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629B1 - 매선 시술 장치 - Google Patents

매선 시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629B1
KR101797629B1 KR1020170090570A KR20170090570A KR101797629B1 KR 101797629 B1 KR101797629 B1 KR 101797629B1 KR 1020170090570 A KR1020170090570 A KR 1020170090570A KR 20170090570 A KR20170090570 A KR 20170090570A KR 101797629 B1 KR101797629 B1 KR 101797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tube
skin
handl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국
송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이에스
Priority to KR102017009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629B1/ko
Priority to RU2019145236A priority patent/RU2720405C1/ru
Priority to CN201880038805.1A priority patent/CN110769767B/zh
Priority to PCT/KR2018/006444 priority patent/WO201901758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선 시술 기구 및 매선 시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매선 시술 기구는, 일측 단부가 뾰족하게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재질의 침관(100)과; 상기 침관(100)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이 절연체로 이루어져 있는 허브(200)와; 일측이 상기 허브(200) 내측의 침관(100)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허브(2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도전성 재질의 손잡이(300)와; 상기 침관(100) 내부의 중공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410)와, 상기 삽입부(410)와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침관(100)의 일측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420)로 구성된 매선실(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매선 시술 장치는 전극패치와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매선 실 삽입 시술과 전기 자극 시술이 결합된 시술을 하나의 시술 기구를 통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매선 시술 장치{injection apparatus of thread}
본 발명은 매선 시술 기구와 이를 이용한 매선 시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 자극과 매선실의 삽입이 결합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 매선 시술 기구와 이를 이용한 매선 시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름을 펼 수 있는 다양한 시술이 증가하고 있다.
주름을 펴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주름을 펴는 수술적 방법이 있다.
수술적 방법은 메스(mes)로 피부를 절개하여 피부의 일부분을 떼어낸 후, 절개 부위를 다시 봉합하므로 얼굴 피부가 인장되도록 하거나, 보톡스를 피하 근육에 주입하여 근육이 경직되도록 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수술방법은 모두 비용이 많이 들고, 상기 내용은 메스를 사용하는 수술법은 피부에 수술 자국이 남게 되고 수술 직후에 피부 절개로 인한 심한 통증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고, 수술 후 피부가 재생되는 시간이 길고 환자에게 수술이라는 시간과 부담이 크므로 현 시대의 트랜드는 표시가 나지 않고, 비용 부담이 없으며, 수술이 아닌 시술로, 시술시간 및 재생기간이 짧고 시술 후 흉터가 생기지 않는 비침습적 시술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더불어, 보톡스를 주입하는 방법은 보툴리눔 독소가 주성분이므로 인체에 주입할 경우, 부작용을 일으킬 염려가 있었다.
이러한 수술적 주름 개선 방식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기 자극 방식의 시술이 있는데, 이러한 시술의 경우 주름개선의 효과가 일시적일 뿐이며, 어느 시간이 지나면 다시 주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매선 시술용 봉합사 삽입기"(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3069호, 특허문헌 1)가 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2에 제시된 방식은 근육에 봉합사을 주입하는 매선 시술법으로, 이 시술법은 비용이 저렴하면서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장점을 가진다.
또, 실은 폴리락틱산, 폭리디옥사논 등과 같은 생체 흡수성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시술 후 실을 제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최근에 특허문헌 1과 같은 방식을 보다 개선한 "고주파 매선삽입장치"(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6189호, 특허문헌 2)가 제시된 바 있다.
특허문헌 3은 매선 삽입시 고주파를 인가함으로써 매선 시술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 도 9,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원인가선(30)의 일측은 메인잭(32)으로 구성되어 전원인가부에 결합되고, 연결선(33)의 타측에는 니들잭(31)으로 구성되며, 주사바늘(10)은 일측이 니들케이스(20)에 삽입되고, 니들케이스(20)의 반대편에 공간부(22)가 형성되어 니들잭(31)이 공간부(22)에 삽입되면서 도전체인 주사바늘(10)과 전류가 통하도록 됨으로써 주사바늘(10)을 통한 피하 내 전기자극을 발생시키고, 주사바늘(10)을 피부로부터 빼낼 때 실(3)은 피하 내에 남아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특허문헌 2는 전기를 통한 피부자극을 먼저 실시한 후 마무리 시술에서 피부에 실(3)을 잔존시키게 됨으로써 전기자극 및 매선 실을 통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매선 시술에서 시술 직후 피부에 멍이 들지 않게 하여 시술 직후 일상생활상에서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봉합사가 삽입되는 주사바늘의 직경이 매우 작을 수록 좋다.
그런데, 특허문헌 2와 같이 공간부(22) 내부에 위치한 주사바늘(10)의 단부와 니들잭(31)이 결합되는 방식의 경우 직경이 매우 작게 이루어진 주사바늘의 단부와 니들잭(31) 내부의 홈을 정확히 일치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몇 번에 걸친 사용 중에 니들잭(31)이 변형되는 경우 그 문제점이 매우 커지게 되어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니들잭(31)을 체결시키기 어려워 사용상의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한방침을 통한 전기 자극 시술의 경우 시술 과정에서 침 주변의 근육이 수축되는 지의 여부를 한방침을 돌려가면서 느낌으로 확인하게 되는데, 특허문헌 3과 같이 니들잭(31)이 주사바늘(10)과 연결되는 경우 시술자가 주사바늘을 돌리는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 나아가 특허문헌 2의 경우 고주파를 이용한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 화상, 과도한 전기 자극에 따른 고통이 수반되기까지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때 특허문헌 3의 경우 기존에 주사 바늘을 통해 실을 삽입하는 매선 요법에 전기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지만, 실질적으로 한방침을 통한 전기자극 요법과 같은 사용이 어렵게 되고, 니들잭 연결 역시 불편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할 것이다.
KR 10-1363069 (2014.02.07) KR 10-2014-0076189 (2014.06.20)
본 발명의 매선 시술 기구와 이를 이용한 매선 시술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매선 실 삽입 시술과 전기 자극 시술이 결합된 시술을 하나의 시술 기구를 통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 연결을 위한 잭을 매선 시술 기구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시술자의 신체를 매개로 주사바늘이 전원과 직접 통전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매선 시술 기구는 허브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바늘이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바늘의 단부가 허브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하도록 하여 시술자가 허브를 잡는 동안에는 피시술자의 피부로 전기 자극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돌출된 바늘을 잡는 동안에는 전기 자극이 가해지게 함으로써 매선 실을 삽입하는 시술의 전, 후, 중간에 간편하게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매선 시술 기구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 단부가 뾰족하게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재질의 침관(100)과; 상기 침관(100)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이 절연체로 이루어져 있는 허브(200)와; 일측이 상기 허브(200) 내측의 침관(100)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허브(2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도전성 재질의 손잡이(300)와; 상기 침관(100) 내부의 중공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410)와, 상기 삽입부(410)와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침관(100)의 일측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420)로 구성된 매선실(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0)는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도전성 금속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매선실(400)의 노출부(420) 길이는 침관(100) 단부로부터 손잡이(300)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1 ~ 10cm 길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300)는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도전성 금속체인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일단에 연결된 채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침관삽입부(3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침관삽입부(320)는 상기 침관(100)의 중공부(110)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침관(100)은 침관삽입부(320)가 중공부(110) 내부로 삽입된 부분에 대응된 일측에서 외부에서 프레스 가공되어 침관(100)의 내벽면이 침관삽입부(320)에 압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매선 시술 장치는 상기한 매선 시술 기구와; 시술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제1전극패치와; 피시술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제2전극패치(600)와; 상기 제1전극패치 및 제2전극패치(600)에 전선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저주파 전원공급장치(7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술자가 상기 매선 시술 기구의 손잡이(300)를 잡은 채 매선 시술 기구의 침관(100)을 피시술자의 피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피부에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매선 실 삽입 시술과 전기 자극 시술이 결합된 시술을 하나의 시술 기구를 통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 연결을 위한 잭을 매선 시술 기구에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 아니라 시술자의 신체를 매개로 주사바늘이 전원과 직접 통전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매선 시술 기구는 허브(200)가 절연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바늘이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바늘의 단부가 허브(200)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취하도록 하여 시술자가 허브를 잡는 동안에는 피시술자의 피부로 전기 자극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고, 돌출된 바늘을 잡는 동안에는 전기 자극이 가해지게 함으로써 매선 실을 삽입하는 시술의 전, 후, 중간에 간편하게 전기 자극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매선 시술 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매선 시술 기구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매선 시술 기구가 침관이 허브 후방까지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코일이 설치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손잡이와 침관이 분리식으로 이루어지되, 프레스 압착에 의해 연결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매선 시술 기구가 침관이 후방까지 연장되되, 나선형 코일형으로 꼬아진 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매선 시술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허브를 파지한 채 침관을 삽입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침관 삽입 후 손잡이를 잡아 전기를 통전시킨 상태에서 전기 자극을 가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매선실이 피하에 삽입된 채로 침관을 꺼내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 내지 10은 종래의 고주파 매선삽입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매선 시술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매선 시술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매선 시술 기구는 침관(100), 허브(200), 손잡이(300) 및 매선실(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공지의 매선기구와 마찬가지로 침관(100)을 개폐시키는 커버(1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침관(100)은 일측 단부가 뾰족하게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침관(100)의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은 기존 매선침과 마찬가지로 시술시 피부에 원할하게 삽입되기 위함이며, 내부에 중공부(110)가 형성되는 것은 매선실(400)이 삽입되기 위함이다.
침관(100)이 도전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매선 시술 기구가 단순히 매선실(400)의 삽입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시술 과정에서 침관(100)에 전류를 흘려보내 침관(100) 주변의 피하 근육을 수축시켜 리프팅 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침관(100)은 지름이 30 ~ 21 Gauge 즉, 0.298 ~ 0.8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21Gauge보다 크게 이루어질 경우 전기 자극을 발생시킬 때 피부 조직에 삽입된 침관(100)에 전류가 흘려보내질 때 전기 자극에 의한 근육의 수축이 작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근육이 침관(100)을 잡아주지 못하게 되어 침관(100)의 회전이나 리프팅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전극이 침관(10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시술자를 매개체로 저주파 자극을 가하기 때문에 전기 자극 효과가 극히 미비해지게 된다.
더불어, 상술한 직경보다 크게 이루어지는 경우 관의 굵기가 굵어져 시술 후 얼굴 표면에 자극과, 미세혈관이 터져서 멍이 드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30Gauge보다 작은 직경을 이루는 경우에는 매선실(400)의 삽입이 어려워 매선 시술이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허브(200)는 상기 침관(100)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이 절연체로 이루어져 있다.
허브(200)는 침관(100)을 지지해주는 역할 및 손잡이(300)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침관(100)을 피하에 찔러 넣는 경우에 사용자가 허브(200)를 파지한 채 삽입하게 된다.
이를 위해 허브(200)는 도시된 것처럼 시술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허브(200)는 시술자의 손이 접촉하는 외주면이 절연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 전기 자극을 가하는 방식이 시술자의 신체를 전기가 통하는 매개체로 하기 때문에 침관(100)을 피하에 삽입하는 과정에서는 침관(100)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함으로써 삽입되는 침관(100) 주변의 근육 수축을 방지하여 원할한 침관(100)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손잡이(300)는 일측이 상기 허브(200) 내측의 침관(100)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허브(2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300)는 종래의 매선침과 특히 다른 구성요소로 일측이 허브(200) 내측의 침관(100)과 연결됨으로써 침관(100)과 전기가 통할 수 있게 되며, 허브(2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침관(100) 주변 근육에 단순 전기 자극을 가하거나, 전기 자극을 주면서 회전시키거나 전기 자극을 주면서 리프팅을 하고자 할 때 시술자의 손에 직접 접촉하여 전기가 통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손잡이(300)는 침관(100)보다 두께가 두껍게 이루어져 시술자가 충분히 파지하여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손잡이(300)는 단순히 원형 금속 관이나 금속 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도전성 금속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전성 금속체는 관형이나, 봉형 모두 가능하다.
손잡이(300)가 나선형 코일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면 전류 자극을 가할 때 나사산을 따라 전류가 증폭되는 역할을 하여 근육조직이 수축되어 침관(100)을 잡아주는 효과를 높여줄 수 있게 되며, 손으로 파지할 때 요철이 형성되어 조작의 간편함을 제공해주게 된다.
손잡이(300)를 나선형 코일 형태로 제조하는 경우 침관(100)의 제조 과정에서 일측 단부측을 코일형으로 나선 가공함에 따라 침관(100)과 일체화된 채로 제조될 수 있다.
손잡이(300)를 침관(100)과 각각 제조하는 경우에는 손잡이(300)는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도전성 금속체인 코일부(310)와, 상기 코일부(310)의 일단에 연결된 채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침관삽입부(320)로 구성하는 한편, 침관삽입부(320)는 상기 침관(100)의 중공부(110)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침관(100)은 침관삽입부(320)가 중공부(110) 내부로 삽입된 부분에 대응된 일측에서 외부에서 프레스 가공되어 침관(100)의 내벽면이 침관삽입부(320)에 압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매선실(400)은 상기 침관(100) 내부의 중공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410)와, 상기 삽입부(410)와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침관(100)의 일측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420)로 구성되어 있다.
매선실(400)은 종래의 매선 요법에 설명된 바와 같이 침관(100)이 피시술자 피부에 삽입될 때 함께 삽입되고, 침관(100)을 빼낼 때는 피시술자 피하에 위치하여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매선실(400)의 굵기는 "7-0 ~ 0" size(0.05 ~ 0.499mm)의 실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범위보다 작은 두께로 이루어질 경우 매선 실의 기능이 약해져 주름 개선 효과가 미비해지게 된다.
또, 상기 범위보다 두꺼운 두께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에 맞추어 침관(100)의 내경이 더 커져야 되는데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근육이 침관(100)을 잡아주지 못하는 문제와, 피부조직에 멍이 드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매선실(400)은 멀티 필라멘트나 모노 필라멘트 모두 사용 가능하나 모노 필라멘트 형태가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코그(Cog) 형태를 가지는 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그 형태를 갖는 경우 전기자극에 의한 리프팅 및 코그에 의한 리프팅이 모두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가장 이상적이라 하겠다.
또한 실의 재질은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 폴리디옥사논, 폴리카프로락톤 등의 생분해성 수지가 단독 또는 공중합으로 이루어진 모노 또는 멀티 필라멘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매선실(400)의 색상은 바이올렛이나 투명 모두 가능하나, 가급적 투명한 색상을 가져 피부조직에 보이지 않게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매선실(400)의 노출부(420) 길이는 침관(100) 단부로부터 손잡이(300)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1 ~ 10cm 길게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2 ~ 5cm가 가장 적합하다.
노출부(420)의 길이가 손잡이(300)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지는 이유는 침관(100)을 시술 과정에서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노출부(420)가 침관(100)을 중심으로 스크류 형태로 꼬이면서 피부 내에 삽입되어 리프팅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며, 침관(100)을 제거한 후 피부 외측으로 실이 나와 있게 되어 리프팅 모양을 최종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매선 시술 기구를 포함한 매선 시술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매선 시술 기구와, 시술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제1전극패치(500), 피시술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제2전극패치(600) 및 상기 제1전극패치(500) 및 제2전극패치(600)에 전선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저주파 전원공급장치(700)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되며, 1 ~ 5mA의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700)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700)는 예를 들어 1 ~ 5mA와 같은 낮은 전류를 전극에 공급하는 저주파 전원공급장치(70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대표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저주파치료기 등과 같이 소규모의 간단한 장치로 구성되어 시술자의 포켓 등에 휴대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전극패치들은 서로 다른 플러스, 마이너스 극성을 띄는 것은 전원공급장치 구성상 분명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시술자가 상기 매선 시술 기구의 손잡이(300)를 잡은 채 매선 시술 기구의 침관(100)을 피시술자의 피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피부에 전기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매선 시술 장치를 이용한 시술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시술자의 피부에 제1전극패치(500)를 부착하고, 피시술자의 피부에 제2전극패치(600)를 부착하는 한편, 전원공급장치(700)의 두 전선을 각각 제1전극패치(500)와 제2전극패치(600)에 부착한 상태에서 저주파치료기(전원공급장치(700))를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시술자가 외주면이 절연체인 허브(200)를 파지한 채 피시술자의 피부에 침관(100)을 삽입한다.
이때, 절연체인 허브(200)를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되는 침관(100) 주변의 피부에는 전기 자극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침관(100) 주변의 근육 수축 없이 침관(100)이 원할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이 완료된 후 시술자가 절연체인 허브(200) 대신 도전체인 손잡이(300)를 파지하게 되면 저주파치료기로부터 제1전극패치(500), 손잡이(300), 침관(100), 피시술자의 피부 순으로 전기가 통하면서 피시술자의 침관(100) 주변 근육이 수축되면서 전기 자극에 따른 시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의 시술자 신체는 전기가 통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시술자는 손잡이(300)를 시계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당기면서 삽입된 침관(100)을 이용한 전기 자극 시술을 하게 된다.
더불어, 회전시에 길게 노출되어 있는 매선실(400)은 침관(100) 주변에 나선형으로 말리게 되므로 매선 효과는 배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침관(100)을 빼내기 전 시술자의 손잡이(300) 조작을 통해 침관(100) 주변의 근육의 수축을 도모함으로써 침관(100)을 빼낸 후 기 수축된 근육이 삽입된 매선실(400)을 견고하게 지지해주고, 피부의 새로운 세포가 재생되는 시술이 되며, 피부에 리프팅 효과, 주름 완화 효과, 피부 토닝 효과가 배가될 수 있게 된다.
침관(100)을 빼내는 과정에서는 시술자는 선택적으로 손잡이(300) 또는 허브(200)를 잡고 빼낼 수 있다.
100 : 침관 110 : 중공부
120 : 커버 200 : 허브
300 : 손잡이 310 : 코일부
320 : 침관삽입부 400 : 매선실
410 : 삽입부 420 : 노출부
500 : 제1전극패치 600 : 제2전극패치
700 : 전원공급장치

Claims (5)

  1. 매선 시술 장치에 있어서,
    일측 단부가 뾰족하게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중공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재질의 침관(100)과;
    상기 침관(100)의 타측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이 절연체로 이루어져 있는 허브(200)와;
    일측이 상기 허브(200) 내측의 침관(100)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허브(200)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도전성 재질의 손잡이(300)와;
    상기 침관(100) 내부의 중공부(110)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부(410)와, 상기 삽입부(410)와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침관(100)의 일측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노출부로 구성된 매선실(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매선 시술 기구와;
    시술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제1전극패치(500)와;
    피시술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제2전극패치(600)와;
    상기 제1전극패치(500) 및 제2전극패치(600)에 전선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저주파 전원공급장치(7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시술자가 상기 매선 시술 기구의 손잡이(300)를 잡은 채 매선 시술 기구의 침관(100)을 피시술자의 피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피시술자의 피부에 전기 자극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 시술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0)는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도전성 금속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 시술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선실(400)의 노출부 길이는 침관(100)의 일측 단부로부터 손잡이(300)의 타측 단부까지의 길이보다 1 ~ 10cm 길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 시술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00)는 코일 형태로 이루어진 도전성 금속체인 코일부(310)와, 상기 코일부(310)의 일단에 연결된 채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침관삽입부(3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침관삽입부(320)는 상기 침관(100)의 중공부(110) 내부로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침관(100)은 침관삽입부(320)가 중공부(110) 내부로 삽입된 부분에 대응된 일측에서 외부에서 프레스 가공되어 침관(100)의 내벽면이 침관삽입부(320)에 압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선 시술 장치.
  5. 삭제
KR1020170090570A 2017-07-17 2017-07-17 매선 시술 장치 KR101797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70A KR101797629B1 (ko) 2017-07-17 2017-07-17 매선 시술 장치
RU2019145236A RU2720405C1 (ru) 2017-07-17 2018-06-07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роцедуры внедрения нити
CN201880038805.1A CN110769767B (zh) 2017-07-17 2018-06-07 埋线施术装置
PCT/KR2018/006444 WO2019017589A1 (ko) 2017-07-17 2018-06-07 매선 시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570A KR101797629B1 (ko) 2017-07-17 2017-07-17 매선 시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629B1 true KR101797629B1 (ko) 2017-11-15

Family

ID=6038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570A KR101797629B1 (ko) 2017-07-17 2017-07-17 매선 시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797629B1 (ko)
CN (1) CN110769767B (ko)
RU (1) RU2720405C1 (ko)
WO (1) WO201901758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91A (ko)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 제일테크 출혈 받이 리프팅용 주사침
KR20190117190A (ko)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 제일테크 리프팅용 주사침
KR20210146047A (ko) * 2020-05-26 2021-12-03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한방 매선 약 실침 삽입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284A (ja) * 2001-07-03 2003-01-14 Seirin Kk 通電治療用の針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89581A (zh) * 2000-10-13 2001-04-04 邹大明 头部皮下埋线除面部皱纹的方法
US9056193B2 (en) * 2008-01-29 2015-06-16 Edge System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the skin
KR101198690B1 (ko) * 2009-11-09 2012-11-12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피부관리용 전극장치와 이를 구비한 피부관리기
CN201643407U (zh) * 2010-05-19 2010-11-24 段雪民 祛皱纹仪
KR101310716B1 (ko) * 2011-08-26 2013-10-14 (주)아모레퍼시픽 고주파 미용기기
KR101363069B1 (ko) * 2012-04-27 2014-02-14 홍희탁 매선 시술용 봉합사 삽입기
KR101468675B1 (ko) * 2012-12-12 2014-12-04 김근식 고주파 매선삽입장치
KR101506202B1 (ko) * 2013-09-12 2015-03-27 이기설 복수의 실을 삽입하는 매선장치
KR20160032829A (ko) * 2014-09-17 2016-03-25 최경숙 매선 시술용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0284A (ja) * 2001-07-03 2003-01-14 Seirin Kk 通電治療用の針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191A (ko)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 제일테크 출혈 받이 리프팅용 주사침
KR20190117190A (ko) 2018-04-06 2019-10-16 주식회사 제일테크 리프팅용 주사침
KR20210146047A (ko) * 2020-05-26 2021-12-03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한방 매선 약 실침 삽입기
KR102357953B1 (ko) * 2020-05-26 2022-02-03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한방 매선 약 실침 삽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69767A (zh) 2020-02-07
WO2019017589A1 (ko) 2019-01-24
RU2720405C1 (ru) 2020-04-29
CN110769767B (zh) 2022-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5715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implanting and using a stimulation lead
KR101811208B1 (ko) 실 삽입기
US7725198B2 (en) Implantable medical lead assemblies with delivery tether
KR101797629B1 (ko) 매선 시술 장치
US503347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rapericardial access and inserting intrapericardial electrodes
US5425752A (en) Method of direct electrical myostimulation using acupuncture needles
US5868744A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for therapeutic treatment of varices
US50714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rapericardial access and inserting intrapericardial electrodes
CN108472484A (zh) 用于定位、植入和使用刺激引线的设备和方法
EP2024013A2 (en) Implantable medical lead assemblies with delivery tether
EP0588927A1 (en) TEMPORARY CARDIAC LEAD.
KR101748755B1 (ko) 의료용 실 삽입장치
JP2002191705A (ja) 高周波アクティブフィラメントを有する電極針及び該フィラメントの使用方法
JP2008289843A (ja) 痛み治療機構
JPH06339533A (ja) 電極装置
US20230132044A1 (en) Galvanic Electrolysis Unit for Hair Follicle Ablation
KR20180126402A (ko) 실 삽입기
CN110856661A (zh) 线插入器
CN210784578U (zh) 一种螺旋状套管针
US6836686B2 (en) Electro-acupuncture device
KR101944977B1 (ko) 탈모치료용 금실 삽입용 봉합침
KR20200105019A (ko) 수술사 주입장치
CN213608222U (zh) 一次性多功能穿刺埋线针
EP1496990A1 (en) Instrument with at least two active radio-frequency wires for treatment of tumours
CN217091421U (zh) 一种可折式电刺激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