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091B1 -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091B1
KR101804091B1 KR1020170026296A KR20170026296A KR101804091B1 KR 101804091 B1 KR101804091 B1 KR 101804091B1 KR 1020170026296 A KR1020170026296 A KR 1020170026296A KR 20170026296 A KR20170026296 A KR 20170026296A KR 101804091 B1 KR101804091 B1 KR 101804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dule
control panel
led contro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배
Original Assignee
박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배 filed Critical 박정배
Priority to KR1020170026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이 격자의 섬유로 형성된 사각형의 필터통체 내에 부직포 필터를 충진시켜 구성되며, 전면에는 필터통체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상기 부직포 필터에 의해 필터 통체를 통과하는 우수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기름성분을 분리하며, 상기 부직포 필터의 형성시 부직포(geo-textile) 섬유 부직포 원단으로 제작되고 두께 1 내지 3㎜의 부직포 섬유 원단을 지름 10 내지 13㎜의 원통체가 되게 길이 30 내지 40㎜로 잘라 두께 10 내지 15㎜의 나선형으로 꼬여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공기압에 의해 필터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필터 통체 내에서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되도록 하여 단일 용적대비 여과재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킨 형태로, 외기 공기의 유입시 유입되는 초기 공기의 여과재 내부의 체류시간을 늘려서 초기 외기 공기 내의 고형물, 비점오염물질(Oil & Grease, 부유물질, 중금속, PAHs 포함)을 제거하는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후단에 체결방식으로 형성되어, 전리부와 집진부로 이루어지며, 전압에 의하여 방전을 일으키는 상기 전리부에 의해 상기 전리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며, 이온화된 이물질은 정전기력에 의하여 상기 집진부에서 포집되며, 상기 집진부의 형성시 한 쌍의 양극판과 음극으로 된 집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리부의 형성시 텅스텐 재질의 가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극을 형성하는 방전선과 이 방전선과 일정한 높이 차이를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음극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방전대응극판을 포함하여, 전압을 상기 방전선에 인가하면, 상기 방전선과 상기 방전대응극판 사이에 형성된 높은 전위차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외기 공기의 미세 먼지를 전리시키는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되,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모서리 영역에 열선을 증착시키는 과정, 상기 열선이 증착된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에 열팽창 소재를 도포하는 과정, 상기 도포된 열팽창 소재를 패턴화시켜 판상형의 지지부, 지지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구동수단을 형성시키는 과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열팽창 소재에 의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을 통과한 외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지지부를 밀어서 상기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온도 센서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는 열선 형성부;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및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하나씩 형성되거나,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하나가 더 추가되어 형성되는 오염도 센서; 및 상기 오염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상부 팬 외에 중앙 LED 제어반과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오염도 센서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교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청소 주기를 출력하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 팬의 회전 속력을 제어하는 공기정화 LED 제어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미세 먼지의 배전반 내부로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내부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여 배전반의 수명을 종래의 사용기간보다 최소 50% 이상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플라스틱 필름에 +, -를 정전류를 발생시켜서 외기 공기가 배전반을 거치되 1차적으로 필터를 거치고, 나머지 미세 먼지를 정전기에 의해서 잡아주어서 오염되지 않은 공기가 유입되어 청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 먼지를 걸러 줄뿐만 아니라, 팬 및 열선을 이용해 항균 항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일반 건물뿐만 아니라, 쓰레기 매립장 폐수 처리장과 같이 항균 및 항온이 안 되는 곳에 설치함으로써, 적합화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ANTI-POLLUTION DISTRIBUTION PANEL BASED ON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세 먼지의 배전반 내부로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내부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여 배전반의 수명을 종래의 사용기간보다 최소 50% 이상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전반에서는 외기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에 필터를 설치해서 공기가 순환되는 구조를 이용한다.
종래의 기술 1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6-0039191호 "은용액 살균용 공기청정기(air cleaning apparatus for using silver solution)"는 2∼6ppm 은용액이 용출된 세척수를 분사노즐로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흡입된 흡입공기 중에 분사하여 흡입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 및 미세입자를 제거하고 흡입공기 중에 함유된 냄새 및 병원균을 살균하며 용기바닥의 세척수 위로 떨어져 세척수 속에 함유된 냄새 및 병원균이 은용액에 의하여 2차 살균되어 청정공기가 공기배출구로 배출되는 은용액 살균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1은 분사노즐로 액체를 분사함으로써, 항균 및 항온 유지가 필수인 배전반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다음으로, 종래의 기술 2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80887호 "공기 청정기(air cleaner)"는 일측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1)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미세먼지 및 냄새를 내는 입자를 제거하도록 형성된 전기집진모듈과, 상기 전기집진모듈 일측면에 형성되고, 미세먼지 및 냄새를 내는 입자가 제거된 공기를 탈취 및 살균하도록 형성된 오존발생모듈과, 또는, (2)상기 공기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탈취 및 살균하도록 형성된 오존발생모듈과, 상기 오존발생모듈 일측면에 형성되고, 탈취 및 살균된 공기에서 미세먼지 및 냄새를 내는 입자를 제거하도록 형성된 전기집진모듈과, 그리고, 일측에 탈취 및 살균이 완료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전기집진모듈 또는 오존발생모듈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기집진모듈 또는 오존발생모듈에서 발생된 오존을 제거하도록 형성된 오존제거모듈 및 상기 전기집진모듈, 오존발생모듈 및 오존제거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2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공기 청정기의 부피와 체적이 커져서 다수의 내부 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에 직접적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기술 3인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07805호 "습식형 공기청정기(wet type air cleaner)"는 공기청정기의 내부로 오염된 공기를 통과시켜 오염원을 물과 접촉시킴으로 오염원을 제거하는 것으로 공기흡입부재를 통해 본체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1드럼과 제2드럼을 연결하는 필터벨트에 유입된 공기가 충돌하면서 외부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 등을 필터벨트내로 흡착 또는 물입자 내로 흡착하여 회전하는 필터벨트가 물저장부에 수용된 물에 미세먼지 등을 침전되도록 하는 습식형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3도 종래의 기술 1과 같이 액체를 활용함으로써, 항균 및 항온 유지가 필수인 배전반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 4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53055호 "실내공기의 밀도차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기(INDOOR AIR DENSITY DIFFERENCE USING AIR CLEANER)"는 미세먼지 등으로 오염된 실내공기를, 공기 밀도가 가장 낮은 실내 상부공간에서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 하부공간으로 이동시키며, 정화하여 배출시키고, 배출된 공기는 주변 공기와의 밀도 차이로 인하여 다시 대류로 상승되게 하여, 실내공기 전체를 대류로 순환시키는, 유체의 밀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대류라는, 자연현상의 일반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실내공기 전체를 빠짐없이 정화하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 4에서 제시된 기술인 대류 방식만으로 미세 먼지의 포집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6-0039191호 "은용액 살균용 공기청정기(air cleaning apparatus for using silver solution)"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80887호 "공기 청정기(air cleaner)"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607805호 "습식형 공기청정기(wet type air cleaner)"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53055호 "실내공기의 밀도차이를 이용하는 공기청정기(INDOOR AIR DENSITY DIFFERENCE USING AIR CLEAN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 먼지의 배전반 내부로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내부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여 배전반의 수명을 종래의 사용기간보다 최소 50% 이상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 필름에 +, -를 정전류를 발생시켜서 외기 공기가 배전반을 거치되 1차적으로 필터를 거치고, 나머지 미세 먼지를 정전기에 의해서 잡아주어서 오염되지 않은 공기가 유입되어 청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세 먼지를 걸러 줄뿐만 아니라, 팬 및 열선을 이용해 항균 항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일반 건물뿐만 아니라, 쓰레기 매립장 폐수 처리장과 같이 항균 및 항온이 안 되는 곳에 설치함으로써, 적합화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제어 방법은, 전면이 격자의 섬유로 형성된 사각형의 필터통체 내에 부직포 필터를 충진시켜 구성되며, 전면에는 필터통체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상기 부직포 필터에 의해 필터 통체를 통과하는 우수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기름성분을 분리하며, 상기 부직포 필터의 형성시 섬유 부직포 원단으로 제작되고 두께 1 내지 3㎜의 부직포 섬유 원단을 지름 10 내지 13㎜의 원통체가 되게 길이 30 내지 40㎜로 잘라 두께 10 내지 15㎜의 나선형으로 꼬여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공기압에 의해 필터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필터 통체 내에서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되도록 하여 단일 용적대비 여과재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킨 형태로, 외기 공기의 유입시 유입되는 초기 공기의 여과재 내부의 체류시간을 늘려서 초기 외기 공기 내의 고형물,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후단에 체결방식으로 형성되어, 전리부와 집진부로 이루어지며, 전압에 의하여 방전을 일으키는 상기 전리부에 의해 상기 전리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며, 이온화된 이물질은 정전기력에 의하여 상기 집진부에서 포집되며, 상기 집진부의 형성시 한 쌍의 양극판과 음극으로 된 집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리부의 형성시 텅스텐 재질의 가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극을 형성하는 방전선과 이 방전선과 일정한 높이 차이를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음극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방전대응극판을 포함하여, 전압을 상기 방전선에 인가하면, 상기 방전선과 상기 방전대응극판 사이에 형성된 높은 전위차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외기 공기의 미세 먼지를 전리시키는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되,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모서리 영역에 열선을 증착시키는 과정, 상기 열선이 증착된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에 열팽창 소재를 도포하는 과정, 상기 도포된 열팽창 소재를 패턴화시켜 판상형의 지지부, 지지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구동수단을 형성시키는 과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열팽창 소재에 의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을 통과한 외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지지부를 밀어서 상기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온도 센서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는 열선 형성부;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및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하나씩 형성되거나,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하나가 더 추가되어 형성되는 오염도 센서; 상기 오염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상부 팬 외에 중앙 LED 제어반과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오염도 센서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교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청소 주기를 출력하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 팬의 회전 속력을 제어하는 공기정화 LED 제어반; 배전판 본체의 상부면 중 후단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판 본체의 온도 측정 정보에 따라 회전 속력을 다르게 하여 상기 배전판 본체 내부에서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상부 팬; 및 변압부, 계기용변압기, 부가장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변압부로 변압부 내부 필터 및 몰드변압기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부 내부 필터로 변압부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그 측면으로는 측면 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변압부의 몰드변압기에서 발생된 열에 대한 방열이 상기 중앙 LED 제어반과 연결된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에 의한 제어를 받는 상기 상부 팬의 회전에 따라 공기 흐름 영역(A.F.)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내부 장치부; 를 포함하는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상기 오염도 센서 및 상기 열선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모듈(U)을 상기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전면 하단부에 최초로 삽입하거나 기존 일체형 모듈(U)에 대해서 교체를 수행하고, 상기 열선 형성부의 지지부 구동수단과 내부 장치부의 상기 온도 센서의 스위치를 물리적 연결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와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된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새로운 일체형 모듈(U)의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전면 하단부의 삽입을 인식하는 제 1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이미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상기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의 상기 오염도 센서뿐만 아니라, 일체형 모듈(U)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배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와의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되면,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오염도 센서를 인식하며, 상기 열선 형성부 중 열선과의 물리적 연결에 대한 인식도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상기 제 1 단계에서 인식된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 그리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인식된 각 오염도 센서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을 대기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상기 열선 형성부의 열팽창 소재에 의해 작동된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온도 센서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을 대기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상기 열선 형성부의 열팽창 소재에 의해 작동된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온도 센서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되고, 온도 측정 정보가 상위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디폴트(default) 회전 속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기 상부 팬에 대해서 상위 온도 임계치를 초과한 온도 구간 단계(제 1 내지 제 n 온도 구간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와 매칭되는 회전 속력으로 상기 상부 팬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 5 단계; 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단계 이후, 또는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상부 팬에 대한 제어의 결과 온도 측정 정보가 하위 온도 임계치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일체형 모듈(U)의 상기 열선 형성부의 모서리 영역에 증착된 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측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적정 온도 구간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제어 방법은, 전면이 격자의 섬유로 형성된 사각형의 필터통체 내에 부직포 필터를 충진시켜 구성되며, 전면에는 필터통체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상기 부직포 필터에 의해 필터 통체를 통과하는 우수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기름성분을 분리하며, 상기 부직포 필터의 형성시 섬유 부직포 원단으로 제작되고 두께 1 내지 3㎜의 부직포 섬유 원단을 지름 10 내지 13㎜의 원통체가 되게 길이 30 내지 40㎜로 잘라 두께 10 내지 15㎜의 나선형으로 꼬여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공기압에 의해 필터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필터 통체 내에서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되도록 하여 단일 용적대비 여과재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킨 형태로, 외기 공기의 유입시 유입되는 초기 공기의 여과재 내부의 체류시간을 늘려서 초기 외기 공기 내의 고형물,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후단에 체결방식으로 형성되어, 전리부와 집진부로 이루어지며, 전압에 의하여 방전을 일으키는 상기 전리부에 의해 상기 전리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며, 이온화된 이물질은 정전기력에 의하여 상기 집진부에서 포집되며, 상기 집진부의 형성시 한 쌍의 양극판과 음극으로 된 집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리부의 형성시 텅스텐 재질의 가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극을 형성하는 방전선과 이 방전선과 일정한 높이 차이를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음극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방전대응극판을 포함하여, 전압을 상기 방전선에 인가하면, 상기 방전선과 상기 방전대응극판 사이에 형성된 높은 전위차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외기 공기의 미세 먼지를 전리시키는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되,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모서리 영역에 열선을 증착시키는 과정, 상기 열선이 증착된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에 열팽창 소재를 도포하는 과정, 상기 도포된 열팽창 소재를 패턴화시켜 판상형의 지지부, 지지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구동수단을 형성시키는 과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열팽창 소재에 의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을 통과한 외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지지부를 밀어서 상기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온도 센서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는 열선 형성부;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및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하나씩 형성되거나,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하나가 더 추가되어 형성되는 오염도 센서; 상기 오염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상부 팬 외에 중앙 LED 제어반과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오염도 센서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교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청소 주기를 출력하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 팬의 회전 속력을 제어하는 공기정화 LED 제어반; 배전판 본체의 상부면 중 후단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판 본체의 온도 측정 정보에 따라 회전 속력을 다르게 하여 상기 배전판 본체 내부에서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상부 팬; 및 변압부, 계기용변압기, 부가장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변압부로 변압부 내부 필터 및 몰드변압기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부 내부 필터로 변압부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그 측면으로는 측면 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변압부의 몰드변압기에서 발생된 열에 대한 방열이 상기 중앙 LED 제어반과 연결된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에 의한 제어를 받는 상기 상부 팬의 회전에 따라 공기 흐름 영역(A.F.)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내부 장치부; 를 포함하는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상기 오염도 센서 및 상기 열선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모듈(U)을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전면 하단부에 최초로 삽입하거나 기존 일체형 모듈(U)에 대해서 교체를 수행하고, 상기 열선 형성부의 지지부 구동수단과 내부 장치부의 온도 센서의 스위치를 물리적 연결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와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된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새로운 일체형 모듈(U)의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전면 하단부의 삽입을 인식하는 제 1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이미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상기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의 오염도 센서뿐만 아니라, 일체형 모듈(U)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배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와의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되면,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오염도 센서를 인식하며, 상기 열선 형성부 중 열선과의 물리적 연결에 대한 인식도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상기 제 1 단계에 따라 인식된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 그리고 상기 제 2 단계에 따라 인식된 각 오염도 센서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을 대기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상기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형성된 제 1 오염도 센서, 일체형 모듈(U)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오염도 센서,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배면에 형성된 제 3 오염도 센서로부터 각각 제 1 내지 제 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수신된 각 오염도 측정 정보를 ppm 데이터값으로 변환하고, 미리 설정된 먼지 오염도 측정 횟수를 충족하는 경우, 측정되어 축적된 ppm 데이터값에 대한 ppm 평균값을 연산한 뒤, ppm 평균값에 대한 단계별 미세먼지 농도 구간의 추출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각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를 위한 LED 조명에 대해서 추출된 미세먼지 농도 구간과 매칭되는 LED 조명에서 표현되는 색상을 추출한 뒤, 추출된 색상을 이용하여 각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를 위한 LED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 제 1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상기 상부 팬의 청소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제 2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교체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청소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6 단계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이 초록색인 경우, ppm 평균값이 최하의 구간일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이 빨간색인 경우, ppm 평균값이 최상의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반은, 미세 먼지의 배전반 내부로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내부가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여 배전반의 수명을 종래의 사용기간보다 최소 50% 이상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플라스틱 필름에 +, -를 정전류를 발생시켜서 외기 공기가 배전반을 거치되 1차적으로 필터를 거치고, 나머지 미세 먼지를 정전기에 의해서 잡아주어서 오염되지 않은 공기가 유입되어 청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미세 먼지를 걸러 줄뿐만 아니라, 팬 및 열선을 이용해 항균 항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일반 건물뿐만 아니라, 쓰레기 매립장 폐수 처리장과 같이 항균 및 항온이 안 되는 곳에 설치함으로써, 적합화된 사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2는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을 일정하게 넣어 관리하는 장치로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 오염도 센서(131), 중앙 LED 제어반(140), 상부 팬(150), 내부 장치부(160), 배전판 본체(170), 온도 센서(180), 열선 형성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은 전면이 격자의 섬유로 형성된 사각형의 필터통체 내에 부직포 필터를 충진시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의 전면에는 필터통체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이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 내부의 부직포 필터는 필터 통체를 통과하는 우수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기름성분을 분리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부직포 필터는 섬유 부직포 원단으로 제작되고 두께 1 내지 3㎜의 부직포 섬유 원단을 지름 10 내지 13㎜의 원통체가 되게 길이 30 내지 40㎜로 잘라 두께 10 내지 15㎜의 나선형으로 꼬여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공기압에 의해 필터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필터 통체 내에서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되도록 하여 단일 용적대비 여과재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외기 공기의 유입시 유입되는 초기 공기의 여과재 내부의 체류시간을 늘림으로써, 초기 외기 공기 내의 고형물, 비점오염물질(Oil & Grease, 부유물질, 중금속, PAHs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은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의 후단에 체결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플라스틱 필름인 전리부와 집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압에 의하여 방전을 일으키는 전리부는 전리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며, 이온화된 이물질은 정전기력에 의하여 집진부에서 포집될 수 있다. 집진부는 한 쌍의 양극판과 음극으로 된 집진극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전리부는 텅스텐 재질의 가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극을 형성하는 방전선과 이 방전선과 일정한 높이 차이를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음극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방전대응극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을 방전선에 인가하면, 방전선과 방전대응극판 사이에 형성된 높은 전위차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외기 공기의 미세 먼지를 전리시킬 수 있다.
한편,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배면에는 열선 형성부(19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선 형성부(190)를 형성시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모서리 영역에 열선을 증착시키는 과정, 열선이 증착된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에 열팽창 소재를 도포하는 과정, 도포된 열팽창 소재를 패턴화시켜 판상형의 지지부, 지지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구동수단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열선 형성부(190)의 열팽창 소재는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을 통과한 외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지지부를 밀어서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온도 센서(180)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오염도 센서(131), 온도 센서(180), 중앙 LED 제어반(140), 상부 팬(150)과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됨으로써, 오염도 센서(131)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의 교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청소 주기를 출력할 수 있으며, 온도 센서(180)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부 팬(150)의 회전 속력을 제어할 수 있다.
오염도 센서(131)는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 및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배면에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팬(150)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하나가 더 추가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 간에는 상호 분리 및 체결이 가능하며, 분리 및 체결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지지구와 지지단의 체결 구조, 벨트로 타입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중앙 LED 제어반(140)은 자동관리 방식의 내부 장치부(160)의 제어에 따른 LED 표시부로 출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터치스크린으로 형성시 유저 인터페이스(UI 화면)를 구현할 수 있다.
상부 팬(150)은 배전판 본체(170)의 상부면 중 후단 중앙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의 제어에 따라 배전판 본체(170)의 온도 측정 정보에 따라 회전 속력을 다르게 하여 배전판 본체(170) 내부에서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상부 팬(150)과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배면 사이에는 상호 직교하는 방향의 공기 흐름 영역(A.F.)이 형성됨으로써, 공기 흐름 영역의 중간에는 내부 장치부(160)가 위치하여 공기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내부 장치부(160)는 변압부, 계기용변압기, 부가장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변압부는 변압부 내부 필터 및 몰드변압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변압부 내부 필터는 변압부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그 측면으로는 측면 필터가 형성될 수 있다. 변압부의 몰드변압기에서 발생된 열에 대한 방열이 중앙 LED 제어반(140)과 연결된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에 의한 제어를 받는 상부 팬(150)의 회전에 따라 공기 흐름 영역(A.F.)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몰드변압기는 계기용변압기를 통해 고압단자로 인입된 전력을 저압으로 변환하여 저압단자를 통해 부하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며,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에서 발열이 큰 부분이다.
계기용변압기는 부가장치부를 통해 인입된 고압의 전력을 몰드변압기의 고압단자를 통해 몰드변압기로 전달한다. 부가장치부는 계기용변압기의 하부에 형성되며, 부스바, 피뢰기 등과 같이 변압설비를 제외한 모든 수배전반 장치가 실장 될 수 있다.
배전판 본체(170)는 육면체 형상으로 전면의 하단에는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 중앙 LED 제어반(140)을 형성하며, 내측으로는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 오염도 센서(131), 내부 장치부(160), 온도 센서(180), 열선 형성부(190)를 포함하며, 상부면으로는 상부 팬(150)이 형성된다.
온도 센서(180)는 TR 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가로 습도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듈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부직포 필터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절결부가 중심축선에 대하여 40도의 경사각을 가지고 이중으로 꼬여있어 외기 공기의 유동에도 풀리지 않고 형상을 보전하고, 용도에 따라 두께 2 내지 3㎜의 부직포 섬유 원단을 지름 11 내지 12㎜의 원통체가 되게 길이 20 내지 45mm로 자른 후 길이방향 중심으로부터 10 내지 30mm 간격으로 절개할 수 있다. 부직포 필터의 가공 과정은 부직포 원단조각을 구부린 후, 끝부분을 말아서 중앙의 절개된 부분을 지나도록 하고, 원래의 방향으로 당겨 끄집어낸다. 부직포 필터의 비중은 0.94 내지 0.95 사이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 오염도 센서(131), 열선 형성부(190)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모듈(U)을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전면 하단부에 최초로 삽입하거나 기존 일체형 모듈(U)에 대해서 교체를 수행하고, 열선 형성부(190)의 지지부 구동수단과 내부 장치부(160)의 온도 센서(180)의 스위치를 물리적 연결에 따라, 온도 센서(180)와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된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이 새로운 일체형 모듈(U)의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전면 하단부의 삽입을 인식한다(S11).
단계(S11) 이후,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이미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상부 팬(150)의 공기 인입단 영역의 오염도 센서(131)뿐만 아니라, 일체형 모듈(U)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의 배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배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131)와의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되면,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오염도 센서(131)를 인식한다(S12). 한편, 단계(S12)에서,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열선 형성부(190) 중 열선과의 물리적 연결에 대한 인식도 수행하여야 한다.
단계(S12) 이후,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단계(S11)에 따라 인식된 온도 센서(180)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 그리고 단계(S12)에 따라 인식된 각 오염도 센서(131)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을 대기한다(S13).
단계(S13) 이후,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열선 형성부(190)의 열팽창 소재에 의해 작동된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온도 센서(180)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을 대기한다(S14).
단계(S14) 이후,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열선 형성부(190)의 열팽창 소재에 의해 작동된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온도 센서(180)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되고, 온도 측정 정보가 상위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디폴트(default) 회전 속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부 팬(150)에 대해서 상위 온도 임계치를 초과한 온도 구간 단계(제 1 내지 제 n 온도 구간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와 매칭되는 회전 속력으로 상부 팬(150)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S15).
한편, 단계(S14) 이후, 또는 단계(S15)에서 상부 팬(150)에 대한 제어의 결과 온도 측정 정보가 하위 온도 임계치에 미달하는 경우,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일체형 모듈(U)의 열선 형성부(190)의 모서리 영역에 증착된 열선으로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온도 센서(180)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측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적정 온도 구간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16).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 오염도 센서(131), 열선 형성부(190)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모듈(U)을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전면 하단부에 최초로 삽입하거나 기존 일체형 모듈(U)에 대해서 교체를 수행하고, 열선 형성부(190)의 지지부 구동수단과 내부 장치부(160)의 온도 센서(180)의 스위치를 물리적 연결에 따라, 온도 센서(180)와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된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이 새로운 일체형 모듈(U)의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100)의 전면 하단부의 삽입을 인식한다(S21).
단계(S21) 이후,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이미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상부 팬(150)의 공기 인입단 영역의 오염도 센서(131)뿐만 아니라, 일체형 모듈(U)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의 배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배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131)와의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되면,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오염도 센서(131)를 인식한다(S22). 한편, 단계(S22)에서,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열선 형성부(190) 중 열선과의 물리적 연결에 대한 인식도 수행하여야 한다.
단계(S22) 이후,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단계(S21)에 따라 인식된 온도 센서(180)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 그리고 단계(S22)에 따라 인식된 각 오염도 센서(131)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을 대기한다(S23).
단계(S23) 이후,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상부 팬(150)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형성된 제 1 오염도 센서(131), 일체형 모듈(U)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오염도 센서(131),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배면에 형성된 제 3 오염도 센서(131)로부터 각각 제 1 내지 제 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한다(S24).
단계(S24) 이후,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수신된 각 오염도 측정 정보를 ppm 데이터값으로 변환하고, 미리 설정된 먼지 오염도 측정 횟수를 충족하는 경우, 측정되어 축적된 ppm 데이터값에 대한 ppm 평균값을 연산한 뒤, ppm 평균값에 대한 단계별 미세먼지 농도 구간의 추출을 수행한다(S25).
단계(S24) 이후, 공기정화 LED 제어반(130)은 각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를 위한 LED 조명에 대해서 추출된 미세먼지 농도 구간과 매칭되는 LED 조명에서 표현되는 색상을 추출한 뒤, 추출된 색상을 이용하여 각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를 위한 LED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제 1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상부 팬(150)의 청소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제 2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의 교체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청소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한다(S26).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이 초록색인 경우, ppm 평균값이 최하의 구간일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이 빨간색인 경우, ppm 평균값이 최상의 구간일 수 있으며, 그 사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색상으로 구간 값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110 :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120 :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130 : 공기정화 LED 제어반
131 : 오염도 센서
140 : 중앙 LED 제어반
150 : 상부 팬
160 : 내부 장치부
170 : 배전판 본체
180 : 온도 센서
190 : 열선 형성부

Claims (5)

  1. 전면이 격자의 섬유로 형성된 사각형의 필터통체 내에 부직포 필터를 충진시켜 구성되며, 전면에는 필터통체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상기 부직포 필터에 의해 필터 통체를 통과하는 우수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기름성분을 분리하며, 상기 부직포 필터의 형성시 섬유 부직포 원단으로 제작되고 두께 1 내지 3㎜의 부직포 섬유 원단을 지름 10 내지 13㎜의 원통체가 되게 길이 30 내지 40㎜로 잘라 두께 10 내지 15㎜의 나선형으로 꼬여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공기압에 의해 필터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필터 통체 내에서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되도록 하여 단일 용적대비 여과재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킨 형태로, 외기 공기의 유입시 유입되는 초기 공기의 여과재 내부의 체류시간을 늘려서 초기 외기 공기 내의 고형물,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후단에 체결방식으로 형성되어, 전리부와 집진부로 이루어지며, 전압에 의하여 방전을 일으키는 상기 전리부에 의해 상기 전리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며, 이온화된 이물질은 정전기력에 의하여 상기 집진부에서 포집되며, 상기 집진부의 형성시 한 쌍의 양극판과 음극으로 된 집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리부의 형성시 텅스텐 재질의 가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극을 형성하는 방전선과 이 방전선과 일정한 높이 차이를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음극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방전대응극판을 포함하여, 전압을 상기 방전선에 인가하면, 상기 방전선과 상기 방전대응극판 사이에 형성된 전위차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외기 공기의 미세 먼지를 전리시키는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되,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모서리 영역에 열선을 증착시키는 과정, 상기 열선이 증착된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에 열팽창 소재를 도포하는 과정, 상기 도포된 열팽창 소재를 패턴화시켜 판상형의 지지부, 지지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구동수단을 형성시키는 과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열팽창 소재에 의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을 통과한 외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지지부를 밀어서 상기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온도 센서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는 열선 형성부;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및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하나씩 형성되거나,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하나가 더 추가되어 형성되는 오염도 센서; 상기 오염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상부 팬 외에 중앙 LED 제어반과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오염도 센서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교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청소 주기를 출력하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 팬의 회전 속력을 제어하는 공기정화 LED 제어반; 배전판 본체의 상부면 중 후단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판 본체의 온도 측정 정보에 따라 회전 속력을 다르게 하여 상기 배전판 본체 내부에서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상부 팬; 및 변압부, 계기용변압기, 부가장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변압부로 변압부 내부 필터 및 몰드변압기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부 내부 필터로 변압부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그 측면으로는 측면 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변압부의 몰드변압기에서 발생된 열에 대한 방열이 상기 중앙 LED 제어반과 연결된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에 의한 제어를 받는 상기 상부 팬의 회전에 따라 공기 흐름 영역(A.F.)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내부 장치부; 를 포함하는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상기 오염도 센서 및 상기 열선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모듈(U)을 상기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전면 하단부에 최초로 삽입하거나 기존 일체형 모듈(U)에 대해서 교체를 수행하고, 상기 열선 형성부의 지지부 구동수단과 내부 장치부의 상기 온도 센서의 스위치를 물리적 연결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와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된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새로운 일체형 모듈(U)의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전면 하단부의 삽입을 인식하는 제 1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이미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상기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의 상기 오염도 센서뿐만 아니라, 일체형 모듈(U)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배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와의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되면,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오염도 센서를 인식하며, 상기 열선 형성부 중 열선과의 물리적 연결에 대한 인식도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상기 제 1 단계에서 인식된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 그리고 상기 제 2 단계에서 인식된 각 오염도 센서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을 대기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상기 열선 형성부의 열팽창 소재에 의해 작동된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온도 센서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을 대기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상기 열선 형성부의 열팽창 소재에 의해 작동된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상기 온도 센서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되고, 온도 측정 정보가 상위 온도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디폴트(default) 회전 속력으로 회전하고 있는 상기 상부 팬에 대해서 상위 온도 임계치를 초과한 온도 구간 단계(제 1 내지 제 n 온도 구간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와 매칭되는 회전 속력으로 상기 상부 팬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 5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단계 이후, 또는 상기 제 5 단계에서, 상기 상부 팬에 대한 제어의 결과 온도 측정 정보가 하위 온도 임계치에 미달하는 경우,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일체형 모듈(U)의 상기 열선 형성부의 모서리 영역에 증착된 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온도 측정 정보가 미리 설정된 적정 온도 구간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제어 방법.
  2. 전면이 격자의 섬유로 형성된 사각형의 필터통체 내에 부직포 필터를 충진시켜 구성되며, 전면에는 필터통체의 외벽과 내벽 사이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관이 수직으로 설치되며, 내부의 상기 부직포 필터에 의해 필터 통체를 통과하는 우수로부터 고형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기름성분을 분리하며, 상기 부직포 필터의 형성시 섬유 부직포 원단으로 제작되고 두께 1 내지 3㎜의 부직포 섬유 원단을 지름 10 내지 13㎜의 원통체가 되게 길이 30 내지 40㎜로 잘라 두께 10 내지 15㎜의 나선형으로 꼬여진 모양으로 형성되며, 공기압에 의해 필터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필터 통체 내에서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되도록 하여 단일 용적대비 여과재의 접촉 표면적을 최대로 확장시킨 형태로, 외기 공기의 유입시 유입되는 초기 공기의 여과재 내부의 체류시간을 늘려서 초기 외기 공기 내의 고형물,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후단에 체결방식으로 형성되어, 전리부와 집진부로 이루어지며, 전압에 의하여 방전을 일으키는 상기 전리부에 의해 상기 전리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이온화시키며, 이온화된 이물질은 정전기력에 의하여 상기 집진부에서 포집되며, 상기 집진부의 형성시 한 쌍의 양극판과 음극으로 된 집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전리부의 형성시 텅스텐 재질의 가는 와이어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극을 형성하는 방전선과 이 방전선과 일정한 높이 차이를 두고 상하로 설치되어 음극을 형성하는 한 쌍의 방전대응극판을 포함하여, 전압을 상기 방전선에 인가하면, 상기 방전선과 상기 방전대응극판 사이에 형성된 전위차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 외기 공기의 미세 먼지를 전리시키는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형성되되,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모서리 영역에 열선을 증착시키는 과정, 상기 열선이 증착된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에 열팽창 소재를 도포하는 과정, 상기 도포된 열팽창 소재를 패턴화시켜 판상형의 지지부, 지지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구동수단을 형성시키는 과정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열팽창 소재에 의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을 통과한 외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지지부를 밀어서 상기 지지부 구동수단을 통해 온도 센서로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는 열선 형성부;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및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에 하나씩 형성되거나,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하나가 더 추가되어 형성되는 오염도 센서; 상기 오염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 상기 상부 팬 외에 중앙 LED 제어반과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오염도 센서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교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청소 주기를 출력하며,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 팬의 회전 속력을 제어하는 공기정화 LED 제어반; 배전판 본체의 상부면 중 후단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배전판 본체의 온도 측정 정보에 따라 회전 속력을 다르게 하여 상기 배전판 본체 내부에서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상부 팬; 및 변압부, 계기용변압기, 부가장치부를 포함하여, 상기 변압부로 변압부 내부 필터 및 몰드변압기를 포함하며, 상기 변압부 내부 필터로 변압부의 전면부를 형성하며, 그 측면으로는 측면 필터가 형성되며, 상기 변압부의 몰드변압기에서 발생된 열에 대한 방열이 상기 중앙 LED 제어반과 연결된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에 의한 제어를 받는 상기 상부 팬의 회전에 따라 공기 흐름 영역(A.F.)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내부 장치부; 를 포함하는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 상기 오염도 센서 및 상기 열선 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모듈(U)을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전면 하단부에 최초로 삽입하거나 기존 일체형 모듈(U)에 대해서 교체를 수행하고, 상기 열선 형성부의 지지부 구동수단과 내부 장치부의 온도 센서의 스위치를 물리적 연결에 따라, 상기 온도 센서와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해 연결된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새로운 일체형 모듈(U)의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전면 하단부의 삽입을 인식하는 제 1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이미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상기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의 오염도 센서뿐만 아니라, 일체형 모듈(U)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배면,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배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된 오염도 센서와의 전력선 및 데이터라인을 통한 물리적 연결이 수행되면, 물리적 연결이 수행된 오염도 센서를 인식하며, 상기 열선 형성부 중 열선과의 물리적 연결에 대한 인식도 수행하는 제 2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상기 제 1 단계에 따라 인식된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측정 정보를 수신, 그리고 상기 제 2 단계에 따라 인식된 각 오염도 센서로부터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을 대기하는 제 3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상기 상부 팬의 공기 인입단 영역에 형성된 제 1 오염도 센서, 일체형 모듈(U)의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110)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오염도 센서,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120)의 배면에 형성된 제 3 오염도 센서로부터 각각 제 1 내지 제 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염도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제 4 단계;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수신된 각 오염도 측정 정보를 ppm 데이터값으로 변환하고, 미리 설정된 먼지 오염도 측정 횟수를 충족하는 경우, 측정되어 축적된 ppm 데이터값에 대한 ppm 평균값을 연산한 뒤, ppm 평균값에 대한 단계별 미세먼지 농도 구간의 추출을 수행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공기정화 LED 제어반이 각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를 위한 LED 조명에 대해서 추출된 미세먼지 농도 구간과 매칭되는 LED 조명에서 표현되는 색상을 추출한 뒤, 추출된 색상을 이용하여 각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를 위한 LED 조명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여, 제 1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상기 상부 팬의 청소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제 2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상기 분리형 부직포 필터 모듈의 교체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며,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을 이용해 상기 탈부착형 정전기 모듈의 청소 주기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이 초록색인 경우, ppm 평균값이 최하의 구간일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3 오염도 표시 색상이 빨간색인 경우, ppm 평균값이 최상의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의 제어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70026296A 2017-02-28 2017-02-28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04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96A KR101804091B1 (ko) 2017-02-28 2017-02-28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96A KR101804091B1 (ko) 2017-02-28 2017-02-28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091B1 true KR101804091B1 (ko) 2017-12-01

Family

ID=6092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296A KR101804091B1 (ko) 2017-02-28 2017-02-28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0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11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CN113922238A (zh) * 2021-09-28 2022-01-11 陈南弟 一种防爆配电箱及防爆配电箱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491B1 (ko) 2003-12-29 2006-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기 및 그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1181546B1 (ko) 2005-11-02 2012-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전식모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KR101587493B1 (ko) * 2013-12-27 2016-02-02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이중필터방식의 배전반
KR101637011B1 (ko) * 2015-06-02 2016-07-07 (주)연합기전 배전반 내부 온·습도 자동제어장치 및 자동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1491B1 (ko) 2003-12-29 2006-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기 및 그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1181546B1 (ko) 2005-11-02 2012-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전식모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KR101587493B1 (ko) * 2013-12-27 2016-02-02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이중필터방식의 배전반
KR101637011B1 (ko) * 2015-06-02 2016-07-07 (주)연합기전 배전반 내부 온·습도 자동제어장치 및 자동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11A (ko) * 2019-01-22 2020-07-30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KR102208402B1 (ko) * 2019-01-22 2021-01-28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CN113922238A (zh) * 2021-09-28 2022-01-11 陈南弟 一种防爆配电箱及防爆配电箱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729B1 (en) Electronic bi-polar electrostatic air cleaner
US4597781A (en) Compact air purifier unit
US5549735A (en) Electrostatic fibrous filter
KR100507996B1 (ko) 분리형 공기정화장치
US7316729B2 (en) Air cleaner with improved airflow
JP2017070949A (ja) 電子空気浄化器、およびその関連する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方法
WO1995002460A1 (en) Electrofilter
WO1995033570A9 (en) Electrostatic fibrous filter
US20150343454A1 (en) Charged filtration system
KR101804091B1 (ko) 정전기 발생 기반의 오염방지 배전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08091270A1 (en) Electrically stimulated air filter apparatus
US20180021789A1 (en) Air cleaner
KR100937944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190024227A (ko) 정전기를 이용한 습식 미세먼지 제거 장치
KR101086728B1 (ko) 4차 여과식 공기 여과 장치
KR20110046420A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JPWO2018150762A1 (ja) 空気清浄機
KR20170033821A (ko) 공기 청정기
KR20100101969A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US20070180995A1 (en) Air Cleaning Device II
EP3453461A1 (en) Air purifier unit
JP7142357B2 (ja) イオン発生器
KR101569629B1 (ko) 공기정화장치
US20100122629A1 (en) Triboelectric air purifier
CN208809667U (zh) 一种过滤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