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277B1 -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 - Google Patents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277B1
KR101800277B1 KR1020170032486A KR20170032486A KR101800277B1 KR 101800277 B1 KR101800277 B1 KR 101800277B1 KR 1020170032486 A KR1020170032486 A KR 1020170032486A KR 20170032486 A KR20170032486 A KR 20170032486A KR 101800277 B1 KR101800277 B1 KR 101800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hopping
transceiver
radio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화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투엘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투엘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에이치투엘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032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7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or channel simulators

Abstract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주파수도약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에게 상기 공급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데이터 및 컨트롤 신호들을 통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데이터 및 컨트롤 신호들을 통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 간의 송수신 모드들과 주파수도약 모드들을 제어하며 무전기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무전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송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 중 하나에 무선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무전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무전 송신 데이터와 상기 무선 수신 데이터 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무전기 테스트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FM RADIO AUTO TEST SET}
본 발명은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파수도약 방식의 무전기를 이용하여 주파수도약 무전기의 고장진단 및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기기는 자동화된 테스트 세트를 사용하여 테스트한다. 이러한 테스트는 시험 대상 장비(Device Under Test: DUT)에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작동을 통해서 실행되고 각 작동이 적절하게 수행되는지 여부에 대해 테스트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9293호는 군용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무전기와 범용 컴퓨터 시스템의 연동이 가능한 군용 통신 장치 및 범용 시스템과 무전기 사이의 인터페이싱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3464호는 무선통신 기기의 알에프 성능 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리셋 타임 지연에 의해 계측기와 무선통신 기기 사이에서 테스트 패킷의 송수신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게 되더라도 무선통신 기기의 Rx성능을 테스트하는데 필요한 개수의 테스트 패킷 전부를 수신 받을 수 있어, 무선통신 기기의 정확한 Rx성능 측정이 가능한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164836호는 무선장비 자동 시험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진단 모듈의 기능 시험에 따라 처리된 RF신호를 RF 계측기에 의해 측정하여 진단 모듈의 고장 유무를 진단한 후, 상기 기능 시험을 다시 반복하여 그때 처리된 RF신호를 기저대력 데이터로 복원한후 시험패턴과 비교하여 진단 모듈의 고장 유무를 진단하는 기술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79293호 (2010.08.25)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13464호 (2014.02.05) 한국등록특허 제10-0164836호 (1998.09.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주파수도약 방식의 무전기를 이용하여 주파수도약 무전기의 고장진단 및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무전기 제어신호를 기초로 주파수도약 무전기의 송수신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주파수도약 무전기의 고장진단 및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는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주파수도약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에게 상기 공급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데이터 및 컨트롤 신호들을 통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데이터 및 컨트롤 신호들을 통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 간의 송수신 모드들과 주파수도약 모드들을 제어하며 무전기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무전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송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 중 하나에 무선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무전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무전 송신 데이터와 상기 무선 수신 데이터 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무전기 테스트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전 송신 데이터와 상기 무전 수신 데이터가 일치되면 상기 무전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무전기 테스트부의 동작을 멈추고 상기 송수신 모드들을 변경한 후 상기 무전기 제어신호를 상기 무전기 테스트부에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전기 테스트부는 상기 무전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다른 하나에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에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와 상기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 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전기 테스트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무전 수신 데이터 또는 상기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들을 빠르게 수신할 수 있다.
[수학식]
R = Mt + Mi
(여기에서, 상기 R은 수신 속도, 상기 Mt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총 송신 횟수(Mt ≥ 1) 및 상기 Mi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중요성(Mi ≥ 1)으로서, 1을 초과하면 중요함)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전기 테스트부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상기 무전 수신 데이터 또는 상기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들을 느리게 수신할 수 있다.
[수학식]
R = 1 / (Mt + Mi)
(여기에서, 상기 R은 수신 속도, 상기 Mt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총 송신 횟수(Mt ≥ 1) 및 상기 Mi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중요성(Mi ≥ 1)으로서, 1을 초과하면 중요함)
일 실시예에서,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주파수도약 모드의 간격에 따라 상기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총 송신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Mt = Fp * r
(여기에서, 상기 Mt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총 송신 횟수(Mt ≥ 1), 상기 Fp는 주파수도약 모드의 간격 및 상기 r은 송신율)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는 주파수도약 방식의 무전기를 이용하여 주파수도약 무전기의 고장진단 및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는 무전기 제어신호를 기초로 주파수도약 무전기의 송수신 모드를 변경함으로써 주파수도약 무전기의 고장진단 및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테스트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세트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세트 등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FM(Frequency Modulation)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10)는 전원 공급부(100),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 및 무전기 테스트부(500)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HMP-2030 Programmable Power Supply)(100)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DUT-RT, Device Under Test-Radio Transceiver)(200)는 무전 송수신 신호를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REF-RT, Reference-Radio Transceiver)(300)는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와 주파수도약 방식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파수 도약(FH, Frequency Hopping) 방식은 확산 스펙트럼(Spread Spectrum) 방식 중 하나에 해당하고 디지털 전송신호의 중심 주파수가 주파수 대역 내에서 송신되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HL-200 Radio Control Unit)(400)는 전원 공급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전원 인터페이스,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제2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전원 인터페이스(Power Interface)를 통해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전원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와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 각각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와 데이터 신호 및 컨트롤 신호를 통신할 수 있고,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와 데이터 신호 및 컨트롤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즉,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제1 및 제2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각각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 및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와 통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와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 간의 송수신 모드들과 주파수도약 모드들을 제어하며 무전기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파수 도약(FH, Frequency Hopping) 모드는 주파수 대역 내에서 시간 단위로 쪼개진 주파수를 송신하는 모드에 해당할 수 있고, 무전기 제어신호는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의 송수신에 관한 테스트를 요청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시간 단위로 쪼개진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와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 각각의 주파수들을 주파수 대역에 실어서 송신할 수 있다.
무전기 테스트부(CMA-180 Radio Test Set)(500)는 전원 인터페이스와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와 데이터 신호 및 컨트롤 신호를 통신할 수 있다.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로부터 무전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송수신 모드에 따라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와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 중 하나에 무전 송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다른 하나로부터 무전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전 송신 데이터와 무전 수신 데이터 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가 송신 모드로 설정되고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가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에 무전 송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해당 무전 송신 데이터를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를 통해 무전 수신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무전기 테스트부(500)에 의해 무전 송신 데이터와 무전 수신 데이터가 일치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무전기 제어신호를 통해 무전기 테스트부(500)의 동작을 멈출 수 있고,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와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 간의 송수신 모드들을 변경한 후 무전기 제어신호를 무전기 테스트부(500)에 다시 제공할 수 있다.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로부터 무전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다른 하나에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하나로부터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와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 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가 송신 모드로 설정되고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가 수신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에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해당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를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를 통해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로서 수신할 수 있다. 즉,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송수신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의 신호를 효율적으로 측정하여 성능을 테스트할 수 있고, 성능 테스트 결과를 기초로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의 고장여부도 진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와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 중 하나로부터 무전 수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들을 빠르게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무전 수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들을 빠르게 수신할 수 있다.
[수학식]
R = Mt + Mi
(여기에서, R은 수신 속도, Mt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총 송신 횟수(Mt ≥ 1) 및 Mi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중요성(Mi ≥ 1)으로서, 1을 초과하면 중요함)
예를 들어,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와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 중 하나에 무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횟수가 많으면 무전 송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무전 수신 데이터를 빠르게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와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 중 하나로부터 무전 수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들을 느리게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무전 수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들을 느리게 수신할 수 있다.
[수학식]
R = 1 / (Mt + Mi)
(여기에서, R은 수신 속도, Mt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총 송신 횟수(Mt ≥ 1), Mi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중요성(Mi ≥ 1)으로서, 1을 초과하면 중요함)
예를 들어, 무전기 테스트부(500)는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와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 중 하나에 무전 송신 데이터를 송신하는 횟수가 적으면 무전 송신 데이터에 대응하는 무전 수신 데이터를 느리게 수신할 수 있다.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와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 간의 주파수 도약 모드들의 간격에 따라 무전 송신 데이터에 관한 총 송신 횟수를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Mt = Fp * r
(여기에서, Mt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총 송신 횟수(Mt ≥ 1), Fp는 주파수 도약 모드의 간격 및 r은 송신율)
예를 들어,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400)는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200)와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300) 간의 주파수도약 모드들의 시간 간격이 넓고 송신율이 좋으면 무전 송신 데이터의 총 송신 횟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테스트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전기 테스트부(이하, 계측기(CMA-180 Radio Test Set))(500)는 표시부(502), 버튼(504), LED 상태 표시등(506), CMA-180 전원버튼(508), 회전 노브(510), 무선주파수 커넥터(512), 가청주파수 커넥터(514), USB 커넥터(516), 센서 커넥터(518), 스피커(520) 및 헤드폰 커넥터(522)로 구성된다.
표시부(502)는 계측기(500)의 전면 패널 상의 화면에 해당하고 감압식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502)는 무전기에 대한 성능 측정 결과를 표시할 수 있고, 계측기(500)의 제어에 필요한 제반 사항들이 표시될 수 있다.
버튼(504)은 표시부(502) 좌측에 배치되고, PRESET 버튼(504-1), INFO 버튼(504-2), FILE 버튼(504-3), SETUP 버튼(504-4), PRINT 버튼(504-5), HELP 버튼(504-6) 및 TOUCH ON/OFF 버튼(504-7)으로 구성될 수 있다.
PRESET 버튼(504-1)은 계측기(500)의 모든 설정 값을 초기화할 수 있고, INFO 버튼(504-2)은 가청주파수(AF, Audio Frequency) 및 무선주파수(RF, Radio Frequency) 신호재생 분석기의 상태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FILE 버튼(504-3)은 계측기(500)의 모든 설정 값을 저장하거나 읽어올 수 있다.
SETUP 버튼(504-4)은 계측기(500)의 상태를 정의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ETUP 버튼(504-4)를 통해 제공하는 기능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112017025678246-pat00001
PRINT 버튼(504-5)은 현재 계측기(500)의 화면을 프린트로 출력하거나 그림파일로 저장할 수 있고, HELP 버튼(504-6)은 온라인 도움말을 제공할 수 있으며 TOUCH ON/OFF 버튼(504-7)은 표시부(502)의 터치 기능을 활성화(ON) 시키거나 비활성화(OFF) 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버튼들을 이용하여 계측기(500)의 기능을 설정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는 PRINT 버튼(504-5)을 이용하여 표시부(502)에 표시된 화면을 저장(출력)할 수도 있고, HELP 버튼(504-6)을 이용하여 온라인 도움말 기능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LED 상태 표시등(506)은 계측기(500)를 조작하는 중 발생하는 에러 발생 여부를 표시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에러(Error)는 하드웨어 에러를 포함한다. CMA-180 전원버튼(508)은 계측기(500)에 대한 동작 또는 정지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는 CMA-180 전원버튼(508)의 상단에 있는 녹색 LED 및 황색 LED를 통해 계측기(500)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여기에서, 녹색 LED는 계측기(500)의 모든 모듈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황색 LED는 계측기(500)가 대기 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회전 노브(510)는 표시부(502)에 표시된 대화상자를 탐색할 때 사용되고,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설정 사항을 변경할 수 있다.
무선주파수 커넥터(512)는 SNAP N형 무선주파수 커넥터에 해당하고 무선주파수 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가청주파수 커넥터(514)는 BNC 가청주파수 커넥터에 해당하고 가청주파수를 입력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USB 커넥터(516)는 계측기(500)의 관련 규격(Standard USB 2.0)을 적용한 A형 커넥터에 해당하고 키보드, 마우스 또는 USB 메모리 스틱을 연결할 수 있다. 센서 커넥터(518)는 NRP 파워 센서용 Lemosa 6-핀 소켓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520)는 회전 노브(510)의 하단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헤드폰을 헤드폰 커넥터(522)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헤드폰 커넥터(522)에 헤드폰이 연결된 경우에는 스피커(520)는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이하, HL-200 장치(HL-200 Radio Control Unit))(400)는 R-ANT(AM) 커넥터(402), RF-COM 커넥터(404), R-ANT(FM) 커넥터(406), AF-OUT 커넥터(408), AF-IN 커넥터(410), D-ANT(AM) 커넥터(412), D-ANT(FM) 커넥터(414), DUT-RT(FM) 커넥터(416), DUT-RT(AM) 커넥터(418), REF-RT(FM) 커넥터(420) 및 REF-RT(AM) 커넥터(422) 및 ATTEN 가변형 감쇄기(미도시됨)로 구성된다.
R-ANT(AM) 커넥터(402)는 REF AM 무전기 ANT와 연결하는 N형 커넥터에 해당하고, RF-COM 커넥터(404)는 CMA-180 RF-COM과 연결하는 N형 커넥터에 해당하며, R-ANT(FM) 커넥터(406)는 REF FM 무전기 ANT와 연결하는 N형 커넥터에 해당한다.
AF-OUT 커넥터(408)는 CMA-180 AF1 AFIN과 연결하는 BNC형 커넥터에 해당하고, AF-IN 커넥터(410)는 CMA-180 AF2 AFOUT과 연결하는 BNC형 커넥터에 해당한다. D-ANT(AM) 커넥터(412)는 DUT AM 무전기 ANT와 연결하는 N형 커넥터에 해당하고, D-ANT(FM) 커넥터(414)는 DUT FM 무전기 ANT와 연결하는 N형 커넥터에 해당한다.
DUT-RT(FM) 커넥터(416)는 DUT FM 무전기에 전원 및 제어, 오디오, 데이터를 연결하는 MS형 커넥터에 해당하고, DUT-RT(AM) 커넥터(418)는 DUT AM 무전기에 전원 및 제어, 오디오, 데이터를 연결하는 MS형 커넥터에 해당한다.
REF-RT(FM) 커넥터(420)는 REF FM 무전기에 전원 및 제어, 오디오, 데이터를 연결하는 MS형 커넥터에 해당하고, REF-RT(AM) 커넥터(422)는 REF AM 무전기에 전원 및 제어, 오디오, 데이터를 연결하는 MS형 커넥터에 해당하며, ATTEN 가변형 감쇄기는 110dB까지 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
100: 전원 공급부 200: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
300: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 400: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
500: 무전기 테스트부

Claims (6)

  1.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주파수도약 방식으로 무선 통신하는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에게 상기 공급된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인터페이스,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데이터 및 컨트롤 신호들을 통신하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데이터 및 컨트롤 신호들을 통신하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 및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 간의 송수신 모드들과 주파수도약 모드들을 제어하며 무전기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원 인터페이스와 상기 제3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무전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송수신 모드에 따라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 중 하나에 무전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고 다른 하나로부터 무전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무전 송신 데이터와 상기 무전 수신 데이터 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무전기 테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무전 송신 데이터와 상기 무전 수신 데이터가 일치되면 상기 무전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무전기 테스트부의 동작을 멈추고 상기 송수신 모드들을 변경한 후 상기 무전기 제어신호를 상기 무전기 테스트부에 다시 제공하고, 상기 무전기 테스트부는 상기 무전기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다른 하나에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에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와 상기 다른 무전 수신 데이터 간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무전기 테스트부는 상기 무전기 제어신호를 기초로 상기 기준 주파수도약 무전기와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의 송수신 모드를 자동으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측정대상 주파수도약 무전기의 무전 송수신 데이터들을 테스트할 수 있으며,
    상기 무전기 제어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주파수도약 모드의 간격에 따라 상기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총 송신 횟수를 아래의 수학식을 통해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
    [수학식]
    Mt = Fp * r
    (여기에서, 상기 Mt는 무전 송신 데이터 또는 다른 무전 송신 데이터들에 관한 총 송신 횟수(Mt ≥ 1), 상기 Fp는 주파수도약 모드의 간격 및 상기 r은 송신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32486A 2017-03-15 2017-03-15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 KR101800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486A KR101800277B1 (ko) 2017-03-15 2017-03-15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486A KR101800277B1 (ko) 2017-03-15 2017-03-15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277B1 true KR101800277B1 (ko) 2017-12-20

Family

ID=6093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486A KR101800277B1 (ko) 2017-03-15 2017-03-15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2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1059A (zh) * 2022-01-18 2022-04-26 泉州市新维电子有限公司 一种对讲机自动测试装置的测试工装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87B1 (ko) * 2010-03-16 2010-10-0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주파수 도약을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187B1 (ko) * 2010-03-16 2010-10-07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주파수 도약을 사용하는 무선 송수신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상민 외 1명, "야전정비단계의 SDR무전기 네트워크 성능 측정 방안 제시," 한국통신학회 2014년 추계종합학술발표회, p. 526, (2014.11)*
임청용수 외 1명, "기존 네트워크 무전기 시험장비 개선방안 제시," 한국통신학회 2013년도 하계종합학술발표회, p. 547, (2013.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1059A (zh) * 2022-01-18 2022-04-26 泉州市新维电子有限公司 一种对讲机自动测试装置的测试工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8567B2 (en) Methods for calibrating radio-frequency receivers usi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est equipment
US8527229B2 (en) Test systems with multiple antennas for characterizing over-the-air path loss
JP6271520B2 (ja) 時分割複信(tdd)通信システムの効率的な並列試験方法
KR102025655B1 (ko) 다수의 통신 장치의 검사를 시작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660812B2 (en) Methods for calibrating over-the-air path loss in over-the-air radio-frequency test systems
US20040203726A1 (en) Testing system for cellular phone module and method thereof
US105751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ver-the-air testing of device under test
TW201334459A (zh) 用於無線裝置之測試站及其之校準方法
JP6473747B2 (ja) データパケット信号送受信器の試験中の動的な信号干渉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と方法
KR20060082054A (ko) 페이싱 송신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요소, 무선 통신 장치및 자극 응답 측정 시스템
TW201413255A (zh) 手持裝置的訊號測試系統及其訊號測試方法
TW202029670A (zh) 用於測試資料封包信號收發器的系統和方法
US7110721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ommunication test, and recorded medium on which that program has been recorded
CN111277346A (zh) 一种wifi双频和三频干扰评估测试系统及其方法
KR101800277B1 (ko) Fm 무전기 자동측정 테스트 세트
CN109413684B (zh) 测试仪器、天线测量系统及测试方法
US93192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ata packet transceiver testing after signal calibration and power settling to minimize test time
CN108023785B (zh) 通信设备和测试方法
US9031808B2 (en) System of testing multiple RF modules and method thereof
CN114050877B (zh) 天线系统及天线系统测试方法
US20160248502A1 (en) Noise detection device
EP1278317A1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ommunication test, and recorded medium on which that program has been recorded
KR102512781B1 (ko) 안테나 성능시험 시스템
CN105738738A (zh) 一种射频测试装置和系统
US202300586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Bluetooth low energy implementation under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