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838B1 -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838B1
KR101799838B1 KR1020167018973A KR20167018973A KR101799838B1 KR 101799838 B1 KR101799838 B1 KR 101799838B1 KR 1020167018973 A KR1020167018973 A KR 1020167018973A KR 20167018973 A KR20167018973 A KR 20167018973A KR 101799838 B1 KR101799838 B1 KR 101799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input device
displayed
operation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944A (ko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김시환
송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환, 송기용 filed Critical 김시환
Publication of KR2016008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와 중앙처리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밀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서 단계를 구별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를 인식하고, 상기 단계에 맞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므로서, 화면 전환 명령을 여러차례 하지 않고도 현재의 화면에 표시된 정보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효과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The System And The Method For Giving Imformation By Stages}
본 발명은 단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다양한 입력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위에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고, 상기 단계의 조작 명령 따라 정보의 내용이 단계 별로 제공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 또는 터치 패널이란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스크린)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손가락 또는 임의의 조작 수단으로 직접 터치하여 터치한 위치를 검출하고 기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터치된 위치의 조작을 처리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하나의 예로, 터치 패널에는 압력식(Resistive Overlay), 표면초음파 방식(Surface Acoustic Wav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및 적외선 방식(Infrared Beam) 등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다양한 방식의 터치 입력 장치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상에서 원하는 조작 명령을 직접 수행할 수가 있게 되며, 실제로 개인 휴대단말기(스마트폰, PDA, MP3, 핸드폰 등) 또는 태블릿 PC 등에 입력부로 채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많은 정보가 상호 연관되어 있으므로,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와 연관된 또 다른 정보를 효과적으로 표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방법이 아직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즉, 현재는 단지 크릭을 통해 현재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연결해 주는데, 현재 화면에 표시된 정보의 단계가 한 개 이상일 경우에는 이것을 효과적으로 연결해 주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즉, 종래 미국 특허(US 6,639,584)처럼, 디스플레이 화면 위를 이동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특허 기술은 존재하지만, 디스플레이 위에서 제어 명령을 입력하여 정보가 표시되는 상세한 정도를 제어하거나 표시되는 정보의 양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제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또 다른 미국 특허(US 7,657,849) 디스플레이 상단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락(lock) 기능이 부여 되도록 하는 방법 만을 제공할 뿐이다.
따라서, 콘텐츠를 사용할 때, 단계적 방법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원하는 정보가 화면에서 신속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 미국 특허 등록 번호 US 6,639,584 (2003년 10월 28일) 선행기술 2 : 미국 특허 등록 번호 US 7,657,849 (2010년02월 02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상단에서 입력장치틀 통하여 입력되는 단계의 조작 명령에 따라, 정보의 내용을 단계적으로 표시하거나 제공하고 또는 별도의 저장 위치에 존재하는 정보도 연결해 주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디스플레이와 중앙처리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밀기에서,상기 디스플레이 위에서 단계를 구별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를 인식하고, 상기 단계에 맞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므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위에서 점이 선택되고 상기 점이 이동되어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이동 거리를 단계로 판단하며, 디스플레이 위에서 점이 선택되고 상기 점이 회전되어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회전 이동의 각도를 단계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단계가 + 이동 단계가 존재하고, 상기 단계가 - 이동 단계가 존재하는며,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두점이 선택되고 상기 두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지거나 멀어짐에 따라 단계가 정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와 중앙처리장치 및 입력장치가 구비된 단밀기에서, 상기 단말기는 데이터 베이스와 제어부가 구비된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서 단계를 구별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를 인식하고, 상기조작 명령의 단계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거나 입력장치의 출력을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단계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출력하여 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위에서 점이 선택되고 상기 점이 이동되어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이동 거리를 단계로 판단하고, 디스플레이 위에서 점이 선택되고 상기 점이 회전되어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회전 이동의 각도를 단계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단계가 + 이동 단계가 존재하고, 상기 단계가 - 이동 단계가 존재한다.
한편,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두점이 선택되고 상기 두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지거나 멀어짐에 따라 단계가 정해진다.
아울러, 현재의 단계가 N 이고, + 만큼 J 단계 이동하면 최종 선택 단계는 N + J 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현재의 단계가 N 이고, - 만큼 I 단계 이동하면 최종 선택 단계는 N - I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상단에서 입력장치를 통하여 손가락이나 조작 수단에 의해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게 되면 정보를 단계 별로 제공할 뿐 아니라, 여러 단계의 정보가 제공될 경우에도 화면이 전환 없이 동일 화면에서 제공될 수 있고, 아울러 또 다른 인터넷 사이트나 다른 저장 위치에 저장된 정보로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입력장치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6은 단계의 조작 명령을 설명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 명령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조작 명령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단계의 조작 명령으로 전체 화면의 표시정보가 바뀌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은 단계의 조작 명령으로 일부 화면의 표시정보가 바뀌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2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진행 순서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5내지 도 17은 조작 명령을 실시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9는 단계적 입력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0내지 도 28은 선택 영역의 크기가 변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9와 도 31은 정보의 내용과 크기가 다양하게 변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2 내지 도 34는 전체화면에서 선택 영역이 2개 이상 존재할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5는 단계의 조작 명령에 의하여 변화되는 또 다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6는 본 발명의 단계의 조작 명령에 따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37은 서버가 각각의 단계와 연결된 정보를 전송하여 주는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지된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 실시예 1-
도 1 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10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100)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03),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05),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04) 및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102)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단말기(혹은 컴퓨터)(110)는 다양한 정보를 유무선 인터넷(혹은 통신망)을 통하여 송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이다.
그러므로 상기 단말기(110)에는 중앙처리장치(CPU)(20),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30),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1),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28) 및 정보 혹은 데이터를 입출력 할 수 있는 데이터 입출력부(10)가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서버를 좀더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100) 내에는 제어부(101)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01)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111), 데이터 처리부(112) 및 인터넷 접속자 혹은 인터넷 회원들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이트 운영부(113)로 구성된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104)가 더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4)에는 사이트 운영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141), 각각의 정보에 맞는 데이터가 저장된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및 다수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4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1)와 데이터 베이스(104)는 하나의 일 예일 뿐이며, 서버 운영의 모든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통상의 제어부와 모든 정보를 저장하는 통상의 데이터 베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의 제어부(101)에서는 사이트 운영부(113)가 접속자(혹은 단말기)에 대한 정보와 회원 여부 및 콘텐츠 사용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게 되며, 데어터 검색부(111)에서는 접속자(혹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4)통해 검색하며, 데이터 처리부(112)에서는 검색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자에게 전송하여 준다.
도 3은 단말기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중앙처리장치(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단말기(일반적인 경우에는 휴대용 표시장치, 스마트폰, 혹은 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다. 그리고, 메모리부(21)에 존재하는 롬(21a)은 표시장치의 수행 프로그램을 제어하고, 램(21b)은 프로그램 수행시에 발생하는 데이타를 저장하며, 이이피롬(21c)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 및 이를 처리하는 데에 필요한 데이타를 보관한다.
R/F부(24)는 무선주파수(Radio Frequency)로서, RF 채널에 동조하고, 입력되는 각종 신호를 증폭하며, 안테나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필요한 주파수 신호로 변경한다. 입출력부(10)는 입력부와 출력부를 포함하며, 입력부는 각종 정보 입력 기기, 숫자 키, 메뉴키 및 선택키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며, 출력부에는 스피카 나 진동장치 등도 포함된다.
중앙처리장치(20)의 신호 출력을 받아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회로(25)가 있으며, 다시 구동회로는 디스플레이(30)가 구동 가능한 신호를 출력한다.
아울러 중앙처리장치는 입력장치 구동부(27)를 통해서 입력장치(28)를 제어한다. 즉, 입력장치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창치 구동부는 중앙처리장치에 입력 정보를 출력하게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기는 휴대용 표시장치,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혹은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입력장치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이다.
입력장치의 단면도를 간단히 나타낸 도면으로, (A)도는 정전용량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B)도는 저항막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상기 (A)도에서 보호판(28a) 하부에 투명 전극이 코팅된 전극판(29a)이 구비되며, 상기 전극판(29a)은 투명전극이 코팅된 필름이 한 장 혹은 두장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B)도는 보호판(28a) 상부에 투명전극이 코팅된 2 개의 필름(29a)(29b)이 일정한 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대향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의 입력장치(28) (28) 상단에 외부 보호판(혹은 화장판)(28b)가 더 구비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판(28b)에 원하는 문양의 코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4는 통상 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입력장치(28)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입력장치(28)에 대한 발명은 아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위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통상의 입력장치(28)는 본 발명에 적용가능하다.
이때, 디스플레이 위에서라는 것은 디스플레이 표면에 압력이나 접촉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입력장치 소자와 디스플레이가 일체화된 기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의 실시예에서처럼, 디스플레이(30) 위에서 작은 바(Bar)를 사용하거나 혹은 손가락을 사용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하게 된다,
즉, 입력장치(28)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를 대상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다. 도 5면에서처럼 두 개의 손가락(혹은 바)을 사용하여, 두 손가락이 선택한 점(포인트)의 사이의 거리를 줄이거나 늘이는 방법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한다.
도 6은 단계의 조작 명령을 설명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두 손가락(혹은 두 개의 바)이 두 개의 점을 정하고, 상기 점이 움직인 이동 거리를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로 명령을 인식하도록 하는 조작 명령이 "단계의 조작 명령"이다. 그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각각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단말기 디스플레이(30)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단계는 적어도 2 단계 이상의 한정된 숫자 N 이다. 너무 많으면 좋지 않으므로 10 단계 혹은 5 단계 이내가 적당하다.
또한, 단계에 대하여 정리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하나의 단계로 인식되는 거리는 미리 정해진다.
2) 인식될 수 있는 최대 단계의 수는 미리 정해진다. 인식될 수 있는 최대 거리도 미리 정해진다.
3) 단계의 조작 명령은 + 방향과 - 방향이 존재한다.
4) 오차 범위가 존재한다.
5) 각각의 단계별로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정보가 존재한다.
도 6에서 보면, 두 점 사이의 이동 경로인 가이드 선(50)(51)을 표시하였고, 도(A)에서처럼 상기 가이드 선에 각각의 단계(50a)(50b)(50c)(50d)(50e)를 표시하였다. (도 (B)에서는 각각 단계가 "(51a)(51b)(51c)(51d)(51e)" 이다)
이때, 두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도 (A)의 경우에는,
1 단계 "50e", 2 단계 "50d", 3 단계 "50c", 4 단계 "50b", 5 단계 "50a" 이고,
두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는 도 (B)의 경우에는
1 단계 "51a", 2 단계 "51b", 3 단계 "51c", 4 단계 "51d", 5 단계 "51e" 이다.
그리고, 한 단계 이동할 때의 거리를 10mm 로 미리 정한다면, 단계의 조작 명령으로 20 mm 이동한 경우 2 단계 이동이 되고, 전체 단계가 5 단계까지 존재하므로, 최대의 이동 거리는 50mm 가 된다.
물론, 각 단계별로 거리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를들어 1 단계에서 2 단계까지의 거리는 10mm 로 하고, 2 단계에서 3 단계까지의 거리는 12 mm로 할 수도 있다. 단지 단계별 거리가 미리 정해진다는 것이다.
또한, 단계별 거리도, 알고리즘을 정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가변적으로 변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1 단계에서 2 단계의 이동 거리가 10mm 이지만, 단계의 조작 명령 전에 자동으로 변하는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단계의 이동 거리가 12 mm로 바뀔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핵심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할 때, 조작 명령을 단계로 인식한 다는 것이며, 단계 인식은 핵심은 단계의 조작 명령 실행을 N 단계 이동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단계의 조작 명령은 + 방향과 - 방향이 존재한다.
예를들면,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두 점(포인트)이 가까워지면 -(마이너스) 이동, 멀어지면 +(플러스) 이동이된다.(반대로 가까워지면 + 이동, 멀어지면 - 이동으로 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6의 (A)처럼 20mm 이동하고 1 단계 이동이 10mm 라면, - 방향으로 2 단계 이동한 것이다. 또한, 도 6의 (B)처럼 20mm 이동하고 1 단계 이동이 10mm 라면, + 방향으로 2 단계 이동한 것이다.
한편, 상기 4) 번의 항목에서처럼, 본 발명의 단계의 조작 명령에서는 오차 범위가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13mm 이동하였을 경우 1 단계로 판단하고, 18 mm이동하였을 경우 2 단계 이동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마치 수학에서 반올림과 내림의 개념으로 오차 범위를 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고자 할 때, 도 6의 실시에에서 도시된 것처럼 단계별 눈금이 표시된 가이드선(50)(51)이 디스플레이(30)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가 있다.
단말기(110) 사용자가 단계의 조작 명령을 선택(프로그램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선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 방법에 대하여 별도 언급은 하지 않는다,)게 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가이드선 (50)(51)이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선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정확한 단계 입력을 실시할 수가 있다,
물론, 실제 화면에서 가이드 선이 표시된다면, 도 6의 도면처럼 50a나 51a 같은 도면 부호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1 단계, 2 단계와 같이 단계의 수자가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선(50)(51)에 단계의 수자만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단계에 대응하는 정보에 대한 간단 항목이 표시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5)의 항목에서처럼, 각각의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존재한다, 따라서, 단계의 조작 명령이 실행되게 되면, 그 결과 최종 선택 단계가 정해지고 최종 선택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최종 선택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도 6에서 단계별 대응 정보는 "(50a-1)(50b-1)(50c-1)(50d-1)(50e-1)"과 "(51a-1)(51b-1)(51c-1)(51d-1)(51e-1)" 이다.
즉, 도 (A)에서 1 단계 "50e" 에 대응하는 정보는 "50e-1" 이고, 도 (B)에서 1 단계 "51a"에 대응하는 정보는 "51a-1"이다.
따라서, 도 (A)에서 1 단계 "50e" 의 대응 정보가 "휴대폰의 대리점 위치"라면, 실제 도(A)의 화면에서는 "50e-1" 가 지정한 박스에 "휴대폰 대리점 위치" 라는 글자(경우에 따라서는 이미지가 될 수가 있다.)가 표시된다.
또한, 도(B)에서 1 단계 "51a"의 대응 정보가 "휴대폰 사양" 이라면, 실제 도(B)의 화면에서는 "51a-1" 이 지정한 박스에는 "휴대폰 사양" 라는 글자(경우에 따라서는 이미지가 될 수가 있다.)가 표시된다.
그리고, 도6의 도(A)와 도(B)는 + 방향과 - 방향을 구별하기 위해서, 별도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실제로 만일 도6의 도(A)와 도(B)가 동일 화면에서 수행되는 것이라면, 1 단계는 50a" 와 51a"가 되고, 마찬가지로 5 단계는 "50e"와 "51e" 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별 정보도 도 (A)에서 1 단계 정보인 "50a-1"과 도(B)에서의 1 단계 정보인 "51a-1"은 동일 정보가 된다. 마찬가지로 도 (A)에서 5 단계 정보인 "50e-1"과 도(B)에서의 5 단계 정보인 "51e-1"도 동일 정보가 된다.
- 실시예 2 -
도 7은 입력장치를 통한 조작 명령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의 (A)는 입력장치를 통하여 손가락 혹은 바가 선택한 한점(포인트)이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고, (B)는 이동한 각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그리고, + 방향은 상기 점이 위로 이동할 때이거나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때로 정해질 수 있고, 그 반대로도 정하여 질 수 있다.
도 8과 도 9는 도 7의 실시예에서 조작 명령의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7의 (A)의 실시예이다. 즉 이동한 거리를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 대한 정보의 특징(정보의 내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1 단계가 "52a" 이고, 2 단계가 "52b" 이다. 그리고, 1 단계 대응 정보가 "52a-1" 이고 2 단계 대응 정보가 "52b-1" 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30) 화면에서는 단계를 표시하는 숫자와 각 단계의 대응 정보의 특징이 표시될 수가 있다.
또한, 도 9는 도7의 (B)의 실시예이다. 즉 이동한 각도를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와 각 단계에 대한 정보의 특징(정보의 내용)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상기의 수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말기의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점(포인트)이 선택(손가락 혹은 바로 선택도어 질 수 있음.)되어 지면, 입력장치 구동부(27)는 선택되어진 점의 위치 정보(좌표)를 출력한다. 그리고, 점이 이동되면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27)는 이동되는 점의 위치 정보(좌표)를 출력한다.
2)중앙처리장치(20)는 상기 출력된 점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여,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이동 단계를 판단하고, 최조 단계에서 이동 단계를 반영(+ 이동이면 단계를 더하고, - 이동이면 단계를 빼는 방법)하여, 최종 선택 단계를 판단한다.
3)최종 선택 단계가 정해지면, 중앙처리장치(20)는 메모리부(21)에서 선택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정보가 디스플레이(30)에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계의 조작 명령으로 점을 선택하여 이동한 거리나 각도에 대해 단계를 나눌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는 다양할 수 밖에 없다.
예를들어, 점을 선택하고 유지하는 시간으로도 단계를 나눌 수 있다.
또한, 단말기자체를 움직이거나 이동하는 정도로도 단계를 나눌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상단에의 움직임을 이미지 소자로 인식하도록 하고, 상기 이미지 소자가 출력하는 신호를 알고리즘의 판단으로 하여, 움직임의 정도를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손가락의 모양이나 이미지의 모양으로 단계를 나누어 판단할 수 있다.
즉, 단말기에 어떠한 입력의 방법을 사용해서라도, 단계의 조작 명령처럼 단계의 이동으로 구별 할 수가 있다면, 이동된 후의 최종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가 있는 것이다.
- 실시예 3 -
도 10은 단계의 조작 명령으로 전체 화면의 표시정보가 바뀌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정보의 상세한 정도를 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표시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의 왼편이 제 1 단계로 상세한 정보가 표시되는 단계라면, 앞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단계의 조작 명령에 의해 왼편의 다른 단계로 화면 표시가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2 단계 조작 명령을 수행하면, 왼편의 화면은 3 단계의 상세도를 가진 정보가 디스플레이(30)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단계가 올라 갈수록 정보의 상세도가 증가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단계가 올라갈수록 정보의 상세도가 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단계에 의해 정보의 상세도가 변한다는 것은 동일한 종류의 정보를 단계에 따라 상세도를 구분하여 정보를 만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때면, 최초 단계는 요약 내용이고, 단계가 올라 갈수록 설명의 정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도 11은 단계의 조작 명령으로 일부 화면의 표시정보가 바뀌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전체 화면에서 단계의 조작 명령의 실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31)이 별도로 존재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선택 영역을 먼저 선택하여야 한다,(선택 방법의 예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기 선택 영역 위치에 점등으로 입력을 하는 것이다. 물론 단말기나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선택이 존재할 수가 있다.)
상기 선택 영역(31)이 선택이 되면, 입력장치를 통하여 출력된 위치 정보에 대한 신호를 중앙처리장치가 판단하여, 상기 선택 영역(31)이 선택되었음을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택 영역(31)을 대상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중앙처리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최종 선택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때, 최종 선택 단계가 변하게 되면, 상기 선택 영역의 크기도 표시되는 정보에 따라 달라질 수가 있다.
1) 선택 영역의 크기가 변하지 않는다,
2) 선택 영역의 크기가 단계가 커짐에 따라 단계에 비례하여 커질 수 있다.
3) 선택 영역의 크기가 정보의 내용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 실시예 4 -
도 12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진행 순서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단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즉, 앞의 실시예에서처럼 입력 장치(28)를 통해 단계의 조작 명령이 수행되면, 디스플레이에 정보가 표시되는 알고리즘이다.
이때 이러한 알고리즘 기능 수행은 서버(100)의 제어부(101)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단말기의 제어부(2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기(110)가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혹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접속이 되어 상기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단말기(110)의 입력장치(28)를 통해 조작 명령의 단계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전달되고, 서버는 조작 명령의 단계에 대응되는 새로운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단말기는 전송받은 새로운 정보를 디스플레이(30) 화면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모든 유무선 통신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며, 통신의 방법을 개선하는 발명은 아니다.
또한, 단말기 내의 중앙처리장치(20)와 메모리부(21)를 사용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가 있다,
서버의 연결 혹은 단말기 자체에서의 알고리즘 수행은, 각각 해당되는 프로그램과 정보의 종류에 따라 그때 그때 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렇게 정하는 것은 프로그램적으로 정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선택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또한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에 대응하도록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 혹은 단말기의 메모리부에는 단계의 조작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 각각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예들들어, 광개토대왕 출생 편을 하나의 단위 콘텐츠로 정할 경우, 광개토대왕 출생편과 관련되어 정보를 상세 정도에 따라 5단계(단계를 5 단계로 구분할 경우)로 구별하여, 저장한다는 것이다.
즉, "광개토대왕 출생편" 의 콘텐츠 저장 정보가 "HiKaKi001"이라면, 가장 상세한 1 단계는 "HiKaKi00101", 2 단계는 "HiKaKi001-02", 마찬가지로 요약된 5 단계 "HiKaKi001-5"로 각각 저장된 정보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에 의하여, 단계가 선택되면 선택된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것이다.
도 12에서 보면, 화면 변환 명령을 입력하게 되는데,(S102) 본 발명에서 화면 변환 명령이라 함은 사용자가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전 단계의 선택을 하는 것이다. 상기 선택에 의하여, 단말기의 중아처리장치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선택은 메뉴 버튼에 의할 수도 있고, 화면을 일정시간 선택하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화면 전환 명령의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다. 단계의 조작 명령이 가능한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만으로도 중앙처리 장치(혹은 제어부)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입력장치를 통한 단계의 조작 명령(단계를 구분하는 조작 명령)이 실시된다.(S104)
그리고, 현재의 단계가 1 단계인가를 판단한다.(S106) 만일 1 단계가 아니면 "S130"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의 이동 방향이 + 방향인가 - 방향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단계는 1 단계에서 K 단계까지 이동한다.
1 단계 방향(- 방향의 이동)의 이동인가를 판단하게 된다,(S108)
만일 1 단계 이동의 방향이라면, 현재의 화면 단계를 그대로 표시하게 된다.(S110)
그리고, 만일 1 단계 이동의 방향이 아니(+ 방향의 이동)라면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
단계의 조작 명령의 단계가 1 단계부터 K 단계까지라면, 가장 낮은 단계는 1 단계이고 가장 높은 단계는 K 단계가 된다. 이때 입력장치 통해 입력된 단계가 J 단계라고 가정한다.(S112)
만일 "1 + J
Figure 112016068150157-pat00001
K" 이면, K 단계의 화면을 표시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1+J" 단계의 화면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S114-S118 단계)
도 13에서는 현재의 화면 표시 단계가 1 단계가 아닐 경우의 흐름도이다.
만일, 단계의 조작 명령의 방향이 1 단계 방향이면, "S150"의 단계로 연결된다.
그리고 1 단계 방향이 아니면, 현재의 화면표시 단계를 N 단계로 가정한다. 당연히, 화면 표시 단계를 1 단계부터 K 단계까지 나누고, 가장 낮은 단계는 1 단계이고 가장 높은 단계는 K 단계가 된다. 이때 입력된 단계가 J 단계라고 가정한다.(S132)
만일 "N + J
Figure 112016068150157-pat00002
K" 이면, K 단계의 화면을 표시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N+J" 단계의 화면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S134-S138 단계) 그리고, 종료 명령에 따라 종료가 될 수도 있다.(S140)
도 14는 도 13의 "130 단계" 에서 입력 방향이 1 단계 방향일 때의 흐름도가 된다.
마찬가지로, 현재의 화면표시 단계를 N 단계라고 가정한다. 당연히, 화면 표시 단계를 1 단계부터 K 단계까지 나누고, 가장 낮은 단계는 1 단계이고 가장 높은 단계는 K 단계가 된다. 이때 입력장치 통해 입력된 단계가 J 단계라고 가정할 수 있다.(S150)만일 "N - J
Figure 112016068150157-pat00003
1" 이면, 1 단계의 화면을 표시하게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N - J" 단계의 화면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S152-S158 단계) 그리고, 종료 명령에 따라 종료가 될 수도 있다.(S160)
그리고, 상기의 알고리즘 수행은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CPU)(20) 혹은 서버의 제어부(101)가 실행한다.
- 실시예 5 -
도 15내지 도 17은 조작 명령을 실시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화면 변환 명령(30a)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30) 위에서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면, 디스플레이(30) 화면에는 조작 명령 가이드 선(51)이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조작 명령 가이드 선(51)에는 눈금처럼 각각의 단계(수자로 1 단계 2 단계 등이 표시됨)("51a"에서 "51e" )가 표시되어, 표시된 눈금 만큼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서 효과적인 단계별 조작 명령을 수행할 수가 있다. 즉 2 단계만 이동하고 싶으면 화면에 표시된 눈금을 보면서 2 단계의 눈금만 이동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에 대한 특징 혹은 정보에 대한 내용도 표시된다. 즉, 각각의 단계와 연결되어 정보 표시 박스("51a-1"내지 "51e-1")이 나타나며, 각각의 정보 표시 박스("51a-1"내지 "51e-1")에는 각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의 내용이 글자 혹은 이미지 혹은 연결 사이트로 표시된다.
그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기 용이하도록, 현재의 단계를 나타내는 표시박스는 다른 표시박스와 구별(색 혹은 진한 정도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별할 수 있다.)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가 있는 것이다.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게 되면, 가이드 선(51)이 나타나고, 현재를 나타내는 표시 박스(만일 현재 단계가 1 단계 이면, "51a-1"의 표시창임.)는 다른 표시박스에 비해 더 진하게 표시될 수가 있다.
그리고, 만일 3 단계를 이동하였다면, 마찬가지로 이동된 표시 박스(현재가 1 단계이고 3 단계를 이동하였다면 4 단계 표시박스(51d-1)임.)가 다른 표시 박스에 비해 더 진하게(혹은 구별되게) 표시될 수가 있는 것이다. 반대의 방향으로 단계를 이동할 때에도 현재의 표시 박스와 이동되는 표시 박스는 구별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가 있다.
물론, 표시박스가 별도로 화면에 표시되지 않을 때에는, 가이드선에서 단계를 나타내는 눈금을 통하여 현재의 단계와 이동 단계를 구별하여 표시할 수가 있다. 즉, 가이드선에서 해당되는 단계의 눈금을 다른 단계의 눈금과 구별하여 표시할 수가 있다.
도 16과 도 17은 전체화면에서 별도의 선택 영역(31)이 존재할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화면 변환 명령(30a)을 선택(예를들어 표시된 부분(30a)을 선택하는 것임.)하고 단계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면, 가이드 선(51)이 나타나고, 가이드 선(51)에는 눈금을 표시한 단계("51a" 내지 "51e")가 또 표시되게 되고, 각 단계와 연결된 표시 박스("51a-1" 내지 "51e-1")도 표시되고, 상기 표시 박스에는 정보의 특징이 표시되게 된다.
도 16의 선택 영역(31)에 표시된 정보를 1 단계 정보라고 하고, 도 17의 새로운 선택영역(32)에 표시된 정보를 4 단계 정보라고 한다면, 도 16의 화면에서 선택 영역(31)을 대상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여 3 단계 이동하면 도 17의 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현재의 단계의 표시박스와(51a-1)과 단계 이동후 해당되는 표시박스(51d-1)는 다른 표시박스와는 구별되게 표시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1 단계 표시 박스(51a-1)에는 "휴대폰 이미지" 와 같은 내용이 표시되고, 이동된 후 해당되는 표시박스(51d-1)에는 "휴대폰 사양" 과 같은 내용이 표시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만일 5 단계는 다른 인터넷 사이트와 연결되는 단계라면, 5 단계 표시박스(51e-1)에는 "000사이트 연결" 이라는 내용이 표시될 수가 있다. 그리고, 5 단계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30) 화면에는 새롭게 연결된 인터넷 사이트의 정보가 표시된다. 그러므로, 새롭게 연결된 인터넷 사이트에서는 제품 구매 등과 같이 그 다음의 작업을 진행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계의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양이 증가한다. 정보의 상세도가 증가한다.
2) 단계가 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내용이 달라진다. (상세도가 증가되지 않을 수도 있다.)
3) 단계가 변함에 따라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달라진다. 예를들어, 단계가 변함에 따라 이미지 정보나 동영상 정보가 표시될 수가 있다.
4) 단계가 변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계층이 변할 수가 있다.
예를들어, 1 단계는 자동자 외관, 2 단계는 자동차의 외부를 제거한 차량 부품 모습, 3 단계는 부품의 내부 모습등으로 변할 수가 있다. 즉, 단계의 변화에 따라 겉모습에서 속 모습으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를 달리할 수가 있다.
5) 단계가 변함에 따라 별도의 저장 장치나 저장 위치에 저장된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6) 단계가 변함에 따라 다른 인터넷 사이트와 연결될 수가 있다.
7) 전체 화면에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선택 영역이 별도로 존재할 경우,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선택 영역의 크기도 더 커진다, 물론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의 정보에 다라 상기 선택 영역의 크기가 줄어 들 수도 있고 그대로 일수도 있다.
도 18은 가이드 선에 의한 조작 명령을 수행하는 순서도이다.
단계를 나타내는 조작명령을 수행할 때, 화면에 가이드 선(50)(51)이 표시되고, 상기 가이드 선(50)(51)에 눈금에 표시되어, 눈금을 보고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므로서 더 정확하게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8은 이에 대한 실시예이다.
프로그램 실행후, 단말기의 사용자는 화면 변환 명령을 입력한 다음,(S164) 입력장치를 통해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S166)
그리고, 화면 변환 명령(도 6에서 "30a" 예)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정 시간 크릭하는 동작, 특별한 이동 동작, 화면에 별도 메뉴표시, 혹은 특정한 버튼 키보드나 버튼키, 음성 명령, 진동 명령 등 다양한 명령을 통해 화면 변환 명령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런 다음 입력장치를 통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S166)
만일 단계의 조작 명령 제어 기능을 단말기 자체에서 수행하게 된다면, 단말기 중앙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단계가 표시된 가이드선(50)(51)을 표시한다. 물론 서버가 가이드선 표시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고 단말기 중앙처리장치는 전송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가 있다. 상기 가이드 선의 디자인이나 표시 정보는 단말기 메모리부 혹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선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형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가이드선(50)(51)의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와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의 요약이 표시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실행을 단말기의 CPU가 제어하지 않고, 서버와 연결되어 서버의 제어부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내용을 제어하게 된다면, 입력장치에서 수행된 명령은 서버에 전송되고, 서버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정보 데이터를 단말기에 전송하게 된다.(S168 - S174)
그리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가이드 선과 표시 박스는 표시되게 된다.
아울러, 선택된 단계가 다른 인터넷 사이트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면, 디스플레이에는 단계의 조작 명령에 대응되는 정보가 표시된다.(S176 - S178)
그러나, 조작 명령후 선택된 단계가 다른 인터넷 사이트와 연결되는 것이라면, 디스플레이에는 연결된 인터넷 사이트의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연결된 사이트에서 다양한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S180 - S182)
연결된 인터넷 사이트에서 다양한 기능 수행이라고 함은, 실제 인터넷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상품을 선택하고 결재하기 위해 통상의 결재 시스템과도 연결 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료 명령에 의해 기능이 종료 될 수가 있다.(184)
- 실시예 6 -
도 19는 단계적 입력 방법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A)도는 디스플레이(30) 화면에 눈금(50a)(50b)(50c)(50d)(50e)이 표시된 가이드 선(50)(51)이 나타날 수 있음을 보이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눈금 사이의 간격의 거리 "L"(디스플레이에 실제로 표시되는 거리)이 단계의 조작 명령 수행시 이동하는 거리와 실제로 동일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거리 "L"이 10mm 이면, 단계의 조작 명령에서 1 단계의 거리가 10mm 가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시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가이드선(50)(51)의 눈금의 실제 크기 만큼 선택된 점을 이동(입력장치를 통하여 이동함)하므로서, 원하는 단계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가 있다.
입력장치 구동부를 통하여, 선택된 점이 눈금의 크기 만큼 이동되었다는 위치 신호가 출력되면,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나 서버의 제어부는 출력된 위치에 대응되는 정보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B)도는 단계(50a)(50b)(50c)(50d)(50e)를 디스플레이(30)에 표시하는 형태가 다를 수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단계를 구별할 수 있은 형상이나 모양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때,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함에 있어서, 입력장치를 통해 단계에 해당되는 거리를 이동하므로서 가능할 수도 있지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단계 중에서 원하는 단계를 선택하므로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즉, (B)에서 현재 상태가 1 단계(50a)이고, 5단계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자 할 때에는 5 단계(50e)에 해당되는 표시바(bar)(55)를 선택하면 된다.
한편, (C)도는 다른 모양의 형태로 단계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각 단계(50a)(50b)(50c)(50d)(50e)가 박스(Box) 형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단계를 나타내는 형상은 반드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형상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다양한 모양으로 단계를 표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 실시예 7 -
도 20내지 도 28은 선택 영역의 크기가 변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선택 영역(32)은 디스플레이(30) 화면에서 일부만 차지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선택 영역(32)이 선택된 다음 단계의 조작 명령이 실행되면, 선택 영역(32)은 조작 명령에 의해 크기가 변화된다. + 방향으로 이동되면 크기가 커지고 정보의 내용도 많아지며, - 방향으로 이동되면 크기가 작아지고 정보의 내용도 적어진다.
도 21은 도 20에서 보여주는 정보의 단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1에서는 편의상 3 단계로 나타내었지만, 더 세분화된 단계로 나눌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면에서처럼, 선택 영역(32)의 크기와 단계가 있고, 선택 영역의 크기와 단계에 맞는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때, 도 20과 도 21은 선택 영역(32)이 상하로 만 크기가 변하게 된다. 그러나 좌우로도 크기가 변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2와 도 23은 선택 영역(32)의 크기가 상하 좌우로 모두 변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처럼 선택 영역(32)을 선택한 후에 크기를 변화시키는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하면, 선택 영역(32)은 크기가 바뀐 새로운 선택 영역(32a)으로 바뀐다. 그리고 선택 영역의 크기는 단계적으로 바뀌게 된다,
도 23은 편의상 3 단계의 크기가 있음을 실시예로 나타내었지만, 크기는 더 세분화 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선택 영역의 크기에 맞는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또한 도 23은 단계에 따라서는 덱스트 정보와 이미지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음을 보인다,
도 24는 정보가 저장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크기의 단계가 N 단계로 나누어져 있으면, 각각의 크기에 맞는 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타입은 각각의 단계이며, 해당되는 단계가 선택되면 그에 맞는 정보가 디스플레이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는 단말기의 메모리부(21) 혹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104)에 저장된다, 물론 별로 저장 장치나 별도 서버에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되는 정보가 반드시 텍스트 파일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 파일(32c) 혹은 동영상 파일도 존재할 수 있으며. 해당 영역을 크릭하게 되면 또 다른 사이트와 연결되는 링크 정보(31d)도 표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A)는 각각의 단계에 따라 선택 영역(32)(32a)의 크기가 변하고, 그에따라 선택 영역(32)(32a)에 표시되는 정보도 변하게 된다.
또한, 도 (B)와 (C)는 선택 영역의 크기에 의하여 단계가 선택되는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이 도면이다. 즉, 단계의 조작 명령으로 선택 영역의 크기를 조절할 때, 도(B)에서처럼 선택 영역의 크기가 2 단계와 같지는 않지만 2 단계에 가깝다면, 상기 선택 영역(32a')에는 2 단계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도(C)에서처럼 선택 영역의 크기가 3 단계와 같지는 않지만 3 단계와 같다면, 상기 선택 영역(32a')에는 3 단계의 정보가 표시된다.
도 26과 도 27은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화면을 표시한다.(S 190 - S 912)
그리고 단계의 조작 명령 실행이 가능하지 않다면, 단계의 조작 명령이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S194-S196)
단계적 조작 명령 실행이 가능한 상태가 되면 화면에서 선택 영역(32)을 선택한 후 입력장치(28)를 통해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크기가 변화된 선택 영역(32a)(32a')과 그에 맞는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S198-S200) 그리고, 종료 명령에 의해 수행이 종료될 수가 있다,(202)
도 27은 단계적 조작 명령이 원활히 수행되도록 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프로그램 수행 혹은 화면 표시 시작 후에, 선택 대상(32)을 선택 후 크기가 변하는 조작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S210 - S 212)
그리고, 타입이 1부터 N까지라고 가정할 수 있고, 선택 대상(32)은 1부터 N까지 각각의 타입에 맞는 크기가 정해지게 된다.(214) 이러한 크기 저장은 메모리부(21) 혹은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된다.
그리고 단계적 조작 명령자가 각각의 타입에 맞는 정해진 크기로 정확히 선택 대상(32)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못할 경우가 더 많게 된다.
이때, 조작 명령자가 조절한 크기가 N+a 가 될 수가 있다. 이때 N+a 값은 타입 N과 타입 N+1 사이의 크기이다.
이때, 단계적 조작 명령자가 수행한 선택 대상(32a)의 최종 크기 N+a 의 크기가 N+1 타입에 가까우면, 선택 대상(32a)의 크기는 N+1 타입의 크기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정보도 N+1 타입 정보가 표기된다. (S216, S220)
그러나, 이때, 단계적 조작 명령자가 수행한 선택 대상(32a)의 최종 크기 N+a 의 크기가 N 타입에 가까우면, 선택 대상(32a)의 크기는 N 타입의 크기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정보도 N 타입 정보가 표기된다. (S216 - S218)
한편, 선택 대상의 크기가 단계적이 아닐 경우(도 25의 실시예 설명 참조)에는 조작자의 단계적 조작 명령의 결과에 의한 크기로 선택 대상(32a)(32a')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된다, 그러나. 선택 대상의 크기가 단계적이라면 S218과와 S220에 의해 표시된 크기로 선택 대상(32a)이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그리고, 종료 명령에 의해 종료가 된다.
아울러, 도 27의 수행은 도 26의 수행처럼 단말기(110))혹은 서버(100)가 수행됨은 당연하다.
도 28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 수행이 가능한 선택 영역(32)이 디스플레이 내에 2개 이상 복수개가 표시될 수 있음을 보이는 도면이다. 그리고, 그중에서 하나의 선택 영역(32)을 선택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을 수행할 수가 있는 것이다.
- 실시예 8 -
도 29와 도 31은 정보의 내용과 크기가 다양하게 변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선택 영역(32)을 대상으로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게 될 때, 선택 영역의 크기가 단계에 비례하여 커지지 않고, 상기 선택 영역에 표시되는 데이터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 선택 영역의 크기가 정해질 수가 있다.
또한, 도 30의 예에서처럼, 표시될 정보가 이미지일 경우, 단계적 조작 명령에 의해 변화된 선택 영역(32)의 크기에 맞게 정보가 표시될 수가 있다.
도 31은 선택 영역의 크기가 변화는 단계적 조작 명령과 크기가 변화지 않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함께 수행되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 실시예 9 -
도 32 내지 도 34는 전체화면에서 선택 영역이 2개 이상 존재할 경우의 실시예의 도면이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단계의 조작 명령 실행이 가능한 영역이 복수개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도32는 디지털 교과서의 일반적인 목차를 표시한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상단에는 메뉴 선택 바(30a)가 표시된다. 그리고, 항목 I부터 항목 VII 까지의 목차가 모두 단계의 조작 명령 실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목차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단계의 조작 명령을 실행하면, 실행 결과에 맞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도 33은 목차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목차가 활성화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활성화된다는 것은 고려의 성립과 발전의 목차가 선택되면, 글자의 색이 바뀌거나 깜빡이거나 하여 다른 글자와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입력장치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는 정해진 알고리즘에 의하여, 선택된 글자를 다르게 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목차를 선택한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처럼 + 방향으로 1 단계 이동하게 되면, 고려의 성립과 발전과 관련되어 1 단계로 확대된 정보가 표시창(40)에 표시된다.
즉, 도 12에서처럼, 정보의 단계가 3 단계로 되어 있다면, 고려의 성립과 발전을 선택하여 + 방향으로 3 단계 만큼 이동하게 되면, 표시창(40)에는 3 단계의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창(40)에 1 단계의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 방향으로 2 단계 이동하면, 3 단계의 정보가 표시된다, 3 단계에서 - 2 단계 이동하면 1 단계 정보가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다른 목차 예를들면 "통일신라와 발해" 를 선택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단계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33의 실시예에서 표시창(40) 상단에 표시된 "x" 마크(40e)를 선택하므로서 표시창을 바로 닫을 수가 있다. 즉 표시창에 어떠한 단계의 정보가 표시되어도 상기 "x" 마크(40e)를 선택하게 되면 표시창은 닫히거다 최초의 표시 단계(1 단계 혹은 0 단계)로 전환되게 된다.
도 34는 단계의 조작 명령도 계층 구조가 가능함을 보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34에서처럼, "고려 성립과 발전" 의 목차가 선택되고, + 방향으로 1 단계 이동하면, 표시창(40)에는 "고려 성립과 발전"과 연결된 1 단계(40)의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1 단계에서 표시된 정보의 리스트 중에서 또 다시 하나(예를 들어 "고려 문화의 특징")를 선택하여 일정 시간 유지하면, 도 34에서처럼 "고려 문화의 특징"만 활성화 되고, 상기 활성화된 "고려 문화의 특징"에 대해 단계의 조작 명령을 수행하면 "고려문화의 특징"과 관련된 단계의 정보가 추가 표시창(40a)에 표시된다.
그리고, 추가 표시창(40a)에 표시된 리스트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페이지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도 35는 단계의 조작 명령에 의하여 변화되는 또 다를 실시예의 도면이다.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되는 화면 내에 선택 영역(35)이 존재하고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 이동하면, 추가 정보(35a)가 열로 나타난다. 그리고, 상기 추가 정보(35a)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단계적 제어명령을 실시하여 + 이동하면, 또 다른 추가 정보(35b)가 열로 나타난다. 또한 - 이동하면 원 상태로 된다.
아울러, +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추가 정보(35a)(혹은 또 다른 추가 정보(35b))가 더 많이 나타난다.
도 36는 본 발명의 단계의 조작 명령에 따른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단말기(110)를 시작하고 입력장치를 통한 단계의 조작 명령 제어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S300 - S305)
본 발명의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장치(28)를 통하여 특정한 두개의 점(혹은 한 개 일수도 있고 두 개 이상일 수도 있다.)을 선택하게 되면, 입력장치 구동부(27)는 선택된 점의 위치를 출력하고, 중앙처리장치(20)는 선택된 점의 위치를 인식한다.(S 310)
디스플레이(30) 상단에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28)를 통하여 선택된 점이 이동하면, 입력장치 구동부(27)는 이동된 점의 위치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20)는 점의 변화 거리를 인식하고 점이 이동한 단계를 판단하며, 결과적으로 제어 명령의 단계를 판단한다.(S 315 - S320)
한편, 310 단계에서 320 단계(S320)까지를 단말기가 서버와 연결된 상태에서 실행하게 되면, 실행 과정을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가 있다.
첫째, 입력장치 구동부(27)에서 출력한 점의 위치와 이동 정보를 단말기 중앙처리장치는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의 제어부(101)가 제어 명령의 단계를 판단한다.
둘째, 입력장치 구동부(27)에서 출력한 점의 위치와 이동 정보를 단말기 중앙처리장치(20)가 인식하고, 단말기 중앙처리장치(20)가 제어 명령의 단계를 판단하고, 판단된 제어 명령의 단계를 중앙처리장치는 서버에 전송한다.
단말기와 서버의 데이터 송수신은 서버의 인터페이스부(102)와 단말기의 R/F(24)가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이 수행된 다음, 중앙처리장치(20)는 현재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 정보의 단계에서 조작 명령후 이동한 단계를 더하거나 빼서, 새로운 최종 단계를 정하게 된다. 그리고 새로운 최종 단계와 연결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즉, 중앙처리장치(20)는 새롭게 선택된 정보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새롭게 선택된 정보는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된다.(S 325 - S 335)
예를들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의 단계가 1 단계이고, 제어 명령이 + 2 단계 이루어졌으면, 최종적으로 선택된 단계는 3 단계가 되고, 3 단계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의 단계가 4 단계이고, 제어 명령의 단계가 - 2 단계 이루어졌으면, 최종적으로 선택된 단계는 2 단계가 되고 2 단계 정보가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과정도 단말기와 서버의 연결에 따라 다음 과정으로 구분된다.
첫째, 단말기와 서버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중앙처리장치(20)가 최종 단계를 판단하고, 최종 단계와 연결된 정보를 메모리부(21)에서 선택하여, 선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둘째, 단말기와 서버가 연결된 경우에는, 서버의 제어부(10)가 최종 단계에 맞는 정보를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면,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는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러한 과정은 중앙처리장치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선택하여 수행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행이 가능한 알고리즘도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는 메모리부(21)에 저장 된다.
또한, 서버의 제어부가 상기 과정을 수행할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는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104)에 저장되고 수행 알고리즘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도 37은 서버가 각각의 단계와 연결된 정보를 전송하여 주는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단말기를 시작하고 프로그램 실행하여 서버에 접속하게 되면, 서버(100)의 제어부(101)는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30)에 표시될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04)에서 선택하고, 유무선 통신만(혹은 인터넷)을 통하여 단말기에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20)는 전송 받은 정보로 디스플레이 구동 신호를 출력하면,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30)는 서버에서 전송 받은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S 250 - S 265)
이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 전체를 대상으로 단계의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가를 판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선택 영역이 존재하여 상기 선택 영역이 단계의 제어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가를 판단한다. 즉,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단계의 제어 명령이 실행 가능하면 표시되면,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과 연결된 다른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한다. (S270- S275)
즉, 도 24의 예에서 볼 때, 현재 디스플레이에 타입 1(1단계)의 정보가 표시된다면, 서버는 타입 2부터 타입 N까지의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여 준다는 것이다.
서버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 전송한 디스플레이 화면이 단계의 조작 명령이 가능하다면, 서버는 상기 화면 정보와 연결된 다른 단계의 정보도 단말기에 전송하여 주게 된다,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20)는 전송 받은 정보를 메모리부(21)에 저장하고, 입력장치(28)를 통한 단계의 조작 명령이 수행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최종 단계를 판단하고, 최종 단계와 연결된 정보를 선택한 다음, 선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 된다. (S 180) 한편, 프로그램 종료가 되고 및 종료 스위치가 작동되면 단말기의 수행은 종료된다.(S 285 - S 290)
100 : 서버 110 : 단말기
101 : 서버제어부 20 : 단말기 중앙처리장치(제어부)
30 : 디스플레이 30a : 화면전환 명령
31,32 : 분할된 화면 50, 51 : 가이드 선
50a-1, 50b-1, (50c-1, 50d-1, 50e-1 : 단계
51a-1, 51b-1, 51c-1, 51d-1, 51e-1 : 단계

Claims (11)

  1. 중앙처리장치, 입력장치, 입력장치 구동부,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 내에서의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에는, 1 단계부터 K 단계까지 단계가 정해지며, 1 단계는 가장 작은 단계이고 K 단계는 가장 큰 단계이고, K 값은 미리 정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1 단계에서부터 K 단계까지 각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며, N 단계에 저장된 정보에 없는 데이터가 N+1 단계의 정보에는 존재하고, N+1 단계에 저장된 정보는 N 단계에 저장된 정보와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단계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에서, 1 단계 혹은 2 단계 이동되기 위한 거리의 값은 미리 정해지고,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점이 이동되면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는 이동된 점의 위치를 중앙처리장치에 출력할 ‹š,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점의 이동한 거리를 인식하고 점이 이동한 단계를 판단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의 최종 단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말기 내에서의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의 최종 단계를 판단하는 1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현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단계에서 변화된 단계를 더하거나 빼서 최종 단계를 선택하는 2 단계,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선택된 최종 단계에 해당되는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서 선택하는 3 단계, 및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선택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장치는,
    상기 N 단계에서 한 단계 증가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의 값 만큼 입력장치에 입력되면 최종 단계를 N+1 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한 단계 증가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의 값 보다 작은 값이 입력장치에 입력되면 최종 단계를 N 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이 + 방향 이거나 혹은 - 방향 일 수 있고, 현재 단계가 N 단계이고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단계가 J 단계라고 가정할 때,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이 + 방향이고, "N+J" 가 K 보다 크거나 같으면 K 단계를 최종 단계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N+J" 단계를 최종 단계로 판단하고,
    혹은,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이 - 방향이고, "N-J" 가 1 보다 작거나 같으면 1 단계를 최종 단계로 판단하며, 그렇지 않으면 "N-J" 단계를 최종 단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정보가 표시될 때에는, 현재 N 단계에서 한 단계만 증가되어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에는 N단계에 없었던 새로운 데이터가 존재하고, 1 단계에서부터 K 단계까지 각각의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표시되는 각각의 단계의 정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두 점이 선택되고 상기 두 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에 따라 단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
  7. 데이터 베이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와,
    중앙처리장치, 입력장치, 입력장치 구동부,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장치에는, 1 단계부터 K 단계까지 단계가 정해지며, 1 단계는 가장 작은 단계이고 K 단계는 가장 큰 단계이고, K 값은 미리 정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모리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1 단계에서부터 K 단계까지 각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며, N 단계에 저장된 정보에 없는 데이터가 N+1 단계의 정보에는 존재하고, N+1 단계에 저장된 정보는 N 단계에 저장된 정보와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메모리 혹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각 단계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에서 1 단계 혹은 2 단계 이동되기 위한 거리의 값은 미리 정해지고,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점이 이동되면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는 이동된 점의 위치를 중앙처리장치에 출력할 ‹š,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제어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점의 변화 거리를 인식하고 점이 이동한 단계를 판단하여, 단계적 조작 명령의 최종 단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서버와 유 무선 통신을 하는 상기 단말기 내에서의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를 시작하고 프로그램 실행하여 서버에 접속하게 되는 1 단계,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서 선택하고, 유무선 통신 망을 통하여 단말기에 전송하는 2 단계,
    단말기의 중앙처리장치는 전송 받은 정보로 디스플레이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3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는 서버에서 전송 받은 정보를 표시하는 4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장치와 상기 제어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상기 N 단계가 N+1 단계로 한 단계 증가되기 위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의 값 만큼 입력장치에 입력되면 최종 단계를 N+1 단계로 판단하고, 미리 정해진 거리의 값 보다 작은 값이 입력장치에 입력되면 최종 단계를 N 단계로 판단하고,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이 + 방향 이거나 혹은 - 방향 일 수 있고, 현재 단계가 N 단계이고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단계가 J 단계라고 가정할 때,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이 + 방향이고, "N + J“ 가 K 보다 크거나 같으면 K 단계가 최종 단계이고, 그렇지 않으면 "N+J" 단계가 최종 단계이고,
    혹은, 단계적 조작 명령의 방향이 - 방향이고, "N - J“ 가 1 보다 작거나 같으면, 1 단계가 최종 단계이고, 그렇지 않으면 "N - J“ 단계가 최종 단계이고,
    디스플레이에 정보가 표시될 때에는, 현재 N 단계에서 한 단계만 증가되어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에는 N단계에 없었던 새로운 데이터가 존재하고, 입력장치에 입력 값은 존재하여도 한 단계 이상 증가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정보중에서 N 단계에 없었던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으며, 1 단계에서부터 K 단계까지 각각의 단계의 정보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동안 표시되는 각각의 단계의 정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두점이 선택되고 상기 두점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짐에 따라 단계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 이상 선택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선택 영역을 대상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
  10.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목차가 존재하고 상기 목차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어 단계적 조작 명령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 제공 방법.
  11. 데이터 베이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와,
    중앙처리장치, 입력장치, 입력장치 구동부, 디스플레이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단말기가 구비되고,
    상기 입력장치에는, 1 단계부터 K 단계까지 단계가 정해지며, 1 단계는 가장 작은 단계이고 K 단계는 가장 큰 단계이고, K 값은 적어도 2 단계 이상이고, 상기 K 값은 미리 정해지는 단계적 조작 명령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메모리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1 단계에서부터 K 단계까지 각 단계에 대응되는 정보가 저장되며, N 단계에 저장된 정보에 없는 데이터가 N+1 단계의 정보에는 존재하고, N+1 단계에 저장된 정보는 N 단계에 저장된 정보와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메모리 혹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각 단계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입력장치 구동부는,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중앙처리장치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에서 1 단계 혹은 2 단계 이동되기 위한 시간의 값은 미리 정해지고, 상기 입력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점이 유지되는 시간으로 상기 중앙처리장치 혹은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계적 조작 명령의 최종 단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는 목차이고, 상기 단말기의 입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목차 중에서 하나가 점으로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단말기와 유 무선 통신을 하는 단계적 정보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점이 유지되는 시간으로 단계적 조작 명령의 최종 단계를 판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판단된 최종 단계에 맞는 정보가 단말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도록,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최종 단계에 맞는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서버가 선택된 각각의 단계의 정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적 정보 제공 서버.
KR1020167018973A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7998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23360 2011-11-24
KR20120010491 2012-02-01
PCT/KR2012/010021 WO2013077686A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4275A Division KR101647057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461A Division KR101922423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77025091A Division KR20170104674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944A KR20160088944A (ko) 2016-07-26
KR101799838B1 true KR101799838B1 (ko) 2017-12-20

Family

ID=48470061

Famil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091A KR20170104674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67018963A KR101783279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87033460A KR102148228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47014275A KR101647057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07020413A KR20200087882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17011189A KR102351898B1 (ko) 2011-11-24 2012-11-26 스마트폰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227004664A KR20220025222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37020041A KR20230091202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67018973A KR101799838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27004665A KR20220025223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77025461A KR101922423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67018978A KR101922426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17024009A KR20210096325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5091A KR20170104674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67018963A KR101783279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87033460A KR102148228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47014275A KR101647057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07020413A KR20200087882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17011189A KR102351898B1 (ko) 2011-11-24 2012-11-26 스마트폰에서의 정보 제공 방법
KR1020227004664A KR20220025222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37020041A KR20230091202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4665A KR20220025223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77025461A KR101922423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67018978A KR101922426B1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217024009A KR20210096325A (ko) 2011-11-24 2012-11-26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160746A1 (ko)
KR (13) KR20170104674A (ko)
WO (1) WO20130776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486B1 (ko) * 2012-03-21 2020-06-16 김시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서 정보 표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9584B1 (en) 1999-07-06 2003-10-28 Chuang Li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touchpad
US7657849B2 (en)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US8519965B2 (en) * 2008-04-23 2013-08-27 Motorola Mobility Llc Multi-touch detection panel with disambiguation of touch coordinates
KR101576292B1 (ko) * 2009-05-21 2015-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실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4791565B2 (ja) 2009-06-15 2011-10-1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評価システム、マーカー表示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134948A (ko) * 2009-06-16 2010-1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장치의 메뉴 표시 방법
KR101387270B1 (ko) * 2009-07-14 2014-04-18 주식회사 팬택 터치 궤적에 따라 메뉴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KR101171623B1 (ko) * 2009-09-18 2012-08-07 (주)빅트론닉스 멀티터치 기반 터치 패널 제어장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KR101128704B1 (ko) * 2010-03-24 2012-03-23 글로벌테크링크(주) 터치 장치 제어방법, 이를 이용하는 터치 장치
KR101060175B1 (ko) * 2010-07-08 2011-08-29 한국과학기술원 터치스크린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60746A1 (en) 2015-06-11
KR101922423B1 (ko) 2018-11-27
KR20200087882A (ko) 2020-07-21
KR20140097233A (ko) 2014-08-06
KR101922426B1 (ko) 2019-02-20
KR20210096325A (ko) 2021-08-04
KR20170105649A (ko) 2017-09-19
KR20230091202A (ko) 2023-06-22
KR20180126624A (ko) 2018-11-27
KR20220025223A (ko) 2022-03-03
KR20220025222A (ko) 2022-03-03
KR20160089534A (ko) 2016-07-27
KR101783279B1 (ko) 2017-09-29
KR101647057B1 (ko) 2016-08-09
KR102351898B1 (ko) 2022-01-18
KR20210045511A (ko) 2021-04-26
KR20170104674A (ko) 2017-09-15
KR20160088945A (ko) 2016-07-26
WO2013077686A1 (ko) 2013-05-30
KR102148228B1 (ko) 2020-10-14
KR20160088944A (ko)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6236C2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блок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терминал, его обеспечивающий
KR101639074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인식 및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US20070220449A1 (en) Method and device for fast access to applic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798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230236673A1 (en) Non-standard keyboard input system
US202302053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phases
KR101799838B1 (ko)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20220083392A (ko) 문자 화면에서 시인성이 강화된 광고와 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140098638A (ko)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23128A (ko)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40087128A (ko) 문자 화면에서 광고와 뉴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20140071630A (ko) 단계적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40066543A (ko)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단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