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303B1 -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303B1
KR101795303B1 KR1020160121998A KR20160121998A KR101795303B1 KR 101795303 B1 KR101795303 B1 KR 101795303B1 KR 1020160121998 A KR1020160121998 A KR 1020160121998A KR 20160121998 A KR20160121998 A KR 20160121998A KR 101795303 B1 KR101795303 B1 KR 10179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abric layer
layer
gar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조현승
양진희
정찬웅
이정환
이강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21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 동작 시의 측정 신호의 노이즈 및 왜곡을 최소화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식서되어 상기 의복에 결합되는 제 1 직물층; 상기 제 1 직물층 상에 코팅되는 전도성 재료층; 상기 전도성 재료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직물층; 및 상기 제 2 직물층의 상기 전도성 재료층이 형성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의 양단부 상에 상기 제 2 직물층이 상기 의복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식서 방향은 상기 제 1 직물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와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중앙부의 너비가 상기 결합 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Description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TEXTILE MOTION SENSOR AND CLOTH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작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인체부위 별 동작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 인식 직물 센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의복을 통해 자신의 신체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연구는 많이 수행되고 있고, 관련 제품도 시장에서 활발히 거래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동작을 센싱하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1)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센서의 형태가 변형되거나 2) 센서의 위치가 이동하거나, 3) 동작시 센서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신장 및 환원하지 못하고 동작 부위에서의 골격의 형태 변화에 따라 상기 센서의 일부분이 비균일하게 신장 및 수축함으로써, 신체 상태의 측정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자가 입고 활동하면서 지속적인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신체 상태 감지 의복에 있어서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의복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의복의 움직임으로 인해, 센서의 인체상, 의복상 위치가 변화하면 심박, 동작, 호흡, 혈압, 동작 등 신체 상태의 측정 정확도가 떨어진다. 또한, 기존의 신체 상태 감지를 위한 의복은 인체 동작 후에 의복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센서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정확한 감지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 동작 시, 센서의 위치 이동 및 센서의 비균일한 신장 수축 현상을 저감시킴으로써 동잡음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인체 부위별 동작을 정확히 센싱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한 벌의 의복을 이용하여 다양한 위치에서의 인체 동작을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의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식서되어 상기 의복에 결합되는 제 1 직물층; 상기 제 1 직물층 상에 코팅되는 전도성 재료층; 상기 전도성 재료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직물층; 및 상기 제 2 직물층의 상기 전도성 재료층이 형성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의 양단부 상에 상기 제 2 직물층이 상기 의복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식서 방향은 상기 제 1 직물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와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중앙부의 너비가 상기 결합 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는 동일한 너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양단부로부터 중심 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직물층의 너비가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재료층은 단일층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도성 나노입자층 및 중간 직물층이 적층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도성 재료층은 카본 나노 튜브, 카본 금속, 카본 섬유, 전도성 고분자, 그래핀, 및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은,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식서되어 상기 의복에 결합되는 제 1 직물층; 상기 제 1 직물층 상에 코팅되는 전도성 재료층; 상기 전도성 재료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직물층; 및 상기 제 2 직물층의 상기 전도성 재료층이 형성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의 양단부 상에 상기 제 2 직물층이 상기 의복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식서 방향은 상기 제 1 직물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와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중앙부의 너비가 상기 결합 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적어도 하나의 일단부에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연결되는 이격위치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위치 유지부는 비신축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방형 테이프 구조, 나선형의 코드 구조, 및 복수 개의 코드들로 구성되는 트위스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형 밴드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밀착형 밴드 구조는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일단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의복 시스템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이 고관절인 경우,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기 고관절과 이격된 상기 사용자의 허리 영역 및 상기 허리 영역의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신호 처리 장치는,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식서되어 상기 의복에 결합되는 제 1 직물층; 상기 제 1 직물층 상에 코팅되는 전도성 재료층; 상기 전도성 재료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직물층; 및 상기 제 2 직물층의 상기 전도성 재료층이 형성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의 양단부 상에 상기 제 2 직물층이 상기 의복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식서 방향은 상기 제 1 직물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와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중앙부의 너비가 상기 결합 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된 측정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는 동작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측정된 결과 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신호의 고대역의 잡음을 최소화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은 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기 의복에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적어도 2 개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층과 결합 부재의 결합 영역 및 상기 직물층의 중앙부와 상기 결합 부재의 연결 영역에서의 구조를 변형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잡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체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의복 시스템에 결합된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3차원(X축, Y축, Z축) 이동을 최소화함으로써,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측정하고자 하는 인체 부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 동작시 동작 부위 골격의 형태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센서의 비균질한 신장으로 인한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인체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의복 시스템에 결합시킴으로써,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측정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대한 동작 신호를 정확히 감지하고, 감지된 동작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함으로써, 동작 신호의 측정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재료층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직물층 및 전도성 재료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의복과의 결합 방향에 따른 동작 신호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의복과의 결합 방향에 따른 동작 신호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구비하는 의복 시스템으로부터 동작 신호를 제공받는 동작 신호 감지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건강 관리용 신체 모니터링 기능의 스마트 의복 시장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즉, 스포츠 의복, 고령자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실버 의복, 유아 돌연사를 방지하는 유아복, 태아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임부복, 스마트 전투복, 운동 선수 또는 일반인의 신체 동작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의복 등의 다양한 의복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무선 센서의 급속한 성장은 무선 통신 센서를 사용하는 의복 시장 개발의 확대를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헬스케어 및 피트니스용 단말과 멀티 기능 단말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소비자 시장을 직접 겨냥한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령화, 저출산, 만성질환 증가, 소득 수준 증가 등은 건강관리에 대한 수요 급증과 더불어 수요층이 고령층에서 청장년층까지 확대되고 있어 유헬스 케어(U-health care) 시장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경우,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의복에서의 센서의 정확한 동작 구현을 위하여 의복에 부착된 센서의 위치 이동을 최소화하고 생체 신호 센싱시 발생하는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의복 설계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제 1 직물층(10), 전도성 재료층(20), 제 2 직물층(30), 및 결합 부재(4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체의 동작시 동작하는 영역의 인체 부위는 불균일한 형태로 변화하게 되므로, 동작 영역에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일부분만 과신장되게 된다. 이러한 불균일한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신장에 의하여 동작 센싱시 측정 신호는 노이즈를 포함하게 되므로, 인체 부위의 불균일한 형태 변화가 동작 인식 직물 센서에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또한,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의복에 결합 시키기 위한 결합 부재(40)는 일반적으로 전도성 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동작 신호 측정시 결합 부재(40)에 의한 노이즈도 발생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결합 부재(40)와 직물층(10, 30)의 결합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조도 필요로 한다.
제 1 직물층(10)은 면, 마, 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PVC, PCB, PP,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 1 직물층(10)을 구성하는 직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모든 천연 섬유의 직물 및 모든 합성 섬유의 직물 등 의복에 사용되는 일체의 옷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직물층(10)은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층과 별도의 층일 수 있거나,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층과 동일한 층일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의복과 별도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제 1 직물층(10)은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층과 별도의 직물층일 수 있다. 그러나, 동작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의복 제조시 단일 공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층을 제 1 직물층(10)으로 하여 동작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직물층(10)은 제 1 직물층(10)의 식서(selvage) 방향이 결합하는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복의 식서 방향이 길이 방향(세로)인 경우에는, 제 1 직물층(10)의 식서 방향도 길이 방향(세로)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의복의 식서 방향이 너비 방향(가로)인 경우에는 제 1 직물층(10)의 식서 방향도 너비 방향(가로)으로 결합할 수 있다. 만일 제 1 직물층(10)이 의복을 구성하는 직물층과 동일한 경우에는 제 1 직물층(10)과 의복의 식서 방향이 동일한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전도성 재료층(20)을 가운데 두고 제 1 직물층(10) 상에 형성되는 제 2 직물층(30)은 제 1 직물층(10)과 동일한 식서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착용자가 동작시 의복과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동일한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식서 방향을 갖도록 결합된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이한 식서 방향을 갖도록 결합된 동작 인식 직물 센서에 비하여 착용자의 동작시 의복 및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신장 및 수축에 의하여 발생되는 동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a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전도성 재료층(20)은 제 1 직물층(10) 상에 전도성을 갖는 재료가 코팅될 수 있다. 전도성 재료층(20)은 카본 나노 튜브(CNT), 카본 섬유(Carbon Fiber), 카본 금속, 전도성 고분자, 그래핀(Graphene), 알루미늄, 은, 구리, 및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전도성 나노입자들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재료층(20)이 제 1 직물층(10) 상에 적절히 코팅되면, 높은 전기전도성 및 선형성의 특징을 가지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전도성 재료층(20)은 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들은 상기 폴리머 내부에 단방향 또는 다양한 방향으로 배향되는 나노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판 형상의 필름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들은 상기 폴리머 내부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들을 상기 폴리머 내에 고르게 분산시키거나, 측정 기능, 감도 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에 산(acid) 처리를 하여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에 산 처리를 하는 경우,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는 카르복시산과 같은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에 불순물을 도핑시키거나, 필요한 물질을 더 코팅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머는 폴리메틸 메타크리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전도성 나노입자가 고루 분산됨으로써 측정장치로서 필요한 성질을 나타낼 수 있는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폴리머로서, 폴리에테르 설폰(Polyether sulfone), 에폭시(Epoxy), 폴리비닐리딘 프루오라이드(Polyvinylidine fluorid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비닐 크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아크리릭(Acrylic), 나일론(Nylon), 셀룰로식(Cellusosi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폴리머(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 폴리카본나이트(Polycarbonate), 아세탈(Acetal), 플루오로플라스틱(Fluoroplastic)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함께 혼합 사용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폴리머로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을 사용할 수 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도성 재료층(20) 상에는 전도성 인터커넥션(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인터커넥션은 전도성 재료층(20)에서 측정되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전달용 인터커넥션 및 전도성 재료층(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용 인터커넥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인터커넥션은 전도성 재료층(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도성 인터커넥션은 전도성 재료층(20)의 일단에 하나 이상이 전기전도성 접착수단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전도성 접착수단은 전도성 스냅 버튼 또는 전도성 실버에폭시 페이스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도성 재료층(20)을 상기 전도성 인터커넥션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소재 및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제 2 직물층(30)은 전도성 재료층(20)을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전도성 재료층(20)의 주변에 상기 전도성 인터커넥션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 2 직물층(30)은 전도성 재료층(20) 및 상기 전도성 인터커넥션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직물층(30)은 면, 마, 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PVC, PCB, PP,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 2 직물층(30)을 구성하는 직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모든 천연 섬유의 직물 및 모든 합성 섬유의 직물 등 의복에 사용되는 일체의 옷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절연성을 갖는 직물이거나, 절연성 물질이 코팅된 직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 2 직물층(30)은 절연성을 갖는 동시에 방수 기능을 갖는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직물층(10) 및 제 2 직물층(30)은 동일한 직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 2 직물층(30)은 폴리우레탄으로 구성된 직물층일 수 있다. 제 2 직물층(30)은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땀 또는 물 등과 접촉하는 경우, 전도성 재료층(20) 및 상기 전도성 인터커넥션들이 통전되어 센서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 부재(40)는 제 2 직물층(30) 상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 2 직물층(30)의 전도성 재료층(20)이 형성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의 양단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직물층(30)의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결합 부재(40)가 형성될 수 있다.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결합 부재(40)에 의하여 의복에 결합 가능하게 된다. 결합 부재(40)는 스냅 버튼, 밸크로, 단추, 후크, 지퍼, 끈 및 고리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냅 버튼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2 직물층(30)은 길이 방향으로 구분되는 양단부(A) 및 중앙부(B)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부재(40)는 제 2 직물층(30)의 양단부(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양단부(A)는 결합 부재(4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40)가 원형의 스냅 단추인 경우 결합 부재(40)가 형성되는 제 2 직물층(30)의 양단부는 스냅 단추를 지지할 수 있도록 결합 부재(40)와 동일한 크기의 원형으로 이루어지거나 결합 부재(40)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 2 직물층(30)의 중앙부(B)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양단부(A)와 상기 중앙부(B)가 연결되는 연결 영역(C)을 살펴보면, 상기 중앙부(B)의 너비(b)는 상기 양단부(A)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직물층(30)의 중앙부(B)의 너비(b)는 결합 부재(40)의 직경(a)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형상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장방형 센서라고 지칭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직물층(10) 및 전도성 재료층(20)의 형상은 제 2 직물층(30)의 형상과 동일하므로 제 2 직물층(30)과 결합 부재(40)의 형상에 대한 설명은 제 1 직물층(10) 및 전도성 재료층(20)과 결합 부재(40)의 형상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 부재(40)와 결합되는 제 2 직물층(30)의 단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결합 부재(40)에 의하여 전도성 재료층(20) 및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동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직물층(30)의 중앙부(B)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중앙부(B)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양단부(A)로부터 제 2 직물층의 중심 영역(O)으로 갈수록 제 2 직물층(30)의 너비(b)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형상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보트형 센서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 2 직물층(30)의 중앙부(B)와 결합 부재(40)와의 연결 영역(C)에서의 접촉 면적은 최소화하면서 착용자의 동작을 측정하는 상기 중앙부(B)의 면적은 최대화함으로써 결합 부재(40)에 의하여 가중되는 동잡음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재료층(20)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전도성 재료층(20)은 전도성 나노입자층(21, 23, 25) 및 중간 직물층(22, 24)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재료층(20)은 전도성 나노입자층(21, 23, 25) 및 중간 직물층(22, 24)이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도성 나노입자층(21, 23, 25)은 카본 나노 튜브(CNT), 카본 섬유(Carbon Fiber), 카본 금속, 그래핀(Graphene), 전도성 고분자 및 알루미늄, 은, 구리,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나노입자층(21, 23, 25)은 모두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나,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목적에 따라 서로 상이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중간 직물층(22, 24)은 면, 마, 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PVC, PCB, PP,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중간 직물층(22, 24)을 구성하는 직물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모든 천연 섬유의 직물 및 모든 합성 섬유의 직물 등 의복에 사용되는 일체의 옷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직물층(22, 24)은 모두 동일한 직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목적에 따라 서로 상이한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중간 직물층(22, 24)은 제 1 직물층(10) 또는 제 2 직물층(30)과 동일한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이한 직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전도성 나노입자층(21, 23, 25) 및 중간 직물층(22, 24)이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목적에 따라 서로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전도성 재료층(20)은 제 1 직물층(10) 상에 코팅 또는 프린팅되어 하나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전도성 재료층(20)은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프린팅, 진공여과, 함침 코팅, 도포 코팅과 같은 방법 또는 프린팅 방법으로 제 1 직물층(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직물층(20) 상에 복수 개의 전도성 나노입자층 및 중간 직물층이 적층되며, 제 1 직물층(20) 상에 형성되는 전도성 나노입자층(21, 23)과 중간 직물층(22) 사이에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인더 층(26, 27)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인더 층(26, 27)은 중간 직물층(22)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코팅되어 일체화된 상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별도의 페이스트 층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바인더 층(26, 27)은 전도성 나노입자층(21, 23)의 전기적 특성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종래의 바인더와는 달리, 접착성과 도전재 역할을 하는 도전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별도의 첨가물 없이도 자체로서 두 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일체형 바인더 층으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바인더 층(26, 27)은 전도성 물질인 폴리퍼플루오로설폰산, 폴리[2,2'-(m-페닐렌)-5,5'-비벤즈이미다졸, 폴리[2,5-벤즈이미다졸], 폴리벤즈옥사졸 또는 폴리벤즈티아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바인더 층(26, 27)의 두께가 0.1 mm 내지 5mm 로 상대적으로 전도성 나노입자층(21, 23)보다 얇은 경우, 종래의 절연성 바인더와 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바인더 층(26, 27)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직물층(10) 및 전도성 재료층(20)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제 1 직물층(10)의 한쪽 면에만 전도성 재료층(20)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 및 하부면 양 쪽 모두에 전도성 재료층(21, 23)을 형성할 수 있다. 전도성 재료층(21, 22) 각각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복수 개의 전도성 나노입자층(21, 22)과 중간 직물층(23), 그리고 이들 사이에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인더 층(26, 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전도성 재료들이 코팅된 동작 인식 직물 센서로서, 종래의 의복과 일체화되어 의복의 착용자(사용자)에게 이물감을 제공하지 아니하고, 착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동작시 동작 영역의 위치, 각도, 속도와 같은 신체의 동작 정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가 결합된 의복 시스템은 제 1 직물층(10), 전도성 재료층(20), 제 3 직물층(30), 및 결합 부재(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직물층(10)은 면, 마, 견,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폴리우레탄, PVC, PCB, PP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가 의복과 일체화되어 제조되는 경우에는 제 1 직물층(10)은 의복을 구성하는 원단일 수 있다. 제 1 직물층(10)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설명한 제 1 직물층(10)과 동일한 구성, 재료, 및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전도성 재료층(20)은 제 1 직물층(10) 상에 코팅될 수 있고, 제 1 직물층(10)의 동작 센싱이 필요한 영역의 위치 및 크기에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제 2 직물층(30)은 전도성 재료층(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복 시스템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의복 시스템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중앙부가 동작이 발생되는 관절의 중앙부에 대응되도록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가 의복에 결합되는 경우, 관절이 동작할 때 관절이 튀어나온 부분이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면서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중앙부는 과도하게 신장되고, 바깥부는 적게 신장되는 것과 같이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일부분만 과 신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에 측정되는 동작 신호는 노이즈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를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동작을 캡쳐한 결과를 살펴보면, 동작시 인체에서는 관절 부위의 체표면이 가장 많이 신장되지만, 의복에서는 관절 부위로부터 이격된 위치가 가장 많이 신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를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동작시 발생하는 노이즈가 감소된 정확한 신호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팔 또는 다리의 동작을 측정하려고 하는 경우,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팔 또는 다리 관절 중앙으로부터 3 cm 내지 15 cm 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한쪽 끝단이 위치하도록 의복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위치가 관절의 중앙으로부터 3 cm 미만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의복 영역에 결합되는 경우, 관절의 움직임으로부터 영향을 크게 받아 동작 신호 발생시 노이즈 또는 이로 인한 더블 피크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위치가 관절의 중앙으로부터 15 cm 초과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의 의복 영역에 결합되는 경우, 동작에 의한 의복 및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신장되는 정도가 적어 정확하게 동작을 측정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고관절의 운동 동작을 측정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를 중력 방향으로의 수직 방향의 동작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지평면과 평행하는 수평 방향의 동작을 측정하기 위한 제 2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의복의 허리둘레선 상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의복의 뒷 중심선으로부터 좌우로 2 내지 20 cm 이내의 위치의 의복 영역에 결합되어 동작 신호의 품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가 결합된 의복 시스템의 경우,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의복 시스템 내에서 사용자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노이즈가 적은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부위에 위치의 변형없이 결합되어 동작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결합 위치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복 시스템은 이격위치 유지부(300) 및 밀착형 밴드 구조(40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이격위치 유지부(300)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적어도 하나의 일단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를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키며 그 위치를 유지하기 위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격위치 유지부(300)는 비신축성 재료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동작시에도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격위치 유지부(300)는 장방형 테이프 구조, 나선형의 코드 구조, 및 복수 개의 코드들로 구성된 트위스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위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의복 시스템은 밀착형 밴드 구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형 밴드 구조(400)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의 일단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의복 시스템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가 팔꿈치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밀착형 밴드 구조(400)는 의복 시스템의 팔목부 또는 어깨 관절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밀착형 밴드 구조(400)에 의하여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신장율이 증가하기 때문에 동작 신호의 크기가 증가되고,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를 동작이 발생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동작 신호 측정시 발생되는 노이즈 또는 더블피크의 신호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의복과의 결합 방향에 따른 동작 신호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방형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식서 방향과 의복의 식서 방향과 수직의 식서 방향을 갖는 무릎 관절 주변에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결합된 의복 시스템으로부터 측정된 동작 신호이고, 도 9b 내지 도 9d는 장방형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식서 방향과 의복의 식서 방향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무릎 관절 주변에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결합된 의복 시스템으로부터 측정된 동작 신호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동작 인식 직물 센서와 의복의 식서 방향이 수직인 경우, 반복적인 동작에 대한 센서의 측정 결과가 시간이 지날수록 일정하지 아니하고 변형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약 5초(5600 ms) 이후의 시간에서는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9b 내지 도 9d를 참조하면, 운동이 이루어지는 무릎 관절 부위에서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식서 방향을 갖도록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결합하여 동작 신호를 측정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복의 식서 방향이 길이 방향(즉, 세로 방향)으로서 약 90˚라고 할 때, 의복의 가로 방향으로부터 약 60˚의 위치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더블 피크가 관찰되지 아니하였으나, 반복적인 운동시 시간이 지날수록 측정 신호의 크기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약 120˚의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시간이 지날수록 측정 신호의 크기가 감소되고 미세한 더블 피크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약 90˚의 위치에 형성되는, 즉,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식서 방향을 갖는 장방형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반복 동작시 균일한 신호의 크기가 유지되고, 신호의 형태에 변화도 발생하지 아니하며, 더블 피크도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의복과의 결합 방향에 따른 동작 신호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트형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식서 방향과 의복의 식서 방향과 수직의 식서 방향을 갖는 무릎 관절 주변에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결합된 의복 시스템으로부터 측정된 동작 신호이고, 도 10b 내지 도 10d는 장방형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식서 방향과 의복의 식서 방향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무릎 관절 주변에 동작 인식 직물 센서가 결합된 의복 시스템으로부터 측정된 동작 신호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동작 인식 직물 센서와 의복의 식서 방향이 수직인 경우, 반복적인 동작에 대한 센서의 측정 결과가 시간이 지날수록 일정하지 아니하고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약 6초(5797 ms) 이후의 시간에서는 측정 신호값이 급속도로 감소하여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10b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운동이 이루어지는 무릎 관절 부위에서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의 식서 방향을 갖도록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결합하여 동작 신호를 측정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복의 식서 방향이 길이 방향(즉, 세로 방향)으로서 약 90˚라고 할 때, 의복의 가로 방향으로부터 약 60˚의 위치에 형성되는 장방형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더블 피크가 관찰되지 아니하였으나, 반복적인 운동시 시간이 지날수록 측정 신호의 크기가 약간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약 120˚의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시간이 지날수록 측정 신호의 크기는 유지되지만 미세한 더블 피크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약 90˚의 위치에 형성되는, 즉,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식서 방향을 갖는 장방형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반복 동작시 균일한 신호의 크기가 유지되고, 신호의 형태에 변화도 발생하지 아니하며, 더블 피크도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또한, 도 9a 내지 도 10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장방형 또는 보트형의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동작이 발생하는 관절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만일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가 동작이 발생하는 관절 영역에 부착되어 동작을 인식하는 경우에는 측정되는 저항의 크기가 더블 피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를 동작이 발생하는 관절 영역인 팔꿈치 또는 무릎 관절 영역으로부터 2 내지 10 cm 이격된 위치에 부착하여 동작을 인식하면, 측정 저항 결과값에서 더블 피크가 발생하지 아니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동작이 발생되는 관절 영역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동작을 측정하여 정확한 운동의 정도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이 고관절인 경우,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기 고관절과 이격된 상기 사용자의 허리 영역 및 상기 허리 영역의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구비하는 의복 시스템으로부터 동작 신호를 제공받는 동작 신호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 의복 시스템(200), 통신 모듈(500) 및 동작 신호 처리 장치(600)를 포함한다.
의복 시스템(200)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따른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이격위치 유지부 및/또는 밴드형 밀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의복 시스템(200)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식서되어 상기 의복에 결합되는 제 1 직물층; 상기 제 1 직물층 상에 코팅되는 전도성 재료층; 상기 전도성 재료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직물층; 및 상기 제 2 직물층의 상기 전도성 재료층이 형성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의 양단부 상에 상기 제 2 직물층이 상기 의복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식서 방향은 상기 제 1 직물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와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중앙부의 너비가 상기 결합 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모듈(500)은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로부터 감지된 결과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 신호 처리 장치(6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유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유선 인터넷(intern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는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및 5G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500)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동작 인식 직물 센서(100)는 의복 시스템(200)의 통신 모듈(500)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 모듈(500)로부터 인체에 대해 감지된 생체 감지 신호를 수신한다. 동작 신호 처리 장치(600)는 수신된 생체 감지 신호를 생체 신호 분석 프로그램 및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분석된 처리 신호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의복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모듈(500)은 분석 처리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의복 시스템(200)의 일측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분석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제 1 직물층
20 : 전도성 재료층
30 : 제 2 직물층
40 : 결합 부재
21, 23, 25: 전도성 나노입자층
22, 24 : 중간 직물층
26, 27 : 바인더 층
200 : 의복 시스템
300 : 이격위치 유지부
300 : 밀착형 밴드 구조부
500 : 통신 모듈
600 : 동작 신호 처리 장치

Claims (18)

  1. 의복에 결합되어 상기 의복을 착용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로서,
    상기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식서되어 상기 의복에 결합되는 제 1 직물층;
    상기 제 1 직물층 상에 코팅되는 전도성 재료층;
    상기 전도성 재료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직물층; 및
    상기 제 2 직물층의 상기 전도성 재료층이 형성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의 양단부 상에 상기 제 2 직물층이 상기 의복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식서 방향은 상기 제 1 직물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와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중앙부의 너비가 상기 결합 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의복 상에 배치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는 동일한 너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양단부로부터 중심 영역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직물층의 너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층은 단일층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전도성 나노입자층 및 중간 직물층이 적층된 형태를 포함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층은 카본 나노 튜브, 카본 금속, 카본 섬유, 전도성 고분자, 그래핀, 및 금속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
  7. 사용자의 동작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으로서,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식서되어 상기 의복에 결합되는 제 1 직물층;
    상기 제 1 직물층 상에 코팅되는 전도성 재료층;
    상기 전도성 재료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직물층; 및
    상기 제 2 직물층의 상기 전도성 재료층이 형성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의 양단부 상에 상기 제 2 직물층이 상기 의복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식서 방향은 상기 제 1 직물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와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중앙부의 너비가 상기 결합 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의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적어도 하나의 일단부에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를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연결되는 이격위치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위치 유지부는 비신축성 재료로 구성되는 의복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위치 유지부는 장방형 테이프 구조, 나선형의 코드 구조, 및 복수 개의 코드들로 구성된 트위스트 구조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위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형 밴드 구조를 더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형 밴드 구조는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의 일단부에 연결되거나 상기 의복 시스템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의복 시스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이 고관절인 경우,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기 고관절과 이격된 상기 사용자의 허리 영역 및 상기 허리 영역의 주변부에 배치되는 의복 시스템.
  14. 의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식서되어 상기 의복에 결합되는 제 1 직물층; 상기 제 1 직물층 상에 코팅되는 전도성 재료층; 상기 전도성 재료층 상에 형성되는 제 2 직물층; 및 상기 제 2 직물층의 상기 전도성 재료층이 형성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의 양단부 상에 상기 제 2 직물층이 상기 의복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식서 방향은 상기 제 1 직물층의 식서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결합 부재가 형성되는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직물층의 양단부와 상기 제 2 직물층의 중앙부의 연결 영역에서 상기 중앙부의 너비가 상기 결합 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동작 인식 직물 센서;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로부터 측정된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된 측정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는 동작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기 의복의 사용자의 동작이 발생되는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동작 신호 측정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측정된 결과 신호를 증폭시키는 신호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신호의 고대역의 잡음을 최소화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 측정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 측정 시스템.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상기 의복에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 측정 시스템.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 직물 센서는 적어도 2 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신호 측정 시스템.
KR1020160121998A 2016-09-23 2016-09-23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KR101795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98A KR101795303B1 (ko) 2016-09-23 2016-09-23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998A KR101795303B1 (ko) 2016-09-23 2016-09-23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5303B1 true KR101795303B1 (ko) 2017-11-07

Family

ID=6038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1998A KR101795303B1 (ko) 2016-09-23 2016-09-23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90A (ko) * 2017-12-07 2019-06-17 울산과학기술원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KR20200042577A (ko) * 2018-10-15 2020-04-2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동적분석을 위한 스트레인 센서, 그 스트레인 센서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90A (ko) * 2017-12-07 2019-06-17 울산과학기술원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KR102070188B1 (ko) 2017-12-07 2020-01-28 울산과학기술원 생체 신호 감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KR20200042577A (ko) * 2018-10-15 2020-04-24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동적분석을 위한 스트레인 센서, 그 스트레인 센서의 제조방법
KR102168457B1 (ko) * 2018-10-15 2020-10-22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동적분석을 위한 스트레인 센서, 그 스트레인 센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Skin-interfaced sensors in digital medicine: from materials to applications
Nigusse et al. Wearable smart textiles for long-term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A review
US11137298B2 (en) Supercapacitive iontronic nanofabric sensing
Gao et al. Highly stretchable sensors for wearable biomedical applications
US10945663B2 (en) Smart sensing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101806697B1 (ko)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 시스템
KR101722064B1 (ko) 스트레쳐블 스트레인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의 감지 방법
Catrysse et al. Towards the integration of textile sensors in a wireless monitoring suit
Cho et al. Heart monitoring garments using textile electrodes for healthcare applications
KR101795303B1 (ko)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Salibindla et al. Characterization of a new flexible pressure sensor for body sensor networks
KR101693306B1 (ko) 인덕턴스기반 인장 센서와 이를 적용한 생체신호 측정 센서 및 그 의류
Lin et al. E-jacket: Posture detection with loose-fitting garment using a novel strain sensor
Zang et al. A facile, precise radial artery pulse sensor based on stretchable graphene-coated fiber
US11583228B2 (en) Functionalized garment and uses thereof
KR101895694B1 (ko) 동작 인식 직물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
Memarian et al. Wearable technologies in sportswear
Vidhya et al. Recent advances and challenges in textile electrodes for wearable biopotential signal monitoring: a comprehensive review
GB2587847A (en) Biosensing garment and method
JP6359959B2 (ja) 固定用部品
Zhong et al. Integrated design of physiological multi-parameter sensors on a smart garment by ultra-elastic e-textile
KR101833119B1 (ko) 인체 동작 시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하는 스마트 의복 및 생체 신호 감지 시스템
Beyene et al. Development of a flexible wireless MWCNTs-based ECG monitoring device
JP2018096797A (ja) 伸縮構造体、伸縮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センサ部品
Saleh et al. Textile-based electrode for electrocardiography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