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471B1 - Apparatus of alloy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alloy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471B1
KR101795471B1 KR1020160100251A KR20160100251A KR101795471B1 KR 101795471 B1 KR101795471 B1 KR 101795471B1 KR 1020160100251 A KR1020160100251 A KR 1020160100251A KR 20160100251 A KR20160100251 A KR 20160100251A KR 101795471 B1 KR101795471 B1 KR 101795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molten
alloy
alloy iron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0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4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4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75Treating in a ladle furnace, e.g. up-/reheating of molten steel within the ladl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006Adding metall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04Removing impurities by adding a treat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2007/0093Duplex process; Two stage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27D2019/0075Regulation of the charge quant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comprising: an alloy iron supply portion; a melting portion for melting alloyed iron supplied from the alloy iron supply portion to produce molten alloyed iron; a molten alloy iron reservoi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elting portion to directly inject the molten iron supplied from the molten iron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to store the molten iron; and a control portion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alloy iron supply portion and the melting portion according to an amount of the molten alloy iron stored in the molten alloy iron reservoir. In a course of producing the alloy steel, dissolution and storage of the alloy iron are continuously performed to suppress or prevent a temperature drop of the alloy iron.

Description

합금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금강 제조방법{Apparatus of alloy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loy steel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n alloy ste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금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금강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강 및 용융 합금철의 온도 하락 및 오염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합금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금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capable of suppressing or preventing temperature drop and contamination of molten steel and molten alloy iro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using the apparatus.

일반적으로 통상의 고망간강의 경우, 망간(Mn)을 1 내지 5중량% 정도 함유하고 있으며, 일부 스테인레스강의 경우도 망간의 함량이 10중량% 이하인 강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자동차용 고강도 고성형성 강재의 경우는 망간 함량이 15 내지 25중량%인 강종이 제조되고 있다. Generally, in the case of ordinary high manganese steel, manganese (Mn)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 wt%, and in some stainless steels, manganese content is 10 wt% or less. In recent years, in the case of a high-strength solid steel for automobiles, a steel having a manganese content of 15 to 25 wt% has been produced.

통상, 전로 공정으로 고망간강을 제조하는 경우, 전로에서 용선을 정련하여 용강을 제조하고, 용강을 출강하는 과정에서 고상의 망간 합금철을 투입하여 망간 성분의 함량을 제어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요구되는 망간 함량에 따라 용강에 투입되는 망간 합금철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Generally, when a high manganese steel is produced by a converter process, molten iron is refined in a converter to prepare a molten steel, and a solid manganese alloy iron is added to the molten steel to control the content of manganese component. At this time, the amount of manganese alloy iron added to the molten steel increases according to the required manganese content.

이와 같이 용강에 투입되는 망간 합금철의 양이 증가하면 용강의 온도가 하락되어 후속 공정에서 용강의 온도를 높이는 과정이 수반된다. If the amount of manganese alloy iron added to the molten steel is increased,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steel is lowered, which is accompanied by a process of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steel in a subsequent proces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망간 합금철을 용해시켜 전로 정련이 완료된 용강에 투입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dissolving manganese alloy iron and injecting it into molten steel having been subjected to refining has been used.

그러나 전로 정련과 망간 합금철의 용해가 서로 다른 공정에서 이루어지고, 각 공정은 소요시간이 상이하여 정련이 완료된 용강에 용해된 망간 합금철을 적시에 투입하지 못하고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However, the dissolution of converter refining and manganese alloy iron is performed in different processes, and each process takes a different time, resulting in the failure to timely inject the manganese alloy iron dissolved in the refined molten steel, resulting in a waiting time do.

이와 같이 용강에 용해된 망간 합금철을 투입하기 위해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 경우 용해된 망간 합금철이 대기 중에 노출되어 온도 하락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망간의 경우 증기압이 높고, 산소나 질소와의 친화력이 높아 흡질 현상이 발생하여 용강과 합탕 후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망간의 산화로 인해 망간 합금철 중 유효 금속의 실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waiting time is elapsed for charging the manganese alloy iron dissolved in the molten steel, the dissolved manganese alloy iron is exposed to the atmosphere and the temperature is lowered. In addition, the manganese has a high vapor pressure and a high affinity with oxygen and nitrogen, causing a phenomenon of adsorption, requiring additional processes for removing nitrogen and nitrogen after the molten steel.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te of realization of effective metals in the manganese alloy iron is lowered due to oxidation of manganese.

KR 1048981BKR 1048981B KR 1047912BKR 1047912B

본 발명은 용융 합금철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여 청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합금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금강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loy steel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the cleanliness by shortening the waiting time of molten iron iron, and an alloy ste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련 등의 추가 공정을 생략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합금강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합금강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loy steel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omitting an additional process such as refining an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an alloy ste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합금강 제조장치는, 합금철 공급부; 상기 합금철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합금철을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을 제조하는 용융부; 상기 용융부에서 공급되는 용융 합금철을 직접 주입시키도록 상기 용융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저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용융 합금철 저장기; 및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저장되는 용융 합금철의 양에 따라 상기 합금철 공급부와 상기 용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n alloy ste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loy iron supply unit; A melted portion for melting alloyed iron supplied from the alloyed iron supply portion to produce molten alloyed iron; A molten iron iron reservoi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lten iron to directly inject the molten iron supplied from the molten iron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for storing the molten ir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loy iron supply unit and the melted part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molten alloy iron stored i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상기 합금철 공급부는, 상기 합금철을 저장하는 원료 저장기와, 상기 원료 저장기에 저장되는 합금철을 상기 용융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lloy iron supply unit may include a raw material reservoir for storing the alloyed iron and an ejector for discharging the alloyed iron stored in the raw material storage unit to the melted portion.

상기 용융부는, 상기 합금철이 용해되는 용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토출시키도록 상기 용해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의 타측에 상기 용해공간으로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melting unit includes a melting furnace having a melting space in which the alloy iron is melted and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melting space for discharging the molten ferrous iron and a melting furnace for supplying a heat source to the melting space at the other side of the melting furnace And a heat source supply unit.

상기 용해로는 경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melting furnace may be tiltable.

상기 열원 공급부는 플라즈마를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The heat source supply unit may use a plasma as a heat source.

상기 저장기는,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용융 합금철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상기 저장공간에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reservoir includes a body having a top open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molten iron is stored, and a cove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wherein the molten iron is injected into the storage space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cover, and a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in the body to discharge the molten iron.

상기 저장기는, 상기 저장공간 내에 저장되는 상기 용융 합금철의 탕면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ervoir may include a level meter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molten alloy iron bath stored in the storage spa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용융 합금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기에서 측정된 상기 용융 합금철의 탕면 레벨에 따라 상기 합금철 공급부 및 용융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lloy iron supply unit and the melting uni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elt surface of the molten alloy iron measured by the measuring device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molten alloy iron stored in the storage space.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 합금철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with an anemo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molten ferrous iro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용융 합금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유속계에서 측정된 용융 합금철의 유속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용융 합금철의 양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합금철 공급부 및 용융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amount of the molten alloy iron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molten alloy iron measured by the anemometer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molten iron alloy stored in the storage space, The operation of the alloy iron supply part and the molten part can be controlled.

상기 저장기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용융 합금철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ervoir may include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molten ferrous iron stored in the storage space.

상기 저장기는, 상기 저장공간의 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공간에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servoir may include a gas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atmosphere gas to the storage space so as to control the atmosphere of the storage space.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용융 합금철을 수용하는 래들을 포함할 수 있다. And ladles for receiving molten ferrous iro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합금강 제조방법언,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 합금철을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융 합금철을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주입하여 융점 이상의 온도로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용강과 상기 용융 합금철을 합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융점 이상의 온도로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융 합금철이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유지하도록 합금철을 단속적으로 용해시켜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A process for produc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for preparing molten steel; Melting iron alloy to prepare molten iron; Injecting the molten alloy iron into a molten alloy iron storage vessel and storing the molten alloy iron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And a step of mixing the molten steel with the molten alloy, and intermittently melting the molten alloy so that the molten alloy is maintained at a preset reference amount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molten alloy at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Into the iron reservoir.

상기 저장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저장되는 용융 합금철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용융 합금철의 양이 상기 기준량보다 적은 경우 합금철을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을 추가로 제조하는 과정; 및 상기 추가로 제조된 용융 합금철을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Measuring a quantity of the molten alloy iron stored i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in the storing step; Melting the ferroalloy when the measured amount of the molten iron is less than the reference amount; And injecting the molten alloy iron further prepared into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상기 기준량은 상기 용강과 합탕되는 용융 합금철의 1회분량보다 많은 양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ference amount may include more than one amount of molten iron ferrous alloyed with the molten steel.

상기 합탕하는 과정 이후에, LF(ladle furnace) 정련 및 진공 정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련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After the mixing process, at least one refining process such as LF (ladle furnace) refining and vacuum refining may be performed.

상기 정련과정에서 탈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The denitrific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during the refining process.

상기 합금철은 망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erroalloy may include manganese.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합금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합금철의 용해와 저장을 연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합금철의 온도 저하를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합금철의 용해와 저장이 연속적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용융 합금철과 대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어 대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용융 합금철의 오염이나 산화를 억제 혼은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temperature drop of the ferroalloy by continuously dissolving and storing the ferroallo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alloy steel. In addition, since the dissolution and storage of the alloy iron are carried out continuously, the contact between the molten alloy iron and the atmosphere can be minimized, thereby preventing contamination or oxidation of the molten alloy iron due to contact with the atmosphere.

또한, 합금강 제조 시 용융 합금철과 용강을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차이에 따른 용융 합금철의 대기 시간을 단축하여, 용융 합금철의 온도 저하는 물론, 흡질 등과 같은 용융 합금철의 오염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후속 정련 공정 등에서 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체 공정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aiting time of the molten alloy iron due to the time difference required for preparing the molten alloy steel and the molten steel in the production of the alloy steel, thereby reducing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alloy iron and also suppressing the contamination of the molten alloy iron,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oad from occurring in the subsequent refining process or the like, and the whole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방법으로 합금강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let you kn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장치는, 합금철 공급부(110)와, 합금철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합금철을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을 제조하는 용융부(120)와, 용융부(120)의 하부에 구비되고 용융부(120)에서 제조된 용융 합금철을 저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 및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 저장되는 용융 합금철의 양에 따라 합금철 공급부와 용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장치는 용융 합금철과 합탕되는 용강을 수용하는 래들(2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lloy iron supply unit 110, a melting unit 120 for melting iron alloy supplied from the alloy iron supply unit 110, A molten alloy iron reservoir 130 and a molten alloy iron reservoir 130 which ar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lten portion 120 and in which an inner space is formed to store the molten iron produced in the molten portion 120, And a control unit 14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lten iron supply unit and the molten ir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lten iron to be stored.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adle 20 for receiving molten steel to be molten with molten iron.

합금철 공급부(110)는 합금철을 저장하는 원료 저장기(112)와, 원료 저장기(112)에 저장되는 합금철을 용융부(120)로 배출시키는 배출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ron alloy feeder 110 may include a raw material reservoir 112 for storing iron alloy and an ejector 114 for discharging alloy iron stored in the raw material reservoir 112 to the molten iron 120.

원료 저장기(112)는 내부에 합금철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는 합금철이 투입되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합금철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는 개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덮개를 이용하여 폐쇄될 수도 있으나, 합금철이 대기와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료 저장기(112)의 개구는 폐쇄하는 것이 좋다. The raw material reservoir 112 may be formed with a space in which alloy iron is stored, an upper portion formed with an opening to insert alloy iron, and an outlet formed with a lower portion to discharge alloy iron. At this time, the opening may be opened or closed by using a separate lid, but it is preferable to close the opening of the raw material reservoir 112 to minimize the contact of the alloy iron with the atmosphere.

배출기(114)는 원료 저장기(112)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원료 저장기(112)에 저장된 합금철을 용융부(120)로 일정하게 배출시킨다. 배출기(114)는 원료 저장기(112)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배출관(114a)과, 배출관(114a)에 구비되고 원료 저장기(112)에 저장된 합금철을 일정하게 배출시키는 배출부재(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부재(114b)는 배출관(114a)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스크류 피더일 수도 있고, 배출관(114a) 내부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배출부재(114b)로 스크류 피더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스크류 피더를 회전시키는 구동기(11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부재(114b)로 밸브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밸브을 작동시키는 구동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harger 114 is connected to the outlet of the raw material reservoir 112 to uniformly discharge the ferrous alloy stored in the raw material reservoir 112 to the fused portion 120. The discharge unit 114 includes a discharge pipe 114a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of the raw material reservoir 112 and a discharge member 114b provided in the discharge pipe 114a and constantly discharging the ferrous iron stored in the raw material reservoir 112 . At this time, the discharge member 114b may be a screw feed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discharge pipe 114a, or may be a valve that opens and closes the flow path inside the discharge pipe 114a. Here, when the screw feeder is used as the discharge member 114b, it may further include a driver 114c that rotates the screw feeder. And a driver to actuate the valve when the valve is used as the discharge member 114b.

용융부(120)는 내부에 합금철이 용해되는 용해공간이 형성되고, 용융 합금철을 토출시키도록 용해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토출구(126)를 포함하는 용해로(122)와, 용해로(122)의 타측에 용해공간으로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공급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lted portion 120 includes a melting furnace 122 having a melting space in which alloy iron is dissolved therein and having a discharge port 126 formed at one side of the melting space for discharging the molten alloy iron, And a heat source supply unit 128 for supplying a heat source to the dissolution space on the other side.

용해로(122)는 중심부가 하향 절곡된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되고, 경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용해로(122)에는 상부에 원료 저장기(112)에서 배출되는 합금철을 용해공간으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24)와, 용해공간에서 생성된 용융 합금철을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로 주입하기 위한 토출구(1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용해로(122)에는 용해 공간에 열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에는 열원공급부(128)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용해로(122)의 일측에서 열원이 공급되고, 열원에 의해 합금철이 용해되어 용융 합금철이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용융 합금철은 용해공간에 임시 저장되며,용해로(122)를 경동시키면 타측의 토출구(126)를 통해 용융 합금철이 토출되어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용해로(122)의 경동 정도를 조절하여 용융 합금철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The melting furnace 12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V" -shaped shape whose center portion is bent downward, and can be tiltably provided. The melting furnace 122 is provided with an injection port 124 for injecting the ferroalloy discharged from the raw material reservoir 112 into the melting space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injection port 124 for injecting the molten alloy iron generated in the melting space into the molten iron- (Not shown). A heat source supply unit 128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elting furnace 122 so as to supply a heat source to the melting space. A heat source is supplied from one side of the melting furnace 122, and the ferroalloy is melted by a heat source to produce molten ferroalloy. The molten alloy iron thus produced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lting space. When the melting furnace 122 is tilted, the molten alloy iron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6 on the other side to be injected into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130. At this time, the degree of tilting of the melting furnace 122 may be adjusted to control the amount of molten iron to be discharged.

열원공급부(128)는 플라즈마 토치와 플라즈마 토치에 질소(N2), 아르곤(Ar), 헬륨(He) 등과 같은 플라즈마 기체를 공급하는 가스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즈마 토치는 전기를 이용하여 20,000℃ 이상의 고온의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용해로(122)의 용해 공간에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플라즈마 토치는 가스공급관에서 공급되는 플라즈마 가스가 수용되는 플라즈마 가둠관과, 플라즈마 가둠관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유도 코일 및 유도 코일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전원공급기에서 유도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면 플라즈마 가둠관 내부에 플라즈마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플라즈마와 플라즈마에 의한 열은 주입구(124)를 통해 용해 공간으로 공급되는 합금철, 즉 고상의 합금철을 용해시키는 열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heat source supply unit 128 may include a gas supply pipe for supplying a plasma gas such as nitrogen (N 2 ), argon (Ar), helium (He), or the like to the plasma torch and the plasma torch. The plasma torch is a device for generating plasma at a high temperature of 20,000 DEG C or more using electricity, and generates plasma in the melting space of the melting furnace 122. [ The plasma torch may include a plasma confinement tube in which the plasma gas supplied from the gas supply tube is accommodated, an induction coil disposed around the plasma confinement tube,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induction coil.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induction coil from the power supply, a plasma is generated inside the plasma confinement tube. The generated plasma and plasma heat can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dissolving alloy iron supplied to the dissolution space through the injection port 124, that is, solid alloy iron.

용해로(122)는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융 몰드 플럭스도 다양한 방법으로 토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elting furnace 122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shapes, and the molten mold flux may also be discharged by various methods.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는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 용융 합금철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몸체(132)와, 몸체(132)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버(13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lten alloy iron reservoir 130 includes a body 132 having a top opened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molten iron is stored and a cover 134 provided to open and close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32 can do.

몸체(132)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피(132a)와, 외피(132a)의 내측에 축조되는 내화물(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외피(132a)와 내화물(132b) 사이 또는 외피(132a)의 외측에는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몸체(132) 내부에 수용되는 용융 합금철의 온도 하락을 억제하여 용융 합금철이 몸체(132) 내에서 일정한 온도, 예컨대 융점 이상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The body 132 may include a shell 132a forming an external shape and a refractory 132b formed inside the shell 132a. At this time,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outer shell 132a and the refractory 132b or outside the outer shell 132a.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iron contained in the body 13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so that the molten iron can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alloy in the body 132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몸체(132)를 별도의 하우징 내부에 배치하여 용융 합금철의 온도 하락을 보다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도 있다. Further, though not shown, the body 132 may be disposed inside a separate housing to more effectively suppress the temperature drop of the molten iron alloy.

몸체(132)에는 용융 합금철을 배출시키는 배출구(138)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38)는 용강과의 합탕을 위해 용융 합금철을 배출시킬 수 있다면 몸체(132)의 측벽이나 바닥 어느 곳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배출구(138)는 몸체(132)에 수용되는 용융 합금철의 탕면 레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용강과의 합탕을 위해 용융 합금철을 배출시킬 때,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를 배출구(138)가 형성된 방향으로 경동시켜 배출시키기 때문이다. 배출구(138)에는 배출구(138)를 개폐하도록 제1마개(137a)가 구비될 수 있다. 제1마개(137a)는 배출구(138)를 통해 몸체(132)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출구(138)를 통해 용융 합금철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body 132 may have an outlet 138 for discharging the molten iron. The discharge port 138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on the side wall or the bottom of the body 132 as long as it can discharge the molten iron alloy for the purpose of the molten iron. 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 138 may b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bath surface level of the molten iron alloy received in the body 132. This is because when the molten iron is discharged for melting with molten steel,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130 is til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charge port 138 is formed and discharged. The discharge port 138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top 137a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138. The first stopper 137a prevents outside air from flowing into the body 132 through the outlet 138 and prevents the molten iron iron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outlet 138. [

커버(134)는 몸체(132)의 상부에 몸체(132)의 개구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134)는 몸체(132) 내부에 수용되는 용융 합금철이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용융 합금철의 온도 하락을 억제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커버(134)에는 용융부(120)에서 공급되는 용융 합금철이 주입되는 개구(13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134)에는 개구(13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제2마개(137b)가 구비될 수 있다. 제2마개(137b)는 용융 합금철을 몸체에 주입할 때 개구(136)를 개방하고, 그 외에는 개구(136)를 폐쇄하여 몸체(132) 내부 공간과 외부를 차단할 수 있다. The cover 134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body 13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32. The cover 134 may be installed to prevent the molten iron contained in the body 132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ir and to suppress the temperature drop of the molten iron. The cover 134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136 into which the molten iron supplied from the molten portion 120 is injected. The cover 134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topper 137b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136. [ The second stop 137b may open the opening 136 when the molten iron is injected into the body and may otherwise block the interior space and the exterior of the body 132 by closing the opening 136. [

이러한 구성을 통해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는 용융 합금철을 일정한 온도, 예컨대 융점 이상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고, 대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다.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130 can maintain the molten alloy iron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and minimize contact with the atmosphere.

또한,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는 몸체(132) 내부의 분위를 제어하도록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공급부는 몸체(132) 내부에 분위기 가스, 예컨대 아르곤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몸체(132) 내부에 존재할 수 있는 공기를 몸체(132) 외부로 배출시켜 용융 합금철이 공기, 예컨대 공기에 함유되는 질소나 산소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몸체(132)에는 몸체(132) 내부 압력을 일정 양압으로 유지하도록 배기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배기구는 몸체(132)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을 넘는 경우 개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130 may include a gas supply unit (not shown) for supplying the atmospheric gas to the inside of the body 132 so as to control the inside of the body 132. The gas supply unit may supply an inert gas such as argon or the like to the interior of the body 132. Through this, air that may be present inside the body 132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32 to prevent the fused alloy iron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air, for example, nitrogen or oxygen contained in air. In addition, an exhaust port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body 132 to mainta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ody 132 at a predetermined positive pressure. The vent may be opened if the pressure inside the body 132 exceeds a certain pressure.

또한,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는 용융 합금철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가열부는 유도코일, 전극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The molten alloy iron reservoir 130 may be provided with a heating unit (not shown) for heating the molten iron. The heating un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an induction coil and an electrode.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는 몸체(132) 내부에 수용되는 용융 합금철의 탕면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레벨 측정기(139)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벨 측정기(139)는 몸체(132)에 구비될 수도 있고, 커버(134)에 구비될 수도 있다. 예컨대 레벨 측정기(139)가 몸체(132)에 구비되는 경우, 열전대 등과 같은 온도측정기를 통해 몸체(132) 내부에 수용되는 용융 합금철의 탕면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또는 레벨 측정기(139)가 커버(134)에 구비되는 경우, 에디 커런트 센서 등과 같은 센서를 이용하여 몸체(132) 내부에 수용되는 용융 합금철의 탕면 레벨을 측정할 수 있다. 레벨 측정기(139)는 몸체(132) 내부에 수용되는 용융 합금철의 탕면 레벨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제어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molten alloy iron reservoir 130 may be provided with a level meter 139 for measuring the level of the molten alloy iron contained in the body 132. The level meter 139 may be provided on the body 132 or on the cover 134. For example, when the level meter 139 is provided on the body 132, the level of the melt surface of the molten iron contained in the body 132 can be measured through a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such as a thermocouple. Or the level meter 139 is provided on the cover 134, the level of the melt surface of the molten iron contained in the body 132 can be measured using a sensor such as an eddy current sensor. The level meter 139 may measure the level of the molten alloy iron contained in the body 132 and transmit the measurement result to the controller 140.

제어부(140)는 배출기(114), 용융부(120) 및 레벨 측정기(139)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40)는 레벨 측정기(139)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용융 합금철의 추가 제조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용융 합금철을 제조하도록 배출기(114)와 용융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합금강 제조 방법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ntrol unit 14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jector 114, the melting unit 120, and the level meter 139. Particularly, the controller 140 determines whether the molten alloy iron is additionally manufactured us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level meter 139,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lten alloy iron is produced by the discharger 114 and the molten iron 120, respectively.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alloy steel manufacturing method.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장치는 용융 합금철 저장기(2)의 구성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장치와 거의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2, an apparatus for produc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the alloy steel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molten iron- have.

용융 합금철 저장기(2)는 용융 합금철이 저장되는 몸체(2)와, 몸체(2)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몸체(2)에는 용융 합금철이 배출되는 배출구(138a)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배출구(138a)는 몸체(132)의 하부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38a)에는 배출구(138a)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 합금철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출구(138a) 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38)에는 배출되는 용융 합금철의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배출되는 용융 합금철의 유량 또는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13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molten alloy iron reservoir 2 may include a body 2 in which molten iron is stored and a cover 2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 [ At this time, the body 2 may be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138a through which the molten iron is discharged, and the discharge port 138a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wall of the body 132. [ The outlet 138a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ssage in the discharge port 138a so as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molten iron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8a. The outlet 138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133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discharged molten alloy iron so as to measure the discharged amount of the discharged molten iron alloy.

이때, 센서(133)는 측정된 결과는 제어부(140)로 전달되고, 제어부(140)는 센서(133)에서 측정된 결과를 이용하여 몸체(132) 내부에 수용된 용융 합금철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산출된 용융 합금철의 양에 따라 용융 합금철의 제조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배출기(114) 및 용융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easured result of the sensor 133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40, and the controller 140 calculates the amount of the molten iron contained in the body 132 using the result measured by the sensor 133 . The control unit 140 may determine whether the molten alloy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mount of the molten alloy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r 114 and the molten steel 120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합금강 제조장치는 합금철을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을 제조하고, 제조된 용융 합금철을 이동시킬 필요 없이 직접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 주입함으로써 용융 합금철의 이동에 따른 온도 하락이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solves ferroalloys to produce molten ferroalloys and directly injects them into the molten ferroalloys 130 without the need to move the molten ferroalloys, The temperature drop or contamina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heater can be minimiz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방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방법으로 합금강을 제조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alloy stee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by an alloy stee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합금강 제조방법은,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S110)과, 합금철을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을 마련하는 과정(S120)과, 용융 합금철을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주입하여 융점 이상의 온도로 저장하는 과정(S130) 및 용강과 용융 합금철을 합탕하는 과정(S170)을 포함하고, 용융 합금철을 융점 이상의 온도로 저장하는 과정에서 용융 합금철이 미리 설정된 기준량을 유지하도록 합금철을 단속적으로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paring a molten steel (S110), preparing a molten alloy iron by dissolving ferroalloy (S120), injecting the molten alloy iron into a molten iron- (S130) of storing the molten alloy at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and a step (S170) of mixing the molten steel with the molten alloy (S170).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molten alloy at a temperature equal to or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And injecting the molten alloy into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molten steel may be carried out as follows.

고로에서 생산된 용선을 전로(10)에 넣고, 취련, 탈린 등 필요한 조건에 맞게 용강을 제조한다. 그리고 전로 정련이 완료된 용강은 전로(10)에서 래들(20)로 출강하여 용융 합금철이 제조되는 전기로로 이송한다. 여기에서는 고로에서 생산된 용선을 전로 정련하여 마련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용강은 전기로에서 제조될 수도 있다. The molten steel produced in the blast furnace is put into the converter (10), and the molten steel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necessary conditions such as blowing and talline. The molten steel having undergone the refining of the electric furnace is led from the converter 10 to the ladle 20 and transferred to the electric furnace where the molten iron is produced. Here, the molten steel produced in the blast furnace is described as being furnished and refined, but the molten steel may be produced in an electric furnace.

용융 합금철을 마련하는 과정은 원료 저장기(112)에 저장된 합금철을 배출기(114)를 이용하여 용해로(122)에 투입하는 과정과, 열원공급부(128)를 통해 용해로(122)에 열원을 공급하여 합금철을 용해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molten alloy iron includes the steps of injecting the ferroalloy stored in the raw material reservoir 112 into the melting furnace 122 using the discharger 114 and supplying the heat source to the melting furnace 122 through the heat source supply unit 128 And dissolving the ferroalloys.

이때, 용해로(122)에 투입되는 합금철은 FeMn 과 같이 망간(Mn) 함유 합금철이나 망간 금속일 수 있다. 여기에서 망간 금속은 합금철이 아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합금철이라 한다. At this time, the alloy iron to be injected into the melting furnace 122 may be manganese (Mn) -based alloy iron such as FeMn or manganese metal. Here, the manganese metal is not alloy iron, but is called alloy ir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용해로(122)에서 합금철을 용해시킬 때 배출기(114)를 이용하여 합금철을 용해로(122)의 용해 공간으로 일정한 속도로 배출시키고, 합금철은 열원공급부(128)에서 제공되는 열원, 즉 플라즈마에 의해 용해되어 용융 합금철로 제조될 수 있다. 용융 합금철은 용해 공간에 임시 저장되었다가 용융 합금철의 제조가 완료되면 용해로(122)를 경동시켜 토출구(126)를 통해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 직접 주입한다. 용융 합금철을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로 주입하기 전, 제2마개(137b)를 열어 개구(136)를 개방시키고, 용융 합금철의 주입이 완료되면 개구(136)를 폐쇄할 수 있다. The alloy iron is discharged into the melting space of the melting furnace 122 at a constant rate by using the discharger 114 when the alloy iron is melted in the melting furnace 122. The alloy iron is heated by the heat source supplied from the heat source supply unit 128, ≪ / RTI > and can be made of molten alloy iron. After the molten alloy iron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elting space, the molten alloy iron is tilted and injected directly into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130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6. The second stop 137b may be opened to open the opening 136 and the opening 136 may be closed after the injection of the molten iron alloy is completed before the molten iron iron is injected into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130 .

이와 같이 용융 합금철의 제조는 미리 설정된 기준량, 즉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 저장될 수 있는 최대량 또는 용강과 합탕 시 사용되는 1회분량보다 많은 양이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 저장될 때까지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는 용융 합금철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용융 합금철의 양을 측정(S140)하고, 용융 합금철의 측정량과 기준량을 비교(S150)하여 측정된 양이 기준량보다 적은 경우 용해로(122)에 합금철의 투입 및 용해를 수행하며, 이러한 과정은 측정된 양이 기준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해질 때까지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용융 합금철의 측정량이 기준량과 동일하거나 많은 경우에는 출탕 여부(S160)에 따라 출탕하여 용강과 합탕하거나, 용융 합금철의 저장을 지속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ion of the molten alloy iron is carried out in a predetermined amount, that is, the maximum amount that can be stored in the molten alloy iron storage unit 130 or the amount of the molten alloy which is used in the molten alloy iron storage unit 130 It can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it is stored.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the molten alloy iron is measured in the course of storing the molten alloy iron (S140), and the measured amount of the molten alloy iron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amount (S150). When the measured amount is less than the reference amount, And this process can be repeatedly performed until the measured amount becomes equal to or similar to the reference amount. If the measured amount of the molten alloy ir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the reference amount, the molten iron can be continuously stored in the molten steel, or the molten iron can be continuously mixed with the molten steel in accordance with whether or not the molten alloy is measured (S160).

용융 합금철이 마련되면, 용융 합금철은 용강과 합탕되기 전까지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 저장될 수 있다. 용융 합금철을 저장하는 과정에서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 불활성 가스 등과 같은 분위기 가스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융 합금철의 탈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molten alloy iron is provided, the molten alloy iron may be stored i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130 until it is mixed with molten steel.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molten alloy iron, an atmosphere gas such as an inert gas or the like may be supplied to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130, thereby performing the denitration treatment of the molten iron alloy.

이후, 용강이 마련되어 합탕 장소로 이송되면,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의 배출구(138)를 통해 용융 합금철을 출탕하여 용강과 합탕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molten steel is prepared and transported to the mixing room, molten iron can be boil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38 of the molten iron storage unit 130 to be mixed with the molten steel.

용융 합금철이 출탕된 이후에도 용융 합금철의 양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측정 결과에 따라 용융 합금철을 추가 제조하여 용융 합금철 저장기(130)에 주입 및 저장할 수 있다. The amount of the molten iron is continuously measured even after the molten iron is boiled, and the molten alloy iron may be additionally prepared and stored i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130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용강과 용융 합금철을 합탕한 이후, 합금강은 진공 정련이나 LF(ladle furnace) 처리 등과 같은 정련 과정을 수행(S180)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합금강 중 수소 성분을 제거하는 탈수소 처리나 질소 성분을 제거하는 탈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합금강의 온도를 승온시키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련 공정에서는 합금강을 교반하는 효과도 있어, 용강과 용융 합금철을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다. 이 과정은 필요에 따라 수행하는 것으로 생략될 수도 있다. After the molten steel and the molten alloy are mixed, the alloy steel may be refined (S180) such as vacuum refining or ladle furnace processing.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dehydrogenation treatment for removing the hydrogen component in the alloy steel, a denitration treatment for removing the nitrogen component, and the step of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alloy steel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refining process also has the effect of stirring the alloy steel, so that the molten steel and the molten alloy can be uniformly mixed. This process may be omitted as it is performed as needed.

이후, 합금강은 주조 설비로 이송되어 주편, 강판 등을 주조(S190)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alloy steel may be transferred to a casting facility and used to cast a slab, steel plate, etc. (S190).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용융부에서 용융 합금철을 제조한 후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직접 저장하기 때문에 용융 합금철 제조 후 용강과 합탕하기 전까지 용융 합금철의 온도 하락이나 대기와의 접촉으로 인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용융 합금철 제조 후 용융 합금철을 별도의 용기를 이용하여 이동시킬 필요 없이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직접 주입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대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온도 하락이나 오염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lten alloy is produced in the molten zone and then stored directly in the molten alloy iron reservoir,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alloy is reduced or the contamination due to contact with the atmosphere is minimized until the molten alloy is mixed with the molten steel can do. That is, since the molten alloy iron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molten alloy iron reservoir without storing it in a separate container after the manufacture of the molten alloy iron, the contact with the atmosphere is minimized to suppress or prevent the temperature drop or contamination will b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s are for explanation purposes only and not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10: 원료 공급부 120: 용융부
130: 용융 합금철 저장기 140: 제어부
110: feedstock supply unit 120:
130: Molten alloy iron storage device 140:

Claims (19)

합금철 공급부;
상기 합금철 공급부의 하부에 경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합금철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합금철을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을 제조하는 용융부;
상기 용융부에서 공급되는 용융 합금철을 직접 주입시키도록 상기 용융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저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용융 합금철 저장기;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저장되는 상기 용융 합금철의 탕면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기; 및
상기 레벨측정기에서 측정된 상기 용융 합금철의 탕면 레벨에 따라 상기 합금철 공급부와 상기 용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장치.
An alloy iron supply part;
A melted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lloy iron supply portion so as to be capable of tilting and dissolving the alloy iron supplied from the alloy iron supply portion to produce molten alloy iron;
A molten iron iron reservoi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lten iron to directly inject the molten iron supplied from the molten iron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for storing the molten iron;
A level meter for measuring a level of the molten alloy iron bath surface stored i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lloy iron supply unit and the melted part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elt surface of the molten alloy iron measured by the level meter;
.
합금철 공급부;
상기 합금철 공급부의 하부에 경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합금철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합금철을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을 제조하는 용융부;
상기 용융부에서 공급되는 용융 합금철을 직접 주입시키도록 상기 용융부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저장하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용융 합금철 저장기;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서 배출되는 용융 합금철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계; 및
상기 유속계에 측정된 상기 용융 합금철의 유속에 따라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저장되는 용융 합금철의 양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합금철 공급부와 상기 용융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장치.
An alloy iron supply part;
A melted portion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lloy iron supply portion so as to be capable of tilting and dissolving the alloy iron supplied from the alloy iron supply portion to produce molten alloy iron;
A molten iron iron reservoir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olten iron to directly inject the molten iron supplied from the molten iron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for storing the molten iron;
A flow 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molten alloy iron discharged from the molten alloy iron reservoir; And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the molten alloy iron stored i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the molten alloy iron measured in the anemometer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lten iron supply unit and the molten iron using the calculated result;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합금철 공급부는,
상기 합금철을 저장하는 원료 저장기와,
상기 원료 저장기에 저장되는 합금철을 상기 용융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기를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ron-
A raw material reservoir for storing the ferroalloy,
And an ejector for discharging the ferroalloy stored in the raw material reservoir to the melted por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융부는,
상기 합금철이 용해되는 용해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토출시키도록 상기 용해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용해로와,
상기 용해로의 타측에 상기 용해공간으로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molten-
A melting furnace formed with a melting space in which the alloy iron is melted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med at one side of the melting space to discharge the molten ferrous iron;
And a heat sourc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heat source to the melting space on the other side of the melting furna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열원 공급부는 플라즈마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합금강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eat source supply unit uses plasma as a heat sourc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는,
상부는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용융 합금철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상기 저장공간에 주입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몸체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합금강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comprises:
A body having a top opened and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molten iron is stored,
And a cover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An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cover so that the molten iron can be injected into the storage space,
And an outlet is formed in the body so as to discharge the molten alloy ir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용융 합금철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The reservoir comprises:
And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molten alloy iron stored in the storage spa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는,
상기 저장공간의 분위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공간에 분위기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를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comprises:
And a gas supply unit for supplying an atmospheric gas to the storage space so as to control the atmosphere of the storage space.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서 배출되는 용융 합금철을 수용하는 래들을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And a ladle containing molten alloy iron discharged from the molten alloy iron reservoir.
용강을 마련하는 과정;
합금철을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용융 합금철을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주입하여 융점 이상의 온도로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용강과 상기 용융 합금철을 합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 합금철을 융점 이상의 온도로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저장되는 용융 합금철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측정된 용융 합금철의 양이 미리 설정된 기준량보다 적은 경우 합금철을 용해시켜 용융 합금철을 추가로 제조하는 과정; 및
상기 추가로 제조된 용융 합금철을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방법.
A process of preparing molten steel;
Melting iron alloy to prepare molten iron;
Injecting the molten alloy iron into a molten alloy iron storage vessel and storing the molten alloy iron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And
And melting the molten steel and the molten alloy iron,
The step of storing the molten alloy iron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Measuring the amount of the fused iron alloy stored in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And melting the ferroalloy when the measured amount of the molten ferroallo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to further prepare the molten ferroalloy; And
And injecting the further produced molten alloy iron into the molten iron iron reservoir.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용융 합금철을 융점 이상의 온도로 저장하는 과정은,
상기 용융 합금철 저장기에서 상기 용융 합금철을 탈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tep of storing the molten alloy iron at a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And denitrating the molten alloy iron in the molten alloy iron reservoir.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기준량은 상기 용강과 합탕되는 용융 합금철의 1회분량보다 많은 양을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reference amount includes an amount greater than one time of molten alloy iron to be mixed with the molten steel.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합탕하는 과정 이후에,
LF(ladle furnace) 정련 및 진공 정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련과정을 수행하는 합금강 제조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6,
After the mixing proces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lloy steel which performs refining of at least one of ladle furnace (LF) refining and vacuum refining.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정련과정에서 탈질 처리를 수행하는 합금강 제조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denitration treatment is performed in the refining process.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합금철은 망간을 포함하는 합금강 제조 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alloy iron comprises manganese.
KR1020160100251A 2016-08-05 2016-08-05 Apparatus of alloy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7954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51A KR101795471B1 (en) 2016-08-05 2016-08-05 Apparatus of alloy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251A KR101795471B1 (en) 2016-08-05 2016-08-05 Apparatus of alloy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471B1 true KR101795471B1 (en) 2017-11-10

Family

ID=60386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251A KR101795471B1 (en) 2016-08-05 2016-08-05 Apparatus of alloy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47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6569A (en) * 2020-10-10 2021-01-15 鞍钢股份有限公司 Alloying method for producing high alloy steel by converter
KR102607679B1 (en) * 2023-03-02 2023-11-29 현대제철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Nitrogen Absorption of Furnace and Steelmaking System
KR102667787B1 (en) 2023-11-24 2024-05-20 현대제철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Nitrogen Absorption of Furnace and Steelmak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439Y1 (en) * 1997-11-18 2002-07-04 이구택 The Apparatus for Preheating Ferro Alloy
KR101439763B1 (en) * 2013-04-11 2014-09-11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of manufacturing Mn containing molten steel, heat conservation furnace,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Mn containing molten stee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439Y1 (en) * 1997-11-18 2002-07-04 이구택 The Apparatus for Preheating Ferro Alloy
KR101439763B1 (en) * 2013-04-11 2014-09-11 주식회사 포스코 Method of manufacturing Mn containing molten steel, heat conservation furnace,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Mn containing molten steel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26569A (en) * 2020-10-10 2021-01-15 鞍钢股份有限公司 Alloying method for producing high alloy steel by converter
KR102607679B1 (en) * 2023-03-02 2023-11-29 현대제철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Nitrogen Absorption of Furnace and Steelmaking System
KR102667787B1 (en) 2023-11-24 2024-05-20 현대제철 주식회사 Device for Preventing Nitrogen Absorption of Furnace and Steelmak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763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n containing molten steel, heat conservation furnace,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Mn containing molten steel using the same
KR101795471B1 (en) Apparatus of alloy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5506220A (en) Method for adding bismuth during smelting of bismuth-containing high-magnetic-inductivity oriented silicon steel
KR20120008213A (en) An unit for transporting a powder and an apparatus for supplying a powder
KR101883382B1 (en) Operation method of electrode arc furnace
US6600768B2 (en) Induction melting furnace with metered discharge
EP3040138B1 (en) Continuous casting method
CN104451355A (en) High phosphorous cast iron inoculating treatment method device in vacuum induction furnace
KR20000060792A (en) Ladle for Aluminum Molten Metal
CN105452504A (en) Manganese-containing molten steel production method, temperature-holding furnace and manganese-containing molten steel production equipment using temperature-holding furnace
JP707357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lloy steel
KR101821249B1 (en) Casting method
KR10223924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rom nozzle clogging
KR100698755B1 (en) Apparatus for inserting ferro-alloy
TWI806561B (en) Metal smelting apparatus
KR101260059B1 (en) Purging device for inert gas and continuous cas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436400B1 (en) Ladle for clean cast
KR101356909B1 (en) Refining device of high purity molten steel and method thereof
JP2002346734A (en) Casting apparatus for grid body for lead battery
KR101798846B1 (en) Block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lloy steel using the same
KR20170023559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olten metal
JPS6195766A (en) Method and device for holding or elevating temperature of liquid metal
KR101477268B1 (en) Vacuum degassing apparatus
JP4943176B2 (en) Melting method of cold iron source in kneading furnace with groove type induction heating device
Caffery et al. Understanding the melting characteristics of HBI in iron and steel me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