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3159B1 -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159B1
KR101803159B1 KR1020150188311A KR20150188311A KR101803159B1 KR 101803159 B1 KR101803159 B1 KR 101803159B1 KR 1020150188311 A KR1020150188311 A KR 1020150188311A KR 20150188311 A KR20150188311 A KR 20150188311A KR 101803159 B1 KR101803159 B1 KR 101803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display unit
vehicle
advertisemen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128A (ko
Inventor
정재진
Original Assignee
정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진 filed Critical 정재진
Priority to KR1020150188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1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어 광고문을 표시하는 광고표시부(10)와,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연결되어 광고표시부(10)로 표시되는 광고문을 선택적으로 입력 및 제어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되는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시부(10)는 차량의 내부에 구성되며, 광고모듈(17)이 구성된 유동판(15)이 인출과 인입이 되게 구성되고,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들과 선택적으로 배선부(3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배선부(30)의 연결 구조에 따라 상기 광고표시부(10)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다양한 광고문을 설정할 수 있는 광고전달 시스템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종래의 기술처럼 차량의 후방시야를 가리지 않고 광고표시부(10)가 차량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어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광고표시부(10)와 차량의 제어수단(1)들과 연결되는 배선부(30)의 연결구조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어수단들의 작동에 따라 상기 광고표시부(10)의 인출과 인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동의 다양성을 부여하고, 광고표시부(10)가 지속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차량의 특정 제어수단의 작동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후방 또는 주위의 운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Ca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delivery system that can fetch and display the configured incoming}
본 발명은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배선 연결구조에 따라 인입과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운전자가 전달하려는 광고 문자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평상 시 운전자의 후방시야를 가리지 않고 확보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운전자가 자동차 운행 시 후방의 차량에 광고를 하고자 할 경우 차량의 내부에 각종 문자 또는 이미지가 표시된 인쇄물을 부착하여 광고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후방의 차량 또는 기타 불특정 다수에게 광고를 하기에는 극히 제한적인 방법이고, 일반적으로 운행 중에는 앞차량의 후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기 보다는 각종 안전사고를 대비할 수 있게 주변의 상황을 살피며 운행을 하게 됨으로써 지속적으로 부착 또는 고정된 형태로 구성할 시에는 갑작스런 주변시선을 끌지 못함으로 후방에서 운행하는 운전자 또는 기타 불특정 다수에게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운전 중 기타 여러 가지 상황에 맞춰 광고를 전달할 수 없는 문제와 더불어 차량의 전면 또는 후면 유리에 근접되게 부착 또는 차량의 배터리 또는 별도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되는 광고모듈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광고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되고 있으나, 부착식 또는 광고모듈은 항상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운전자의 전후방의 시야를 가려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차량의 상부에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형태 또는 측면에 광고모듈을 시스템화 하여 사용되고 있긴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차량의 배터리 소모량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는 공개특허 10-2009-0048528호 ‘다양한 문구가 가능한 원격제어식 차량용 메시지판’, 등록실용 20-0460364호 ‘차량 부착형 경고 표시판’, 등록특허 10-0792465호‘차량용 광고장치’, 등록특허 10-1446596호 ‘차량용 스마트폰 제어 안내판’, 등록특허 10-1214224호 ‘차량용 운전자의 연락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등록실용 20-0371769호 ‘ 차량용 전광판 제어장치’, 공개실용 20-200-0002916호‘차량용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종래기술에서도 상기한 문제점이 초래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노출되지 않게 차량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다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고표시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갑작스런 노출로 인한 주위 사람 또는 후방의 운전자들로 하여금 이목을 집중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광고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선택적으로 배선부를 연결 구성하여 원하는 제어수단의 작동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광고표시부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조작으로 작동이 가능토록 하는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차량에 내부 후방에 설치되되 상측프레임(7)에 설치되어 광고문을 표시하는 광고모듈(17)이 구성된 유동판(15)이 인출과 인입이 되게 구성되는 광고표시부(10)와,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연결되어 광고표시부(10)로 표시되는 광고문을 선택적으로 입력 및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들과 선택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배선부(30)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배선부(30)의 연결 구조에 따라 상기 광고표시부(10)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시부(1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삽입턱(14)이 휘어지게 형성되며 외부 일측에 상기 중공부와 연결되는 출입부(12)가 형성되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출입부(12)와 근접한 내부 일측에는 회전축의 외주에 다수의 기어(t)가 형성된 모터(13)와, 상기 삽입턱(14)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삽입턱(14)에 삽입되는 삽입부(16)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회전축의 기어(t)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t)가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광고모듈(17)이 구성되어 상기 모터(13)의 작동으로 인출과 인입되는 유동판(15)으로 구성하여, 배선부(30)의 연결구조에 따라 특정 제어수단의 작동과 동시에 작동 또는 일정간격 등 다양한 형태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광고표시부(10)가 지속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광고표시부(10)가 갑작스럽게 노출되어 차량의 주위 운전자 또는 보행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코자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광고문을 설정할 수 있는 광고전달 시스템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종래의 기술처럼 차량의 후방시야를 가리지 않고 광고표시부가 차량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어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광고표시부(10)와 차량의 제어수단들과 연결되는 배선부(30)의 연결구조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어수단들의 작동에 따라 상기 광고표시부(10)의 인출과 인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동의 다양성을 부여하고, 광고표시부(10)가 지속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차량의 특정 제어수단의 작동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후방 또는 주위의 운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고전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광고표시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광고표시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선부의 다양한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고표시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광고표시부의 설치상태와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종래의 기술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광고전달 시스템을 보면 대체적으로 부착 또는 결합 및 거치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사고유발을 높일 수 가 있으며, 그 구성들이 복잡하여 실질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하기에는 고객들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될 수밖에 없는 구성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내부에 구성되어 후방에서 뒤따라오는 차량의 운전자들에게 전방에서 발생된 상황 또는 차량 운전자가 전달하려는 광고를 문자로 입력하여 상황에 맞춰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성을 부여하는 본연의 목적을 유지하고,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 중에 있어서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며 차량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들과 연결되는 배선부의 연결구조를 선택적으로 달리 연결 구성하여 상기 광고표시부(10)를 제어하는 제어부(20)가 상기 연결구조에 따라 상기 광고표시부(10)를 다양한 방법으로 인출과 인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차량에 설치되어 광고문을 표시하는 광고표시부(10)와,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연결되어 광고표시부(10)로 표시되는 광고문을 선택적으로 입력 및 제어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되는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시부(10)는 차량의 내부에 인출과 인입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들과 선택적으로 배선부(30)가 연결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는 배선부(30)의 연결 구조에 따라 상기 광고표시부(10)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광고표시부(10)는, 차량의 내부 상측에 구성되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 구성되는 모터(13)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상기 모터(13)와 연결되어 모터(13)의 작동에 따라 인출과 인입이 이루어지는 유동판(15)과, 상기 유동판(15)의 일측에 하나 또는 다수의 광고모듈(17)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동판(15)은 일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본 발명의 광고전달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배선 연결구조에 따라 광고표시부(10)가 제어부(20)에 제어로 작동되고 다양한 광고문을 할 수 있도록 하되, 평상시에는 광고표시부(10)의 광고문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부(20)에 의해 갑작스럽게 광고문이 노출되도록 하여 주위의 사람 또는 차량 운전자들로 하여금 이목을 집중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광고표시부(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 상측에 부착 또는 결합되게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내부 상측프레임(1)에 구성되는 케이스(11)가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유동판(15)이 유동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부에서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삽입턱(14)이 구성된다. 삽입턱(14)은 하기될 유동판(15)의 삽입부(16)가 삽입되어 차량의 운행 중 또는 기타 외부요인으로부터 충격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유동판(15)을 고정하도록 하고, 모터(13)에 의해 인출과 인입 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삽입턱(14)은 유동판(15)이 유동함에 있어 가이드역할을 함으로써 인입과 인출 중 이탈을 방지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는 상기 유동판(15)이 인출과 인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로 출입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입부(12)의 경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지만 힌지구조를 적용하여 유동판(15)이 인출 시 열려지고 유동판(15)이 인입 시 자동적으로 닫힐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통상의 구성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1)의 내부 일측에는 모터(13)가 구성되는데 상기 모터(13)의 회전축의 외주에는 다수의 기어(t)가 구성된다. 상기 기어(t)는 모터(13)의 회전으로 인출과 인입이 이루어지는 유동판(15)을 오차 없이 신속하게 인출과 인입시킬 수 있도록 유동판(15)의 기어(t)와 걸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전력은 제어부(20)로부터 전력을 공급 또는 하기될 배선부(30)를 통해 차량의 배터리와 연결 구성하여 사용될 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판(15)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상기 모터(13)와 연결되어 모터(13)의 작동(회전)에 따라 인출과 인입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데, 그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하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기어(t)가 구성되어 상기 모터(13)의 회전축의 기어(t)와 맞물리게 구성되고, 양측에는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는 삽입부(16)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1)의 삽입턱(14)에 삽입되며, 상측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광고모듈(17)이 구성된다.
상기 유동판(15)은 삽입부(16)에 의해 케이스(11)에 내부에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턱(14)과 삽입부(16)의 구조로 인해 슬라이드 되게 구성되고, 최종적으로 상기 광고모듈(17)을 통해 원하는 광고문을 후방에서 근접하는 차량의 운전자 또는 기타 외부인들에게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광고표시부(10)는 차량의 상측프레임(7)에 구성되어 인출과 인입이 이루어지는데, 통상적으로 차량은 대부분 상측프레임(7)에서 연장 또는 연결되는 후면유리(5), 즉, 연결되는 지점에는 자연스레 각도가 형성되어 있는데, 광고표시부(10)의 유동판(15)이 인출 시 상기 후면유리(5)와의 부딪힘을 방지할 수 있게 휘어지게 형성된다.
즉, 유동판(15)이 휘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유동판(15)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케이스(11)의 삽입턱(14) 또한, 휘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14)에 삽입턱(16)이 삽입되게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고표시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인출과 인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20)는 차량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고,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차량의 제어수단(1)들과의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배선부(30)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광고표시부(10)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배선부(30)를 차량의 브레이크등 또는 후미등과 같은 제어수단(1)에 연결 구성하게 되면, 브레이크등의 점등과 동시에 제어부(20)가 광고표시부(10)를 제어하여 유동판(15)을 인출시키도록 구성되고, 후미등과 배선부(20)를 연결할 시에는 후미등의 점등과 동시에 유동판(15)이 인출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어부(20)는 배선부(30)와 차량의 제어수단(1)과의 연결구조에 따라서 광고표시부(10)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20)는 상기한 방법 이외에, 브레이크등이 점등된 후 5초 후 또는 10초 후에 광고표시부(10)를 제어, 또는 브레이크등이 점멸된 후 5초 후에 또는 10초 후에 광고표시부(1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가 있으며, 상기 제어부(20)는 통상의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조작 및 가변시킬 수가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배선부(30)는 본 발명의 제어부(20)가 광고표시부(10)를 제어할 시 상기 배선부(30)와 제어부(20)의 연결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광고표시부(10)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구동을 제어하는 각종 제어수단(1)들과 선택적으로 배선 연결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부(30)가 하나의 제어수단(1)이 아닌 다수의 제어수단(1)들과 배선 연결할 경우, 상기 제어부(20)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은 배선부(30)가 차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들과의 연결 구조에 따라 제어부(20)가 광고표시부(10)를 제어하도록 하고, 다수의 제어수단(1)들과 배선 연결 될시에는 사용자가 제어부(20)의 조작을 통해 하나 또는 다수의 방법으로 선택할 수가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광고표시부(10)를 제어할 수 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광고표시부(10)는 지속적인 노출이 아닌 평상시에는 운전자의 후방 시야를 방해하지 않고 있으며 제어부(20)에 제어에 따라 인출되되 후면유리(5)와의 부딪힘 또한 방지 할 수 있는 구조로 갑작스런 인출로 인해 주위의 이목을 집중시켜 광고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는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 광고모듈(17)이 구성되어 차량의 내측 후방에 설치되는 광고표시부(10)와,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광고표시부(10)를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들과 선택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배선부(30)로 구성되어, 상기 배선부(30)의 연결 구조에 따라 제어부(20)가 상기 광고표시부(10)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인출과 인입되는 형태가 아닌 차량의 내측 후방 유리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고정된 형태를 취하며 제어수단(1)들과의 배선연결을 통해 제어부(20)의 제어에 따라 광고표시부(10)가 제어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출과 인입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광고시스템 또는 고정된 형태로 구성되는 광고시스템에 각각 적용되는 광고표시부(10)는 LCD 또는 LED로 구성된다. 즉, 광고모듈(17)이 LED 또는 LCD로 구성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될 수 있는 통상의 구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광고문을 설정할 수 있는 광고전달 시스템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종래의 기술처럼 차량의 후방시야를 가리지 않고 광고표시부가 차량의 내부 상측에 위치되어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며 광고표시부(10)와 차량의 제어수단(1)들과 연결되는 배선부(30)의 연결구조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상기 제어수단(1)들의 작동에 따라 상기 광고표시부(10)의 인출과 인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동의 다양성을 부여하고, 광고표시부(10)가 지속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차량의 특정 제어수단(1)들의 작동에 따라 작동함으로써 후방 또는 주위의 운전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켜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 : 제어수단 5 : 후면유리 : 상측프레임
10 : 광고표시부 11 : 케이스 12 : 출입부
13 : 모터 14 : 삽입턱 15 : 유동판
16 : 삽입부 17 : 광고모듈
20 : 제어부 30 : 배선부 t : 기어

Claims (3)

  1. 차량에 내부 후방에 설치되되 상측프레임(7)에 설치되어 광고문을 표시하는 광고모듈(17)이 구성된 유동판(15)이 인출과 인입이 되게 구성되는 광고표시부(10)와,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연결되어 광고표시부(10)로 표시되는 광고문을 선택적으로 입력 및 제어하는 제어부(20)와, 상기 광고표시부(10)와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들과 선택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배선부(30)로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배선부(30)의 연결 구조에 따라 상기 광고표시부(10)의 인출과 인입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시부(10)는,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내부 양측에 상호 대응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삽입턱(14)이 휘어지게 형성되며 외부 일측에 상기 중공부와 연결되는 출입부(12)가 형성되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출입부(12)와 근접한 내부 일측에는 회전축의 외주에 다수의 기어(t)가 형성된 모터(13)와,
    상기 삽입턱(14)의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삽입턱(14)에 삽입되는 삽입부(16)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회전축의 기어(t)와 맞물리는 다수의 기어(t)가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의 광고모듈(17)이 구성되어 상기 모터(13)의 작동으로 인출과 인입되는 유동판(1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표시부(10)는 LCD 또는 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
KR1020150188311A 2015-12-29 2015-12-29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 KR10180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11A KR101803159B1 (ko) 2015-12-29 2015-12-29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311A KR101803159B1 (ko) 2015-12-29 2015-12-29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128A KR20170078128A (ko) 2017-07-07
KR101803159B1 true KR101803159B1 (ko) 2017-11-29

Family

ID=5935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311A KR101803159B1 (ko) 2015-12-29 2015-12-29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31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684Y1 (ko) * 2006-01-05 2006-03-16 조남형 차량용 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1684Y1 (ko) * 2006-01-05 2006-03-16 조남형 차량용 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128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2219A (ko) 오토모티브 표시 장치
EP3508380B1 (en) Display and illumination system for a vehicle interior
EP3631574B1 (en) Vehicle display assembly
US20160159286A1 (en) Rear View Mirror System and Related Methods
JP6623910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4588384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803159B1 (ko) 인출과 인입이 가능한 광고표시부가 구성된 차량용 광고전달 시스템
JP2011116219A (ja) 車内監視システム
CN106828335B (zh) 带有显示设备的车辆以及用于车辆的遮挡装置
KR200434664Y1 (ko) 차량용 광고장치
US20220020320A1 (en) Display device and a vehicle with the display device
US20220085129A1 (en)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pixel-based graphical content in two directions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display device
CN204309671U (zh) 一种适用于公交信息发布的玻璃车窗
CN212061803U (zh) 带有投影装置的车辆和投影装置
JP2011081244A (ja) 車両用のledを用いた表示板
CN205989662U (zh) 一种非阻挡式仪表盘
CN212061805U (zh) 投影装置和带有投影装置的车辆
GB2337842A (en) Vehicle display
KR102102375B1 (ko) 차량용 천장 디스플레이 시스템
EP2266841A3 (en) Apparatus for viewing oblique forward area of vehicle
US20050157513A1 (en) Visible device for laminated automobiles glass
KR20170089527A (ko) 태양광을 이용한 안내판 겸용 볼라드
KR20110022871A (ko) 전동차 출입문 개폐정보 표시장치
JP2009119915A (ja) 自動車
CN108777120A (zh) 到站提醒的公交站台的广告牌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