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160B1 -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160B1
KR101803160B1 KR1020150189995A KR20150189995A KR101803160B1 KR 101803160 B1 KR101803160 B1 KR 101803160B1 KR 1020150189995 A KR1020150189995 A KR 1020150189995A KR 20150189995 A KR20150189995 A KR 20150189995A KR 101803160 B1 KR101803160 B1 KR 10180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weight
participating
manager ser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432A (ko
Inventor
유석호
Original Assignee
유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석호 filed Critical 유석호
Priority to KR102015018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1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리자 서버의 요청에 따라 참여기관 측에서 복수의 횟수로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정보가 참여기관 단말을 통하여 관리자 서버로 제공되며, 관리자 서버는 제공받은 사용자의 이전 체중 정보와 현재 체중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중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mbership weight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관리자 서버의 요청에 따라 참여기관 측에서 복수의 횟수로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정보가 참여기관 단말을 통하여 관리자 서버로 제공되며, 관리자 서버는 제공받은 사용자의 이전 체중 정보와 현재 체중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체중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의 체중을 관리 및 감량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동물성 식품 섭취 증가와 운동의 부족,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최근 30년간 비만의 유병률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이르는 비만은, 세계보건기구에서 장기적인 투병이 필요한 질병이라고 경고할 만큼 전세계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비만은 단순히 미관상의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닌, 대사 증후군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여 암, 심장질환, 당뇨, 고혈압, 뇌졸중, 골 관절염 등 각종 질병을 초래하고 있다. 실제로 비만에 해당되는 사람은 정상 상태의 사람보다 사망률이 28% 높고, 당뇨는 2,9배, 고혈압은 5.6배나 발병 위험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비만 자체가 치명적인 질병이라는 인식이 확대됨에 따라, 사회 전반에 걸쳐 체중관리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고조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 방안으로 식이요법 및 운동을 통한 자가관리, 다이어트 식품 섭취, 지방 분해 및 흡입 시술 등이 있다.
그러나, 체중계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체중을 측정하고 체중의 변화를 파악 및 기록해야 하는 자가관리의 경우, 현대인들의 바쁜 생활 패턴 상 용이하지 못하고 번거로우며, 체중관리 전문가로부터 체계적인 카운슬링(counseling)을 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의지나 의욕이 감퇴되고, 관리에 소홀해져 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다이어트 식품 섭취의 경우에는, 그 종류가 무수히 많고 각기 다른 약용작물을 원료로 하고 있어, 본인의 체질 특성에 적합한 식품을 분별하여 섭취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르고,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식품을 섭취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약물 투여 및 시술은 비교적 고가로 진행되어 비용적 부담이 따르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53274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자, 사용자, 참여기관 상호 간의 연계 하에 사용자의 체중에 관여되는 정보를 송수신 및 공유하여 사용자의 체중 관리를 지원하며, 특히 복수의 횟수로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재 체중이 이전에 측정된 체중보다 증가되었을 경우, 그 증가 비율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및 솔루션을 지원하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또는 참여기관 단말로부터 가입 신청 데이터 또는 참여 신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리자 서버; 및 상기 관리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체중 측정을 요청받고, 상기 참여기관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서버로 송신하는 참여기관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참여기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이전 체중 정보 데이터와 현재 체중 정보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체중이 이전 체중에 비하여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가입 절차 완료 시 상기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참여기관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제1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서버는, 선택된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대한 안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제1차 체중 측정 이후 상기 관리자 서버에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제M차 체중 측정에 대한 안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비율은, 제1 내지 제N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체중 증가 정도를 상기 제1 내지 제N 비율 중 어느 하나로 판정하여 해당 비율에 적용되는 상기 혜택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혜택 정보 데이터는, 상기 참여기관에서 생산 또는 주관하는 체중감량 제품 정보, 전문 트레이닝 서비스 정보, 전문가 상담 정보, 약물 및 시술 치료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관리자 서버 및 참여기관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 또는 참여기관 단말에서 관리자 서버로 가입 신청 데이터 또는 참여 신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참여기관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제1차 내지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1차 내지 제M차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체중 증가 정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참여기관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제1차 내지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대한 안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제1차 체중 측정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체중 증가 정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이전 체중 정보 데이터와 현재 체중 정보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체중 증가 정도를 기설정된 제1 내지 제N 비율 중 어느 하나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은, 복수의 횟수로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 정보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특히 사용자의 체중이 증가된 경우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본인의 체중을 지속적으로 관리 및 감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를 주관하는 개인 또는 기관과 같은 관리자 측은 사용자에게 회원 자격을 부여함에 있어 소정의 연회비를 지불 받으므로, 이윤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에 참여하는 참여기관에서 생산 또는 주관하는 체중감량 제품, 서비스, 시술 등으로, 참여기관은 자사의 제품, 서비스, 시술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홍보, 광고, 프로모션, 마케팅 채널 구축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사용자 단말로 수신되는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참여기관 단말(120) 및 관리자 서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그 구성요소들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음을 유의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10), 참여기관 단말(120) 및 관리자 서버(130)는 통신망에 의하여 상호가 연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관리자, 참여기관이라 함은, 각각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개인, 서비스를 주관하는 개인 또는 기관, 관리자와의 제휴를 통하여 서비스에 참여하는 협업기관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및 참여기관으로부터 사용되는 단말(110, 120)은 도 1에 도시된 휴대 전화, 컴퓨터를 비롯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tablet) 등과 같이 근거리/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요컨대, 참여기관 단말(120)은 참여기관에서 일정 주기로 측정된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들을 관리자 서버(130)로 송신하고, 관리자 서버(130)는 수신된 정보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현재 체중이 이전 체중보다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경우, 사용자 단말(110)로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자 단말(110), 참여기관 단말(120) 및 관리자 서버(130)의 역할 수행, 상호 송수신하는 데이터 및 상호 연계 동작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에 가입하기 위한 신청 정보(예컨대, 개인 정보, 식습관, 운동량, 라이프 스타일, 병력 등)를 입력받고, 이러한 데이터를 관리자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10)에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에 관여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정보의 입력,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와는 별도의 체중감량 관련 영상, 이미지, 뉴스 등의 콘텐츠 데이터가 업로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 데이터는 참여기관 단말(120) 및 관리자 서버(130)로부터 송신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10)의 가입 신청 데이터 송신과는 별도로, 참여기관 단말(120)은 참여기관(예컨대, 의료기관, 체중감량 클리닉, 체중감량 식품 업체, 체중감량 제품 업체 등)으로부터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에 참여하기 위한 신청 정보를 입력받고,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관리자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 및 참여기관 단말(120)로부터 가입 신청 데이터 및 참여 신청 데이터를 수신한 관리자 서버(130)는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회원 자격 유무, 참여기관의 참여 자격 유무를 판단하고, 사용자 및 참여기관의 서비스 회원 가입을 진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서버(130) 내에는 사용자의 병력을 고려한 체중감량 적합성 기준, 참여기관의 업종 및 이력 기준, 참여기관의 식품 및 제품의 안전성 기준 등이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관리자 서버(130)는 이러한 기준을 토대로 상술된 자격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서버(130)에 의해 진행되는 사용자의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회원 가입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연회비 지불이 전제되어야 함을 유념한다.
회원 가입 절차가 완료되면, 관리자 서버(130)는 회원 가입된 참여기관 중 특정 참여기관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참여기관이라 함은, 사용자의 가입 신청 데이터에 포함된 거주지 주소와 참여기관의 참여 신청 데이터에 포함된 사업장 주소에 근거하여 선택된, 사용자로부터 가장 근접한 참여기관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130)는 선택된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120')로 사용자의 기초 개인 정보, 식습관, 운동량, 라이프 스타일, 병력 등에 대한 정보 데이터 및 사용자의 제1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10)로는 도 2와 같이 제1차 체중 측정 및 특정 참여기관에 대한 안내 정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참여기관에 방문하여 본인의 제1차 체중을 측정한 경우, 특정 참여기관 단말(120')은 측정된 사용자의 제1차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관리자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1차 체중 측정 이후 소정의 기간이 경과되면, 사용자 단말(110)은 사용자의 제2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관리자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관리자 서버(130)는 사용자의 제2차 체중 측정 적합 여부, 예컨대 사용자의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회원 가입 여부, 제1차 체중 측정 이후 소정의 시간 경과 여부 등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제2차 체중 측정의 적합 대상자로 판정되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제2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특정 참여기관 단말(120')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특정 참여기관 단말(120')은 제2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사용자의 제2차 체중 측정을 위한 방문을 요청하는 안내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참여기관에 방문하여 본인의 제2차 체중을 측정하게 되면, 마찬가지로 특정 참여기관 단말(120')은 측정된 사용자의 제2차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관리자 서버(130)로 송신할 수 있다.
관리자 서버(130)는 특정 참여기관 단말(12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제1차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와 제2차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이전 체중을 비교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제M차 체중 측정을 완료하였을 경우, 사용자의 현재 체중은 제M차 측정 시의 체중에 해당되며, 사용자의 이전 체중은 제M-1차 측정 시의 체중 또는 최초 제1차 측정 시의 체중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전 체중에 대한 적용기준은 관리자 서버(130)에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관리자 서버(130)는 도 3과 같은 체중 비교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서버(130)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이전 체중을 비교한 결과, 사용자의 체중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10)로 혜택 정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관리자 서버(130)에 기설정된 비율은 사용자의 체중 증가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 내지 제N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체중 증가 정도가 5% 이상 10% 미만 범위에 해당될 경우 관리자 서버(130)는 체중 증가 정도를 제1 비율로 판정할 수 있고, 체중 증가 정도가 10% 이상 15% 미만 범위에 해당될 경우 제2 비율로 판정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내지 제N 비율 각각은 상이한 퍼센트 범위로 이루어지며, 제N 비율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높은 퍼센트 범위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리자 서버(130)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이전 체중을 비교하여, 그 증가 정도를 제1 내지 제N 비율 중 어느 하나로 판정하며, 해당 비율에 적용되는 혜택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1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혜택 정보 데이터란 신청을 통하여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에 참여한 참여기관에서 생산 또는 주관하는 체중감량 제품에 대한 정보, 전문 트레이닝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전문가 상담에 대한 정보, 약물 및 시술 치료에 대한 정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참여기관은 상술된 자사의 제품, 서비스, 시술 등을 홍보하고 마케팅 채널을 구축할 목적으로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에 참여할 수 있으며,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를 주관하는 개인 또는 기관, 즉 관리자 측과 제휴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제품, 서비스, 시술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혜택 정보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일 실시예로서, 상술된 종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참여기관의 업종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유념한다.
이러한 혜택들은 제1 내지 제N 비율 각각에 하나 이상으로 적용되어 사용자 단말(110)로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10)의 어플리케이션 내에 제공되는 버튼(111)을 클릭 또는 터치하며 하나 이상의 혜택 정보를 살필 수 있으며, 원하는 혜택을 선택하여 관리자 서버(130)로 혜택 신청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제품을 배송받거나, 서비스 및 시술 등을 예약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서버(130)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이전 체중을 비교한 결과, 사용자의 체중이 감소하였을 경우, 사용자 단말(110)로 연회비 할인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된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 및 특징들은 생략됨을 유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이 시작되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단말에 입력되는 가입 신청 데이터 및 참여기관으로부터 참여기관 단말에 입력되는 참여 신청 데이터가 관리자 서버로 송신된다(S510).
관리자 서버는 수신된 가입 신청 데이터 및 참여 신청 데이터에 근거하여 특정 참여기관을 선택하고(S520), 특정 참여기관 단말로 사용자의 제1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로는 특정 참여기관에 대한 안내 정보 데이터를 송신한다(S530).
이후, 사용자는 특정 참여기관에 방문하여 제1차 체중을 측정하며, 측정된 제1차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는 특정 참여기관 단말을 통하여 관리자 서버로 송신된다(S540).
사용자의 제1차 체중 측정 이후 소정의 기간이 경과되면, 사용자 단말은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관리자 서버로 송신하고, 관리자 서버는 사용자의 제2차 체중 측정 적합 여부를 판정하여, 적합한 경우 특정 참여기관 단말로 사용자의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한다(S550).
사용자의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특정 참여기관 단말은 제M차 체중 측정에 대한 안내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S560),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참여기관에 방문하여 제M차 체중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제M차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 역시 특정 참여기관 단말을 통하여 관리자 서버로 송신된다(S570).
관리자 서버는 특정 참여기관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1차 체중 정보 데이터 및 제M차 체중 정보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이전 체중을 비교하고(S580), 사용자의 체중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90).
만일, 사용자의 체중이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경우, 관리자 서버는 체중 증가 정도를 제1 내지 제N 비율 중 어느 하나로 판정하여, 해당 비율에 적용되는 체중감량 관련 혜택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고(S600), 사용자의 체중이 증가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다음 회차의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의 수신을 대기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20: 참여기관 단말
130: 관리자 서버

Claims (10)

  1. 사용자 단말 또는 참여기관 단말로부터 가입 신청 데이터 또는 참여 신청 데이터를 수신하는 관리자 서버; 및
    상기 관리자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체중 측정을 요청받고, 상기 참여기관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서버로 송신하는 참여기관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참여기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이전 체중 정보 데이터와 현재 체중 정보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사용자의 현재 체중이 이전 체중에 비하여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하였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 데이터를 송신하되,
    상기 기설정된 비율은 제1 내지 제N 비율을 포함하고,
    상기 혜택 정보 데이터는,
    상기 참여기관에서 생산 또는 주관하는 체중감량 제품 정보, 전문 트레이닝 서비스 정보, 전문가 상담 정보, 약물 및 시술 치료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체중 증가 정도를 상기 제1 내지 제N 비율 중 어느 하나로 판정하여 해당 비율에 적용되는 상기 혜택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가입 절차 완료 시, 상기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참여기관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제1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는,
    선택된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대한 안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제1차 체중 측정 이후 상기 관리자 서버에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관리자 서버는,
    수신된 상기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로 송신하며,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은,
    상기 사용자의 제M차 체중 측정에 대한 안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상기 관리자 서버 및 참여기관 단말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사용자 단말 또는 참여기관 단말에서 관리자 서버로 가입 신청 데이터 또는 참여 신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참여기관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제1차 내지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에서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제1차 내지 제M차 체중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체중 증가 정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가입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참여기관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제1차 내지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대한 안내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제1차 체중 측정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제M차 체중 측정 요청 데이터를 상기 관리자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체중 증가 정도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체중감량과 관련된 혜택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특정 참여기관에 해당되는 참여기관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이전 체중 정보 데이터와 현재 체중 정보 데이터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체중 증가 정도를 기설정된 제1 내지 제N 비율 중 어느 하나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50189995A 2015-12-30 2015-12-30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80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995A KR101803160B1 (ko) 2015-12-30 2015-12-30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995A KR101803160B1 (ko) 2015-12-30 2015-12-30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432A KR20170079432A (ko) 2017-07-10
KR101803160B1 true KR101803160B1 (ko) 2017-11-29

Family

ID=5935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995A KR101803160B1 (ko) 2015-12-30 2015-12-30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224B1 (ko) * 2019-02-26 2019-10-15 김민철 네트워크를 통한 다이어트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5232A1 (en) 2006-09-07 2008-09-25 Lenny Moses System and/or Method for Sharing and Evaluating Dietary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5232A1 (en) 2006-09-07 2008-09-25 Lenny Moses System and/or Method for Sharing and Evaluating Dietary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224B1 (ko) * 2019-02-26 2019-10-15 김민철 네트워크를 통한 다이어트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432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terlaus et al. # Gettinghealthy: The perceived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young adult health behaviors
CA2949449C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JP6430391B2 (ja) 自動健康データ収集、処理および通信システム
Valle et al. Engagement of young adult cancer survivors within a Facebook-based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Waki et al. DialBetics with a multimedia food recording tool, FoodLog: smartphone-based self-management for type 2 diabetes
KR102005195B1 (ko) 건강관리 시스템
US201301170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a Health Regimen
US20150286800A1 (en) Cloud-based server for facilitating health and fitness programs for a plurality of users
O’Hara et 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n Australia’s Get Healthy telephone-based lifestyle information and coaching service: reaching disadvantaged communities and those most at need
Dickert et al. Consulting communities when patients cannot consent: a multicenter study of community consultation for research in emergency settings
US20170098040A1 (en) Weigh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dams et al. Staccato social support in mobile health applications
Haggerty et al. Obesity and endometrial cancer: a lack of knowledge but opportunity for intervention
Polgar et al. Digital habits of PR service-users: implications for home-based interventio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Van Blarigan et al.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of a web-based dietary intervention with text messages for colorectal cancer: a randomized pilot trial
Dhillon et al. Designing and evaluating a patient-centre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seniors
Aparicio-Martínez et al. Social networks’ unnoticed influence on body image in Spanish university students
Singleton et al. Supporting breast cancer survivors via text messages: reach, acceptability, and utility of EMPOWER-SMS
KR101803160B1 (ko) 회원제 체중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Edbrooke et al. ENhAncing Lifestyle Behaviors in EndometriaL CancEr (ENABLE):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ales et al. A mixed-methods approach to the development, refinement, and pilot testing of social networks for improving healthy behaviors
Krieger et al. Communication and recruitment to clinical research studies
Umaefulam et al. Perceptions on mobile health use for health education in an Indigenous population
Portacio et al. Informing the adapt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lifestyle modification program in Hispanics: a qualitative study among low-income Hispanic adults
Bootwong et al. The effects of text messages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ies in prediabe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