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476B1 - Summer habitat adjusting faculty for preventing exotic fish from being spread - Google Patents

Summer habitat adjusting faculty for preventing exotic fish from being spre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476B1
KR101795476B1 KR1020160102735A KR20160102735A KR101795476B1 KR 101795476 B1 KR101795476 B1 KR 101795476B1 KR 1020160102735 A KR1020160102735 A KR 1020160102735A KR 20160102735 A KR20160102735 A KR 20160102735A KR 101795476 B1 KR101795476 B1 KR 10179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facility
water
passag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민우
정관수
고철승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47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4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40Monitoring or fighting invasive spe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23/00Electricity: power supply or regulation systems
    • Y10S323/906Solar cell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for controlling summer habitats for preventing propagation of exotic fish specie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for controlling summer habitats, which is designed to prevent enlargement in habitats of exotic fish species by specifically blocking movement of exotic fish species in habitats of fish by using unique behavior of exotic fish species different from native fish species in Korea accustomed to summer and winter seasons.

Description

외래어종 확산 차단을 위한 하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SUMMER HABITAT ADJUSTING FACULTY FOR PREVENTING EXOTIC FISH FROM BEING SPREAD}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mmer habitat control facility for preventing foreign species from spreading,

본 발명은 외래어종 확산 차단을 위한 하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후적으로 여름과 겨울에 적응되어 있는 우리나라 토종 어종과는 다른 습성을 가지는 외래어종의 독특한 습성을 이용하여 어종의 서식지 간 이동을 외래어종에 대해서만 차단함으로써 외래어종의 서식지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하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bitat control facility for preventing foreign species from sprea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bitat control facility for habitat control using a unique habit of foreign habitat species different from Korean native habitat adapted to climatic summer and winter, This is related to a habitat control facility that can block the spread of habitat of foreign species by blocking habitat movement only for foreign language species.

우리나라에 도입된 외래어종 배스는 수중생태계에 있어서 최상위 포식자에 해당한다. 이러한 배스는 원산지에서는 중간포식자에 해당하였으나, 국내에 도입되면서 최상위 포식자가 되었고, 이에 따라 원산지에서는 예측할 수 없었던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The foreign language species bass introduced in Korea is the top predator in the aquatic ecosystem. These bass were intermediate predator in origin, but became the top predator by introduction in Korea, resulting in various side effects that could not be predicted in origin.

안정된 생태계에 있어서 최상위 포식자의 개체 수는 극히 제한적이지만 어떠한 요인에 의해 불균형이 초래되면 각각의 영양단계의 생물군에 연쇄적으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생태계의 붕괴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까닭에 최상위 포식어류는 대량번식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배스는 원산지에서 중간포식자였기 때문에 다량의 알(체장 40cm 개체에 약 125,000개를 포란)을 산란하고, 부화 후 어미가 치어까지 보호하는 습성이 있어 치어의 초기 도태 비율이 낮아 우리나라에서는 순식간에 대량 증식되는 문제가 있다.In a stable ecosystem, the number of top predators is extremely limited, but if imbalances are caused by any factor, they are transmitted to the nutrient groups of each nutrient stage, resulting in the collapse of the ecosystem. For this reason, it is common that the top-level predator fishes do not breed in large quantities. However, since the bass was an intermediate predator in the country of origin, it spawned a large amount of eggs (about 125,000 eggs per 40 cm of body length), and the hatching rate was low due to the habit of protecting the mother from hatching to hatching. There is a problem of proliferation.

배스가 안정된 수생태계에 유입되었을 때 발생되는 문제점으로는, 첫째, 섭식생태에서 배스의 포식에 의하여 다양한 토종어류의 개체수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일부 종은 멸종될 우려가 있다는 점, 둘째, 배스 초기 치어의 먹이생물은 물벼룩류, 요각류 등과 같은 동물성 플랑크톤으로서, 일반적인 토종어류의 치어기 먹이생물과 동일하기 때문에, 토종어류의 치어가 배스의 치어에 대한 먹이경쟁에서 밀려 성장발육이 불안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먹이경쟁에서 우월하여 보다 빨리 일정크기로 성장한 배스의 치어에게 포식된다는 점, 셋째, 유기물을 섭식하는 새우류를 포함한 다양한 무척추동물이 포식되어 감소 또는 절멸된다는 점, 넷째, 산란 또는 서식을 위해 수생태계를 이용하는 육상동물까지 포식함으로써 육상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 다섯째, 담수이매패의 번식에 있어서 중간매체 역할을 하는 저서성 유영어류의 감소로 말미암아 이매패의 개체수가 감소한다는 점 등이 있다.Problems that occur when bass is introduced into a stable aquatic ecosystem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various native fishes is decreased by the predation of bass in feeding ecosystem, and some species are likely to become extinct. Second, Is a zooplankton such as daphnia, copepods and the like, which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mmon prey of the native species, so that the native fish is pushed out of the food competition for the fish of the bass and the growth and development becomes unstable. That the fish are dominated by the fish which have grown to a certain size faster than the food competition and that they are predated by the fish. That it affects terrestrial ecosystems by predation to land animals, Seotjjae, a point such that, through the reduction of benthic pelagic fish to the intermediate medium acts in the numbers of bivalve reduction in the growth of fresh water bivalve.

상술한 배스 도입의 부작용은 블루길의 경우에도 별반 차이가 없다.The sid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bath mentioned above is not different even in the case of Bluegill.

이와 같이 외래어종이 국내에 유입된 결과, 결과적으로 수생태계는 종다양성이 격감하게 되어 자정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자정능력을 상실한 수생태계는 오염원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부영양화를 야기하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녹조현상과 같은 수화현상이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수질오염은 더욱 가속화된다.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foreign words into the country as a result, the ecosystem loses its self-sufficiency due to the decline of biodiversity. In aquatic ecosystems that lose their ability to self-regulate, pollutants accumulate continuously and cause eutrophication, which causes hydration phenomena such as algae phenomenon frequently. Water pollution is accelerated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12310호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12310 공개특허공보 제2011-90455호Published Patent Publication No. 2011-90455 공개특허공보 제2009-119244호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9-119244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60383호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60383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우리나라 토종 어종과는 다른 습성을 가지는 외래어종의 독특한 습성을 이용하여, 외래어종이 현재 서식하고 있는 서식지에서 다른 서식지로 이동할 수 있는 경로 내지 통로가 되는 수문이나 도수터널 주위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외래어종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하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ute capable of moving from a habitat currently inhabited by a foreign language species to another habitat using the unique habit of foreign habitats having different habits from native species of Korea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summer habitat control facility capable of preventing the diffusion of foreign fish species by inducing the habitat to live far away from the vicinity of a passage gate or a water tunnel.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웃하는 서식지(91,92) 간의 이동 경로 또는 통로(80)의 길목 부근에 설치되어, 하계에 외래 어종이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식하도록 유인하는 시설물로서, 상기 시설물은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부근의 수온을 높이기 위한 가열시설(50);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시설은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부근의 수온을 섭씨 25도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a path of movement between neighboring habitat (91, Wherein the facility includes a heating facility (50) for raising the water temperature near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 or the passage, the heating facility being capable of heating the water temperature near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 or the passage to 25 degrees C And a control unit (58) for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상기 시설물은, 상기 이웃하는 서식지 간의 물의 흐름 여부를 단속하는 수로 개폐구조물(3);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시설은 상기 수로 개폐구조물 상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cility further includes a water channel opening / closing structure (3)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water between the neighboring habitats, and the heating facility is installed on the water channel opening / closing structure.

상기 개폐구조물(3)은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를 개폐하는 수문(30)이고, 상기 수문(30)은 전체적인 형태를 규정하는 프레임(31), 상기 프레임(31)에 의해 규정되는 수로를 개폐하는 문비(34), 상기 문비(34)를 개폐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3),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문비(34)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32)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시설(50)은 상기 프레임(31), 문비(34) 및 안내부(32)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발열본체(51,52,5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n / close structure 3 is a sidewalk 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ovement path and the passage. The sidewall 30 includes a frame 31 defining an overall shape, a channel 31 defined by the frame 31, A driving part 33 for generating an operating for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34 and a guide part 32 fixed to the fram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oor 34, The heating unit 50 is a heat generating body 51, 52 or 53 installed at least one of the frame 31, the door frame 34 and the guide unit 32.

상기 가열시설(50)은, 부력에 의해 수면 부근에 위치하는 부표(57); 상기 부표로부터 수중으로 하향 연장되되, 그 선단부가 적어도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부근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재(55); 및 상기 연장부재의 적어도 선단부에 마련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본체(51,52,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facility (50) includes a buoy (57) positioned near the water surface by buoyancy; An extension member (55) extending downward into the water from the buoy, the tip of which extends at least to the vicinity of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 or passage; And a heat generating body (51, 52, 53) provided at least at the tip of the extension member to generate heat.

상기 가열시설(50)은 상기 이동 경로 또는 통로가 되는 도수시설(81)의 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발열본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facility (50) is a heat generating body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n entrance of a water supply facility (81) serving as a movement path or a passage.

상기 가열시설(50)은, 지상 또는 수면 상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부근에 집중시키는 집광장치(5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facility (50) is a condensing device (59) installed on the ground or above the water surface to concentrate the sunlight in the vicinity of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 or the passage.

본 발명에 의하면, 하계에 저수온 지점에서 서식하는 외래어종만의 국내 서식 특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서식지 간의 이동 경로인 수문이나 도수터널 부근의 수온을 상대적으로 고수온 상태로 조성함으로써, 외래어종이 이들 이동경로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식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래어종이 다른 서식지로 서식 영역을 확장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domestic habitat characteristics of only the foreign fish species living in the low-temperature point in the summer, the water temperature near the water gate or the water tunnel, which is the movement path between the different habitats, And thus it is possible to block the extension of the habitat area from foreign language species to other habitats.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계용 외래 어종 회피 시설물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시설물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an outpatient offspring avoid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views showing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배스나 블루길과 같은 외래어종은 수온이 섭씨 15 ~ 25 도인 경우에는 활발한 활동을 보이지만, 수온이 섭씨 25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하계에는 토종 어종과는 다른 습성을 보인다. 이들은 수온이 매우 높아지는 한국의 하계 기후에 적응하지 못하고, 가령 저수지 내의 나무그늘 밑과 같이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은 서식지를 선호하여 이동한다. 특히 이러한 외래어종들은,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 나라 생태계에 적응해 왔던 오랜 세월 토종 어종들과 달리 수온에 민감하게 반응한다.Foreign species such as bass and bluegill are active when the water temperature is 15 to 25 degrees Celsius, but they are different from native species in the summ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rises above 25 degrees Celsius. They do not adapt to the summer climate, where the water temperature is very high, and prefer to habitat low in temperature, such as under the shade of trees in the reservoir. In particular, these foreign species respond sensitively to water temperature, unlike many native species that have adapted to our country 's ecosystem.

이에 본 발명에서는, 물의 이동 경로나 통로를 통해서 연결되는 서식지들의 이동 경로나 통로의 인위적으로 수온을 높게 하여, 외래어종이 물의 이동 경로나 통로 근처를 회피하여 이들 이동 경로나 통로로부터 먼 위치에서 서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를 통해 외래어종이 다른 서식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외래어종의 확산을 막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rtificially increase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moving path or the passage of the habitats connected through the moving path of the water or the passage to avoid the moving path or the passage of the foreign paper, Thereby preventing the foreign language species from moving to other habitats through the movement path or the passage to prevent the diffusion of the foreign fish species.

이하, 하계에 외래 어종이 서식지 간 물의 이동 경로나 통로 부근으로 접근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시설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acility for blocking the access of a foreign species to the vicinity of a passage or passage of water between habitats in a summer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계용 외래 어종 회피 시설물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시설물들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ward appearance of an outdoors alien species avoiding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to 5 are views showing faciliti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어종의 서식지(90)의 일종인 저수지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상 좌측에 도시된 저수지인 제1서식지(91)와 우측에 도시된 저수지인 제2서식지(92)는 물의 이동 경로 내지 통로(80)를 통해 연결되어 있어서 제1서식지(91)의 물이 도수터널(81) 등의 시설을 통해 제2서식지(92)로 도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수터널(81)의 단부에는 도수터널을 통해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수로 개폐구조물(3)이 설치되어 있다.1 shows a reservoir which is a kind of habitat 90 of a fish species. The first habitat 91 as a reservoir shown on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and the second habitat 92 as a reservoir as shown on the right side are connected through a water passage or passage 80 so that the water of the first habitat 91 It is possible to access the second habitat 92 through a facility such as the frequency tunnels 81 and the like. At the end of the water tunnel 81 is provided a water channel opening / closing structure 3 for allowing or blocking the flow of water through a water tunnel.

도 1과 같이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두 서식지(91,92) 간에도, 도수시설(81)을 통해 물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외래어종이 함께 이동하여 그 서식지가 확장될 수 있다. 즉 도수시설은 치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시설이지만, 이를 통해 외래어종의 서식지가 확장되는 부작용도 발생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 during the movement of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facility 81 between the two habitats 91 and 92 which are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foreign fish can move together and its habitat can be expanded. In other words, it is an essential facility for scaling, but it also has the side effect of extending the habitat of foreign species.

따라서 서로 격리되어 있는 서식지마다 외래어종을 포획하여 제거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하더라도, 서로 도수시설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서식지들에 서식하고 있는 외래어종을 동시에 없애지 않으면, 어느 한 서식지의 외래어종이 다른 서식지로 다시 이동하여 서식지가 재확산되는 결과가 되어, 외래어종을 제거하는 작업이 사실상 어려워질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process of capturing and removing foreign language species is performed for each habitat isolated from each other, if the foreign language species inhabited by the habitats connected to each other are not remove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move back and spread the habitat again, so that it may become difficult to remove the foreign language species.

그렇다고 두 서식지(91,92) 간의 도수시설(81)을 통해, 물만 통할 수 있고, 어종은 통하지 못하도록 망목이 좁은 망을 설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생태계를 이루는 개체의 이동을 차단하면, 통상적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며 생태계를 이루었던 토종 어종들의 생태계에도 악영향을 주게 된다.However, if the movement of the ecosystem is blocked by installing a narrow mesh network so that only water can pass through the water facilities 81 between the two habitats 91 and 92 and the fish species can not pass through, And also has an adverse effect on the ecosystem of the native species that formed the ecosystem.

또한 좁은 망목으로 이들의 이동을 차단하려고 하여도, 치어 등 크기가 작은 물고기까지 지나가지 못할 정도의 좁은 망목을 설치하게 되면 저수지 등의 물에 있는 부유물 등이 망목을 막아버려 도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a small mesh is used to block the movement of fish, if a narrow mesh is installed so that the fish can not pass through to a fish having a small size such as a fish, floating water in a reservoir or the like may block the mesh, .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서식지 간에 토종어종이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외래어종만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시설물을 제안한다. 즉 본 발명의 시설물이 적용되면 토종 어종은 서식지 간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면서도, 외래 어종의 서식지 간 이동은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In view of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facility for allowing native species to migrate between different habitats and blocking migration of foreign species. That is, when th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native species can freely move between the habitats, and the movement of the habitats of the foreign species is blocke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어도 서식지 간의 이동 경로 내지 통로의 길목 부근에 외래 어종만 싫어하거나 회피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외래 어종이 서식지 간의 이동 경로 내지 통로로부터 먼 수역에서 서식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발명의 주된 골자로 한다.To this e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nvironment for at least hating or avoiding foreign fish species at least in the vicinity of a pathway or passage of habitats between habitats, thereby inducing foreign fish species to live in waters far from the movement path or pathway between habitats. I will make a bo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식지(91)의 외래어종이 제2서식지(92)로 서식지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도수 시설(81)을 통해 이동해야 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바 있듯이, 국내의 하계나 동계의 기후에 익숙하지 않은 외래어종들은, 수온이 높은 하계에,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은 서식지에서 서식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수 시설(81)의 입구 부근의 수온을 높일 수 있는 가열시설(50)을 설치하여, 외래어종들이 도수 시설(81) 주변으로 오는 것을 꺼려, 도수 시설(81) 주변에서 최대한 먼 위치에서 서식하는 것을 유도한다.As shown in FIG. 1, the foreign language of the first habitat 91 must be moved through the waterfront facility 81 in order to extend the habitat to the second habitat 92.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foreign species that are not familiar with the domestic summer or winter climates live in habitats with low water temperature in the summe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heating facility 50 for increasing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of the water supply facility 81 is installed to prevent the foreign fish species from coming to the vicinity of the water supply facility 81, It induces habitat as far as possible from the periphery.

이러한 가열시설(50)을 포함하는 시설물의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tructure of the facility including such a heating facility 5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Fig.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물의 이동경로(80)나 도수시설(81)의 입구에는 수로 개폐구조물(3)이 설치된다. 수로 개폐구조물로서는 주로 수문(30)이 사용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은, 전체적인 수문의 형태를 규정하는 프레임(31)을 포함한다. 프레임은 수압을 견뎌야 하는 구조물로서 강성이 높고 물에 의해 녹이 슬지 않도록 표면 처리된 금속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31)에는 수문의 개폐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안내부로서 레일(32)이 구비되고, 이러한 레일(32)에 문비(34)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문비(34)는 유압 실린더(33)와 같은 구동부에 의해 개폐 작동된다.1 and 2, a water channe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3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water movement path 80 and a water supply facility 81. [ As the water channe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 water gate 30 is mainly used. As shown in FIG. 2, the water gate includes a frame 31 defining the overall water gate shape. The frame is a structure to withstand water pressure, and a metal structure that has high rigidity and is surface-treated so as not to be rusted by water can be used. Further, the frame 31 is provided with a rail 32 as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opening / closing movement path of the water door, and the door frame 34 is slidably engaged with the rail 32. The door frame 34 is opened and closed by a drive unit such as the hydraulic cylinder 33.

이와 같은 수문(30) 구조물은 수중에 설치된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수문 구조물은 그 상부가 수면 위로 노출될 수 있고 해당 위치에 수문의 개폐를 위한 각종 장비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수문(30)에 가열시설(50)을 설치하여 물의 이동경로(80)나 도수시설(81)의 입구 주변의 수온을 높이는 것을 예시한다.Such a water gate 30 structure is installed in water. Although not shown, the upper part of the hydrological structure can be exposed above the water surface, and various equipmen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gate can be install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present invention exemplifies the installation of the heating facility (50) in the water gate (30) to increase the water temperature around the entrance of the water movement path (80) and the water supply facility (81).

물이 가열되면 대류하여 위로 상승하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1)의 하단부에 발열본체(53)가 설치되거나, 문비(34)의 하단부에 발열본체(52)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도수터널 주변의 수온을 높이는 데에 더 효과적이도록 하였다. 이 외에도 레일(32) 쪽에 발열본체(51)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들 발열본체들에 전기에너지 혹은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나 도관은 상기 실린더(33)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 호스의 배관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시설물의 설치가 비교적 간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발열본체의 제어나 작동을 위한 각종 장비는 수면 위로 노출된 수문의 상부 구조물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The heat generating body 53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31 or the heat generating body 52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34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increase the water temperature around the diversion tunnel.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heating body 51 may be provided on the rail 32 side. A cable or a conduit for supplying electric energy or heat energy to the heat generating bodies can be formed together with the piping of the hydraulic hose for driving the cylinder 33, so that installation of the facility can be relatively simple. In addition, various equipment for controlling or operating such a heat generating body may be installed near the superstructure of the watercraft exposed above the water surface.

앞서 설명한 프레임(31) 하단부, 레일(32), 문비(34) 하단에 발열본체가 설치되면, 문비(34)가 상승하여 수문이 개방된 상태에서도 그 개구의 주변을 둘러 발열본체가 구비되어 수온을 지속적으로 높여주므로, 외래 어종이 이러한 도수시설 근처로 접근하는 것을 지속적,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When the heat generating body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31, the rail 32 and the door frame 34 as described above, the door frame 34 is raised so that the heat generating body is provided around the opening, ,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and effectively block the access of foreign species near these drainage facilities.

상술한 발열본체에 의해 가열된 수온은 섭씨 25도를 넘도록 모니터링되고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온도센서와 제어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수온 제어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temperature of the water heated by the above-described heating body can be monitored and controlled to exceed 25 degrees Celsius, which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and a control unit. Howev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ate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e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에는 수로 개폐구조물(3)이 아닌 위치에 설치되어, 서식지 간의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부근의 수온을 높이는 가열시설(50)의 실시예들이 도시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의 시설물들은 수로 개폐구조물(3) 유무와 관계 없이 이동 경로나 통로(80) 주변의 수온을 높이는 시설물들이다.Next, Figs. 3 to 5 show embodiments of the heating facility 50 provid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water channel opening / closing structure 3 to increase the water path between the habitat and the path of the passage. 3 to 5 are facilities for raising the water temperature around the movement path or the passage 80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water channe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3 is present.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설물은 부표(57)와, 케이블(55)과, 발열본체(51,52,53)를 포함한다. 부표(57)는 부력에 의해 수면 위로 노출되는 구성으로서, 발열본체(51,52,5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8) 등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케이블(55)과 발열본체(51,52,53)의 위치를 고정해주는 기능을 하며, 가열시설(5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하도록 해준다.Referring to FIGS. 1 and 3, in one embodiment, the facility includes a buoy 57, a cable 55, and a heat generating body 51, 52, 53. The buoy 57 is exposed on the water surface by the buoyant force and can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control unit 58 and the lik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generating bodies 51, 52 and 53 are installed. 52, and 53 to fix the positions of the main bodies 51, 52, and 53 and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heating facility 50.

부표(57)의 하부에는 중력에 의해 현수되는 형태의 케이블(55)이 설치된다. 케이블(55)은 중력에 의해 부표 아래로 늘어져 있는 형태이다. 케이블(55)의 단부에는 발열본체(51,52,53)가 설치되어 발열한다. 발열본체의 수위 상 위치는 이동 경로나 통로(80)의 길목이나 입구와 대응하는 위치로 설정됨으로써, 이동 경로의 입구 부근의 수온을 높일 수 있다. 발열본체는 가령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해주는 열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열본체는, 수온보다 고온의 냉매가 주변의 물과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거나, 냉매가 응축하며 잠열을 방출하여 수온을 상승시키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부표로부터 하향 연장된 연장부재 형태의 케이블은 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전선을 포함하거나, 냉매가 이동하는 냉매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매관의 주변에서 열교환이 일어날 필요가 없는 부분은 단열재로 싸여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케이블은 발열본체의 수위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전기에너지나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경로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다.A cable 55 of a type suspended by gravity is provided below the buoy 57. The cable 55 is in the form of being dragged below the buoy by gravity. At the end of the cable 55, heat generating bodies 51, 52, and 53 are installed to generate heat. The water level position of the heat generation main body is set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ath or the path or the entrance of the passage 80 so that the water temperature near the entrance of the movement path can be increased. The heat generating body may, for example, comprise a hot line that converts electrical energy to thermal energy. Also, the heat generating body may be a heat exchanger for causing a refrigerant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water temperature to perform heat exchange with surrounding water, or a refrigerant to condense and releasing latent heat to increase the water temperature. The cable in the form of an extension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uoy may comprise a wire carrying electrical energy or may comprise a refrigerant tube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travels. Also, a portion of the refrigerant tube that does not require heat exchange may be enclos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 this way, the cable not only functions to maintain the level of the heating body but also functions as a path for transmitting electric energy or heat energy.

저수지 등에 물이 유입되어 수심이나 수위가 변하는 것을 감안하여, 상기 케이블의 현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capable of adjusting the suspension length of the cable in consideration of the water depth and the water level varying with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reservoir.

도 3에 도시된 가열시설은 수중에 고정된 시설물로 구현된 것이 아니라, 수상에 부유하는 형태로 구현되었다. 이처럼 수상에 부유하는 형태로 가열시설을 구현하면, 가열시설을 사용하지 않는 동계에 시설물을 걷어내기가 훨씬 유리하여, 서식지 물이 결빙될 때 시설물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 작업도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The heating system shown in FIG. 3 is not implemented as a facility fixed in water but is implemented in a form floated on the water. If the heating facility is floated like this in the waterfront, it is much easier to remove the facilities from the winter without using the heating facility,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acilities from being damaged when the habitat water freezes, Making it easier to do.

다음으로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시설물은 도수시설(81)인 터널의 입구의 단부 둘레에 설치된 가열시설(50)일 수 있다. 가열시설(50)은 앞서 설명한 발열본체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시설물과 유사하게, 상기 가열시설(50)은 동계에 시설물을 철거하거나 유지보수를 위해 필요할 때 철거할 수 있도록 착탈 방식으로 터널의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1 and 4, in another embodiment, the facility may be a heating facility 50 installed around an end of a tunnel entrance, which is a water supply facility 81. The heating facility 50 may be the heating body described above. Similar to the facility shown in FIG. 3, the heating facility 50 can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tunnel in a detachable manner so that the facility can be removed in winter or demolished when needed for maintenance.

상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구조는 도수 통로의 입구 부근에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그러나 도수 통로의 입구 부근에 직접 설치하지 않더라도 도수 통로의 입구 부근의 수온을 높이는 다른 방식 또한 적용될 수 있다.The structures shown in FIGS. 3 and 4 illustrate the structure installed near the entrance of the water passage. However, another method of increasing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of the water passageway can be applied, even if it is not installed directly near the entrance of the water passageway.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시설물로서 집광장치(59)가 도시된다. 집광장치(5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에 설치되어 도수 통로의 입구 부근에 태양광을 반사하는 반사판일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집광장치는 수면 위에 설치될 수도 있고, 태양광을 집광하는 구조로서 렌즈와 같은 굴절을 이용하는 집광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시설물은 특히, 물에 들어갈 필요 없이 지상이나 수상에서 설치 및 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더욱 편리하다.Referring to Figs. 1 and 5, a condensing device 59 is shown as such a facility. The light condensing device 59 may be a reflector installed on the ground and reflecting sunlight near the entrance of the water passage as shown in FIG. Although not shown, such a light condens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water surface, or a light condensing device using refraction such as a lens may be used as a structure for condensing sunlight. These facilities are especially convenient in that they can be installed and operated on the ground or water level without needing to enter the water.

앞서 설명한 시설물들을 활용하면, 하계에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내지 입구 부근의 수온을 다른 곳의 수온보다 더 상승시킴으로써, 외래 어종이 이동 경로나 통로 근처로 오는 것을 회피하도록 유도한다. 그 결과 도수 시설을 통해 외래 어종이 다른 곳으로 서식지를 옮기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외래어종의 서식지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Utilizing the facilities described above,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the passage or passage of the passage or passage in the summer is raised higher than the water temperature in other places, thereby inducing the foreign fish to avoid coming near the movement path or passag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habitat from being transferred to foreign fish species through the facility, thus preventing the spread of habitat of foreign species.

또한 상기 시설물들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Also, the facilitie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a transformation can be made.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effects that can be predicted by the configurations should also be recognized.

3: 수로 개폐구조물
30: 수문(배수문)
31: 프레임
32: 레일(안내부)
33: 실린더(구동부)
34: 문비
50: 가열시설
51,52,53: 발열본체
55: 케이블(연장부재)
57: 부표
58: 제어부
59: 집광장치(반사판, 렌즈)
80: 이동 경로, 통로
81: 도수시설(개거, 암거, 터널)
90: 서식지
91: 제1서식지
92: 제2서식지
3: Water channe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30: Water gate (drain door)
31: Frame
32: rail (guide portion)
33: cylinder (driving part)
34: Door to door
50: Heating facility
51, 52, 53:
55: Cable (extension member)
57: Buoy
58:
59: Light collecting device (reflector, lens)
80: movement path, passage
81: Facilities (demolition, culvert, tunnel)
90: Habitat
91: 1st habitat
92: 2nd habitat

Claims (6)

이웃하는 서식지(91,92) 간의 이동 경로 또는 통로(80)의 길목 부근에 설치되어, 하계에 외래 어종이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식하도록 유인하는 시설물로서,
상기 시설물은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부근의 수온을 높이기 위한 가열시설(50); 및 상기 이웃하는 서식지 간의 물의 흐름 여부를 단속하는 수로 개폐구조물(3);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시설은 상기 수로 개폐구조물 상에 설치되며,
상기 개폐구조물(3)은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를 개폐하는 수문(30)을 포함하고,
상기 수문(30)은 전체적인 형태를 규정하는 프레임(31), 상기 프레임(31)에 의해 규정되는 수로를 개폐하는 문비(34), 상기 문비(34)를 개폐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33), 및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문비(34)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32)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시설(50)은 상기 프레임(31), 문비(34) 및 안내부(32)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발열본체(51,52,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A facility located near a path of movement between neighboring habitats 91 and 92 or a pathway of the pathway 80 to attract foreign fishes living in remote areas away from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way or pathway,
The facility includes a heating facility (50) for raising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 or the passage; And a water channel opening / closing structure (3)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water between adjacent habitats,
The heating facility is installed on the water channel opening / closing structure,
The open / close structure (3) includes a gate (30) for opening / closing the movement path and the passage,
The water gate 30 includes a frame 31 defining an overall shape, a door 34 for opening and closing a waterway defined by the frame 31, a driving unit for generating an operating for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34 33), and a guide portion (32) fixed to the frame and guiding the movement of the door frame (34)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ing facility (50) comprises a heating body (51,52,53) installed at least one of the frame (31), the door (34) and the guide (32).
이웃하는 서식지(91,92) 간의 이동 경로 또는 통로(80)의 길목 부근에 설치되어, 하계에 외래 어종이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서식하도록 유인하는 시설물로서,
상기 시설물은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부근의 수온을 높이기 위한 가열시설(50);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시설(50)은,
부력에 의해 수면 부근에 위치하는 부표(57);
상기 부표로부터 수중으로 하향 연장되되, 그 선단부가 적어도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부근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재(55); 및
상기 연장부재의 적어도 선단부에 마련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본체(51,52,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A facility located near a path of movement between neighboring habitats 91 and 92 or a pathway of the pathway 80 to attract foreign fishes living in remote areas away from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way or pathway,
The facility includes a heating facility (50) for raising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 and the passage,
The heating facility (50)
A buoy 57 located near the water surface by buoyancy;
An extension member (55) extending downward into the water from the buoy, the tip of which extends at least to the vicinity of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 or passage; And
And a heating body (51, 52, 53) provided at least at a tip end of the extending member to generate hea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열시설은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부근의 수온을 섭씨 25도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eating facility includes a control unit (58) for controlling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vicinity of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 or the passage to be maintained at 25 degrees Celsius or more.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열시설(50)은 상기 이동 경로 또는 통로가 되는 도수시설(81)의 입구 부근에 설치되는 발열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eating facility (50) further comprises a heat generating body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of the diversion facility (81) serving as the movement path or the passag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열시설(50)은, 지상 또는 수면 상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상기 이동 경로나 통로의 길목 부근에 집중시키는 집광장치(5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heating facility (50) further comprises a condensing unit (59) installed on the ground or above the water surface to concentrate the sunlight in the vicinity of the path of the movement path or the passage.
KR1020160102735A 2016-08-12 2016-08-12 Summer habitat adjusting faculty for preventing exotic fish from being spread KR1017954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35A KR101795476B1 (en) 2016-08-12 2016-08-12 Summer habitat adjusting faculty for preventing exotic fish from being spre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735A KR101795476B1 (en) 2016-08-12 2016-08-12 Summer habitat adjusting faculty for preventing exotic fish from being spre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476B1 true KR101795476B1 (en) 2017-11-13

Family

ID=6038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735A KR101795476B1 (en) 2016-08-12 2016-08-12 Summer habitat adjusting faculty for preventing exotic fish from being spre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47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588Y1 (en) * 2002-01-29 2002-06-15 신강하이텍(주) Guide water supplying device for fish road
KR101570417B1 (en) * 2015-02-17 2015-11-19 맹인호 Artificial Reef with a heat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588Y1 (en) * 2002-01-29 2002-06-15 신강하이텍(주) Guide water supplying device for fish road
KR101570417B1 (en) * 2015-02-17 2015-11-19 맹인호 Artificial Reef with a heat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035545A1 (en) Container for capturing mosquito larvae
CN101084745A (en) Flower dock mosquito-killing device
CN104041449B (en) The Sungkiang weever of simulate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breeds cultivating workshop system
KR20150127328A (en) Management system of water culture and fish farming water tank
KR101795476B1 (en) Summer habitat adjusting faculty for preventing exotic fish from being spread
KR100705230B1 (en) An floating apparatus for spawning and inhabitation of fishes for protecting the fishes
KR101288089B1 (en) Fish way structure for tower type fish watching
KR20160139935A (en) Set net
KR101570417B1 (en) Artificial Reef with a heating function
KR100325832B1 (en) Artificiality of the rapids used a mandarin fish breeding a farm method &equipment
KR20170011093A (en) Young fish farm
KR102117364B1 (en) Rana dybowskii artificial incubation plant
KR20170011092A (en) Land fish farm
CN205611523U (en) House is bred to wild goose in africa
CN104904643A (en) Device for fish culture on open lake
CN112640844A (en) Semi-open snake pond
CN103125438A (en) Breeder goose ecotype breeding method
CN209798707U (en) Diversion type power station overflow dam section ecological reconstruction structure
CN204742212U (en) Device that big surface of water of fish was put in a suitable place to breed
KR0123481Y1 (en) The equipmentt of an artificial fishing reef at a crab, eriocheir sinensis aquafarm
KR101795473B1 (en) Winter habitat adjusting faculty for preventing exotic fish from being spread
KR101622774B1 (en) fishway for a elver and king crab
KR100594933B1 (en) Artificial fish breeding system capable of installing on the bottom of sea
Dave et al. Basking behavior of marsh crocodiles (Crocodylus palustris) in pond Deva, Anand district, Gujarat, India
CN109042388A (en) A kind of novel goose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