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864B1 -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864B1
KR101799864B1 KR1020110005134A KR20110005134A KR101799864B1 KR 101799864 B1 KR101799864 B1 KR 101799864B1 KR 1020110005134 A KR1020110005134 A KR 1020110005134A KR 20110005134 A KR20110005134 A KR 20110005134A KR 101799864 B1 KR101799864 B1 KR 101799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mpressor
cooling chambers
evaporato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794A (ko
Inventor
전대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5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8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3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two thre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1Evaporator distribut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복수의 냉각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어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와,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와, 어느 일 도어의 개방 감지시 각 증발기로 동시에 냉매가 유입되게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신규 부하 투입 시 다른 냉각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REFRIGERATOR AND OPERATION CONTROL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냉장고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하 투입 시 다른 냉각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각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들과,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부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 냉각실의 후벽에는 냉각실의 냉기가 순환할 수 있게 냉기순환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순환유로 중에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냉각될 수 있게 증발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발기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는 서로 다른 냉각실을 냉각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증발기는 냉동실증발기 및 냉장실증발기로 구성되어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증발기는 응축기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에는 냉매의 유로를 조절(변경)할 수 있게 유로조절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밸브는 삼방밸브(3-way valve)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복수의 냉각실 중 어느 하나에 부하가 투입되는 경우 해당 냉각실을 우선적으로 냉각하도록 되어 있어 다른 냉각실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이에 기인하여, 다른 냉각실에 보관된 식품의 신선도 및/또는 풍미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하 투입 시 다른 냉각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의 운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각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각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방열하여 응축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 상기 각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및 상기 도어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어느 일 도어의 개방 감지 시 상기 각 증발기로 냉매가 동시에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유로조절밸브는, 입구가 상기 응축기의 유출 측에 연결되는 제1삼방밸브; 입구가 상기 제1삼방밸브의 유출 측에 연결되는 제2삼방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의 유출측에는 분기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조절밸브는 상기 분기유로에 각각 결합되는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어느 일 도어의 개방 감지 시 상기 각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한 후 상기 압축기를 설정시간 동안 구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설정시간 동안 운전 후 상기 냉각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은 김치를 저장하는 김치저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설정시간 동안 운전 후 상기 김치저장실에 배치된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각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방열하여 응축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연결되고, 상기 각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증발기;를 구비한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중 어느 일 도어의 개방 감지 시, 상기 응축기의 냉매가 상기 각 증발기로 유입되게 유로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유로를 조절하는 단계 후, 상기 압축기를 제어하여 상기 압축기를 설정시간 동안 운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를 설정시간 동안 운전 후 상기 응축기의 냉매가 상기 증발기 중 어느 하나의 증발기로 유입되게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은 김치를 저장하는 김치저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 중 어느 하나의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게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김치저장실에 배치된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게 유로를 조절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느 하나의 냉각실의 개방(신규 부하 투입) 시 모든 증발기에 냉매가 동시에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부하가 투입된 냉각실 뿐만 아니라 다른 냉각실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제어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냉장고의 제어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냉장고의 냉동사이클 구성도,
도 8은 도 6의 냉장고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복수의 냉각실(112)이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각 냉각실(112)을 개폐하는 도어(130); 상기 각 냉각실(112)에 냉기를 제공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증발기(150);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41); 상기 압축기(141)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방열하여 응축되는 응축기(149); 상기 응축기(149)와 상기 증발기(150)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160); 상기 각 도어(130)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135); 및 상기 도어감지부(135)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어느 일 도어(130)의 개방 감지 시 상기 각 증발기(150)로 냉매가 동시에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냉동실 및/또는 냉장실을 구비한 냉장고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본체(110)는 복수의 김치저장실(112)을 구비한 김치냉장고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본체(110)의 상부영역에는 복수의 냉각실(11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냉각실(112)은 김치를 저장하는 김치저장실(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김치저장실(112)은 상향 개구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김치저장실(112)에는 복수의 김치용기(114)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상단에는 상기 각 김치저장실(112)을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도어(130)는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김치저장실(112)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냉동사이클(장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14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41), 냉매가 방열을 통해 응축되는 응축기(149),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부(145),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150)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14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의 하부영역에는 기계실(12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20)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41)와, 압축된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149)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20)의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촉진하는 냉각팬(12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124)은 상기 응축기(149)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응축기(149)를 냉각한 공기가 압축기(141)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김치저장실(112)의 상부 개구영역에는 상기 도어(130)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13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해당 도어(130)의 개방 감지 시 해당 김치저장실(112)에 부하가 신규 투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감지부(135)는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거나 상기 도어(130)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김치저장실(112)에는 해당 김치저장실(112)을 냉각할 수 있게 증발기(15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김치저장실(112)에는 해당 김치저장실(112)을 가열할 수 있게 히터(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김치저장실(112)에는 해당 김치저장실(112)의 내부 온도를 감지할 수 있게 온도감지부(17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의 순환 방향을 따라 상기 압축기(141)의 토출측에는 상기 응축기(149)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9)의 유출측에는 복수의 증발기(15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50)는 서로 다른 냉각실(112)에 각각 배치되는 제1증발기(151) 및 제2증발기(152)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증발기(150)의 유입 측에는 상기 증발기(150)의 유입 전에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145)는 모세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제1모세관(146) 및 제2모세관(147)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응축기(149)의 유출측에는 제1모세관(146) 및 제2모세관(147)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모세관(146) 및 제2모세관(147)에는 제1증발기(151) 및 제2증발기(152)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9)의 유출 측에는 냉매의 유로를 조절(제어)할 수 있게 유로조절밸브(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는 전기력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는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등에 의해 구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는 삼방밸브(3-way valve)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냉장고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프로그램을 구비한 제어부(17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각 김치저장실(112)의 신규 부하 투입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각 증발기(150)에 냉매가 유입되게 유로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어느 하나의 냉각실(112)에 부하가 투입될 경우, 다른 냉각실(112)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와 비교하여 설명하면, 상기 복수의 냉각실(112) 중 어느 하나에 신규 부하가 투입될 경우, 신규 부하가 투입된 냉각실(112)의 증발기(150)로 냉매가 우선적으로 공급되게 제어함으로써 다른 냉각실(112)의 증발기(150)로 냉매가 공급되지 아니하여(냉매의 공급 공백이 발생되어) 냉매가 공급되지 아니하는 증발기(150)가 배치된 냉각실(112)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던 종래 냉장고와는 달리, 본 발명의 냉장고는, 부하 투입 시 모든 증발기(150)로 냉매가 동시에 유입되게 함으로써 모든 냉각실(112)이 동시에 냉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부하가 신규 투입되지 아니한 다른 냉각실(112)의 내부 온도가 상승될 염려가 없다.
상기 제어부(170)에는 도어(130)의 개방을 감지하고 해당 냉각실(112)의 온도를 감지하여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고 압축기(141)를 제어할 수 있게 도어감지부(135), 온도감지부(175), 압축기(141) 및 유로조절밸브(160)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온도감지부(175)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로조절밸브(160) 및 상기 압축기(141)를 각각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온도감지부(175)에 의해 감지된 상기 냉각실(112)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를 제어하여 해당 증발기(150)로 냉매가 유입되게 한다. 이에 의해, 해당 냉각실(112)이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각 냉각실(112)에 부하의 신규 투입이 없는 경우,상기 증발기(150)에 교번적으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감지부(135)에 의해 상기 김치저장실(112) 중 어느 하나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증발기(151) 및 제2증발기(152)로 냉매가 동시에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141)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149)에서 방열되어 응축된다. 상기 응축기(149)에서 유출된 냉매는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를 경유하여 상기 제1모세관(146) 및 상기 제2모세관(147)으로 각각 유입되어 감압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제1모세관(146) 및 상기 제2모세관(147)을 각각 경유한 냉매는 제1증발기(151) 및 제2증발기(152)로 유입되고, 해당 증발기(151,152)에서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각각 증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규 부하 투입된 냉각실(112) 뿐만 아니라 다른 냉각실(112)이 동시에 냉각될 수 있다.
[2]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고, 일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냉장고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되는 본체(110); 상기 각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130); 상기 각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증발기(150);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41); 상기 압축기(141)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방열하여 응축되는 응축기(149); 상기 응축기(149)와 상기 증발기(150)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160); 상기 각 도어(130)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135); 및 상기 도어감지부(135)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어느 일 도어(130)의 개방 감지 시 상기 각 증발기(150)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복수의 냉각실(112)을 구비하며, 상기 냉각실(112)은 김치를 저장하는 김치저장실(112)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상기 냉각실(112)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냉동사이클(14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동사이클(14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41), 압축된 냉매가 방열을 통해 응축되는 응축기(149),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부(145) 및 냉매가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1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냉매의 순환방향을 따라 상기 압축기(141)의 토출측에는 응축기(149)가 구비되며, 상기 응축기(149)의 유출측에는 냉매가 분기되어 분기유로(143)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로(143)는 분기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로(143)는 제1분기유로(144a) 및 제2분기유로(144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145)는 모세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은 상기 제1분기유로(144a)에 배치되는 제1모세관(146)과, 상기 제2분기유로(144b)에 배치되는 제2모세관(14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는 상기 제1분기유로(144a)에 배치되는 제1밸브(161a)와, 상기 제2분기유로(144b)에 배치되는 제2밸브(16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밸브(161a) 및 제2밸브(162b)는 전기력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50)는 상기 제1분기유로(144a)에 배치되는 제1증발기(151) 및 상기 제2분기유로(144b)에 배치되는 제2증발기(15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냉각실(112)의 개방 시 이를 감지하여 냉매의 유로를 조절(제어)하는 제어부(17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에는 도어(130)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135), 냉각실(11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75),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41)와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160), 보다 구체적으로 제1밸브(161a) 및 제2밸브(162b)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도어감지부(135)에 의해 상기 냉각실(112) 중 어느 하나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1밸브(161a) 및 제2밸브(162b)가 모두 개방되게 상기 제1밸브(161a) 및 상기 제2밸브(162b)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응축기(149)에서 유출된 냉매는 상기 제1분기유로(144a) 및 제2분기유로(144b)로 각각 분기 유입되어 상기 제1밸브(161a) 및 제2밸브(162b)를 각각 경유하여 제1모세관(146) 및 제2모세관(147)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모세관(146) 및 제2모세관(147)에서 각각 감압 팽창된 냉매는 상기 제1증발기(151) 및 제2증발기(152)로 동시에 유입되어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이에 의해, 부하가 신규 투입된 냉각실(112) 뿐만 아니라 부하가 투입되지 아니한 냉각실(112) 모두 동시에 냉각될 수 있다.
[3]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복수의 냉각실(222)이 형성되는 본체(210); 상기 각 냉각실(222)을 개폐하는 도어(230); 상기 각 냉각실(222)에 냉기를 제공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증발기(150);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41); 상기 압축기(141)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방열하여 응축되는 응축기(149); 상기 응축기(149)와 상기 증발기(150)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160); 상기 각 도어(230)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235); 및 상기 도어감지부(235)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어느 일 도어(230)의 개방 감지 시 상기 각 증발기(150)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210)는 복수의 냉각실(22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실(222)은 제1냉각실(223a) 내지 제3냉각실(223c)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실(222)은 김지저장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210)의 상부영역에 김치저장실(제1냉각실)(223a)이 구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김치저장실(223a)의 내부에는 복수의 김치용기(224)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김치용기(224)에는 상기 김치저장실(223a)에 저장될 김치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김치저장실(223a)의 개구에는 상기 김치저장실(223a)을 개폐하는 도어(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230)는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30)와 상기 본체(210)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상기 도어(230)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235)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감지부(235)가 상기 본체(210)에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도어(230)에 상기 도어감지부(235)가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김치저장실(223a)의 하측에는 복수의 냉각실(223b,223c)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223b,223c)에는 상기 본체(2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인출 가능한 드로어(22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드로어(225)의 전면에는 상기 제2냉각실(223b) 및 제3냉각실(223c)을 각각 개폐할 수 있게 도어(230)가 각각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225)들의 배후에는 상기 드로어(225)의 도어와 접촉되어 드로어(225)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23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김치저장실(223a)의 하측에 구비된 제2냉각실(223b) 및 제3냉각실(223c)은 식품을 냉동보관하는 냉동실 또는 식품을 냉장보관하는 냉장실로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실(223b,223c)들은 내부에 김치를 저장할 수 있게 내부 온도를 조절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냉각실(222)(김치저장실(223a) 포함)에는 증발기(15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각 냉각실(222)에는 공기가 순환하면서 냉각될 수 있게 냉기순환유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기순환유로에는 증발기(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냉각실(222)에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85)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210)는 상기 각 냉각실(222)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냉동사이클(1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냉동사이클(140)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41)와, 상기 압축기(141)에서 압축된 냉매를 방열을 통해 응축하는 응축기(149)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부(145)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1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41)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41)는 제1압축기(142a) 및 제2압축기(142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42a,142b) 중 어느 하나는 속도 가변이 가능한 인버터 압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압축기(142b)는 인버터 압축기로 구성되거나 또는 정속형 압축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냉매의 순환방향을 따라 상기 응축기(149)의 유출측에는 유로조절밸브(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는, 일 측이 상기 응축기(149)의 유출측에 연결되는 제1삼방밸브(162a) 및 일 측이 상기 제1삼방밸브(162a)의 유출측에 연결되는 제2삼방밸브(162b)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밸브(160)의 하류 측에는 팽창부(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145)는 모세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145)는 제1모세관(146) 내지 제3모세관(148)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145)의 하류 측에는 증발기(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5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증발기(150)는, 제1모세관(146)의 하류측에 연결되는 제1증발기(151)와, 상기 제2모세관(147) 및 제3모세관(148)에 각각 연결되는 제2증발기(152) 및 제3증발기(15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증발기(151)는 상기 김치저장실(223a)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증발기(152) 및 제3증발기(153)는 상기 냉각실(222)에 각각 배치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는 각 냉각실(222)의 개방을 감지하여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는 제어부(17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에는 도어(230)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235)가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에는 각 냉각실(222)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85)와, 압축기(141)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에는 상기 도어감지부(235)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냉매의 유로를 조절할 수 있게 유로조절밸브(160)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70)에는 상기 도어감지부(235)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냉매의 유로를 조절할 수 있게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도어감지부(235)의 감지 결과, 상기 도어(230) 중 어느 하나의 개방 감지시, 상기 각 증발기(150)로 냉매가 동시에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도어(230) 중 어느 하나의 개방 감지 시,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제어하여 유로를 조절한 후, 상기 각 증발기(150)로 냉매가 동시에 유입되어 각 냉각실(222)의 설정온도의 하한까지 운전되게 상기 압축기(141)를 구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70)는 소정의 설정시간 동안 상기 각 증발기(150)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압축기(141)를 구동시키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최대 20분 정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도어(230)의 개방 감지 후 각 증발기(150)로 냉매가 유입될 수 있게 유로를 조절하고, 설정시간 동안 압축기(141)를 구동시킨 후 상기 도어(230)의 개방이 감지된 냉각실(222)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하한)에 도달하지 아니할 경우, 상기 김치저장실(223a)에 배치된 증발기(150)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160)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김지저장실(223a)의 내부 온도 변화가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 변화에 민감한 김치를 보다 신선하게 더욱 오래 보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도어감지부(235)에 의해 냉각실(222)의 개방(여부)을 감지하고, 어느 하나의 냉각실(222)의 개방 감지 시, 상기 각 증발기(150)로 냉매가 동시에 유입되게 상기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제어하고, 상기 압축기(141)를 설정시간동안 구동시킨 후에는 상기 김치저장실(223a)에 배치된 제1증발기(151)로 냉매가 가장 먼저 유입되게 상기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제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김치저장실(223a)의 내부에 저장된 김치의 온도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온도감지부(185)에 의해 각 냉각실(222)(김치저장실(223a) 포함)의 온도를 감지하여 각 냉각실(222)의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냉각실(222) 중 어느 하나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해당 증발기(150)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도어감지부(235)에 의해 상기 냉각실(222) 중 어느 하나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제1증발기(151) 내지 제3증발기(153)로 냉매가 동시에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제어한다.
다음,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증발기(151) 내지 제3증발기(153)에 냉매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압축기(141)를 연속적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압축기(141)가 구동되어 상기 압축기(141)에서 압축 및 토출된 냉매는 상기 응축기(149)로 이동되고, 상기 응축기(149)에서 방열되어 응축된다. 상기 응축기(149)에서 유출된 냉매는 상기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각각 경유하여 상기 제1모세관(146), 제2모세관(147) 및 제3모세관(148)으로 이동된다.
상기 각 모세관(146~148)을 거치면서 감압 팽창된 냉매는 제1증발기(151) 내지 제3증발기(153)로 유입되고, 해당 증발기(150)에서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이에 의해, 각 증발기(150)가 구비된 김치저장실(223a) 및 냉각실(222)에 각각 냉기가 공급되고, 각 냉각실(222)은 온도가 더 이상 상승하지 아니하고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온도감지부(185)에 의해 각 냉각실(222)(김치저장실(223a) 포함)의 온도를 감지하고, 각 냉각실(222)의 온도가 설정온도의 하한에 도달하면 상기 압축기(141)의 구동을 중지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온도감지부(185)에 의한 감지결과 상기 도어(230)의 개방이 감지된 냉각실(222)의 온도가 설정온도의 하한에 도달하지 아니하면 설정시간(예를 들면 20분) 동안 압축기(141)를 계속 구동시킨다.
상기 제어부(170)는 설정시간(20분) 동안 압축기(141)를 구동하여도 도어(230)의 개방이 감지된 냉각실(222)의 온도가 설정온도의 하한까지 도달하지 아니하면, 상기 김치저장실(223a)에 배치된 제1증발기(151)로 냉매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1삼방밸브(162a)는 상기 제1증발기(151)측으로만 냉매가 유동하고, 상기 제2삼방밸브(162b)측으로는 냉매가 유동되지 아니하게 절환된다. 이에 의해, 김치저장실(223a)의 온도 상승이 억제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온도감지부(185)에 의해 각 냉각실(222)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증발기(151) 내지 제3증발기(153)로 냉매가 유입될 수 있게 상기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각 냉각실(222)의 신규 부하 투입이 없이 소정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1증발기(151) 내지 제3증발기(153)에 교번적으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제1삼방밸브(162a) 및 제2삼방밸브(162b)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와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증발기가 김치저장실에 구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증발기가 냉동실 및 냉장실에 각각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냉각실에 증발기가 모두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김치저장실에 제1증발기가 배치되고, 상기 냉각실들의 배후에는 제2증발기(152) 하나가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로조절밸브는 삼방밸브 1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본체 112 : 냉각실, 김치저장실
130 : 도어 135 : 도어감지부
141 : 압축기 145 : 팽창부
146 : 제1모세관 147 : 제2모세관
149 : 응축기 150 : 증발기
151 : 제1증발기 152 : 제2증발기
170 : 제어부 175 : 온도감지부

Claims (11)

  1.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복수의 냉각실을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
    상기 복수의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증발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방열하여 응축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상기 복수의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어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
    상기 복수의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및
    상기 도어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유로조절밸브의 개폐와 상기 압축기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냉각실 중 부하가 투입된 어느 하나의 냉각실에 상기 냉매가 우선 공급되어, 나머지 냉각실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상기 복수의 도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도어의 개방 감지 시, 상기 복수의 증발기로 냉매가 동시에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유로조절밸브 제어 후, 상기 복수의 냉각실의 온도를 동시에 낮추도록 상기 압축기를 설정시간 동안 구동시키고,
    상기 압축기를 설정시간 동안 운전 후, 상기 복수의 냉각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냉각실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 상태인 냉각실에 배치되는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조절밸브는, 입구가 상기 응축기의 유출 측에 연결되는 제1삼방밸브; 및
    입구가 상기 제1삼방밸브의 유출 측에 연결되는 제2삼방밸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의 유출측에는 분기유로가 구비되며,
    상기 유로조절밸브는 상기 분기유로에 각각 결합되는 제1밸브 및 제2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실은 김치를 저장하는 김치저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를 설정시간 동안 운전 후 상기 김치저장실에 배치된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게 상기 유로조절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복수의 냉각실을 개폐하는 복수의 도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방열하여 응축되는 응축기; 상기 응축기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증발기;를 구비한 상기 복수의 냉각실 중 부하가 투입된 어느 하나의 냉각실에 상기 냉매가 우선 공급되어, 나머지 냉각실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도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도어의 개방 감지 시, 상기 응축기의 냉매가 상기 복수의 증발기로 동시에 유입되게 유로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유로에 냉매가 동시에 유입될 수 있도록 설정시간 동안 상기 압축기를 운전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기를 설정시간 동안 운전 후, 상기 복수의 냉각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냉각실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은 경우, 설정온도보다 높은 온도 상태인 냉각실에 배치되는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게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실은 김치를 저장하는 김치저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증발기 중에서 어느 하나의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게 냉매의 유로를 조절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김치저장실에 배치된 증발기로 냉매가 유입되게 유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20110005134A 2011-01-18 2011-01-18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1799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34A KR101799864B1 (ko) 2011-01-18 2011-01-18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134A KR101799864B1 (ko) 2011-01-18 2011-01-18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794A KR20120083794A (ko) 2012-07-26
KR101799864B1 true KR101799864B1 (ko) 2017-11-22

Family

ID=4671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134A KR101799864B1 (ko) 2011-01-18 2011-01-18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8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204B1 (ko) * 2013-06-10 2019-05-10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냉장고의 냉매 제어방법
CN108800750B (zh) * 2018-06-20 2020-05-05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冰箱的控制方法、冰箱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287961B1 (ko) * 2020-08-07 2021-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794A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8973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8793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1008233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KR101095554B1 (ko) 냉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01942526B1 (ko) 냉장고
JP4833337B2 (ja) 温度制御室を有する冷蔵庫
EP2868998B1 (en) Refrigerator
US9857103B2 (en) Refrigerator having a condensation loop between a receiver and an evaporator
US977213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refrigerator
JP2009525751A (ja) キムチ冷蔵庫の冷却装置及び冷却方法
KR100725495B1 (ko) 보조저장실을 구비한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20180120975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9864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20180120976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62017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51328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635646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JP2006275467A (ja) ショーケース
KR101917288B1 (ko) 프렌치 냉장고의 냉각 시스템
KR100719246B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냉각 장치 및 도어의 냉각 제어 방법
KR10215305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954198B1 (ko) 냉장고
KR20180061753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51329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64050A (ko) 독립 냉각 냉장고의 제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