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924B1 -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924B1
KR101797924B1 KR1020170060164A KR20170060164A KR101797924B1 KR 101797924 B1 KR101797924 B1 KR 101797924B1 KR 1020170060164 A KR1020170060164 A KR 1020170060164A KR 20170060164 A KR20170060164 A KR 20170060164A KR 101797924 B1 KR101797924 B1 KR 101797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fixing bolt
disposed
sensing member
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하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7006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7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vehicles or train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in conditions
    • B61L27/0094
    • G01R31/0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고정판, 고정 볼트, 상기 고정 볼트르 중심으로 회전하는 감지 부재, 및 상기 감지 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감지 유닛; 접촉 부재; 및 상기 감지 부재를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자석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감지 유닛이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와 접촉되면서 전기적인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의 존재 여부는 물론 열차의 하부에 매달린 물체의 사이즈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 유닛이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와 접촉한 후 회전되며 전기적으로 단락되고, 복귀 스프링에 의해 복귀하여 전기적인 접촉이 가능하므로, 감지 유닛의 수리 및 교체 비용이 소모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NONDESTRUCTIVE TYPE APPARATUS FOR DETECTING OBJECT OF UNDERBODY OF THE TRAIN}
본 발명은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차 하부의 물체 검출 장치는 열차 하부 또는 열차 하부에 장착된 부속품이 열차로부터 이탈되어 매달린 상태로 열차가 주행되어 열차 및 선로 주변의 각종 시설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열차 하부의 물체를 검출하는 종래 기술로서는 미국등록특허 제9090271호(2015.07.28. 등록)가 대표적인데, 상기 특허는 한 쌍의 레일 사이와 상기 레일 바깥에 경사면을 가진 충돌 요소를 포함하고 열차 하부의 물체가 상기 충돌 요소에 충돌하면 충돌을 감지하며, 상기 물체가 경사면을 통해 충격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등록특허 제9090271호(2015.07.28. 등록)는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의 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을 뿐 열차의 하부에 매달린 물체의 크기까지는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다
미국등록특허 제9090271호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DRAGGING EQUIPMENT(2015.07.28.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하는 열차의 하부 물체와 접촉되면서 회전되어 전기적인 접속이 일시적으로 끊어짐으로써 발생된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여 열차의 하부에 물체가 매달린 것을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 유닛을 지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하여 열차에 매달린 물체의 사이즈까지도 함께 인식할 수 있으며, 열차에 매달린 물체와 충돌하더라도 파괴되지 않는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행하는 열차의 하부 물체에 의해 회전되면 전기적인 접속이 끊어지더라도 지정된 위치로 다시 복귀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는, 일측 열차 선로를 가로질러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일측 열차 선로와 평행하게 배치된 타측 열차 선로를 가로질러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판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고정판을 포함하는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 중 상기 일측 열차 선로 및 상기 타측 열차 선로의 내측에 배치된 부분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 제1 고정 볼트; 상기 제2 고정판 중 상기 일측 열차 선로 및 상기 일측 열차 선로의 내측에 배치된 부분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 제2 고정 볼트; 일측이 상기 제1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감지 부재, 일측이 상기 제2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감지 부재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제2 감지 부재 및 물체와 충돌하여 회전된 상기 제1 및 제2 감지 부재들을 복귀시키는 제1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 감지 유닛; 상기 제1 고정판 중 상기 일측 열차 선로의 외측에 상기 제1 고정 볼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3 고정 볼트; 상기 제1 고정판 중 상기 일측 열차 선로의 외측에 상기 제3 고정 볼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4 고정 볼트; 일측이 상기 제3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3 감지 부재, 일측이 상기 제4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감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제4 감지 부재 및 물체와 충돌하여 회전된 상기 제3 및 제4 감지 부재들을 복귀시키는 제2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 감지 유닛; 상기 제2 고정판 중 상기 타측 열차 선로의 외측에 상기 제2 고정 볼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5 고정 볼트; 상기 제2 고정판 중 상기 타측 열차 선로의 외측에 상기 제5 고정 볼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6 고정 볼트; 일측이 상기 제5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제5 감지 부재, 일측이 상기 제6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5 감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제6 감지 부재 및 물체와 충돌하여 회전된 상기 제5 및 제6 감지 부재들을 복귀시키는 제3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3 감지 유닛; 상기 제1 감지 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2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3 감지 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4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5 감지 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6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 부재; 및 상기 제1 내지 제2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감지 부재를 자력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3 내지 제4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 내지 제4 감지 부재를 자력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제5 내지 제6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5 내지 제6 감지 부재를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 유닛 및 상기 제3 감지 유닛들에는 감지 신호를 인가하는 전선들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감지 유닛 및 제3 감지 유닛에 주행하는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물체의 여부 및 상기 물체의 크기를 검출한다.
본 발명은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와 접촉되면서 전기적인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인 접촉이 해제되어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의 존재 여부는 물론 열차의 하부에 매달린 물체의 사이즈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 유닛이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와 접촉하여 회전된 후 지정된 위치로 다시 복귀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감지 유닛의 수리 및 교체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의 감지 유닛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의 복귀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미설명 참조부호 10은 열차가 주행하는 열차 선로이고, 미설명 참조부호 20은 열차 선로(10)들을 지지하는 침목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는 고정판(100), 고정 볼트(200), 감지 유닛(300), 접촉 부재(400), 자석 부재(500) 및 전선(600)을 포함한다.
고정판(100)은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120)을 포함한다.
제1 고정판(110)은 일측 열차 선로(10)를 가로질러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고정판(120)은 일측 열차 선로(10)와 평행하게 배치된 타측 열차 선로(10)를 가로질러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 고정판(110)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고정 볼트(200)는 제1 내지 제6 고정 볼트(210, 220, 230, 240, 250, 260)를 포함한다.
제1 고정 볼트(210)는 제1 고정판(110) 중 일측 열차 선로(10)와 타측 열차 선로(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다.
제2 고정 볼트(220)는 제2 고정판(120) 중 일측 열차 선로(10)와 타측 열차 선로(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다.
제3 고정 볼트(230)는 제1 고정판(110) 중 일측 열차 선로(10)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고정 볼트(21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4 고정 볼트(240)는 제1 고정판(110) 중 일측 열차 선로(10)의 외측에 상기 제3 고정 볼트(23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3 고정 볼트(230)보다 일측 열차 선로(10)로부터 이격된다.
제5 고정 볼트(250)는 제2 고정판(120) 중 타측 열차 선로(10)의 외측에 제2 고정 볼트(220)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6 고정 볼트(260)는 제2 고정판(120) 중 타측 열차 선로(10)의 외측에 제5 고정 볼트(250)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5 고정 볼트(250)보다 타측 열차 선로(10)로부터 이격된다.
감지 유닛(300)은 제1 내지 제3 감지 유닛(310, 320, 330)을 포함한다.
제1 감지 유닛(310)은 제1 감지 부재(311), 제2 감지 부재(312) 및 제1 복귀 스프링(313)을 포함한다.
제1 감지 부재(311)는 일측이 제1 고정 볼트(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마련된다.
제2 감지 부재(312)는 일측이 제2 고정 볼트(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마련된다.
이때, 제1 감지 부재(311)들과 제2 감지 부재(312)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복귀 스프링(313)은 제1 감지 부재(311) 또는 제2 감지 부재(312)가 회전되었을 때, 제1 및 제2 감지 부재(311, 312)가 원위치 되도록 복귀시킨다.
제2 감지 유닛(320)은 제3 감지 부재(321), 제4 감지 부재(322) 및 제2 복귀 스프링(323)을 포함한다.
제3 감지 부재(321)는 일측이 제4 고정 볼트(2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마련된다.
제4 감지 부재(322)는 일측이 제3 고정 볼트(2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마련된다.
이때, 제3 감지 부재(321)들과 제4 감지 부재(322)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복귀 스프링(323)은 제3 감지 부재(321) 또는 제4 감지 부재(322)가 회전되었을 때, 제3 및 제4 감지 부재(321, 322)가 원위치 되도록 복귀시킨다.
제3 감지 유닛(330)은 제5 감지 부재(331), 제6 감지 부재(332) 및 제3 복귀 스프링(333)을 포함한다.
제5 감지 부재(331)는 일측이 제5 고정 볼트(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마련된다.
제6 감지 부재(332)는 일측이 제6 고정 볼트(26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복수 개가 마련된다.
제5 감지 부재(331)들과 제6 감지 부재(332)들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복귀 스프링(333)은 제5 감지 부재(331) 또는 제6 감지 부재(332)가 회전되었을 때, 제5 및 제6 감지 부재(331, 332)가 원위치 되도록 복귀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의 감지 유닛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의 복귀 스프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는 감지 유닛(300)이 회전한다.
예컨대,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가 열차의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며 제1 감지 유닛(310)에 부딪히게 되면, 제1 감지 부재(311)와 제2 감지 부재(312)는 각각 제1 고정 볼트(210)와 제2 고정 볼트(220)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이후, 제1 감지 부재(311)와 제2 감지 부재(312)는 부딪히는 물체에 의해 열차 진행 방향으로 회동되었다가 제1 복귀 스프링(313)에 의해 다시 복귀된다.
도 3에는 제1 감지 유닛(310)의 회전 작동만을 도시하였지만, 제2 또는 제3 감지 유닛(320, 330) 역시 도시된 제1 감지 유닛(310)의 회전 작동을 통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제2 및 제3 감지 유닛(320, 33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제1 내지 제3 복귀 스프링(313, 323, 333)은 토션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는 접촉 부재(400)와 자석 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제1 감지 유닛(310) 중 제1 감지 부재(311)의 타측과 제2 감지 부재(312)의 타측, 제2 감지 유닛(320) 중 제3 감지 부재(321)의 타측과 제4 감지 부재(322)의 타측, 제3 감지 유닛(330) 중 제5 감지 부재(331)의 타측과 제6 감지 부재(332)의 타측은 평상시 서로 각각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부재(311)의 타측의 하면과 제2 감지 부재(312)의 타측의 상면에 접촉 부재(400)가 마련되고, 제1 감지 부재(311)와 제2 감지 부재(312)는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전선이 수용될 수 있으며, 제1 감지 부재(311)에 위치한 접촉 부재(400)와 제2 감지 부재(312)에 위치한 접촉 부재(400)가 서로 접촉하고, 터미널(미부호)과 전기적인 회로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가 부딪히며 지나간다면, 제1 감지 부재(311)와 제2 감지 부재(312)는 각각의 일측에 배치된 제1 고정 볼트(210) 또는 제2 고정 볼트(220)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전기적인 단락이 발생하여 상기 단락을 감지함으로써,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감지 부재(311)와 제2 감지 부재(312)는 각각 지면에 대하여 제1 고정 볼트(210)와 제2 고정 볼트(220)에 복수 개가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됨으로써 열차에 물체가 매달림은 물론 매달린 물체의 사이즈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차의 하부에 상대적으로 작은 물체가 매달릴 경우 지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된 제1 및 제2 감지 부재(311, 312)들 중 상부의 제1 및 제2 감지 부재(311, 312)가 회동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되고, 열차의 하부에 상대적으로 큰 물체가 매달릴 경우 제1 및 제2 감지 부재(311, 312)들의 하부의 제1 및 제2 감지 부재(311, 312)까지 회동되어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상기에서는 제1 감지 유닛(310)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제2 및 제3 감지 유닛(320, 330) 또한 제1 감지 유닛(310)을 통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1 감지 부재(311)의 타측과 제2 감지 부재(312)의 타측에는 자석 부재(500)가 마련된다. 자석 부재(500)는 접촉 부재(400) 주변의 제1 내지 제6 감지 부재(311, 312, 321, 322, 331, 332)에 모두 설치되고, 열차의 하부에 매달린 물체에 의해 회동되었다가 복귀 스프링(313, 323, 333)에 의해 복귀하는 제1 내지 제6 감지 부재(311, 312, 321, 322, 331, 332)를 자력으로 끌어당겨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 부재(500)는 제1 감지 부재(311)와 제2 감지 부재(312)를 서로 자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제3 감지 부재(321)와 제4 감지 부재(322)를 서로 자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5 감지 부재(331)와 제6 감지 부재(332)를 서로 자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자석 부재(500)는 네오디뮴(Neodymium) 자석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는 감지 신호를 인가하는 전선(600)이 감지 부재(311, 312, 321, 322, 331, 332)에 수용되고 터미널(미부호)와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감지 유닛(310)의 경우, 제1 감지 부재(311)의 타측은 제2 감지 부재(312)의 타측과 접촉 부재(4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감지 부재(311)의 일측과 제2 감지 부재(312)의 일측은 상기 터미널과 함께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는 열차의 하부에 매달린 물체가 제1 내지 제3 감지 유닛(310, 320, 330)에 부딪히더라도 제1 내지 제3 감지 유닛(310, 320, 330)은 회동되어 파손되지 않으며, 회동 후 복귀되면 다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열차 선로 20 : 침목
100 : 고정판 110 : 제1 고정판
120 : 제2 고정판
200 : 고정 볼트 210 : 제1 고정 볼트
220 : 제2 고정 볼트 230 : 제3 고정 볼트
240 : 제4 고정 볼트 250 : 제5 고정 볼트
260 : 제6 고정 볼트
300 : 감지 유닛 310 : 제1 감지 유닛
311 : 제1 감지 부재 312 : 제2 감지 부재
313 : 제1 복귀 스프링 320 : 제2 감지 유닛
321 : 제3 감지 부재 322 : 제4 감지 부재
323 : 제2 복귀 스프링 330 : 제3 감지 유닛
331 : 제5 감지 부재 332 : 제6 감지 부재
333 : 제3 복귀 스프링
400 : 접촉 부재 500 : 자석 부재
600 : 전선

Claims (1)

  1. 일측 열차 선로를 가로질러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고정판, 상기 일측 열차 선로와 평행하게 배치된 타측 열차 선로를 가로질러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고정판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제2 고정판을 포함하는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 중 상기 일측 열차 선로 및 상기 타측 열차 선로의 내측에 배치된 부분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 제1 고정 볼트;
    상기 제2 고정판 중 상기 일측 열차 선로 및 상기 타측 열차 선로의 내측에 배치된 부분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 제2 고정 볼트;
    일측이 상기 제1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감지 부재, 일측이 상기 제2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감지 부재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제2 감지 부재 및 물체와 충돌하여 회전된 상기 제1 및 제2 감지 부재들을 복귀시키는 제1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1 감지 유닛;
    상기 제1 고정판 중 상기 일측 열차 선로의 외측에 상기 제1 고정 볼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3 고정 볼트;
    상기 제1 고정판 중 상기 일측 열차 선로의 외측에 상기 제3 고정 볼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4 고정 볼트;
    일측이 상기 제3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복수 개의 제3 감지 부재, 일측이 상기 제4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 감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제4 감지 부재 및 물체와 충돌하여 회전된 상기 제3 및 제4 감지 부재들을 복귀시키는 제2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2 감지 유닛;
    상기 제2 고정판 중 상기 타측 열차 선로의 외측에 상기 제2 고정 볼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5 고정 볼트;
    상기 제2 고정판 중 상기 타측 열차 선로의 외측에 상기 제5 고정 볼트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6 고정 볼트;
    일측이 상기 제5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된 제5 감지 부재, 일측이 상기 제6 고정 볼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5 감지 부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복수 개의 제6 감지 부재 및 물체와 충돌하여 회전된 상기 제5 및 제6 감지 부재들을 복귀시키는 제3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제3 감지 유닛;
    상기 제1 감지 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2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제3 감지 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4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상기 제5 감지 부재의 타측과 상기 제6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접촉 부재; 및
    상기 제1 내지 제2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2 감지 부재를 자력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3 내지 제4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 내지 제4 감지 부재를 자력으로 고정시키며, 상기 제5 내지 제6 감지 부재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5 내지 제6 감지 부재를 자력으로 고정시키는 자석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 유닛 및 상기 제3 감지 유닛들에는 감지 신호를 인가하는 전선들이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감지 유닛 및 제3 감지 유닛에 주행하는 열차 하부에 매달린 물체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물체의 여부 및 상기 물체의 크기를 검출하는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KR1020170060164A 2017-05-15 2017-05-15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KR101797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164A KR101797924B1 (ko) 2017-05-15 2017-05-15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164A KR101797924B1 (ko) 2017-05-15 2017-05-15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924B1 true KR101797924B1 (ko) 2017-11-15

Family

ID=6038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164A KR101797924B1 (ko) 2017-05-15 2017-05-15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500B1 (ko) 2018-03-20 2018-11-08 주식회사 세화 끌림 물체 검지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2332B1 (en) 1999-08-31 2002-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bjects dragging beneath a train
JP2004074876A (ja) 2002-08-13 2004-03-11 Kunihiro Kishida 移動体検出システム
JP2007083971A (ja) 2005-09-26 2007-04-05 Hitachi Electric Systems Ltd 鉄道線路の異常検出装置
US20090057495A1 (en) 2007-08-31 2009-03-05 Donald Coy Beaman Dragging equipment detector
JP2016193669A (ja) 2015-04-01 2016-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障害物検知システム
KR101754615B1 (ko) 2017-05-15 2017-07-06 주식회사 지이테크놀로지 다단식 교체형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2332B1 (en) 1999-08-31 2002-07-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bjects dragging beneath a train
JP2004074876A (ja) 2002-08-13 2004-03-11 Kunihiro Kishida 移動体検出システム
JP2007083971A (ja) 2005-09-26 2007-04-05 Hitachi Electric Systems Ltd 鉄道線路の異常検出装置
US20090057495A1 (en) 2007-08-31 2009-03-05 Donald Coy Beaman Dragging equipment detector
JP2016193669A (ja) 2015-04-01 2016-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障害物検知システム
KR101754615B1 (ko) 2017-05-15 2017-07-06 주식회사 지이테크놀로지 다단식 교체형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500B1 (ko) 2018-03-20 2018-11-08 주식회사 세화 끌림 물체 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37265B1 (en) System for detecting a break in a rail
AU2013299501B2 (en) Route examining system and method
AU2006265719B2 (en) Railway wheel sensor employing hall effect devices
CN100431888C (zh) 位于轨道行走车辆的导轨上的用于控制站台门的装置
US9168937B2 (en) Multi-function dragger
US9090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dragging equipment
CN101918260A (zh) 传感器组件
AU2015246241B2 (en) Sensor device for detecting a change in a magnetic field and track-bound transportation system having at least one such sensor device
KR101754615B1 (ko) 다단식 교체형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KR101797924B1 (ko) 비파괴 방식의 열차 하부 물체 검출 장치
JP5586800B1 (ja) 検電器
CN105675628A (zh) 一种基于摄像头的具打标功能的安检机
CN107067747A (zh) 一种复合型车辆检测器及其检测方法
CN105818838A (zh) 一种计轴传感器及计轴检测方法
WO2015118185A3 (fr) Dispositif de détection de défauts de rails par mesure d'impédance
KR101809474B1 (ko) 열차 하부의 물체의 위치 및 크기 검출 장치
KR101809475B1 (ko) 열차 하부의 물체 검출 장치
KR101771930B1 (ko) 열차 하부의 물체 검출 장치
CN205396128U (zh) 一种列车车辆在线检测装置
CN104897066B (zh) 一种变压器中铁芯位移的监测方法及其监测装置
CN105675629A (zh) 一种具打标功能的安检机
EP3135555A1 (en) Route examining system and method
JP2010520111A (ja) 測定値を確認するための方法
KR101834859B1 (ko) 이동체의 이동속도 및 위치 연산기능검증을 위한 검증 장치 및 방법
CN217931526U (zh) 一种基于涡流检测的车载断轨检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