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092B1 - Drop notice device of slit insert type - Google Patents

Drop notice device of slit insert ty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092B1
KR101804092B1 KR1020170028490A KR20170028490A KR101804092B1 KR 101804092 B1 KR101804092 B1 KR 101804092B1 KR 1020170028490 A KR1020170028490 A KR 1020170028490A KR 20170028490 A KR20170028490 A KR 20170028490A KR 101804092 B1 KR101804092 B1 KR 10180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column
bar
holding ba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정숭
Original Assignee
전정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숭 filed Critical 전정숭
Priority to KR102017002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0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0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device (90), comprising: a column (100); posting tables (300, 300); and a driving portion. As such, b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ting tables (300, 300) can be easily lifted up, and maintenance and repair in case of malfunction thereof can be easily performed. In addition, a structure of the banner posting device is simple so that production costs are low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technique.

Description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 {DROP NOTICE DEVICE OF SLIT INSERT TYPE}[0001] DROP NOTICE DEVICE OF SLIT INSERT TYPE [0002]

본 발명은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현수막을 게시대의 슬릿에 삽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경기술에 비해서 게시대의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이 가능하며, 게시대를 상승시킬 때 현수막이 홀딩된 것만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which is configured to insert a banner into a slit of a post, And a slit-insertion-type banner-topography device.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의 구성과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의 게시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기둥으로부터 게시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4는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게시대의 홀딩바에 현수막을 끼우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al banner of the postal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stal matter posting apparatus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putting a banner on a holding bar of a bulletin board in a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일반적으로 현수막은 지면에 세워진 양측의 기둥에 끈으로 묶어서 게시한다. 그런데 이 경우 작업자가 사다리를 이용하여 높은 데까지 올라가서 현수막을 결속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In general, the placard is posted with strings attached to the pillars on both sides of the floor. However, in this case, the worker had to climb the elevated ladder using the ladder to bind the placard, and safety accidents might occur.

이에 작업자가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지상에서 높은 곳에 현수막(C)을 용이하게 게시할 수 있도록, 선행기술문헌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6785호(2015년 03월 26일)에서는 다음과 같은 현수막 게시장치(1)를 시사하고 있다.In order to allow the operator to easily place the banner (C) on a high place on the ground without using a ladde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476785 (March 26, 2015) And the publishing apparatus 1 is shown.

지반에 고정되어 양측으로 세워진 기둥(10)이 구성되고, 상기 기둥(10)이 벌어지거나 좁혀지지 않도록 양측 기둥(10)의 상부에 연결된 지지대(15)가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 기둥(10)의 상호 대향부에 각각 장착되어 승강하는 것으로서 현수막(C)이 홀딩되는 게시대(20, 30)가 구성된다. 그리고 일측의 상기 기둥(11)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게시대(20, 3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가 구성된다. 또한, 양측의 상기 게시대(20, 30) 중 맨 상부까지 올라가는 양측의 첫 번째 게시대(20)는 연결대(17)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동시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A column 10 fixed to the ground is formed on both sides and a support 15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both columns 10 is constructed so that the column 10 is not opened or narrowed. The hanging bases 20 and 30 are mount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pillars 10, respectively, and are elevated and lowered to hold the banner C thereon. And a driving unit mounted inside the column 11 on one side to elevate and lower the table boards 20 and 30. In addition, the first bulletin board 20 on both sides of the bulletin boards 20 and 30 on both sides of the bulletin boards 20 and 3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simultaneously by being connected by the connection board 17. [

또한, 상기 게시대(20, 30) 중 일측은, 도 2의 우측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기둥(10)에 지지되어 승강하는 메인바(22, 32)가 구성되고, 상기 메인바(22, 32)의 상단에 장착되어 후술하는 회전바(25, 35)의 회전을 제동하는 잠금장치(21, 31)가 구성되며, 하단에는 후술하는 회전바(25, 35)를 지지하는 플랜지(23, 33)가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2, one side of the table boards 20 and 30 is constituted by main bars 22 and 32 supported by the column 10, and the main bars 22 and 32 Locking devices 21 and 31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bars 25 and 35 to be described later and flanges 23 and 33 for supporting the rotary bars 25 and 35 ).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21, 31)와 플랜지(23, 33)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회전바(25, 35)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바(25, 35)의 하부에 축이음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된 홀딩바(27, 37)가 구성되며, 상기 회전바(25, 35)에 장착되어 상기 홀딩바(27, 37)의 회동을 억제하는 ㄷ형의 잠금쇠(29, 39)가 구성된다.The rotation bars 25 and 35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locking devices 21 and 31 and the flanges 23 and 33. The rotation bars 25 and 35 Shaped catches 29 and 39 which are mounted on the rotary bars 25 and 35 and restrain the holding bars 27 and 37 from rotating.

상기 게시대(20, 30) 중 상대측의 것은, 도 2의 좌측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잠금장치(21, 31) 대신에 플랜지(26, 36)가 구성되고, 나머지 구조는 상기 일측의 게시대(20, 30)의 구조와 동일하다. 2, flanges 26 and 36 are formed in place of the locking devices 21 and 31, and the remaining structures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able 20 , 30).

상기 게시대(20, 30)는 상하방으로 다수가 구비되어 순차대로 상방으로 올라가고 내려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맨 상부까지 올라가는 첫 번째 게시대(20)가 상승하게 되면 그 아래에 배치된 두 번째 게시대(30)는 첫 번째 게시대(20)에 걸려서 올라가게 된다. The bulletin boards 20 and 30 are vertically arranged so that they can be sequentially moved up and down. That is, when the first bulletin board 20 ascending to the uppermost level rises, the second bulletin board 30 disposed below the first bulletin board 20 hits the first bulletin board 20.

상기 구동부는 상기 첫 번째 게시대(20)의 상단에 연결된 로프가 구성되고, 상기 기둥(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로프가 감기는 상부롤러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로프는 상부롤러를 통해서 하방으로 이어지고, 상기 기둥(10)의 내부에는 하방으로 이어진 상기 로프를 감는 하부롤러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에 연결되어 기둥(10)의 외부로 노출되는 핸들이 구성된다. 상기 핸들에는 회전을 중단시키는 잠금장치가 구성된다. The driving unit includes a rope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first bulletin board 20 and an upper roller installed inside the column 10 to wind the rope. The rope extends downward through an upper roller, and a lower roller is wound on the inside of the column to wind the rope extending downward. Further, a handle connected to the lower roll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lumn 10 is formed. The handle is provided with a locking device for stopping the rotation.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1)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n operation process of the banner pos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will be described below.

작업자가 양측의 대응되는 게시대(20, 30)에 현수막(C)을 홀딩시킨다. 이때에는 도 4에서처럼, 상기 잠금쇠(29, 39)를 해제하여 상기 홀딩바(27, 37)를 회동시켜 상기 메인바(22, 32)에서 벌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각각의 홀딩바(27, 37)에 현수막(C)의 양측 단부가 끼워지도록 한 후, 홀딩바(27, 37)를 역방향으로 재껴서 잠금쇠(29, 39)로 홀딩바(27, 37)가 벌어지지 않도록 잠근다.The worker holds the placard C on the corresponding bulletin boards 20 and 30 on both sides.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the catches 29 and 39 are released and the holding bars 27 and 37 are rotated to open the main bars 22 and 32. The holding bars 27 and 37 are then retracted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e holding bars 27 and 37 are fastened with the fasteners 29 and 39 after the opposite ends of the banner C are fitted to the respective holding bars 27 and 37. [ Lock it so that it does not open.

그리고 잠금장치(21, 31)가 구성된 일측의 게시대(20, 30)의 회전바(25, 35)를 현수막(C)이 감기는 방향으로 돌린다. 이때 잠금장치(21, 31)에 의해서 회전바(25, 35)는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해서 현수막(C)이 팽팽해지면 회전바(25, 35)를 돌리는 작업을 멈춘다. The rotary bars 25 and 35 of the table boards 20 and 30 on one side where the locking devices 21 and 31 are formed are turn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ner C is wound. At this time, the locking devices 21 and 31 do not cause the rotating bars 25 and 35 to rotate in the unwinding direction. Thus, when the banner C becomes tense, the operation of turning the rotary bars 25, 35 is stopped.

그리고 상기 핸들을 로프가 감기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게시대(20, 30)는 순차대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게시가 완료되면 상기 핸들이 역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잠금장치가 작동하도록 한다. 그러면, 각각의 현수막(C)은 상하방으로 게시된 상태가 된다. When the handle is tur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rope is wound, the table posts 20 and 30 are sequentially raised. Thus, when the posting is completed, the locking device is operated so that the handle does not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n, each of the banners C is posted in the upper and lower rooms.

이 상태에서 현수막(C)을 내릴 때에는 상기 잠금장치를 해제하게 되면 중력에 의해서 상기 게시대는 자체 중량에 의해서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게시대(20, 30) 중 일측에 장착된 상기 잠금장치(21, 31)를 해제하여 상기 회전바(25, 35)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쇠(29, 39)를 해제하여 홀딩바(27, 37)를 회동시킨 후에 현수막(C)을 이탈시키므로 작업이 종료된다. When the banner C is lowered in this state, when the locking device is released, the table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due to gravity. The locking devices 21 and 31 mounted on one of the table boards 20 and 30 are released and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ng bars 25 and 35. Then, after releasing the catches 29 and 39 and rotating the holding bars 27 and 37, the banner C is released and the operation is completed.

그런데 상기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banner pos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 게시대(20, 30)는 현수막(C)을 홀딩하기 위해서 일측 게시대(20, 30)의 회전바(25, 35)에 잠금장치(21, 31)가 장착되고, 상기 메인바(22, 32)에는 홀딩바(27, 37)가 회동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홀딩바(27, 37)의 벌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쇠(29, 39)가 별도로 필요로 하게 된다. 특히, 상기 잠금장치(21, 31)은 래칫기어와 상기 래칫기어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클로(claw)를 필요로 한다. 이처럼, 배경기술은 게시대(20, 30)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중량이 증대되어 상기 핸들을 돌려서, 상하방으로 연계된다수 개의 게시대(20, 30)를 상승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서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Locking devices 21 and 31 are mounted on the rotary bars 25 and 35 of the bobbins 20 and 30 in order to hold the banner C, The holding bars 27 and 37 are mounted to rotate so that separate catches 29 and 39 are required to prevent the holding bars 27 and 37 from spreading. In particular, the locking devices 21, 31 require a ratchet gear and a claw that stops rotation of the ratchet gear. As a result, since the structure of the bulletin boards 20 and 30 is complicated, the weight of the bulletin boards 20 and 30 increases, so that it is difficult to raise the plurality of the bulletin boards 20 and 30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rooms by turning the handl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and maintenance is difficult.

둘째, 한 장의 현수막(C)을 올릴 때에도 상하방으로 연계된 다수 개의 게시대(20, 30)가 동시에 상승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때 필요 이상이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수막(C)이 장착된 게시대(20, 30)만 올리게 된다면 현수막(C)이 홀딩되지 않은 게시대(20, 30)는 올리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무게 감량으로 인해서 게시대(20, 30)를 상승시키는 작업이 수월하겠지만 배경기술은 그렇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Secondly, even when a single banner C is loaded, a large number of post boards 20, 30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rooms are elevated at the same time. That is, if only the bulletin boards 20 and 30 on which the banner C is mounted are raised, the bulletin boards 20 and 30 without the banner C are not lifted up, Although the work would be easy, the background technology did not.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76785호 (2015년 03월 26일)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6785 (March 26, 2015)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The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상기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것처럼, 게시대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중량이 증대되어 상기 핸들을 돌려서, 상하방으로 연계된 다수개의 게시대를 상승시키는 작업이 힘들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서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First, a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since the structure of the bulletin board is complicated, the weight is increased, and it is difficult to rotate the handle so as to raise a plurality of bulletin board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rooms,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complicated structure, There was a problem that maintenance was difficult.

둘째, 한 장의 현수막을 올릴 때에도 상하방으로 연계된 다수 개의 게시대가 동시에 상승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때 필요 이상이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현수막이 홀딩된 게시대만 올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Second, even when a single banner is placed, a plurality of posting bands linked to the upper and lower rooms are lifted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banner can be raised only by the holding post, thereby enabling efficient operation.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지반에 지지되어 양측에 세워지는 기둥과, 상기 기둥의 상호 대향부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것으로서 현수막의 양측부를 홀딩하는 게시대와, 상기 기둥 중 일측 기둥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게시대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은 상기 게시대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대향부에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슬롯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게시대는 각각의 상기 슬롯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슬롯으로 관통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슬롯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기둥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롤러와, 상기 블록에 장착되고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메인바(main bar)와, 상기 메인바에 장착되어 현수막을 지지하는 홀딩바(holding bar)를 포함하는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A column that is supported on the ground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column, a column that is mounted on the mutually opposing portions of the column to hold both side portions of the column, and a driving portion mounted inside one column of the columns to raise and lower the column The pillar includes a slot formed in the opposing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nd arranged in a plurality of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so that the bulletin board can be mounted. In addition, the bulletin boar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ock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lots, and includes a block received in the inside of the column and passing through the slot, and a block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lock, And a holding bar mounted on the main bar and adapted to support a banner, wherein the slider includes: a roller suppor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ar, a main bar mounted on the block and elongated in an upper and lower direction, An apparatus comprising:

상기 메인바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부착된 상부플랜지 및 하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 연결된 파이프 형상의 상기 홀딩바와, 상기 상부플랜지에 관통되어 상기 홀딩바의 내부와 연결되는 통공과, 상기 상부플랜지와 홀딩바에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과 홀딩바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슬릿을 포함한다.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attach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ar, a pipe-shaped holding bar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flange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lding bar, And a slit 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flange and the holding bar, and penetrating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holding bar.

또한, 상기 게시대 중 맨 상부에 배치되는 첫 번째 게시대의 하부플랜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부걸림돌기와, 상기 게시대의 하부에 다수 개가 차례대로 배치되는 게시대의 상부 플랜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하부걸림돌기에 걸리는 상부걸림돌기와, 상기 게시대의 하부플랜지에, 상기 상부걸림돌기의 반대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걸림돌기를 포함한다. The lower hanging projection is connect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first hanging base disposed at the uppermost of the bulletin boards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upper flange of the hanging base, An upper locking protrusion hooked on the lower locking protrusion and a lower locking protrusion connected to the lower flange of the table top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또한, 양측에 대응되는 상기 게시대 중, 일측 게시대의 홀딩바의 상방으로 끼워지는 삽입바와, 상기 게시대 중 상대측 게시대의 홀딩바의 상대측 상부플랜지의 통공과 홀딩바의 내측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가 외측면에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딩바의 내측에 수용되는 2개의 스틱을 포함한다. And an insertion hole formed in a through hole of a mating upper flange of the holding bar of the opposite bulletin board of the bulletin board and an inner hole of a holding bar of the bulletin board of the bulletin board, A cap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le screw portion to be fastened to the female thread portion, and two sticks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cap and received in the holding bar.

본 발명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mentioned solution.

첫째, 상기 게시대의 구조가 배경기술에 비해서 간단하면서도 현수막을 용이하게 홀딩시킬 수 있다. 즉, 부속의 갯수가 배경기술에 비해서 적기 때문에 경량이 가능하므로 게시대를 올리기 용이하고,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고, 간단한 구조로 인해서 생산단가가 배경기술에 비해서 저렴한 효과도 있다.First, the structure of the bulletin board is simple compared to the background art, and the banner can be easily held. In other words, since the number of part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background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lighten the weight, so that it is easy to raise the posting board and the maintenance is easy even in case of failure. have.

둘째, 현수막이 홀딩되지 않은 게시대는 제외시키고 현수막이 홀딩된 게시대만 올릴 수 있기 때문에 현수막을 올릴 때 힘이 적게 소요되어 작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Secondly, it is easy to operate because it requires less power when raising a banner because it can lift a postage board holding a banner without excluding a postage banner without holding a banner.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의 게시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기둥으로부터 게시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4는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에서 게시대의 홀딩바에 현수막을 끼우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양측 게시대에서 삽입바와 캡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양측 게시대에 현수막이 홀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일측 게시대에 구성되는 캡에 현수막의 일측이 감기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양측의 게시대에 현수막이 홀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의 일측 기둥으로부터 일측의 게시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의 게시대에 장착된 걸림돌기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banner of a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Fig. 3 is a loc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 post is separated from a column in a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Fig.
4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putting a banner on a holding bar of a bulletin board in a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r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ertion bar and a cap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a side board mounted on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holding a banner on both side bands mounted on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winding one side of a banner on a cap formed on one side post which is mounted on the slit insertion type placard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is held on both sides of a slant-insertion-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side post is separated from one side post of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atching protrusion mounted on a table of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Fig.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양측 게시대에서 삽입바와 캡이 분리된 것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양측 게시대에 현수막이 홀딩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일측 게시대에 구성되는 캡에 현수막의 일측이 감기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양측의 게시대에 현수막이 홀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의 일측 기둥으로부터 일측의 게시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의 게시대에 장착된 걸림돌기가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ertion bar and a cap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a side board mounted on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is held on both side banners mounted on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of a slan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nner is held on both sides of a banner to be mounted on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ostage board on one side is separated from one side post of a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now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with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that through-hole group is attached to the barrier gesidae rotation of banners publishing unit Fig.

현수막(C)을 달 수 있는 현수막 게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구성을 포함한다. The banner posting device for placing the banner (C) includes the following general configuration.

지반에 지지되어 양측에 세워지는 기둥(100)이 구성되고, 상기 기둥(100)의 상호 대향부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것으로서 현수막(C)의 양측부를 홀딩하는 게시대(300, 3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100) 중 일측 기둥(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게시대(300, 30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가 구성된다. The columns 100 are supported on the ground so as to be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columns 100. The columns 100 are mounted on opposite portions of the columns 100 to be elevated and lowered to form a table 300 or 300 ' . Further, a driving unit mounted on one of the posts 100 of the column 100 to elevate and lift the table boards 300 and 300 'is formed.

또한, 상기 기둥(100)은 상기 게시대(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대향부(B)에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슬롯(1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의 상기 기둥(100)의 상부에는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지대(11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The column 100 includes slots 120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counterpart B so as to allow the bulletin board 300 to be mounted thereon. And a support stand 11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lumn 100 on both sides to prevent a phenomenon of flaring or narrowing.

또한, 상기 게시대(300, 300')는 각각의 상기 슬롯(120)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10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슬롯(120)으로 관통되는 블록(310)이 구성되며, 상기 블록(310)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슬롯(12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기둥(10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롤러(3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310)에 장착되고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메인바(330, main bar)가 구성되고, 상기 메인바(330)에 장착되어 현수막(C)을 지지하는 홀딩바(340, holding bar)가 구성된다.The blocks 300 and 300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block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lots 120. The blocks 310 accommodated in the column 100 and passing through the slots 120 And a roller 320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lock 310 and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10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lot 120 is formed. A main bar 330 is mounted on the block 310 and is elongated up and down. A holding bar 340, which is mounted on the main bar 330 and supports the banner C, ).

또한, 양측에 대향하는 것으로서, 상기 게시대(300, 300') 중 맨 상부에 배치되는 첫 번째 게시대(300)는 연결대(130)로 연결되므로 동시에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bulletin board 300 disposed at the top of the bulletin boards 300 and 300 'is connected to the link 130 so that the first bulletin board 300 can be raised and lowered at the same time.

상기 구성에서 다수 개의 상기 게시대(300, 300')는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구동부는 맨 상부의 첫 번째 게시대(300)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게시대(300)가 승강될 때 하부의 게시대(300')들은 순차대로 상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lurality of table boards 300 and 300 'are configured to be vertically moved up and down, and the driving unit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the first table board 300 at the top, And the lower posts 300 'move sequentially in the upper and lower rooms.

상기 구동부는, 상기 기둥(100)의 내부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상부롤러(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고, 상기 첫 번째 게시대(300)의 상단에 연결되어 기둥(100)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상기 상부롤러(도시하지 않음)에 감겨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프(R)가 구성되며, 상기 기둥(100)의 내측 하방에는 상기 로프(R)가 감기는 하부롤러(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는 핸들(H)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H)의 회전을 제동하는 잠금장치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H)은 정역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게시대(300, 300')는 승강하게 된다. The driving unit includes an upper roller (not shown) mounted to pivot inside the column 100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lumn 300 to be received in the column 100, And a lower roller (not shown) in which the rope R is wound is formed below the inside of the column 100. The lower roller (not shown) is wound around a roller (not shown) And a handle H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lumn 100 and connected to the lower roller (not shown). A locking device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H) is constituted. Accordingly, when the handle H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table posts 300 and 300 'are raised and lowered.

본 발명은 상기 현수막 게시장치(90)에 있어서, 현수막(C)을 잡아주는 상기 홀딩바(340)의 구조를 배경기술에 비해서 간단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경량이 가능하고 생산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고, 상기 다수 개의 게시대(300, 300') 중 현수막(C)이 설치된 것만 올릴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작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nner posting apparatus 90, the structure of the holding bar 340 for holding the banner C is configured to be simple compared with the background art, so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and the production cost , And the banner (C) among the plurality of banners (300, 300 ') is mounted,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is facilitat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상기 메인바(3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부착된 상부플랜지(331) 및 하부플랜지(333)가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331)와 하부플랜지(333)에 연결된 파이프 형상의 상기 홀딩바(3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플랜지(331)에 관통되어 상기 홀딩바(340)의 내부와 연결되는 통공(347)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331)와 홀딩바(340)에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347)과 홀딩바(34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슬릿(341)이 구성된다. The upper flange 331 and the lower flange 333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ar 330 and the pipe-shaped holding bar 333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331 and the lower flange 333, 340). A through hole 347 passing through the upper flange 331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lding bar 340 is formed and is formed in the upper flange 331 and the holding bar 3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A slit 341 penetrating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347 and the holding bar 340 is formed.

또한, 상기 게시대(300, 300') 중 맨 상부의 게시대(300)의 상부플랜지(331)에 상기 연결대(130)가 연결되어 구성된다. The connection block 130 is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331 of the top board 300 of the uppermost of the boards 300 and 300 '.

또한, 상기 게시대(300, 300')는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게시대(300, 300') 중 맨 상부에 배치되는 첫 번째 게시대(300)의 하부플랜지(33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부걸림돌기(339)가 구성되고, 상기 게시대(300)의 하부에 다수 개가 차례대로 배치되는 게시대(300')의 상부 플랜지(33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하부걸림돌기(339)에 걸리는 상부걸림돌기(33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게시대(300')의 하부플랜지(333)에, 상기 상부걸림돌기(335')의 반대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걸림돌기(339')가 구성된다. In order to sequentially rise and descend the bulletin boards 300 and 300 ', the bottom flanges 333 of the first bulletin board 300 disposed at the top of the bulletin boards 300 and 300' The lower hanging protrusion 339 is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331 of the banter 300 'which is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nter 300 in order, And an upper latching protrusion 335 'caught by the base 339 is formed. A lower locking protrusion 339 'connected to the lower flange 333 of the table 300' so as to be rotatabl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335 '.

상기 상부걸림돌기(335')와 하부걸림돌기(339, 339')는 플레이트 형상의 것으로서 각각 상부플랜지(331)와 하부플랜지(333)에 핀이음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upper latching protrusion 335 'and the lower latching protrusions 339 and 339' are plate-shaped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by being pinned to the upper flange 331 and the lower flange 333, respectively.

상기 첫 번째 게시대(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게시대(300') 중 맨 하부에 배치되는 게시대(300')는 하부에 다른 게시대(300')가 걸리지 않기 때문에 상기 하부걸림돌기(339')가 구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Since the other table 300 'is not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table 300'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table 300 'disposed below the first table 300, the lower table 339' ) May not be constituted.

따라서, 상기 첫 번째 게시대(300)의 하부걸림돌기(339)가, 하부에 배치되는 두 번째 게시대(300')의 상부걸림돌기(335')에 걸리고, 상기 두 번째 게시대(300')의 하부걸림돌기(339')는, 두 번째 게시대(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세 번째 게시대(300')의 상부걸림돌기(335')에 걸리고, 상기 두 번째 게시대(300')의 하부에는 상기 걸림 구조로 게시대(300')가 연결됨으로써, 순차적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The lower hanging protrusion 339 of the first hanging table 300 is caught by the upper hanging protrusion 335 'of the second hanging table 300' The catching protrusion 339 'is caught by the upper catching protrusion 335' of the third catching platform 300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catching platform 300' And the posts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latching structure.

또한, 양측에 대응되는 게시대(300, 300') 중, 일측 게시대(300, 300')의 홀딩바(340)의 상방으로 끼워지는 삽입바(350)가 구성되는데 하부플랜지(333)에 지지됨으로써 하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게시대(300, 300') 중 상대측 게시대(300, 300')의 홀딩바(340)의 상부플랜지(331)의 통공(347)과 홀딩바(340)의 내측홀에 암나사부(3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암나사부(343)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363)가 외측면에 형성된 캡(360)이 구성되고, 상기 캡(36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딩바(340)의 내측에 수용되는 2개의 스틱(365)이 구성된다. The insertion bar 350 is f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holding bar 340 of one of the table boards 300 and 30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of the table 300 and is supported on the lower flange 333 There is no phenomenon that it is deviated downward. A through hole 343 is formed in the through hole 347 of the upper flange 331 of the holding bar 340 of the opposite bulletin board 300 or 300 'and the inner hole of the holding bar 340, . A cap 36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le screw portion 363 to be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343. The cap 36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ap 360 and is received in the holding bar 340 Two sticks 365 are constituted.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게시대(300, 300')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캡(360)이 장착되는 게시대(300, 300')의 상대측 게시대(300, 300')에, 현수막(C)의 일측 단부에 상기 삽입바(350)를 끼워서 상대측 게시대(300, 300')의 통공(347)을 통해서 홀딩바(340)의 내측으로 끼워 넣는다. 이때, 현수막(C)은 상기 슬릿(341)을 통과하게 된다. The insertion of the banner C into one side end of the banner C is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banner 300 or 300 'of the banner 300 or 300' on which the cap 360 is mounted in a state where the banner 300 or 300 ' The bar 350 is sandwiched and inserted into the holding bar 340 through the through hole 347 of the opposite side post 300 and 300 '. At this time, the banner C passes through the slit 341.

상기 현수막(C)은 양측 단부에 홀이 형성되도록 재봉질 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삽입바(350)를 끼울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삽입바(350)가 슬릿(341)에 걸리기 때문에 현수막(C)을 당겨도 홀딩바(340)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때, 삽입바(350)는 하부플랜지(333)에 의해서 하방으로 이탈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Since the banner C is sewn to form holes at both ends thereof, the insertion bar 350 can be inserted. Since the insertion bar 350 is caught by the slit 341, the banner C is not pulled out from the holding bar 340 even when the banner C is pulled. At this time, the phenomenon that the insertion bar 350 is released downward by the lower flange 333 does not occur.

그리고 상대측 현수막(C)의 단부에는 상기 스틱(365) 중 일측을 끼우고 양측 스틱(365)을, 현수막(C)이 홀딩된 게시대(300, 300')의 상대측 게시대(300, 300')의 홀딩바(340)에 끼워 넣는다. 이때, 현수막(C)은 상기 슬릿(341)을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캡(360)을 돌려서 홀딩바(340)에 체결되도록 한다. 그러면 2개의 스틱(365)이 회전하면서 현수막(C)을 감아서 인장하게 된다. 이때, 현수막(C)은 슬릿(341)을 통과하여 양측 스틱(365)에 감기게 된다. 따라서, 현수막(C)은 펴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양측 게시대(300, 300')의 롤러(320)는 기둥(100)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One side of the stick 365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opposite side banner C and the both side sticks 365 are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opposite side of the banner 300 or 300 ' And is inserted into the holding bar 340. At this time, the banner C passes through the slit 341. Then, the cap 360 is rotated to be fastened to the holding bar 340. Then, the two sticks 365 are rotated and the banner C is wound and stretched. At this time, the banner C passes through the slit 341 and is wound on the both side sticks 365. Thus, the banner C is in a spread state. Therefore, the rollers 320 of the two side tables 300 and 300 'can be raised and lower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column 100.

그러고 나서, 상기 핸들(H)을 돌려서 구동부를 작동시키면 로프(R)가 맨 상부에 배치되는 첫 번째 게시대(300)를 올리게 된다. 이때, 양측에 대향하는 상기 게시대(300)는 연결대(13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Then, when the driving unit is operated by turning the handle H, the first bulletin board 300 on which the rope R is disposed is raised. At this time, since the bulletin board 300 facing both sides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block 130, the bulletin board 300 is simultaneously raised and lowered.

그리고 상기 게시대(300)의 하부플랜지(333)에 구성된 하부걸림돌기(339)의 상부에, 하부의 두 번째 게시대(300')의 상부플랜지(331)에 구성된 상부걸림돌기(335')가 걸려진 상태이므로 상기 게시대(300')도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게시대(300')의 하부플랜지(333)에 구성된 하부걸림돌기(339')의 상부에, 하부의 세 번째 게시대(300')의 상부플랜지(331)에 구성된 상부걸림돌기(335')가 걸려진 상태이므로 상기 게시대(300')도 따라서 상승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다수의 게시대(300, 300')는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An upper locking protrusion 335 'formed on the upper flange 331 of the lower bulb 30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locking protrusion 339 formed in the lower flange 333 of the table board 300 The bulletin board 300 'also rises. An upper latching protrusion 335 'formed on the upper flange 331 of the lower third post 300' is formed on the lower latching protrusion 339 'formed on the lower flange 333 of the post 300' The bulletin board 300 'is also raised. In this way, the plurality of table boards 300 and 300 'sequentially rise upward.

현수막(C)을 내릴 때에는 상기 핸들(H)을 역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로프(R)가 하강하면서 첫 번째 게시대(300)가 하강하게 되므로 하방에 배치된 게시대(300')들도 순차적으로 내려오게 된다. When the banner C is lowered, when the handle H is turn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first bulletin board 300 is lowered while the rope R is lowered, so that the lower bulletin boards 300 'are sequentially lowered .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게시대(300, 300')의 구조가 배경기술에 비해서 간단하면서도 현수막(C)을 용이하게 홀딩시킬 수 있다. 즉, 부속의 갯수가 배경기술에 비해서 적기 때문에 경량이 가능하므로 게시대(300, 300')를 올리기 용이하고,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간단한 구조로 인해서 생산단가가 배경기술에 비해서 저렴한 이점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hold the banner C while the structure of the bulletin boards 300 and 300 'is simple compared with the background art. That is, since the number of the accessories is smaller than that of the background art, it is possible to raise the bulletin boards 300 and 300 'since the light bulb can be lightweight, and maintenance is easy even when a failure occurs. And because of its simple structure, the cost of production is lower than that of background technology.

이때, 도 11에서처럼, 상기 하부걸림돌기(339, 339') 및 상부걸림돌기(335')는 회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부플랜지(331)나 하부플랜지(333)의 내측으로 돌리게 되면 외측방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상호 걸리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현수막(C)이 홀딩된 게시대(300, 300')만 올릴 수 있다. 일례로서, 2장의 현수막(C)만 올린다면 세 번째와 네 번째 게시대(300')는 제외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핸들(H)을 돌려서 게시대(300, 300')를 올릴 때 힘이 적게 드는 이점이 있다. 11, since the lower locking protrusions 339 and 339 'and the upper locking protrusions 335' are rotatable, when they are turned inward of the upper flange 331 and the lower flange 333, So that the phenomenon of mutual engagement does not occur. Therefore, only the bulletin boards 300 and 300 'on which the placard C is held can be raised. As an example, if only two banners C are to be posted, the third and fourth bulletin boards 300 'can be exclud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when the handlebar H is turned to raise the banjo 300, 300 ', the force is less.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for purposes of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90: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 100: 기둥
110: 지지대 120: 슬롯
130: 연결대 300, 300': 게시대
310: 블록 320: 롤러
330: 메인바 331: 상부플랜지
333: 하부플랜지 335': 상부걸림돌기
339, 339': 하부걸림돌기 340: 홀딩바
341: 슬릿 343: 암나사부
350: 삽입바 360: 캡
365: 스틱 363: 수나사부
90: slit insertion type placard publishing device 100: column
110: Support 120: Slot
130: Links 300, 300 ': Bulletin board
310: block 320: roller
330: Main bar 331: Upper flange
333: Lower flange 335 ': Upper locking projection
339, 339 ': lower stopper protrusion 340: holding bar
341: Slit 343: Female thread portion
350: insert bar 360: cap
365: stick 363: male thread

Claims (3)

삭제delete 지반에 지지되어 양측에 세워지는 기둥(100)과,
상기 기둥(100)의 상호 대향부에 장착되어 승강하는 것으로서 현수막(C)의 양측부를 홀딩하는 게시대(300, 300')와,
상기 기둥(100) 중 일측 기둥(10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게시대(300, 300')를 승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100)은 상기 게시대(30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대향부(B)에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방으로 다수 개가 배치된 슬롯(120)을 포함하고,
상기 게시대(300, 300')는 각각의 상기 슬롯(120)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가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100)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 슬롯(120)으로 관통되는 블록(310)과,
상기 블록(310)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슬롯(12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기둥(100)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롤러(320)와,
상기 블록(310)에 장착되고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메인바(330, main bar)와,
상기 메인바(330)에 장착되어 현수막(C)을 지지하는 홀딩바(340, holding bar)를 포함하는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33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부착된 상부플랜지(331) 및 하부플랜지(333)와,
상기 상부플랜지(331)와 하부플랜지(333)에 연결된 파이프 형상의 상기 홀딩바(340)와,
상기 상부플랜지(331)에 관통되어 상기 홀딩바(340)의 내부와 연결되는 통공(347)과,
상기 상부플랜지(331)와 홀딩바(340)에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347)과 홀딩바(34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는 슬릿(341)을 포함하고,
상기 게시대(300, 300') 중 맨 상부에 배치되는 첫 번째 게시대(300)의 하부플랜지(33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부걸림돌기(339)와,
상기 게시대(300)의 하부에 다수 개가 차례대로 배치되는 게시대(300')의 상부 플랜지(331)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하부걸림돌기(339)에 걸리는 상부걸림돌기(335')와,
상기 게시대(300')의 하부플랜지(333)에, 상기 상부걸림돌기(335')의 반대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하부걸림돌기(33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
A column 100 supported on the ground and erected on both sides,
(300, 300 ') mounted on the mutually opposite portions of the column (100) to hold both sides of the placard (C)
And a driving unit installed in one of the posts 100 of the column 100 to elevate the table 300, 300 '
The column 100 includes a slot 120 formed in the counter portion B so as to be vertically long and arranged in a plurality of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bulletin boards 300 and 300 'include a plurality of bulletin boards 300 and 300' corresponding to the slots 120,
A block 310 accommodated in the column 100 and passing through the slot 120,
Rollers 320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block 310 and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lumn 100 at both sides of the slot 120,
A main bar 330 mounted on the block 310 and formed as a vertically long bar,
And a holding bar (340) mounted on the main bar (330) to support the banner (C), the slit insertion type banner posting apparatus comprising:
An upper flange 331 and a lower flange 333 respectively attached to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ar 330,
Shaped holding bar 340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331 and the lower flange 333,
A through hole 347 passing through the upper flange 331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holding bar 340,
And a slit 341 formed at the same ti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flange 331 and the holding bar 340 and penetrating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347 and the holding bar 340,
A lower locking protrusion 339 rotatably connected to a lower flange 333 of a first bulletin board 300 disposed at the top of the bulletin boards 300 and 300 '
An upper locking protrusion 335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flange 331 of the table board 300' and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lower locking protrusion 339, Wow,
And a lower locking protrusion 339 'connected to the lower flange 333 of the table 300'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335 ' Publish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양측에 대응되는 게시대(300, 300') 중, 일측 게시대(300, 300')의 홀딩바(340)의 상방으로 끼워지는 삽입바(350)와,
상기 게시대(300, 300') 중 상대측 게시대(300, 300')의 홀딩바(340)의 상부플랜지(331)의 통공(347)과 홀딩바(340)의 내측홀에 형성된 암나사부(343)와,
상기 암나사부(343)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363)가 외측면에 형성된 캡(360)과,
상기 캡(360)의 하단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홀딩바(340)의 내측에 수용되는 2개의 스틱(3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 삽입식 현수막 게시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 insertion bar 350 which is fitted over the holding bar 340 of one bulletin board 300 or 300 'among the bulletin boards 300 and 300' corresponding to both sides,
A through hole 347 of the upper flange 331 of the holding bar 340 of the opposite bulletin board 300 or 300 'of the bulletin board 300 or 300' and a female thread 343 formed in the inner hole of the holding bar 340, Wow,
A cap 360 having a male screw portion 363 form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to be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343,
And two sticks (365)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cap (360) and received inside the holding bar (340).
KR1020170028490A 2017-03-06 2017-03-06 Drop notice device of slit insert type KR1018040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90A KR101804092B1 (en) 2017-03-06 2017-03-06 Drop notice device of slit insert ty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90A KR101804092B1 (en) 2017-03-06 2017-03-06 Drop notice device of slit insert ty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092B1 true KR101804092B1 (en) 2017-12-01

Family

ID=6092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90A KR101804092B1 (en) 2017-03-06 2017-03-06 Drop notice device of slit insert ty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09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42B1 (en) 2017-08-01 2018-10-24 이재걸 Placard notice device of both directions winding type
KR102180589B1 (en) * 2020-05-20 2020-11-18 전정숭 A screen hanger
KR102207090B1 (en) * 2020-07-13 2021-01-25 전정숭 A screen hang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85Y1 (en) * 2014-12-03 2015-04-08 이재걸 Placard notice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85Y1 (en) * 2014-12-03 2015-04-08 이재걸 Placard notic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42B1 (en) 2017-08-01 2018-10-24 이재걸 Placard notice device of both directions winding type
KR102180589B1 (en) * 2020-05-20 2020-11-18 전정숭 A screen hanger
KR102207090B1 (en) * 2020-07-13 2021-01-25 전정숭 A screen ha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092B1 (en) Drop notice device of slit insert type
KR101764090B1 (en) Automatic going up and down type drop curtain notice device
CN211447718U (en) Well operation platform
US3017968A (en) Scaffold
WO2017101757A1 (en) Foldable tray
US4641728A (en) Scaffold system
JP3285840B2 (en) Safety belt mounting device
US2857026A (en) Device for erecting elevator towers
KR101895942B1 (en) Placard notice device of both directions winding type
KR102279414B1 (en) An electric gantry crane assembly
CN112366588A (en) Live-line operation crossing device for power transmission line
CN109205502B (en) Climbing material table
KR200476785Y1 (en) Placard notice device
US2974760A (en) Oil well derrick for use with helicopter
US3160165A (en) Collapsible building structure with center post erecting structure
CN109160449B (en) Climbing material table with gantry crane
CN205418390U (en) Folding tray
KR20080102922A (en) Liftable working tower for high place
JPH10323131A (en) High-place working apparatus
CN109025246B (en) Scaffold frame for building engineering convenient to installation
CN205531275U (en) Automatic over -and -under type scaffold frame
CN213445933U (en) Lifting-based crane span structure convenient to move control cabinet
KR100517326B1 (en) system banner of movement perpendicularity up and down
CN210838699U (en) Novel cable exhibition puts ware
CN219316869U (en) Elevator maintenance climbing ladder with illumination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