1 (ko) 선박용 엔진 운전 방법
KR101805502B1 (ko) 선박의 전력비율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연료가스 전력비율 관리 방법
WO2017014052A1 (ja) 船舶用の燃料ガス供給システム
KR101775042B1 (ko) Df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JP6151207B2 (ja) 液化ガス運搬船の再液化装置
RU2686651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дачей топлива к судовому двигателю
WO2017078155A1 (ja) 船舶
KR102333071B1 (ko) 공기윤활시스템을 갖는 선박의 전력공급시스템
KR20230140738A (ko) 전력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선박
JP6502574B1 (ja) 液圧装置
KR102651093B1 (ko) 축발전기가 구비되는 선박의 스마트 운영 방법
KR20180018138A (ko) 선박의 하이브리드 발전 및 추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