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777B1 -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 Google Patents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4777B1 KR101804777B1 KR1020150177821A KR20150177821A KR101804777B1 KR 101804777 B1 KR101804777 B1 KR 101804777B1 KR 1020150177821 A KR1020150177821 A KR 1020150177821A KR 20150177821 A KR20150177821 A KR 20150177821A KR 101804777 B1 KR101804777 B1 KR 1018047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cone
- case
- tubular case
- shap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바람이 유입되는 콘형 케이스(100)와, 상기 콘형 케이스(100)에 연접되어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관형 케이스(200)로 이루어진 케이스부; 상기 콘형 케이스(100)와 관형 케이스(200)에 걸쳐서 위치되고, 전단에는 콘형 조절기(400)가 고정되며, 후단에는 링커(600)에 연결되는 왕복 샤프트(300); 상기 관형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샤프트(300)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500); 일측은 상기 왕복 샤프트(300)의 말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관형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인입된 회전축(710)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이용하여 왕복 샤프트를 왕복시키는 링커(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바람이 유입되는 콘형 케이스(100)와, 상기 콘형 케이스(100)에 연접되어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관형 케이스(200)로 이루어진 케이스부; 상기 콘형 케이스(100)와 관형 케이스(200)에 걸쳐서 위치되고, 전단에는 콘형 조절기(400)가 고정되며, 후단에는 링커(600)에 연결되는 왕복 샤프트(300); 상기 관형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샤프트(300)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500); 일측은 상기 왕복 샤프트(300)의 말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관형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인입된 회전축(710)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이용하여 왕복 샤프트를 왕복시키는 링커(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풍량 조절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76799호에서는 도 1과 같이, 기체(10)에 최초공기 입구(11')와 최초공기 출구(12') 및 혼합공기 출구(13')가 형성되고, 기체(10')의 외주면에 장치된 댐퍼 작동기(20')의 안내간(21')에 작동축(22')이 진퇴 작동되며, 작동축(22')의 선단에 유착된 양측 링크(23')가 최초공기 출구(12')의 양측 선단에 유착된 각 풍량 조절 댐퍼(24')에 접속되어서 최초공기 출구(12')를 개폐하게 되고, 기체(10')의 하부에 형성된 유인공기 입구(30')에 유인공기 댐퍼(31')가 설치되었으며, 최초공기 출구(12')와 유인공기 입구(30')의 사이에 공기 유도관(40')이 설치되어서 혼합공기 출구(13')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특허 제911156호에서는 상기 고안에서 힌지 결합된 링크 구조가 많아 노후 될수록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힌지 결합된 부위의 윤활성능이 저하되면서 소음이 발생되고 부정확하게 작동되므로 기능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도 2,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개선된 가변 풍량 조절기를 개시하였다.
이러한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그 청구항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단에 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에 출구가 형성되며 내주면에 벤츄리부(20)가 형성된 케이싱(2); 상기 케이싱(2)의 내측 중앙에 삽입되는 샤프트(6)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면서 벤츄리부(20)의 개폐도를 조절하는 실린더콘(4); 상기 샤프트(6)의 전후진 길이를 조절하는 액츄에이터(7) 및 링크(74)로 구성된 구동부로 구성됨으로서 상기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풍량을 조절하도록 한 것이며, 상기 실린더콘(4)은, 전방에 반구부(42)가 형성되고 후방에 원추부(44)가 형성되며, 중앙에 통공(40)이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통공(40)에는 상기 샤프트(6)에 결합되어 전후진되는 실린더(5)가 결합되어 이루진다.
또한, 상기 실린더(5)는, 전,후단이 개구된 바디(52); 상기 바디(52) 및 실린더콘(4)의 전단에 결합되며 샤프트(6)가 관통되는 제1끼움공(550)을 갖는 전면캡(54); 상기 바디(52) 내에 삽입되며 전후방의 탄성력이 상이하도록 형성된 이중 스프링(3); 상기 바디(52)의 후단에 삽입되며 제2끼움공(560)을 갖는 후면플런져(56)를 포함하며, 상기 이중 스프링(3)은 코일스프링이며, 전방부(32)는 조밀하게 권취되어 탄성률이 낮고, 후방부(34)는 느슨하게 권취되어 탄성률이 높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전방부(32)에 의해 작은 풍압에 신축작용되고, 후방부(34)에 의해 큰 신축작용 되도록 하며, 상기 전면캡(54)에는 상기 제1끼움공(550)을 갖는 끼움부재(55)가 결합되며, 상기 끼움부재(55)는 원추형상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종래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샤프트(6)의 전후진을 위해서, 작동축(72)이 전후진하는 고가의 액츄에이터(7)가 필요하게 되며, 또한 케이싱(2)에는 샤프트(6)에 연결되는 액츄에이터(7) 링크(74)가 힌지결합되며 시이소운동으로 작동되도록 긴 장공 형태의 작동공(22)이 필요하게 되는데, 케이싱(2)에 형성된 긴 장공을 통해서 흡입되는 공기로 인해 제어 유량에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전단에 길게 벤츄리부가 형성되어 있어, 가공이 어려워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으며, 출구쪽이 입구쪽과 동일한 형태로 일체로 이루어져 배출기류를 타고 실내에 소음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벤츄리 외부에 전면적으로 방음 및 단열 부재(L)를 설치해야 하지만, 단열부재의 내면을 벤츄리 형태로 가공해야 한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벤츄리부로 인해 크기가 커서 좁은 공간에 설치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후 왕복형 액츄에이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회전형 액츄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압력 독립식 공기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시소 운동을 위한 장공에 의한 에러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가공이 어려운 벤츄리형 케이싱 대신에 보다 가공이 용이한 새로운 케이싱을 이용한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소음이 저감된 새로운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입구가 넓고 출구가 좁은 전단의 콘형 케이스와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후단의 관형 케이스로 이루어진 케이스; 상기 전단에 콘형 조절기가 부착되고, 중심축을 따라서 전후로 이동하는 왕복 샤프트; 일측은 케이스를 관통하여 인입된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타측은 샤프트에 연결되어 모터의 회전을 샤프트의 전후진으로 변환시키는 링커; 케이싱의 외부에 설치되는 모터; 및 상기 관형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샤프트와 모터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형 케이스는 넓은 직경을 가지는 전단부와 직경이 급격히 줄어드는 변환부와 줄어든 좁은 직경을 가지는 후단부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형 케이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단면의 배기 관로들과의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관형 케이스는 콘형 케이스와 접하는 일단은 원통형 개구가 형성되고, 배기 관로에 접하는 타단은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형 조절기는 전방이 볼록 거울 형태로 돌출되고, 중심부에 원통형 통공을 가지는 콘형 몸체와; 상기 원통형 통공에 삽입되는 파이프형 몸체와 상기 파이프 몸체의 상단을 덮는 캡커버와 상기 파이프형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캡커버에 결합되는 코일형 스프링과,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하단에 결합되며 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스프링 받침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조절기로 이루어지며, 중심축을 따라서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며, 상기 스프링 받침은 샤프트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콘형 조절기는 대한민국 특허 911156과 같은 형태에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으며, 상업적으로 구입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형 조절기는 샤프트의 후진에 의해서 콘형 케이스와 관형 케이스의 연결부위까지 이동하며 인입되는 풍량을 1차로 조절하게 되며, 콘형 조절기는 풍량의 증가에 의해서 스프링이 압착되면서 콘형 몸체의 일부가 관형 케이스 내부로 인입되면서 풍량을 2차로 조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콘형 조질기는 샤프트의 전진에 의해서 콘형 케이스의 입구까지 전진하여 인입되는 풍량을 최대로 늘려주게 되며, 풍량의 증가에 의해서 스프링이 압착되면서 콘형 몸체가 뒤로 후진하면서 풍량을 추가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왕복 샤프트는 전단은 콘형 케이스에 위치하며, 콘형 조절기가 부착되고, 길게 연장되어 후단은 관형 케이스에 위치하며, 왕복 샤프트를 전후로 왕복시키는 링커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형 케이스 내부에는 왕복 샤프트와 모터의 축을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은 콘형 조절기의 후단이 관형 케이스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관형 케이스의 일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브라켓에는 관형 케이스의 중심부에 샤프트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 가이드가 형성되며, 관형 케이스의 주변부에 관형 케이스를 관통하여 내부로 인입된 모터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 가이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일측이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의 양방향 회동에 의해서 진자 형태, 또는 시계추 형태로 왕복하게 되며, 타단에는 샤프트가 연결되어 왕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관형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되며, 모터의 회전축이 연장되어 관형 케이스를 관통하여 내부로 인입되며, 상기 브라켓의 회전축 가이드에 고정되어 회전하게 된다. 관형 케이스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직경과 모터 회전축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관형 케이스에는 외면 또는 내면에 소음장치를 설치하여 공기 유입에 따른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단열재의 부착에 의해서 외기 유입에 의한 온도 변화를 저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샤프트를 왕복시키기 위해서, 케이스에 장공을 형성하여 전후로 왕복하는 회전축과 연결하여 시소운동을 하는 방식 대신에, 케이스 내부로 회전축을 인입시켜 회전하게 하고, 이를 이용하여 샤프트를 왕복시킴으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장공에 의한 공기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콘형 케이스에서 관형 케이스 유입되는 과정에서 관로가 급격히 증가하여 소음을 저감하게 되며, 관형 케이스의 내외부에 소음기의 설치가 용이하여 소음이 저감된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종래 벤츄리 형태의 유입부 대신에 벤츄리관에서 관로가 줄어드는 부분만을 사용함으로서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함으로서, 천정과 같은 좁은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 실시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이다.
도 2는 종래 다른 일 실시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이다.
도 3은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에 사용되는 콘형 조절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에 사용되는 콘형 조절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를 후단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가 최대 개방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가 최대 폐쇄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가 회전축의 회전을 샤프트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종래 다른 일 실시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이다.
도 3은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에 사용되는 콘형 조절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에 사용되는 콘형 조절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를 후단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가 최대 개방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가 최대 폐쇄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가 회전축의 회전을 샤프트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실시예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의 케이스(10)는 바람이 유입되는 콘형 케이스(100)와, 상기 콘형 케이스(100)에 연접되어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관형 케이스(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형 케이스(100)는 넓은 직경을 가지면서 바람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서 서서히 직경이 줄어드는 전단부(110)와 직경이 급격히 줄어드는 변환부(120)와, 줄어든 좁은 직경이 유지되는 후단부(130)로 이루어진다. 후단부(130)의 끝에는 관형 케이스(2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서 원형 플렌지(131)가 형성된다.
상기 관형 케이스(200)는 정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관체형 케이스이며, 콘형 케이스(100)과 접하는 접합면(210)은 주변부는 막혀있으며, 중심부에는 콘형 케이스의 후단부(130)에 상응하는 직경의 원형 개방구(211)가 형성되어, 콘형 케이스와 연통되어 바람이 유입되며, 배출면(220)은 완전 개방된 상태로, 유입된 바람이 배출된다.
상기 왕복 샤프트(300)는 콘형 케이스(100)와 관형 케이스(200)에 걸쳐서 위치되며, 관형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50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왕복 샤프트(300)의 전단에는 콘형 조절기(400)이 고정되며, 상기 왕복 샤프트(300)의 타단은 링커(600)에 고정된다.
상기 콘형 조절기(400)는 전방이 볼록 거울 형태로 돌출된 볼록거울부(410)과, 중심부에 원통형 통공을 가지는 콘형 몸체(420)와; 상기 원통형 통공에 삽입되는 파이프형 몸체(430)와 상기 파이프 몸체의 상단을 덮는 캡 커버(440)와 상기 파이프형 몸체에 내장되고, 상기 캡커버에 결합되는 코일형 스프링(450)과, 상기 코일형 스프링의 하단에 결합되며 파이프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스프링 받침(460)으로 이루어진 원통형 조절기로 이루어지며, 중심축을 따라서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며, 상기 스프링 받침은 샤프트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500)은 관형 케이스(20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막대형 지지부(510)와 상기 막대형 지지부(510)의 양단에서 콘형 케이스 방향으로 돌출되어 접합면(210)까지 연장되는 지지부 고정편(520)과 막대형 지지부(510)의 중심부에서 왕복 샤프트(300)을 따라서 돌출되는 샤프트 고정편(530)과 막대형 지지부(510)에서 중심부와 양단 사이에서 배출면(220) 방향으로 돌출되며, 회전축(710)이 고정되는 회전축 지지편(5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브라켓(500)은 왕복 샤프트(300)의 최대 후진시 왕복 샤프트의 선단에 위치한 콘형 조절기(400)의 후단이 관형 케이스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막대형 지지부(510)가 콘형 케이스(100)와의 접합면(210)에서 소정 간격(지지부 고정편(520)의 길이)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500)의 중심부에는 왕복 샤프트(300)를 일렬 고정하기 위해서, 샤프트 고정편(530)의 말단과 막대형 지지부(510)의 중심부에 두 개의 고정용 고리(550)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500)의 지지부 고정편(520)은 단부가 접합면(210)의 내측에 접한 상태로 콘형 케이스의 원형 플렌지(131)과 함께 나사 고정된다.
상기 링커(600)는 일단이 회전축(710)에 고정되어 회전축의 양방향 회전 운동에 의해서 시계추 궤적으로 왕복하게 되며, 타단이 왕복 샤프트(300)의 말단에 연결되어, 왕복 샤프트(300)를 전후로 왕복시킨다.
상기 링커(600)는 상단이 회전축에 고정되어 시계추 운동하는 회동막대(610)와, 상기 회동막대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단이 회전축 고정편(54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막대(620)와, 상기 회동 막대(610)과 보조막대(62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U자형 연결편(630)과, 상기 왕복 샤프트의 말단에 고정되어 상기 U자형 연결편(630)의 사이를 상하로 왕복하는 연결 부재(6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640)은 왕복 샤프트의 말단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U자형 연결편(630) 사이를 통과하는 돌출 부재일 수 있으며, 상기 왕복 샤프트의 말단을 관통하여 U자형 연결편(630) 사이를 통과하는 관통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모터(700)는 관형 케이스(200)의 외면에 설치되며, 회전축(710)이 관형 케이스(200)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서 내부로 인입되어 연장되고, 고정 브라켓(4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양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말단에 고정된 링커(500)를 시계추 형태로 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7a는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가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 풍압이 없는 상태에며, 도 7b는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가 최대로 열린 상태에서 풍압이 가해지는 상태이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유입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왕복 샤프트(300)는 전방으로 최대한 전진 상태를 이룬다. 공기에 의한 풍압이 없을 경우, 도 7a와 같이, 콘형 조절기(400)는 스프링 받침(460)이 왕복 샤프트(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코일형 스프링(450)이 비압착된 상태를 이루어 최대 전전하게 된다. 공기에 의한 풍압이 있을 경우, 도 7b와 같이, 콘형 조절기(400)는 스프링 받침(460)이 왕복 샤프트(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풍압에 의해서 코일형 스프링(450)이 압착되어, 뒤쪽으로 밀려나게 되면서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게 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유입량을 줄이기 위해서 왕복 샤프트(300)은 후방으로 후진된 상태를 이룬다. 공기에 의한 풍압이 없을 경우, 도 8a와 같이, 콘형 조절기(400)는 스프링 받침(460)이 왕복 샤프트(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코일형 스프링(450)이 비압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공기에 의한 풍항이 있을 경우, 도 8b와 같이, 콘형 조절기(400)는 스프링 받침(460)이 왕복 샤프트(3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풍압에 의해서 코일형 스프링(450)이 압착되어, 코일형 조절기의 몸체가 관형 케이스(200)의 내부까지 후진하여 최대로 닫힌 상태를 이루게 되며, 샤프트 고정편(530)은 콘형 조절기(40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모터에 회전에 의한 샤프트의 전진은 도 9와 같이 작동한다. 도 9a에서, 왕복 샤프트(300)는 후진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9b는 중간 상태를 나타내며, 도 9c는 전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 샤프트(300)가 최대 후진 상태에서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축(7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상단이 회전축(710)의 말단에 고정된 회동막대(610)가 회동하며, U자형 연결편(630)으로 연결된 보조 막대(620)도 같이 회동한다. 회동 막대(610)와 보조 막대(620)에 리벳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U자형 연결편(630)은 위치에 상관없이 수직한 상태를 이루면서 시계추 형태로 움직이게 된다. U자형 연결편(630) 사이에 게재된 돌출부재(640)는 U자형 연결편이 전진하면서 하강하면 상대적으로 U자형 연결편(640)사이에서 위쪽에 위치하게 되며, 전진하면서 상승하면 다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후진할 경우에는 반대로 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모터의 회전운동이 샤프트의 왕복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샤프트가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왕복할 수 있도록 한다.
100: 콘형 케이스
200: 관형 케이스
300: 왕복 샤프트
400: 콘형 조절기
500: 고정 브라켓
600: 링커
700: 모터
200: 관형 케이스
300: 왕복 샤프트
400: 콘형 조절기
500: 고정 브라켓
600: 링커
700: 모터
Claims (5)
- 바람이 유입되는 콘형 케이스(100)와, 상기 콘형 케이스(100)에 연접되어 유입된 바람이 배출되는 관형 케이스(200)로 이루어진 케이스부;
상기 콘형 케이스(100)와 관형 케이스(200)에 걸쳐서 위치되고, 전단에는 콘형 조절기(400)가 고정되며, 후단에는 링커(600)에 연결되는 왕복 샤프트(300);
상기 관형 케이스(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왕복 샤프트(300)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500);
일측은 상기 왕복 샤프트(300)의 말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관형 케이스(200)를 관통하여 인입된 회전축(710)에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을 이용하여 왕복 샤프트를 왕복시키는 링커(600);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500)은 콘형 조절기(400)의 후단이 관형 케이스(20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콘형 케이스(100)와의 접합면(210)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정 브라켓(500)은 관형 케이스(20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막대형 지지부(510)과 상기 막대형 지지부(510)의 양단에서 콘형 케이스 방향으로 돌출되어 접합면(210)까지 연장되는 지지부 고정편(520)과 막대형 지지부(510)의 중심부에서 왕복 샤프트(300)을 따라서 돌출되는 샤프트 고정편(530)과 막대형 지지부(510)에서 중심부와 양단 사이에서 배출면(220) 방향으로 돌출되며, 회전축(710)이 고정되는 회전축 지지편(5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710)은 중심축과 관형 케이스(200) 내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링커(600)는 상단이 회전축에 고정되어 시계추 운동하는 회동막대(610)와, 상기 회동막대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면서, 상단이 회전축 고정편(54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보조막대(620)와, 상기 회동 막대(610)과 보조막대(62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U자형 연결편(630)과, 상기 왕복 샤프트의 말단에 고정되어 상기 U자형 연결편(630)의 사이를 상하로 왕복하는 연결 부재(6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케이스(200)의 내부, 외부, 또는 내부 및 외부에 소음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7821A KR101804777B1 (ko) | 2015-12-14 | 2015-12-14 |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7821A KR101804777B1 (ko) | 2015-12-14 | 2015-12-14 |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7374A Division KR101950467B1 (ko) | 2017-05-31 | 2017-05-31 |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0383A KR20170070383A (ko) | 2017-06-22 |
KR101804777B1 true KR101804777B1 (ko) | 2017-12-05 |
Family
ID=59282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7821A KR101804777B1 (ko) | 2015-12-14 | 2015-12-14 |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477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0618B1 (ko) * | 2019-06-17 | 2020-09-01 | 박소영 | 에너지 가변 풍량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실별 풍량 제어 및 에너지 사용량 측정이 가능한 중앙 공조 시스템 |
KR102150604B1 (ko) * | 2019-03-12 | 2020-09-01 | 박소영 | 벤추리형 가변 풍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1156B1 (ko) * | 2009-02-24 | 2009-08-06 | 서진공조 주식회사 | 가변 풍량 조절기 |
-
2015
- 2015-12-14 KR KR1020150177821A patent/KR1018047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11156B1 (ko) * | 2009-02-24 | 2009-08-06 | 서진공조 주식회사 | 가변 풍량 조절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0604B1 (ko) * | 2019-03-12 | 2020-09-01 | 박소영 | 벤추리형 가변 풍량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풍량 제어 방법 |
KR102150618B1 (ko) * | 2019-06-17 | 2020-09-01 | 박소영 | 에너지 가변 풍량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실별 풍량 제어 및 에너지 사용량 측정이 가능한 중앙 공조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70383A (ko) | 2017-06-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4777B1 (ko) |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 |
JP2003041941A5 (ko) | ||
JP4146158B2 (ja) | 排気ゲート付ターボチャージャ | |
KR200495690Y1 (ko) | 에어컨 시스템 및 그 전자 팽창 밸브 | |
CN103867347B (zh) | 排气回流阀 | |
US10549606B2 (en) | Aerator and vehicle comprising such an aerator | |
WO2004070282A3 (en) | Air duct outlets with air stream direction control | |
EP1777098A3 (en) | Installation apparatus | |
KR100911156B1 (ko) | 가변 풍량 조절기 | |
CN104676071B (zh) | 电动阀 | |
CN104075431B (zh) | 导风板连接轴套及空调器 | |
US20130019744A1 (en) | Timing device for intermittent vacuum regulator | |
JP2017053592A (ja) | 空気調和用渦輪発生装置 | |
CN112413149B (zh) | 电子膨胀阀及其安装方法 | |
CN108138977A (zh) | 提升阀 | |
KR101950467B1 (ko) | 압력 독립식 풍량 조절기 | |
CN108798328B (zh) | 一种埋入式铰链结构 | |
WO2001069083A3 (en) | Compressor assembly | |
KR101960712B1 (ko) | 인렛 가이드 베인 | |
KR20180059545A (ko) | 탭 또는 감압기의 개방 상태 및/또는 폐쇄 상태에 관한 표시장치 | |
KR20010050914A (ko) | 공기 댐퍼 | |
CN110374927B (zh) | 风机 | |
EP3828450B1 (en) | Electric valve | |
JP5552412B2 (ja) | ピストンダンパー | |
US2209844A (en) | Dam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