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854B1 -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854B1
KR101804854B1 KR1020160173295A KR20160173295A KR101804854B1 KR 101804854 B1 KR101804854 B1 KR 101804854B1 KR 1020160173295 A KR1020160173295 A KR 1020160173295A KR 20160173295 A KR20160173295 A KR 20160173295A KR 101804854 B1 KR101804854 B1 KR 1018048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main body
rod
fixing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익희
Original Assignee
강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익희 filed Critical 강익희
Priority to KR102016017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8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9/00Tunnels or galleries, with or without lining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reof; Layout of tunnels or galleries
    • E21D9/001Improving soil or rock, e.g. by freezing; Inj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21D20/02Setting anchoring-bolts with provisions for grou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Abstract

차량(200)과 연결되는 가이드부(110)와, 상기 가이드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지지부(120)와, 상기 이동지지부(120)가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지지부(120)와 연결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지지부(120)에 구비된 헤드부(150)와, 상기 헤드부(150)에 상기 가이드부(110)와 평행하도록 구비되며 강관의 내부를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로드(141)와, 상기 로드(141)에 관통되어 상기 이동지지부(120)에 구비되는 로터리조인트(143)와, 상기 로드(141) 단부와 연결되며 비트가 구비된 천공부(160)와, 내부에 강관(10)이 관통되며 상기 가이드부(110)에 구비되는 고정부(170)와, 강관(10)의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지지부(120)에 구비되는 완충부로 이루어지며; 강관 삽입 시 강관의 위치를 고정하며 강관을 잡아주어 직진성이 향상되고, 강관과 강관의 나사 체결된 부분이 조여지도록 로드와 강관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강관의 연결부분이 견고해지며, 슬러지 배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강관을 회전시켜 강관과 강관이 나사 체결되도록 하여 인명 사고가 예방되고 시간이 절약되어 작업이 용이한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장치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Puncing machine for multistage method of straight punching steel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관 삽입 시 강관의 직진성 향상 및 시공 능률 향상과 인명 사고가 방지되는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형태로 지하 또는 사면을 굴착할 때 지질조건이 열악하거나 불안정한 토양구간에서 지반의 강화와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터널굴착에 앞서 굴착부위 주위의 지반에 응력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강관을 아치(arch) 형태 또는 서까래 형태로 배열 삽입되게 한 후 그 강관과 강관의 전부분에 골고루 형성된 역류방지밸브를 통해 지층으로 그라우트재를 침투되게 함으로써, 굴착지반의 토양을 예비석화하여 막장 전 지반의 안정화를 이룰 수 있게 한 이른바 강관 보강형 다단 그라우팅공법, 파이프 루프(pipe roop)공법 또는 보호우산망공법(RPUM : Reinforced Protective Umbrella Method) 등의 보조공법이 국내 특허등록 제166423호, 제182613호 및 제392931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보조공법에 따르면 터널을 시공하기 위한 막장면에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천공작업과 더불어 적당 구경의 강관을 배열 설치한 후 그 강관을 통해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지반을 고결시킴에 따라, 강관과 지반을 일체로 만들고 강관 및 주변지반에 의해 형성된 빔(beam)의 작용으로 터널에 가해질 수 있는 상재하중이나 토압 등을 분산 또는 경감시키게 되며, 주입재로서 물유리와 시멘트 등 사용할 경우에는 차수효과 및 보강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강관 보강형 다단 그라우팅공법, 파이프 루프공법 또는 보호우산망공법등(이하, "파이프 루프공법"이라 통칭함)은 지반의 이완영역을 경감시킴과 아울러 토질 및 암반의 전단강도를 증대시킴으로써 시공성과 경제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공법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각종 토목공사의 보조수단으로서 널리 채택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는 강관(10), 케이싱슈(20), 천공 장치의 드리프터(미도시)에 직접 연결된 로드(30), 및 로드(30)와 분리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비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강관(10)은 통상 보강 및 차수를 위한 강관 그라우팅 공법에서 적용되는 구조용 강관으로 다수개의 강관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에 나사부가 가공되어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그라우트재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다수 개 형성되며 주입구에는 주입재의 역류 방지를 위한 역류 방지 밸브로서 제공되는 스트레이너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슈(20)는 상기 강관(10) 전단부에 직접 고정 연결(예컨대, 용접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의 방법으로)되는 것으로, 케이싱슈(20)의 내경에는 내측으로 걸림돌기(21)가 돌출되어 로드(30)의 단면확대부(31)가 걸리게 되는 구조를 가지는 바, 로드(30)가 회전하면서 전진 진행하면서 이와 나사식으로 결합된 비트(40)로써 지반을 회전과 동시에 충격식으로 천공하는데, 이때 로드(30)의 단면확대부(31)는 케이싱슈(20)를 전방으로 타격하며 밀게 되어서, 로드(30)의 진행에 따라 케이싱슈(20)와 직접적으로 고정 연결된 강관(10) 또한 함께 전방으로 진행하게 됨으로써 강관(10)이 천공과 동시에 천공홀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천공 및 강관삽입이 완료되면 로드(30)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비트(40)의 후단부 몸체(41)로부터 로드 전단의 비트 결합부(32)의 나사 결합을 해제시킴으로써 로드(30)를 분리하여 천공 홀 외부로 반출하고서, 이후 그라우팅 작업을 진행하는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는 천공 시 회전과 진동으로 인하여 강관(10)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하기 어렵고, 강관 삽입 시 회전 및 진동으로 인하여 강관(10)의 직진성이 떨어지며, 강관(10)과 강관(10)의 연결부분이 헐거워져 강관(10)의 연결부위가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로드(30)는 장치를 이용하여 연결되지만 강관(10)은 로드(30)와 서로 반대방향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인력으로 직접 연결해야 하므로 인명사고의 발생률이 높아지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공 시 강관(10)의 나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도포되는 그리스(윤활유)에 슬러지가 부착되어 강관 연결할 때 슬러지를 제거해야되므로 인력과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67537(2005.01.1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강관 삽입 시 강관의 위치를 고정하고 로드와 강관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강관의 직진성이 향상되며, 천공 시 슬러지 배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강관과 강관의 나사 체결된 부분이 조여지도록 로드와 강관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강관과 강관의 결합이 견고해지는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장치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강관을 회전시켜 강관과 강관이 나사 체결되도록 하여 인명 사고가 예방되고 시간이 절약되어 작업이 용이한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장치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는 차량과 연결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지지부와, 상기 이동지지부가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지지부와 연결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지지부에 구비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상기 가이드부와 평행하도록 구비되며 강관의 내부를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로드와, 상기 로드에 관통되어 상기 이동지지부에 구비되는 로터리조인트와, 상기 로드 단부와 연결되며 비트가 구비된 천공부와, 내부에 강관이 관통되며 상기 가이드부에 구비되는 고정부와, 강관의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지지부에 구비되는 완충부가 포함된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고정부는 힌지핀에 의하여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호형의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와 마주하며 힌지핀에 의하여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호형의 제2고정부재와, 실린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부재에는 힌지핀이 구비된 반대측 단부에 외향 돌출된 제1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에는 힌지핀이 구비된 반대측 단부에 외향 돌출되며 제1돌출부와 마주보도록 제2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고정부재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단부가 오버랩되며;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는 제1돌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실린더 로드의 단부는 제2돌출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는 치합하며; 단부가 상기 제1고정부재와 제2고정부재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조절나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절나사의 내측 단부에는 베어링이 구비되어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의 회전축은 강관의 접선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완충부는 상기 로터리조인트 전방에 구비되는 중공의 본체와, 상기 로터리조인트 반대측으로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의 결합부재와, 상기 본체에 나사체결되며 단부가 본체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나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 외면에는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의 내측 단부가 홈부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부재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강관의 단부와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완충부는 상기 로터리조인트 전방에 구비되는 중공의 이동부재와, 상기 로터리조인트 반대측으로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중공의 본체와, 상기 로터리조인트와 본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부재 외측에 구비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로터리조인트 반대측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구비된 본체걸림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상기 로터리조인트 측 단부에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 구비된 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본체에 삽입되며 상기 본체걸림부의 외경은 상기 돌출부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강관의 단부와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에 의한 천공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드가 내장되도록 강관을 고정부로 관통하며 완충부와 나사 체결되는 강관장착단계와; 상기 고정부와 강관이 접하도록 상기 고정부를 구동시키는 강관고정단계와; 상기 천공부를 통해 천공되며, 천공된 구멍으로 강관이 삽입되는 천공 및 삽입단계와; 상기 완충부와 강관의 연결부분과 로드의 나사 체결을 풀어 삽입된 강관과 로드를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로부터 분리하는 강관분리단계와; 새로운 강관이 천공된 구멍에 삽입된 강관과 연결되는 연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은 직진성이 향상되고, 강관과 강관의 연결부분이 견고해지며, 슬러지 배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강관과 강관을 연결하므로 인력으로 연결할 때 발생되는 낙상이나 부상 등의 재해가 방지되며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과 연결된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강관이 삽입된 천공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완충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내용에 대한 기재는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강관이 삽입된 천공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완충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에서, 도 7의 세로를 "반경방향"으로 하고, 도 7의 가로를 "길이방향"으로 하여 기재한다. 또한, 도 7의 가로 우측을 "전방"으로 하고, 도 7의 가로 좌측을 "후방"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100)는 가이드부(110)와, 이동지지부(120)와, 이동수단과, 로드(141)와, 로터리조인트(143)와, 주입관(147)과, 헤드부(150)와, 천공부(160)와, 고정부(170)와, 완충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차량(200)과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스틸의 장방형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110)의 단면은 H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상기 이동지지부(120)가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110) 일측 단부에는 가이드부(110)가 흔들리지 않도록 지반에 고정되는 지지대(111)가 구비된다.
상기 차량(200)은 천공기 또는 굴삭기 등에 사용되는 차량이다. 상기 차량(200)으로 인하여 강관(10) 삽입되는 위치를 조정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지지부(120)는 상기 가이드부(110)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이동지지부(120)의 양단부는 상기 가이드부(110)의 양단부를 파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동지지부(120)는 상기 가이드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이동지지부(120)는 이동수단과 연결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지지부(120)가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지지부(120)와 연결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모터(131)와, 제1스프로킷(132)과, 제2스프로킷(135)과, 체인(1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131)는 상기 가이드부(110)의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제1스프로킷(132)은 상기 모터(13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스프로킷(135)은 상기 제1스프로킷(132)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스프로킷(135)은 상기 가이드부(110) 전방 일측에 구비된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체인(133)은 페회로로 상기 제1스프로킷(132)과 제2스프포킷(135)이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체인(133)으로 인하여 상기 모터(131)의 동력이 제2스프로킷(135)으로 전달된다. 상기 체인(133)은 상기 이동지지부(120)의 일측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133)이 상기 제1스프로킷(132)과 제2스프포킷(135) 사이에서 움직일 때 상기 이동지지부(120)도 함께 이동되어, 상기 이동지지부(120)는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이동지지부(120)를 가이드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으로써 체인 연결방식이 적용되었으나, 유공압실린더, 스크류타입의 액튜에이터 등에 의해 이동지지부(1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수단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150)는 상기 이동지지부(120)에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150)는 상기 이동지지부(120) 상부에 구비되어 이동지지부(12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상기 헤드부(150)는 천공 시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헤드부(150)는 로드(141)와 천공부(160)에 진동 및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바이브레이터와 모터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헤드부(150)에 로드(141)가 연결된다.
상기 로드(141)는 중공체이며, 일단의 외경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의 내경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로드(141)의 일단과 다른 로드(141)의 타단이 나사 체결되어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드(141)는 상기 헤드부(150)에 상기 가이드부(110)와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드(141)로 인하여 상기 헤드부(150)의 동력이 상기 천공부(160)로 전달된다. 상기 로드(141)는 강관(10)이 관통되도록 로드(141)의 외경은 강관(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로터리조인트(143)는 상기 이동지지부(120)에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조인트(143)는 상기 로드(141)가 헤드부(150)에 연결되는 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조인트(143)는 강관 삽입 시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로터리조인트(143)는 강관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모터가 내장되어 있다. 천공 및 강관 삽입 시 강관(10)은 로드(14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로드(141)와 강관(1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로드(141)와 반대방향으로 체결된 강관(10)과 강관(10)의 나사 체결된 부분이 조여지게 되어 강관(10)과 강관(10)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상기 강관(10)는 중공체이며, 일단의 외경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의 내경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강관(10)의 일단과 다른 강관(10)의 타단이 나사 체결되어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강관(10)의 나사산은 로드(141)의 나사산의 체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터리조인트(143)에 주입관(147)이 구비된다. 상기 주입관(147)의 일측은 상기 로터리조인트(143)와 연결되며 타측은 배출수 주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주입관(147)에 배출수의 유입을 조절하는 밸브(1471)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관(147)을 통해 상기 로터리조인트(143)로 배출수가 유입된다. 상기 로터리조인트(143)로 유입된 배출수는 천공 시 상기 로드(141)의 내부 중공을 통해 천공이 이루어지는 천공부(160)까지 이동하여 토출된다. 토출된 배출수는 천공 시 발생한 슬러지와 함께 외부로 배출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공부(160)는 상기 로드(141)의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천공부(160)로 인하여 토양이 굴착된다. 상기 천공부(160)는 이너비트(161)와, 아웃터비트(163)와, 케이싱슈(165)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너비트(161)는 상기 로드(141)의 단부와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너비트(161)는 강관(10) 삽입 관통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너비트(161)의 외경은 강관(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이너비트(161)에 상기 로드(141)의 내부 중공과 연통되는 배수공(1611)이 전면을 통해 외부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너비트(161)는 상기 로드(141)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된다.
상기 아웃터비트(163)는 상기 이너비트(161)에 분리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아웃터비트(163)는 상기 이너비트(161)와 연결되어 있어 같이 회전되어 지반이 천공된다. 천공 후 상기 이너비트(161)는 상기 아웃터비트(163)의 결합방향 반대로 돌리면 아웃터비트(163)과 분리되어 다음 지반 천공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슈(165)는 강관(10)의 단부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용접 결합된다. 상기 케이싱슈(165)는 강관(10)의 내부로 삽입된 케이싱슈(165)의 단부는 이너비트(161)가 전진할 때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슈(165)의 내주면이 이너비트(161)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있어서 이너비트(161)가 강관(10)에 간섭되지 않고 회전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에 강관(10)이 삽입되는 과정은 상기 강관(10)의 단부에 케이싱슈(165)가 용접으로 장착되고, 강관(10)을 고정부(170)로 관통하여 이너비트(161)와 로드(141)가 내장되도록 체결한다. 상기 이너비트(161)는 케이싱슈(165)가 설치된 강관(10)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이너비트(161)에 아웃터비트(166)가 체결된다. 이후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100)를 천공 대상부에 위치시킨 후 헤드부(150)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의해 전후방향 진동 및 회전을 통해 천공된다.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70)는 상기 가이드부(110)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70)는 상기 가이드부(110) 전방측 단부에 이격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70)는 강관(10)이 삽입되어 강관(10)의 전방측 단부에 위치된다. 상기 고정부(170)는 제1고정부재(171)와, 제2고정부재(173)와, 실린더(175)와, 조절나사(171)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고정부재(171)는 상기 가이드부(110)에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71)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71)의 일단은 힌지핀으로 제2고정부재(173) 단부와 결합되고 타탄은 제1돌출부(1711)가 구비된다.
상기 제1돌출부(1711)는 상기 제1고정부재(171)의 힌지핀이 구비된 반대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1돌출부(1711)는 외향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돌출부(1711)는 상기 제1고정부재(171)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173)는 상기 가이드부(110)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173)는 상기 제1고정부재(171)와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173)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173)의 일단은 힌지핀으로 제1고정부재(171) 단부와 결합되고 타탄은 제2돌출부(1731)가 구비된다.
상기 제2돌출부(1731)는 상기 제2고정부재(173)의 힌지핀이 구비된 반대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제2돌출부(1731)는 외향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돌출부(1731)는 상기 제2고정부재(173)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돌출부(1731)는 제1돌출부(1711)와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71)와 제2고정부재(173)의 일단은 힌지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돌출부(1711)와 제2돌출부(1731)가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71)와 제2고정부재(173)의 타단은 상기 제1돌출부(1711)와 제2돌출부(1731)가 결합되며 축 방향으로 오버랩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171)와 제2고정부재(173)의 내부는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돌출부(1711)와 제2돌출부(1731)는 상기 실린더(175)로 인하여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175)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더(175)는 상기 제1돌출부(1711)와 제2돌출부(1731)를 연결되도록 실린더로드(1751)가 구비된다.
상기 실린더로드(1751)는 제1돌출부(17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실린더로드(1751)의 단부는 제2돌출부(1731)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175)는 상기 제1돌출부(1711)와 제2돌출부(1731)의 거리를 조절하여 강관을 고정시킨다.
상기 실린더(175)로 인하여 강관(10) 고정되어 천공 시 강관(10)이 일정한 각도로 주입된다. 따라서, 강관(10)의 직진성이 향상되며, 천공 시 강관(10)과 지반 사이에 틈이 형성되지 않아 안정성이 향상되며,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조절나사(177)는 상기 제1고정부재(171)와 제2고정부재(173)에 구비된다. 상기 조절나사(177)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조절나사(177)는 단부가 상기 제1고정부재(171)와 제2고정부재(173)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조절나사(177)의 내측 단부에 베어링(1771)과 브라켓(1773)이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1771)은 상기 제1고정부재(171) 및 제2고정부재(173)와 강관(10)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1771)은 상기 조절나사(177)의 내측 단부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1771)의 회전축은 강관(10)의 접선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1771) 회전축에 상기 브라켓(1773)이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1773)은 상기 제1고정부재(171) 및 제2고정부재(173)와 베어링(1771)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브라켓(1773)의 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브라켓(1773)의 양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브라켓(1773)의 양단부는 상기 베어링(1771)의 회전축의 양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1773)에 반경방향으로 관통된 홈부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에 상기 조절나사(177)가 체결된다. 상기 브라켓(1733)으로 인하여 상기 조절나사(177)는 조일수록 베어링(1771)의 축과의 반경방향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 강관(10)이 고정된다. 상기 조절나사(177)는 실린더(175)보다 미세하게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로드(141)와 동심원이 되도록 조정시킨다.
또한, 상기 강관(10)은 상기 베어링(1771)과 접하도록 구비되어 강관(10)이 주입될 때 상기 고정부(170)가 고정되어 있어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는 상기 로드(141)에 관통되어 상기 로터리조인트(143)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는 상기 이동지지부(120)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는 강관(10) 조립시, 강관(10)의 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완충부는 본체(181)와, 결합부재(183)와, 나사(185)로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된 도면부호 1811-1은 슬라임배출공을 도시한 것이다. 천공 시 발생되는 슬러지가 슬라임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본체(181)는 상기 로드(141)가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181)는 본체부(1811)와, 본체경사부(1813)와, 본체연장부(1815)와, 본체연결부(1817)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811)는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811) 내측에 상기 결합부재(183)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811)의 후방측 단부에 상기 본체경사부(1813)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경사부(1813)는 상기 본체부(1811)의 단부로부터 연장 구비된다. 상기 본체경사부(1813)는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경사부(1813)는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 구비된다. 상기 본체경사부(1813)의 후방측 단부에 상기 본체연장부(1815)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연장부(1815)는 상기 본체경사부(1813)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본체연장부(1815)는 중공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연장부(1815)의 후방측 단부에 상기 본체연결부(1817)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연결부(1817)는 상기 본체연장부(1815)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본체연결부(1817)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연결부(1817)는 상기 로터리조인트(143)와 결합된다. 상기 본체연결부(1817)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홈이 형성되어 로터리조인트(143)와 나사체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183)는 상기 본체(181)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183)는 중공체로 상기 로드(141)가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183)는 강관(10) 단부와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183)는 강관결합부(1831)와, 걸림부(1833)와, 결합경사부(1835)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관결합부(1831)는 상기 본체부(1811)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강관결합부(1831)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강관결합부(1831)는 강관(10)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어 결합된다. 상기 강관결합부(1831)는 천공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체결된다. 이로 인하여 천공 시 강관(10)의 나사산이 노출되어 나사산에 도포된 그리스(윤활유)에 슬러지가 붙게 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그리스의 오염이 방지되고 강관(10)과 강관(10)의 연결이 용이해진다.
상기 강관결합부(1831)는 외면에 홈부(1831-1)가 형성된다. 상기 홈부(1831-1)는 상기 결합부재(183) 외면에 강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홈부(1831-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부(1831-1)는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1833)는 상기 강관결합부(1831) 후방측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833)는 강관(10)의 단부와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833)가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므로 강관(10)과 상기 본체(181)의 결합이 견고해지며, 상기 걸림부(1833)와 강관(10)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 결합경사부(1835)는 상기 강관결합부(1831) 전방측 단부에 연장 구비된다. 상기 결합경사부(1835)는 상기 강관결합부(1831) 전방측 단부에 상기 본체부(1811)의 단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연장 구비된다. 상기 결합경사부(1835)는 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경사부(1835)로 인하여 강관(10)이 강관결합부(1831)에 체결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경사부(1835)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결합부재(183)가 상기 본체(181)에 걸려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나사(185)는 상기 본체부(1811)에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나사(185)는 상기 본체부(1811)에 나사 체결되며 단부가 본체부(1811)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나사(185)의 단부는 상기 홈부(1831-1)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나사(185)는 상기 홈부(1831-1)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부재(183)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홈부(1831-1) 벽부에 걸리게 되어 상기 결합부재(183)는 홈부(1831-1)의 길이방향 길이만큼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상기 결합부재(183)는 상기 나사(185)로 인하여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상기 결합부재(183)는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되어 천공 시 강관(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이 흡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완충부로 인하여 강관(10)의 진동 및 충격이 흡수되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강관(10)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강관 삽입 시 강관(10)의 직진성이 향상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며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완충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는 본체(191)와, 이동부재(193)와, 스프링(195)으로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된 도면부호 1911-1은 슬라임배출공을 도시한 것이다. 천공 시 발생되는 슬러지가 슬라임배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본체(191)는 상기 로터리조인트(143)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본체(191)는 강관(10)의 단부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191)는 본체부(1911)와 돌출부(19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부(1911)는 중공체로 상기 로드(141)가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911)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1911)는 강관(10) 단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천공 시 강관(10)의 나사산이 노출되어 나사산에 도포된 그리스(윤활유)에 슬러지가 붙게 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그리스의 오염이 방지되고 강관(10)과 강관(10)의 연결이 용이해진다.
상기 본체부(1911) 후방측 단부에 돌출부(1913)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913)는 상기 본체부(1911)의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연장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913)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재(193)는 상기 로터리조인트(143)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재(193)는 상기 본체(191)와 로터리조인트(14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재(193)는 본체이동부(1931)와, 본체걸림부(1933)와, 로터리연결부(1935)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이동부(1931)는 중공체로 상기 로드(141)가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이동부(1931)의 외경은 상기 돌출부(1913)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본체이동부(1931)는 상기 본체(191) 내측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91)는 상기 본체이동부(1931) 외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걸림부(1933)는 상기 본체이동부(1931)는 전방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본체걸림부(1933)는 상기 본체이동부(1931)의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본체걸림부(1933)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걸림부(1933)의 외경은 상기 돌출부(191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걸림부(1933)로 인하여 상기 본체(191)는 이동부재(193)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로터리연결부(1935)는 상기 본체이동부(1931)는 후방측 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연결부(1935)는 상기 본체이동부(1931)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연결부(1935)는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로터리연결부(1935)는 상기 로터리조인트(143)와 결합된다. 상기 로터리연결부(1935)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홈이 형성되어 로터리조인트(143)와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95)은 이동부재(193)에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95)의 내경은 상기 본체이동부(193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95)은 상기 본체이동부(1931)가 관통되어 본체이동부(1931) 외측에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195)의 일단은 본체(191)와 접하게 되고, 타단은 로터리연결부(1935)에 접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195)은 상기 로터리조인트(143)와 본체(191) 사이에 위치되므로 상기 본체(191)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 길이방향의 압력으로 인하여 스프링(195)은 압축된다.
따라서 천공 시 강관(1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본체(191)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스프링(195)은 압축되어 길이방향의 진동 및 충격이 흡수된다. 상기 스프링(195)으로 인하여 강관(10)의 진동 및 충격이 흡수되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강관(10)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강관 삽입 시 강관(10)의 직진성이 향상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며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제, 첨부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천공 다단 강관 장치를 이용한 천공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천공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를 이용한 천공 시공 방법은 강관장착단계와, 강관고정단계와, 천공 및 삽입단계와, 강관분리단계와, 연결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강관장착단계는 파지기구(미도시)를 통해 상기 로드(141)가 내장되도록 강관(10)이 고정부(170)로 관통하여 삽입된다. 삽입된 강관(10)의 단부는 완충부와 나사 체결되어 직천공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100)에 강관(10)이 장착된다.
상기 강관고정단계는 상기 고정부(170) 내측에 위치된 강관(10)이 고정부(170)에 접하도록 상기 고정부(170)의 실린더(175)와 조절나사(177)를 이용하여 강관(10)을 고정시킨다.
상기 천공 및 삽입단계는 강관(10)이 장착된 직천공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100)를 차량(200)을 통해 천공되는 곳에 위치한 후, 상기 헤드부(150)에 의하여 로드(141) 및 천공부(160)가 회전되어 천공된다. 천공되면서 상기 이동지지부(120)가 이동되고 강관(10)이 회전되어 천공된 구멍으로 강관(10)이 삽입된다.
천공 및 강관 삽입 시, 강관(10)은 로드(14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강관(10)과 강관(10)이 연결된 나사체결 부분이 계속 조여져 강관(10)과 강관(10)의 결합이 견고해진다.
상기 강관분리단계는 천공된 구멍으로 강관(10)의 전체가 삽입되면 강관(10)과 완충부의 연결부분과 로드(141)의 나사 체결을 푼다. 삽입된 강관(10)과 로드(141)는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10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연결단계는 새로운 로드(141)와 강관(10)이 연결장치를 통해 삽입된 강관(10)의 단부에 위치되고, 새로운 로드(141)와 삽입된 로드(141)가 연결된다. 그리고 새로운 로드(141)와 강관(10)는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100)에 연결된다.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100)와 연결된 강관(10)은 회전되어 삽입된 강관(10)과 나사 체결된다. 상기 연결단계 후 천공 및 삽입단계로 넘어가며 과정이 반복된다.
상기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100)를 이용하여 강관과 강관을 연결하므로 인력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할 필요가 없어 인력으로 연결할 때 발생되는 낙상이나 부상이 방지되며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강관 200 : 차량
100 :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110 : 가이드부 120 : 이동지지부
143 : 로터리조인트 150 : 헤드부
160 : 천공부 170 : 고정부
183 : 결합부재 185 : 나사
193 : 이동부재 195 : 스프링

Claims (6)

  1. 차량(200)과 연결되는 가이드부(110)와, 상기 가이드부(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지지부(120)와, 상기 이동지지부(120)가 길이방향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지지부(120)와 연결된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지지부(120)에 구비된 헤드부(150)와, 상기 헤드부(150)에 상기 가이드부(110)와 평행하도록 구비되며 강관의 내부를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중공의 로드(141)와, 상기 로드(141)에 관통되어 상기 이동지지부(120)에 구비되는 로터리조인트(143)와, 상기 로드(141) 단부와 연결되며 비트가 구비된 천공부(160)와, 내부에 강관(10)이 관통되며 상기 가이드부(110)에 구비되는 고정부(170)와, 강관(10)의 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이동지지부(120)에 구비되는 완충부가 포함되며;
    상기 고정부(170)는 힌지핀에 의하여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호형의 제1고정부재(171)와, 상기 제1고정부재(171)와 마주하며 힌지핀에 의하여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원호형의 제2고정부재(173)와, 실린더(17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고정부재(171)에는 힌지핀이 구비된 반대측 단부에 외향 돌출된 제1돌출부(1711)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173)에는 힌지핀이 구비된 반대측 단부에 외향 돌출되며 제1돌출부(1711)와 마주보도록 제2돌출부(17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돌출부(1711)는 상기 제1고정부재(171)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2돌출부(1731)는 상기 제2고정부재(173)의 끝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171)와 제2고정부재(173)의 단부가 오버랩되며;
    상기 실린더(175)의 실린더 로드(1751)는 제1돌출부(17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되며, 실린더 로드(1751)의 단부는 제2돌출부(1731)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171)와 제2고정부재(173)는 치합하며;
    단부가 상기 제1고정부재(171)와 제2고정부재(173)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조절나사(177)가 더 구비되며;
    상기 조절나사(177)의 내측 단부에는 베어링(1771)이 구비되어 결합되며;
    상기 베어링(1771)의 회전축은 강관(10)의 접선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로터리조인트(143) 전방에 구비되는 중공의 본체(181)와, 상기 로터리조인트(143) 반대측으로 상기 본체(181) 내부에 구비되는 중공의 결합부재(183)와, 상기 본체(181)에 나사체결되며 단부가 본체(181) 내부로 돌출되는 복수의 나사(185)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재(183) 외면에는 강관(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오목하게 홈부(1831-1)가 형성되어 상기 나사(185)의 내측 단부가 홈부(1831-1)에 위치되며;
    상기 결합부재(183)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강관(10)의 단부와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로터리조인트(143) 전방에 구비되는 중공의 이동부재(193)와, 상기 로터리조인트(143) 반대측으로 상기 이동부재(193)와 연결되어 구비되는 중공의 본체(191)와, 상기 로터리조인트(143)와 본체(19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이동부재(193) 외측에 구비되는 스프링(19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부재(193)의 상기 로터리조인트(143) 반대측 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구비된 본체걸림부(1933)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91)의 상기 로터리조인트(143) 측 단부에 반경방향 내향으로 연장 구비된 돌출부(1913)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부재(193)는 상기 본체(191)에 삽입되며 상기 본체걸림부(1933)의 외경은 상기 돌출부(191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191)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강관(10)의 단부와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6. 제1 항에 기재된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에 의한 천공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드(141)가 내장되도록 강관(10)을 고정부(170)로 관통하며 완충부와 나사 체결되는 강관장착단계와;
    상기 고정부(170)와 강관(10)이 접하도록 상기 고정부(170)를 구동시키는 강관고정단계와;
    상기 천공부(160)를 통해 천공되며, 천공된 구멍으로 강관(10)이 삽입되는 천공 및 삽입단계와;
    상기 완충부와 강관(10)의 연결부분과 로드(141)의 나사 체결을 풀어 삽입된 강관(10)과 로드(141)를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로부터 분리하는 강관분리단계와;
    새로운 강관(10)이 천공된 구멍에 삽입된 강관과 연결되는 연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시공 방법.
KR1020160173295A 2016-12-19 2016-12-19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KR101804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295A KR101804854B1 (ko) 2016-12-19 2016-12-19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295A KR101804854B1 (ko) 2016-12-19 2016-12-19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854B1 true KR101804854B1 (ko) 2018-01-10

Family

ID=6099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295A KR101804854B1 (ko) 2016-12-19 2016-12-19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8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706A (ko) 2019-02-01 2020-08-11 강익희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KR20200098956A (ko) 2019-02-13 2020-08-21 강익희 개선된 직천공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KR102241933B1 (ko) * 2020-07-30 2021-04-19 (주)강호지엔씨 천공 드릴장비의 천공각도 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706A (ko) 2019-02-01 2020-08-11 강익희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KR20200098956A (ko) 2019-02-13 2020-08-21 강익희 개선된 직천공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KR102156683B1 (ko) 2019-02-13 2020-09-16 강익희 개선된 직천공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KR102241933B1 (ko) * 2020-07-30 2021-04-19 (주)강호지엔씨 천공 드릴장비의 천공각도 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2040B1 (en) Telescopic drilling method
US20070269274A1 (en) Rock Bolt
KR101804854B1 (ko) 직천공 강관 다단 공법용 천공 장치 및 시공 방법
KR101750273B1 (ko) 터널 굴착면 보강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보강 방법
JP2007528459A (ja) ワンパス穿孔装置
KR102130535B1 (ko) 회수식 확공비트를 이용한 직천공 터널 보강 동시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직천공 터널 보강 동시 그라우팅 방법
US87703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ground anchoring systems
US9109408B2 (en) Drill members for mine roofs
KR100686697B1 (ko) 인장과 압축을 겸한 지지파일
EP3577279B1 (en) Injection tool and a method for injection
CA2188291C (en) Casing tube with casing shoe
KR100989818B1 (ko) 추진력이 강화된 직천공 보강 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직천공 터널 보강 그라우팅 방법
CN114651109A (zh) 一种用于钻进和将孔口支撑套管定位至爆破孔内的方法和设备
JP6460777B2 (ja) 補強鋼管及び拡径治具のセット並びに補強鋼管を用いた掘削補助工法
US895051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ground anchoring systems
WO2013104019A1 (en) A combination tool for installing and tensioning a cable bolt
US830270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ground anchoring systems
KR20230036610A (ko) 링비트와 강관 연결장치, 직천공 보강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JP4554987B2 (ja) 地下埋設管における接続部の耐震化工法および耐震化構造
US92909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stallation of in-ground conduit
US823514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ground anchoring systems
JP4884276B2 (ja) 回転圧入杭の施工方法および斜面施工装置
KR100882558B1 (ko) 사면보강공사용 소일네일앵커
JP4527473B2 (ja) 削岩機
KR20030088183A (ko) 록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