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866B1 -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 Google Patents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866B1
KR101793866B1 KR1020170040856A KR20170040856A KR101793866B1 KR 101793866 B1 KR101793866 B1 KR 101793866B1 KR 1020170040856 A KR1020170040856 A KR 1020170040856A KR 20170040856 A KR20170040856 A KR 20170040856A KR 101793866 B1 KR101793866 B1 KR 101793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late
air
main body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정
오승호
Original Assignee
고재정
오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재정, 오승호 filed Critical 고재정
Priority to KR1020170040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24F11/0012
    • F24F11/007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03/1667
    • F24F2011/007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 전용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다닐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사무실 등에서 의자에 앉아 업무 등을 처리할 때 왼발과 오른발을 각각 독립적으로 가볍게 올려놓은 상태에서 발을 냉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하여 발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PORTABLE APPARATUS FOR COOLING FEET}
본 발명은 발 전용 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다닐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시에는 사용자가 사무실 등에서 의자에 앉아 업무 등을 처리할 때 왼발과 오른발을 각각 독립적으로 가볍게 올려놓은 상태에서 발을 냉방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하여 발 건강을 도모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은 신체 부위 중 표피와 혈관 간의 거리가 비교적 짧아 외부의 온도 변화에 대해 신체 온도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부위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발은 학교 또는 사무실 등의 내부 생활공간에서 항상 양말 또는 신발에 의해 보호됨에 따라 하절기 기온 상승시 다른 신체 부위에 비해 온도가 빠르게 상승하여 많은 땀을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양말 또는 신발 내부가 습한 상태로 유지되어 발 건강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학습과 업무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에 냉매가 구비된 양말 및 신발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1-0000636호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17360호 등에서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양말과 신발은 냉방효과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냉방효과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외에도, 냉방장치가 구비된 신발이 제안되었으나, 이 또한 각종 전기·전자장치를 깔창이나 신발 굽의 내부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렵고, 신발의 변형으로 인해 착용이 불편하여 발 질환 등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18431호에서는 '냉온열 발 찜질기'가 제안되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4483호에서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발의 냉·난방장치'가 제안되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6106호에서는 '발 난로'가 제안되었다. 이외에도, 다수의 선행문헌들에서는 하절기에 발을 냉방시키는 발 전용 냉방장치가 제안되어 발 건강을 도모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발 냉방장치들은 대부분 발 찜질기(안마기 포함) 등에 냉방장치를 부가하거나, 그렇지 않고 독립적으로 제작하더라도 왼발용과 오른발용이 서로 분할되지 않고 일체로 제작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피가 상당히 커질 수밖에 없어 사실상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수납하여 휴대할 수 없었다. 또한, 대부분 발을 온열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발을 난방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만 기술되어 있을 뿐 외부로부터 깨끗한 공기를 강제 흡입한 후 발 측으로 배출하는 공랭식 발 전용 냉방장치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제안된 바 없었다.
KR 10-2006-0018431, A, 2006. 03. 02. KR 20-0224483 Y1, 2001. 03. 08. KR 20-0466106 Y1, 2013. 03. 22. KR 10-2017-0017380 A, 2017. 02. 15. KR 20-2011-0000636 U, 2011. 01. 20.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왼발용과 오른발용으로 서로 분할 제작하여 부피를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발 측으로 배출하는 공랭식 냉방방식을 이용하되,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이 함께 흡입되는 것을 최소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발과 발가락 사이에 존재하는 습기 또는 땀 등을 건조시키는 동시에 살균하여 불쾌한 발 냄새를 제거하는 한편, 세균에 의한 각종 발 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동절기에는 찬 공기 대신에 따뜻한 공기를 발 측으로 배출하여 난방시킬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모기 등과 같은 해충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기 위해 해충 퇴치기능이 부가된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발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피를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가방 또는 핸드백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분할 제작된 왼발용 냉방장치와 오른발용 냉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왼발용 냉방장치와 상기 오른발용 냉방장치는 각각, 전면과 측면에 복수 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발이 안착되고,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발판;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의 유입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상기 발판의 하부로 배출하여 상기 발판을 냉각시키는 동시에 상기 발판의 배출공을 통해 상기 발판에 안착된 발로 배출하는 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왼발용 냉방장치와 상기 오른발용 냉방장치의 본체의 바닥에는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왼발용 냉방장치와 상기 오른발용 냉방장치는 각각, 발이 상기 발판에 안착된 상태에서 발가락과 발등 일부를 덮도록 상기 발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양측 내측면에 상하로 나란하게 한 쌍의 가이드판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발판의 양측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발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및 상기 덮개의 가이드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복수 개가 돌출되어 발가락이 각각 삽입되는 발가락 삽입용 이격돌기를 포함하는 보조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왼발용 냉방장치와 상기 오른발용 냉방장치는 각각,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적외선 또는 자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방출하여 발을 살균하는 살균램프;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된 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부는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상기 발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팬의 동작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 상기 온도 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설정온도, 상기 온도센서에 감지된 현재온도,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상기 팬의 동작시간 및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살균램프, 상기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전판;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측판;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배치된 후판; 및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배치된 상판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의 양측부에는 상기 측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편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에 형성된 유입공으로 바닥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왼발용 냉방장치와 상기 오른발용 냉방장치는 각각, 일측부에 상기 본체의 일측부가 힌지 결합된 보조판; 상기 본체의 타측부 하부와 상기 보조판의 타측부 사이에 탄성 결합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감싸는 주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왼발용 냉방장치와 오른발용 냉방장치로 분할 제작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다.
둘째, 본 발명은 팬을 이용하여 본체의 전판과 측판에 각각 형성된 유입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발판의 배출공을 통해 발로 배출하는 공랭식 냉방방식을 이용하되, 유입공을 측방향으로 바닥판으로부터 상부로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이 함께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발판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덮개의 내측면에 살균 램프를 구비함으로써 발과 발가락 사이에 존재하는 습기 또는 땀 등을 적외선 및/또는 자외선을 통해 건조시키는 동시에 살균하여 불쾌한 발 냄새를 제거하는 한편, 세균 번식에 의한 각종 발 질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발판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덮개의 내측면에 초음파 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모기 등과 같은 해충으로부터 발을 보호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 또는 발판의 하부에 발열부를 구비함으로써 동절기에는 찬 공기 대신에 따뜻한 공기를 발 측으로 배출하여 발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본체의 하부에 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발과 다리의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에 전원코드가 연결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왼발용 냉방장치와 오른발용 냉방장치를 수납이 용이하도록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왼발용 냉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왼발용 냉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발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어 모듈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덮개가 발판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덮개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에 전원코드가 연결된 상태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왼발용 냉방장치와 오른발용 냉방장치를 수납이 용이하도록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왼발용 냉방장치(10)와 오른발용 냉방장치(10')로 각각 분할 제작하여 부피를 최소화한다.
왼발용 냉방장치(10)와 오른발용 냉방장치(10')는 서로 동일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들(10, 10') 중 왼발용 냉방장치(10)는 직접 전원코드(1)와 접속되고 오른발용 냉방장치(10')는 왼발용 냉방장치(10)로부터 접속코드(2)를 통해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거나, 혹은 내부에 내장된 배터리(3, 도 7참조)를 충전시키고, 충전된 배터리(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접속코드(2)는 왼발용 냉방장치(10)와 오른발용 냉방장치(1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양측부에는 각각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접속코드(2)의 일측부에 구비된 플러그는 왼발용 냉방장치(10)에 구비된 잭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측부에 구비된 플러그는 오른발용 냉방장치(10')에 구비된 잭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과 같이, 왼발용 냉방장치(10)와 오른발용 냉방장치(10')는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간편하게 수납하는 한편, 사용자가 손 또는 팔로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왼발용 냉방장치(10)와 오른발용 냉방장치(10')의 바닥면에는 이들을 서로 자력으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자성체(4)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자성체(4)에 의한 결합은 자석-자석 또는 자석-금속 간 부착일 수 있다.
왼발용 냉방장치(10)와 오른발용 냉방장치(10')는 동일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왼발용 냉방장치(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왼발용 냉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왼발용 냉방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왼발용 냉방장치(10)는 본체(11)와, 발판(12), 팬(13) 및 제어 모듈부(14)를 포함한다. 또한, 덮개(15)와 보조 발판(16)을 더 포함한다.
본체(11)는 도 5와 같이, 바닥판(111), 전판(112), 측판(113), 후판(114) 및 상판(115)을 포함한다. 이때, 바닥판(111), 전판(112), 측판(113), 후판(114) 및 상판(115)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체결될 수 있다.
바닥판(111)은 도 3과 같이, 오른발용 냉방장치(10')와 부착되기 위해 자성체(4)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111)의 양측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편(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편은 바닥의 먼지 등이 직접 측판(113)에 형성된 복수 개의 유입공(h2)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먼지 등이 유입공(h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크린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날개편은 측판(113)을 기준으로 2cm~5cm 크기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판(112)은 바닥판(111)의 전면 상부에 연결된다. 전판(112)의 수직판(112a)에는 팬(13)의 동작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h1)이 형성되어 있고, 경사판(112b)은 수직판(112a)의 상부로부터 후판(114) 방향으로 경사 배치되고 그 전면부에는 팬(13)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모듈부(14)의 스위치(141), 온도 조절부(142), 타이머(143) 및 표시부(144)가 외부로 표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측판(113)은 바닥판(111)의 측면 상부에 연결된다. 측판(113) 또한 전판(112)과 마찬가지로 수직판(113a)과 경사판(113b)을 포함한다. 측판(113)의 수직판(113a)에는 도 5와 같이, 팬(13)의 동작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h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측판(113)의 경사판(113b)은 전판(112)의 경사판(112b)으로부터 후판(114)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전면측이 후면측보다 높게 형성된다.
전판(112)과 측판(113)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유입공(h1, h2)은 본체(11)의 측방향으로 형성되되, 바닥판(111)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유입공(h1, h2)을 본체(11)의 측방향으로 바닥판(111)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 형성하는 이유는 팬(13)에 의해 외부 공기가 강제 흡입되는 과정에서 바닥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 공기와 함께 직접 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복수 개의 유입공(h1, h2)이 전판(112)과 측판(113)이 아닌 바닥판(111)에 형성된 경우에는 팬(113)의 동작시 바닥에 쌓여 있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외부 공기와 함께 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된 후 발판(12)을 통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부로 비상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먼지 등에 노출되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복수 개의 유입공(h1, h2)을 본체(11)의 측방향으로 바닥판(111)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로 이격되도록 전판(112)과 측판(113)에 형성함으로써 먼지 등이 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전판(112)과 측판(113)의 내측면에는 복수 개의 유입공(h1, h2)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세균 등을 제거하기 위해 항균필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전판(112)과 측판(113)의 외측면에는 각각 먼지에 비해 부피가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들을 여과하기 위해 필터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발판(12)은 도 5와 같이, 사용자의 발, 즉 왼발(또는 오른발)이 안착되는 것으로, 본체(11)의 상부, 바람직하게는 측판(113)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발판(12)은 본체(11)의 상판(115)과 대향하도록 측판(113)의 내측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져 측판(113)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은 측판(113)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홈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발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발판(32)은 배출공(32a)이 형성되고, 또한 상부에 안착되는 발을 지압하여 혈액순환을 도모하기 위해 복수 개의 지압돌기(32b)가 형성된다. 이때, 지압돌기(32b)의 형상과 크기(길이, 두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4와 같이, 발판(12)은 측판(113)의 경사판(113b)에 설치됨에 따라 경사판(113b)과 같이 전면부로 갈수록 샹향 경사진 구조로 배치된다. 그리고, 팬(13)에 의해 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부에 안착되는 발로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배출공(12a)이 형성된다. 이때, 배출공(12a)은 발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배열된다.
발판(12)은 유입공(h1, h2)을 통해 본체(11)의 내부, 즉 발판(12)의 하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빠르게 냉각될 수 있도록 열 전도율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경량화가 가능하고 가공이 용이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팬(13)은 도 5와 같이, 본체(11)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상판(115)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팬(13)은 제어 모듈부(14)에 의해 동작하여 외부 공기를 유입공(h1, h2)을 통해 본체(11)의 내부로 흡입한 후 발판(12)의 배출공(12a)을 통해 배출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어 모듈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부(14)는 발 전용 냉방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141), 스위치(142), 온도 조절부(143), 타이머(144) 및 표시부(145)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 통신부(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1)는 도 7과 같이, 스위치(142)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3)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이러한 제어부(141)는 온도 조절부(143), 온도센서(20) 또는 타이머(1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팬(13)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발 전용 냉방장치의 온도를 조정한다. 이때, 온도센서(20)는 본체(11)의 내부, 또는 발판(1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온도 조절부(143)를 통해 온도를 설정하면, 제어부(141)는 온도 조절부(143)에 의해 설정된 온도에 대응하여 팬(13)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온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제어부(141)는 온도센서(20)를 통해 실시간으로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발 전용 냉방장치의 온도가 항상 온도 조절부(143)에 의해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제어부(141)는 타이머(144)에 의해 설정된 팬(13)의 동작시간 동안 팬(13)을 구동시켜 발 전용 냉방장치의 온도를 조절한다.
표시부(145)는 온도 조절부(143)에 설정된 설정온도, 온도센서(20)에 의해 측정된 현재온도, 타이머(144)에 의해 설정된 팬 구동시간, 현재시간 등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45)는 터치식 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도 조절부(143), 타이머(144)는 표시부(145)를 터치하는 방식으로 온도 및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46)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로서, 사용자 단말기(5),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통신한다. 사용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통해 무선통신부(146)와 근거리 무선통신, 즉 블루투스 통신하여 제어부(14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통신부(146)를 통해 사용자는 제어 모듈부(14)를 직접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5)를 이용하여 제어 모듈부(1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부(14)의 동작을 온/오프하는 한편, 온도 조절부(143) 및 타이머(144)를 제어하여 온도 및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마트폰 내에 저장된 음원(음악)을 제어 모듈부(14)로 전송하여 스피커(21)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스피커(21)는 본체(11)의 일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덮개가 발판에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덮개(15)는 발판(12)의 양측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덮개(15)는 양측 내측면에 상하로 나란하게 한 쌍의 가이드판(151, 152)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판(151, 152) 사이의 공간으로 발판(12)의 양측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덮개(15)는 발판(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보조 발판(16)은 도 5와 같이, 발판(12)으로부터 발의 일부, 즉 지골과 중족골 부위를 일정 간격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덮개(15)의 가이드판(152)의 상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받침판(161)과, 받침판(161)의 상부에 복수 개가 돌출되어 발가락이 각각 삽입되는 발가락 삽입용 이격돌기(162)를 포함한다. 이때, 받침판(161)은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강도를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발가락 삽입용 돌기(162)는 연질의 합성수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발판(16)은 발판(12)이 과냉각 또는 과열되거나, 혹은 발바닥의 땀으로 인해 발판(12)과 발바닥 사이에 물기(습기)가 존재하여 불쾌감을 주는 경우 발바닥을 발판(12)으로부터 상호 분리시킨다. 즉, 보조 발판(16)을 덮개(15)의 가이드판(152)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적절한 위치에 위치시킨 후 발가락을 보조 발판(16)의 이격돌기(162) 사이에 끼움으로써 발바닥과 발판(12) 사이를 서로 분리시킨다.
또한, 보조 발판(16)을 덮개(15)의 내측에 배치하는 또 다른 이유는 발과 발판(12) 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발판(12)에 형성된 배출공(12a)이 발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보조 발판(16)을 통해 발의 지골과 종족골 부위와 발판(12) 간의 간격을 이격시켜 배출공(12a)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덮개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왼발용 냉방장치(10)는 덮개(15)의 내측면에 구비된 살균 램프(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덮개(15)의 내측면에 구비된 초음파 발생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음이온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살균 램프(18)는 적외선 및/또는 자외선 램프로서, 제어부(141)에 의해 동작하여 발가락 부위로 적외선 및/또는 자외선을 방출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한편, 발가락 사이의 습기를 제거하여 발냄새를 제거하는 동시에 살균한다.
초음파 발생부(19)는 도 7과 같이, 제어부(141)에 의해 동작하여 특정 주파수대, 예를 들면, 수컷 모기의 날개짓 소리에 해당하는 초음파(12,000Hz ~ 17,000Hz)를 반복적으로 출력한다. 이를 통해 흡혈하는 암모기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왼발용 냉방장치(10)는 동절기에 발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발판(12)의 하부에 설치되어 발판(12)을 가열하는 발열부(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열부(22)는 배터리(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체 발열하는 열판(열선) 또는 열전소자로서, 40~50℃의 온도로 발판(12)을 가열한다.
한편, 도 4 및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왼발용 냉방장치(10)는 외부 장치와 접속되거나, 혹은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3)를 충전하기 위한 접속 포트부(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포트부(17)는 USB 단자, 5핀 단자 등 공지된 접속단자는 모두 포함하고, 이를 통해 외부 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들은 각종 단말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으로서, 배터리(3)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접속 포트부(17)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발 전용 냉방장치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일측부에 본체(41)의 일측부가 힌지 결합된 보조판(51)과, 본체(41)의 타측부 하부와 보조판(51)의 타측부 사이에 탄성 결합된 스프링(52)과, 스프링(52)을 감싸는 주름관(53)을 포함한다. 이때, 스프링(52)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고, 주름관(53)은 스프링(5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과 같이, 본체(41)가 보조판(51)의 타측부에 스프링(52)에 탄성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는 발판(42)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자동차 페달을 밟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발판(42)을 반복적으로 누르는 동작을 통해 다리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는 왼발용 냉방장치(10)와 오른발용 냉방장치(10')로 분할 제작하여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가방 또는 핸드백 등에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어 휴대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는 팬(13)을 이용하여 본체(11)의 전판(112)과 측판(113)에 형성된 유입공(h1, h2)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발판(12)의 배출공(12a)을 통해 발로 배출하는 공랭식 냉방방식을 이용하되, 유입공(h1, h2)을 측방향으로 바닥판(111)으로부터 상부로 일정 높이로 이격시켜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쌓인 먼지 등이 함께 흡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는 발판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덮개(15)의 내측면에 살균 램프(18)를 구비함으로써 발과 발가락 사이에 존재하는 습기 또는 땀 등을 적외선 및/또는 자외선을 통해 건조시키는 동시에 살균하여 불쾌한 발 냄새를 제거하는 한편, 세균 번식에 의한 각종 발 질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는 발판의 전면부에 결합되는 덮개(15)의 내측면에 초음파 발생부(19)를 구비함으로써 모기 등과 같은 해충으로부터 발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는 본체(11)의 내부 또는 발판(12)의 하부에 발열부(22)를 구비함으로써 동절기에는 찬 공기 대신에 따뜻한 공기를 발 측으로 배출하여 발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 전용 냉방장치는 본체(41)의 하부에 스프링(52)을 구비함으로써 발을 냉방하면서 안전하게 발과 다리의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전원코드 2 : 접속코드
3 : 배터리 4 : 자성체
5 : 사용자 단말기 10 : 왼발용 냉방장치
10' : 오른발용 냉방장치 11, 41 : 본체
12, 32, 42 : 발판 13 : 팬
14 : 제어 모듈부 15 : 덮개
16 : 보조 발판 17 : 접속 포트부
18 : 살균 램프 19 : 초음파 발생부
20 : 온도센서 21 : 스피커
22 : 발열부 111 : 바닥판
112 : 전판 113 : 측판
114 : 후판 115 : 상판
141 : 제어부 142 : 스위치
143 : 온도 조절부 144 : 타이머
145 : 표시부 146 : 무선통신부
h1, h2 : 유입공 12a, 32a : 배출공
32b : 지압돌기 151, 152 : 가이드판
161 : 받침판 162 : 이격돌기
51 : 보조판 52 : 스프링
53 : 주름관

Claims (7)

  1. 부피를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가방 또는 핸드백에 간편하게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분할 제작된 왼발용 냉방장치와 오른발용 냉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왼발용 냉방장치와 상기 오른발용 냉방장치는 각각,
    전면과 측면에 복수 개의 유입공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발이 안착되고,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발판;
    상기 본체의 내부에 내장되고, 외부 공기를 상기 본체의 유입공을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상기 발판의 하부로 배출하여 상기 발판을 냉각시키는 동시에 상기 발판의 배출공을 통해 상기 발판에 안착된 발로 배출하는 팬;
    발이 상기 발판에 안착된 상태에서 발가락과 발등 일부를 덮도록 상기 발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되, 양측 내측면에 상하로 나란하게 한 쌍의 가이드판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발판의 양측부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발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
    상기 발판으로부터 발의 지골과 중족골 부위를 이격 분리시켜 상기 배출공을 통해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덮개의 가이드판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덮개의 가이드판에 결합되어 상기 발의 지골과 중족골 부위를 상기 발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에 복수 개가 돌출되어 발가락이 각각 삽입되는 발가락 삽입용 이격돌기를 포함하는 보조 발판;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적외선 또는 자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방출하여 발을 살균하는 살균램프;
    상기 덮개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모기를 퇴치하기 위한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본체의 내부 또는 상기 발판의 하부에 구비된 발열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팬, 상기 살균램프, 상기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전판과,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후면에 배치된 후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배치된 상판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판의 양측부에는 상기 측판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돌출된 날개편이 형성되어 상기 측판에 형성된 유입공으로 바닥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왼발용 냉방장치와 상기 오른발용 냉방장치의 본체의 바닥에는 서로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성체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부는,
    상기 팬의 회전속도를 조정하여 상기 발판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상기 팬의 동작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
    상기 온도 조절부에 의해 설정된 설정온도, 상기 온도센서에 감지된 현재온도, 상기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상기 팬의 동작시간 및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살균램프, 상기 초음파 발생부 및 상기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타이머에 응답하여 상기 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왼발용 냉방장치와 상기 오른발용 냉방장치는 각각,
    일측부에 상기 본체의 일측부가 힌지 결합된 보조판;
    상기 본체의 타측부 하부와 상기 보조판의 타측부 사이에 탄성 결합된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을 감싸는 주름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KR1020170040856A 2017-03-30 2017-03-30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KR101793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856A KR101793866B1 (ko) 2017-03-30 2017-03-30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856A KR101793866B1 (ko) 2017-03-30 2017-03-30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866B1 true KR101793866B1 (ko) 2017-11-03

Family

ID=60383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856A KR101793866B1 (ko) 2017-03-30 2017-03-30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8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583B1 (ko) * 2018-12-20 2019-11-06 주식회사 조이앤컴퍼니 온열장치가 구비된 발 받침대
EP3657084A1 (en) * 2018-11-20 2020-05-27 LG Electronics Inc. Foothold including thermoelectric module
KR20200058828A (ko) * 2018-11-20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이 구비된 발판
KR20210091424A (ko) *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데카스 Uvc 살균 led가 설치되는 발가락 무좀치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30Y1 (ko) * 2010-09-16 2011-02-14 최승영 팬 겸용 무좀 치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230Y1 (ko) * 2010-09-16 2011-02-14 최승영 팬 겸용 무좀 치료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7084A1 (en) * 2018-11-20 2020-05-27 LG Electronics Inc. Foothold including thermoelectric module
KR20200058828A (ko) * 2018-11-20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이 구비된 발판
KR20200058818A (ko) * 2018-11-20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이 구비된 발판
US11045007B2 (en) 2018-11-20 2021-06-29 Lg Electronics Inc. Foothold including thermoelectric module
KR102623103B1 (ko) * 2018-11-20 2024-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이 구비된 발판
KR102659398B1 (ko) * 2018-11-20 2024-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열전모듈이 구비된 발판
KR102041583B1 (ko) * 2018-12-20 2019-11-06 주식회사 조이앤컴퍼니 온열장치가 구비된 발 받침대
KR20210091424A (ko) * 2020-01-14 2021-07-22 주식회사 데카스 Uvc 살균 led가 설치되는 발가락 무좀치료기
KR102304009B1 (ko) 2020-01-14 2021-09-24 주식회사 데카스 Uvc 살균 led가 설치되는 발가락 무좀치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866B1 (ko) 휴대가 용이한 발 전용 냉방장치
KR101581722B1 (ko) 구들장 온풍 및 온열 안마용 매트리스 침대
KR101560873B1 (ko) 열선 송풍기와 적외선 램프가 내장된 발 건조기
KR101100896B1 (ko) 발 받침대
KR101167398B1 (ko) 다용도 건조기
CN205649033U (zh) 一种新型智能鞋垫
KR20140063176A (ko) 발 냉온 장치
CN206239311U (zh) 烘脚器及烘脚设备
KR101253934B1 (ko) 냉온풍 겸용 발선풍기
KR200452230Y1 (ko) 팬 겸용 무좀 치료기
CN205082947U (zh) 一种智能烘干除臭鞋柜
CN209236801U (zh) 一种妇科护理用熏蒸装置
CN106420327A (zh) 一种自主按摩药物熏蒸光疗暖足器
CN202154278U (zh) 一种杀菌消毒除臭抽湿烘干防霉自动擦鞋一体化语音鞋柜
KR101651459B1 (ko) 다기능 발받침대
CN206295449U (zh) 一种自主按摩药物熏蒸光疗暖足器
US11903533B2 (en) Drying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102300859B1 (ko) 발냄새 제거 장치
CN105011461A (zh) 一种数控恒温保健鞋及其控制方法
KR101173476B1 (ko) 발 건조장치
JPH0639704Y2 (ja) 足踏健康器具
KR200372004Y1 (ko) 발 건조기
KR200283182Y1 (ko) 발 마사지 기능을 갖는 신발 살균장치
CN2406548Y (zh) 保健鞋柜
EP0481925A1 (en) Drying and sterilizing feet applian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