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578B1 - Device for displaying realistic experience - Google Patents

Device for displaying realistic experi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578B1
KR101796578B1 KR1020150034997A KR20150034997A KR101796578B1 KR 101796578 B1 KR101796578 B1 KR 101796578B1 KR 1020150034997 A KR1020150034997 A KR 1020150034997A KR 20150034997 A KR20150034997 A KR 20150034997A KR 101796578 B1 KR101796578 B1 KR 10179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display
type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9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0828A (en
Inventor
박혜선
김태준
김기남
김호원
손성열
조규성
박창준
최진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34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578B1/en
Publication of KR2016011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8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5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Abstract

본 발명은 실감체험장치로서,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정보의 특성 또는 환경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된 정보의 표현형태와 시기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표현형태와 시기를 입력 받아 표시범위와 표출형태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ation experience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A classifying unit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r environment of information; A judging unit for judging the form and timing of the classified information;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display range and the display mode based on the display style and the timing.

Description

실감체험정보 표출 장치{Device for displaying realistic experience}Device for displaying realistic experience "

본 발명은 거울형 디스플레이 특성 기반으로 사용자가 쉽게 이해하고 인지할 수 있는 실감체험정보 표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ation experienc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which can be easily understood and recognized by a user based on a mirror type display characteristic.

최근에는 길가, 점포 또는 공공시설 등에 표시되어 있는 포스터나 안내표시, 간판 등 기존의 하드웨어 매체가 아닌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종 콘텐츠와 메시지를 제공하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라는 기계가 보편화되고 있어 이를 통해 기존의 단방향의 광고 매체가 아닌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방향으로 광고 매체가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digital signage machines, which provide various contents and messages through digital displays instead of conventional hardware media such as posters, guide signs, and signboards displayed on roads, shops, or public facilities, Advertising media are being developed in a direction that enables two - way communication instead of the conventional unidirectional advertising medium.

과거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콘텐츠의 대부분은 단순히 정보를 보여주는 형태였으나, IT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정보, 즉 양방향 서비스가 지원되는 지능화된 형태로 발전하고 있으며, 인터랙티브(interactive)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이러한 참여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창출하며, 이용자의 반응에 대한 수량화된 데이터를 축적하여 또 다른 기술에 접목 및 활용하기도 한다. In the past, most digital signage-based contents were merely showing information, but as IT technology developed, they developed intelligent information supporting the situation of the user, that is, interactive service, and through interactive service They engage directly with users, create new experiences through participation, accumulate quantified data on user responses, and incorporate them into other technologies.

이러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정보제공 장치들은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역, 지하철, 레스토랑 입구 또는 공항 등 사람들이 모이고 많이 지나가는 장소에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The information providing devices using the digital display are used in various places, and they are installed so that they can be exposed to places where people, such as a station, a subway, a restaurant entrance or an airport, gather and pass a lot.

그런데, 최근에는 광고에 노출(exposure)되는 고객 외에 머무르며 시간을 보내는 장소에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자연스럽게 접하는 실제 광고를 시청하는 고객(viewership)이 늘어나고 있다. In recent years, however, viewers are increasingly watching actual advertisements that naturally come into contact with digital displays in a place where they spend their time staying outside the customers who are exposed to advertisements.

예를 들면, 최근 미용실에서는 고객 자리에 소형 디스플레이를 장착하여 디자이너의 이력, 최근 머리 스타일 동향, 이벤트 프로모션 및 고객이 할 시술 내역 등에 대해 정보를 제공해 주기도 하고, 신제품 출시에 대한 광고를 하기도 한다.For example, a recent beauty salon has a small display at the customer's site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signer's history, recent hair style trends, event promotions and customer's procedures, and advertisements for new product launches.

그러나, 앞으로는 이러한 소형 디스플레이를 따로 설치할 필요 없이, 미용실이나 휘트니스 클럽의 경우 자신의 모습을 관찰하기 위한 거울이 단순한 거울이 아닌, 디스플레이 기능이 접목되어 이와 같은 기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However, in the future, it will not be necessary to install such a small display separately, and in the case of a beauty salon or a fitness club, a mirror for observing the user's own image will be provided with a display function, not a simple mirror.

이미 여러 브랜드와 Kinect기술을 접목하여 가상 의류 피팅 테스트와 같이 거울형 디스플레이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BOE의 거울 디스플레이, 하버드와 MIT의 공동 연구한 Vital Signs 및 뉴욕타임지 R&D 랩의 Magic mirror 등 몇 가지 시제품이 있다.Techniques are already being developed to provide information to mirrored displays, such as virtual clothing fitting tests, by combining multiple brands with Kinect technology, including BOE mirror displays, Vital Signs collaborated with Harvard and MIT, and New York Times R & D There are several prototypes, including the Magic mirror of the lab.

이러한 거울형 디스플레이는 종래의 콘텐츠 및 광고 등의 여러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와는 다르게, 사용자의 모습이 보이고, 사용자 모습 주변에 다른 정보들이 나열되는 형태를 띄우게 된다. Unlike a conventional display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ontents and advertisements, the mirror-type display has a form in which a user's appearance is visible and other information is arranged around the user's appearance.

거울형 디스플레이는 일차적으로 내 모습을 보기 위한 것이 1차적 목적이고, 그 다음으로 내 모습의 향상된 정보,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 필요해 보이는 정보 또는 흥미가 있어 보이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2차적 목적이다.Mirror displays are primarily intended for primary viewing, and secondly, to provide enhanced information about the user, information that is useful to the user, information that is needed, or information that is likely to be of interest.

따라서, 거울형 디스플레이의 1차적 목적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2차적 목적을 잘 부합하기 위해, 거울형 디스플레이의 특성 및 제공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인지성, 시인성 및 주목성 등을 향상하는 정보표출 장치가 필요하다.Therefore, in order to better meet the secondary purpose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nfringe on the primary purpose of the mirror-type display, information presentation which improves the user's perception, visibility and atten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nformation of the mirror- A device is need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거울형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모습과 자연스럽게 부합되어 사용자에게 거슬리지 않는 범위 안에서 정보를 표출하되, 표출된 정보에 대해 사용자가 인지하기 쉽고, 나아가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제공 정보의 확장을 유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information in a range that does not disturb the user by naturally matching the appearance of the user in the mirror-type display, and it is easy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displayed information, furth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duce the expansion of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감체험정보 표출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정보를 정보의 특성 또는 환경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된 정보의 표현형태와 시기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표현형태와 시기를 입력 받아 표시범위와 표출형태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ensory experienc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A collecting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isplay; A classifying unit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r environment of information; A judging unit for judging the form and timing of the classified information; And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display range and the display mode based on the display style and the timing.

본 발명에 따르면, 거울형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 거울형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장소 및 디스플레이 크기 등 거울형 디스플레이 기반으로 사용자가 실감체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다양한 조건 하에서 사용자가 제공받은 정보를 쉽고 편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comfortably provide information provided by a user under various conditions in which the user can receive the sensation experience information based on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irror type display, the place where the mirror type display is installed, There is an appreciable advan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체험정보 표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부의 동작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의 동작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sensation experience information displa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class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lass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singular phrase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be interpreted generally to mean " one or more "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주로 거울의 특성(반사율, 좌우대칭된 표현 등)을 고려한 표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내용을 기술화한 기존 발명과는 달리, 인간공학 및 인지공학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거울형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정보들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유형에 따라 정보의 형태 및 크기를 결정해, 제공 빈도와 시기를 판단하는 거울형 디스플레이 기반 실감체험 정보 표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existing invention in which th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irrors (reflectivity, left-right symmetrical expression, etc.) are taken into account, an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ies on ergonomic and cognitive enginee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rror-type display-based real-life experience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classifying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by type, determining the type and size of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determining frequency and timing of providin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감체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ensation experie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실감체험정보 표출 장치(100)는 수집부(110), 분류부(120), 판단부(130), 결정부(140) 및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sensory experience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100 includes a collecting unit 110, a classifying unit 120, a determining unit 130, a determining unit 140, and a display 150.

수집부(110)는 디스플레이(150)에 나타나는 광고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수집한다. 광고 정보는 디스플레이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정보 및 흥미 유발을 위한 모든 정보를 말하며, 사용자 정보는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자의 정보를 말한다. 사용자 정보는 디스플레이(150)에 장착된 Kinect 및 Webcam 등의 비전 센서(vision sensor) 및 설치된 정보 입력 소프트웨어를 통해 수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에 장착된 비전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되면 이를 기준으로 얼굴 추정 알고리즘, 키 예측 알고리즘 등의 기존 사용자 추정 알고리즘과 사용자 분류 DB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The collection unit 110 collects advertisement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appearing on the display 150. The advertisement information refers to general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all information for inducing interest, and the user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of a person using the display. The user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through a vision sensor such as Kinect and Webcam mounted on the display 150 and installed information input software. Specifically, when the user's information is input based on the vision sensor mounted on the display, the user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using the existing user estimation algorithm such as the face estimation algorithm and the key prediction algorithm and the user classification DB.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150)에 직접 입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user information to the display 150. [

분류부(120)는 수집부(110)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정보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고, 디자인 및 환경 측면을 고려하여 정보를 분류할 수 있다. 이하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classifying unit 120 classifies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collecting unit 110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and classifies the information in consideration of design and environmental aspects.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

판단부(130)는 분류부(120)로부터 분류된 정보를 제공받아 정보깊이, 거울과의 거리 또는 정보중요도에 따라 그 표현형태와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receive the classified information from the classification unit 120 and determine the presentation type and timing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epth, distance to the mirror, or information importanc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결정부(140)는 판단부(130)로부터 제공 형태 및 시기를 입력 받아 표시 범위와 표출형태를 결정한다. 결정부(140)는 분류부(120) 및 판단부(130)로부터 정보의 유형 및 거울형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된 정보의 표현형태와 시기를 디스플레이의 주변 환경에 따라 구분하여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The determination unit 140 determines the display range and the display format based on the type and timing provided by the determination unit 130. The determining unit 140 can determine information by dividing the form and timing of the information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inform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display from the classifying unit 120 and the determin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display have.

예를 들어, 조명 밝기에 따라 제공 정보의 색감을 결정하고, 디스플레이의 사용 용도(일대일 또는 일대다수 인지 여부)에 따라 표시범위와 제공 정보양을 결정한다. 헬스장이나 옷가게 등은 사용용도가 일대일이기 때문에 판단부(130)에서 결정된 제공 형태와 시기에 따라 결정부(140)는 그대로 표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or of the provided informa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light, and the display range and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provided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 purpose (whether one-on-one or one-to-many) of the display. Since the usage purpose is one-to-one, the decision unit 140 can be displayed as it is according to the form and timing determined by the judgment unit 130.

디스플레이(150)는 거울형 디스플레이 기반 실감체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결정부(140)로부터 거울형 디스플레이 특성과 정보 유형 등에 따라 결정된 정보제공의 형태, 시기 및 표출방식에 맞추어 결정된 정보를 그래픽으로 가공하여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150)는 주로 거울형 디스플레이가 이용되나 사용자의 모습을 반영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면 적용 가능하다.
The display 150 can output mirror-based display-based feeling experience information. Information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timing, and presentation method of information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irror type display characteristic, information type, etc. from the determination unit 140 is graphically processed and output to the user. The display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used in a mirror-type display but can be applied to a display surface that can reflect the user's appearanc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class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분류부(200)는 정보특성 기반 정보분류모듈(210) 및 환경 기반 정보분류모듈(2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lassification unit 200 includes an information property-bas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module 210 and an environment-bas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module 220.

정보특성 기반 정보분류모듈(210)은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들을 사용자특징정보(211), 사용자맞춤정보(212) 및 일반정보(213)의 3가지 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맞춤 정보를 서비스하여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함이다. The information property-bas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module 210 may classify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on unit into three pieces of information, that is,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211, the user-customized information 212, and the general information 213. This is to provide the user with customized information to increase the visibility.

사용자특징정보(211)로 분류되는 정보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신체 사이즈와 같은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특징정보(211)는 디스플레이에 설치된 사용자 입력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에게 직접 정보를 입력하기를 유도하여 수집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classified into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211 may be information such as the age, sex, or body size of the user. Such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211 can be collected by inducing the display to input information directly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input software installed in the display.

사용자맞춤정보(212)로 분류되는 정보는 스타일 또는 관심분야와 같은 정보를 예로 들 수 있다. 사용자맞춤정보(212)는 수집된 1차적 사용자특징정보(211)를 가공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맞게 필터 처리된 정보이다. The information classified into the user-customized information 212 may be information such as a style or an area of interest. The user-customized information 212 is information processed by processing the collected primary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211 and adapted to the user.

사용자맞춤정보(212)는 디스플레이에 설치된 사용자 입력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하여 수집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에 장착된 센서와 지능형 알고리즘을 통한 추정으로 수집 가능하다.The user customized information 212 may be collected by inputting user information directly through the user input software installed on the display, or may be collected through an estimation using an intelligent algorithm and sensors mounted on the display.

예를 들어, 헬스장에 장착된 거울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일 경우, 먼저 수집된 사용자특징정보(211)인 연령, 성별 및 신체 사이즈 정보가 있다면, 연령, 성별 및 신체 사이즈에 맞는 운동법 정보나 추천 운동복 스타일 등이 이에 해당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using a mirror-type display mounted on a gym, if there is information on the age, sex, and body size of the collected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211, Style of sportswear.

또 다른 예로는, 옷 가게에 설치된 거울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일 경우, 먼저 수집된 사용자특징정보(211)인 연령, 성별 및 신체 사이즈 정보가 있다면 연령, 성별 및 신체 사이즈에 맞는 최근 유행 스타일 정보나 어울릴 만한 추천 코디 정보가 이에 해당한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using a mirror-type display installed in a clothes shop, if there is age, gender, and body size information, which ar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211 collected first, the latest fashion style information This is the recommendation coordination information that may be suitable for me.

일반정보(213)로 분류되는 정보는 특정 광고 또는 흥미유발 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즉, 거울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일반적 사용자에게 관심을 유도하거나 상업적 목적 등을 위해 제공하는 정보가 여기에 해당한다. The information classified as the general information 213 includes specific advertisements or interest inducing information. In other words, this is information that attracts the attention of general users who use mirror displays, or provides them for commercial purposes.

예를 들면, 헬스장의 경우 운동 중 스포츠 음료 광고에 대한 정보, 스포츠 의류 광고 또는 운동을 하면서 지루하지 않도록 하는 동영상 광고 등이 일반정보(213)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gym, general information 213 is information on sports drink advertisements during sports, sports clothing advertisements, or video advertisements that do not get bored while exercising.

또 다른 예로, 옷 가게의 경우 해당 브랜드를 입은 연예인 사진이나 해당 브랜드의 신상품 소개 정보 등이 일반정보(213)이 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clothes store, a photograph of a celebrity wearing the brand, information on introducing a new product of the brand, and the like may be general information 213.

환경 기반 정보분류모듈(220)은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들을 디자인 및 환경 측면을 기반으로 하여 LTA형 정보(221), LTM형 정보(222), STA형 정보(223) 및 STM형 정보(224)의 4가지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노출빈도와 인지도에 따라 정보를 분류한다면, 사용자가 제공되는 정보를 빠르게 인지/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environment-bas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module 220 receives the LTA type information 221, the LTM type information 222, the STA type information 223, and the STM type information 224 ), And the like. This is because if the inform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xposure and awareness, the user can quickly recognize / understand the information provided.

먼저, ST(short term)형 정보는 노출 빈도가 낮은 정보를, LT(long term)형 정보는 노출 빈도가 높은 정보를 말하며, M(Manipulative)형 정보는 인지력이 높아야 하는 정보를 말하며, A(attractive)형 정보는 인지력이 비교적 낮지만, 문화 및 사회적 특징을 강조한 정보를 말한다. First, ST (short term) type information is information with low exposure frequency, LT (long term) type information is high frequency information, M (Manipulative) type information is high information, attractive type information is information that emphasizes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lthough it is relatively low in cognition.

따라서, M형 정보는 기능적 가독성을 높이도록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하는 반면, A형 정보는 미적 특징을 강조한 문화적 특수성이 함축되게 정보를 표현하여야 한다.Therefore, while type-M information should provide information to enhance functional readability, type-A information should express information that implies cultural specificity that emphasizes aesthetic features.

앞서 설명한 정보특성 기반으로 분류된 정보 중에 일반정보(213)의 경우는 STM형 정보(224)에 해당한다.Among the pieces of information classifie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perty described above, the general information 213 corresponds to the STM type information 224. [

예를 들어, 헬스장에 설치된 거울형 디스플레이에 스포츠 음료 광고에 대한 정보, 스포츠 의류 광고 또는 운동을 하면서 지루하지 않도록 하는 동영상 광고 등은 자신의 몸을 관찰하면서 운동하는 사용자에게 휴식시간이나 운동을 하지 않을 때 일시적으로 제공되는 정보이므로 노출 빈도가 적되, 짧은 시간에 광고효과를 내야 하는 가독성 및 인지성이 높은 정보이다. For example, in a mirror-type display installed in a gym, information on sports drink advertisements, sports clothing advertisements, or video advertisements that do not bore while exercising, This is information that is temporarily provided, so it is highly readable and highly recognizable information that has a low frequency of exposure and needs to be advertised in a short time.

다른 예로, 사용자맞춤정보(212)의 경우는 LTA형 정보(221) 또는 LTM형 정보(222)에 해당한다.As another example, the case of the user-customized information 212 corresponds to the LTA type information 221 or the LTM type information 222. [

예를 들어, 헬스장에 설치된 거울형 디스플레이에 자신의 연령, 성별 및 신체 사이즈에 맞는 운동법 정보를 제공할 때는,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을 때까지 다단계적으로 또는 다양한 표현 방법으로 정보를 계속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또한, 제공정보에 따라 표현방식의 미적 감각을 중시해야 하는 정보라면 LTA형 정보(221)에 해당하고, 제공 정보를 바로 사용자가 직시해야 하는 정보라면 LTM형 정보(222)으로 분류된다. For example, when providing mirrored displays in a gym, provide exercise information that is tailored to your age, gender, and body size, you must continue to provide information in a multistep or multi-expression manner until you can recognize it. do. In addition, if it is the information that should emphasize the aesthetic sense of the 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ovided information, it corresponds to the LTA type information 221, and if the provided information is the information that the user directly has to face, it is classified into the LTM type information 222.

또 다른 예를 들면 연령, 성별 및 신체 사이즈에 맞는 운동법에 대한 내용은 LTM형 정보(222)에 해당하고, 신체 사이즈 기반의 사용자 모습 정보나 운동 중 사용자에 틀린 동작 등에 대한 표현정보는 LTA형 정보(221)에 해당한다.For example, the exercis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ge, sex, and body size corresponds to the LTM type information 222, and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of the user based on the body size, (221).

따라서, 수집부를 통해 수집된 정보들은 정보특성 기반 정보분류모듈(210)에 의해 3가지 정보로 분류된 후, 그 특성에 따라 환경 기반 정보분류 모듈(220)에 의해 4가지 중 하나의 정보로 분류된다.
Accordingly,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collecting unit i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of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property-bas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module 210, and classified by the environment-bas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module 220 into one of the four pieces of information do.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류부의 동작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classify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거울형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신체 전부를 캡쳐 또는 모션을 추정할 수 있는 비전 센서를 포함한다. 거울형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얼굴특징을 추출할 수 있고, 아바타 생성을 통해 사용자의 연령 및 신체사이즈를 수집/추정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하여 사용자특징정보를 수집하고 이 정보들을 분류할 수 있고, 분류된 DB와 매핑한 결과 사용자특징정보가 LTM형 정보로 분류된 결과를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 a mirrored display includes a vision sensor capable of capturing or estimating motion of the entire body of a user. The mirror-type display can extract the faci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 and can collect / estimate the age and body size of the user through avatar generation. Based on this,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and classified, and as a result of mapping with the classified DB, the result that the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the LTM type information can be know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판단부(400)는 정보깊이 기반 판단모듈(410), 거울과의 거리 기반 판단모듈(420) 및 정보중요도 기반 판단모듈(43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determination unit 400 includes an information depth determination module 410, a distance based determination module 420 and a information importance based determination module 430.

STM형 정보는 인지공학적으로 적시성(timeliness), 무과실성(errorless), 간결성(conciseness)이라는 시각화 속성을 지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즉시 인지할 수 있는 간단한 도형의 형태로 표현되어야 하며, 표출 위치는 사용자가 보는 시야각 안에 최대한 가깝게 나타나되, 거울 디스플레이 특성상 사용자의 모습을 가리지 않는 방향으로 표출되어야 한다.Since STM type information has cognitive engineering properties such as timeliness, errorlessness, and conciseness, it should be expressed in the form of a simple figure that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by the user. It should be displayed as close as possible to the viewing angle, and should be displayed in a direction that does not discriminate the user's vie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display.

또한 형태, 크기 및 표출 위치는 거울형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사이즈 및 사용자의 인지능력(연령 등 사용자 정보를 통한 유추) 등 정의된 표준 표출 형태에 따른다.In addition, the shape, size, and display location are in accordance with a defined standard display format such as resolution, size, and user's cognitive ability (analogy with user information such as age) of the mirror type display.

LTM형 정보는 인지적 수준을 넘어 영향적 수준에서 사용자 조작과 표현이 가능해야 하는 정보 유형으로 완전성(completeness), 영상해석능력(interpretability)라는 시각화 속성을 지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는 다단계로 표현되어야 하며, 사용자의 인지에 따라 그 단계의 깊이 및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표출되어야 한다.LTM type information is a type of information that should be able to be manipulated and expressed at an influential level beyond the cognitive level, and has a visualization attribute called completeness and image interpretability. Therefore, And it should be expressed by the depth of the step and various expression methods according to the user's perception.

즉, 정보깊이 기반 판단모듈(410)은 상기 정보의 종류 및 시각화 속성에 따라 정보제공의 형태와 시기를 다르게 판단한다. That is, the information depth-based determination module 410 determines the form and timing of information provision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and the visualization attribute.

예를 들어, 헬스장에 설치된 거울형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연령, 성별 및 신체 사이즈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맞는 운동법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고자 할 때 이는 LTM형 정보이기 때문에, 분류부는 먼저 운동법을 운동 부위별(예: 상체, 팔뚝, 복부 등) 또는 운동형태별(예: 다이어트, 몸매교정 등)로 정보를 분류한다. 다음으로 정보깊이 기반 판단모듈(410)은 분류된 정보를 단계적으로 순서화 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에 맞추어 정보제공 시기와 형태를 판단한다.For example, in a mirror-type display installed in a gymnasium, when it i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exercise method suitable for the user based on the user's age, sex and body size information, since the LTM type information is used, (Eg, upper body, forearm, abdomen, etc.) or exercise type (eg diet, body correction, etc.). Next, the information depth-based determination module 410 orders the classified information step by step and judges the timing and type of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eedback of the user.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정보에 따라 '복부 다이어트 운동법'이 선택되었을 경우라면, 정보깊이 기반 판단모듈(410)은 스트레칭 운동부터 차례대로 근력운동 순서로 정보를 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을 결정하며, 사용자가 제공정보를 인지하고 제대로 반응했을 경우 다음 단계로 넘어가고, 그렇지 못하다고 판단되면 같은 정보를 연속 제공(예: 반복 제공)하거나 좀더 인지하기 쉽도록 부가 정보(예: 좀더 상세한 정보)를 제공 또는 다른 형태(예: 깜박임, 강조표현, 음성 복합 등)로 강화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고 판단한다.More specifically, if 'abdominal dieting exercis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 information, the information depth based decision module 410 determines that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in order of the exercise sequence from the stretching exercise,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for example, more detailed information) to make it easier to recognize, or to provide the same information continuously (for example, repeatedly) (Eg, blinking, highlighting, voice complexity, etc.).

거울과의 거리 기반 판단모듈(420)은 사용자와 거울 간의 거리에 따라 정보제공의 형태와 시기를 다르게 판단한다. 거리에 따른 판단은 거울형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고려한 방법으로 인간공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형태와 시기를 결정한다. The distance based decision module 420 determines the type and timing of information provision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irror. Judgment based on the distance determines the shape and timing based on the results of ergonomic research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rror type display.

거울과 사용자의 거리에 따라 거울에 비치는 상의 크기 및 사용자가 볼 수 있는 자신의 모습 범위가 달라지기 때문에, 일반 거울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거리나 자신의 모습 어디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거리를 두는 반면, 정보와 사용자의 모습이 함께 디스플레이 되는 거울형 디지털 디스플레이의 경우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정보의 위치, 크기 및 필요도에 따라 사용자와 디스플레이와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Since the size of the image reflected on the mirror and the range of the image that the user can see vary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the mirror and the user, in the case of a normal mirror,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focuses on his / In the case of a mirror-type digital display in which information and a user's view are displayed tog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may vary according to the position, size, and necessity of the user's preferred information.

거울과의 거리 기반 판단모듈(420)은 거울형 디지털 디스플레이와 사용자 간의 거리를 근거리 및 원거리로 나누었을 때 나타나는 사용자 행동 패턴과 자신의 모습을 가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보 창을 조작하고, 정보 파악을 원하는 사용자 심리 패턴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보의 크기 및 정보제공 방향을 결정한다. 정보의 크기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와 거울의 거리가 멀면 커지고 가까우면 작아진다. The distance-based decision module 420 with the mirror manipulates the information window in a range that does not discriminate the user behavior pattern and the user's appearanc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mirror type digital display and the user is divided into near and far distanc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of the desired user psychological pattern, the size of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of providing information are determined. The size of the information basically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irror increases, and de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mirror increases.

거울과의 거리 기반 판단모듈(420)은 사용자의 좌우 방향 위치 이동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가 서로 반대 방향에서 서로를 향해 다가오도록 하고, 중앙에서 만난 후 사용자가 다시 이동하면 교차되어 멀어지도록 정보제공 방향을 결정한다. The distance-based decision module 420 with the mirror determines that the user and the information are approaching each other in the opposite direction according to the lateral movement of the user, and when the user moves again after meeting at the center, .

또한 거울과의 거리 기반 판단모듈(420)은 사용자와 디스플레이의 거리의 변화에 따라 제공 정보의 양 및 세분화 등을 결정한다. Further, the distance-based determination module 420 determines the amount and subdivision of the provided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예를 들어, 거울과의 거리 기반 판단모듈(420)은 사용자와 디스플레이의 거리를 확인해 사용자가 거울에 가까이 다가오면 사용자가 누구인지 인식하고 그에 맞는 관심정보(예: 취미표시, 관련이미지 등)를 보여주고, 더욱 가까이 다가오면 정보에 대한 관심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기존 정보와 관련된 자세한 정보를 보여줄 것을 결정한다.For example, the distance-based decision module 420 with the mirror identifie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and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mirror, the user recognizes who the user is and adds interest information (e.g., hobbies, related images, etc.) And when it comes closer, it decides to show mo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isting information by considering it as interested in information.

정보중요도 기반 판단모듈(430)은 제공되는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정보제공 시기를 다르게 판단한다.The information importance based determination module 430 determines the information providing tim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provided informa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헬스장에 설치된 거울형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정보기반 맞춤형 운동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정보에 따른 효과를 보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정보들 중, 일반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는 그 중요도가 낮고, 사용자에게 운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정보나 사용자의 현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는 그 중요가 높다. 따라서 정보중요도 기반 판단모듈(430)은 이러한 중요도를 기준으로 판단해 중요도가 높은 정보는 제공 빈도를 높이고,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mirror-type display installed in a fitness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nformation on a user-information-based customized exercise method. 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to see the effec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ovided information,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l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display is low in importance, and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user to exercise, The information about it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e information importance-based determination module 430 may determine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based on the importance, and provide the information with high importance more frequently and preferentially.

다른 예로, 지하철이나 큰 마트 등의 공공장소에 설치된 거울형 디스플레이는 지나가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제 거울의 본 기능과 더불어 일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이슈뉴스, 지하철 노선 정보 및 광고가 제공된다고 하면, 실제 지하철 움직임에 따라 제공되는 열차 도착시각 또는 다음 정류장 등의 정보가 중요도가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적시적 정보성향이므로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하며, 제공할 시기를 맞추어야 한다. 반면 지하철 노선 정보, 최근 이슈뉴스 및 광고는 중요도가 낮으므로, 우선 정보제공 후나 우선 정보가 발생하지 않을 때 제공한다.In another example, a mirror-type display installed in a public place such as a subway or a large mart can provide gener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the actual mirror to an unspecified number of users passing by. Therefore, if issue news, subway line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 are provided recently, information such as train arrival time or next stop provided according to the actual subway movement should be provided first because it is the most important and is temporal information tendency , And the time to provide it.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on subway lines, recent issue news, and advertisements are low in importance, so they are provided only after information is provided or when priority information is not generated.

정보중요도 기반 판단모듈(430)은 상기 중요도에 따라 제공 정보와 시기를 판단해야 한다.
The information importance based determination module 430 determines the provision information and the timing according to the importance.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의 동작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A and 5B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determin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거울형 디스플레이에 장착된 지능형 비전 센서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위치와 실루엣 정보 등을 측정하고 추출하여 거울형 디스플레이 상에 사용자가 비춰지는 영역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a user's position and silhouette information are measured and extracted based on an intelligent vision sensor mounted on a mirror-type display, and the user can see the area on the mirror-type display.

도 5b를 참조하면, 제공되는 정보는 분류에 따라 깊이가 결정되어 각각 정보1 내지 정보5로 특성에 맞게 다른 형태와 위치 등으로 표출된다.Referring to FIG. 5B, the provided information is determined in depth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and is expressed as a different shape and posi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from information 1 to information 5, respectively.

이때 도 5a에서 사용자가 A에서 B로 이동함에 따라, 도 5b와 같이 거울형 디스플레이에 사용자 모습과 함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정보의 양, 표현형태, 표현위치 및 크기 등이 달라진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5a에서 사용자의 거리가 멀 때(A위치)는 제공되는 정보의 양은 B보다 많다. 사용자의 거리가 가까울 때(B위치)는 정보의 중요도와 깊이에 따라 중요도가 낮은 정보는 없애거나,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the user moves from A to B in FIG. 5A, the amount of information, the form of expression, the position and size of expression, and the like provided to the display, as well as the user's appearance, are changed in the mirror type display as shown in FIG. 5B. More specifically, in FIG. 5A, when the user's distance is long (position A), the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is greater than B. When the user's distance is near (B position), information with low importance can be eliminated or expressed in a simplified manner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depth of information.

도 5b를 보면 중요도가 낮은 정보인 정보2는 생략할 수 있고, 정보5의 경우 간략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중요하다고 판단된 정보(예, 정보1)는 빈도나 크기 등을 변형하여 나타낼 수 있다.FIG. 5B shows that information 2, which is low importance information, can be omitted, and information 5 can be simplifi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e.g., information 1) determined to be important can be expressed by modifying the frequency or size.

단, 거울형 디스플레이 특성을 고려해 같은 정보는 가능하면 유사한 위치에서 제공하여 사용자의 시선 이동을 최소화 할 수 있다.
However, considering the mirror type display characteristics, the sam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t a similar position as possible, thereby minimizing the user's gaze move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상술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Program instructions to be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The above-mentioned medium may also be a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 light or metal wire, wave guide, etc., including a carrier wave for transmitting a signal designating a program command, a data structure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정보를 특성 또는 환경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분류된 정보의 표현형태와 시기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표현형태와 상기 시기를 입력 받아 표시범위와 표출형태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상기 표시범위 및 상기 표출형태에 따라 실감체험정보를 표출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정보의 종류 및 시각화 속성에 따라, 상기 정보의 상기 표현형태 및 상기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정보깊이 기반 판단모듈;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정보의 상기 표현형태, 정보제공 방향 및 표현할 상기 정보의 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거울과의 거리 기반 판단모듈; 및
상기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상기 정보의 제공 빈도, 제공 순서 및 상기 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판단하는 정보중요도 기반 판단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분류부는,
상기 수집된 정보를 사용자특징정보, 사용자맞춤정보 또는 일반정보로 분류하는 정보특성 기반 정보분류모듈; 및
상기 수집된 정보를 LTA형 정보, LTM형 정보, STA형 정보 또는 STM형 정보로 분류하는 환경 기반 정보분류모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체험정보 표출 장치.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information;
A classifier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r environments;
A judging unit for judging the form and timing of the classified information;
A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the display range and the display mode based on the display mode and the timing;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feeling experi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range and the display form;
Lt; / RTI >
Wherein,
An information depth based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f the presentation type and the time of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information and the visualization attribute;
A distance based decision module with a mirror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of the expression type of th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direction and the amount of the information to be represen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isplay; And
An information importance based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at least one of a providing frequency, a providing order, and the time of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 RTI >
Wherein,
An information property bas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module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into us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user customized information, or general information; And
An environment-based information classification module for classify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into LTA type information, LTM type information, STA type information, or STM type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sensed-experience-experience information.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비전 센서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신체를 캡쳐 또는 모션을 추정하여 얼굴 특징을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의 연령 및 신체 사이즈를 추정하여 상기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감체험정보 표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collects the information by capturing a face of the user through a vision sensor or by estimating motion to extract facial features, and estimating an age and a body size of the user.
삭제delete
KR1020150034997A 2015-03-13 2015-03-13 Device for displaying realistic experience KR1017965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997A KR101796578B1 (en) 2015-03-13 2015-03-13 Device for displaying realistic experi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997A KR101796578B1 (en) 2015-03-13 2015-03-13 Device for displaying realistic experie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28A KR20160110828A (en) 2016-09-22
KR101796578B1 true KR101796578B1 (en) 2017-11-14

Family

ID=5710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997A KR101796578B1 (en) 2015-03-13 2015-03-13 Device for displaying realistic experi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57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1953A (en) * 2010-03-12 2011-09-29 Omron Corp Gate device
KR101271483B1 (en) * 2011-06-17 2013-06-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digital signage using customer recognition technologies
JP2014026040A (en) * 2012-07-25 2014-02-06 Toshiba Tec Corp Display controller and display control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1953A (en) * 2010-03-12 2011-09-29 Omron Corp Gate device
KR101271483B1 (en) * 2011-06-17 2013-06-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 digital signage using customer recognition technologies
JP2014026040A (en) * 2012-07-25 2014-02-06 Toshiba Tec Corp Display controller and display control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828A (en)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8142B1 (en) The method for providing the customized marketing contens for the customers classified as individuals or groups by using fa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system thereof
CN103760968B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display contents of digital signage
US110061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information collected by wearable systems
CN106294489B (en) Content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JP6267861B2 (en) Usage measurement techniques and systems for interactive advertising
US20030126013A1 (en) Viewer-targeted display system and method
IL292025A (en) Word flow annotation
KR20160012902A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advertisements based on associated information between audiences
JPWO2016111174A1 (en) EFFECT GENERATION DEVICE, EFFECT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CN202948697U (en) Advertisement machine
CN104915000A (en) Multisensory biological recognition interaction method for naked eye 3D advertisement
CN102930454A (en) Intelligent 3D (Three Dimensional) advertisement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multiple perception technologies
JP2004227158A (en)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2009116510A (en) Attention degree calculation device, attention degree calculation method, attention degree calculation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JP2013164431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Saleme et al. The influence of human factors on 360∘ mulsemedia QoE
Tomono et al. Effect of smell presentation on individuals with regard to eye catching and memory
JP2016071501A (en) Advertisement evaluation system and advertisement evaluation method
KR101187773B1 (en) advertisement system using motion cognition.
KR20200004014A (en) Digital signage system for clothing fitting and method for displaying items using thereof
KR101796578B1 (en) Device for displaying realistic experience
JP711073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110942327A (en) Recommendation method and reality presentation device
Lee et al. Design of Low Cost Real-Time Audience Adaptive Digital Signage using Haar Cascade Facial Measures
JP7102856B2 (en) Content output system, content output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