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430B1 - A moving device of sliding opening and shutting type canopy - Google Patents

A moving device of sliding opening and shutting type canop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430B1
KR101797430B1 KR1020170049507A KR20170049507A KR101797430B1 KR 101797430 B1 KR101797430 B1 KR 101797430B1 KR 1020170049507 A KR1020170049507 A KR 1020170049507A KR 20170049507 A KR20170049507 A KR 20170049507A KR 101797430 B1 KR101797430 B1 KR 101797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ixed shaft
groove
diameter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국
Original Assignee
김동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국 filed Critical 김동국
Priority to KR102017004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43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430B1/en
Priority to PCT/KR2018/004504 priority patent/WO201819437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device for slidably opening or closing a canopy configured to fold or unfold while moving along a rail, and more specifically, to a moving device for slidably opening or closing a canopy, which includes a first roller portion with an upper surface of a rail abutting the first roller portion formed in a shape of an arc, and a bearing installed in a second roller portion and slidably moving along a side of the rail, and which is capable of stably opening and closing a canopy by preventing a rail from being damaged or a moving device from shaking to the left and right even when an impact is applied due to rain, wind, or the lik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first roller portion, and a second roller portion.

Description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A MOVING DEVICE OF SLIDING OPENING AND SHUTTING TYPE CANOP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device of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type canopy,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1 롤러부와 이와 맞닿는 레일의 상부면이 호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롤러부에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베어링을 설치함으로써 비 ·바람 등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레일에 손상이 발생되거나 이동장치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캐노피를 안정적인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and retractable canopy moving device for folding or unfolding while moving along a rai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device for a canopy, The canopy can be stably opened and closed by preventing the rails from being damaged even when the impact is applied due to rain or wind or by moving the moving device from side to side. .

일반적으로, 캐노피는 야외 활동에 있어 햇볕을 가리거나, 비 ·바람을 막아주기 위한 구조물이다.Generally, the canopy is a structure for covering the sunlight or preventing rain or wind in outdoor activities.

이러한 캐노피는 소정 높이의 골조를 세우고 골조 위에 지붕을 덮는 것으로 상가 건물 등에 설치되어 날씨에 구애받지 않고 쇼핑할 수 있도록 차양 ·비막이 등을 할 수 있으며 또는 해안가에 설치되어 피서객들이 비, 바람 또는 햇볕을 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These canopies can be installed on the roofs of buildings such as roofs with a certain height and roofs on the frames. They can be used for sunshine and non-closure to shop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weather. Also, In order to avoid the problem.

캐노피의 구조를 살펴보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세워지는 지주와, 상기 지주를 연결하며 지주의 상부에 마련되는 지붕의 이동을 돕는 레일과 상기 지주가 설치된 공간 내의 상부를 마감하기 위해 공간의 길이를 따라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간에 연결되어 상부를 덮는 지붕으로 구성되며, 특히 이렇게 설치되는 캐노피는 우천에 대비하여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he structure of the canopy includes a pilla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a rail for connecting the pillar to a roof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pillar, And a roof connected to the frame to cover the upper part of the frame. In particular, the canopy, which is installed in this manner, is generally arcuate against rain.

이때, 상기 지붕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레일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이동장치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원형의 롤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At this time, a moving device for connecting the rail and the frame may be provided for movement of the roof, and the moving device is generally composed of circular rollers moving along the rails.

이 경우 그리고, 캐노피를 접고 펴는 개폐과정 중에 롤러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해서는 레일 및 이동장치의 롤러가 수평상태를 정확하게 유지해야 함은 물론 롤러의 높낮이가 적정하게 위치되어야 만이 마찰을 일으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roller to smoothly slide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rail d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folding and opening the canopy,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rollers of the rails and the moving device, .

하지만, 롤러의 높낮이를 적정 위치로 정확하게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거센 비 ·바람 등의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레일과 롤러의 수평상태, 즉 레일과 롤러가 뒤틀어져 변화될 경우에 롤러와 레일 간에 심한 마찰이 발생되어 소음을 유발하고 아울러 롤러가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아닌 마찰이동을 함으로써 캐노피를 접고 펴는 것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set the height of the rollers to the proper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rails and the rollers, that is, the rails and the rollers are twisted and changed due to an external impact such as heavy rain or wind,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old and spread the canopy by causing frictional movement to cause noise and causing the roller to perform friction movement instead of sliding movement on the rail.

뿐만 아니라, 약한 충격에도 이동장치가 레일로부터 이탈되거나 이동장치와 레일이 서로 뒤틀리게 되어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ving device may be detached from the rail even in the case of a weak impact, or the moving device and the rail may be twisted to each other,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movement is not performed smoothly.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에 각각 롤러가 설치되며 이 롤러가 레일 위에서 이동하면서 캐노피를 접고 펴는 것을 도와주는 이동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상기 하부에 위치한 롤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레일의 안쪽 측면에 닿게 되어 레일을 긁으면서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recent years, a moving device has been disclosed in which upper and lower rollers are installed on upper and lower sides, respectively, to assist in folding and unfolding the canopy while moving on the rails. However, So that it is moved while scraping the rail.

특히, 비 ·바람이 많이 불어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을 수 있는 해안가 주면에 설치된 캐노피는 비 ·바람에 의해 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레일과 이동장치가 서로 뒤틀어지게 되어 고정부재가 레일의 안쪽 측면을 긁어 마찰을 일으켜 이동하게 되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레일의 손상이 심해져 이동장치가 레일 위에서 이동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In particular, the canopy installed on the coastal main surface, which can receive a strong impact from outside due to heavy rain and wind, often receives a force in one direction due to rain or wind, which causes the rail and the moving device to twist As the fixing member scrapes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ail to cause friction, the rail is damaged more and more as the time passes. As a result, the moving device does not smoothly move on the rail and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s Lt; / RTI >

등록특허 제10-0938982호Patent No. 10-0938982 등록특허 제10-1030126호Registration No. 10-1030126

본 발명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접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1 롤러부와 이와 맞닿는 레일의 상부면이 호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롤러부에 레일의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베어링을 설치함으로써 비 ·바람 등으로 인해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레일에 손상이 발생되거나 이동장치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캐노피를 안정적인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and retractable canopy moving device for folding or unfolding while moving along a rai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device for a canopy, The canopy can be stably opened and closed by preventing the rails from being damaged even when the impact is applied due to rain or wind or by moving the moving device from side to side. .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지붕을 지지하는 아치형상의 다수의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면 중앙부분에 호 형상으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하면의 양측에는 상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마련되는 이탈방지부재와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재 및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부재를 포함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케노피를 접거나 펴는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nvex portion protruding in an arcuate shap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a bracket provided on both sides of a plurality of arcuate frames supporting a roof, The canopy is folded while moving along a rail including a release preventing member provided with a concave formed recess and a bottom membe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and a vertical support member vertically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ing and retractable canopy moving device.

이때, 사각형상의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양 끝단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판과, 상기 상판의 양 끝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브라켓 고정판과, 상기 상판의 양 끝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끝단은 다시 측판을 향해 수징으로 연장되는 롤러지지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롤러지지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상기 볼록부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는 오목한 안내홈이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롤러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양쪽 측판에 너트로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1 롤러부; 상기 바닥부재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며 중앙에 축 고정홈이 형성되는 보조롤러와, 일측은 상기 축 고정홈에 끼워지며 타측은 너트에 의해 상기 측판에 고정되는 고정축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지지부재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제2 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고정축의 일측 끝단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베어링삽입홈 및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는 수직홈에 삽입되는 베어링고정봉에 의해 삽입 고정되어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 시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양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베어링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bracket fixing plat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ly from the upper ends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 housing including a roller supporting plate protruding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housing toward the lower portion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hous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roller disposed between the roller support plates and having a concave guide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vex portion of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first roller portion including a first roller portion; An auxiliary roller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bottom member and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with the roller and having a shaft fixing groov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second roller portion which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member and includes a bearing insertion groove formed horizontally horizontally at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fixed shaft, And a bearing which is inserted and fixed by a bearing fixing rod inserted in a vertical groove penetrating vertically and rotates al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vertical supporting member when the auxiliary roller rotates.

또한, 상기 고정축의 일측은 상기 고정축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형의 1단부와, 상기 1단부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와 하부는 상기 1단부의 직경과 같은 높이로 수평하게 이루어지고 좌우 양측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롤러의 축 고정홈은 이에 대응하는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e end of the fixed shaft has a circular first end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xed shaft portion and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end por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horizontally arrang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iameter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a shaft fixing groove of the auxiliary roller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ft fixing groove of the auxiliary roller.

한편, 상기 제2 롤러부의 고정축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축의 직경보다 작은 단차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단차홈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회전방지편이 마련되되, 상기 회전방지편은 상기 측판의 외측면과 상기 너트 사이에 위치한 고정축의 단차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a plate-shaped anti-rotation piec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shaft of the second roller part, with a stepped groov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and a fitting groov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stepped groove, Wherein the rotation preventing piece is fitted in a step groove of a fixing shaft locat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the nut.

그리고, 상기 단차홈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축의 직경보다 작은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은 수직하게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epped grooves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pped groove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또는, 상기 단차홈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축의 직경과 동일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은 상기 고정축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수직하게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lternative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epped groove may have a circular shape that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pped groove may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본 발명의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는 수직지지부재의 양 쪽에 형성되는 보조롤러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된 베어링이 수직지지부재의 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됨으로써 수직지지부재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캐노피를 접고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moving device of the sliding retractable canop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ring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auxiliary roller formed on both sides of the vertical supporting member is moved while being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ing memb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anopy can be folded and unfolded without applying.

둘째, 또한 제1 롤러부의 롤러의 외부면이 오목한 호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와 맞닿아 롤러의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의 상부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롤러가 이동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발생되는 비 바람 등의 충격에 의해 이동부재가 한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이동장치가 뒤틀어지거나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캐노피는 접고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ly,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er of the first roller portion is in the shape of a concave arc and the roller moves in a state in which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oller, Even if the moving member is subjected to a force in one direction due to an impact such as wind, the moving device can be safely moved without being twisted or detached from the rail, and the canopy can be folded and unfolded.

셋째, 그리고 제1 롤러부의 롤러는 상부 중앙에 위치해 있고, 제2 롤러부의 보조롤러는 상기 롤러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삼각형의 형태가 되어 지붕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브라켓에 의해 상부에서 받는 힘을 적절히 분배하여 이동장치가 받는 하중을 줄임으로서 이동장치가 레일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rdly, the rollers of the first roller portion are located at the upper center, and the auxiliary rollers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ller so as to form a triangle, The load applied to the moving device is reduced, so that the moving device can smoothly move on the rail and the lifetime of the moving device can be extended.

넷째, 아울러 고정축에 단차가 형성하고 단차홈에 회전방지편을 끼워 고정축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고정축의 일측에 삽입된 베어링이 회전되지 않고 수평방향을 유지하여 이동장치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ly, a step is formed on the fixed shaft and the rotation preventing piece is inserted into the stepped groove to prevent the fixed shaft from rotating, so that the bearing inserted in one side of the fixed shaft does not rotate but maintains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 is an effect.

다섯째, 뿐만 아니라 제1 롤러부의 롤러 및 제2 롤러부의 보조롤러가 둥근 형태로 이루어져 강한 바람 등으로 인해 한쪽 측면이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그 힘을 수용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Fifthly, the roller of the first roller portion and the auxiliary roller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are formed in a round shape, and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surface due to strong wind or the like, the force is absorbed and the impact is absorbed.

여섯째, 여기서 상기 롤러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보조롤러가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롤러에서 받는 힘에 의해 롤러와 보조롤러가 더욱 밀착되어 상부에서 큰 힘을 받더라도 롤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the roller is formed concavely and the auxiliary roller is formed in a convex shape, so that the roller and the auxiliary roller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force received by the roller,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가 설치되는 캐노피의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가 레일에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의 하우징의 사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의 제1 롤러부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의 제2 롤러부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의 제2 롤러부의 고정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의 제2 롤러부의 고정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hape of a canopy in which a sliding opening and closing canopy 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liding and retractable canopy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to a rail.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ing apparatus of a sliding retractable cano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sliding / retractable canopy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of the sliding retractable canopy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of the first roller portion of the moving device of the sliding retractable cano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of a second roller portion of a sliding retractable canopy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fixing axis of the second roller part of the moving device of the sliding retractable canop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xed shaft of a second roller part of a sliding retractable canopy mo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은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정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processed and expressed in order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liding and retractable canopy mov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프레임(50)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60)와 연결되며 레일(5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캐노피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ving device of the sliding retractable canop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bracket 60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plurality of arcuate frames 50 and moves along a rail 500 It is a device that can fold or unfold the canopy.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장치(10)의 상부는 지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프레임(50)과 비가림 및 햇빛가림을 할 수 있도록 프레임(50)과 프레임(50) 사이를 연결하는 천막으로 이루어지는 캐노피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프레임(50)의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60)에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device 10 includes a plurality of arcuate frames 50 for supporting a roof and a frame 50 for preventing rain and sunshine To the brackets 6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50 so that the canopy can be folded or unfolded.

또한, 상기 이동장치(10)의 하부는 상면 중앙부분에 호 형상으로 돌출되는 볼록부(541)가 형성되고 하면의 양측에는 상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542)가 마련되는 이탈방지부재(540)와 상기 이탈방지부재(540)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재(520) 및 상기 수직지지부재(5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부재(510)를 포함하는 레일(500)에 연결되어 레일(5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캐노피를 접거나 펼 수 있는 것이다.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convex portion 541 protruding in an arc shape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concave portion 542 formed concavely toward the upper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thereof. (500) including a vertical support member (520)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540) and a bottom member (510) formed below the vertical support member So that the canopy can be folded or unfolded while being moved along the rail 500.

이렇게, 캐노피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하는 이동장치(1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제1 롤러부(200), 제2 롤러부(300)를 포함한다,2 to 5, the moving device 10 includes a housing 100, a first roller unit 200, and a second roller unit 300 ,

하우징(100)은 제1 롤러부(200) 및 제2 롤러부(3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각형상의 상판(111) 및 상기 상판(111)의 상부면 양 끝단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판(112)으로 이루어져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판(110)을 포함한다.The housing 100 is used for stably fixing the first roller unit 200 and the second roller unit 300 and includes a rectangular upper plate 111 and a pair of upper and lower ends And a base plate 110 formed in a shape of ''.

또한, 상기 상판(111)의 양 끝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며 상기 브라켓(6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800)이 형성된 브라켓 고정판(120)과, 상기 상판(111)의 양 끝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부를 향해 상기 측판(112)의 중앙 부분까지 돌출 형성되고 끝단은 다시 측판(112)을 향해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측판(112)과 연결되는 롤러지지판(130)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지지판(130)은 상기 브라켓 고정판(120)보다 상기 측판(112)의 외측에서 큰 간격으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bracket fixing plate 12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11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ly and having a connection groove 800 for connecting the bracket 60, 111 are protruded from the both ends of the side plate 112 to a central portion of the side plate 112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side plate 112 and extend vertically toward the side plate 112 to be connected to the side plate 112 And the roller supporting plate 130 may protrude from the bracket fixing plate 120 at a large distance apart from the outside of the side plate 112. [

이는 후술할 제1 롤러부(200)의 롤러(210)가 상기 롤러지지판(130)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enable the roller 210 of the first roller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stably positioned between the roller supporting plates 130.

아울러, 상기 롤러지지판(130)이 상기 상판(111)에서 하부로 돌출된 후에 상기 측판(112)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다시 돌출되어 상기 상판(111)에서 ‘┙┕‘형상으로 돌출되는데 이는 외부의 충격에도 이동장치(1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고 롤러(2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roller support plate 13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111 and then protrud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side plate 112 and protrudes from the upper plate 111 in a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ving device 10 from being twisted and to prevent the roller 210 from being detached.

이때, 상기 브라켓 고정판(120)에는 지붕을 지지하는 프레임(50)과 연결되는 브라켓(60)을 연결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고정축(65)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측판(112)에는 제1 롤러부(200) 및 제2 롤러부(300)가 설치될 수 있는 연결홈(800)이 형성되고 상기 롤러지지판(130)에는 제1 롤러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측판(112)에 제1 롤러부(200) 설치를 위한 연결홈(800)과 동일한 위치에 연결홈(800)이 형성될 수 있다.The bracket fixing plate 120 may be provided with a bracket fixing shaft 65 for connecting and fixing the bracket 60 connected to the frame 50 supporting the roof. A connection groove 800 in which the first roller unit 200 and the second roller unit 300 can be installed is formed and the first roller unit 200 is mounted on the side plate 112 The connection groove 800 may b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connection groove 800 for installing the first roller unit 200.

이러한 상기 하우징(10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압출성형 될 수 있으나, 외부의 환경에도 부식이 쉽게 발생되지 않으며 프레임(50) 및 브라켓(60)의 무게에도 뒤틀리거나 손상되지 않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무관하며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The housing 100 may b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and may be extrusion-molded. However, the housing 10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that is not easily corroded even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is not twisted or damaged by the weight of the frame 50 and the bracket 60. [ But is not limited to.

그리고, 상기 제1 롤러부(200)는 롤러(210)와 상기 롤러(210)의 회전 및 고정을 위한 회전축(22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210)는 롤러지지판(13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540)의 볼록부(541)에 밀착되는 형태로 안착되어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상기 볼록부(541)에 대응되도록 오목한 안내홈(211)이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oller unit 200 may include a roller 210 and a rotating shaft 220 for rotating and fixing the roller 210. The roller 2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oller supporting plates 130 A recessed guide groove 211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541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seated in the form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vex portion 541 of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540, A hole 212 may be formed.

또한, 상기 회전축(220)은 상기 관통홀(212)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210)의 회전을 도와주며 상기 측판(112)과 상기 롤러지지부에 형성된 연결홈(800)을 관통하여 양쪽 측판(112)의 외측에서 너트(600)로 고정될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2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2 to facilitate the rotation of the roller 210. The rotation shaft 220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groove 800 formed in the side plate 112 and the roller support portion, (Not shown).

이때, 상기 회전축(220)에는 상기 롤러(210)의 좌우 이동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도 상기 롤러(210)의 안내홈(211)과 상기 이탈방지부재(540)의 볼록부(541)가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비 ·바람에 의해 이동장치(10)가 한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레일(500)의 볼록부(541)에서 롤러(210)가 이탈되지 않고 좌우로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레일(5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캐노피는 접고 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even though the rotation shaft 220 is provided with no means for preventing the roller 210 from moving leftward and rightward, the guide groove 211 of the roller 210 and the convexity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540 The roller 210 is not separated from the convex portion 541 of the rail 500 even if the moving device 10 is subjected to a force in one direction due to rain or wind, It can safely move without being detached from the rail 500, so that the canopy can be folded and unfolded.

또한, 상기 제1 롤러부(200)의 하부에는 상기 수직지지부재(520)를 기준으로 양쪽에 대칭되게 2개의 제2 롤러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second roller units 30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oller unit 20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member 520.

여기서, 제1, 2 롤러부는 하나의 이동장치(10)의 전 ·후 로 2개 씩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롤러부(200)는 2개의 롤러(210)가 설치되고 제2 롤러부(300)는 4개의 보조롤러(310)가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roller units may be installed before and after the one moving device 10, so that the first roller unit 200 is provided with two rollers 210, The unit 300 may be provided with four auxiliary rollers 310.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롤러부(300)는 상기 레일(500)의 바닥부재(51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500)의 상기 오목부(542)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외주면은 상기 오목부(54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에는 회전 및 고정을 위한 축 고정홈(311)이 형성되는 보조롤러(310)를 포함할 수 있다.6 to 8, the second roller part 30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510 of the rail 500 and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art 542 of the rail 500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ess 542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roller 310 having a shaft fixing groove 311 formed at its center for rotation and fixing .

아울러, 상기 보조롤러(310)를 상기 양 쪽 측판(112)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고정축(320)이 마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롤러(310)가 연결되는 상기 고정축(320)은 상기 축 고정홈(311)에 끼워지며 타측은 너트(600)에 의해 상기 측판(112)의 외측면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fixing shaft 32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auxiliary roller 310 to the both side plates 112. Specifically, the fixing shaft 320, to which the auxiliary roller 310 is connected, And the other side is fixed at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12 by the nut 600. [

이때, 상기 고정축(320)은 회전하지 않고, 보조롤러(310)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ing shaft 320 does not rotate but only the auxiliary roller 310 rotates.

이렇게, 제1 롤러부(200)의 롤러(200)는 상부 중앙에 위치해 있고, 제2 롤러부(300)의 보조롤러(310)는 상기 롤러(2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삼각형의 형태가 되어 지붕을 지지하는 프레임(50) 및 브라켓(60)에 의해 상부에서 받는 힘을 적절히 분배하여 이동장치(10)가 받는 하중을 줄임으로서 이동장치(10)가 레일(500) 위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장치(1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The roller 200 of the first roller unit 20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and the auxiliary roller 310 of the second roller unit 300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oller 210, The frame 50 supporting the roof and the bracket 60 appropriately distribute the force received from the upper portion to reduce the load received by the moving device 10 so that the moving device 10 can move smoothly on the rail 500 And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mobile device 10.

또한, 제1 롤러부(200)의 롤러 및 제2 롤러부(300)의 보조롤러(310)가 둥근 형태로 이루어져 강한 바람 등으로 인해 한쪽 측면이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그 힘을 수용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롤러(210)는 오목하게 형성되고, 보조롤러(310)가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롤러(210)에서 받는 힘에 의해 롤러(210)와 보조롤러(310)가 더욱 밀착되어 상부에서 큰 힘을 받더라도 롤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roller of the first roller unit 200 and the auxiliary roller 310 of the second roller unit 300 are formed in a round shape and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thereof due to strong wind or the like, Wherein the roller 210 is concave and the auxiliary roller 310 is convexly formed so that the roller 210 and the auxiliary roller 310 are moved by the force received by the roller 2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ller from being detached even if it receives a large force from the upper part.

아울러, 상기 제2 롤러부(300)가 상기 수직지지부재(520)의 양 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 것은 레일(500)과 이동장치(10)의 부피를 최소화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second roller portion 300 is formed to be symmetrical to both sides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520 in order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rail 500 and the moving device 10.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320)의 일측은 상기 고정축(320)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형의 1단부(325)와, 상기 1단부(325)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와 하부는 수평하게 이루어지고 좌우 양측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2단부(326)를 포함할 수 있다.8, one end of the fixed shaft 320 has a circular first end 325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xed shaft 320, and a second end 325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first end 325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may be horizontal,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include two ends 326 formed in a circular shape.

이렇게 고정축(320) 일측의 단차가 2단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롤러(310)의 축 고정홈(311)은 이에 대응하는 형성으로 이루어져 축 고정홈(311) 역시 단차가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tep on one side of the fixed shaft 320 is formed in two stages, the shaft fixing groove 311 of the auxiliary roller 310 is formed correspondingly, and the shaft fixing groove 311 may also be formed with a step .

이렇게 단차가 형성된 상태로 상부 및 하부가 수평하고 양 측은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축(320)의 일측 끝단 중앙에는 가로방향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베어링삽입홈(3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관통되는 수직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A bearing insertion groove 322 which horizontally extends horizontally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fixed shaft 320, which has a top and a bottom in a state where the step is formed and a circular shape on both sides, A vertical groove 323 vertically penetrating the lower portion may be formed.

이때, 상기 제2 롤러부(300)의 상고 고정축(320)의 상기 베어링삽입홈(322)에 베어링(400)이 삽입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aring 400 can be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ion groove 322 of the upper fixing shaft 320 of the second roller portion 300.

그리고 상기 베어링삽입홈(322)에 삽입된 베어링(40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수직홈(323)에는 베어링고정봉(350)이 삽입되어 상기 베어링(400)을 고정함으로써 상기 베어링(400)은 상기 보조롤러(310)의 회전 시 상기 수직지지부재(520)의 양측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In order to fix the bearing 400 inserted into the bearing insertion groove 322, the bearing 400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groove 323 by inserting the bearing fixing rod 350, And can rotate along both side surfaces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520 when the auxiliary roller 310 rotates.

즉, 상기 베어링(400)은 상기 레일(500)의 수직지지부재(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That is, the bearing 40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520 of the rail 500.

여기서, 상기 베어링(400)은 상기 보조롤러(310)와 고정축(320)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상기 수직지지부재(520)의 측면에 접하면서 회전되어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지지부재(520)가 상기 고정축(320)에 의해 긁히거나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며 이동장치(10)가 한쪽방향으로 치우쳐 이동되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Since the bearing 400 is rota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520 so as to protrude more than the auxiliary roller 310 and the fixed shaft 320, Is prevented from being scratched or damaged by the fixed shaft 320 and is prevented from being shifted or twisted in one direction.

또한, 상기 제2 롤러부(300)의 고정축(320)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축(320)의 직경보다 작은 단차홈(321)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홈(321)에 끼워지도록 상기 단차홈(321)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끼움홈(710)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회전방지편(700)이 마련되되, 상기 회전방지편(700)은 상기 측판(112)의 외측면과 상기 너트(600) 사이에 위치한 고정축(320)의 단차홈(321)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 stepped groove 321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3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ed shaft 320 of the second roller part 300 and is inserted into the stepped groove 321, The rotation preventing piece 700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710 formed to have the same diameter as the diameter of the side plate 112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side plate 112, May be formed to fit into the stepped groove (321) of the fixed shaft (320)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shaft (600).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축(320)이 오목홈에 끼워지는 보조롤러(3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측판(112)을 관통하여 너트(600)에 고정될 때 상기 측판(112)의 외측에 너트(600)가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간격의 틈이 발생되도록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너트(600)와 상기 측판(112) 사이의 틈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축(320)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다.When the fixing shaft 320 is fixed to the nut 600 through the side plate 112 in a state where the fixing shaft 320 is fixed to the auxiliary roller 310 fitted in the concave groove, 600 are not tightly adhered to each other but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nd a step is formed on the fixing shaft 320 located in a gap between the nut 600 and the side plate 112.

그리고, 상기 회전방지편(700)의 끼움홈(710)이 상기 측벽과 상기 너트(600) 사이의 고정축(320)에 형성된 단차홈(321)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이동장치(10)가 레일(500)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상기 고정축(320)은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베어링(400)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fitting groove 710 of the rotation preventing piece 700 is fitted in the stepped groove 321 formed in the fixed shaft 320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nut 600, The fixed shaft 320 maintains a fixed state without being rotated even when moved along the shaft 500, so that the bearing 400 can b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이때, 상기 단차홈(321)의 형상은 다양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상기 단차홈(321)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축(320)의 직경보다 작은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은 수직하게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stepped groove 321 may be various. In an embodiment, the stepped groove 321 has a circular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being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320, May be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단차홈(321)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축(320)의 직경과 동일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은 상기 고정축(320)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수직하게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져 고정축이 흔든리거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epped groove 321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l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320.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pped groove 321 are perpendicular to the fixed shaft 320, So that the fixed shaf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haken or rotated.

다시 한 번 설명하면, 상기 고정축(32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고정축(320)이 회전하게 되면 고정축(320)의 회전에 따라 베어링(400)이 함께 회전하여 수평방향이 아닌 사선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면 수직지지부재(520) 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고 수직지지부재(520)의 측면을 긁으면서 이동하게 되어 레일(500)이 손상되고 이동장치(10)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축(320)의 단차홈(321)에 회전방지편(700)을 끼워 고정축(32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fixed shaft 320 is not fixed and the fixed shaft 320 is rotated, the bearing 400 rotates together with the fixed shaft 320 to rotate the fixed shaft 32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vertical support member 520 can not move smooth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520 and is moved while scraping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520 to damage the rail 500, In order to prevent the movement of the fixed shaft 320, the rotation preventing member 700 is inserted into the stepped groove 321 of the fixed shaft 320 to prevent the fixed shaft 320 from rotating.

이에 따라 베어링(400)이 하여 수직지지부재(5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여 이동장치(10)가 레일(500)을 이동할 때 레일(500)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이동 가능하고 외부에서 강한 비람이 불어 충격이 전해지더라도 뒤틀림 없이 안전하게 이동하여 캐노피를 원활하게 접고 펼 수 있는 것이다.The bearing 400 is smooth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520 so that the moving device 10 can be moved without damaging the rail 500 when the rail 500 moves, Even if the impact is transmitted by a strong wind, it can move safely without twisting and smoothly fold the canopy.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이동장치
100: 하우징
200: 제1 롤러부
300: 제2 롤러부
400: 베어링
500: 레일
700: 회전방지편
10: Mobile device
100: Housing
200: first roller portion
300: second roller portion
400: Bearings
500: rail
700: rotation prevention piece

Claims (5)

지붕을 지지하는 아치형상의 다수의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면 중앙부분에 호 형상으로 돌출되는 볼록부가 형성되고 하면의 양측에는 상면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가 마련되는 이탈방지부재와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하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지지부재 및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부재를 포함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케노피를 접거나 펴는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로서,
사각형상의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양 끝단에서 하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판과, 상기 상판의 양 끝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브라켓 고정판과, 상기 상판의 양 끝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하부를 향해 돌출형성되고 끝단은 다시 측판을 향해 수징으로 연장되는 롤러지지판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롤러지지판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상기 볼록부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에는 오목한 안내홈이 형성되고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롤러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며 양쪽 측판에 너트로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제1 롤러부;
상기 바닥부재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롤러와 삼각형 형태로 배치되며 중앙에 축 고정홈이 형성되는 보조롤러와, 일측은 상기 축 고정홈에 끼워지며 타측은 너트에 의해 상기 측판에 고정되는 고정축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지지부재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제2 롤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롤러부는
상기 고정축의 일측 끝단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베어링삽입홈 및 수직하게 관통 형성되는 수직홈에 삽입되는 베어링고정봉에 의해 삽입 고정되어 상기 보조롤러의 회전 시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양측면을 따라 회전하는 베어링이 더 포함되며,
상기 고정축의 일측은 상기 고정축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원형의 1단부와, 상기 1단부보다 더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와 하부는 상기 1단부의 직경과 같은 높이로 수평하게 이루어지고 좌우 양측은 원형으로 이루어진 2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롤러의 축 고정홈은 이에 대응하는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
A convex portion protruding in an arc shap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frame and a concave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so as to be concave toward the upper surface, And a bottom membe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wherein the bottom support member is vertically extended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and the bottom member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A bracket fixing plat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wardly from the upper ends of the u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nd a side plat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 housing including a roller supporting plate protruding toward the lower portion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to the inside and having an end extended to the side plate toward the side plate;
A roller disposed between the roller support plates and having a concave guide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vex portion of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first roller portion including a first roller portion;
An auxiliary roller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in a state of being seated on the bottom member and arranged in a triangular shape with the roller and having a shaft fixing groov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second roller portion including a fixed shaft fixed to the vertical support member and form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upport member,
The second roller portion
A bearing insertion groove formed horizontally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a center of one end of the fixed shaft and a bearing fixing rod inserted in a vertical groove vertically penetratingly formed to be inserted and fixed along both sides of the vertical support member during rotation of the auxiliary roller, Further comprising a rotating bearing,
Wherein one end of the fixed shaft has a circular one end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fixed shaft and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one end portion whil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horizontally arranged at the same height as the diameter of the one end portion, And a shaft fixing groove of the auxiliary roller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ft fixing groove of the auxiliary roll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부의 고정축의 타측에는 상기 고정축의 직경보다 작은 단차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홈에 끼워지도록 상기 단차홈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끼움홈이 형성되는 판 형상의 회전방지편이 마련되되,
상기 회전방지편은 상기 측판의 외측면과 상기 너트 사이에 위치한 고정축의 단차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ate-shaped anti-rotation member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shaft of the second roller unit, wherein a stepped groov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is formed, and a fitting groove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stepped groove is formed to fit into the stepped groove ,
Wherein the rotation preventing piece is fitted in a stepped groove of a fixed shaft located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the nu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축의 직경보다 작은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은 수직하게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epped groove have a circular shap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pped groove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의 상부 및 하부는 상기 고정축의 직경과 동일한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좌우 양측은 상기 고정축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수직하게 직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epped groove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le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at of the fixed shaft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pped groove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with a smaller width than the diameter of the fixed shaft.
KR1020170049507A 2017-04-18 2017-04-18 A moving device of sliding opening and shutting type canopy KR1017974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07A KR101797430B1 (en) 2017-04-18 2017-04-18 A moving device of sliding opening and shutting type canopy
PCT/KR2018/004504 WO2018194373A1 (en) 2017-04-18 2018-04-18 Apparatus for moving sliding-foldable canop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507A KR101797430B1 (en) 2017-04-18 2017-04-18 A moving device of sliding opening and shutting type canop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7430B1 true KR101797430B1 (en) 2017-11-13

Family

ID=60386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507A KR101797430B1 (en) 2017-04-18 2017-04-18 A moving device of sliding opening and shutting type canop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7430B1 (en)
WO (1) WO2018194373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788B1 (en) * 2019-06-26 2020-06-01 주식회사 동아지질 Deep cement mixing device capable of sea construction even at low tide
KR102175172B1 (en) * 2020-03-09 2020-11-06 김성호 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having earthquake resistant
CN113107148A (en) * 2021-04-19 2021-07-13 南通理工学院 Outdoor ceiling that facilitates use
KR20220003373A (en) * 2020-07-01 2022-01-10 김성호 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having earthquake resista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85728B (en) * 2019-08-30 2020-05-08 广东昊粤建设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rubber-plastic blended waterproof coiled materi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573Y1 (en) * 2011-11-28 2012-07-20 주식회사 동아시스템 open type t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4924A (en) * 1987-12-10 1989-06-16 Ohbayashi Corp Floating preventive device for travelling truck
JP3211907B2 (en) * 1992-10-01 2001-09-25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Retractable roof structure
KR200394260Y1 (en) * 2005-06-20 2005-08-31 박종문 Door hanger for high and low regulation of sliding hanger door
KR20150065027A (en) * 2013-12-04 2015-06-12 조기철 An equipment for horizontal t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573Y1 (en) * 2011-11-28 2012-07-20 주식회사 동아시스템 open type t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7788B1 (en) * 2019-06-26 2020-06-01 주식회사 동아지질 Deep cement mixing device capable of sea construction even at low tide
KR102175172B1 (en) * 2020-03-09 2020-11-06 김성호 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having earthquake resistant
KR20220003373A (en) * 2020-07-01 2022-01-10 김성호 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having earthquake resistant
KR102451166B1 (en) * 2020-07-01 2022-10-05 김성호 Device for fixing panels on the wall having earthquake resistant
CN113107148A (en) * 2021-04-19 2021-07-13 南通理工学院 Outdoor ceiling that facilitates use
CN113107148B (en) * 2021-04-19 2022-04-12 南通理工学院 Outdoor ceiling that facilitates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4373A1 (en)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7430B1 (en) A moving device of sliding opening and shutting type canopy
KR101653114B1 (en) Roller apparatus for sky awning and, sky awning comprising the same
NL2008069C2 (en) SUN PROTECTION.
US7380854B1 (en) Device for removing water and other debris from the roof of an expandable room on a vehicle
AU2015203631A1 (en) High-Ceiling Tent Frame
US7891152B2 (en) Sliding door arrangement
KR200445900Y1 (en) Umbrella fastened to a streetlight pole
KR101541253B1 (en) awning for adjusting awning angle
KR102062356B1 (en) The opening and shutting device of sliding type roof
FR3069264B1 (en) FLOOR SYSTEM, IN PARTICULAR FOR TRANSPORTABLE MODULES
KR101067428B1 (en) Folding roof structure that maintenance is easy
CN102312650A (en) Be used to roll and launch the device of veil such as curtain
KR20160004228A (en) Inverted umbrella comprising double awning structure
JP2016089492A (en) Waterproof device for opening
KR20120109703A (en) Tent which possible adjusting height and folding
CN205743969U (en) Screen assembly
KR101541394B1 (en) Expanding and unfolding type movable barracks trailer
KR200480068Y1 (en) Folding door moving unit device
KR200292586Y1 (en) Apparatus for unfolding awning with pent roof
KR200430807Y1 (en) Electromotion roll screen device
KR101207949B1 (en) Canopy with auto ascent and descent function of center frame
KR102439742B1 (en) Installing Apparatus of a bridge lamp
KR20210081938A (e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manhole cover for easy storage and movement
JP6708880B2 (e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KR102288505B1 (en) Roll Screen Device Comprising Wrinkle Free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