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916B1 -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 Google Patents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916B1
KR101793916B1 KR1020160158348A KR20160158348A KR101793916B1 KR 101793916 B1 KR101793916 B1 KR 101793916B1 KR 1020160158348 A KR1020160158348 A KR 1020160158348A KR 20160158348 A KR20160158348 A KR 20160158348A KR 101793916 B1 KR101793916 B1 KR 101793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erilizing
sterilization
cup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3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8366A (en
Inventor
손정철
김창진
윤성문
이인규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916B1/en
Publication of KR20160138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3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02F9/005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9/20Portable or detachable small-scale multistage treatment devices, e.g. point of use or laboratory water purification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취수코크의 내부 및 외부를 살균처리할 수 있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및 살균컵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처리장치는,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취수코크와, 살균수를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수처리모듈;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수용하기 위한 살균컵;을 포함하되, 사용자의 살균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살균수가 배출되고, 상기 취수코크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취수코크커버의 내측에는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발광수단이 구비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device and a sterilizing cup capable of steriliz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intake coke using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The water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comprises a water intake module including a water intake cork for taking out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part to the user and a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sterile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coke; And a sterilizing cup for receiving the steriliz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coke, wherein sterilization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cock by a user's request for sterilization, and the water intake coke cov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intake coke And a light emitting means for indicating that the water intake cock is sterilized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Figure 112016115659626-pat00001
Figure 112016115659626-pat00001

Description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본 발명은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취수코크를 살균처리할 수 있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a water intake co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a water intake coke using sterilized water generated in a sterilizing module.

종래의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자연수와 같은 원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원수밸브와, 상기 원수밸브를 통과한 원수 중의 찌꺼기를 여과하게 되는 전처리 침전 필터와, 원수 중의 염소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 카본 필터와, 상기 프리 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포스트 카본 필터와, 상기 포스트 카본 필터를 통과한 정수에 포함된 세균 및 기타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중공사막 필터와, 상기 중공사막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물탱크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water purifier includes a raw water valv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raw water such as tap water and natural water, a pretreatment sedimentation filter for filtering the debris in the raw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aw water valve, A post-carbon filter for removing chlorine components and odors contained in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pre-carbon filter, and a hollow fiber filter for removing bacteria and other fine particles contained in purified water passing through the post- And a water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일반적으로 정수처리장에서는 물속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염소계 살균소독제를 투여하는데, 상기 살균소독제가 투여된 수돗물이 정수기를 통과하는 동안 프리 카본 필터와 포스트 카본 필터에서 염소성분이 제거된 후 물탱크에 저장된다.In general, in the water treatment plant, a chlorine-based sanitizing disinfectant is administered to suppres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the water. While the tap water to which the sanitizing disinfectant is administered passes through the water purifier, chlorine is removed from the free carbon filter and the post- .

이와 같이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는 염소성분이 필터에 의해 제거된 상태이므로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소비자가 즉시 이용하지 않고 장시간 경과하게 되면 물탱크 내부에 세균이 증식하게 되므로, 이러한 물탱크의 살균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었다.Since the chlorine component that suppresses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s removed by the filter,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not used immediately by the consumer, and bacteria proliferate inside the water tank after a long time elapses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the sterilization of these water tanks.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621937에는 필터부와 정수탱크의 사이에 전기분해에 의해 정수수의 살균 및 산화성 혼합물질을 생성하는 전해살균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정수탱크 내부를 살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621937 discloses a technique for sterilizing the inside of a purified water tank by providing an electrolytic sterilizing means between the filter portion and the purified water tank for sterilizing purified water by electrolysis and producing an oxidizing mixed material.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 개시된 살균시스템의 경우 탱크들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출하는 취수코크는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살균처리가 어려워 이물질에 의해 오염이 되고 세균이 증식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disinfection system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intake coke for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in the tanks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terilization treatment is difficult and contamination is caused by foreign matter and bacteria are proliferat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수처리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취수코크의 내부 및 외부를 살균처리할 수 있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intake coke by using the sterilized water generat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는,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취수코크와, 살균수를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수처리모듈;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수용하기 위한 살균컵;을 포함하되, 사용자의 살균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살균수가 배출되고, 상기 취수코크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취수코크커버의 내측에는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발광수단이 구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a water intake coke, comprising: a water intake coke for leaving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to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terilizing wat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coke Water treatment module; And a sterilizing cup for receiving the steriliz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coke, wherein sterilization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cock by a user's request for sterilization, and the water intake coke cov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intake coke And a light emitting means for indicating that the water intake cock is sterilized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상기 살균요청신호는 상기 수처리모듈에 구비된 조작패널의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The sterilization request signal may be generated by a user pressing a button of an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상기 수처리모듈에는 상기 살균컵을 감지하기 위한 살균컵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요청신호는 상기 살균컵감지부에서 상기 살균컵을 감지한 경우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The water treatment module may include a sterilizing cup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terilizing cup, and the sterilizing request signal may be generated when the sterilizing cup sensing unit senses the sterilizing cup.

상기 살균컵은,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제1수용부, 상기 수용홈에서 넘친 살균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rilizing cup may comprise a first receiving portion having a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take cock,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sterilizing water overflowing from the receiving groove.

상기 발광수단은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취수코크 살균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이 반복 점등되는 것일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ean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and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may repeatedly light different colors of light during the sterilization of the intake coke.

상기 수처리모듈의 취수코크 하부에는 사용자가 출수를 위해 안착시킨 컵에 의해 눌러지는 출수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살균컵이 상기 수처리모듈에 안착된 경우 상기 살균컵의 몸체부는 상기 출수버튼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일 수 있다.Wherein the body of the sterilization cup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outlet button when the sterilization cup is seat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Lt; / RTI >

상기 살균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erilization cup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취수코크 내부를 살균처리할 수 있고,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살균컵에 수용하되 취수코크가 살균컵에 수용된 살균수에 잠기도록 하여 취수코크의 외부까지 살균처리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청결한 물을 제공할 수 있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inside of the intake coke by discharging the sterilized water generated in the sterilizing module through the intake coke, and to store the steriliz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take coke into the sterilizing cup, Sterilized water can be immersed in the sterilized water to sterilize the outside of the water intake coke, thereby providing clean water to the user and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취수코크 살균과정 중에 취수코크커버 내부에 구비된 발광수단을 점등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안전성 및 사용편리성이 향상된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means provided inside the take-out coke cover is turned on during the sterilization process of the intake coke, the user's attention can be raised, and safety for use and convenience of use are improved.

또한 저장탱크 내부에 저장된 정수를 이용하여 취수코크 살균 및 헹굼이 이루어지므로, 물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코크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used for sterilizing and rinsing the water intake coke, wat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and the time required for sterilizing the water intake coke can be reduced.

또한 취수코크 살균시 순환펌프를 작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고 살균수의 살균물질 농도를 높여 취수코크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not operating the circulation pump during the sterilization of the intake cock,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and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sterilizing substance in the sterilized water to improve the sterilization effect of the intake cock.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모듈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모듈과 제1실시예에 의한 살균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살균컵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살균컵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난 제2수용부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난 살균컵의 제2수용부와 컵받침대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모듈에 살균컵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살균컵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살균컵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처리모듈에서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살균컵에 살균수가 수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상태도
1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water treat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water treat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ile cup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ilizing c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rilizing cup shown in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ck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shown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up holder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of the sterilizing cup shown in Fig. 3
7 is a partially cutaway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rilizing cup is seated on the water treat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ilizing cu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erilizing cup shown in Fig. 8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water intake cork sterilization is perform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receiving sterilized water in a sterilization cup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모듈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struction of a water treat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모듈(1)은, 원수를 여과하기 위해 다수의 필터(110,120,130,140)로 이루어진 필터부(100), 상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부(200), 상기 저장부(200)에 연결된 순환라인(521) 상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공급하기 위한 살균모듈(300),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출수부(400)를 포함한다.The water treatment modu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lter unit 100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s 110, 120, 130 and 140 for filtering raw water, a storage unit 200 for storing the filtered water in the filter unit 100, A sterilizing module 300 installed on a circulation line 521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200 to supply sterilized water and a water outlet 400 for taking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200 to the user do.

상기 필터부(100)는, 전처리 침전 필터(110)와, 프리 카본 필터(120)와, 포스트 카본 필터(130), 중공사막 필터(1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공사막 필터(140) 대신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100 includes a pretreatment sedimentation filter 110, a pre-carbon filter 120, a post-carbon filter 130, and a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140, An osmotic membrane filter may be provided.

상기 각 필터들(110,120,130,140) 사이는 다수의 배관(501,502,50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정수된 물이 이동하는 정수이동라인을 형성하고, 전처리 침전 필터(110)와 프리 카본 필터(120)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501) 상에는 원수의 유입을 단속하기 위한 원수밸브(150)가 구비된다.A plurality of pipes 501, 502, and 503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filters 110, 120, 130 and 140 to form a purified water movement line through which purified water moves, and a pre-treatment settling filter 110 and a pre- On the piping 501, a raw water valve 150 for interrupting the flow of raw water is provided.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필터부(100)에서 여과된 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공급라인(504)에 의해 상기 중공사막 필터(140)와 연결되어 냉수와 정수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210)와,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연결되어 온수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220)로 이루어진다.The storage unit 200 stores the filtered water in the filter unit 100 and is connected to the hollow fiber membrane filter 140 by the purified water supply line 504 to store the cold water and the purified water. A storage tank 210 and a second storage tank 220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tank 210 to store hot water.

상기 제1저장탱크(210)는 상온의 정수가 저장되는 상부공간(210a)과 냉수가 저장되는 하부공간(210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공간(210a)과 하부공간(210b)은 분리판(213)에 의해 구분되며, 상기 분리판(213)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공간(210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정수를 냉수와 혼합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저장탱크(220)으로 공급하기 위한 연결유로(214)가 구비된다.The first storage tank 210 includes an upper space 210a for storing a constant temperature water and a lower space 210b for storing cold water. The upper space 210a and the lower space 210b are separated by a separation plate 213 and exten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separation plate 213 to penetrate the lower space 210b, And a connection passage 214 for supplying the second storage tank 220 to the second storage tank 220 without being mixed with cold water.

상기 하부공간(210b)의 외측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냉각을 위한 냉각코일(도면에 미도시)이 구비되고,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외측 둘레에는 저장된 정수의 가열을 위한 히터(도면에 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각코일과 상기 히터가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과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A cooling coil (not shown) for cooling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lower space 210b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space 210b. A heater for heating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econd storage tank 220 Not shown). Of course, the cooling coil and the heater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space 210b of the first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storage tank 220.

상기 살균모듈(300)은, 일례로 물을 전기분해하여 원수 속에 포함된 염소이온과 수소, 산소등이 반응하여 HOCl, ClO- 이온 등의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것으로 구성된다.The sterilization module 300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electrolyzing water to react chlorine ions contained in raw water with hydrogen, oxygen, etc. to generate germicidal substances such as HOCl and ClO - ions.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냉수 및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는 취수부(400)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상기 취수부(400)는,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하부공간(210b)에 연결된 냉수취수라인(532) 상에 설치되어 냉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냉수취수밸브(410)와,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에 연결된 온수취수라인(533) 상에 설치되어 온수의 공급을 규제하는 온수취수밸브(420)와, 상기 냉수 및 온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하나의 취수구(450)로 이루어진다. The cold water of the first storage tank 210 and the hot water of the second storage tank 220 are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water intake unit 400. The water intake part 400 includes a cold water intake valve 410 installed on a cold water intake line 532 connected to the lower space 210b of the first storage tank 210 to regulate the supply of cold water, A hot water intake valve 420 installed on the hot water intake line 533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220 for regulating the supply of hot water and one intake port 450 for supplying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to the user, .

한편,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 및 살균모듈(300) 사이를 살균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제1연결라인(511)과 제2연결라인(512) 및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이 구비된다.The first connection line 511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512 are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path between the first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storage tank 220 and the sterilizing module 300, Lines 521a, 521b, 521c and 521d are provided.

상기 제1연결라인(511)은 일단이 제1저장탱크(210)의 연결유로(214)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물이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도록 한다.The first connection line 511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ssage 214 of the first storage tank 21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tank 220, So that the water in the upper space 210a flows into the second storage tank 220.

상기 제1연결라인(511) 상에는 살균순환시 및 취수코크살균시에는 온(On)되어 제1저장탱크(210)의 물 또는 살균수가 제2저장탱크(220)에 유입되도록 하는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가 구비된다.The first connection line 511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511 through which the water or sterilization water of the first storage tank 210 flows into the second storage tank 220 during sterilization circulation and sterilization of the intake coke, A shutoff valve 350 is provided.

상기 제2연결라인(512)은 상기 냉수취수라인(532)과 온수취수라인(533)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제1저장탱크(210) 하부공간(210b)의 물이 상기 냉수취수라인(532)과 제2연결라인(512) 및 온수취수라인(533)을 거쳐 제2저장탱크(220)의 상부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line 512 connects between the cold water intake line 532 and the hot water intake line 533 so that water in the lower space 210b of the first storage tank 210 flows into the cold water intake line 532, The second connection line 512 and the hot water intake line 533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torage tank 220.

상기 제2연결라인(512)과 냉수취수라인(532)이 교차하는 지점에는 살균모드시 상기 제2연결라인(512)을 통해 물이 흐르도록 개방되는 제1유로전환밸브(330)가 구비된다.A first flow path switching valve 330 is provided at a point where the second connection line 512 and the cold water intake line 532 intersect to open water to flow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line 512 in the sterilization mode .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330)는, 냉수취수라인(532)에서 냉수취수밸브(410) 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로는 항상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냉수취수라인(532)에서 제2연결라인(512) 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로는 온(On)/오프(Off)에 의해 개방/폐쇄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거나, 양측 유로방향 중 어느 하나의 유로방향은 폐쇄되고 나머지 하나의 유로방향은 개방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switching valve 330 is opened when the flow path from the cold water intake line 532 to the cold water intake valve 410 is always open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512 ) Direction is opened / closed by ON / OFF, or one of the two flow directions is closed and the other one of the flow directions is opened .

따라서 하부공간(210b)의 물을 냉수취수밸브(410)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유로전환밸브(330)를 오프(Off)시키고, 하부공간(210b)의 물을 제2연결라인(512)을 통해 제2저장탱크(220)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유로전환밸브(330)를 온(On)시킨다.When the water in the lower space 210b is supplied to the cold water intake valve 410, the first flow path switching valve 330 is turned off and the water in the lower space 210b is supplied to the second connection line 512, The first flow path switching valve 330 is turned on.

상기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은 상기 제2저장탱크(220)의 하부와 제1저장탱크(210)의 상부 사이를 연결한다. The circulation lines 521a, 521b, 521c and 521d connec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torage tank 220 and the upper part of the first storage tank 210. [

상기 순환라인(521a,521b,521c,521d) 상에는, 살균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310)와, 살균순환시 상기 순환라인(521a,521b,521c,521d)으로 물의 공급 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상기 순환라인(521a,521b)과 배수라인(541)이 교차하는 지점에 구비되어 유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제2유로전환밸브(320)와, 상기 순환라인(521b,521c)을 통과하는 물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한 살균모듈(300)과,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제1저장탱크(210)와 취수코크라인(531)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3유로전환밸브(360)가 구비된다.The circulation lines 521a, 521b, 521c and 521d are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ump 310 for circulating sterilizing water and a circulation line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to the circulation lines 521a, 521b, 521c and 521d A second flow path switching valve 320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circulation lines 521a and 521b and the drain line 541 to switch the flow direction, A sterilization module 300 for generating sterile water by us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torage tank 210 and the intake cock line 531, And a third flow path switching valve 360 for supplying the gas in the direction of either of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상기 배수라인(541)은 상기 순환라인(521a,521b) 상에서 분기되고,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320)는 배수시에는 온(On)되어 순환라인(521a)에 배수라인(541)을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배수라인(541)을 통해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고, 배수시 이외의 경우에는 오프(Off)되어 순환라인(521a)에 살균모듈(300) 방향의 순환라인(521b)을 연결시킴으로써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을 살균모듈(300)로 공급한다. The drain line 541 is branched on the circulation lines 521a and 521b and the second flow path switching valve 320 is turned on when draining to connect the drain line 541 to the circulation line 521a The water in the first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storage tank 220 is drai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 line 541 and is turned off when the drainage is not performed to sterilize the circulation line 521a The water in the first storage tank 210 and the water in the second storage tank 220 is supplied to the sterilizing module 300 by connecting the circulation line 521b in the direction of the module 300. [

상기 제3유로전환밸브(360)는 살균순환시에는 오프(Off)되어 순환라인(521c)에 제1저장탱크(210) 방향의 순환라인(521d)을 연결시킴으로써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가 순환라인(521d)을 거쳐 제1저장탱크(210)로 유입되도록 하고, 취수코크 살균시에는 온(On)되어 순환라인(521c)에 취수코크라인(531)을 연결시킴으로써 살균수가 취수코크라인(531)을 거쳐 취수코크(450)를 통해 살균컵(2)에 배출되도록 한다. The third flow path switching valve 360 is turned off at the time of sterilization circulation so that the circulation line 521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storage tank 210 is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line 521c, The sterilization water is allowed to flow into the first storage tank 210 via the circulation line 521d and is turned on at the time of sterilization of the intake coke to connect the intake coke line 531 to the circulation line 521c, Through line 531 to the sterilization cup 2 via the intake coke 450. [

상기에서는 제2유로전환밸브(32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는 양측 유로방향 중 어느 하나의 유로방향은 폐쇄되고, 나머지 하나의 유로방향은 개방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유로방향은 상시 개방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유로방향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low direction of either one of the second flow path switching valve 320 and the third flow path switching valve 360 may be closed while the other flow path direction may be open, Direction may be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other one of the flow directions in a state in which it is normally ope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모듈과 제1실시예에 의한 살균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살균컵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난 살균컵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3에 나타난 제2수용부의 배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난 살균컵의 제2수용부와 컵받침대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처리모듈에 살균컵이 안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절개 측단면도로서,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살균컵에 대해 설명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treat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erilizing cu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ilizing cu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up holder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of the sterilizing cup shown in Fig. 3,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cup holder, 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rilizing cup is seated on the water treatment modu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the sterilizing cup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Fig.

도 2를 참조하면, 수처리모듈(1)의 전면부에는 사용자가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 취수코크 살균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 등 복수의 버튼(미도시)이 구비된 조작패널(610)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조작패널(610)의 하부에는 살균컵(2)이 상부에 안착되는 물받이(620)가 구비되어 있다.2, a front panel of the water treatment module 1 includes an operation panel 610 having a plurality of buttons (not shown) such as a button for selecting cold water or hot water, And a water receptacle 62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operation panel 610 to receive the sterilizing cup 2 thereon.

상기 조작패널(610)의 하부에는 취수코크(450; 도 6)가 하향 돌출되어 있고, 사용자가 취수코크(450)를 살균하고자 하는 경우 살균컵(2)을 물받이(620) 위에 안착시키면 상기 취수코크(450)로부터 배출된 살균수가 상기 살균컵(2) 내부에 수용된다.6) protrudes downward from the operation panel 610. When the user desires to sterilize the water intake cock 450, if the sterilization cup 2 is placed on the water receptacle 620, The sterilization water discharged from the cock 450 is accommodated in the sterilization cup 2. [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살균컵(2)은 취수코크(450)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21b)이 형성된 제1수용부(21)와, 상기 제1수용부(21)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21b)에서 넘친 살균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22)와, 상기 제2수용부(2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수용부(22)를 지지하는 컵받침대(23)로 이루어진다.3 to 7, the sterilizing cup 2 includes a first receiving portion 21 having a receiving groove 21b capable of receiving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through a water intake cork 450,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for accommodating sterilized water overflowing from the accommodating groove 21b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nd a cup base 23 for supporting the base 22.

상기 제1수용부(21)는,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모양으로 이루어진 외부몸체(21a)와, 상기 외부몸체(21a)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오목한 홈 형상의 상기 수용홈(21b)을 형성시키는 내부몸체(21d), 상기 내부몸체(21d)의 후방과 전방에 각각 가로방향으로 소정길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구부(21c,21f)로 이루어진다.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includes an outer body 21a having a substantially trapezoidal cross section and an inner body 21b having a recessed recess 21b spaced inwardly from the outer body 21a A body 21d, and openings 21c and 21f each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rear and front of the inner body 21d.

따라서 취수코크(450)에서 배출된 살균수는 상기 수용홈(21b)에 먼저 수용되고, 상기 수용홈(21b)에 살균수가 차게 되면 상기 개구부(21c)를 통해 살균수가 흘러 넘쳐, 상기 외부몸체(21a)와 내부몸체(21d)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2수용부(22) 내부공간(22a)에 수용된다.Therefore, the sterilized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first received in the receiving recess 21b, and when the sterilization water is filled in the receiving recess 21b, the sterilized water overflows through the opening 21c, 21a and the inner body 21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a and the inner body 21d.

이 경우 상기 취수코크(450)는 상기 개구부(21c) 보다 더 하측에 위치되어 있어, 상기 수용홈(21b)에 살균수가 차게 되면 취수코크(450)가 살균수에 잠기게 되므로 취수코크(450)의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까지 살균처리가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opening 21c, and when the water sterilization water is filled in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b,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submerged in sterilized water,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inside as well as the outside.

상기 수용홈(21b)에 물이 차 있는 상태에서 살균컵(2)을 수처리모듈(1)로부터 빼내는 경우에는 살균컵(2)의 상부를 후방으로 기울여야 하고, 이 경우 상기 수용홈(21b)의 물은 후방에 형성된 개구부(21c)를 통해 제2수용부(22)에 수용되므로 외부로 넘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sterilizing cup 2 is taken out from the water treatment module 1 in a state where the water receiving groove 21b is filled with water, the upper part of the sterilizing cup 2 must be tilted backward. In this case, The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through the opening 21c formed in the rear, so that the water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21c,21f)는 내부몸체(21d)의 후방과 전방에 2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내부몸체(21d) 전체 둘레에 3개 이상 형성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상기 내부몸체(21d)의 후방에 1개만 형성된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21c,21f)는 가로방향으로 개구된 형상 뿐만 아니라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 가능하다.Although two openings 21c and 21f are formed in the rear and front of the inner body 21d, three or more openings 21c and 21f may be formed around the entire inner body 21d, And only one of them may be formed behind the body 21d. Further, the openings 21c and 21f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s well as a shape that is opened in the lateral direction.

상기 내부몸체(21d)는 상부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수용홈(21b)에 수용된 물이 개구부(21c,21f)를 통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고, 상기 내부몸체(21d)와 외부몸체(21a)와의 사이 간격이 상부는 좁고 하부는 넓게 형성되어 있어 제1수용부(21)를 사출성형으로 제조시 하부금형의 빠짐이 용이하여 제조성이 향상된다.The inner body 21d is inclined outwardly toward the upper part so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receiving recess 21b can be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s 21c and 21f, The gap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1 and the body 21a is narrow and the lower portion is wide, so that the lower mold can be easily released wh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1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ivity.

상기 제2수용부(22)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살균수가 수용되는 내부공간(22a)을 형성하는 몸체부(22b)와, 상기 몸체부(22b)의 상부 둘레를 따라 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 상기 제1수용부(21)의 외부몸체(21a) 하단부(21e)가 삽입되는 상단플랜지부(22c)와, 상기 몸체부(22b)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컵받침대(23)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22d)와, 상기 몸체부(22b)의 후면 상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버튼가이드부(22e)와, 상기 몸체부(22b)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하단플랜지부(22f)와, 상기 몸체부(22b)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자성체덮개부(22h), 상기 제1결합부(22d)의 일측과 타측에 가로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후크결합구멍(22g)으로 이루어진다.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includes a body portion 22b having a rectangular tube shape and forming an internal space 22a in which sterilizing water is received and a belt shape formed along the upper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22b An upper flange portion 22c on the inner side of which the lower end portion 21e of the outer body 21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is inserted and a lower flange portion 22c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22b, A pair of button guide portions 22e protruding rearward from both side edges of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2b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lower flange portion 22f protruding rearward from a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22b, a magnetic body lid portion 22h protruding downward in a cylindrical shape from a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22b, And a plurality of hook engaging holes 22g formed in the shape of an open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ide wall 22d. Lure.

상기 제1수용부(21)의 외부몸체(21a) 하단부(21e)는 상기 제2수용부(22)의 상단플랜지부(22c)의 내측에 삽입되고,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수용홈(21b)에서 넘친 물이 상기 외부몸체(21a) 하단부(21e)와 상단플랜지부(22c)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수용부(21)의 몸체 일부가 제2수용부(22)에 삽입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21)와 제2수용부(22)는 분리가능하게 된다.The lower end portion 21e of the outer body 21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flange portion 22c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Due to such a structure,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21e of the outer body 21a and the upper end flange portion 22c. 3,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3, because the body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 .

한편, 상기 취수코크(450) 하부에는 사용자가 냉수 또는 온수의 출수를 위해 컵을 물받이(620) 위에 안착시켰을 때 컵에 의해 눌러지는 출수버튼(460)이 구비되어 있는데, 취수코크(450) 살균을 위해 살균컵(2)을 물받이(620) 위에 안착시켰을 때에도 살균컵(2)에 의해 출수버튼(460)이 눌러지면 취수코크 살균모드가 진행되지 않고 냉수 또는 온수가 출수될 수 있다.On the lower part of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provided an outflow button 460 which is pressed by the cup when the user puts the cup on the water receptacle 620 for taking out cold water or hot water. The water intake button 460 is pressed by the sterilizing cup 2 even when the sterilizing cup 2 is seated on the water receptacle 620. The water intake cork sterilization mode does not proceed and cold water or hot water can be dispensed.

따라서 상기 제2수용부(22)의 하단에 상기 하단플랜지부(22f)를 형성시켜 살균컵(2)을 물받이(620) 위에 안착시켰을 때 하단플랜지부(22f)가 수처리모듈(1)의 전면에 접촉되도록 하여 제2수용부(22)의 몸체부(22b)의 후면과 수처리모듈(1)의 전면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버튼(460)이 상기 이격된 공간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살균컵(2)에 의해 출수버튼(460)이 눌러지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sterilization cup 2 is placed on the water receptacle 620 by forming the lower end flange portion 22f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nd the lower end flange portion 22f is fitted to the water receptacle 620,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2b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water treatment module 1 in such a manner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and the outflow button 460 is positioned in the spaced- By doing so The push button 460 is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by the sterilizing cup 2.

또한 상기 한 쌍의 버튼가이드부(22e)의 마주보는 내측면은 상기 출수버튼(460)의 양측면으로부터 이격되되, 상기 이격된 한 쌍의 버튼가이드부(22e) 사이에 상기 출수버튼(460)을 위치시킴으로써 살균컵(2)에 흔들림이나 충격 발생시 상기 버튼가이드부(22e)가 출수버튼(460)에 지지되도록 하여 살균컵(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후술하는 살균컵감지부(600)와 자성체(24)의 좌우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살균컵(2)의 감지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opposite inner surfaces of the pair of button guides 22e ar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outflow button 460 and the outflow button 460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paced button guide portions 22e. The button guide portion 22e is supported by the water release button 460 to stably support the sterilizing cup 2 so that the sterilization cup sensing portion 600 and the magnetic body 24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sterilizing cup 2 can be improved.

상기 버튼가이드부(22e)는 그 하단부가 하향 연장되어 상기 하단플랜지부(22f)에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출수버튼(460)의 상하위치에 상관없이 버튼가이드부(22e)가 출수버튼(46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button guide portion 22e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lower end of the button guide portion 22e extends downward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flange portion 22f. In this case, the button guide portion 22e And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heading button 460.

상기 컵받침대(23)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외부몸체(23a)와, 상기 외부몸체(23a)의 내측에 상기 제1결합부(22d)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22d)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제2결합부(23b)와, 수처리모듈(1)에서 살균컵(2)을 인식하기 위한 자성체(24)가 삽입되는 자성체삽입부(23c)와, 상기 제2결합부(23b)의 외측면에서 후크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크결합구멍(22g)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후크부(23d)로 이루어진다. The cup support 23 includes an outer body 23a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an inner body 23a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22d, A magnetic body insertion portion 23c into which a magnetic body 24 for recognizing the sterilizing cup 2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1 is inserted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3b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3d, And a plurality of hooks 23d protruding in the form of a hook at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portion 23b and coupled to the hook engaging hole 22g.

상기 자성체삽입부(23c)에 자성체(24)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수용부(22)의 자성체덮개부(22h)가 자성체(24)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자성체삽입부(23c)에 삽입되고, 상기 자성체덮개부(22h)의 외측면과 자성체삽입부(23c)의 내측면 사이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오링(25)이 개재되어 있어, 살균컵(2)의 세척시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The magnetic body insert portion 23c is formed so that the magnetic body cover portion 22h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magnetic body 24 in a state where the magnetic body 24 is inserted into the magnetic body insert portion 23c And an O-ring 25 for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is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ic body lid portion 22h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agnetic body insertion portion 23c to prevent penetration of the water during washing of the sterilizing cup 2 can do.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체삽입부(23c)와 자성체덮개부(22h) 사이에 오링(25)을 개재시킨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자성체덮개부(22h)와 오링(25) 대신 자성체(24)를 자성체삽입부(23c)에 삽입 후 몰딩함으로써 마개부를 형성하거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마개부로 자성체(24)의 상부를 막은 후 상기 마개부와 자성체삽입부(23c)를 융착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magnetic body 24 may be inserted into the magnetic body 24 instead of the magnetic body lid 22h and the O-ring 25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upper end of the magnetic body 24 is covered with a stopper made of a synthetic resin, and then the stopper portion and the magnetic material inserting portion 23c are fused to each other.

상기 후크부(23d)가 상기 제2수용부(22)의 후크결합구멍(22g)에 끼워짐으로써 제2수용부(22)와 컵받침대(23)가 일체로 결합된다.The hook portion 23d is fitted into the hook engaging hole 22g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so that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nd the cup supporter 23 are integrally joined.

본 실시예에서는 제1수용부(21)와 제2수용부(22) 및 컵받침대(23)로 구성되는 살균컵(2)의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통, 다각형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실시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rilization cup 2 including the first storage portion 21, the second storage portion 22, and the cup holder 23 has a rectangular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de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cylinder, a polygonal cylinder and the like.

또한 상기에서는 제2수용부(22)에 후크결합구멍(22g)이 형성되고, 컵받침대(23)에 후크부(23d)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2수용부(22)에 후크부(23d), 컵받침대(23)에 후크결합구멍(22g)을 각각 형성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hook receiving hole 22g is form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2 and the hook portion 23d is formed in the cup receiving portion 23. However, the hook receiving portion 22 , And a hook engagement hole 22g may be formed in the cup base 23, respectively.

또한 상기에서는 상기 제2수용부(22)와 컵받침대(23)가 후크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제2수용부(22)와 컵받침대(23)를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로 결합하거나, 상기 살균컵(2)의 형상을 원통형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2수용부(22)와 컵받침대(23)가 결합되는 부분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회전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변형실시 가능하다.Althoug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2 and the cup receiving portion 23 are hooked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2 and the cup receiving portion 2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it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When the sterilizing cup 2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2 and the cup- Modifications are possible.

수처리모듈(1)에는 상기 자성체(24)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자성체(24)의 자기장을 감지하는 살균컵감지부(600)가 구비된다. 상기 살균컵감지부(600)에서 상기 자성체(24)를 감지하여 살균컵(2)이 물받이(620) 상부에 안착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취수코크(450)를 통해 살균수를 배출시킴으로써 취수코크(450)의 살균처리가 이루어진다.The water treatment module 1 is provided with a sterilizing cup sensing part 600 for sensing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ic body 2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body 24. When the sterilizing cup sensing unit 600 senses the magnetic body 24 and determines that the sterilizing cup 2 is seated on the water receptacle 620, the steriliz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cork 450, ) Is sterilized.

상기 살균컵감지부(600)는 자성체(24)의 움직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량을 감지하는 MR센서 또는 자성체(24)의 움직임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리드스위치 또는 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erilization cup sensing unit 600 includes an MR sensor for sensing a change amount of a magnetic field due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body 24 or a reed switch or a hall sensor for turning on / off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body 24 .

또한 살균컵(2)에 자성체(24)를 구비하지 않고, 살균컵감지부(600)를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살균컵(2)의 유무를 감지하는 방식은 상기한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제한없이 변형실시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sterilizing cup sensing part 600 may be constituted by an optical sensor including a light emitting part and a light receiving part without providing the magnetic body 24 in the sterilizing cup 2, and a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erilizing cup 2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살균컵감지부(600)가 살균컵(2)을 감지하더라도 사용자가 조작패널(610)에 구비된 취수코크 살균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한 경우에만 취수코크 살균모드가 진행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even if the sterilization cup sensing unit 600 senses the sterilization cup 2, it may be configured that the water intake cork sterilization mode proceeds only when the user presses or touches the water intake sterilization button provided on the operation panel 610 .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취수코크(450)는 취수코크커버(455)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고, 상기 취수코크커버(455)의 내측에는 취수코크살균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발광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7,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surrounded by a water intake cock cover 455, and light emitting means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water intake cock cover 455 to indicate the progress of water intake coke sterilization. .

상기 발광수단은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고, 취수코크 살균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를 반복 점등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취수코크 살균이 진행중임을 효과적으로 인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발광수단은 단일 색상이 점등되는 하나의 발광다이오드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light emitt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emitting light of different colors and repeatedly light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while the take-off cork sterilization progresses, thereby enabling the user to effectively recognize that the intake cork sterilization is in progress . The light emitting means may include a single light emitting diode.

이 경우 살균컵(2)을 투명한 합성수지로 구성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서 발광된 빛이 투명한 살균컵(2)을 통과하면서 빛이 굴절되어 제품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sterilizing cup 2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diode passes through the transparent sterilizing cup 2, and the light is refracted to enhance the beauty of the product.

또한 취수코크 살균이 이루어지는 각 과정에서 취수코크 살균 진행상황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알려줌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be informed of the progress of the sterilization of the intake coke during each process of sterilization of the intake coke, so that the user can be reminded of the user's att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살균컵을 보여주는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살균컵의 측단면도로서,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살균컵에 대해 설명한다.FIG. 8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rilizing cu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sterilizing cup shown in FIG. 8, The sterilizing cu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2실시예에 의한 살균컵(2-1)은 제1수용부(21-1)와 제2수용부(22-1)만으로 이루어지고, 제1실시예에 비해 제2수용부(22-1)가 하향 연장되어 컵받침대(23)에 대응하는 구성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점에 특징이 있다.The sterilization cup 2-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mposed of only the first storage portion 21-1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22-1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22- 1 is extended downward and does not have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cup base 23.

상기 제1수용부(21-1)의 외부몸체(21-1a), 수용홈(21-1b), 개구부(21-1c,21-1f), 내부몸체(21-1d), 외부몸체(21-1a)의 하단부(21-1e) 구성과, 제2수용부(22-1)의 상단플랜지부(22-1c), 버튼가이드부(22-1e), 하단플랜지부(22-1f) 구성은 제1실시예에 의한 제1수용부(21)와 제2수용부(22)의 각 대응되는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uter body 21-1a, the receiving recess 21-1b, the openings 21-1c and 21-1f, the inner body 21-1d, the outer body 21-1a,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end flange portion 22-1c, the button guide portion 22-1e and the lower end flange portion 22-1f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1 Is the same as the corresponding configura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2수용부(22-1)의 몸체부(22-1b) 저면은 물받이(62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몸체부(22-1b)의 저면에는 상방향으로 홈 형상의 자성체삽입부(22-1h)가 형성되어 있다.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2-1b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22-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receiving portion 6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2-1b is provided with an upward magnetic- (22-1h).

상기 자성체삽입부(22-1h)에는 수처리모듈(1)의 살균컵감지부(600)에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자성체(24-1)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자성체(24-1)가 자성체삽입부(22-1h)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개부(26-1)가 구비되어 있다.A magnetic body 24-1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magnetic field is inserted into the magnetic substance inserting portion 22-1h in the sterilization cup detecting portion 600 of the water treatment module 1 and the magnetic body 24-1 And a stopper section 26-1 for preventing the magnetic substance insertion section 22-1h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gnetic substance insertion section 22-1h.

상기 마개부(26-1)는 상기 자성체삽입부(22-1h)에 압입되되 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자성체삽입부(22-1h)에 자성체(24-1)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지(樹脂)로 몰딩처리하여 상기 자성체삽입부(22-1h)를 밀폐시키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stopper portion 26-1 may be formed of a packing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be press-fitted into the magnetic material inserting portion 22-1h and to prevent the penetration of water. The magnetic material inserting portion 22-1h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24-1 may be inserted into the magnetic material insertion unit 22-1h to seal the magnetic material insertion unit 22-1h.

도 10은 본 발명의 수처리모듈에서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살균컵에 살균수가 수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상태도로서, 이하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취수코크 살균모드에 대해 설명한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watercourse sterilization process is perform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n operational state view showing a process of receiving sterilized water into the sterilization cup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sterilization mode will be described.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살균컵(2,2-1)에 살균수가 수용되는 과정은 동일하므로, 제1실시예의 살균컵(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The process of receiving the sterilizing water into the sterilizing cups (2, 2-1)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the same, so that only the sterilizing cup (2)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이하에서 오프(Off)란 밸브(150,340,350,410,420)가 닫힌 상태 또는 살균모듈(300) 및 순환펌프(310)가 작동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고, 온(On)이란 밸브(150,340,350,410,420)가 개방된 상태 또는 살균모듈(300) 및 순환펌프(310)가 작동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제1유로전환밸브(330)는 냉수취수라인(532)에서 제2연결라인(512) 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로가 개방 상태인 경우 온(On), 폐쇄 상태인 경우 오프(Off)로 하고, 제2유로전환밸브(320)는 순환라인(521a)에서 배수라인(541) 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로가 개방 상태인 경우 온(On), 폐쇄 상태인 경우 오프(Off)로 하며, 제3유로전환밸브(360)는 순환라인(521c)에서 취수코크라인(531) 방향으로 연결되는 유로가 개방 상태인 경우 온(On), 폐쇄 상태인 경우 오프(Off)로 한다.Off means the state where the valves 150, 340, 350, 410 and 420 are closed or the sterilizing module 300 and the circulation pump 310 are not operated. On means that the valves 150, 340, The module 300 and the circulation pump 310 are operated. On the other hand, the first flow path switching valve 330 is turned on when the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cold water intake line 532 to the second connection line 512 is in an open state, and off when the flow path is closed The second flow path switching valve 320 is turned on when the flow path connected to the circulation line 521a in the direction of the drain line 541 is open and off when the flow path is closed, The switching valve 360 is turned on when the flow path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intake cock line 531 from the circulation line 521c is in the open state and off when the flow path is closed.

사용자로부터 취수코크 살균요청신호를 제어부(미도시)에서 받게 되면 취수코크 살균모드가 진행된다. 여기서 취수코크 살균요청신호는 사용자가 살균컵(2)을 물받이(620)위에 안착시키면 살균컵감지부(600)에서 자성체(24)를 감지함으로써 발생하는 신호가 될 수도 있고, 수처리모듈(1)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패널(610)의 취수코크 살균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신호가 될 수도 있으며, 상기 2가지 신호가 모두 발생한 것을 조건으로 취수코크 살균모드가 진행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When the control unit (not shown) receives a signal for requesting the withdrawal of the coke from the user, the withdrawal coke sterilization mode proceeds. The intake coke sterilization request signal may be a signal generated when the user places the sterilization cup 2 on the water receptacle 620 to sense the magnetic body 24 in the sterilization cup sensing portion 600, And the water intake coke sterilization button of the operation panel 61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operation panel 610 may be a signal generated by the user pressing the water supply cork sterilization button, have.

살균컵감지부(600)에서 자성체(24)를 감지하면,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수밸브(150)와 냉수취수밸브(410)와 온수취수밸브(420)와 제1유로전환밸브(330)와 제2유로전환밸브(320)는 오프(off) 상태,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는 온(On) 상태에서 살균모듈(300)을 작동시킨다.6, the raw water valve 150, the cold water intake valve 410, the hot water intake valve 420 and the first flow path switching valve 330 (see FIG. 6) And the second flow path switching valve 320 are in the off state and the first connection line shutoff valve 350 and the circulation line shutoff valve 340 and the third flow path switching valve 360 are in the on state The sterilizing module 300 is operated.

상기 제1저장탱크(210) 상부공간(210a)의 물은 연결유로(214), 제1연결라인(511)을 거쳐 제2저장탱크(220)로 유입되어 제2저장탱크(220)의 온수와 혼합되고, 이렇게 혼합된 물은 순환라인(521a,521b)을 거쳐 살균모듈(300)로 공급되며, 상기 살균모듈(300)을 통과하면서 생성된 살균수는 순환라인(521c), 취수코크라인(531)을 거쳐 취수코크(450)로 배출됨으로써 취수코크(450) 내부의 살균처리가 이루어진다.The water in the upper space 210a of the first storage tank 210 flows into the second storage tank 220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214 and the first connection line 511 and flows into the second storage tank 220 through the hot water And the mixed water is supplied to the sterilization module 300 through the circulation lines 521a and 521b and the sterilized water generat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terilization module 300 is circulated through the circulation line 521c, The water in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valve 531 and discharged to the water intake cock 450.

이 경우 상기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취수코크라인(531)과 순환라인(521c)의 상단을 상기 제1저장탱크(210)의 만수위보다 하측에 위치시키면 순환펌프(310)를 온(On)시키지 않더라도 제1저장탱크(210)와 제2저장탱크(220)의 물이 수두차에 의해 순환라인(521a,521b)을 거쳐 살균모듈(300)로 공급되고, 상기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순환라인(521c) 및 취수코크라인(531)을 거쳐 취수코크(450)로 배출이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first storage tank 210 and the second storage tank 220 are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nd the upper ends of the water intake caulk lines 531 and the circulation line 521c are connected to the first storage tank 210, The water in the first storage tank 210 and the water in the second storage tank 220 flows through the circulation lines 521a and 521b by the water head difference even if the circulation pump 310 is not turned on Sterilization module 300 and the sterilized water generated in the sterilization module 300 can be discharged to the intake cock 450 through the circulation line 521c and the intake coke line 531. [

이와 같이 순환펌프(310)를 오프(Off)시키면 소음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살균모듈(300)로 공급되는 물의 유속이 느려져 살균모듈(300)에서 생성된 살균수의 살균물질 농도가 높아지므로 취수코크(450)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circulation pump 310 is turned off, the noise is reduced, and the flow rate of the water supplied to the sterilizing module 300 is slowed, so that the sterilizing material concentration of the sterilizing water generated by the sterilizing module 300 becomes high,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erilizing effect of the heat exchanger 450.

상기에서는 순환펌프(310)를 오프(Off)시키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취수코크(450)로 공급되는 살균수의 유량을 고려하여 순환펌프(310)를 설정시간 동안 온(On)과 오프(Off)를 반복시키는 것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circulation pump 310 may be turned off and off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flow rate of sterilizing water supplied to the water intake cock 450. However, May be repeated.

상기 취수코크(450)에서 배출된 살균수는 도 1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균컵(2)의 제1수용부(21)의 수용홈(21b)에 수용되고, 취수코크(450)에서 살균수가 계속 배출되어 살균수가 개구부(21c)까지 차게 되면 살균수는 개구부(21c)를 통해 넘쳐 흘러 제2수용부(22) 내부공간(22a)에 수용된다. The sterilized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21b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1 of the sterilization cup 2 as shown in Fig. 11 (a) The sterilizing water overflows through the opening 21c and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22a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In this case,

이 경우 취수코크(450)의 하부는 살균수에 잠기게 되어 취수코크(450)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까지 살균이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lower part of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submerged in sterilized water, and sterilization is performed not only inside but also outside of the water intake cock 450.

상기 수용홈(21b)에 살균수가 차게 되면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 및 살균모듈(300)을 오프(Off)시킨 후 취수코크(450) 살균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정시간 동안 대기한다.When the sterilization water is filled in the receiving groove 21b, the first connection line shutoff valve 350, the circulation line shutoff valve 340, the third flow path switching valve 360, and the sterilizing module 300 are turned off And waits for the set time so that the intake coke 450 sterilization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한편, 취수코크 살균이 진행되는 중에 살균컵감지부(600)에서 살균컵(2)이 이탈되었음을 감지한 경우에는 에러모드로 진입하여, 살균동작을 일시정지함과 동시에 경고등 및 경고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설정시간 이내에 살균컵감지부(600)에서 살균컵(2)을 다시 감지하면 중단되었던 살균과정을 계속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terilization cup detecting unit 600 senses that the sterilization cup 2 has disappeared while the intake cork sterilization is proceeding, the apparatus enters the error mode, suspends the sterilization operation, and outputs a warning lamp and warning message If the sterilizing cup 2 senses the sterilization cup 2 in the sterilization cup detecting unit 600 within the set time, the sterilization process that has been interrupted is continued.

만약 설정시간이 지나도록 살균컵(2)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순환라인(521c)과 취수코크라인(531)에 잔존하는 살균수를 취수코크(450)를 통해 물받이(620)로 배출시킨 후 순환라인(521c)과 취수코크라인(531)의 내벽면에 잔존하는 살균수를 헹구기 위한 헹굼수도 상기 취수코크(450)를 통해 물받이(620)로 배출시킨다. If the sterilization cup 2 is not sensed over a set time, the sterilized water remaining in the circulation line 521c and the intake coke line 531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coke 450 to the water receiver 620 The rinsing water for rinsing the sterilized water remaining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irculation line 521c and the intake coke line 531 is discharged to the water receptacle 620 through the water intake cock 450. [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취수코크(450) 살균이 완료되면 취수코크 헹굼과정이 진행되는데, 상기 설정시간 동안 대기 후 제1연결라인차단밸브(350)와 순환라인차단밸브(340)와 제3유로전환밸브(360)를 온(On)시키면 제1저장탱크(210)의 물(이하 '헹굼수')이 살균수를 생성할 때와 동일한 경로(즉, 도 7에 도시된 화살표의 경로)를 따라 유동한 후 도 1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취수코크(450)를 통해 살균컵(2)의 제1수용부(21)의 수용홈(21b)에 배출됨으로써 취수코크(450) 내부의 헹굼이 이루어지고, 상기 수용홈(21b)에 헹굼수가 가득차면 취수코크(450)가 잠기게 되어 취수코크(450) 외부의 헹굼도 이루어진다.After the disinfection of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completed, the water rinsing process of the water intake coke rises. After waiting for the set time, the first connection line shutoff valve 350, the circulation line shutoff valve 340, When the valve 360 is turned on, 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inse water') in the first storage tank 210 flows along the same route as that of generating the sterilized water (that is, The water is discharged into the receiving groove 21b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21 of the sterilizing cup 2 through the water intake cock 450 as shown in FIG. 11 (b) And when the rinsing water is filled in the receiving groove 21b,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locked so that the water outside the water intake cock 450 is rinsed.

상기 수용홈(21b)에서 개구부(21c)를 통해 넘쳐 흐른 헹굼수는 제2수용부(22) 내부공간(22a)에 수용됨으로써 취수코크 헹굼과정이 종료된다.The rinsing water overflowed through the opening 21c in the receiving groove 21b is received in the second space 22a of the second containing portion 22, thus completing the water rinsing process.

한편, 취수코크 헹굼과정이 진행되는 중에 살균컵감지부(600)에서 살균컵(2)이 이탈되었음을 감지한 경우에는 취수코크 살균과정과 동일하게 에러모드로 진입하여, 헹굼동작을 일시정지함과 동시에 경고등 및 경고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만약 설정시간 이내에 살균컵감지부(600)에서 살균컵(2)을 다시 감지하면 중단되었던 헹굼과정을 계속 진행하고, 설정시간이 지나도록 살균컵(2)을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헹굼수를 취수코크(450)를 통해 물받이(620)로 배출시킨다.Meanwhile, if the sterilization cup sensing unit 600 senses that the sterilization cup 2 has disappeared during the intake coke rinsing process, it goes into the error mode in the same manner as the water intake cork sterilization process and temporarily stops the rinsing operation At the same time, a warning lamp and a warning message are displayed to remind the user of the sterilization cup 2, and if the sterilization cup 2 senses the sterilization cup 2 again within the set time, the rinsing process is interrupted. If the sterilizing cup 2 is not detected, the rinsing water is discharged to the water receiving chamber 620 through the water intake cock 450.

상기와 같은 취수코크(450) 살균 및 헹굼이 진행되는 동안 취수코크커버(455)의 내측에 구비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가 순차로 반복 점등되면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시키거나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반복 점등되면서 단일 색상의 빛을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취수코크 살균이 진행중임을 인지시키게 된다. During the sterilization and rinsing of the water intake cork 450,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provided inside the water intake coke cover 455 are repeatedly turned on to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or one light emitting diode is repeatedly The user is informed that sterilization of the intake coke is in progress by emitting light of a single color while being turned 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수처리모듈 2 : 살균컵
21 : 제1수용부 21a : 외부몸체
21b : 수용홈 21c : 개구부
21d : 내부몸체 22 : 제2수용부
22a : 내부공간 22b : 몸체부
22c : 상단플랜지부 22d : 제1결합부
22e : 버튼가이드부 23 : 컵받침대
24 : 자성체 25 : 오링
100 : 필터부 150 : 원수밸브
200 : 저장부 210 : 제1저장탱크
210a : 상부공간 210b : 하부공간
213 : 분리판 214 : 연결유로
215 : 수위센서 220 : 제2저장탱크
300 : 살균모듈 310 : 순환펌프
320 : 제2유로전환밸브 330 : 제1유로전환밸브
340 : 순환라인차단밸브 350 : 제1연결라인차단밸브
360 : 제3유로전환밸브 400 : 출수부
410 : 냉수취수밸브 420 : 온수취수밸브
450 : 취수코크 455 : 취수코크커버
511 : 제1연결라인 512 : 제2연결라인
521a,521b,521c,521d : 순환라인 531 : 취수코크라인
532 : 냉수취수라인 533 : 온수취수라인
610 : 조작패널 620 : 물받이
1: Water treatment module 2: Sterilization cup
21: first receiving portion 21a: outer body
21b: receiving groove 21c: opening
21d: inner body 22: second receiving portion
22a: internal space 22b:
22c: upper flange portion 22d: first engaging portion
22e: Button guide portion 23: Cup holder
24: magnetic substance 25: O-ring
100: filter unit 150: raw water valve
200: storage unit 210: first storage tank
210a: upper space 210b: lower space
213: separating plate 214: connecting channel
215: water level sensor 220: second storage tank
300: sterilization module 310: circulation pump
320: second flow path switching valve 330: first flow path switching valve
340: circulation line shutoff valve 350: first connection line shutoff valve
360: Third flow switching valve 400:
410: cold water intake valve 420: hot water intake valve
450: intake coke 455: intake coke cover
511: first connection line 512: second connection line
521a, 521b, 521c, 521d: circulation line 531: intake coke line
532: cold water intake line 533: hot water intake line
610: Operation panel 620:

Claims (14)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사용자에게 출수하기 위한 취수코크와, 살균수를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수처리모듈;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되는 살균수를 수용하기 위한 살균컵;을 포함하되,
사용자의 살균요청신호에 의해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살균수가 배출되고,
상기 취수코크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취수코크커버의 내측에는 취수코크살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발광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발광수단에서 발광된 빛은 상기 살균컵으로 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살균컵은, 상기 취수코크를 통해 배출된 살균수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제1수용부, 상기 수용홈에서 넘친 살균수를 수용하는 제2수용부로 이루어진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A water intake module including a water intake cork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section to the user and a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sterilizing water through the water intake coke; And a sterilizing cup for receiving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coke,
The sterilization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intake cock by the user's sterilization request signal,
A light emitting means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water intake coke cover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intake cock to indicate that the water intake cork sterilization is perform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ssion means is directed to the sterilization cup,
Wherein the sterilizing cup comprises a first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capable of receiving steriliz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intake cock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containing sterilized water overflowing from the receiv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요청신호는 상기 수처리모듈에 구비된 조작패널의 버튼을 사용자가 누름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rilizing request signal is generated by a user pressing a button of an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모듈에는 상기 살균컵을 감지하기 위한 살균컵감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요청신호는 상기 살균컵감지부에서 상기 살균컵을 감지한 경우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includes a sterilizing cup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sterilizing cup and the sterilizing request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sterilizing cup sensing unit detects the sterilizing cup.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컵에는 자성체가 구비되고, 상기 살균컵감지부는 상기 자성체의 접근에 의한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terilizing cup is provided with a magnetic body and the sterilizing cup sensing unit comprises a sensor for sensing a change in magnetic field due to the approach of the magnetic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취수코크 살균이 진행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는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이 반복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emitting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that emit light of different colors, and the light emitting diodes of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iodes are repeatedly turned on during the sterilization of the intake coke. Water treatmen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모듈의 취수코크 하부에는 사용자가 출수를 위해 안착시킨 컵에 의해 눌러지는 출수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살균컵이 상기 수처리모듈에 안착된 경우 상기 살균컵의 몸체부는 상기 출수버튼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taking module includes a water-taking button which is pushed by a cup seated by a user for taking out water,
When the sterilizing cup is seat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the body portion of the sterilizing cup is spaced apart from the water- A water treatment device capable of sterilization of water intake cok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컵의 몸체부에는 돌출된 하단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살균컵이 상기 수처리모듈에 안착된 경우 상기 하단플랜지부가 상기 수처리모듈에 접촉되어 상기 살균컵의 몸체부와 상기 수처리모듈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출수버튼은 상기 이격된 공간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살균컵에 의해 상기 출수버튼의 눌러짐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 bottom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of the sterilization cup is formed and the lower flange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ater treatment module when the sterilization cup is seat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to separate the body portion of the sterilization cup from the water treatment module Wherein the water outlet button is located in the spaced apart space so that the water outlet button is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by the sterilizing cu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컵의 몸체부에는 상기 수처리모듈 방향으로 돌출되되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버튼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출수버튼은 상기 버튼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ody of the sterilization cup is formed with a pair of button guides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treatment modul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outflow button is located between the button gu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정수를 이용하여 상기 취수코크의 살균 및 헹굼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sterilization and rinsing of the water intake coke are performed by using the purified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컵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rilizing cup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에는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의 살균수가 넘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넘친 살균수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ening is form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groove so that the sterilizing water of the accommodating groove can be overflowed;
Where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to receive sterilized water overflowing through the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는 상기 수처리모듈에 구비된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rilization water is generated in a sterilization module provided in the water treatment modu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요청신호는 상기 취수코크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취수코크 살균요청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코크 살균이 가능한 수처리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terilization request signal is a water intake sterilization request signal for sterilizing the water intake cock.
KR1020160158348A 2016-11-25 2016-11-25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KR101793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48A KR101793916B1 (en) 2016-11-25 2016-11-25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348A KR101793916B1 (en) 2016-11-25 2016-11-25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632A Division KR101740591B1 (en) 2014-04-09 2014-04-09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and sterilizing c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366A KR20160138366A (en) 2016-12-05
KR101793916B1 true KR101793916B1 (en) 2017-11-07

Family

ID=5757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348A KR101793916B1 (en) 2016-11-25 2016-11-25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9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649A (en)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Sterilization member capable of sterilizing outlet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649A (en) * 2019-02-01 2020-08-11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Sterilization member capable of sterilizing outlet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95018B1 (en) 2019-02-01 2020-12-24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Sterilization member capable of sterilizing outlet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366A (en) 201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591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and sterilizing cup
US5290442A (en) Self-contained, purified drinking water refrigerator storage apparatus
KR101780357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and sterilizing cup
KR101627619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KR101793916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KR102656807B1 (en) Water purifier
CN106565039B (en) Water treatment system, sterilization method for water treatment system, and sterilization cup
KR101780356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and sterilizing cup
KR101780358B1 (en) Water treating apparatus sterilizing water cock and sterilizing cup
KR20150123232A (en) Water server
US2015023129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Secondary Sanitization Fluid Path
US8366834B2 (en) Endoscope cleaning/disinfecting apparatus
JP2007254022A (en) Water dispenser
KR101335747B1 (en) Water purifier
KR101232223B1 (en) Purifier
KR20150105012A (en) A water purifier of sterilized water having transparent window
KR101565020B1 (en) Nature filtering type water purifier
KR20210042456A (en) removable device of water purifing filter of water tank type water purifier
KR20190003220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KR102361034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air washer
US20090081089A1 (en) Fluid reservoir and receiver assembly
KR102406470B1 (en) Water supply device for air washer
KR20170124217A (en) Sterilization water draining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10196943A (en) Water heater
JP3919936B2 (en) Beverage supply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