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576B1 - 회전축접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회전축접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576B1
KR101796576B1 KR1020170018243A KR20170018243A KR101796576B1 KR 101796576 B1 KR101796576 B1 KR 101796576B1 KR 1020170018243 A KR1020170018243 A KR 1020170018243A KR 20170018243 A KR20170018243 A KR 20170018243A KR 101796576 B1 KR101796576 B1 KR 10179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ing
rotary shaft
ground
hol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호
박근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브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브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브이씨티
Priority to KR102017001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Landscapes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축접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과 타측 양 끝단에 소정의 물건 또는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회전축에 대하여 접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관통홀이 형성된 서포트블럭부; 및 상기 서포트블럭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에 존재하는 전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적어도 일부분이 접하는 접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접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면 일부분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므로 회전축에 흐르는 전기에 대한 접지효율이 증대되고, 접지내구성 내지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회전축접지 어셈블리{Earth Assembly for Rotation Axis}
본 발명은 회전축접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축에 흐르는 전기에 대한 접지효율을 개선시킨 회전축접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접지는 낙뢰와 정전기 등으로부터 인명과 장치를 보호하는 역할에 주력을 다하였으나 오늘날의 접지는 낙뢰는 물론이고, 과전류 및 과전압 유입, 전기적 잡음으로부터 전원, 통신 제어시스템 등의 복잡한 전기, 전자적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기능용 접지로 발달하였다.
또한 예를 들어 물건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이송롤러 또는 컨베이어 롤러 등에는 정전기 등의 영향을 받는 생산품을 반송할 때 전기적인 접지를 위한 접지장치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지장치는 회전체 또는 회전축에 고정 설치될 경우, 케이블 등이 꼬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접지단자를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접지단자를 접촉연결하여 회전축에 대한 접지를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단순 접촉으로 인한 불안정성은 물론, 오랜 시간 사용시 마찰로 인한 이격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53220호(발명의 명칭 : 회전체용 접지장치. 이하 선행기술 1)등과 같은 선행기술과 같이 회전축에 흐르는 전기를 접지시켜주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 등과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회전축의 끝단에 접지를 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 1에서와 같이 회전축의 끝단에 기어나 밸트, 구동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가 장착될수 밖에 없어서 회전축의 끝단에 접지장치를 배치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많이 있다. 회전축의 끝단에 접지장치를 배치시키기 곤란한 경우에도 회전축에 대한 접지가 요구되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었다.
도 1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회전축접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회전축의 중간에 철심과 같은 탄성력과 전도성이 있는 접지와이어를 회전축의 외면에 점접촉(point contact)되도록 배치시켰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회전축의 외면에 접지와이어로 점접촉으로 접지를 시킬 경우 접촉불량이 생기기 쉬워서 접지능력을 상실하여 회전축에 대한 접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 양 끝단에 소정의 물건 또는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회전축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접지를 시켜줄 수 있는 회전축접지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는 일측과 타측 양 끝단에 소정의 물건 또는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회전축에 대하여 접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관통홀이 형성된 서포트블럭부; 및 상기 서포트블럭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에 존재하는 전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적어도 일부분이 접하는 접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접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면 일부분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회전축관통홀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두께, 너비 및 길이를 갖춘 판 형태이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축관통홀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접촉부분을 갖춘 볼록접지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접지단자의 상기 볼록한 접촉부분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축관통홀 내측에는 상기 볼록접지단자가 다수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회전축관통홀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두께, 너비 및 길이를 갖추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판스프링접지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회전축관통홀 내측에는 상기 판스프링접지단자가 다수 배치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서포트블럭부는, 제1서포트프레임; 및 상기 제1서포트프레임과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서포트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판스프링접지단자의 일측이 상기 제1서포트프레임과 상기 제2서포트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되며, 상기 판스프링접지단자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부분이 상기 판스프링접지단자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의 외면 일부분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는, 일측과 타측 양 끝단에 소정의 물건 또는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축에 흐르는 전기에 대한 접지효율이 증대되고, 접지내구성 내지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축접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수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는 일측과 타측 양 끝단에 소정의 물건 또는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회전축(10)에 흐르는 전기를 접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서, 서포트블럭부(100) 및 접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서포트블럭부(100)는 회전축(10)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관통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서포트블럭부(100)에는 접지부가 장착 또는 결합된다. 따라서 접지부가 안정적으로 회전축(10)에 대하여 접지를 할 수 있도록 서포트블럭부(100)가 접지부를 지지하여 준다.
접지부는 서포트블럭부(100)에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축(10)에 존재하는 전기가 회전축(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회전축(10)에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한다.
여기서, 접지부는 회전축(10)의 외면 일부분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지부는 볼록접지단자(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볼록접지단자(210)는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서포트블럭부(100)에 마련된 회전축관통홀(150)의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두께, 너비 및 길이를 갖춘 판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회전축관통홀(150)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접촉부분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볼록접지단자(210)의 볼록한 접촉부분이 회전축(10)의 외면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블록접지단자(210)의 일부분에는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어오는 전기가 외부로 빠져나갈수 있도록 접지선이 연결된다. 서포트블럭부(100)가 전도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블록접지단자(210)와 접지선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서포트블럭부(100)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볼록접지단자(210)가 둘 이상의 다수개가 회전축관통홀(150)의 내측에 배치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볼록접지단자(210)가 동일한 원주상에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 것도 가능하며, 다수개의 블록접지단자(210)가 회전축(10)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형태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블록접지단자(210)의 탄성력으로 블록접지단자(210)와 회전축(10)의 외면이 접하되, 블록접지단자(210)가 소정의 너비 및 길이를 갖추고 있으므로 블록접지단자(210)가 회전축(10)의 외면에 접하는 부분은 점접촉(point contact)가 아닌 선접촉(line contact)이 되어 접지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블록접지단자(210)의 재질은 회전축이 손상되지 않도록 회전축의 재질보다 경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전기전도성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접지단자(210)와 회전축이 접하는 부분에 전기전도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금처리된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의 (a) 및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 또한 서포트블럭부 및 접지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서포트블럭부(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의 서포트블럭부와 대동소이하다.
서포트블럭부(110)는 회전축(10)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관통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서포트블럭부(110)에는 접지부가 장착 또는 결합된다. 따라서 접지부가 안정적으로 회전축(10)에 대하여 접지를 할 수 있도록 서포트블럭부(110)가 접지부를 지지하여 준다. 그리고, 도 3의 변형된 실시 예에서의 서포트블럭부(110)는 제1서포트프레임(120) 및 제2서포트프레임(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제1서포트프레임(120)에는 회전축관통홀(150)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원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제2서포트프레임(130) 또한 제1서포트프레임(120)과 마찬가지로 회전축관통홀(150)을 형성하기 위한 반원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서포트프레임(120)은 제2서포트프레임(130)과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서포트블럭부(110)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제1서포트프레임(120) 및 제2서포트프레임(130)이 체결되어 회전축관통홀(150)을 형성한다.
접지부는 서포트블럭부(110)에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축(10)에 존재하는 전기가 회전축(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회전축(10)에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한다. 여기서, 접지부는 회전축(10)의 외면 일부분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지부는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판스프링접지단자(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포트프레임(120) 및 제2서포트프레임(130)이 결합된 서포트블럭부(11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적어도 일부분이 회전축관통홀(150)의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두께, 너비 및 길이를 갖추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일부분에는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어오는 전기가 외부로 빠져나갈수 있도록 접지선이 연결된다. 서포트블럭부(110)가 전도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판스프링접지단자(220)와 접지선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서포트블럭부(110)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회전축관통홀(150)의 내측에는 판스프링접지단자(220)가 다수 배치된 것 역시 바람직하다.
이러한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재질은 회전축이 손상되지 않도록 회전축의 재질보다 경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전기전도성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판스프링접지단자(220)와 회전축이 접하는 부분에 전기전도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금처리된 것 역시 바람직하다.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일측 부분이 제1서포트프레임(120)과 제2서포트프레임(130) 사이에 개재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부분이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축(10)의 외면 일부분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의 (a) 및 도 3의 (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판스프링접지단자(220)가 동일한 원주상에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하여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배치된 것도 가능하며, 다수개의 판스프링접지단자(220)가 회전축(10)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형태 또한 가능하다.
또한, 회전축(10)를 중심으로 하여 다수개의 판스프링접지단자(220)가 대칭이 되게 배치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탄성력에 의해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일부 부분이 회전축(10)의 외면에 접하게 되며, 점접촉(point contact)가 아닌 선접촉(line contact) 또는 면접촉(surface contact)되어 접지효율이 향상되고,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응용된 실시 예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 또한한 서포트블럭부 및 접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본적인 부분은 앞서 설명한 바와 대동소이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서포트블럭부(100)는 회전축(10)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관통홀(15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10)이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서포트블럭부(100)에는 접지부가 장착 또는 결합된다. 따라서 접지부가 안정적으로 회전축(10)에 대하여 접지를 할 수 있도록 서포트블럭부(100)가 접지부를 지지하여 준다.
이러한 서포트블럭부(100)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변형된 실시 예에서 서포트블럭부(110. 도 3참조)의 제1서포트프레임(120, 도 3참조) 및 제2서포트프레임(130. 도 3참조)에서와 같이 두 개의 서포트프레임이 결합되는 형태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접지부는 서포트블럭부(100)에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축(10)에 존재하는 전기가 회전축(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회전축(10)에 접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접한다.
여기서, 접지부는 회전축(10)의 외면 일부분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응용된 실시 예에서의 접지부에는 블록접지단자(210)와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볼록접지단자(210)는 도 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서포트블럭부(100)에 마련된 회전축관통홀(150)의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두께, 너비 및 길이를 갖춘 판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적어도 일부분이 회전축관통홀(150)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접촉부분을 갖추고 있다.
여기서, 볼록접지단자(210)의 볼록한 접촉부분이 회전축(10)의 외면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볼록접지단자(210)가 둘 이상의 다수개가 회전축관통홀(150)의 내측에 배치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볼록접지단자(210)가 동일한 원주상에 회전축(10)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배치된 것도 가능하며, 다수개의 블록접지단자(210)가 회전축(10)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형태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판스프링접지단자(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이 서포트블럭부(11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적어도 일부분이 회전축관통홀(150)의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두께, 너비 및 길이를 갖추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된다.
그리고,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블록접지단자(210)의 일부분과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일부분에는 회전축으로부터 전달되어오는 전기가 외부로 빠져나갈수 있도록 접지선이 연결된다. 서포트블럭부(100)가 전도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접지선과 판스프링접지단자(220) 또는 블록접지단자(2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서포트블럭부(100)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회전축관통홀(150)의 내측에는 판스프링접지단자(220)가 다수 배치된 것 역시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회전축접지어셈블리를 정면에서 본 모습은 도 3의 (b)에 도시된 모습과 대동소이하다. 도 4 및 도 3의 (b)를 함께 참조하여보면,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일측 부분이 제1서포트프레임(120)과 제2서포트프레임(130) 사이에 개재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여기서,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부분이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축(10)의 외면 일부분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수개의 판스프링접지단자(220)가 동일한 원주상에 회전축(10)을 중심으로 하여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배치된 것도 가능하며, 다수개의 판스프링접지단자(220)가 회전축(10)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형태 또한 가능하다.
또한, 회전축(10)를 중심으로 하여 다수개의 판스프링접지단자(220)가 대칭이 되게 배치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소정의 너비 및 길이를 갖춘 블록접지단자(210)가 탄성력으로 블록접지단자(210)와 회전축(10)의 외면에 접하고,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탄성력에 의해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일부 부분이 회전축(10)의 외면에 접하게 된다. 따라서, 블록접지단자(210)와 판스프링접지단자(220)는 회전축(10)의 외면에 점접촉(point contact)가 아닌 선접촉(line contact) 또는 면접촉(surface contact)되어 접지효율이 향상되고,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과 마찬가지로, 블록접지단자(210)와 판스프링접지단자(220)의 재질은 회전축이 손상되지 않도록 회전축의 재질보다 경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전기전도성이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또한 블록접지단자(210)와 판스프링접지단자(220)와 회전축이 접하는 부분에 전기전도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금처리된 것 역시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회전축접지어셈블리는 회전축에 흐르는 전기에 대한 접지효율이 증대되고, 접지내구성 내지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회전축 100, 110 : 서포트블럭부
120 : 제1서포트프레임 130 : 제2서포트프레임
150 : 회전축관통홀 210 : 볼록접지단자
220 : 판스프링접지단자

Claims (7)

  1. 일측과 타측 양 끝단에 소정의 물건 또는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회전축에 대하여 접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회전축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관통홀이 형성된 서포트블럭부; 및
    상기 서포트블럭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에 존재하는 전기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적어도 일부분이 접하는 접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접지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면 일부분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며,
    상기 접지부는,
    상기 회전축관통홀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두께, 너비 및 길이를 갖추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는 판스프링접지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관통홀 내측에는 상기 판스프링접지단자가 다수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블럭부는,
    제1서포트프레임; 및
    상기 제1서포트프레임과 체결되어 상기 회전축관통홀을 형성하는 제2서포트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판스프링접지단자의 일측이 상기 제1서포트프레임과 상기 제2서포트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지지되며,
    상기 판스프링접지단자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부분이 상기 판스프링접지단자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의 외면 일부분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되고,
    다수개의 상기 판스프링접지단자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도록 배치된 것 또는 다수개의 상기 판스프링접지단자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접지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회전축관통홀 내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두께, 너비 및 길이를 갖춘 판 형태이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회전축관통홀 내측 방향으로 볼록한 접촉부분을 갖춘 볼록접지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볼록접지단자의 상기 볼록한 접촉부분이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선접촉(線接觸) 또는 면접촉(面接觸)하며,
    상기 회전축관통홀 내측에는 상기 볼록접지단자가 다수 배치되고,
    다수개의 상기 볼록접지단자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 것 또는 다수개의 상기 볼록접지단자가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된 것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접지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18243A 2017-02-09 2017-02-09 회전축접지 어셈블리 KR10179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243A KR101796576B1 (ko) 2017-02-09 2017-02-09 회전축접지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8243A KR101796576B1 (ko) 2017-02-09 2017-02-09 회전축접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576B1 true KR101796576B1 (ko) 2017-11-13

Family

ID=6038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8243A KR101796576B1 (ko) 2017-02-09 2017-02-09 회전축접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5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499A (ja) * 1998-11-24 2000-06-06 Fuji Electric Co Ltd 電子写真感光体の接地機構
KR101488861B1 (ko) * 2014-11-26 2015-02-04 (주)백양씨엠피 운전중 베어링 토크 감시가 가능한 터빈 발전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5499A (ja) * 1998-11-24 2000-06-06 Fuji Electric Co Ltd 電子写真感光体の接地機構
KR101488861B1 (ko) * 2014-11-26 2015-02-04 (주)백양씨엠피 운전중 베어링 토크 감시가 가능한 터빈 발전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773B1 (ko) 전기 컨택트
CN103384942B (zh) 电气串联端子和串联端子块
US9543664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TW200631260A (en) 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connection objects
EP2048744A3 (en) Performance enhancing contact module assemblies
DK1831969T3 (da) Koaksiale koblingshylstre
US8939796B2 (en) Surge protector components having a plurality of spark gap members between a central conductor and an outer housing
WO2006119394A3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ed differential contact pairs
US11799256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WO2019136199A3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system with differential pair cable interface
KR102025933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US20190296472A1 (en) Conductive Terminal And Connector
JP6697443B2 (ja) 連続的な導電体用の接続ターミナル
KR20150053220A (ko) 회전체용 접지장치
KR101796576B1 (ko) 회전축접지 어셈블리
NZ207563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alignment of adjacent terminal elements
US2200794A (en) Electrical connector
HUP0003510A2 (hu) Túlfeszültség-levezető
US3270124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suspension apparatus
KR101756322B1 (ko) 플러그 연결단자
KR102614285B1 (ko)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CN108832775A (zh) 马达及用于马达的电磁干扰防护装置
CN110661150A (zh) 一种用于旋转机构的接地装置
CN210490038U (zh) 一种印制电路连接器多根阳极接触件裁剪用输线装置
KR102677934B1 (ko) 기계식 자석 rf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