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298B1 - Method of manufacturing binder pitch from petroleum by-product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ufacturing binder pitch from petroleum by-produ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298B1
KR101804298B1 KR1020160060758A KR20160060758A KR101804298B1 KR 101804298 B1 KR101804298 B1 KR 101804298B1 KR 1020160060758 A KR1020160060758 A KR 1020160060758A KR 20160060758 A KR20160060758 A KR 20160060758A KR 101804298 B1 KR101804298 B1 KR 101804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heat treatment
binder pitch
softening point
p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0653A (en
Inventor
이철위
임지선
김종구
김지홍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6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298B1/en
Publication of KR20170130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6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298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3/00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 C10C3/002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by therm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51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 C04B35/5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non-oxide ceramics based on carbon, e.g.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04B35/632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C04B35/645Pressure sintering
    • C04B35/6455Hot isostatic pres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3/00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orking-Up Tar And P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유화학 부산물을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하여 고형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형분을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2 차 열처리하여 휘발유분을 추출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3 차 열처리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은 석유계 저급원료로부터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연화점 제어를 위한 2 차적인 연화점 조절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solid component by a first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340 ° C to 420 ° C (step 1); (Step 2) of extracting the gasoline fraction by subjecting the solid matter produced in step 1 to a second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And a third step of heat treating the petroleum fractions extracted in step 2 at a temperature of 150 to 250 ° C. to prepare a binder pitch (step 3). The binder pitch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binder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from petroleum-based low-grade raw materials and can omit the secondary softening point adjusting step for softening point control.

Description

석유화학 부산물로부터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binder pitch from petroleum by-produc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binder pitch from a petroleum chemical by-

본 발명은 석유화학 부산물로부터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binder pitch from petrochemical by-products.

일반적으로 석유계 저급원료(PFO, NCB-Oil, FCC-DO, VR 등)는 석유정제공정의 부산물로써 얻어지며, 이용가치가 낮아 대부분 선박, 발전시설의 연료로써 사용되고 있으나, 풍부한 방향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탄소 구조를 형성하기 용이하여 다양한 응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Generally, petroleum-based low-grade raw materials (PFO, NCB-Oil, FCC-DO, VR, etc.) are obtained as a by-product of petroleum refining process and are used as fuels for most ships a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due to low utilization value. It is easy to form a carbon structure and various application studies have been made.

바인더 피치는 인조흑연, 탄소성형체, 흑연성형체 등의 제조시 원료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코크스 또는 탄소 분말 등과 혼합되어 결합력 향상을 도모하여, 사출, 압출, 성형프레스 성형 및 정수압(Cold isostatic pressing), HIP 성형 등과 같은 방법으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The binder pitch is used as a raw material in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graphite, a carbon compact, a graphite compact and the like. The binder pitch is mixed with coke, carbon powder or the lik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and injection, extrusion, molding press, cold isostatic pressing, HIP A molded product can be produced by a method such as molding.

종래 석유계 바인더 피치는 원료물질이 보유하고 있는 저비점 휘발유분(끓는점 250 ℃ 이하)의 제어가 어려워, 석탄계 바인더 피치(100 ℃ 내지 150 ℃)에 비해 높은 연화점(150 ℃ 내지 200 ℃)을 갖는다. 따라서, 탄소성형체(전극봉, 인조흑연 블록 등) 제조간 코크스 또는 흑연 분말과 바인더 피치의 혼합 공정(Mixing)에서 석탄계 바인더 피치에 비해 높은 혼합온도가 요구되어 높은 공정비용 및 혼합간 피치의 과산화가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높은 연화점을 갖는 문제로 인해, 추가적인 연화점 제어를 위한 박막 증발(thin layer evaporation, TLE) 등의 2 차적인 연화점 조절 단계를 거처야 하는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petroleum-based binder pitch has a softening point (150 DEG C to 200 DEG C) higher than that of coal binder (100 DEG C to 150 DEG C)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low boiling point gasoline fraction (boiling point 250 DEG C or less) possessed by the raw material. Therefore, in the mixing process of the coke or the graphite powder with the binder pitch, a higher mixing temperature than that of the coal binder is required, so that the process cost and the inter-mixture pitch are overproduced There are disadvantages. Further, due to the problem of having a high softening poin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secondary softening point adjustment step such as thin layer evaporation (TLE) for additional softening point control must be performed.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석유화학 부산물로부터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석유화학 부산물을 이용하여 1 차 열처리를 통해 고형분을 제조한 후, 상기에서 제조된 고형분에서 2 차 열처리를 통해 휘발유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휘발유분을 사용하여 3 차 열처리를 통해 최종적으로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바인더 피치의 연화점이 100 ℃ 내지 150 ℃로 적절한 연화점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been studying a method for producing a binder pitch from a petrochemical by-product.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a solid component through a first heat treatment using a petroleum chemical by-product and then subjected to a second heat treatment in the solid component, Min and a third heat treatment using the extracted petroleum fractions to finally produce a binder pitch. The softening point of the binder pitch thus prepared exhibits a softening point of 100 to 150 ° C.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0146869Korea Patent No. 0146869

본 발명의 목적은 석유화학 부산물로부터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binder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from petrochemical by-produc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석유화학 부산물을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하여 고형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Treating the petrochemical by-product at a temperature of 340 ° C to 420 ° C to produce a solid component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형분을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2 차 열처리하여 휘발유분을 추출하는 단계(단계 2); 및(Step 2) of extracting the gasoline fraction by subjecting the solid matter produced in step 1 to a second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And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3 차 열처리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3) heat treating the petroleum fractions extracted in the step (2)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50 ° C to prepare a binder pitch (step 3).

또한, 본 발명은In addition,

석유화학 부산물로부터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Which is manufactured from the petrochemical by-product by the above-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피치를 제공한다.And has a softening point of 100 캜 to 150 캜.

나아가, 본 발명은Further,

석유화학 부산물을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하여 고형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Treating the petrochemical by-product at a temperature of 340 ° C to 420 ° C to produce a solid component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형분을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2 차 열처리하여 휘발유분을 추출하는 단계(단계 2);(Step 2) of extracting the gasoline fraction by subjecting the solid matter produced in step 1 to a second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3 차 열처리하여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3) heat treating the petroleum fractions extracted in the step (2)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50 ° C to prepare a binder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And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바인더 피치를 이용하여 탄소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탄소 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d a step (step 4) of preparing a carbon compact by using the binder pitch produced in the step 3.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은 석유계 저급원료로부터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연화점 제어를 위한 2 차적인 연화점 조절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The binder pitch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binder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from petroleum-based low-grade raw materials and can omit the secondary softening point adjusting step for softening point control.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석유화학 부산물을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하여 고형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Treating the petrochemical by-product at a temperature of 340 ° C to 420 ° C to produce a solid component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형분을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2 차 열처리하여 휘발유분을 추출하는 단계(단계 2); 및(Step 2) of extracting the gasoline fraction by subjecting the solid matter produced in step 1 to a second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And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3 차 열처리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3) heat treating the petroleum fractions extracted in the step (2)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50 ° C to prepare a binder pitch (step 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of producing the binder p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step.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은 석유화학 부산물을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하여 고형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First,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inder p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1 is a step of preparing a solid component by first heat-treating the petrochemical by-product at a temperature of 340 to 420 ° C.

상기 단계 1에서는 석유계 부산물에서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저비점(저분자량, 주로 지방족 화합물) 성분을 추출하고, 방향족 성분들의 중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를 수행한다.In the step 1, a low-boiling (low-molecular weight, mainly aliphatic compound) component not participating in the reaction is extracted from the petroleum-derived byproduct and a primary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40 ° C to 420 ° C to induce polymerization of aromatic components .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의 석유계 저급원료는 열분해 연료유(pyrolized fuel oil, PFO), 중질유, 초중질유, 감압잔사유(VR), 상압잔사유, FCC-DO(fluid catalytic cracking decant oil) 및 EBO(ethylene bottle oil) 등을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etroleum-based low-grade feedstock of step 1 may be pyrolyzed fuel oil (PFO), heavy oil, superheavy oil, VR, atmospheric residuum, fluid catalytic cracking decant oil (FCC-DO) Ethylene bottle oil (EBO) or the like can be used.

또한, 상기 단계 1의 1 차 열처리는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40 ℃ 내지 38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38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1 차 열처리는 30 분 내지 6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first heat treatment of step 1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40 to 420 캜, and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40 to 380 캜, and at a temperature of 380 to 420 캜. In addition, the first heat treatment of step 1 is preferably performed for 30 minutes to 6 hours, more preferably for 1 hour to 3 hours.

만약, 상기 단계 1의 1 차 열처리를 340 ℃의 온도 미만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바인더 피치가 상온에서 50 ℃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고형화 되지 않는 피치가 제조되는 문제가 있으며, 42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코크스 등과 같은 불용분이 형성되어 피치 제조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If the primary heat treatment in step 1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340 ° 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ally produced binder pitch has a softening point at room temperature of 50 ° C. or lower and a solidification pitch of 420 ° C.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soluble matter such as coke or the like is formed and the pitch can not be manufactured.

또한, 상기 1 차 열처리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활성 기체 분위기는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and the inert gas atmosphere may be a nitrogen atmosphere, an argon atmosphere, or the like.

나아가, 상기 단계 1의 고형분은 150 ℃ 초과 250 ℃ 이하의 연화점을 갖게 되며, 높은 온도의 연화점을 갖는 고형분을 얻을 수 있다.Further, the solid content of the step 1 has a softening point of more than 150 ° C and 250 ° C or less, and a solid content having a softening point of a high temperature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형분을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2 차 열처리하여 휘발유분을 추출하는 단계이다.Next,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inder p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2 is a step of performing a secondary heat treatment of the solid component produced in the step 1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to extract the gasoline component.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연화점을 갖는 고형분을 사용하여 고온에서의 2 차 열처리를 통해 휘발유분을 추출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되는 휘발유분은 저비점이 아닌 고온에서의 2 차 열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고비점의 휘발유분이다.In the step 2, the solid component having the high softening point prepared in the step 1 is used to extract the gasoline component through a secondary heat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The gasoline fraction extracted in the step 2 is not a low boiling point but a gasoline fraction having a high boiling point generated during a secondary heat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의 2 차 열처리는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0 ℃ 내지 80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8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2의 2 차 열처리는 10 분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second heat treatment of step 2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and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800 ° C, and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800 ° C to 900 ° C . In addition, the second heat treatment of step 2 is preferably performed for 10 minutes to 4 hours, more preferably 20 minutes to 3 hours, most preferably 30 minutes to 2 hours.

만약, 상기 단계 2의 2 차 열처리를 700 ℃의 온도 미만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휘발유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아니하여 최종적으로 바인더 피치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90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휘발유분들의 크래킹을 통한 분자의 깨짐 현상이 발생하여 고형분으로부터 휘발유분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f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in step 2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700 ° C., the gasoline fraction is not sufficiently extracted and the final binder pitch can not be obtained.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900 ° 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soline fractions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solid component due to cracking of the molecules due to cracking of the gasoline components.

또한, 상기 2 차 열처리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활성 기체 분위기는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등일 수 있다.Also,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and the inert gas atmosphere may be a nitrogen atmosphere, an argon atmosphere, or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3 차 열처리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Next,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binder p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3 is a step of preparing a binder pitch by subjecting the petroleum fractions extracted in step 2 to a tertiary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50 ° C.

상기 단계 3에서는 최종적으로 바인더 피치를 얻기 위하여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3 차 열처리하며, 최종적으로 저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한다.In the step 3, the gasoline fraction extracted in the step 2 is subjected to a tertiary heat treatment so as to finally obtain a binder pitch, thereby finally producing a binder pitch having a low softening point.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3의 3 차 열처리는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0 ℃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고, 20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3의 3 차 열처리는 10 분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third heat treatment in step 3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50 ° C,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00 ° C, and at a temperature of 200 ° C to 250 ° C . In addition, the third heat treatment of step 3 is preferably performed for 10 minutes to 4 hours, more preferably 20 minutes to 3 hours, most preferably 30 minutes to 2 hours.

만약, 상기 단계 3의 3 차 열처리를 150 ℃의 온도 미만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100 ℃ 미만의 연화점을 갖는 피치가 제조되고, 또 상온에서 고형화되지 않는 피치가 제조되는 문제가 있으며, 25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하는 경우 150 ℃를 초과하는 연화점을 갖는 피치가 제조되는 문제가 있다.If the third heat treatment in step 3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lower than 150 ° C., there is a problem that a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less than 100 ° C. is produced and a pitch not solidified at room temperature is pro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a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exceeding 150 DEG C is produced.

또한, 상기 3 차 열처리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활성 기체 분위기는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and the inert gas atmosphere may be a nitrogen atmosphere, an argon atmosphere, or the like.

나아가, 상기 단계를 통해 제조된 최종 바인더 피치는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은 석유계 저급원료로부터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연화점 제어를 위한 2 차적인 연화점 조절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Further, the final binder pitch prepared through the above step has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As described above, the binder pitch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binder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from the petroleum-based low-grade raw material, and can omit the secondary softening point adjusting step for controlling the softening point .

또한, 본 발명은In addition,

석유화학 부산물로부터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며,Which is manufactured from the petrochemical by-product by the above-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피치를 제공한다.And has a softening point of 100 캜 to 150 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는 바인더 피치는 유화학 부산물로부터 제조되는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로서, 인조흑연, 탄소성형체, 흑연성형체 등의 제조시 원료로 사용되는 것으로, 코크스 또는 탄소 분말 등과 혼합되어 결합력 향상을 도모하여, 사출, 압출, 성형프레스 성형 및 정수압(Cold isostatic pressing), HIP 성형 등과 같은 방법으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The binder p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nder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which is produced from a petroleum chemical by-product. The binder pitch is used as a raw material in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graphite, carbon compact, graphite compact, Powder or the lik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and the molded product can be produced by a method such as injection, extrusion, molding press, cold isostatic pressing, HIP molding, or the like.

나아가, 본 발명은Further,

석유화학 부산물을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하여 고형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Treating the petrochemical by-product at a temperature of 340 ° C to 420 ° C to produce a solid component (Step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형분을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2 차 열처리하여 휘발유분을 추출하는 단계(단계 2);(Step 2) of extracting the gasoline fraction by subjecting the solid matter produced in step 1 to a second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3 차 열처리하여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3) heat treating the petroleum fractions extracted in the step (2)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50 ° C to prepare a binder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And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바인더 피치를 이용하여 탄소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탄소 소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nd a step (step 4) of preparing a carbon compact by using the binder pitch produced in the step 3.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소재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arb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each step.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1은 석유화학 부산물을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하여 고형분을 제조하는 단계이다.First,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inder p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1 is a step of preparing a solid component by first heat-treating the petrochemical by-product at a temperature of 340 to 420 ° C.

상기 단계 1에서는 석유계 부산물에서 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저비점(저분자량, 주로 지방족 화합물) 성분을 추출하고, 방향족 성분들의 중합을 유도하기 위하여,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를 수행한다.In the step 1, a low-boiling (low-molecular weight, mainly aliphatic compound) component not participating in the reaction is extracted from the petroleum-derived byproduct and a primary heat treatment i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40 ° C to 420 ° C to induce polymerization of aromatic components .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1의 석유계 저급원료는 열분해 연료유(pyrolized fuel oil, PFO), 중질유, 초중질유, 감압잔사유(VR), 상압잔사유, FCC-DO(fluid catalytic cracking decant oil) 및 EBO(ethylene bottle oil) 등을 사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etroleum-based low-grade feedstock of step 1 may be pyrolyzed fuel oil (PFO), heavy oil, superheavy oil, VR, atmospheric residuum, fluid catalytic cracking decant oil (FCC-DO) Ethylene bottle oil (EBO) or the like can be used.

또한, 상기 단계 1의 1 차 열처리는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40 ℃ 내지 38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38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1 차 열처리는 30 분 내지 6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first heat treatment of step 1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40 to 420 캜, and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40 to 380 캜, and at a temperature of 380 to 420 캜. In addition, the first heat treatment of step 1 is preferably performed for 30 minutes to 6 hours, more preferably for 1 hour to 3 hours.

만약, 상기 단계 1의 1 차 열처리를 340 ℃의 온도 미만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바인더 피치가 상온에서 50 ℃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고형화 되지 않는 피치가 제조되는 문제가 있으며, 42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코크스 등과 같은 불용분이 형성되어 피치 제조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If the primary heat treatment in step 1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340 ° 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ally produced binder pitch has a softening point at room temperature of 50 ° C. or lower and a solidification pitch of 420 ° C. There is a problem that an insoluble matter such as coke or the like is formed and the pitch can not be manufactured.

또한, 상기 1 차 열처리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활성 기체 분위기는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and the inert gas atmosphere may be a nitrogen atmosphere, an argon atmosphere, or the like.

나아가, 상기 단계 1의 고형분은 150 ℃ 초과 250 ℃ 이하의 연화점을 갖게 되며, 높은 온도의 연화점을 갖는 고형분을 얻을 수 있다.Further, the solid content of the step 1 has a softening point of more than 150 ° C and 250 ° C or less, and a solid content having a softening point of a high temperature can be obtain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형분을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2 차 열처리하여 휘발유분을 추출하는 단계이다.Next,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inder p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2 is a step of performing a secondary heat treatment of the solid component produced in the step 1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to extract the gasoline component.

상기 단계 2에서는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연화점을 갖는 고형분을 사용하여 고온에서의 2 차 열처리를 통해 휘발유분을 추출한다.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되는 휘발유분은 저비점이 아닌 고온에서의 2 차 열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고비점의 휘발유분이다.In the step 2, the solid component having the high softening point prepared in the step 1 is used to extract the gasoline component through a secondary heat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The gasoline fraction extracted in the step 2 is not a low boiling point but a gasoline fraction having a high boiling point generated during a secondary heat treatment at a high temperature.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2의 2 차 열처리는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0 ℃ 내지 80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8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2의 2 차 열처리는 10 분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second heat treatment of step 2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and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800 ° C, and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800 ° C to 900 ° C . In addition, the second heat treatment of step 2 is preferably performed for 10 minutes to 4 hours, more preferably 20 minutes to 3 hours, most preferably 30 minutes to 2 hours.

만약, 상기 단계 2의 2 차 열처리를 700 ℃의 온도 미만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휘발유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아니하여 최종적으로 바인더 피치를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90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되는 경우에는 휘발유분들의 크래킹을 통한 분자의 깨짐 현상이 발생하여 고형분으로부터 휘발유분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f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in step 2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less than 700 ° C., the gasoline fraction is not sufficiently extracted and the final binder pitch can not be obtained. If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900 ° 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soline fractions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solid component due to cracking of the molecules due to cracking of the gasoline components.

또한, 상기 2 차 열처리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활성 기체 분위기는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등일 수 있다.Also,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and the inert gas atmosphere may be a nitrogen atmosphere, an argon atmosphere, or the lik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3 차 열처리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Next,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binder p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3 is a step of preparing a binder pitch by subjecting the petroleum fractions extracted in step 2 to a tertiary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50 ° C.

상기 단계 3에서는 최종적으로 바인더 피치를 얻기 위하여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3 차 열처리하며, 최종적으로 저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한다.In the step 3, the gasoline fraction extracted in the step 2 is subjected to a tertiary heat treatment so as to finally obtain a binder pitch, thereby finally producing a binder pitch having a low softening point.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 3의 3 차 열처리는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0 ℃ 내지 20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고, 20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3의 3 차 열처리는 10 분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분 내지 3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 분 내지 2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the third heat treatment in step 3 is preferab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50 ° C,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00 ° C, and at a temperature of 200 ° C to 250 ° C . In addition, the third heat treatment of step 3 is preferably performed for 10 minutes to 4 hours, more preferably 20 minutes to 3 hours, most preferably 30 minutes to 2 hours.

만약, 상기 단계 3의 3 차 열처리를 150 ℃의 온도 미만에서 수행하는 경우에는 100 ℃ 미만의 연화점을 갖는 피치가 제조되고, 또 상온에서 고형화되지 않는 피치가 제조되는 문제가 있으며, 250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하는 경우 150 ℃를 초과하는 연화점을 갖는 피치가 제조되는 문제가 있다.If the third heat treatment in step 3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lower than 150 ° C., there is a problem that a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less than 100 ° C. is produced and a pitch not solidified at room temperature is pro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a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exceeding 150 DEG C is produced.

또한, 상기 3 차 열처리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활성 기체 분위기는 질소 분위기, 아르곤 분위기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heat treatment is preferably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and the inert gas atmosphere may be a nitrogen atmosphere, an argon atmosphere, or the like.

나아가, 상기 단계를 통해 제조된 최종 바인더 피치는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은 석유계 저급원료로부터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연화점 제어를 위한 2 차적인 연화점 조절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Further, the final binder pitch prepared through the above step has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As described above, the binder pitch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binder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from the petroleum-based low-grade raw material, and can omit the secondary softening point adjusting step for controlling the softening point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소 소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계 4는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바인더 피치를 이용하여 탄소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이다.Next,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carb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ep 4 is a step of producing a carbon compact by using the binder pitch produced in Step 3 above.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1 내지 3의 공정을 통해 제조된 바인더 피치를 이용하여 탄소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인더 피치 및 코크스를 혼합하는 혼합공정,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사출, 압출, 몰딩 등을 통해 성형체를 형성하는 성형공정, 상기 성형공정 중에 발생하는 성형체 내부의 기공 또는 공극을 함침 피치를 이용하여 메우는 함침공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step 4 is a step of preparing a carbon compact by using the binder pitch produced through the steps 1 to 3. Specifically, the step 4 is a mixing step of mixing the binder pitch and the coke, A molding process for forming a molded body through extrusion, molding or the like, an impregnation process for filling pores or voids formed in the molding process by impregnating pitch, or the like.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기공이 없으며, 밀도 및 강도가 우수한 탄소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arbon compact having no pores and excellent density and strength.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Experimental Examples.

<실시예 1> 바인더 피치의 제조 1&Lt; Example 1 > Preparation of binder pitch 1

단계 1: 열분해 연료유(pyrolized fuel oil, PFO)를 오토클레이브(autoclave) 반응기에 장입한 후, 질소 기체 분위기에서 420 ℃의 온도로 3 시간 동안 1 차 열처리하여 고형분을 제조하였다.Step 1: Pyrolyzed fuel oil (PFO) was charged into an autoclave reactor and then subjected to a first heat treatment at 420 ° C for 3 hours in a nitrogen gas atmosphere to prepare a solid.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형분을 질소 기체 분위기에서 900 ℃의 온도로 1 시간 동안 질소 분위기에서 2 차 열처리하여 휘발성분을 추출하였다.Step 2: The solid component produced in step 1 was subjected to a secondary heat treatment in a nitrogen gas atmosphere at 900 DEG C for 1 hour in a nitrogen atmosphere to extract volatile components.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성분을 질소 기체 분위기에서 250 ℃의 온도로 3 차 열처리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Step 3: The volatile components extracted in step 2 were subjected to a third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250 캜 in a nitrogen gas atmosphere to prepare a binder pitch.

<실시예 2> 바인더 피치의 제조 2&Lt; Example 2 > Preparation of binder pitch 2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1 차 열처리를 38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rs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80 ° C in the step 1 of Example 1.

<실시예 3> 바인더 피치의 제조 3&Lt; Example 3 > Preparation of binder pitch 3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1 차 열처리를 34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rs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40 ° C in Step 1 of Example 1.

<실시예 4> 바인더 피치의 제조 4&Lt; Example 4 > Preparation of binder pitch 4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2 차 열처리를 70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econ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700 ° C in the step 2 of Example 1.

<실시예 5> 바인더 피치의 제조 5&Lt; Example 5 > Preparation of binder pitch 5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2 차 열처리를 80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The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econ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800 ° C in the step 2 of Example 1.

<실시예 6> 바인더 피치의 제조 6&Lt; Example 6 > Preparation of binder pitch 6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3 차 열처리를 15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r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50 ° C in the step 3 of Example 1.

<실시예 7> 바인더 피치의 제조 7&Lt; Example 7 > Preparation of binder pitch 7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3 차 열처리를 20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r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200 ° C in the step 3 of Example 1.

<비교예 1>&Lt; Comparative Example 1 &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1 차 열처리를 30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rs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00 ° C in the step 1 of Example 1 above.

<비교예 2>&Lt; Comparative Example 2 &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1 차 열처리를 45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irst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450 ° C in the step 1 of Example 1.

<비교예 3>&Lt; Comparative Example 3 &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2 차 열처리를 50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econ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500 ° C in the step 2 of Example 1.

<비교예 4>&Lt; Comparative Example 4 &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2에서 2 차 열처리를 110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econ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1100 캜 in the step 2 of Example 1.

<비교예 5>&Lt; Comparative Example 5 &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3 차 열처리를 10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rd heat treatment wa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100 ° C in the step 3 of Example 1.

<비교예 6>&Lt; Comparative Example 6 >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3 차 열처리를 300 ℃의 온도에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였다.A binder pitc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rd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300 ° C in Step 3 of Example 1.

<실험예 1> 바인더 피치의 연화점 분석EXPERIMENTAL EXAMPLE 1 Analysis of Softening Point of Binder Pitch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연화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바인더 피치의 연화점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In order to confirm the softening point of the binder p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ftening points of the binder pitches prepared in Examples 1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단계1Step 1 단계2Step 2 단계3Step 3 연화점
(℃)
Softening point
(° C)
온도
(℃)
Temperature
(° C)
시간
(h)
time
(h)
온도
(℃)
Temperature
(° C)
시간
(h)
time
(h)
온도
(℃)
Temperature
(° C)
시간
(h)
time
(h)
실시예1Example 1 420420 33 900900 1One 250250 1One 149149 실시예2Example 2 380380 33 900900 1One 250250 1One 132132 실시예3Example 3 340340 33 900900 1One 250250 1One 111111 실시예4Example 4 420420 33 700700 1One 250250 1One 125125 실시예5Example 5 420420 33 800800 1One 250250 1One 132132 실시예6Example 6 420420 33 900900 1One 150150 1One 115115 실시예7Example 7 420420 33 900900 1One 200200 1One 126126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300300 33 900900 1One 250250 1One 액상생성물Liquid product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450450 33 900900 1One 250250 1One > 300> 300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420420 33 500500 1One 250250 1One 5959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420420 33 11001100 1One 250250 1One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420420 33 900900 1One 100100 1One 5353 비교예6Comparative Example 6 420420 33 900900 1One 300300 1One 204204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인더 피치의 연화점은 최소 111 ℃에서 최대 149 ℃로, 바인더 피치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연화점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shown in Table 1, the softening point of the binder pitch produced by th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111 ° C to 149 ° C, which indicates a softening point suitable for use as a binder pitch.

반면, 1 차 열처리 온도가 300 ℃인 경우(비교예 1)에는 고형화되지 않는 피치가 제조되어 액상이었으며, 1 차 열처리 온도가 450 ℃인 경우(비교예 2)에는 연화점이 300 ℃ 초과로서 코크스 등과 같은 불용분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2 차 열처리 온도가 500 ℃인 경우(비교예 3)에는 연화점이 매우 낮은 피치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2 차 열처리 온도가 1100 ℃인 경우(비교예 4)에는 휘발유분의 분리가 불가능하였다. 나아가, 3 차 열처리 온도가 100 ℃인 경우에는 연화점이 매우 낮은 피치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3 차 열처리 온도가 300 ℃인 경우에는 200 ℃를 넘는 연화점을 갖는 피치가 제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first heat treatment temperature was 300 ° C (Comparative Example 1), the solidified pitch was produced and the liquid phase. When the first heat treatment temperature was 450 ° C (Comparative Example 2), the softening point exceeded 300 ° C,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ame insoluble matter is form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a pitch with a very low softening point is formed when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500 ° C (Comparative Example 3). In the case where the secondary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1100 ° C (Comparative Example 4) It was impossible. Further, when the third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100 ° C, it can be seen that a very low softening point is formed, and when the third heat treatment temperature is 300 ° C, a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exceeding 200 ° C is produced .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은 석유계 저급원료로부터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연화점 제어를 위한 2 차적인 연화점 조절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inder pitch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binder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from the petroleum-based low-grade raw material, and can omit the secondary softening point adjusting step for controlling the softening point .

Claims (10)

석유화학 부산물을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하여 고형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형분을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2 차 열처리하여 휘발유분을 추출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3 차 열처리하여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
Treating the petrochemical by-product at a temperature of 340 ° C to 420 ° C to produce a solid component (Step 1);
(Step 2) of extracting the gasoline fraction by subjecting the solid matter produced in step 1 to a second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And
(3) heat-treating the petroleum fractions extracted in the step (2)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50 ° C to produce a binder pit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석유화학 부산물은 열분해 연료유(pyrolized fuel oil, PFO), 중질유, 초중질유, 감압잔사유(VR), 상압잔사유, FCC-DO(fluid catalytic cracking decant oil) 및 EBO(ethylene bottle oi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etrochemical by-products of step 1 above are pyrolyzed fuel oil (PFO), heavy oil, superheated oil, reduced pressure residual oil (VR), normal pressure residual oil, fluid catalytic cracking decant oil (FCC-DO) wherein the binder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vinyl alcohol,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alcoho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1 차 열처리는 30 분 내지 6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 treatment of step 1 is performed for 30 minutes to 6 hou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고형분은 150 ℃ 초과 250 ℃ 이하의 연화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lid content of the step (1) has a softening point of more than 150 ° C but not more than 250 ° 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2 차 열처리는 10 분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heat treatment of step 2 is performed for 10 minutes to 4 hou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3 차 열처리는 10 분 내지 4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heat treatment of step 3 is performed for 10 minutes to 4 hou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바인더 피치는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inder pitch of step 3 has a softening point of 100 占 폚 to 150 占 폚.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인더 피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treatment is performed in an inert gas atmosphere.
삭제delete 석유화학 부산물을 340 ℃ 내지 420 ℃의 온도에서 1 차 열처리하여 고형분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고형분을 7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2 차 열처리하여 휘발유분을 추출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추출된 휘발유분을 150 ℃ 내지 250 ℃의 온도에서 3 차 열처리하여 100 ℃ 내지 150 ℃의 연화점을 갖는 바인더 피치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바인더 피치를 이용하여 탄소 성형체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탄소 소재의 제조방법.
Treating the petrochemical by-product at a temperature of 340 ° C to 420 ° C to produce a solid component (Step 1);
(Step 2) of extracting the gasoline fraction by subjecting the solid matter produced in step 1 to a second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of 700 ° C to 900 ° C;
(3) heat treating the petroleum fractions extracted in the step (2) at a temperature of 150 ° C to 250 ° C to prepare a binder pitch having a softening point of 100 ° C to 150 ° C; And
And a step (4) of producing a carbon compact by using the binder pitch produced in the step (3).
KR1020160060758A 2016-05-18 2016-05-18 Method of manufacturing binder pitch from petroleum by-product KR101804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58A KR101804298B1 (en) 2016-05-18 2016-05-18 Method of manufacturing binder pitch from petroleum by-produ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758A KR101804298B1 (en) 2016-05-18 2016-05-18 Method of manufacturing binder pitch from petroleum by-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653A KR20170130653A (en) 2017-11-29
KR101804298B1 true KR101804298B1 (en) 2017-12-05

Family

ID=6081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758A KR101804298B1 (en) 2016-05-18 2016-05-18 Method of manufacturing binder pitch from petroleum by-produ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29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05A (en) 2018-06-29 2020-01-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anufacturing method of petroleum-based binder pitch with ideal quinoline insoluble content
KR20230030730A (en)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동양환경 Pitch manufacturing system using pyrolysis fuel oi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116B2 (en) 1988-10-21 1997-04-23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isotropic bitch for carbon fib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3116B2 (en) 1988-10-21 1997-04-23 昭和シェル石油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isotropic bitch for carbon fib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05A (en) 2018-06-29 2020-01-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anufacturing method of petroleum-based binder pitch with ideal quinoline insoluble content
KR20230030730A (en) 2021-08-26 2023-03-07 주식회사 동양환경 Pitch manufacturing system using pyrolysis fuel o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653A (en)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285936T3 (en) BEG WITH HIGH COLD VALUE
ZA200105729B (en) Method of making a reinforced carbon foam material and related product.
EP2363619A2 (en) Saturated aircraft brake preform including coal tar pitch and preparation thereof
KR10180429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binder pitch from petroleum by-product
KR101916392B1 (en) A method of preparing impregnating pitch from petroleum material and impregnating pitch prepared using the same
US4096056A (en) Method of producing an impregnating petroleum pitch
EP2845842A1 (en) Carbon-carbon composites formed using pyrolysis oil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3957957A (en) Method for preparing graphite articles
JPH0240628B2 (en)
EP3971263A1 (en) Method for producing impregnated pitch
KR20110066146A (en) Process for producing needle coke for graphite electrode and stock oil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ocess
KR10175716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kes for producing carbon molding body from petroleum by-product
US3322866A (en) Method of extruding carbon articles
KR100825092B1 (en) A preparation method of graphite solid
KR101977572B1 (en) Pitch for carbon precursor,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WO2002040616A1 (en) Amorphous coke for special carbonaceous materia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132162B2 (en)
KR20230071410A (en) Petroleum-based impregnated pitch manufacturing method and petroleum-based impregnated pitch manufactured using the same
RU2179176C2 (en) Method for production of low-sulfur electrode coke
KR10209424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arbon formed body
JPS59207822A (en) Production of carbon material
JP7167815B2 (en) Raw coke production method
CN112175137B (en) Production process of green environment-friendly carbon-based resin material
KR101927615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etroleum-based binder pitch with high quinoline-insoluble content
EP4067459A1 (en) Improved pitch product,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