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961B1 -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961B1
KR101798961B1 KR1020110022159A KR20110022159A KR101798961B1 KR 101798961 B1 KR101798961 B1 KR 101798961B1 KR 1020110022159 A KR1020110022159 A KR 1020110022159A KR 20110022159 A KR20110022159 A KR 20110022159A KR 101798961 B1 KR101798961 B1 KR 101798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oice
channel
command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473A (ko
Inventor
채지석
이병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96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4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9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음향 센싱부 및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고, 상기 음성 모드에서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전송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로 디코딩 및 신호 처리하는 네트워크 기능이 구비된 방송신호 수신기(텔레비전, TV) 또는 셋탑 박스(STB) 등이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조작이 단순한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음향 센싱부 및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고, 상기 음성 모드에서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방송신호 중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사용자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 1 사용자에 따른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고,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상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다른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에 따른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상기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주파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상기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음성 패턴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상기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서로 다른 문자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성 모드에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음성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음성 모드에 대응하는 마크(Mark)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송신호 수신기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모션 센싱부, 음향 센싱부 및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션 센싱부를 통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고, 상기 음성 모드에서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방송신호 중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션 센싱부를 통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의 키, 체형 및 안면 윤곽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따라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션 센싱부 또는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성 모드에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음성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사용자의 몸짓(Gestur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동방법은 음성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따라 설정된 상기 음성 모드에서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사용자의 몸짓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마이크 또는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은 조작이 단순하여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
도 5는 무선입력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무선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내지 도 37은 음성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8 내지 도 53은 음성 메뉴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4 내지 도 69는 멀티채널에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0 내지 도 86은 로그온 전환 방법 및 다중 로그온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7 내지 도 97은 노이즈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98 내지 도 108은 사적 채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트 컨트롤러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방송신호 수신기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송신호 수신기의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포함한 방송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Q),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Q),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Q) 및 HNED(40Q)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HNED(40Q)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인 클라이언트(100Q)에 대응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Q)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에 해당하며,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IPTV 등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10Q)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10Q)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자(20Q)는, 컨텐츠 제공자(10Q)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Q)는, 제 1 지상파 방송, 제 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Q)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Q)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Q)는, 서비스를 클라이언트(100Q)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망을 제공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Q)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송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100Q)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클라이언트(100Q)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Q)가 클라이언트(100Q)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경우,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Q)와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101Q)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이라고 할 수 있다.
구동부(101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영상 표시 및 음성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01Q)는 수신부(105Q),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저장부(140Q),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 제어부(170Q) 및 명령 입력부(160Q)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1Q)와 디스플레이부(180Q)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구동부(101Q)와 디스플레이부(180Q)는 별개로 모듈화되고,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185Q), 음성을 센싱(Sensing)하기 위한 음향 센싱부(191Q) 및 사용자의 움직임 등을 센싱하기 위한 모션 센싱부(192Q)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수신부(105Q)는, 튜너(110Q), 복조부(120Q),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구비하면서 튜너(110Q)와 복조부(120Q)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Q)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Q)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Q)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복조부(120Q)는, 튜너(110Q)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Q)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Q)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Q)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Q)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Q)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85Q)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외부 장치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Q)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Q)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저장부(140Q)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40Q)가 제어부(170Q)와 별도로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저장부(140Q)는 제어부(170Q)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명령 입력부(160Q)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160Q)는 유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유선 입력부(190Q) 및 무선으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무선 입력부(200Q)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명령 입력부(160Q)는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음량 조절, 화면상에서 커서(Cursor)의 이동, 메뉴(Menu) 선택 등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무선입력부(200Q)는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일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명령 입력부(160Q)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Q)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신호를 명령 입력부(160Q)로 전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유선 입력부(190Q)를 통해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입력된 명령은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어부(170Q)에 전달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무선입력부(200Q)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Q)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무선입력부(200Q)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는, 명령 입력부(160Q)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Q)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Q)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음성 출력부(185Q)로 음성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아울러, 제어부(17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튜너(110Q)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Q)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Q)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음성 출력부(185Q)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Q) 또는 음성 출력부(185Q)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70Q)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Q)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Q)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Q)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와 네트워크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을 디스플레이부(180Q)를 통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통하여 상기 검색된 사용자 단말기 목록 중 사용자 컨트롤러로 사용한 사용자 단말기의 선택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Q)는, 디스플레이부(180Q)를 통하여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하는 플레이어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제어부(170Q)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Q)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Q)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출력부(185Q)는 제어부(170Q)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Q)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센싱부(191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센싱부(191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전화벨소리, 초인종소리, 물소리, 사용자의 목소리 등의 다양한 음향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향 센싱부(191Q)는 음성 센서 혹은 마이크(Microphone)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싱부(192Q)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션 센싱부(192Q)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170Q)로 전달될 수 있다.
아울러, 모션 센싱부(192Q)는 카메라(Camera) 등의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Q)에 입력될 수 있다.
또는, 모션 센싱부(192Q)는 센서부와 촬영부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Q)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아울러, 모션 센싱부(192Q)는 사용자의 모션 뿐 아니라, 사용자의 안면(Face)의 형태,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 등의 정보를 센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무선입력부(200Q)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입력부(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무선입력부(200Q)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10Q)와 복조부(120Q)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Q)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Q)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Q)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가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또는 외부장치(230Q)와 통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기(100Q)는 방송국(210Q)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네트워크 서버(220Q)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Q)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Q)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Q)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외부장치(230Q)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Q)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230Q)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Q)는 예를 들어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에 해당한다.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또는 외부장치(23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210Q)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Q)에서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Q)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Q)에서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Q)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Q)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방송국(210Q), 네트워크 서버(220Q) 및 외부장치(230Q)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 직접 재생하는 기능 뿐 아니라, 이를 전달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는, 역다중화부(310Q), 영상 처리부(320Q), OSD 생성부(340Q), 믹서(350Q),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Q), 및 포맷터(360Q)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Q)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Q)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Q) 또는 복조부(120Q)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Q)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Q)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Q)는, 영상 디코더(325Q), 및 스케일러(335Q)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Q)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Q)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Q)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Q)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Q)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Q)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Q)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0Q)는, OSD 생성부(340Q)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Q)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Q)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Q)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 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 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Q)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Q)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Q)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무선입력부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이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무선입력부(200Q)에 대응하는 포인터(205Q)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포인터(205Q)는 커서(Cursor)일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입력부(200Q)를 상하, 좌우(도 5의 (b)), 앞뒤(도 5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송신호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는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대응할 수 있다.
무선입력부(200Q)는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Q)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5의 (b)는 사용자가 무선입력부(200Q)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방송신호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포인터(205Q)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무선입력부(200Q)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송된다.
제어부(170Q)는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Q)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아울러,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디스플레이부(180Q)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Q)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의 (c)는, 무선입력부(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무선입력부(200Q)를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포인터(205Q)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Q)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Zoom in)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무선입력부(200Q)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Q)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Q)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Zoom out)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무선입력부(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무선입력부(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무선입력부(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무선입력부(200Q)가 디스플레이부(180Q)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무선입력부(200Q)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선입력부(200Q)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Q)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Q)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무선입력부(200Q)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포인터(205Q)는 무선입력부(200Q)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205Q)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Q)가 디스플레이부(180Q)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무선입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살펴보면, 무선입력부(200Q)는 무선통신부(225Q), 사용자 입력부(235Q), 센서부(240Q), 출력부(250Q), 전원공급부(260Q), 저장부(270Q), 제어부(280Q)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Q)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 중 임의의 어느 하나의 제어부(170Q)와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입력부(200Q)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Q)를 경유하여 제어부(170Q)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Q)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Q)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입력부(20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Q)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Q)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입력부(200Q)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Q)을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Q)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Q)를 조작하여 무선입력부(200Q)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Q)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무선입력부(200Q)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Q)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무선입력부(200Q)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Q)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Q)는 자이로 센서(241Q) 또는 가속도 센서(243Q)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Q)는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Q)는 무선입력부(200Q)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Q)는 무선입력부(200Q)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Q)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Q)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Q)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조작 여부 또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Q)는 사용자 입력부(235Q)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Q),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Q),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Q),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Q)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Q)는 무선입력부(200Q)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Q)는 무선입력부(200Q)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Q)는 무선입력부(200Q)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Q)는 무선입력부(200Q)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무선입력부(200Q)가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RF 모듈(221Q)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무선입력부(200Q)과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입력부(200Q)의 제어부(280Q)는 무선입력부(200Q)와 페어링된 방송신호 수신기(100Q)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Q)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Q)는 무선입력부(200Q)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Q)는 사용자 입력부(235Q)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Q)에서 센싱한 무선입력부(200Q)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Q)를 통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37은 음성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살펴보면, 음성 모드의 실행을 위해 음향 센싱부(191Q)가 디스플레이부(180Q)의 테두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센싱부(191Q)는 음향을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Microphone)일 수 있다.
이처럼, 음향 센싱부(191Q)가 디스플레이부(180Q)의 테두리(100)에 형성되면 다양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도 8의 경우와 같이, 음향 센싱부(191Q)는 명령 입력부(160Q)의 무선 입력부(200Q)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무선 입력부(200Q)에 음성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입력부(200Q)는 음향 센싱부(191Q) 이외에도, 숫자 입력키(200), 채널업키(Channel Up Key, 210), 채널다운키(Channel Down Key, 211), 볼륨업키(Volume Up Key, 220), 볼륨다운키(Volume Down Key, 221), 전원키(Power Key, 23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음성 모드를 위한 음향 센싱부(191Q)의 배치 위치는 디스플레이부(180Q) 및 무선 입력부(200Q)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거실에 배치되고, 사용자는 주방에서 음성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음향 센싱부(191Q)는 냉장고, 싱크대 등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센싱부(191Q)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와 통신을 통해 명령을 전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음성 모드로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9의 경우와 같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300)하고,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음성 모드를 발동(310)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음성 모드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명령을 입력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음성 모드 시에,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320)하여,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해당 음성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음향 센싱부(191Q)를 통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고, 아울러 음성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Object) 중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기 위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음성 모드가 발동되기 이전의 대기 모드에서 불필요한 연산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구동회로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기 위한 호출어이고,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설정을 변경하는 권한은 갖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음성 명령은 음성 모드에서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기능, 설정 등을 변경하거나 소정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이러한 음성 명령도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음성 명령이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LG"로 설정하고, 음성 명령을 도 10의 경우와 같이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도 11의 경우와 같이, t0 시점에서 전원(Power)이 온되어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작동하고, 이후 t1 시점에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t0 시점부터 t1 시점까지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Normal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일반 모드에서도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영상/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t1 시점부터 전원이 오프되는 t2 시점까지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의해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모드에서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 모드에 따라 영상/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t0 시점부터 t1 시점 사이 기간에서 음향 센싱부(191Q)로 "크게"라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t0 시점부터 t1 시점까지는 음성 모드가 아니기 때문에 "크게"라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출력하는 음성의 볼륨(Volume)은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t1 시점부터 t2 시점의 사이 기간에서 음향 센싱부(191Q)로 "크게"라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크게"라는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출력하는 음성의 볼륨(Volume)이 증가(Volume Up)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크게"라는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 즉 볼륨 증가(Volume Up)라는 기능을 실행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도 12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소정의 오브젝트(400)가 표시되고, 표시된 오브젝트(400)를 포인터(205Q)가 지시하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음향 센싱부(191Q)로, 도 10에 기재된, "선택"이라는 음성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오브젝트(400)는 제어부(170Q)의 제어에 따라 선택(Choice)될 수 있는 것이다.
오브젝트(400)가 선택된 이후, "삭제"라는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선택한 오브젝트(400)를 삭제(Deletion)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어 음성 모드가 발동된 상태에서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면 음성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경우와 같이, 음성 모드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t2 시점에서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t2 시점부터 전원이 오프되는 t3 시점까지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음성 모드가 아닌 일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은 음성 모드를 해제시키기 위한 호출어이고,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설정을 변경하는 권한은 갖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음성 인식 호출 명령 및 음성 인식 해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는 로그온(Log-on) 사용자에 관계없이 누구나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현재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라고 가정하면,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 제 3 사용자가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반대로, 현재 로그온된 사용자만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로그온된 사용자가 허용한 사용자들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이고 제 1 사용자가 제 2 사용자를 사용가능하도록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면,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제 1, 2 사용자와 다른 제 3 사용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 모드의 발동하기 위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와는 관계없이 다수의 사용자가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사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경우,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도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또는, 음성 모드를 발동한 사용자가 허용한 다른 사용자들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해제하고, 음성 모드를 발동한 사용자가 허용하지 않은 다른 사용자들은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음성 모드를 해제하지 못할 수 있다.
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한 사용자만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서로 연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경우와 같이, 제 1 타입에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LG"로 하고,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GL"로 할 수 있다.
제 2 타입에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시작"로 하고,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종료"로 할 수 있다.
제 3 타입에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가자"로 하고,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을 "그만"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되는 경우에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일례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5에서는 앞선 도 9와 유사하여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를 살펴보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340)하여,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동일한 타입인지의 여부를 판단(35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GL"인 경우,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LG"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만약,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동일한 타입인 경우에는 음성 모드를 해제(360)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다른 타입인 경우에는 음성 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된 이후 소정 시간 이후 혹은 마지막 음성 명령이 입력된 이후 소정이 시간이 지난 이후에 자동으로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일례를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7에서는 앞선 도 9와 유사하여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의 경우와 같이, t1 시점에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어 음성 모드가 발동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음성 모드에서 임계시간이 초과되는지의 여부를 판단(400)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시간은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시간은 1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성 모드에서 음성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된 이후 1분 동안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임계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혹은 마지막 음성 명령이 입력된 이후 1분 동안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 임계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서, 임계시간이 W1이고, t1 시점부터 소정 시간이 지난 t4 시점까지 음성 명령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t4 시점에서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음성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판단결과, 음성모드에서 임계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음성 모드를 해제(410)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명령은 사용자가 편집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8의 경우와 같이, 편집모드에서 포인터(205Q)를 이용하여 소정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의 문자열을 바꾸는 방법으로 음성명령을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앞선, 도 10과 도 18을 비교하면 동일한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이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9의 경우와 같이, 음성 명령을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음성 명령을 보다 용이하게 확인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도 20의 경우와 같이, 무선 입력부(200Q)의 다양한 입력키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을 표시할 무선 입력부(200Q)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음성 모드에 대한 숙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습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의 경우와 같이, 연습모드에서는 소정의 기능, 예컨대 볼륨증가(Volume Up) 기능에 대한 음성 명령인 "크게"를 사용자가 입력하는 연습을 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22의 경우와 같이, 연습모드가 실행되는지의 여부를 판단(500)하여, 연습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80Q)에 다양한 음성 명령, 음성 인식 호출 명령, 음성 인식 해제 명령 등을 표시(510)할 수 있다.
이후, 소정 기능에 대해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명령이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만큼 양호한지의 여부를 판단(5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크게"가 볼륨증가(Volume Up)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만큼 또렷하고 양호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판단결과, 양호한 경우에는 다른 명령을 화면에 표시(530)할 수 있다. 또는, 화면상에서 다른 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에서 볼륨증가(Volume Up) 이후 볼륨감소(Volume Down) 기능을 지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다른 명령에 대한 연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음성 모드에 대한 숙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용자가 소정의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을 음성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기능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은 직접 들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의 경우와 같이, 연습모드에서 사용자가 무선 입력부(200Q)에 배치된 소정의 키, 예컨대 볼륨증가키를 선택(610)하는 경우에 볼륨증가키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 예컨대 도 21과 같은 "크게"를 출력(620)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 각각의 사용자는 서로 다른 음성 인식 호출 명령, 음성 인식 해제 명령, 음성 명령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4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명령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명령과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문자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문자열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문자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문자열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명령의 문자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명령의 문자열과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사용자의 개인 정보, 선호 채널 정보 등이 타인에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대역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대역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주파수 대역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주파수 대역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명령의 주파수 대역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명령의 주파수 대역과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5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대역은 10㎐~50㎐이고,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대역은 500㎐~20㎑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동일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LG"인 경우에도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다르게 때문에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제 1 사용자의 목소리 톤은 저음이고, 제 2 사용자의 목소리 톤은 고음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강세(Accent)는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강세와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강세는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강세와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명령의 강세는 제 2 사용자의 음성 명령의 강세와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6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배고프다"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강세는 "배"에 있고, 제 2 사용자의 강세는 "다"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배고프다"로 동일하더라도,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서로 다른 강세 패턴으로 "배고프다"를 발음하게 되면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음성 패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음성 패턴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음성 패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의 음성 패턴과 다르거나, 제 1 사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음성 명령의 음성 패턴은 제 2 사용자의 음성 명령의 음성 패턴과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7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음성 패턴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음성 패턴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동일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LG"인 경우에도 제 1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제 2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음성 패턴이 서로 다르게 때문에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 패턴은 각각의 사용자의 목소리를 분석하여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8의 경우와 같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700)하고,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1 사용자의 명령, 즉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71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문자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경우,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음성 패턴 또는 강세 패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Matching)되는지의 여부를 판단(72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음성 패턴 또는 강세 패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 경우에,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1 음성 모드가 발동(730)될 수 있다.
만약, 제 710 단계에서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1 사용자의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2 사용자의 명령, 즉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74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문자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경우,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음성 패턴 또는 강세 패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75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주파수, 음성 패턴 또는 강세 패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2 음성 모드가 발동(760)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사용자가 로그온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음성 모드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음성 모드에서 음성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음성 명령이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사용자에 대응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명령 실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9의 경우와 같이, 음성 모드가 발동(800)하는 경우,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81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주파수, 음성 패턴, 강세 패턴, 문자열 등을 이용하여, 입력된 음성 명령이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사용자와 매칭이 되는지의 여부를 판단(82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된 음성 명령이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사용자와 매칭이 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만약, 제 1 사용자가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상태에서 제 2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제 2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명령은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어 음성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에, 도 30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음성 모드가 실행중인 것을 알리는 마크(900)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31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의 테두리(100)에 음성 모드가 실행중인 것을 알릴 수 있는 LED 등의 알림부(91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성 모드에서는 알림부(910)가 붉은색으로 점등되어 음성 모드가 실행중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사용자가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설정한 경우, 각각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2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사용자가 아버지, 어머니, 아들, 딸 총 4명이고, 아버지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LG"이고, 어머니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돈벌어와"이고, 아들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배고파"이고, 딸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밥줘"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각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아버지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LG"에 첫 번째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어머니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돈벌어와"에 두 번째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아들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배고파"에 세 번째 우선순위를 할당하고, 딸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밥줘"에 네 번째 우선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만약,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 혹은 거의 동시에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복수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 중 우선순위가 앞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3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000)하여, 복수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를 비교(1010)할 수 있다.
이후, 비교할 결과에 따라 복수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 중 상위 우선순위를 갖는 하나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우선순위를 갖는 아버지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LG"와 세 번째 우선순위를 갖는 아들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배고파"가 함께 입력되는 경우, 우선순위가 더 빠른 아버지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 "LG"에 대응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다. 즉, 아버지가 설정한 음성 모드가 발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음성 모드가 발동된 상태에서 또 다른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새롭게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와 현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에 따라 음성 모드를 전환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4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에 따른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100)하여, 입력되는 경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제 1 음성 모드를 발동(1110)시킬 수 있다.
이후,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에 따른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120)하여, 입력되는 경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와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를 비교(1130)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가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보다 상위인 경우에, 제 1 음성 모드를 제 2 음성 모드로 전환(1140)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비교 결과,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가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보다 하위인 경우에, 제 1 음성 모드를 유지(1150)할 수 있다.
즉, 음성 모드가 발동된 상태에서 또 다른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새롭게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가 현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보다 상위인 경우에는 새롭게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음성 모드로 전환하고, 이와는 반대로 새롭게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가 현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킨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우선순위보다 하위인 경우에는 현재 음성 모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음향 형태인 경우만을 설명하였지만,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사용자의 움직임(Gesture)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이하에서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음향에서 움직임으로 바뀔 뿐이고, 음성 명령 등의 내용은 위의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5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움직임을 이용한 음성 모드의 실행을 위해 모션 센싱부(192Q)가 디스플레이부(180Q)의 테두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모션 센싱부(192Q)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Camera)일 수 있다.
또는, 모션 센싱부(192Q)는 디스플레이부(180Q)와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거실에 배치되고, 모션 센싱부(192Q)는 거실 천정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소정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음성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박수, 점프, 회전, 덤블링, 발차기 등의 동작을 미리 음성 인식 호출 명령으로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음성 모드를 발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앞차기"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으로 설정한 경우,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사용자가 "앞차기" 동작을 취하는 경우에 음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음성 인식 해제 명령도 "점프" 등의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은 "종료" 등의 음성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따라 움직임인 음성 인식 호출 명령도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6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으로 팔을 위 아래로 휘젓는 제 1 동작으로 설정하고, 제 2 사용자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으로 팔을 좌우로 벌린 상태인 제 2 동작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 1 동작을 취하는 경우에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제 1 동작에 대응하는 음성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사용자의 음성 인식 호출 명령 뿐 아니라, 각각의 사용자의 키, 체형, 얼굴 윤곽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키, 체형, 얼굴 윤곽 등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모션 센싱부(192Q)가 사용자를 촬영하여 키, 체열, 얼굴 윤곽 등의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소정의 동작을 취하는 사용자가, 해당 음성 인식 호출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7의 경우와 같이, 움직임 명령(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200)하고,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1 사용자의 명령, 즉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121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의 키, 체형, 얼굴 윤곽 등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22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의 키, 체형 등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 경우에,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1 음성 모드가 발동(1230)될 수 있다.
만약, 제 710 단계에서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의 키, 체형 등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입력된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제 2 사용자의 명령, 즉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124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되는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의 동작 패턴에 대응하는 경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의 키, 체형, 얼굴 윤곽 등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25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을 입력한 사용자의 키, 체형 등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내용과 매칭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2 음성 모드가 발동(1260)될 수 있다.
도 38 내지 도 53은 음성 메뉴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메뉴(Menu)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를 음성 메뉴 모드라고 한다.
만약,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영상을 볼 필요가 없다고 한다면,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는 표시하지 않고 음성으로만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표시한 메뉴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내용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지 않는 메뉴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38을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메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①카테고리, ②선호채널, ③검색,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⑤외부입력, ⑥설정 등이 메뉴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이처럼, 메뉴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복수의 메뉴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9의 경우와 같이, ①카테고리, ②선호채널, ③검색,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⑤외부입력, ⑥설정의 순서에 따라 각각의 메뉴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음성으로 출력되는 메뉴의 정보는 메뉴의 이름(Menu Name) 및 메뉴의 번호(Menu Numb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상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0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포인터(205Q)를 이용하여 복수의 메뉴 중 "④헬스케어"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70Q)의 제어에 따라 음성 출력부을 통해 "④헬스케어" 메뉴의 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문맹인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다양한 메뉴를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도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제공하는 음성 메뉴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다양한 메뉴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설거지, 청소 등 다른 업무를 하면서도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제공하는 다양한 메뉴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메뉴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음성으로 출력되는 메뉴의 정보를 듣고,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기 위해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뉴 선택 신호는 음성으로 제공되는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인 것이다.
예를 들면, 도 41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는 메뉴 번호 및/또는 메뉴 이름을 메뉴 선택 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의 번호 및/또는 메뉴의 이름을 발성함으로써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1의 (A)에서 제 1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와 제 2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는 동일한 문자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와 제 2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음성 패턴 및/또는 강세 패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와 제 2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는 동일한 문자열을 갖더라도 방송신호 수신기(100Q) 측에서는 메뉴를 선택하는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인지 혹은 제 2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가 메뉴 선택 신호를 발성하는 경우에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에서는 메뉴 선택 신호의 주파수 대역, 음성 패턴 및/또는 강세 패턴을 이용하여 현지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는 제 1 사용자가 입력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메뉴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 41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거기")와 제 2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스톱")는 서로 다른 문자열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각각의 사용자의 메뉴 선택 신호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는 자신의 메뉴 선택 신호를 발성하여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2의 경우와 같이, t0시점에서 "①카테고리", t1시점에서"②선호채널", t2시점에서 "③검색", t3시점에서 "④헬스케어(Health Care)", t4시점에서 "⑤외부입력", t5시점에서 "⑥설정"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t3 시점과 t4 시점 사이에서 허용된 사용자가 "거기" 등의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제어부(170Q)는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음향 센싱부를 통해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직전에 음성 출력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메뉴의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과정에서 직전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연속된 두 개의 메뉴 정보의 음성 출력 시점 간의 차이(△t)는 충분히 긴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도 41의 (A)의 경우와 같이 메뉴의 이름 및/또는 메뉴의 번호를 메뉴 선택 신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t0 시점과 t5 시점 사이에서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음성 출력의 순서에 관계없이 입력한 메뉴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이전 메뉴의 정보를 다시 듣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메뉴 반복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3의 경우와 같이, t3 시점과 t4 시점 사이에서 허용된 사용자가 메뉴 반복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t4 시점에서는 t3 시점에서 음성 출력한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의 정보를 재차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즉, 메뉴 반복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전 메뉴의 정보를 중복해서 음성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3에서는 메뉴 반복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직전의 메뉴의 정보를 중복해서 음성 출력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이전에 음성 출력한 복수의 메뉴의 정보를 다시 음성 출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음성 메뉴 모드에서 음성으로 메뉴의 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메뉴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에, 선택한 메뉴의 하위 메뉴(Sub Menu)의 정보를 음성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4의 경우와 같이, "①카테고리", "②선호채널", "③검색",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⑤외부입력", "⑥설정" 순서로 메뉴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과정에서, 허용된 사용자가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의 하위 메뉴인 "①혈압", "②맥박", "③체온", "④증상", "⑤상담" 등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의 하위 메뉴인 "①혈압", "②맥박", "③체온", "④증상", "⑤상담" 등의 메뉴 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메뉴 선택 신호를 이용하여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의 하위 메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메뉴 정보의 음성 출력 순서를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메뉴 정보의 음성 출력 순서를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설정한 순서에 따라 메뉴 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선호도에 따라 메뉴 정보의 음성 출력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복수의 메뉴들은 제 1 메뉴, 제 2 메뉴, 제 3 메뉴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는 제 1 메뉴가 제 2 메뉴 및 제 3 메뉴보다 더 많고, 제 3 메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는 제 2 메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보다 많은 경우에, 음성 출력부를 통한 정보의 출력 순서는 제 1 메뉴, 제 3 메뉴, 제 2 메뉴의 순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기간 동안 "①카테고리"의 선택 횟수가 21, "②선호채널"의 선택 횟수가 36, "③검색"의 선택 횟수가 50,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선택 횟수가 110, "⑤외부입력"의 선택 횟수가 3, "⑥설정"의 선택 횟수가 1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소정 기간 동안 선택 횟수가 큰 순서에 따라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③검색", "②선호채널", "①카테고리", "⑤외부입력", "⑥설정"의 순서로 메뉴 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기간은 사용자가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일, 1주, 1달, 1년 등 다양한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메뉴의 선호도에 따라 음성 출력 횟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메뉴들은 제 1 메뉴, 제 2 메뉴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는 제 1 메뉴가 제 2 메뉴보다 더 많은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음성 출력부를 통한 정보의 출력 횟수는 제 1 메뉴가 제 2 메뉴보다 더 많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의 각 메뉴들의 선택 횟수가 정해진 경우, 도 46의 경우와 같이, 선택 횟수가 큰 순서에 따라 소정 기간 동안의 음성 출력횟수를 "④헬스케어(Health Care)"메뉴가 6회, "③검색" 메뉴가 5회, "②선호채널" 메뉴가 4회, "①카테고리" 메뉴가 3회, "⑤외부입력" 메뉴가 2회, "⑥설정" 메뉴가 1회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소정 기간 동안 선택된 횟수가 많은 메뉴(선호도가 높은 메뉴)일수록 음성 출력 횟수가 더 많은 것이다.
또는, 메뉴의 선호도에 따라 음성 출력 시점 간의 시간 차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메뉴들은 제 1 메뉴, 제 2 메뉴, 제 3 메뉴, 제 4 메뉴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는 제 1 메뉴가 제 2 메뉴, 제 3 메뉴 및 제 4 메뉴보다 더 많고, 제 2 메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는 제 3 메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 및 제 4 메뉴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횟수보다 많은 경우에, 제 1 메뉴의 정보의 출력 시점과 제 2 메뉴의 정보의 출력 시간 간이 시간 차이는 제 3 메뉴의 정보의 출력 시점과 제 4 메뉴의 정보의 출력 시간 간이 시간 차이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5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의 각 메뉴들의 선택 횟수가 정해진 경우, 도 47의 경우와 같이,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음성 출력 시점(t0)과 "③검색"의 음성 출력 시점(t1)의 시간 차이(T1)는 "②선호채널"의 음성 출력 시점(t2)과 "①카테고리"의 음성 출력 시점(t3)의 시간 차이(T3)보다 클 수 있다.
즉, 소정 기간 동안 선택된 횟수가 많은 메뉴(선호도가 높은 메뉴)일수록 음성 출력의 주기가 더 긴 것이다.
위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는 선호도가 높은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 따라 음성 출력하는 메뉴도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8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Log-on)된 경우에, 제 1 사용자에 따른 메뉴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사용자에 따른 메뉴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도 48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에, 제 2 사용자에 따른 메뉴의 정보를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사용자에 따른 메뉴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에 따른 메뉴와 제 2 사용자에 따른 메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는 제 1 사용자와 제 2 사용자가 선호하는 메뉴가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8의 (A)와 도 48의 (B)를 비교하면, 도 48의 (A)의 "④헬스케어(Health Care)" 메뉴가 "④전자메일(E-Mail)" 메뉴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또는, 제 1 사용자의 메뉴와 제 2 사용자의 메뉴가 동일한 경우에도 각각의 메뉴의 출력 횟수, 시점, 순서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9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기간 동안 제 1 사용자의 경우 "①카테고리"의 선택 횟수가 21, "②선호채널"의 선택 횟수가 36, "③검색"의 선택 횟수가 50,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선택 횟수가 110이고, 제 1 기간동안 제 2 사용자의 경우 "①카테고리"의 선택 횟수가 200, "②선호채널"의 선택 횟수가 150, "③검색"의 선택 횟수가 50,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선택 횟수가 2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1 기간동안 선택 횟수가 큰 순서에 따라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에는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③검색", "②선호채널", "①카테고리"의 순서로 메뉴 정보를 음성 출력하고,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에는 "①카테고리", "②선호채널", "③검색",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순서로 메뉴 정보를 음성 출력할 수 있다.
즉, 제 1 사용자의 메뉴와 제 2 사용자의 메뉴가 동일한 경우에도, 소정의 메뉴의 출력 순서는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와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가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50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 제 1 기간 동안의 각 메뉴들의 음성 출력횟수를 "④헬스케어(Health Care)", "③검색", "②선호채널", "①카테고리"의 순서로 많게 하고,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에는 "①카테고리", "②선호채널", "③검색",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순서로 많게 할 수 있다.
즉, 제 1 사용자의 메뉴와 제 2 사용자의 메뉴가 동일한 경우에도, 소정의 메뉴의 출력 횟수는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와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가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51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 제 1 기간 내에서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음성 출력 시점(t0)과 "③검색"의 음성 출력 시점(t1)의 시간 차이(T1)는 "②선호채널"의 음성 출력 시점(t2)과 "①카테고리"의 음성 출력 시점(t3)의 시간 차이(T3)보다 크게 하고,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 제 1 기간 내에서 "①카테고리"의 음성 출력 시점(t10)과 "②선호채널"의 음성 출력 시점(t11)과 의 시간 차이(T11)는 "③검색"의 음성 출력 시점(t12)과 "④헬스케어(Health Care)"의 음성 출력 시점(t13)의 시간 차이(T13)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즉, 제 1 사용자의 메뉴와 제 2 사용자의 메뉴가 동일한 경우에도, 연속된 두 개의 메뉴의 출력 시점 간의 시간 차이는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와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경우가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에,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선택 신호를 입력한 사용자에 대응하여 음성 출력하는 메뉴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2의 경우와 같이, 음성 메뉴 모드에서 음성 메뉴가 출력(1300)되면, 사용자에 의해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310)할 수 있다.
메뉴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된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의 명령, 즉 제 1 메뉴 선택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132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이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에 대응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가 설정한 제 1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에 대응되는 경우, 입력된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에 매칭하는지의 여부를 판단(133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의 주파수, 음성 패턴, 강세 패턴, 문자열 등을 분석하여,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에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에 매칭되는 경우에 제 1 사용자에 따른 메뉴를 음성으로 출력(1340)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3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②선호채널" 메뉴의 하위 메뉴인 "①OCN", "②CGV", "③Ongame", "④MBCgame"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제 1320 단계에서 판단결과, 입력된 메뉴 선택 신호가 제 1 사용자의 명령, 즉 제 1 메뉴 선택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입력된 메뉴 선택 신호가 제 2 사용자의 명령, 즉 제 2 메뉴 선택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135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이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에 대응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제 2 메뉴 선택 신호의 문자열에 대응되는 경우, 입력된 메뉴 선택 신호가 제 2 사용자에 매칭하는지의 여부를 판단(136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의 주파수, 음성 패턴, 강세 패턴, 문자열 등을 분석하여,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2 사용자에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입력되는 메뉴 선택 신호가 제 2 사용자에 매칭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에 따른 메뉴를 음성으로 출력(1370)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3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②선호채널" 메뉴의 하위 메뉴인 "①MBC", "②KBS1", "③KBS2", "④SBS"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4 내지 도 69는 멀티채널에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4를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부(180Q)에는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들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멀티채널 모드라고 하겠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Movie 1~3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 Sports 1~4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 Game 1~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복수의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한 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용자는 멀티채널 모드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화면에 총 12개의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는 임의로 영상들의 배치 순서도 변경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멀티 채널 모드에서 소정의 영상을 드레그(Drag)하여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Q)에 복수의 채널(Channel)에 따른 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멀티채널 모드인 경우,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따른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는 멀티채널 모드에서 선호 채널의 영상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혹은 더 선명해지거나 더 밝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5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가 선호 카테고리를 게임(Game)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Movie 1~3 채널, Sports 1~4 채널, 및 Game 1~2 채널 중 Game 1~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가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커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멀티채널 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호하는 카테고리의 채널의 크기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선호 채널을 보다 용이하게 찾고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멀티채널 모드에서 크기가 증가한 영상은 인접하는 다른 채널의 영상을 일부 가리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56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Movie 2 채널, Sports 2, 3 채널, 및 Game 1 채널 중 Game 1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가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크고, Game 1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은 제 2 영역(AR2)에서와 같이 Movie 2 채널의 영상을 일부 가릴 수 있고, 아울러 제 1 영역(AR1) 또는 제 3 영역(AR3)에서와 같이 Sports 2, 3 채널의 영상을 각각 일부 가릴 수 있다.
아울러, Game 1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테두리(1400)는 다른 영상의 테두리보다 더 두껍고, 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선호하는 Game 1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을 더욱 두드러지게 할 수 있다.
영상의 크기의 증가 정도에 따라 Game 1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은 Movie 2 채널의 영상 및 Sports 2, 3 채널의 영상과 중첩(Overlap)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소정 기간 동안의 채널의 선택 횟수에 따라 멀티채널에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First Channel)에 따른 제 1 영상 및 제 2 채널(Second Channel)에 따른 제 2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여기서 제 1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는 제 2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보다 큰 경우를 가정하면,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7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Movie 1~3 채널의 선택 횟수가 5, 120, 30회, Sports 1~4 채널의 선택 횟수가 50, 4, 16, 61회, 및 Game 1~2 채널의 선택 횟수가 100, 80회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복수의 채널 중 Movie 2 채널의 선택 횟수가 다른 채널에 비해 더 많고, 이에 따라 도 58의 경우와 같이, Movie 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를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는, 도 59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의 선택 횟수의 크기에 따라 영상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또는, 도 60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의 선택 횟수의 크기 순서대로 복수의 영상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영상 중 선택 횟수가 가장 큰 Movie 2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의 왼쪽 상단에 배치되고, 선택 횟수가 작아질수록 디스플레이부(180Q)의 우측 혹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선호 채널을 보다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는, 각각의 채널의 시청 시간을 고려하여 영상의 크기, 순서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First Channel)에 따른 제 1 영상 및 제 2 채널(Second Channel)에 따른 제 2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여기서 제 1 채널의 시청 시간은 제 2 채널의 시청 시간보다 긴 경우를 가정하면,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1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Movie 1~3 채널의 시청 시간이 각각 30, 320, 60시간, Sports 1~4 채널의 시청 시간이 각각 100, 20, 50, 122시간, 및 Game 1~2 채널의 시청 시간이 각각 200, 160시간인 경우를 가정하자. 여기서, 채널의 시청 시간은 소정 기간 동안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시청 시간은 채널의 영상의 총 표시 시간이라고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채널 중 Movie 2 채널의 시청 시간이 320시간으로 다른 채널에 비해 더 많고, 이에 따라 앞선 도 58의 경우와 같이, Movie 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크기를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채널의 시청 시간으로 영상의 크기, 순서를 조절하는 방법은 채널의 선택 횟수로 영상의 크기, 순서를 조절하는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멀티채널 모드에서 디스플레이부(180Q)에 복수의 채널에 따른 영상이 함께 표시되는 경우,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따른 영상의 휘도(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에 따른 제 1 영상 및 제 2 채널에 따른 제 2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제 1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는 제 2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보다 큰 경우를 가정하면, 여기서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에 따른 제 1 영상 및 제 2 채널에 따른 제 2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제 1 채널의 시청 시간은 제 2 채널의 시청 시간보다 긴 경우를 가정할 때,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7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채널들의 선택 횟수가 설정되거나, 혹은 도 61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채널들의 시청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에,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 중 시청 시간이 더 길거나 선택 횟수가 더 많은 Movie 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높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3의 (A)의 경우와 같이, 선호도가 높은, 즉 선택 횟수가 많거나 시청 시간이 긴 Movie 2 채널의 영상은 상대적으로 밝다.
반면에, 도 63의 (B)의 경우와 같이, 선호도가 낮은, 즉 선택 횟수가 적거나 시청 시간이 짧은 Movie 2 채널의 영상은 Movie 2 채널의 영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밝다.
이를 위해, Movie 2 채널의 영상의 데이터 이득(Gain)을 Movie 1 채널의 영상의 데이터 이득(Gain)보다 더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Movie 2 채널의 영상과 Movie 1 채널의 영상이 동일한 경우에도, Movie 2 채널의 영상이 Movie 1 채널의 영상보다 더 어둡게 표현될 수 있다.
또는, Movie 2 채널의 영상에 인위적으로 노이즈(Noise)를 가하여 Movie 2 채널의 영상을 어둡게 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호도가 높은 채널의 영상을 더 밝게 혹은 선호도가 낮은 채널의 영상을 더 어둡게 하는 경우에는, 선호도가 높은 채널의 영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는, 멀티채널 모드에서 채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영상의 크기 및 휘도를 함께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7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채널들의 선택 횟수가 설정되거나, 혹은 도 61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채널들의 시청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에,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 중 시청 시간이 더 길거나 선택 횟수가 더 많은 Movie 2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다른 채널의 영상보다 더 높게 하고 크기도 다른 채널보다 더 크게 할 수 있다.
또는,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크기와 휘도를 함께 조절하거나, 다른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크기만 조절하거나, 다른 적어도 하나의 영상은 휘도만 조절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에 따른 제 1 영상, 제 2 채널에 따른 제 2 영상 및 제 3 채널에 따른 제 3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제 1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는 제 2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보다 크고, 제 2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는 제 3 채널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횟수보다 큰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3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3 영상의 크기보다 크고,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는,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3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3 영상의 크기보다 크고,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채널에 따른 제 1 영상, 제 2 채널에 따른 제 2 영상 및 제 3 채널에 따른 제 3 영상이 함께 표시되고, 제 1 채널의 시청 시간은 제 2 채널의 시청 시간보다 길고, 제 2 채널의 시청 시간은 제 3 채널의 시청 시간보다 긴 경우를 가장하자.
이러한 경우,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3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3 영상의 크기보다 크고,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와 동일하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3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3 영상의 크기보다 크고, 제 1 영상의 휘도는 제 2 영상의 휘도보다 높고 제 1 영상의 크기는 제 2 영상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5의 경우와 같이, 제 1 채널(CH1)의 선호도가 제 2 채널(CH2)의 선호도보다 높고, 제 2 채널(CH2)의 선호도가 제 3 채널(CH3)의 선호도보다 높고, 제 3 채널(CH3)의 선호도가 제 4 채널(CH4)의 선호도보다 높은 경우를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제 1 채널(CH1)의 영상의 크기는 제 2 채널(CH2), 제 3 채널(CH3),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제 2 채널(CH2)의 영상의 휘도는 제 3 채널(CH3),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휘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제 1 채널(CH1)의 영상의 휘도는 제 2 채널(CH2)의 영상의 휘도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즉, 채널의 선호도가 향상되면서 우선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키고, 이후 채널의 선호도가 더욱 향상되면 영상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66의 경우와 같이, 제 1 채널(CH1) 및 제 2 채널(CH2)의 영상의 크기는 제 3 채널(CH3),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도 66의 각각의 채널의 선호도는 앞선 도 65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제 1 채널(CH1)의 영상의 휘도는 제 2 채널(CH2), 제 3 채널(CH3),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휘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또한, 제 1 채널(CH1)의 영상의 크기는 제 2 채널(CH2)의 영상의 크기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즉, 채널의 선호도가 향상되면서 우선 영상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이후 채널의 선호도가 더욱 향상되면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 3 채널(CH3) 및 제 4 채널(CH4)의 영상에 비해 크기가 더 큰 제 1 채널(CH1) 및 제 2 채널(CH2)의 영상의 휘도는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멀티채널 모드에서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채널에 대응되는 영상의 크기, 휘도, 배치순서 등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메뉴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메뉴의 크기, 휘도, 순서, 폰트 등을 조절하는 방법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7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중 선호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메뉴의 휘도 및 크기를 다른 메뉴보다 더 크게 높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앞선 멀티채널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의 크기, 휘도, 배치순서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충분히 유추될 수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복수의 메뉴 중 선호도가 높은 적어도 하나의 메뉴의 문자 폰트(Font)를 다른 메뉴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선호도가 높은 메뉴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들을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지 않고, 슬라이드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슬라이드 채널 모드라 한다.
예를 들면, 도 68의 경우와 같이, 슬라이드 채널 모드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400)하고, 판단결과 슬라이드 채널 모드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채널들의 영상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차례로 표시(1410)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채널(CH1)의 영상, 제 2 채널(CH2)의 영상, 제 3 채널(CH3)의 영상,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순서대로 차례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슬라이드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42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슬라이드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선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143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9의 경우와 같이, 제 4 채널(CH4)의 영상이 제 5 채널(CH5)의 영상으로 전화되는 과정에서 슬라이드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 4 채널(CH4)을 선택하는 것으로 인식(직전 채널을 선택)하고, 제 4 채널(CH4)에 대응하는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만약, 제 1420 단계에서 판단결과, 슬라이드 채널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역검색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44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역검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현재 채널 전화 방향을 역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9의 경우와 같이, 제 1 채널(CH1)의 영상, 제 2 채널(CH2)의 영상, 제 3 채널(CH3)의 영상, 제 4 채널(CH4)의 영상의 순서대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하다가 역검색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4 채널(CH4)의 영상, 제 3 채널(CH3)의 영상, 제 2 채널(CH2)의 영상, 제 1 채널(CH1)의 영상의 순서로 채널 전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도 70 내지 도 86은 로그온 전환 방법 및 다중 로그온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70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 소정의 사용자가 로그온(Log-on)한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가 로그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0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사용자가 로그온(150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1510)할 수 있다.
이후,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에서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52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판단결과,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로 전환(1530)할 수 있다.
이처럼,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메뉴 또는 영상을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 또는 영상으로 전환(154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1의 경우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 1 사용자가 로그온한 상태에서, 전원(Power)이 오프되지 않은 상태에서, t2 시점에서 제 2 사용자의 로그온을 위한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로그온 사용자의 전환을 위한 로그온 전환 명령은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가 로그온하기 위해서는 제 2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패스워드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로 전환된 상태에서, 또 다른 로그온 전환 명령, 예컨대 제 2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로그온 사용자를 제 2 사용자에서 다시 제 1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하는 로그온 전환 명령은 제 1 로그온 전환 명령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로그온 전환 명령도 제 1 로그온 전환 명령과 유사하게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메뉴 또는 영상을 다시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 또는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에서 제 2 사용자가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로그온하는 경우에, 로그온 전환 시점에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도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2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제 1~4 채널(CH1~CH4)을 선호채널로 설정하고 제 5~7 채널(CH5~CH7)은 비선호채널로 설정하고, 도 72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2 사용자가 제 3, 5~7 채널(CH3, CH5~CH7)을 선호채널로 설정하고 제 1~2, 4 채널(CH1~CH2, CH4)은 비선호채널로 설정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 채널 중 랜덤하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 3, 5~7 채널(CH3, CH5~CH7) 중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도 73의 (A)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스포츠를 선호 카테고리로 설정하고, 제 2 사용자가 영화를 선호 카테고리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가 설정한 선호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채널 중 랜덤하게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도 73의 (B)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설정채널로 ESPN Sports 채널을 선정하고, 제 2 사용자가 설정채널로 OCN Movie 채널을 선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가 선정한 설정채널인 OCN Movie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로그온 전환 시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을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4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 제 1 사용자의 채널 선택 횟수가 제 3 채널(CH3)이 다른 채널에 비해 많고, 제 2 사용자의 채널 선택 횟수는 제 5 채널(CH5)이 다른 채널에 비해 많은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 2 사용자가 소정 기간 동안 가장 빈번하게 선택한 제 5 채널(CH5)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로그온 사용자 전환 시에 전환된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선택한 메뉴 및/또는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5의 경우와 같이,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1530)된 경우에 제 2 사용자가 마지막에 선택했던 메뉴 및/또는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1600)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앞선 도 70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가 로그오프하기 이전에 "MBC" 채널을 시청하고 있던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MBC"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 2 사용자가 로그오프하기 이전에 "선호채널" 메뉴를 선택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선호채널"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다른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560)하여, 다른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로그온 사용자를 제 2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로 전환(1570)하고, 제 1 사용자가 마지막에 선택했던 메뉴 및/또는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1610)할 수 있다
한편, 로그온 사용자가 전환되는 경우 영상 및/또는 메뉴 뿐 아니라, 설정값들도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6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는 음량을 12로 설정하고, 화면 모드를 영화 모드로 설정하고, 제 2 사용자는 음량을 20으로 설정하고, 화면 모드를 스포츠 모드로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음량을 12에서 20으로 전환하고, 화면 모드를 영화모드에서 스포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물론 반대의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로그온 사용자를 전환하기 위해 각각의 사용자의 패스워드 등의 인증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7의 경우와 같이, 무선 입력부(200Q)에 로그온 사용자의 전환을 위한 전환키(1700, 1710)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환키(1700, 1710)는 제 1 전환키(1700)와 제 2 전환키(17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환키(1700)는 로그온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로 전환하는 키이고, 제 2 전환키(1710)는 로그온 사용자를 다른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하는 키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들은 전환키(1700, 1710)만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로그온 사용자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패스워드 등의 인증정보 없이도 다양한 사용자의 메뉴 등을 공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로그온 사용자 전환 시에 이전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의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78 내지 도 8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78에서는 앞선 도 7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8을 살펴보면,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1530)되는 경우에는 제 1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의 영상을 녹화(2000)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사용자가 "MBC" 채널의 영상 시청하던 중 로그온 전환 명령에 의해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에, 제 1 사용자가 시청하던 "MBC" 채널의 영상을 일정부분 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9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로그온하여 제 1 채널(CH1)의 영상을 시청하던 중 제 2 사용자가 로그온 전환 명령을 이용하여 로그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여기서, 로그온 전환 시점에 제 1 사용자는 소정 프로그램의 전반부(2100)는 시청 완료하였지만, 후반부(2110)는 미처 시청하지 못한 경우에, 그 프로그램의 후반부(2110)를 녹화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로그온 전환 시점에서 제 1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의 프로그램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그 프로그램의 잔여 부분을 녹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로그온 전환 시점에서 이전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의 프로그램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라고 하더라도, 로그온 전환 시점에서의 프로그램 진행 정도를 고려하여 녹화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0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영화가 t0 시점에서 시작하여 t3 시점에서 종료하는 경우, 즉 제 1 영화의 상영 시간이 W4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영화의 상영초기(t0~t1)에 로그온 사용자가 전환되는 경우에는 영화의 스토리의 전개가 미미하기 때문에 녹화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영화의 마지막부분(t2~t3)에 로그온 사용자가 전환되는 경우에는 영화가 대부분 마무리되었거나, 출연진/스텝 소개부분일 수 있으므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로그온 전환 시점에서 제 1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제 1 영화의 진행 정도 t1 시점부터 t2 시점 사이인 경우에는 제 1 영화를 녹화하고, t0 시점부터 t1 시점 사이 및/또는 t2 시점부터 t3 시점 사이인 경우에는 제 1 영화를 녹화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로 전환(1570)되는 경우에는 제 2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하던 채널의 영상을 녹화(2010)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녹화의 실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1의 경우와 같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2200)하고, 판단결과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이전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이 선호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221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이전 사용자(제 1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이 선호 채널인 경우, 이전 사용자(제 1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의 영상을 녹화(2220)할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채널은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도 82의 (A)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 제 1 사용자의 제 1 채널(CH1)의 선택 횟수가 120회이고, 제 2 채널(CH2)의 선택 횟수가 3회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1 채널(CH1)은 제 1 사용자의 선호채널이고, 제 2 채널(CH2)은 제 1 사용자의 선호채널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로그온 전환 시 제 1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이 제 1 채널(CH1)인 경우, 이러한 제 1 채널(CH1)의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반면에, 로그온 전환 시 제 1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이 제 2 채널(CH2)인 경우에는 제 2 채널(CH2)의 영상을 녹화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도 82의 (B)의 경우와 같이, 소정 기간 동안 제 1 사용자의 제 1 채널(CH1)의 시청 시간이 1200시간이고, 제 2 채널(CH2)의 시청시간이 40시간인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1 채널(CH1)은 제 1 사용자의 선호채널이고, 제 2 채널(CH2)은 제 1 사용자의 선호채널이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로그온 전환 시 제 1 사용자의 마지막 채널이 제 1 채널(CH1)인 경우, 이러한 제 1 채널(CH1)의 영상을 녹화(2220)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메뉴에 로그온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3의 경우와 같이, 소정의 제 1 사용자가 로그온(180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에 대응하는 메뉴 또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1810)할 수 있다.
이후, 제 1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에서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가 다른 메뉴로 로그온되는지 여부를 판단(182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제 1820 단계에서 입력되는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을 제 1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라고 한다.
여기서, 제 1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은 제 2 사용자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판단결과, 제 1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로 전환(183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Master 로그온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인 상태에서 특정 메뉴, 예컨대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된 경우일 수 있다.
이처럼,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1 메뉴를 표시하거나 이전의 메뉴를 제 1 메뉴로 전환(1840)할 수 있다.
이후, 제 1 메뉴에 제 2 사용자가 다른 메뉴로 로그온된 상태에서 또 다른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 예컨대 제 2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185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제 2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2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3 사용자로 전환(186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Master 로그온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인 상태에서 특정 메뉴, 예컨대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3 사용자로 전환된 경우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은 제 3 사용자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 2 사용자는 제 3 사용자와 동일한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처럼, 제 2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3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제 2 메뉴를 표시하거나 이전의 메뉴를 제 2 메뉴로 전환(187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4의 경우와 같이, t1 시점에서 제 1 사용자가 로그온한 상태에서, 전원(Power)이 오프되지 않은 상태에서, t2 시점에서 제 2 사용자의 제 1 메뉴의 로그온을 위한 제 1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t1 시점부터 t2 시점 사이 기간에는 제 1 사용자만이 로그온된 상태일 수 있다.
만약,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로 전환된 상태에서, 제 2 메뉴 로그온 전환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 2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를 제 1 사용자에서 제 3 사용자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t2 시점부터 t3 시점 사이 기간에는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는 Master 로그온 사용자이고, 제 2 사용자는 서브 로그온 사용자일 수 있다.
아울러, t3 시점이후에는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가 로그온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는 Master 로그온 사용자이고, 제 2, 3 사용자는 서브 로그온 사용자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메뉴에 따라 로그온 사용자가 다른 경우에는 각각의 로그온 사용자가 로그온한 메뉴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제 1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2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제 1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선택한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1 메뉴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5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에 제 1 메뉴(1910)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제 2 메뉴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에서 제 3 사용자로 전환되는 경우, 제 1 사용자 또는 제 2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선택한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3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 2 메뉴를 추가로 표시하거나 또는 제 2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선택한 메뉴, 예컨대 제 1 메뉴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상태에서 제 2 메뉴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86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에 제 1 메뉴(1910) 및 제 2 메뉴(1920)를 함께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7 내지 도 97은 노이즈 모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노이즈(Noise)에 따라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음향 센싱부를 통해 노이즈 음향(Noise sound)이 수신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음성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성의 설정(Setting)을 변경할 수 있다.
도 87을 살펴보면, 전원이 온(2300)되면, 노이즈 음향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2310)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음향은 기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음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8의 경우와 같이, 20㎑이상의 주파수 대역, 즉 제 1 대역, 3~5㎑ 주파수 대역, 즉 제 2 대역, 600~800㎐ 주파수 대역, 즉 제 3 대역을 노이즈 음향이라고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수신되는 음향이 제 1 대역, 제 2 대역 및 제 3 대역 중 어느 한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수신되는 음향을 노이즈 음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노이즈 음향은 기 설정된 패턴(Pattern)을 갖는 음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8의 경우와 같이 특정 패턴을 갖는 음향이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음향을 노이즈 음향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제 231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노이즈 음향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이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First Type Noise Sound)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이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인 경우에 제 1 변경 방법을 적용하여 설정을 변경(2330)할 수 있다.
만약, 제 2320 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이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아닌 경우에는,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이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Second Type Noise Sound)인지의 여부를 판단(2340)할 수 있다.
판단결과,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이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인 경우에 제 2 변경 방법을 적용하여 설정을 변경(2350)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변경 방법과 제 2 변경 방법은 설정의 변경 방법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의 영상 또는 음성의 설정 변경 방법과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의 영상 또는 음성의 설정 변경 방법은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종류와 제 2 타입 음향의 종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9의 경우와 같이,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은 물소리,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소리,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음성, 예컨대 제 1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사용자의 음성은 청력이 저하된 사용자의 음성, 예컨대 노인의 음성일 수 있다.
아울러,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은 전화벨(Phone Bell)소리, 초인종(Door Bell) 소리, 기 설정된 사용자의 음성, 예컨대 제 2 사용자의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사용자의 음성은 청력이 우수한 사용자의 음성, 예컨대 청소년 혹은 아이의 음성 혹은 울음 소리일 수 있다.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종류와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음성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시청하는 도중에 다른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경우, 진공청소기의 소음으로 인해 방송의 음이 원활하게 청취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진공청소기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음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반면에, 소정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시청하는 도중에 전화통화를 실시하는 경우에, 전화통화를 하는 사용자는 방송신호 수신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에 의해 통화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활한 통화를 위해 전화벨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음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소음들을 음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와 음량을 감소시키는 경우로 분류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방송신호 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를 시청하는 도중에 손님이 방문하여 초인종을 눌러 초인종 소리를 발생시키는 경우, 시청중인 사용자는 소님을 맞으러 방송신호 수신기의 시청 범위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청중인 영상의 재생을 일시 중지시키게 되면, 손님을 마중한 이후에 영상을 끊음 없이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이 음향 센싱부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현재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Recording)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도 시청중인 영상을 끊음 없이 연속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되는 노이즈 음향의 종류에 따라 음량의 변동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0의 경우와 같이,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 중 제 1 사용자의 음성이 발생하는 경우의 음량의 증가량은 물소리가 발생하는 경우의 음량의 증가량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 중 진공청소기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의 음량의 증가량은 물소리가 발생하는 경우의 음량의 증가량보다 클 수 있다.
이처럼, 어떠한 종류의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발생하는지에 따라 음량의 증가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의 종류에 따라 음량의 감소량을 다르게 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에 따라 음량의 증가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1의 (A)의 경우와 같이, 발생하는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음성 출력의 음향의 크기 증가량도 적게 할 수 있다.
반면에, 도 91의 (B)의 경우와 같이, 발생하는 제 2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 음성 출력의 음향의 크기 증가량도 크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발생한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보다 방송신호 수신기의 음성 출력의 크기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도 91의 (A), (B)에서 음성 출력의 크기는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보다 A1 또는 B1만큼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제 1 타입 노이즈 음향의 크기에 따라 음성의 크기를 차등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사용자의 안면(Face)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르게 표현하면, 모션 센싱부가 감지한 사용자의 안면(Face)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음성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성의 설정(Setting)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2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2400)의 안면이 디스플레이부(180Q)를 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2400)의 영상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에, 도 92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2400)의 안면이 디스플레이부(180Q)를 향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2400)의 영상에 대한 집중도가 저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93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도 92의 (B)와 같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어도 사용자는 영상의 휘도 저하 및/또는 음성 출력 저하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아울러, 전력소모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도 92의 (B)와 같은 경우에는 시청중인 프레임에서 사용자가 시청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하는 경우에는 차후에 다시 놓친 부분을 시청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2400)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80Q)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음성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4의 (A)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2400)의 안면에서 수직하는 선을 제 1 라인(CL)이라 하면, 제 1 라인(CL)을 중심으로 2θ1의 각도 범위를 시청각이라고 할 수 있다.
시청각은 사용자(2400)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도 94의 (B)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2400)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사용자(2400)가 더 이상 영상을 시청하기 어려운 상황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도 94의 (B)의 경우를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80Q)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도 95의 경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모션 센싱부(192Q)와 사용자(2400)를 연결한 제 2 라인(CL1)과 사용자(2400)의 안면과 수직한 제 1 라인(CL) 사이의 각도(θ2)가 앞선 도 94의 θ1보다 큰 경우에 사용자(2400)는 시청각을 벗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의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들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모든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80Q)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사용자 중 기 설정된 임계 비율 이상의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7의 경우와 같이, 전원이 온(2500)되고,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2510),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각각의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6의 경우와 같이, 제 1~5 사용자(2410~2450)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를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100Q)는 총 5명의 사용자의 안면 방향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모든 사용자가 시청각을 벗어나는지의 여부를 판단(2530)할 수 있다.
판단결과, 모든 사용자가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설정을 변경(2540),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적어도 한명의 사용자가 시청각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에, 시청각을 벗어난 사람들의 비율이 임계 비율을 넘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시청각을 벗어난 사람들의 비율이 임계 비율을 넘는 경우에 설정을 변경(2540),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시청각을 벗어난 사람들의 비율이 임계 비율보다 낮은 경우에는 설정을 유지(256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비율이 70%인 경우, 도 96에서 총 5명의 사용자 중 적어도 2명의 사용자가 시청각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설정을 유지하고, 1명의 사용자가 시청각 범위 내에 있거나 혹은 모든 사용자가 시청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로그온된 사용자를 고려하여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자세하게는,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사용자 중 로그온(Log-on)된 사용자의 안면이 향하는 방향이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80Q)의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6에서 5명의 사용자 중 제 1 사용자(2410)가 로그온된 사용자이고, 나머지 4명의 사용자(2420~2450)는 로그온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여 보자.
이러한 경우, 제 1 사용자(2410)가 시청각을 벗어나는 경우에 나머지 4명의 사용자(2420~2450)와는 관계없이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밝기)를 낮추거나, 음성 출력(Volume)을 낮추거나, 영상의 재생을 정지시키거나, 재생중인 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또는, 제 1 사용자(2410)가 시청각을 내에 있는 경우에 나머지 4명의 사용자(2420~2450)가 모두 시청각을 벗어난 경우에도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98 내지 도 108은 사적 채널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는 복수의 채널 중 적어도 하나는 사적 컨텐츠(Personal Contents)를 위한 사적 채널(Personal Channel)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사적 채널은 방송신호가 할당되지 않는 채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8의 경우와 같이, 제 5 채널(CH5)은 SBS, 제 7 채널(CH7)은 KBS2, 제 9 채널(CH7)은 KBS1, 제 11 채널(CH11)은 MBC, 제 13 채널(CH13)은 OBS로 할당될 수 있다. 여기서, 제 5~13 채널(CH5~13)은 모두 방송신호가 할당된 채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송신호가 할당된 채널들을 일반 채널이라 한다.
아울러, 일반 채널 이외에 사적 채널이 제 0 채널(CH0)에 할당될 수 있다. 사적 채널에서는 사적 컨텐츠가 할당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시청자가 사적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80Q)에 사적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적 채널은 사적 컨텐츠를 표시/출력하기 위한 채널일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복수의 채널 중 제 1 채널(일반채널)에서 디스플레이부(180Q)에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고, 복수의 채널 중 제 2 채널(사적채널)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사적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의 편의를 위해 사적 채널은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명령 입력부, 예컨대 무선 입력부로부터 채널 변경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변경된 채널에서 디스플레이부(180Q)에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혹은 사적 컨텐츠(Personal Contents)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채널 변경 명령을 이용하여 방송신호가 할당된 채널을 변경하거나 혹은 사적 컨텐츠가 할당된 사적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채널 중 제 1 채널(일반채널)에서 명령 입력부로부터 업(Up) 채널 변경 명령 또는 다운(Down) 채널 변경 명령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제 1 채널(일반채널)과 다른 채널(일반채널)의 방송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채널(일반채널)에서 명령 입력부로부터 업(Up) 채널 변경 명령 또는 다운(Down) 채널 변경 명령 중 다른 하나가 입력되는 경우 사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9의 경우와 같이, 현재 일반채널인 NBTV(CH1)을 시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선 입력부의 채널업키(210)를 눌러 업(Up)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는 다른 일반채널인 MTV(CH2)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현재 일반채널인 NBTV(CH1)을 시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선 입력부의 채널다운키(211)를 눌러 다운(Down)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는 다른 일반채널인 NBTV(CH1)에서 사적 채널(CH0)로 채널이 전환되고, 이에 따라 사적 컨테츠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며하면, 현재 일반채널인 Night Movie(CH900)을 시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선 입력부의 채널업키(210)를 눌러 업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는 사적 채널(CH0)에 대응하는 사적 컨테츠가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사적 채널(CH0)에 대응하는 사적 컨테츠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선 입력부의 채널업키(210)를 눌러 업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는 일반채널인 NBTV(CH1)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사적 채널(CH0)에 대응하는 사적 컨테츠를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하고 있는 상황에서 무선 입력부의 채널다운키(211)를 눌러 다운 채널 변경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는 다시 일반채널인 Night Movie(CH900)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Q)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적 컨텐츠는 전자 메일(E-Mail) 컨텐츠, 사진 컨텐츠, 영화 컨텐츠, 음악 컨텐츠, 문자 서비스 컨텐츠, 팩스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00의 경우와 같이, 사적 채널(CH0)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부(180Q)에 전자 메일(E-Mail) 컨텐츠(2610), 사진 컨텐츠(My Album, 2600 혹은 2660), 영화 컨텐츠(2620), 음악 컨텐츠(2630), 문자 서비스 컨텐츠(2640), 팩스 컨텐츠(26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사적 채널의 화면 구성은 사용자가 편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사적 채널에서 전자 메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가 IP주소를 갖고, 외부로부터 전자 메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는 외부의 PC에 연결되고, 연결된 PC로 전자 메일이 수신되는 경우에 PC에서 수신된 전자 메일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 수신기로 전송되는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사적 채널에서 문자 서비스 컨텐츠(2640)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 101의 경우와 같이,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이동통신 단말기(2700)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700)에 문자가 수신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700)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적 채널에서 이동통신 단말기(2700)에 수신된 문자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적 채널에서 팩스 컨텐츠(2650)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 101의 경우와 같이, 방송신호 수신기(100Q)가 팩스기기(2710)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팩스기가(2710)에 팩스가 수신되는 경우, 팩스기가(2710)는 방송신호 수신기(100Q)로 팩스를 전송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사적 채널에서 팩스기가(2710)에 수신된 팩스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적 채널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Q)에 사진 컨텐츠를 슬라이드 쇼(Slide show)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2의 경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진 컨텐츠(2660, 2670)들이 슬라이드 쇼 방식을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사적 채널을 일종의 사진 앨범(Album)으로 이용하는 경우일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전자 메일, 팩스, 문자 등이 수신되는 경우, 도 103의 경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도착 알림 메뉴(2800)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103의 경우와 같이, 새로운 사적 컨텐츠가 추가되는 경우에 새로운 사적 컨텐츠의 추가를 알리기 위한 알림부(28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림부(2810)는 디스플레이부(180Q)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사적 채널이 사용자의 개인적인 앨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때, 새로운 이미지(Image)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4의 경우와 같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2900), 수신된 메시지에 이미지 첨부 파일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2910)할 수 있다.
판단결과, 메시지에 이미지 첨부 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현재 채널이 사적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2920)한다.
판단결과, 현 채널이 사적 채널인 경우, 메시지에서 이미지 첨부 파일을 독출(2930)하고, 독출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80Q)의 화면에 표시(294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편집과 무관하게 수신되는 이미지가 도 100이 경우와 같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00에서 소정의 이미지(2660)가 화면에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수신되는 메시지에서 이미지 파일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파일의 확장자를 이용하여 이미지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5의 경우와 같이, 사용자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다양한 확장자를 이미지 확장자로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방송신호 수신기(100Q)에서는 메시지에서 이미지 확장자를 갖는 첨부 파일을 검색하고, 검색한 이미지 확장자 파일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사적 채널로 복수개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6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의 사적 채널은 CH0-1로 설정되고, 제 2 사용자의 사적 채널은 CH0-2, 제 3 사용자의 사적 채널은 CH0-3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사용자가 모두 동일한 채널을 사적 채널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7의 경우와 같이,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 및 제 3 사용자는 모두 CH0을 사적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비록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사적 채널을 사용하지만, 사적 채널에서는 로그온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사적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08의 경우와 같이, 현 채널이 사적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단(3000)하고, 판단결과 현 채널이 사적 채널인 경우 현 사적 채널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3010)할 수 있다.
판단결과, 현 사적 채널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인 경우, 사적 채널에서는 제 1 사용자에 따른 사적 컨텐츠를 표시(3020)할 수 있다.
반면에, 판단결과, 현 사적 채널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1 사용자가 아닌 경우, 현 사적 채널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판단(3030)할 수 있다.
판단결과, 현 사적 채널의 로그온 사용자가 제 2 사용자인 경우, 사적 채널에서는 제 2 사용자에 따른 사적 컨텐츠를 표시(3040)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음향 센싱부; 및
    수신되는 방송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고,
    상기 음성 모드에서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음성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선택하거나 상기 음성 명령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 1 사용자에 따른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고,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상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다른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와 다른 제 2 사용자에 따른 음성 모드를 발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방송신호 중 영상 신호 및 음성 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제어부가 신호 처리한 상기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사용자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상기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주파수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상기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음성 패턴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성 인식 호출 명령과 상기 제 2 음성 인식 호출 명령은 서로 다른 문자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향 센싱부를 통해 음성 인식 해제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음성 모드에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음성 명령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음성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음성 모드에 대응하는 마크(Mark)를 표시하는 방송신호 수신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10022159A 2011-03-13 2011-03-13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98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59A KR101798961B1 (ko) 2011-03-13 2011-03-13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2159A KR101798961B1 (ko) 2011-03-13 2011-03-13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473A KR20120104473A (ko) 2012-09-21
KR101798961B1 true KR101798961B1 (ko) 2017-11-17

Family

ID=47111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159A KR101798961B1 (ko) 2011-03-13 2011-03-13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164B1 (ko) 2013-12-27 2020-03-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컨텐츠 제공 방법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079A (ja) * 2005-07-11 2007-01-25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受像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0079A (ja) * 2005-07-11 2007-01-25 Funai Electric Co Ltd テレビ受像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473A (ko) 2012-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89675A1 (en)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4780404B (zh) 声音辅助装置以及操作方法
KR20120051967A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WO2011118838A1 (ja) 表示装置、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06095574A1 (ja) 携帯情報端末
WO2010066189A1 (zh) 一种快速浏览节目的方法及装置
KR102254894B1 (ko)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1973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798961B1 (ko)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811398B1 (ko)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KR101798962B1 (ko)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20104470A (ko)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TWI530169B (zh) 處理影音資料之方法以及相關模組
KR20120104469A (ko)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20104479A (ko) 방송신호 수신기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057862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6265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77827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34091A (ko) 영상표시기기 동작 제어방법
KR20110134090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05160B1 (ko) 영상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WO2012070534A1 (ja) 映像音声出力装置、および映像音声出力方法、ならびに該映像音声出力装置を備えたテレビジョン受像機
WO2011037204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音声パラメータ設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70183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CN118138814A (zh) 显示设备、电子节目指南界面的显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