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794B1 - 냉장냉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냉장냉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794B1
KR101804794B1 KR1020160030836A KR20160030836A KR101804794B1 KR 101804794 B1 KR101804794 B1 KR 101804794B1 KR 1020160030836 A KR1020160030836 A KR 1020160030836A KR 20160030836 A KR20160030836 A KR 20160030836A KR 101804794 B1 KR101804794 B1 KR 101804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unit
temperature
sensor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609A (ko
Inventor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최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준 filed Critical 최원준
Priority to KR1020160030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794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3/00Stationary devices, e.g. cold-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3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more than one sensor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in a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수용부 내로 냉기를 방출하는 쿨러와, 압축기에 연결되어 압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감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감지부재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수단의 단부에 센서부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수용부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냉동 시스템{Refrigerating system}
본 발명은 냉장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냉장냉동 시스템 내에 저장된 제품의 온도가 변화된 경우에만 작동되어 무분별한 작동이 방지되는 냉장냉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냉동 시스템은 저온 저압의 기체 냉매를 압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액체로 압축하고, 실외기의 응축기를 통하여 냉매를 중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하여 팽창밸브에서 압력이 낮아짐에 따라 냉매의 부피가 증가하고 온도가 낮아진다.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는 증발이 쉽게 되도록 변하고 증발기에서 다른 매질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이 된다. 상기 증발기에서 낮아진 온도의 공기는 송풍팬을 통하여 냉동고 내부로 강제 송풍되어 내부의 온도가 조절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저온창고(1)에는 저온창고(1)의 내측에 하나 이상의 쿨러(10)와 온도감지센서(30)를 설치하고, 상기 쿨러(10)의 초기 가동시 설정온도까지 쿨러(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송풍기(20)을 통하여 강제 송풍을 수행하며,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송풍기(20)에 의한 강제 송풍을 종료한 후 자연 대류 하도록 한다.
상기 쿨러(10)는 저온창고(1)의 내측에 하나 이상 설치된다. 상기 쿨러(10)의 동작시 냉매 코일을 따라 흐르게 되는 저온의 냉매는 냉매 코일에 연결되는 냉각핀을 통하여 냉각핀 사이의 공기가 냉각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쿨러(10)가 작동되며 저온창고(1) 내측의 온도를 설정 온도로 낮춘다.
상기 송풍기(20)는 다수의 온도감지센서(30)와 연결되어 일정 온도가 될 때까지 자동으로 작동된다. 상기 온도감지센서(30)는 복수로 구비되어 저온창고(1)의 적재물의 적재 상태에 대응되도록 저온창고(1)의 내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송풍기(20)는 쿨러(10)의 초기 구동시에 동시에 구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저온창고(1)의 내측면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30)를 통하여 온도가 측정된 후 설정 온도가 될 때까지 송풍기(20)가 구동된다.
상기 쿨러(10) 및 송풍기(20)는 각각의 온도감지센서(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온창고(1) 내측에 설치된 다수의 온도감지센서(30)의 감지온도에 따라 작동된다. 즉,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송풍기(20)에 의한 강제 송풍을 종료한 후 쿨러(10) 만을 동작시켜 자연대류되도록 한다.
종래의 온도감지센서(30)는 저온창고(1)의 내측 벽에 설치됨으로써 저온창고(1)의 출입문을 여닫을 때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의해 온도감지센서(30)에 감지되는 온도가 높아져 쿨러(10)가 작동된다.
그러나 저온창고의 내측 벽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에 의해 저온창고 내에 저장된 제품상의 온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쿨러가 작동됨에 따라 쿨러 작동이 효율적이지 못하며 쿨러 작동시 필요한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2936호(2010.04.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9341호(2015.09.14)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냉장냉동 시스템 내에 저장된 제품의 온도가 변화된 경우에만 작동되는 냉장냉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어 수용부 내로 냉기를 방출하는 쿨러와, 압축기에 연결되어 압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감지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감지부재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수단의 단부에 센서부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는 수용부 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센서부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센서부에는 첨부가 형성된 단부로부터 이격되며 측방으로 돌출된 걸림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첨부로부터 이격되어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센서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부의 일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센서부에 구비된 송신부와 제어부에 구비된 수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부에 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수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거리는 일정 거리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은 냉장냉동 시스템 내에 저장된 제품의 온도가 변화된 경우에만 작동되어 무분별한 작동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가 방지되고, 제품이 설정온도 범위내로 보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냉방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종래의 냉방장치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의 온도감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의 온도감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의 온도감지부재가 설치되는 연통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의 온도감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의 온도감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의 온도감지부재가 설치되는 연통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100)은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와, 상기 수용부(1)에 구비되어 냉동사이클의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방출하는 쿨러(110)와, 온도감지부재(130)와, 상기 온도감지부재(130)와 냉동사이클의 압축기가 연결된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쿨러(110)와 압축기는 제어부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온도감지부재(130)로 측정된 온도가 제어부로 전달되고, 제어부의 제어로 냉동사이클의 압축기의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온도감지부재(130)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가 ON/OFF된다. 상기 온도감지부재(130)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압축기가 작동되면 쿨러(110)도 작동되고, 압축기가 정지되면 쿨러(110)는 정지되거나 계속 작동될 수 있다. 압축기가 정지될 때에도 수용부(1) 내에서 공기의 대류를 위해 쿨러(11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는 독립된 건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는 한 건물 내에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부(1)의 벽체는 단열재(1a)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용부(1)에는 출입문(D)이 구비되어 상기 출입문(D)을 통해 수용부(1) 내로 냉장 및 냉동 제품 등을 넣어 수용부(1) 내에 적재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D)은 단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용부(1)의 내부 벽체에는 연결기구(3)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기구(3)는 수용부(1)의 내부의 천장 또는 측벽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기구(3)는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연결기구(3)를 통해 제어부와 온도감지부재(130)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기구(3)에는 연결 단자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온도감지부재(130)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쿨러(110)는 상기 수용부(1)에 구비된다. 상기 쿨러(110)는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쿨러(110)가 하나 이상 구비된 경우 서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쿨러(110)에서 냉기가 방출되는 부분은 상기 수용부(1)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쿨러(110)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에서 낮아진 온도의 공기를 상기 수용부(1) 내로 방출하여 상기 수용부(1) 내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축기는 온도감지부재(130)에 의해 감지된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아졌을 때 작동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온도감지부재(130)는 상기 연결기구(3)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다. 상기 온도감지부재(130)는 하나 이상 구비된다. 상기 온도감지부재(130)에는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기구(3)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부재(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 내에 적재되는 적재함(150)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감지부재(130)는 센서부(131)와 연결수단(1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감지부재(130)는 상기 수용부(1) 내에 구비된다. 상기 온도감지부재(130)의 센서부(131)는 적재함(150)에 삽입되어 적재함(15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131)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체로 구비된다. 상기 센서부(131) 내에는 센서(133)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133)로는 저항 센서 등이 이용된다. 저항 센서로는 제이앤에스센서의 세라믹형 백금측온 저항체, 제이앤에스센서의 유리형 백금측온 저항체, 제이앤에스센서의 운모형 백금측온 저항체, 제이앤에스센서의 필름형 백금측온 저항체 등이 있다. 상기 센서(133)는 상기 연결수단(135)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다.
상기 센서부(131)에는 첨부(1311)와 걸림부(1313)가 형성된다.
상기 첨부(1311)는 상기 센서부(131)의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첨부(1311)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센서부(131)는 첨부(1311)가 형성됨에 따라 적재함(150)에 삽입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1313)는 상기 첨부(1311)로부터 이격되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13)의 단면적은 상기 센서부(131)의 단면적보다 크도록 상기 센서부(131)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13)는 상기 센서부(131)가 적재함(150)에 삽일될 때 상기 센서부(131)가 적재함(150)에 일정 길이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센서부(131)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부(131) 내에는 센서(133)가 내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센서부(131)는 포장용기 사이로 삽입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상의 센서부(131)는 적재함(150)과 적재함(150) 사이 또는 소형 적재함(150a)과 소형 적재함(150a) 사이 또는 적재함(150)과 소형 적재함(150a)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1)에는 걸림부(131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313)는 상기 센서부(13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313)는 포장용기 사이에 삽입될 때 일정 깊이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연결수단(135)은 상기 센서부(131)와 제어부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수단(135)은 상기 연결기구(3)를 통해 수용부(1) 내로 연장되고 단부에 센서부(131)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135)은 상기 센서부(131) 내에 구비된 센서(133)와 연결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135)의 일측 단부에는 센서부(131)가 구비되고, 타측 단부에는 연결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기구(3)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수단(135)은 나선으로 꼬인 형태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135)의 연결선은 금속선이 고무로 감싸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수단(135)에는 상기 연결수단(135)이 감겼다 풀렸다 가능한 자동감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동감김부재는 예를 들어, 내부에 코일스프링과 같은 복원력을 갖는 부재를 마련하고 있어서, 잡아당겼다가 놓는 경우 등 제한조건하에서 연결수단(135)을 자동감김부재 내부로 감아들인다. 상기 자동감김부재는 등록특허공보 제 10-1538300호와 같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135)은 무선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같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135)은 상기 센서부(131)에 구비된 송신부와, 제어부에 구비된 수신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부(131)는 감지되는 온도를 송신부를 통해 제어부에 연결된 수신부로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에 의해 쿨러(110)가 작동된다.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신호는 일정 거리 내에서 전달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에는 경고발생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경고발생부는 경고등 또는 관리자의 휴대전화 등에 연동되어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1)의 송신부가 제어부의 수신부로부터 멀어져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경고발생부는 경고등을 울리거나 관리자에게 신호를 전달하여 온도감지부재(130)가 일정 거리로부터 이탈되었다는 것을 알리도록 작동된다. 상기 경고발생부가 구비됨으로써 온도감지부재(130)의 분실이 방지되고 회수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 내에 적재되는 적재함(150)은 종이,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재함(150) 내에는 상기 적재함(150)보다 크기가 작은 소형 적재함(150a)에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31)는 제품이 수용된 소형 적재함(150a)에 삽입될 수도 있고, 소형 적재함(150a)이 수용된 적재함(150)에 삽입될 수도 있다. 소형 적재함(150a)에 삽입시 모서리의 틈새 등을 통하여 삽입되거나 적재함(150)을 부분적으로 파손하면서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적재함(150)이나 소형 적재함(150a)의 측벽에는 센서부(131)가 삽입되는 연통부(1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151)를 통해 상기 온도감지부재(130)의 센서부(131)가 상기 적재함(150) 내로 삽입된다. 상기 연통부(151)는 상기 적재함(150)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 구비된다. 상기 연통부(151)는 링상의 연통부재(1511)와, 상기 연통부재(1511) 내측에 구비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분할된 마감부(15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릿의 단부는 상기 연통부재(1511)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향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된다.
상기 수용부(1) 내에 적재함(150)을 적재한 후, 상기 적재함(150)의 측벽에 형성된 연통부(151)에 상기 온도감지부재(130)가 삽입된다. 상기 온도감지부재(130)는 복수의 적재함(150) 중 일부에만 삽입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150)에 삽입된 온도감지부재(130)를 통해 적재함(150) 내부의 온도가 감지되며, 감지된 온도 정보는 제어부로 전달된다. 측정된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는 압축기를 작동시킨다. 압축기의 작동에 의해 적재함(150) 내의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에 도달하면 제어부는 압축기의 작동을 멈추도록 명령한다. 상기 적재함(150) 내부의 온도 변화에 따라 제어부의 명령에 의해 압축기의 작동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냉장냉동 시스템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냉장냉동 시스템
1 : 수용부 3 : 연결기구
110 : 쿨러 130 : 온도감지부재
131 : 센서부 133 : 센서
135 : 연결수단 150 : 적재함
151 : 연통부

Claims (5)

  1.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수용부(1)와, 상기 수용부(1)에 구비되어 수용부(1) 내로 냉기를 방출하는 쿨러(110)와, 압축기에 연결되어 압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연결 구비되어 온도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온도감지부재(130)와, 상기 수용부(1)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적재함(15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감지부재(130)는 센서부(131)와, 상기 센서부(131)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연결수단(13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수단(135)의 단부에 센서부(131)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131)는 적재함(150)에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적재함(150)의 측벽에는 센서부(131)가 삽입되는 연통부(151)가 구비되고, 상기 연통부(151)를 통해 상기 온도감지부재(130)의 센서부(131)가 상기 적재함(150) 내로 삽입되며, 상기 연통부(151)는 적재함(150)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 구비되며, 링상의 연통부재(1511)와, 상기 연통부재(1511) 내측에 구비되어 방사상 방향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분할된 마감부(15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부(131)는 내부에 센서(133)가 구비된 막대 형상의 중공체로서, 단부에는 적재함(150)에 삽입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된 첨부(1311)가 구비되고, 상기 첨부(1311)로부터 이격되며 측방으로 돌출되어 적재함(150)에 삽입될 때 걸리도록 작용하는 걸림부(131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냉동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31)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부(131)의 일측 단부로부터 이격되며 측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부(13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냉동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35)은 센서부(131)에 구비된 송신부와 제어부에 구비된 수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서부(131)에 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에 수신부가 구비되어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의 거리는 일정 거리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냉동 시스템.
KR1020160030836A 2016-03-15 2016-03-15 냉장냉동 시스템 KR101804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36A KR101804794B1 (ko) 2016-03-15 2016-03-15 냉장냉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0836A KR101804794B1 (ko) 2016-03-15 2016-03-15 냉장냉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609A KR20170107609A (ko) 2017-09-26
KR101804794B1 true KR101804794B1 (ko) 2017-12-06

Family

ID=60037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0836A KR101804794B1 (ko) 2016-03-15 2016-03-15 냉장냉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7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938B1 (ko) * 2006-07-10 200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938B1 (ko) * 2006-07-10 2007-09-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온도센서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609A (ko)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876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to control the same
CN105806035A (zh) 制冷设备的过冷却控制方法
WO2003027587A1 (fr) Refrigerateur-congelateur, controleur pour refrigerateur-congelateur, et procede de determination de fuite de refrigerant
KR20060082783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09690212B (zh) 负压解除端口及冷冻装置
KR10057377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0578353B2 (en) Autonomous seal monitoring for a refrigeration unit
KR20210103608A (ko) 냉장고, 서버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1804794B1 (ko) 냉장냉동 시스템
AU2009312558B2 (en) Food simulant material for temperature control sensor
WO2016139241A1 (en)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thermoelectric module
JP4336664B2 (ja) 無風冷却システム
EP2876391B1 (en) Refrigerator with a configurable space
US104298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tor control
BR102014013038B1 (pt) Refrigerador automático para bebidas e método de refrigeração de bebidas
KR20090049236A (ko) 냉장고용 냉기 덕트 시스템
KR100607262B1 (ko) 와인셀러 및 와인셀러의 온도제어방법
CN111017413A (zh) 冰盒蓄冷系统
KR100621199B1 (ko) 냉장고
CN211845700U (zh) 冰盒蓄冷系统
KR100443988B1 (ko) 김치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219215847U (zh) 感温盒及温控存储装置
CN109931739B (zh) 一种用于冷藏室的智能速冷食品储藏盒及其速冷方法
US20230108603A1 (en) Cooler box with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thereof
EP3837649B1 (en) Monitoring system for contain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