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952B1 - Contex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 Google Patents

Contex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952B1
KR101801952B1 KR1020160165475A KR20160165475A KR101801952B1 KR 101801952 B1 KR101801952 B1 KR 101801952B1 KR 1020160165475 A KR1020160165475 A KR 1020160165475A KR 20160165475 A KR20160165475 A KR 20160165475A KR 101801952 B1 KR101801952 B1 KR 10180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s
context
power consumption
standby power
ontolo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4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만
임준성
손희석
신병헌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60165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95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3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Abstract

Disclosed are a method and an apparatus to reduce standby power of electric devices based on context.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reduc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state of each electric device based on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electric devices consuming power; a step of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ic devices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of two or more electric devices; a step of inferring work in progress based on the operation context of the electric devices and the correlation; and a step of blocking standby power by turning off the electric devices except an electric device participating in the inferred work in progres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cellent standby power saving effect by reducing total standby power of household appliances by controlling a smart plug through context infere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standby power adaptively according to changes of context since ontology and a rule set can be updated by actively reflecting operation context where electric devices operate.

Description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Contex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러 전자 기기들의 동작 콘텍스트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작업을 결정하고, 결정된 작업에 참여하지 않는 전자 기기를 턴오프함으로써 대기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ntext-based standby p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ntext-based standby power by reducing the standby power by determining an operation performed by a user by analyzing operation contexts of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많은 가정용 기기는 대기 전력을 소모하는데, 가정의 총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려면 대기 전력을 줄여야 한다. 대기 전력은 전자 기기들이 주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때에 소모되는 전력을 가리킨다. Many home appliances consume standby power, which reduces standby power to reduce the total energy consumption of the home. Standby power refers to the power consumed when electronic devices are not performing their primary operations.

기기에 따라서 대기 전력은 1W에서 30W에 달할 정도의 값을 가진다. 이와 같이 특히, 대기 전력은 개별 장치에 대해서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각 가정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기기들에 소모되는 대기 전력의 총합은 매우 크기 때문에, 국가적으로도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기술은 절실히 요구된다. 즉, 단일 기기에 의한 대기 전력 손실은 적어 보이지만 총 대기 전력 손실은 무시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주택에서 대기전력 소모량이 총 소모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많게는 26%에 달하기도 한다. Depending on the device, the standby power can be as high as 1W to 30W. In particular, although the standby power seems to be not large for the individual devices, the total standby power consumed by many devices used in each home is very large, so that a technology for reducing standby power is desperately required nationwide. That is, although the standby power loss by a single device is small, the total standby power loss can not be ignored. For example, in California homes, standby power consumption accounts for as much as 26% of total consumption.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종래의 기기들에 비하여 최근의 기기들은 적은 대기 전력을 소모하지만, 사물 인터넷(IOT)이 대두되면서 점점 많은 스마트 기기들이 가정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기기들로 인한 대기 전력 소모는 무시될 수 없을 만큼 크다. 게다가, 단지 대기 전력이 적다는 이유만으로 사람들이 사용하던 기기들을 교체하지는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recent devices consume less standby power than conventional devices, but as more and more smart devices are installed in the home as the Internet of Things (IOT) emerges,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these devices It is too big to be ignored. In addition, this problem can become even more serious because people simply do not replace the devices they use just because they have low standby power.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간단하며, 이것은 사용하지 않을 때 기기의 플러그를 뽑아두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기기들의 플러그를 뽑는 것은 귀찮기도 하고 불편한 일이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에 따르면, 기기가 사용 중이 아닐 때를 모니터링하고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기기의 대기 전력을 효율적으로 절감하기 위한 스마트 플러그가 제안되었다. 스마트 플러그는 가정용 콘센트와 기기 사이에 설치되어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원격으로 기기의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플러그는 가정에 설치되어 기기를 모니터링하여 사용 패턴을 얻어 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 플러그를 사용할 경우, 기기의 현재 전력 소모 상태를 살펴보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해당 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The most effective way to shut off standby power is simple, which is to unplug the device when not in use. But unplugging all devices is both annoying and inconvenient. In order to overcome this inconvenien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 smart plug has been proposed for effectively reducing the standby power of the device by monitoring when the device is not in use and turning off the power. A smart plug can be installed between a household outlet and a device to cut off standby power. The smart plug allows the user to remotely power off the device. In addition, the smart plug can be installed in the home to monitor the device and obtain usage patterns. When the smart plug is used, the user can check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state of the device and transmit the device to the remote . ≪ / RTI >

이러한 스마트 플러그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기 전력을 차단해야 할 경우가 어떤 경우인지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대기 전력을 현재 전자 기기에서 소모하는 전력의 양에 기초해서만 판단하며, 최근에 스마트 플러그를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거동 모델(behavior model)에 기초한 제어 기법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use such a smart plug efficiently, it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exactly when it is necessary to shut off standby power. In order to control the smart plug automatically, a control technique based on the user's behavior model has recently been proposed, which is based only on the amount of power consumed by the current electronic device.

이와 같이, 기기의 대기 전력을 절감시키는 것은 주된 연구 분야이기도 하다. L. Wang, D. Peng, and T. Zhang, "Design of smart home system based on wifi smart plug,"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 9, no. 6, pp. 173-182, 2015(이하, "비특허문헌 1")에 따르면 전력 소비의 현재 레벨이 사용자에게 통지되는 피드백 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이에 따라서 기기를 제어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다른 기법은 전력 관리 시스템이 여러 개의 스마트 플러그를 체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는 자동 대기 전력 절감 시스템을 제안하기도 한다. 하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하는 것이 체계적인 제어 방법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못하고 있다.In this way, reducing the standby power of the device is also a major research area. L. Wang, D. Peng, and T. Zhang, "Design of smart home system based on wifi smart plug ",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 9, no. 6, pp. 173-182, 20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Non-Patent Document 1"), a feedback method in which a current level of power consumption is notified to a user is proposed. The user can then control the device accordingl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other technique is to propose an automatic standby power saving system that conserves energy by systematically controlling multiple smart plugs by a power management system. However, it does not disclose in detail how smart plug control is a systematic control method.

일반적으로, 전력 데이터를 수집하고 해당 기기의 거동 모델을 작성하기 위해서 가정용 게이트웨이가 사용된다. 하지만, 거동 모델은 주로 개별 기기의 전력 사용 패턴을 사용해서 작성되고, 특정한 사용자 작업(예를 들어, 조리, 영화 감상 등)에서 함께 동작하는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와 같은 다른 콘텍스트를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리 작업은 전자 렌지와 전기 밥솥과 같이 서로 관련된 기기들의 여러 가지 동작 콘텍스트들을 포함하지만, 스마트 플러그는 이러한 콘텍스트를 고려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거동 모델을 사용해서는 사용자가 의도한 거동을 나타내는 작업의 총괄적인 속성을 찾아내기 어렵다. Generally, a home gateway is used to collect power data and create a behavior model for the device. However, the behavioral model is primarily written using the power usage patterns of individual devices and does not take into account other contexts such as the correlation between devices that work together in a particular user task (e.g. cooking, watching movies, etc.) . For example, a cooking operation includes various operating contexts of mutually related appliances such as a microwave oven and an electric rice cooker, but a smart plug does not take this context into accoun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se the behavioral model to find the overall attribute of the work that represents the intended behavior of the user.

이와 같이, 스마트 플러그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전자 기기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되는 시간대에는 특정 전자 기기를 턴오프시켜서 대기 전력을 절약할 수도 있고, 스마트 플러그는 또한 타임 스케줄링 기능을 제공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시간에 따라 기기를 동작시킬 수도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반드시 정확한 시각에 일정 작업을 반복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타임 스케줄링 기능이 언제나 효과적인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는 정확한 시각에 맞춰서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며,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도 매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통상적인 패턴에 맞춰서 기기의 동작을 갑자기 중단시켜버리면 요리가 되다가 중단되는 등 작업 품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심지어 작업의 완료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In this way, when the smart plug is used, the user can analyze the usage pattern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can save the standby power by turning off the specific electronic device at the time when it is estimated that it will not be used. The smart plug also provides the time scheduling function In this case, the device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ime. However, this time scheduling function is not always effective because users do not necessarily repeat the schedule at the correct time. That is, the user does not perform the task in accordance with the correct time, and the time to perform the same task may be changed every day. Therefore, sudden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n accordance with a usual pattern may significantly affect the quality of the operation such as cooking and stopping, and even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may not be possible.

비특허문헌 1 : L. Wang, D. Peng, and T. Zhang, "Design of smart home system based on wifi smart plug,"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 9, no. 6, pp. 173-182, 2015Non-Patent Document 1: L. Wang, D. Peng, and T. Zhang, "Design of smart home system based on wifi smart plug," International Journal of Smart Home, vol. 9, no. 6, pp. 173-182, 2015 비특허문헌 2 : A. H. Cheetham and J. E. Hazel, "Binary (presence-absence) similarity coefficients," Journal of Paleontology, pp. 1130-1136, 1969.Non-Patent Document 2: A. H. Cheetham and J. E. Hazel, "Binary (presence-absence) similarity coefficients," Journal of Paleontology, pp. 1130-1136, 1969.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텍스트 추론을 통해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하여 가정용 기기의 총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context-aware standby power reduction scheme; CASPRE)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ext-aware standby power reduction scheme (CASPRE) capable of reducing the total standby power of a home appliance by controlling a smart plug through context inferen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정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할 때의 기기들 사이에 존재하는 상관 관계를 최적화하여 사용하며, 진행 중인 작업이 여러 기기들의 콘텍스트로부터 추론될 수 있고, 현재의 작업에 관여하지 않는 기기들은 턴오프할 수 있는 콘텍스트-인식 대기 전력 절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ize and use a correlation existing between devices when performing a specific task in a home, to allow an in-progress task to be deduced from the context of several devices, And to provide a context-aware standby power saving device capable of turning off non-involved devices.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전력을 소모하는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에 기초하여 각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두 개 이상의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관 관계와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단계; 및 추론된 진행 중인 작업에 참여하는 전자 기기 이외의 전자 기기들을 턴오프하여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전력 소모 레벨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소모 레벨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동작 상태, 대기 상태, 및 턴오프 상태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전력 소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전력 소모 데이터를 시간에 대해 분석하여, 동시에 동작되는 전자 기기들에 높은 유사도 계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과 관련된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지식 저장소(knowledge repository)에서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는 상기 전자 기기들에 적용하는 단계; 및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적용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온톨로지는 및 규칙 세트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 및 주변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에서, 상기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은 상기 전자 기기들이 연결된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측정되고, 상기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each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suming power;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Inferring a current work in progress based on the correlation and the operating context of the electronic devices; And turning off the 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the electronic devices participating in the inferred ongoing task to block the standby power. Wherein the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s comprises: detecting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Comparing the detected power consumption level with a threshold; And determ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s as one of an operating state, a standby state, and a turn-off state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power consumption level and the threshold value.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comprises the steps of: collecting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onic devices; Analyzing the collected power consumption data with respect to time to give a high similarity coefficient to electronic devices operating simultaneously; And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e similarity coefficient. Wherein inferring the current ongoing task comprises: receiving in a knowledge repository an ontology and a set of rules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s; Applying the received ontology and rule set to the electronic devices having a high correlation; And deducing the ongoing work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e results of applying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may include the operating state and environment data of the electronic devices, and may be upda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s. Further, in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is measured through the smart plug to which the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and the step of blocking the standby power is performed by the smart plug .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전력을 소모하는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에 기초하여 각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전력 분석부; 두 개 이상의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상관 관계와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콘텍스트 관리자; 및 추론된 진행 중인 작업에 참여하는 전자 기기 이외의 전자 기기들을 턴오프하여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력 분석부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 소모 레벨을 임계치와 비교하며, 상기 전력 소모 레벨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동작 상태, 대기 상태, 및 턴오프 상태 중 하나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텍스트 관리자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전력 소모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력 소모 데이터를 시간에 대해 분석하여, 동시에 동작되는 전자 기기들에 높은 유사도 계수를 부여하며, 상기 유사도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장치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과 관련된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저장하는 지식 저장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콘텍스트 관리자는, 상기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상기 지식 저장소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는 상기 전자 기기들에 적용하며,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적용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도록 더욱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톨로지는 및 규칙 세트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 및 주변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은 상기 전자 기기들이 연결된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측정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를 통하여 상기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analyzer comprising: a power analyzer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tate of each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power consuming electronic devices; A context manager that determines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and deduces an ongoing task based on the correlation and the operation context of the electronic devices; And a central control unit for turning off the 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the electronic devices participating in the inferred ongoing task to cut off the standby power. The power analysis un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compare the detected power consumption level with a threshold value, and determine an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a comparison result of the power consumption level and a threshold value, , A standby state, and a turn-off state. Wherein the context manager collects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onic devices, analyzes the collected power consumption data with respect to time, and assigns high similarity coefficients to simultaneously operated electronic devices, and based on the similarity coefficient, And to determine a correlation between the devices.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formation repository for storing an ontology and a set of rul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s, wherein the context manager receives the ontology and a rule set from the knowledge repository , Applying the received ontology and rule set to the electronic devices having a high correlation and further inferring the ongoing work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e result of applying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may include the operating state and environment data of the electronic devices, and may be upda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s. The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is measured through the smart plug to which the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and the central control unit interrupts the standby power through the smart plug.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에 따르면, 콘텍스트 추론을 통해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하여 가정용 기기의 총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 전력 절감 효과가 뛰어나다.According to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mart plug is controlled through context inference, the total standby power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reduced, so that the standby power saving effect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장치에 따르면 전자 기기들이 동작하는 동작 콘텍스트를 능동적으로 반영하여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갱신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텍스트 변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can be updated by actively reflecting the operation context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s operate, the standby power can be adaptively reduced according to the context change .

도 1 은 본 발명의 일 면에 의한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전자 기기들의 사용 패턴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하여 결정된 전자 기기들 상호간의 상관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서 진행 중인 작업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온톨로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기존의 데이터 세트에 본 발명을 적용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실제 테스트 환경에 본 발명의 적용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usage patterns of electronic devices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determ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ntology used to determine an ongoing task in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graph showing an energy saving effect of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n existing data set.
7 is a graph showing the energy saving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n actual test environment.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이하, 도 1 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더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1 은 본 발명의 일 면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이다.1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reducing context-based standby pow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는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CASPRE)을 제안하는데, 이에 따르면 작업 추론을 통해 가정용 기기의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CASPRE), which can reduce the standby power of a home appliance through work inference.

도 1 을 참조하면, 우선 전력을 소모하는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에 기초하여 각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결정한다(S110). 동작 상태란 전자 기기가 대기 모드에 있는지, 아예 턴오프되어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 상태인지, 아니면 용도에 따라 정상 동작 중인지 중 하나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1, first, an operation state of each electronic device is determined based on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electronic devices consuming power (S110). The operation state indicates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in the standby mode, is turned off and is not consuming power, or is in a normal oper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동작 상태가 결정되면, 두 개 이상의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가 결정된다(S130). 이 경우, 상관 관계는 작업 실행의 관점에서 기기들 사이에 결정된다. 즉, 가정용 기기의 사용 패턴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동작시키는 기기들을 찾아내게 된다.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기술은 도 2 및 도 3 을 사용하여 상세히 후술된다.Once the operating state is determined,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is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S130). In this case, the correlation is determined between the devices in terms of job execution. That is, by analyzing the usage pattern data of the home appliance, it finds the devices that the user operates to perform a specific task. The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correl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using FIG. 2 and FIG.

이와 같이 전자 기기들의 상관 관계가 결정되면,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은 상기 상관 관계와 전자 기기들의 동작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한다(S150).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기 위해서, 작업의 온톨로지와 함께, 사용자의 존재 및 시각과 같은 다른 상황 콘텍스트 정에 기초해서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규칙들의 세트가 사용된다.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If the correl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s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duces the current work based on the correlation and the operation context of the electronic devices (S150). To infer ongoing work, a set of rules is used that infer an ongoing work based on other context context definitions, such as the user's presence and time, along with the ontology of the work. Techniques for inferring work in progr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이와 같이 진행 중인 작업이 결정되면, 상관도가 높은 기기들은 해당 작업이 끝날 때까지 켜는 대신에, 상관 관계가 낮은 기기들은 대기 상태로부터 턴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대기 전력을 절약한다(S170). 즉, 본 발명에 따른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CASPRE)은 파워-오프 제어 메시지를 현재 작업에 참여하지 않는 기기의 스마트 플러그로 보내서 에너지를 절약한다.When the work in progress is determined in this way, the devices having high correlation are switched on from the standby state to the turn-off state to save standby power (S170), instead of turning on the devices until the end of the corresponding operation. That is,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CASP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ves energy by sending a power-off control message to a smart plug of a device not participating in the current operation.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장치(280)가 동작하는 환경(2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that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nvironment 200 in which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device 280 operate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의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장치(280)는 스마트 플러그(210), 전력 분석부(230), 콘텍스트 관리자(240), 중앙 제어부(250), 지식 저장소(260), 및 통신부(270)를 포함한다.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장치(280)는 전자 기기(201, 203, 205, 209) 와 외부 센서(290)를 포함하는 동작 환경(200)에서 동작한다.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device 280 of FIG. 2 includes a smart plug 210, a power analysis unit 230, a context manager 240, a central control unit 250, a knowledge repository 260, .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device 280 operates in an operating environment 200 that includes electronic devices 201, 203, 205, 209 and an external sensor 290.

대기 전력을 절감하려면 각각의 전자 기기(201, 203, 205, 209)의 상태를 알아내고 이를 통합해서 작업을 추론해야 한다. 각각의 기기에 대하여 대기 상태인지 아니면 동작 중인지와 같은 현재 상태를 알 필요가 있다.In order to reduce standby power, the state of each electronic device (201, 203, 205, 209) must be determined and integrated to deduce the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know the current state of each device such as whether it is in a standby state or in operation.

실험을 통한 결과, 기기의 상태에 따라 대기 전력 소비량이 크게 차이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러한 전력 소비량이 표 1 에 예시된다. Experiments have shown that standby power consumption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device. This power consumption is illustrated in Table 1.

Figure 112016119788858-pat00001
Figure 112016119788858-pat00001

전력 분석부(230)는 기기의 동작 상태가 변경되는 것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기의 전력 레벨을 분석한다. 즉, 전력 분석부(230)는 전력 소모 데이터에 기초해서 목표 기기의 상태를 분석한다. 이와 같이, 전력 소모 레벨을 분석함으로써 기기의 상태를 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기의 동작 상태는 다음 수학식을 사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The power analysis unit 230 analyzes the power level of the device to understand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device is changed. That is, the power analysis unit 230 analyzes the state of the target device based on the power consumption data. In this way, the state of the device can be obtained by analyzing the power consumption level. For example, the operating state of the device can be obtained using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6119788858-pat00002
Figure 112016119788858-pat00002

여기에서, From here,

Figure 112016119788858-pat00003
Figure 112016119788858-pat00003

이다.to be.

수학식 1 및 수학식 2 에서, w current 는 지수 이동 평균이고, w avg 는 지수 이동 평균이다. 전력 소모의 현재 레벨이 주어지면, 임의의 계수 α와 이전에 계산된 전력 소모 레벨 avg(w prev )의 평균 값을 사용하여 지수 이동 평균이 계산된다. 지수 이동 평균은 스마트 플러그에 의해서 부정확하게 모니터링되었던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문턱치 은 어떤 기기가 동작 중인지 아니면 대기 상태인지 등을 판단하기 위해서 기기별로 선택된다.In Equations (1) and (2), w current is an exponential moving average and w avg is an exponential moving average. Given the current level of power consumption, an exponential moving average is calculated using the average of any coefficient α and the previously calculated power consumption level avg (w prev ) . The exponential moving average is used to minimize the effects of noise that was incorrectly monitored by the smart plug. The threshold is selected on a per device basis to determine which device is in operation or standby.

이와 같이 전자 기기(201, 203, 205, 209)의 동작 상태가 결정되면, 콘텍스트 관리자(240)는 여러 전자 기기들이 동작하는 콘텍스트를 분석하여 진행 중인 작업을 결정한다.When the operation states of the electronic devices 201, 203, 205, and 209 are determined, the context manager 240 analyzes the context in which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operate, and determines the work in progress.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기기들의 사용 패턴을 예시하는 도 3 을 참조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is made to Fig. 3, which illustrates a usage pattern of electronic devices.

도 3 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전자 기기들의 사용 패턴을 예시하는 그래프이다.FIG. 3 is a graph illustrating usage patterns of electronic devices provid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일반적인 가정에서의 72 시간에 걸친 기기 사용 패턴을 나타낸다. 도 3 으로부터, TV와 거실 오디오(SubwooferLivingroom)는 서로 동작되는 경우가 많지만, 전기 주전자(Kettle)와 주방 라디오(KitchenRadio)의 동작과는 관련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기기의 사용 시간도 경우에 따라 변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TV는 매일 저녁에 켜지지만, 그 동작 시간은 날짜 별로 많이 다르다. 도 2 에서 살펴보면, TV의 동작 시간이 짧을 경우 거실 오디오의 동작 시간도 짧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이것은 TV와 거실 오디오가 매우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이 식별되면, 이러한 작업에 참여하지 않는 기기들은 꺼져서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Figure 3 shows device usage patterns over a 72 hour period in a typical home. It can be seen from FIG. 3 that the TV and the subwoofer living room are often operated together but are not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n electric kettle and a kitchen radio (KitchenRadio). Likewise, we can see that the use time of the equipment also varies with the case. For example, a TV turns on every evening, but the time of its operation is very different from day to day. Referring to FIG. 2, it can be seen that the operation time of the living room audio is short when the operation time of the TV is short, which indicates that the TV and the living room audio have a very high correlation. Once an ongoing task is identified, devices that do not participate in this task can be turned off to reduce standby power.

콘텍스트 관리자(240)는, 다른 기기들의 콘텍스트에 추가하여, 가정 내의 센서와 액츄에이터와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 생성된 주변의 상황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를 최대한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관 천정에 설치된 재실 센서(presence sensor)는 사용자가 귀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사운드/조명 센서도 주변 상황을 알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기기들의 동작 상태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재실 여부, 시각, 날짜 등과 같은 상황에 대한 콘텍스트 정보를 최대한으로 사용할 경우에, 기기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최적의 결정을 내릴 수 있다.Context manager 240 may, in addition to the context of other devices, utilize context information for the surrounding context generated from smart devices, such as sensors and actuators in the home, to the fullest extent. For example, a presence sensor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door can recognize that the user is returning home, and a sound / light sensor can also detect the surrounding situa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make an optimal decision to control the power of the device when using the context information for the context, such as the user's status, visibility, date, etc., as well as the operational status of other devices.

콘텍스트 관리자(240)에 의하여 참조되는 콘텍스트에서, 다양한 가정 환경의 속성이 변경되면 결정되는 작업 역시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을 탄력적이고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은 진행 중인 작업을 나타내고 추론하기 위해서 온톨로지와 비즈니스 규칙 엔진을 활용한다.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는 지식 저장소(260)에 저장되어 체계적으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온톨로지는 개별적으로 갱신되어 관련된 기기들과 주변 상황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다양한 콘텍스트를 반영할 수 있다. 규칙 세트도 역시 새로운 규칙 세트로 자유롭게 교체될 수 있다.In the context referenced by the context manager 240, the tasks determined when the attributes of the various home environments are changed may also be vari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expressing the work resiliently and efficiently. To this end,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n ontology and a business rule engine to represent and infer work in progress.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are preferably stored in the knowledge repository 260 and managed systematically. That is, the ontology can be updated individually to reflect the various contex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associated devices and the surrounding context. Rule sets can also be freely replaced with new rule sets.

콘텍스트 관리자(240)는 다양한 기기들로부터의 모든 콘텍스트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이를 위하여, 콘텍스트 관리자(240)는 지식 저장소(260)로부터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로딩한다. 새로운 지식이 추가되면, 콘텍스트 관리자는 규칙 엔진을 트리거링하고 컴파일된 규칙을 실행해서 새로운 온톨로지 작업이 추론될 수 있게 하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다. The context manager 240 is responsible for managing all the context information from various devices. To this end, the context manager 240 loads the ontology and rule set from the knowledge repository 260. As new knowledge is added, 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the context manager triggers the rule engine and executes the compiled rules so that new ontology work can be inferred.

또한, 규칙 엔진을 트리거링하는 것 외에, 콘텍스트 관리자(240)는 종래의 지식들을 갱신하고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TV가 켜지면 콘텍스트 정보 삼중쌍(TV, hasState, "on")이 콘텍스트 관리자에 추가될 것이다. TV가 대기 모드에 진입하면, 콘텍스트 관리자(240)는 이러한 삼중쌍을 제거하고, 새로운 삼중쌍(TV, hasState, "Standby")이 추가되게 한다.Further, in addition to triggering the rule engine, the context manager 240 is responsible for updating and managing conventional knowledge. For example, when the TV is turned on, a context information triple pair (TV, hasState, "on") will be added to the context manager. When the TV enters standby mode, the context manager 240 removes this triple pair and adds a new triple pair (TV, hasState, "Standby").

본 명세서에서 콘텍스트 정보(context information)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신원 정보, 취미, 취향 등과 같은 개인적인 정적 콘텍스트 정보 및 현재 사용자가 제공되는 콘텐츠를 얼마나 잘 따라하는지에 대한 동적 콘텍스트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콘텍스트 정보는 개인의 개성과 특성에 관련된 정적인 콘텍스트 정보(static context information)와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상태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정보 및 과거 이력 데이터를 의미하는 동적인 콘텍스트 정보(dynamic context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콘텍스트 정보란 유비쿼터스 컴퓨팅과 관련하여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시스템, 혹은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간 상호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람, 장소, 사물, 개체, 시간 등 콘텍스트의 특징을 규정하는 정보를 가리킨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 통신 대역폭, 그리고 프린터, 디스플레이,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컴퓨팅 콘텍스트(computing context), 사용자의 프로파일, 위치, 주변의 사람들을 비롯한 사용자 콘텍스트(user context), 조명, 소음 레벨, 교통 상태, 온도 등 환경적 콘텍스트(environmental context), 시간, 주, 달, 계절 등 시간적 콘텍스트(time context) 등이 모두 콘텍스트 정보에 포함된다. 이러한 콘텍스트 정보들은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감지 장치(sensing device)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악되고 모아져 다양한 응용 서비스 제공에 이용되거나, 다른 콘텍스트 정보와 묶여 제3의 결론을 얻는 추론에 사용되기도 한다. In the present context, context information includes personal static context information such as a user's health status, identity information, hobbies, preferences and the like using the user terminal and dynamic context information about how well the current user follows the provided content. do. In addition, the context information may include static context information related to individual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information obtained in real time from the status of the user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ystem, and dynamic context information indicating past history data context information. In general, context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that defines characteristics of a context, such as a person, a place, an object, an object, and a time, which affect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another user, a system, or a device in association with ubiquitous computing.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network connection state, a communication bandwidth, and a computing context such as a printer, a display, and a workstation, a user context including a user's profile, Environmental context such as traffic condition, temperature, time context such as time, week, month, and season are all included in the context information. Such context information may be used for reasoning that the system can be grasped and gathered through various sensing devices and applications and used for providing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or tied with other context information to obtain a third conclus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은 특정 온톨로지 작업에 대해 정해진 규칙 세트에 기초해서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함으로써 가정용 기기의 대기 전력을 절감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standby power of a home appliance by controlling the smart plug based on a rule set defined for a specific ontology task.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장치(CASPRE)에서 사용되는 지식 저장소(260)는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로 구성된다. 온톨로지는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의 관점에서 특정 작업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전술된 것과 같이, 상관 관계가 높은 기기들은 함께 사용되는 경향을 가지고 있지만, 상관 관계가 낮은 기기들은 함께 사용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꺼도 무방하므로, 같은 작업에 속한 전자 기기들을 식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와 같이 중요한 상관 관계를 계산하기 위해서, A. H. Cheetham and J. E. Hazel, "Binary(presence-absence) similarity coefficients," Journal of Paleontology, pp. 1130-1136, 1969. [이하, "비특허문헌 2"]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기법에 의해서 유사도 계수가 선택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언급된 문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출원 전 공개된 모든 종래 기술이 유사도 계수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The knowledge repository 260 used in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device (CASP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ontology and a rule set. An ontology is used to express a specific task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devices. As described abov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electronic devices belonging to the same task, since highly correlated devices have a tendency to be used together, but low correlation devices may not be used together. To compute this important correlation, A. H. Cheetham and J. E. Hazel, "Binary (presence-absence) similarity coefficients," Journal of Paleontology, pp. 1130-1136, 1969. [hereinafter, "Non-Patent Document 2"] can be used. The similarity coefficient is selected by this technique.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documents, and all prior arts disclosed before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used to select the similarity coefficient.

도 4 는 한 주 동안에 실험 장소에서 수집된 기기 사용 데이터에 기초해서 각 기기의 작동 상태에 대해 유사도 계수를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 에 나타난 것처럼, TV와 게임기(GameConsole) 사이에는 높은 유사도 계수가 존재하는데, 이것은 이들이 동시에 작동될 것을 나타낸다. 반면에 TV와 제습기(Dehumidifier) 사이에는 유사도가 낮은데, 이들은 개별적으로 동작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calculating the similarity coefficient for the operating conditions of each device based on the device usage data collected at the test site during one week. As shown in FIG. 4, there is a high similarity coefficient between the TV and the game console (GameConsole), which indicates that they will be operated simultaneously. On the other hand, the similarity between the TV and the dehumidifier is low, indicating that they are likely to work individually.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는 기기들은 그룹화되어 하나의 작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V와 게임기는 '비디오 게임하기' 작업을 이루도록 그룹화될 수 있는데, 이것은 이들이 높은 유사도 계수를 가지기 때문이다. 어떤 작업과 기기 사이의 이러한 관련성이 도 5 에서 온톨로지로 표현된다. Devices with high correlations can be grouped to form a single task. For example, TVs and game consoles can be grouped together to perform a 'video game' task, since they have a high similarity coefficient. This relationship between a task and a device is represented in Figure 5 by an ontology.

도 5 는 본 발명에서 진행 중인 작업을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온톨로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ntology used to determine an ongoing task in the present invention.

다양한 콘텍스트에서 작업을 구성하는 것들을 높은 탄련성을 가지고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온톨로지가 사용된다. 온톨로지란 공유된 개념화(shared conceptualization)에 대한 정형화되고 명시적인 명세(formal and explicit specification)로 정의될 수 있다. 흔히, 온톨로지는 단어와 관계들로 구성된 일종의 사전으로서 생각할 수 있으며, 그 속에는 특정 도메인에 관련된 단어들이 계층적으로 표현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이를 확장할 수 있는 추론 규칙이 포함되어 있어, 웹 기반의 지식 처리나 응용 프로그램 사이의 지식 공유, 재사용 등이 가능토록 되어 있다. 온톨로지는 시맨틱 웹 응용의 가장 중심적 개념으로서, 이를 표현하기 위해 스키마와 구문 구조 등을 정의한 언어가 온톨로지 언어(ontology language)이며, 현재 DSML+OIL, OWL, Ontolingun 등이 있다. 즉, 온톨로지는 서로 다른 의미들 간의 공통되는 의미적 이해와 상호 호환성(interoperability)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온톨로지 매칭 기술은, 웹과 같이 시맨틱 웹이 이기종(heterogeneous) 분산(distributed) 환경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온톨로지를 생성하는데 필연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기술이다. 이렇게 생성되는 온톨로지 자체도 각각 이기종 환경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온톨로지 매칭 방식은 서로 다른 온톨로지들 간의 의미적 관계성을 발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An ontology is used because it can represent things that constitute tasks in various contexts with high fidelity. An ontology can be defined as a formal and explicit specification of shared conceptualization. Often, an ontology can be thought of as a kind of dictionary composed of words and relations, in which words related to a specific domain are hierarchically represented and additionally includes inference rules that can be expanded to include a web-based knowledge processing And knowledge sharing and reuse among application programs. Ontology is the most central concept of semantic web application. Ontology language is a language that defines schema and syntax structure to represent it. Currently, there are DSML + OIL, OWL, Ontolingun and so on. That is, ontologies are used to support common semantic understanding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different meanings. And, ontology matching technology is a technology that must be accompanied by inevitably creating an ontology because the semantic web has characteristics of a heterogeneous distributed environment like the web. The generated ontology itself also includes heterogeneous environments. Therefore, the ontology matching method is proceeding in a way to discover the semantic relation between different ontologies.

전술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201, 203, 205, 209)의 동작 상태에 추가하여,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현재 시각은 몇 시인지, 그리고 다른 기기들은 어떻게 동작하고 있는지와 같은 환경적 콘텍스트도 특정 작업을 구성하는데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을 기존에 스마트 환경이 구축된 가정에 문제 없이 통합시키기 위해서도, 작업을 온톨로지로 표현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하기' 작업은 TV와 게임기의 동작 상태 뿐만 아니라, 현관에 설치된 재실 센서에 의해서 생성된 사용자가 있다는 콘텍스트에 의해서도 지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operating states of the electronic devices 201, 203, 205, and 209, environmental contexts such as whether a user is present, the current time is at what time, May be included in configuring the task. In order to integrate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o a home in which a smart environment has been established without any problems, it is advantageous to express the task as an ontology. For example, 'playing video games' can be supported not only by the operating status of TVs and game machines, but also by the context in which there is a user created by a room sensor installed on the porch.

콘텍스트 정보의 콜렉션으로부터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기 위해서 규칙 세트가 정의된다. 이러한 규칙들은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이 무엇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조건들에 대해 정의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하기' 작업이 진행중이라고 추론하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가 있다는 것, 그리고 TV와 게임기 같은 기기들이 동작중이라는 것을 검출해야 한다. 이러한 규칙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A set of rules is defined to deduce an action in progress from a collection of contextual information. These rules define the conditions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what the current work is. For example, to deduce that a 'playing video game' is in progress, you must first find out that you have a user, and that devices such as TVs and gaming devices are running. These rules can be expressed as follows.

(?user rdf:type caspre:User) (? user rdf: type caspre: User)

?(?user caspre:locatedIn caspre:Lounge) ? (user caspre: locatedIn caspre: Lounge)

?(caspre:TV caspre:hasState caspre:"On") ? (caspre: TV caspre: hasState caspre: "On")

?(caspre:PlayingVideoGame caspre:supportedBy caspre: TV) ? (caspre: PlayingVideoGame caspre: supportedBy caspre: TV)

?(caspre:GameConsole caspre:hasState "On") ? (caspre: GameConsole caspre: hasState "On")

?(caspre:PlayingVideoGame caspre:supportedBy caspre: GameConsole) -> (caspre:Lounge caspre:ongoingTaskIs caspre: PlayingVideoGame) ? (caspre: PlayingVideoGame caspre: supportedBy caspre: GameConsole) -> (caspre: Lounge caspre: ongoingTaskIs caspre: PlayingVideoGame)

진행 중인 작업이 추론되면, 이러한 작업에 참여하지 않는 기기들은 이제 꺼져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전자 렌지와 선풍기는 '비디오 게임하기' 작업이 진행 중인 동안 대기 상태가 아니라 완전히 꺼져도 무방하다. 따라서, 전력 분석부(230)는 중앙 제어부(250)의 제어 하에 전자 기기(201, 203, 205, 209) 중 진행 중인 작업에 참여하지 않는 기기의 전원을 차단한다.Once an ongoing task is inferred, devices that do not participate in this task can now be turned off. For example, microwave ovens and fans can be turned off completely, not in standby while the 'playing video game' operation is in progress. Accordingly, the power analysis unit 230 cuts off the power of the electronic devices 201, 203, 205, and 209 that are not participating in the ongoing work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unit 250. [

진행 중인 작업을 지원하는 기기의 동작 상태가 바뀌면, 이것은 진행 중인 작업이 변경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진행 중인 작업 조건이 더 이상 만족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사실들로부터 새로운 작업이 결정될 수 있다.If the operating state of a device supporting a work in progress changes, this means that the work in progress is changed. That is, since an ongoing work condition is no longer satisfied, a new work can be determined from these facts.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는 실험적으로 작성될 수 있다. 하지만,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는 조건부 확률 기법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에 의해서 작성될 수도 있다.Ontologies and rule sets can be created experimentally. However, ontologies and rule sets may be created by various techniques such as conditional probability techniques.

통신부(270)는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로 콘텍스트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통신부(270)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들과 통신하기 위해서 여러 프로토콜을 구현할 수 있다. 기본 값으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기술(CASPRE)은 공지된 메시징 패턴을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징 패턴이 채용되면 유연성과 스케일가능성(scalability)이 생기게 된다. 특정 스마트 가정 환경에서 메시지 중계 서비스가 가동 중이라면,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CASPRE)은 기존의 네트워크에 메시징 클라이언트로서 참여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통신부(270)는 별개의 메시지 중계 서비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70 plays a ro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to other smart devices. The communication unit 270 may implement various protocols to communicate with various devices used in the home. By default,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technique (CASPRE) can utilize known messaging patterns. The adoption of this messaging pattern leads to flexibility and scalability. If the message relaying service is running in a particular smart home environment,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CASPRE) may participate in the existing network as a messaging client. Otherwise, the communication unit 270 can serve as a separate message relay service.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CASPRE)은 전술된 바와 같이, 어떤 온톨로지 작업을 추론하기 위해서 콘텍스트를 축적하기 위해 스마트 플러그(210)로부터의 이벤트들을 참고할 수 있다. 스마트 플러그(210)로부터 이벤트를 수신하면, 대응하는 기기의 콘텍스트 정보가 전력 분석부에 의해 생성된다. 그러면, 콘텍스트 정보는 콘텍스트 관리자로 전달되어 콘텍스트 정보의 콜렉션을 갱신한다. 이 때에 규칙 엔진에 따른 조건들을 참고하여, 온톨로지 작업을 추론하기 위한 조건들이 만족되는지를 확인한다. 진행 중인 작업이 식별되면,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장치(280)는 이벤트 메시지를 송신하여 스마트 플러그(210)를 제어한다. 토픽-기초 생성-구동 메시징 패턴이 콘텍스트 정보를 교환하는 데에 최대한 활용된다. 이 때, 중앙 제어부(250)는 꺼야 할 기기들의 명칭 목록을 포함하며 토픽(예를 들어, "끄기")으로 구성된 제어 이벤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면, 스마트 플러그(210)는 상응하는 기기들을 끄게 된다.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CASPRE) may refer to events from the smart plug 210 to accumulate context to infer certain ontology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Upon receiving an event from the smart plug 210, the contex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is generated by the power analysis unit. The context information is then passed to the context manager to update the collection of context information. At this time, it is checked whether the conditions for reasoning the ontology work are satisfied by referring to the conditions according to the rule engine. If an ongoing task is identified,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device 280 sends an event message to control the smart plug 210. The topic-based generation-driven messaging pattern is utilized to maximize the exchange of context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unit 250 may generate a control event message including a list of names of devices to be turned off and configured with a topic (e.g., "off"). When this control message is received, the smart plug 210 turns off the corresponding devices.

전술된 바와 같은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장치(280)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제로 이 기법을 데이터 세트와 실험 장소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를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였다.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device 280 as described above, the experimental results of applying this technique to the data set and the experimental site were actually compared with the existing methods.

- 실제 데이터 세트에 대한 실험- Experiments on real data sets

데이터 세트는 런던 시의 가정에 대한 기기 레벨 전력 데이터를 포함한다. 검증 실험에서는 두 가정에서 사용하는 19 개의 기기들에 대한 데이터가 선택되었다. 가정 1 에는 10 개의 기기가 포함되고, 가정 2 에는 9 개의 기기가 포함된다. 기기들의 사용 패턴은 92일에 걸쳐 평가되었다. The data set includes device level power data for homes in London. In the verification experiment, data were selected for the 19 instruments used in the two homes. Home 1 contains 10 devices, while Home 2 contains 9 devices. The usage patterns of the devices were evaluated over 92 days.

도 6 와 표 2 는 비교 분석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6 and Table 2 show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Figure 112016119788858-pat00004
Figure 112016119788858-pat00004

거동 모델만 사용하는 종래의 기법을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장치(280)와 비교한 결과가 도 6 에 표시된다. 도 6 은 절감될 수 있는 에너지의 총 량을 각 기기에 대해 보여준다. 비교 결과, 거의 모든 기기에 대해 종래 기법보다 본 발명의 기법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주방등(KitchenLights)의 경우에는 종래 기법이 약간 더 나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이것은 주방등이 다른 장치들과의 관련성이 낮게 독립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고, 우리의 기법에 시간 요소를 더욱 고려한다면 우리 기법의 절감 효과도 개선될 수 있을 것이 기대된다.The result of comparing the conventional technique using only the behavioral model with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device 2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Figure 6 shows the total amount of energy that can be saved for each device. As a result of comparison, it has been found that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icient than conventional techniques for almost all devices. In the case of KitchenLights, the conventional technique yielded slightly better results, but this is because kitchens and the like are used independently with less relevance to other devices, It is expected that the saving effect of the technique can also be improved.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CASPRE)은 총 대기 에너지 소비량에 있어서 종래 기술보다 나은 성능을 보인다. 데이터 세트의 실험 기간 동안에 소비된 평균 대기 전력은 가정 1 에 대해서는 73.29%, 가정 2에 대해서는 92.09% 절감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평균 대기 전력 소비량은 가정 당 40.69% 내지 83.72% 더 절감된다.Thus, overall,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CASPRE)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prior art in total air energy consumption. The average standby power consum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of the data set is reduced by 73.29% for Assumption 1 and 92.09% for Assumption 2. Compared to the prior art, the average standby power consumption is reduced by 40.69% to 83.72% per household.

- 테스트베드에 대한 적용 실험- Application experiment on test bed

도 7 은 실제 테스트 환경에 본 발명의 적용한 에너지 절감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the energy saving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an actual test environment.

도 7 의 실험에서는 표 1 의 6 개의 가정용 기기들이 선택되었다.In the experiment of FIG. 7, six household appliances of Table 1 were selected.

도 7 은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CASPRE)을 적용하기 전후의, 각 기기에 의해서 소모되는 평균 대기 전력량을 나타낸다. 적용되기 이전에 , 평균 대기 전력 소비량은 232.20 와트시였으며,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CASPRE)이 적용된 이후에는 98.23 와트시로 소비량이 줄어들어서, 57.70%의 절감 효과가 나타났다. FIG. 7 shows the average amount of standby power consumed by each device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CASPRE). Before applying, the average standby power consumption was 232.20 watts, and after applying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CASPRE), the consumption was reduced to 98.23 watts, resulting in a savings of 57.70%.

본 발명에서, 작업과 기기의 온톨로지를 작성하는 것과 대응하는 규칙 세트를 작성하는 것이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스마트 홈 환경에 다이내믹하게 변동하기 때문에, 이러한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도 역시 탄력적으로 변하게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reate a rule set corresponding to creating an ontology of a task and a device, in order to reduce standby power. Because it dynamically changes to a smart home environment, these ontologies and rule sets also change flexibly.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기초 대기 전력 절감 방법에 따르면, 콘텍스트 추론을 통해 스마트 플러그를 제어하여 가정용 기기의 총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 전력 절감 효과가 뛰어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text-based standby power sav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otal standby power of the home appliance can be reduced by controlling the smart plug through context inference, the standby power saving effect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콘텍스트-인식 대기 전력 절감 장치에 따르면 전자 기기들이 동작하는 동작 콘텍스트를 능동적으로 반영하여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갱신할 수 있기 때문에, 콘텍스트 변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대기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text-aware standby power sa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can be updated by actively reflecting the operation context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s operate, the standby power can be adaptively reduced according to the context change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지식 저장소(260)에 저장되는 온톨로지는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종래의 모든 기술을 사용하여 작성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it is evident that an ontology stored in the knowledge repository 260 can be created using all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s not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분산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that stores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store computer readable code that may be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by a distributed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the network.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 include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terms "comprises &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terms "part", "unit", "module", "block",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따라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only a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all the variations and concrete examples that can be deduced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자 기기들의 대기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하는 데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ffectively reduce standby power of electronic devices.

Claims (12)

대기 전력 절감 방법으로서,
전력을 소모하는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에 기초하여 각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두 개 이상의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관 관계와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단계; 및
추론된 진행 중인 작업에 참여하는 전자 기기 이외의 전자 기기들을 턴오프하여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과 관련된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지식 저장소(knowledge repository)에서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는 상기 전자 기기들에 적용하는 단계; 및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적용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방법.
As a standby power saving method,
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each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suming power;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Inferring a current work in progress based on the correlation and the operating context of the electronic devices; And
And turning off the 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the electronic device participating in the inferred ongoing task to interrupt the standby power,
Wherein the step of inferring the current ongoing task comprises:
Receiving an ontology and a set of rules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s in a knowledge repository;
Applying the received ontology and rule set to the electronic devices having a high correlation; And
Based on the result of applying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deducing the ongoing work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전력 소모 레벨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소모 레벨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동작 상태, 대기 상태, 및 턴오프 상태 중 하나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s comprises:
Detecting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Comparing the detected power consumption level with a threshold; And
And determining a state of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s as one of an operation state, a standby state, and a turn-off state in accordance with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power consumption level and the threshold value.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전력 소모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수집된 전력 소모 데이터를 시간에 대해 분석하여, 동시에 동작되는 전자 기기들에 높은 유사도 계수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comprises:
Collecting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onic devices;
Analyzing the collected power consumption data with respect to time to give a high similarity coefficient to electronic devices operating simultaneously; And
And determin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e similarity coefficient. ≪ Desc / Clms Page number 19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톨로지는 및 규칙 세트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 및 주변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comprise operating state and ambient data of the electronic devices and are updated according to an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은 상기 전자 기기들이 연결된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측정되고,
상기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is measured through a smart plug to which the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Wherein the step of blocking the standby power is performed by the smart plug.
대기 전력 절감 장치로서,
전력을 소모하는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에 기초하여 각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결정하는 전력 분석부;
두 개 이상의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고, 상기 상관 관계와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콘텍스트에 기초하여,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콘텍스트 관리자;
추론된 진행 중인 작업에 참여하는 전자 기기 이외의 전자 기기들을 턴오프하여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중앙 제어부; 및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과 관련된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저장하는 지식 저장소를 포함하며,
상기 콘텍스트 관리자는
상기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상기 지식 저장소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는 상기 전자 기기들에 적용하며,
온톨로지와 규칙 세트를 적용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에 의하여 수행되는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을 추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장치.
As a standby power saving device,
A power analyzer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each electronic device based on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consuming power;
A context manager that determines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an operating state of the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s and deduces an ongoing task based on the correlation and the operation context of the electronic devices;
A central control unit for turning off the 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the electronic devices participating in the inferred ongoing work to interrupt the standby power; And
A knowledge repository for storing an ontology and a set of rules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s,
The context manager
Receiving the ontology and a set of rules from the knowledge repository,
Applying the received ontology and rule set to the electronic devices having a high correlation,
Based on the result of applying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deduces the ongoing work performed by the electronic devi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분석부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 소모 레벨을 임계치와 비교하며,
상기 전력 소모 레벨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를, 동작 상태, 대기 상태, 및 턴오프 상태 중 하나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ower analysis unit includes:
Detecting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Compares the detected power consumption level with a threshold valu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power consumption level and the threshold value, the operation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s as one of an operation state, a standby state, and a turn-off st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텍스트 관리자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전력 소모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전력 소모 데이터를 시간에 대해 분석하여, 동시에 동작되는 전자 기기들에 높은 유사도 계수를 부여하며,
상기 유사도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기기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ext manager comprising:
Collecting power consumption data of the electronic devices,
Analyzing the collected power consumption data with respect to time, giving a high similarity coefficient to electronic devices operating at the same time,
And to determine a correlation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e similarity coefficient.
삭제dele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톨로지는 및 규칙 세트는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 및 주변 환경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기기들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ntology and the rule set include an operating state and environment data of the electronic devices and are updated according to an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들의 현재 전력 소모 레벨은 상기 전자 기기들이 연결된 스마트 플러그를 통해 측정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를 통하여 상기 대기 전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텍스트-기반 대기 전력 절감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current power consumption level of the electronic devices is measured through a smart plug to which the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Wherein the central control unit cuts off the standby power through the smart plug.
KR1020160165475A 2016-12-07 2016-12-07 Contex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KR101801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475A KR101801952B1 (en) 2016-12-07 2016-12-07 Contex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475A KR101801952B1 (en) 2016-12-07 2016-12-07 Contex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952B1 true KR101801952B1 (en) 2017-11-27

Family

ID=60810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475A KR101801952B1 (en) 2016-12-07 2016-12-07 Contex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95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4952A (en) * 2004-09-06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power peak-off control system and its program
JP2016185059A (en) * 2014-07-11 2016-10-20 エンコアード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ク Prediction method of power consumption in accordance with consumption characteristics, generation method of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model, and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4952A (en) * 2004-09-06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power peak-off control system and its program
JP2016185059A (en) * 2014-07-11 2016-10-20 エンコアード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ク Prediction method of power consumption in accordance with consumption characteristics, generation method of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model, and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sch et al. Context-driven personalized service discovery in pervasive environments
US10168673B2 (en) Analytic-based energy consumption control
Roy et al. Context-aware resource management in multi-inhabitant smart homes a nash h-learning based approach
Park et al. A dynamic context-conflict management scheme for group-awar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US10003502B1 (en) Integrated wireless sensor network (WSN) and massively parallel process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 (MPP DBMS)
Xu et al. Eaaas: Edge analytics as a service
JP5544315B2 (en) Power consumption reduction support device and method, energy saving operation control system
CN107888458A (en) Smart machine condi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WO2016147298A1 (en) Recommendation device, recommend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Vastardis et al. A user behaviour-driven smart-home gateway for energy management
KR101801952B1 (en) Context-bas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andby power consumption
CN113986349A (en) Data processing method, data processing device,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Lim et al. CASPRE: A context-aware standby power reduction scheme for household appliances
KR1017092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lligent sesrvice using context information inference in portable terminal
CN114265327B (en) Sleep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intelligent household equipment, processor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2295235B (en)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RU2399161C2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control interception during failure in distributed environment with routing
Saleh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mart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GSM Network
Li et al. Proactive service discovery in pervasive environments
CN115327934A (en) Intelligent household scene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Kakousis et al. Optimizing the utility function-based self-adaptive behavior of context-aware systems using user feedback
KR101501731B1 (en) System for smart home using hybrid cloud
JP5576742B2 (en) Energy saving support system
Yang et al. A context-driven programming model for pervasive spaces
KR102566607B1 (en) Ontology based intelligent smart home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