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701B1 - Reinforced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Reinforced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701B1
KR101793701B1 KR1020170049034A KR20170049034A KR101793701B1 KR 101793701 B1 KR101793701 B1 KR 101793701B1 KR 1020170049034 A KR1020170049034 A KR 1020170049034A KR 20170049034 A KR20170049034 A KR 20170049034A KR 101793701 B1 KR101793701 B1 KR 101793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late
concrete column
reinforcing
colum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0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병률
Original Assignee
유병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률 filed Critical 유병률
Priority to KR1020170049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70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70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adhesive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adhesive reinforcement structure comprises: a metallic reinforcement plate including a first reinforcement plate to surround a part of a circumference of a concrete column and a second reinforcement plate to surround the other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ncrete column, so as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oncrete column;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a first end part of the first reinforcement plate and a second end part of the second reinforcement plate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reinforcement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inforcement plate. Accordingly, the structure is installed in a state applying a pressure around a circumference of the column without locally concentrating a stress with respect to a cross section of the column while inhibiting concrete from being separated from a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closely adhered to the reinforcement plate even if an earthquake occurs; thereby being able to reliably maintain a load endurance capability of the column even if the earthquake occurs.

Description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 구조 및 그 방법 {REINFORCED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for reinforced concret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 및 그 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시 또는 지진 발생 시 콘크리트 기둥의 강도를 보다 확실하게 보강하면서도 심부 구속을 위한 횡방향 철근의 바깥에 위치한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현상을 억제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adhesive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and a reinforc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crete reinforcing structure for reinforcing a concrete column which is located outside a transverse reinforcing bar for reinforcing a concrete column at all times or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adhesive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and a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이 필요하며,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이 건축 구조물과 토목 구조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Generally, a column supporting a load is required to construct a structure, and a concrete column which is relatively inexpensive and capable of withstanding a large load is widely used in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최근에는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주택 수요가 급증하고 노후된 기타 건축 또는 토목 구조물을 개선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노후된 건물을 철거하고 신축하는 방안도 있지만, 무분별한 건물 신축은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고 환경을 저해하므로, 노후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성능 개선하는 방안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with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the demand for housing has rapidly increased and there is a need to improve old buildings or civil structures. For this purpose, there are plans to dismantle old buildings and to build new ones. However, the construction of irrelevant buildings is costly and hinders the environment, and remodeling of old buildings has improved the performance.

노후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성능을 개선하는 데 있어서 내진 설계는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다. 그런데, 기존의 기둥과 보를 그대로 남겨두고 성능을 보강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며, 특히 기둥의 경우에는 지진이 발생되면 기둥의 표면에서 콘크리트가 탈락하면서 쉽게 손상되므로, 기둥에 대한 내진 보강이 매우 중요하다. Seismic design must be considered in remodeling old buildings to improve performance.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reinforce existing columns and beams,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olumns, seismic reinforcement for columns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concrete is easily damaged when the earthquake occurs.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4188호에 따르면, 상호간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보강재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고, 기둥의 외표면을 감싸면서 보강재의 일부분이 겹쳐지게 배치하고 에폭시 등의 접착제로 보강재를 부착하여 기둥을 보강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In this connection, according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4188, stiffeners having the same shape are arrang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part of the stiffener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nd the stiffener is fixed with an adhesive such as epoxy To reinforce the column.

그러나,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에 보강재를 접착하는 것은 접착 공정에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에폭시 등의 접착제로부터 유해한 화학 물질을 작업자가 들여마시는 문제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둥 표면에 접착된 보강재를 분리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However, bonding of the reinforcing material to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requires a long time for the bonding proce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or drinks harmful chemical substances from the adhesive such as epoxy, and above all, the non-adhesiv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It is very difficult to separate the stiffener adhered to the column surfa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시 또는 지진 발생 시에 보다 신뢰성있게 기둥의 내하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n-adhesive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capable of maintaining a load-carrying capacity of a column more reliably at all times or in case of an earthquak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즉, 본 발명은, 보강 영역의 전체 단면의 기둥 벽면이 면압이 작용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전체 보강 단면에서 보강 성능의 편차를 줄여 성능이 개선되도록 보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reinforce the column walls of the entire cross section of the reinforcing region in a state in which surface pressure acts so as to improve the performance by reducing variation in the reinforcing performance in the entire reinforcing section.

또한, 본 발명은, 지진이 발생되더라도 콘크리트 기둥에 배근된 철근 외측의 콘크리트가 보강 영역에서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여, 내진 저항 능력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ppress the deterioration of the concrete outside the reinforcing steel reinforced with concrete columns in the reinforcing area even if an earthquake occurs, thereby maintaining the resistance to earthquake resistance more reliably.

그리고, 본 발명은, 에폭시 등의 접착 공정이 없이 콘크리트 기둥을 보강함으로써,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를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재설치가 용이하고 친환경적인 보강 공정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ement process that is easy to re-install and is eco-friendly even when the non-adhesive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is to be improved by reinforcing the concrete column without an adhering step of epoxy or the lik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로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보강판과,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를 감싸는 보강판과; 상기 제1보강판의 제1단부와 상기 제2보강판의 제2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보강판의 일단과 상기 제2보강판의 타단의 거리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adhesive reinforcing structure for a concrete column, comprising: a first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 part of a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nd a second reinforcing member surrounding another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 reinforcing plate including a plate, the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pill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concrete column is constituted by including the reinforcing member.

이는,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을 포함하는 보강판이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접촉 설치됨에 따라,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가 견고한 금속재질의 보강판에 의하여 변위가 구속되므로, 지진이 발생되더라도 보강판에 밀착된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에서 콘크리트의 탈락 현상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This is because the reinforcing plate including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pillar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pillar so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concrete pillar is restrained by the reinforcing plate made of a solid metal, This is to suppress the detachment of concrete from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attached to the reinforcing plate.

더욱이, 콘크리트 기둥의 일부 둘레를 감싸는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을 연결부를 이용하여 둘레 방향으로 연결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횡단면의 콘크리트 기둥에도 보강판을 설치 시공하는 공정이 용이해진다.Further, by connecting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which surround a part of the concrete colum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using the connecting portion, it is easy to install the reinforcing plate on the concrete columns of various cross sections.

여기서, 보강판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보강섬유로 이루어진 보강섬유 판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or a reinforcing fiber panel formed of reinforcing fibers.

무엇보다도,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체결되어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정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상기 연결봉에 인장 응력이 도입된 상태로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an adjusting nut coupled to the connecting rod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tensile 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rod by tightening the adjusting nut.

이와 같이, 제1단부와 제2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봉에 인장 응력이 도입된 상태로 보강판을 연결 설치하면, 연결봉에 의하여 보강판에도 인장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보강판이 콘크리트 기둥에서 곡면 형태나 꼭지점 형태로 볼록한 볼록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면, 연결봉에 의하여 보강판에 인장력이 작용하면서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력이 도입된다. In this way, when the reinforc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in a state in which tensile stress is introduced, tensile stress acts on the reinforcing plate by the connecting rod. When the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in a shape of a curved surface or a vertex of the concrete column to surround the convex portion, a tensile force acts on the reinforcing plate by the connecting rod, and a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is introduced.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꼭지점 부근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기둥의 둘레에 걸쳐 가압력이 도입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모든 방향의 외력에 대하여 보다 균일한 저항 능력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진이 발생되더라도 모든 방향에 대한 진동에 대하여 높은 저항 능력을 갖는 보강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stress is not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the vertex and the pressing force is introduce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column as in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has more uniform resistance against external forces in all directions, Even if an earthquake occur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reinforcing structure having high resistance to vibration in all directions.

한편,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에는 상기 기둥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은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first connection surface and a second connection surface are formed a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respective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column, and the connection ro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보강판의 단부가 기둥 벽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1보강판의 제1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제1연결면과 제1보강판의 제2단부에서 절곡 형성된 제2연결면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가 되므로,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으로부터 연결봉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연결봉에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것에 의하여, 연결봉과 연결되는 보강판의 끝단이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으로부터 들뜨는 힘을 최소화하여, 보강판 단부가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is ben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lumn wall surface, and the first connecting face bent at the first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ng face bent at the second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re bent Since the connecting surfaces are opposed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to the connecting rod. Through this, tensile stress acts on the connecting rod, so th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minimizes the force applied from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so th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can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ncrete.

이 때, 상기 연결봉의 단부는 상기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연결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밀착한 고정 블록에 체결 고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보강판의 단부를 일정한 단면으로 형성하더라도, 고정 블록에 의하여 연결봉의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보강판의 제작이 보다 단순해지면서도 연결봉의 고정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may be fastened and fixed to a fixing block closely attach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As a result, even if the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 are formed to have a constant cross-section, the ends of the connecting rods can be fixed by the fixing block, so that the manufacturing of the reinforcing plate becomes simpler, Can be obtained.

여기서, 상기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연결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ㄷ'자형 단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블록을 'ㄷ'자형 단면에 수용하게 구성하면, 고정 블록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제자리에 위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is formed to have a 'C' -shaped cross section, and when the fixed block is accommodated in the 'C' -shaped cross section, So that it can be positioned in place.

한편, 상기 연결봉은, 상기 제1연결면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제1수나사산이 형성된 제1연결봉과, 상기 제2연결면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상기 제1수나사산과 반대 방향의 제2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연결봉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너트는 상기 제1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제1암나사산과, 상기 제2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봉의 일단과 상기 제2연결봉의 타단과 동시에 맞물려 설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rod includes a first connecting rod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having a first male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ng thread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Wherein the adjusting nut is formed with a first female thread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male thread portion and a second female thread portion engaging with the second male thread portion, 2 can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s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제1보강판의 제1단부와 제2보강판의 제2단부의 사이에 위치한 조정 너트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제1단부와 제2단부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면서 연결봉에 인장 응력의 도입량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정 너트를 모두 제1단부와 제2단부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조정 너트를 회전시킬 정도의 틈새(z)만 기둥의 표면과 이격시키면 충분하게 되어, 연결봉과 기둥의 표면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only by adjusting the adjusting nut located between the first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is adjusted, The introduction amount of the tensile stress can be simply controlled. In addition, since all of the adjustment nuts can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it is sufficient to separate only the clearance z from the surface of the column so as to rotate the adjustment nu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tructure that minimizes the distance.

한편,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횡단면은 원형, 타원형 등 곡면으로 이루어진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외표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may have a curved section such as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an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may be curved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이 경우에는,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더라도,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이 곡면으로 볼록한 볼록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에 의하여 인장 응력이 작용하면,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에는 자연스럽게 콘크리트 표면에 밀착되면서 가압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even if the lengths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re short, since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r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convex portion convex to the curved surface, When the tensile stress acts on the concrete,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re naturally adhered to the concrete surface, so that the pressing force acts o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원형이나 타원 등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연결부가 하나로만 형성되더라도,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이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에 의하여 가압력이 작용하는 밀착 상태로 구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curved surface such as a circle or an ellipse, even if only one connection portion is formed,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may be in a close contact state in which a pressing force is exerted by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한편,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횡단면은 다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은 각각 상기 다각형 단면의 꼭지점 영역을 하나 이상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the first reinforcement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plate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at least one apex area of the polygonal cross-section.

이 경우에는, 꼭지점 영역을 기준으로 절곡 형성된 보강판은 양단부가 연결부에 의하여 인장응력이 작용하면, 보강판의 저면 전체에서 기둥의 표면에 가압력(면압)이 작용한 상태로 설치된다. In this case, when the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 bent with respect to the vertex region are subjected to tensile stress by the connecting portion, a pressing force (surface pressure) acts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reinforcing plate.

이 때,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다각형 단면의 변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기둥의 다각형 단면에 작용하는 가압력이 분포되게 작용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연결부의 위치가 다각형 단면의 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중앙부로부터 모서리를 향하여 치우친 위치에 연결부가 위치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ides of the polygonal cross section, so that a pressing force acting on the polygonal cross section of the column is distribu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ide of the polygonal s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may be located at a position offset from the center toward the corner.

한편, 상기 다각형 단면에는 꼭지점의 일부를 제거한 챔퍼(chamfer) 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챔퍼 단면에는 채움재가 채워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판이 꼭지점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에, 보강판과 기둥 챔퍼 사이의 빈 공간에서 보강판이 국부적으로 휨 변형이 생기면서, 기둥의 표면에 인가하는 면압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eanwhile, a chamfer section having a part of the vertex may be formed on the polygonal section, and a filling material may be filled in the chamfer section. As a result, when the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so as to surround the vertex point, the reinforcing plate is locally warped in the space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column chamfer, so that the surface pressur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colum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st .

그리고,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은 상기 꼭지점을 감싸는 영역에서 휨 강성을 보강하는 휨강성 보강 부재가 추가로 형성되어, 꼭지점 부근에서 보강판의 휨 변형량이 억제되면서, 보강판의 일단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에 의하여 꼭지점을 기준으로 보강판의 타측에 위치하는 보강판이 기둥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력(면압)을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게 한다.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re further provided with a bending stiffness reinforcing member for reinforcing the bending stiffness in a region surrounding the apexes so that the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is suppressed in the vicinity of the vertex, It is possible to reliably introduce the pressing force (surface pressure) by which the reinforcing plate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presses the surface of the column on the basis of the vertex point.

한편,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또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3보강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3보강판의 일단부는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제2연결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보강판은 기둥의 둘레를 감싸기 위하여 제1보강판, 제2보강판 및 제3보강판을 포함하여 3개 이상이 연결부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The reinforc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 third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nother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nd one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pla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That is, the reinforcing plate may include three or more connecting portions including a first reinforcing plate, a second reinforcing plate, and a third reinforcing plate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olumn.

그리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을 띠 모양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되거나 연속하여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에 따라 분포된 보강판에 서로 다른 가압력을 인가할 수도 있다.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oncrete columns in a strip shape, and the reinforcing plates may be spaced apart or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crete columns.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different pressing force to the reinforcing plate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ncrete column.

이와 달리,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을 50cm 이상의 높이를 갖는 하나의 띠 모양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한 장의 보강판의 높이가 50cm 이상으로 높게 형성되므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의 사이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다수 배치되어, 한 장의 보강판에 의해 기둥 벽면에 가압하는 가압력을 다수의 연결부에 의해 조절된다.Alternatively,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provided in a shape such that the concrete column is surrounded by a single band having a height of 50 cm or more. 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of one reinforcing plate is formed to be as high as 50 cm or more, a large number of connecting portions ar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between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is controlled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은 평탄한 면으로 면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판이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연결부에 의하여 보강판의 양단에 인장력을 작용하여, 보강판에 인장 변위가 발생되는 동안에,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과 보강판의 슬라이딩 변위가 상호간의 마찰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원활해지며, 이에 따라 보강판의 인장 변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생되어 보강판에 국부적으로 응력이 집중되지 않으며,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이 매끄럽고 평탄하게 형성되어 보강판으로 눌리는 가압력이 기둥 벽면에 걸쳐 작용하게 된다. Preferably, the reinforcing plate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in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is faced with a flat surface. As a result, tensile forces are exerted on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 by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while the tensile displacement occurs in the reinforcing plate, the sliding displacement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becomes smooth without any interference due to friction between them The tensile displacement of the reinforcing plate is uniformly generated as a whole, the stress is not locally concentrated on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is smoothly and flatly formed, so that the pressing force pressed by the reinforcing plate acts on the wall surface.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이 행해지는 영역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기둥 전체에 걸쳐 행해질 수도 있으며, 기둥의 취약 단면에만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바닥 하단으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단면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까지의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천장 하단으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단면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까지의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area where the concrete column is reinforced can be variously determined. It may be done all over the column as required, and may be done only on the weak section of the column. For example,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 a range from a bottom end of the concrete column to a position spaced upward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The reinforcing plate may be disposed at least partially in a range from a lower end of the concrete column to a position spaced downward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a thickness of a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여기서, 콘크리트 기둥은 건축 구조물이나 토목 구조물에서 천장면과 바닥면이 명시적으로 함께 설치되는 기둥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교량의 교각과 같이 단면이 변화하는 기둥 형태도 포함한다. 단면이 변화하는 기둥 구조물에서의 상기 천장과 상기 바닥은 단면이 확장되기 시작하는 위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Here, the concrete column includes not only pillars in which a ceiling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re explicitly installed together in an architectural structure or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but also a column shape in which a section is changed like a bridge pier. The ceiling and the bottom in a post structure with a varying cross section are defined to refer to the position where the cross section begins to expand.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보강판과,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를 감싸는 보강판을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밀착시키는 보강판 설치단계와;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이 서로 마주보는 단부를 연결부로 연결하여,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이 연결부에 의하여 서로 근접해지면서 그 판면이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외표면에 밀착시키는 보강판 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reinforcing a concrete column, comprising: a first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nother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 reinforcing plate mounting step of placing a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rete colum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ir opposite ends by a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re brought close to each other by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plate surfac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A step of adhering the reinforcing plate;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concrete pill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inforced concrete pillar is reinforced.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을 평탄한 면으로 면처리하는 면처리 단계를; 상기 보강판 밀착단계 이전에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 surface treatment step of treating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with a flat surface; And may be further included before the step of adhering the reinforcing plate.

그리고,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에는 상기 기둥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체결되는 조정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정 너트를 조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의 거리를 근접시키는 힘이 도입되면서 상기 보강판의 판면이 상기 콘크리트 기둥에 밀착되는 가압력이 인가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a second connecting surface are formed a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respective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column;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ing rod tha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and an adjusting nut that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rod, and by tightening the adjusting nut, And a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pla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against the concrete column is applied while a force for bringing the distance of the two connecting surfaces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s introduc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을 포함하는 금속 재질의 보강판이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접촉 설치됨에 따라,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가 견고한 금속재질의 보강판에 의하여 변위가 구속되므로, 지진이 발생되더라도, 보강 영역의 보강판에 밀착된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에서 기둥에 배근된 철근의 외측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것을 억제하여, 내진 저항 능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tal reinforcing plate including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column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metal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er concrete of the reinforcing bars laid on the column from falling off from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adhering to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reinforcing area and to improve the resistance to earthquake resistance .

무엇보다도, 본 발명은, 보강판이 기둥 횡단면의 꼭지점이나 볼록한 곡면 등의 볼록부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연결부에 의하여 보강판에 인장력이 작용한 상태로 설치함에 따라, 보강판의 판면이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을 가압하는 면압을 도입함으로써, 기둥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응력이 국부적으로 집중되지 아니하고 기둥 둘레에 걸쳐 가압력이 도입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지진 등의 반복 하중에 의해 기둥 단면에 발생되는 인장 응력을 보강판에 의해 도입되어 있는 가압력으로 모든 방향에 대하여 상쇄시킬 수 있게 되어, 지진의 발생에도 보다 신뢰성있게 기둥의 내하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Above al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late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convex portion such as the vertex of the column cross section or the convex curved surface,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ensile force acts on the reinforcing plate by the connecting portion, The stress is not locally concentrated on the basi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lumn and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around the column so that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column section due to repeated loads such as earthquakes is reinforced It is possible to cancel out all directions with the pressing force introduced by the plate,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favorable effect that the load-carrying ability of the column can be maintained more reliably even in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또한, 본 발명은, 보강판의 단부를 'ㄷ'자 단면으로 절곡 형성하고, 'ㄷ'자 단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고정 블록을 위치시키고, 보강판 단부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면을 연결봉으로 연결한 후, 연결면의 사이에 위치한 조정 너트를 배치하여 보강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결봉과 기둥 벽면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보강판의 판면과 연결봉의 높이 편차로 인하여 연결부에 인접한 보강판의 들뜸 현상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inforcing plate is formed by bending an end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to have a "C" -shaped cross section, placing a fixing block having a female thread on its end face,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rod and the wall of the column can be minimized by arranging the adjusting nut located between the connecting surfaces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s. Thus,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pla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and the connecting rod The advantage of minimizing lifting of the reinforcing plate adjacent to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obtained.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가 적용된 기둥을 도시한 개략도,
도2는 도1a의 'A'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3은 도1a의 절단선 X-X에 따른 단면도,
도4는 도3의 'B'부분의 확대 사시도,
도5a는 도3의 'B'부분의 확대도,
도5b는 도3의 'B'부분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연결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6a는 도3의 'C'부분의 확대도,
도6b는 도3의 'C'부분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D'부분의 확대도,
도9는 도7의 측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1은 도10의 횡단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A and FIG. 1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column to which a non-adhesive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A'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of FIG. 1A,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B' in FIG. 3,
5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3,
FIG. 5B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B' in FIG. 3;
6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3,
FIG. 6B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C' in FIG. 3;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n-adhesive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in FIG. 7,
Fig. 9 is a side view of Fig. 7,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n-adhesive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non-adhesive reinforcing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to avoid obscuring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10)의 보강 구조(100)는, 콘크리트 기둥(10)의 둘레를 정해진 길이만큼 감싸는 제1보강판(111)과 제2보강판(112)을 포함하는 다수의 보강판(110)과, 다수의 보강판(111, 112, 113, 114; 110)의 단부(111a, 112a, 113a, 114a)를 연결하는 연결부(120)를 포함하여, 연결부(120)와 다수의 보강판(110)이 콘크리트 기둥(10)의 둘레를 한바퀴 둘러싸는 형태로 기둥의 보강 영역(Y)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a reinforcing structure 100 of a concrete column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plate 111 that surrounds a concrete column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110 including reinforcing plates 112 and connecting portions 120 connecting the ends 111a, 112a, 113a and 114a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113, 114, The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110 are configured to reinforce the reinforcing region Y of the column in such a manner that the reinforcing plate 110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10.

여기서, 보강 영역(Y)은 보강 대상물인 콘크리트 기둥(10)의 노후 상태와 성능 개선 후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대체로, 보강 영역(Y)은 기둥 구조물에서 높은 하중이 작용하는 취약 단면이 포함되게 정해지는 데, 콘크리트 기둥(10)의 바닥(14)과 접하는 기둥 하단으로부터 콘크리트 기둥의 단면의 폭(w)의 에 해당하는 높이(H1)만큼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까지의 하측 영역과, 콘크리트 기둥(10)의 천장(16)과 접하는 기둥 상단으로부터 콘크리트 기둥의 단면의 폭(w)의 에 해당하는 높이(H1)만큼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까지의 상측 영역이 포함된다. 대체로 보강 영역의 높이(H1, H2)는 기둥의 두께값(w)(장폭, 단폭, 또는 이들의 평균값)정도로 정해지며, 대체로 50cm 이상으로 정해질 수 있다.Here, the reinforcing area Y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ging condition of the concrete column 10, which is the object to be reinforced, and the load acting afte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Generally, the reinforcement area Y is determined to include a section of the column where a high load acts on the column structure. The width (w) of the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from the bottom of the column contacting the bottom 14 of the concrete column 10 And a height H1 corresponding to the width w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from the column top in contact with the ceiling 16 of the concrete column 10 ) From the lower side to the lower side. In general, the height (H1, H2) of the reinforced area is determined by the thickness value (w) (width, width, or average value of the columns) of the column.

여기서, 콘크리트 기둥(10)은,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14)과 천장(16)의 사이를 상하 방향으로 잇는 형태의 구조물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과 같이 상부로부터 하중이 전달되는 상하 구조물을 포함한다. 교각 등의 기둥 구조물은 단면이 확장되기 시작하는 지점이 천장과 맞닿은 위치로 보고, 보강 영역(Y)이 정해진다.Here, the concrete column 10 not only includes a structure in the form of vertically connecting the floor 14 and the ceiling 16 as shown in Fig. 1A, And a vertical structure in which a load is transferred from the upper portion as shown in FIG. The pillar structure of piers and so on is considered as a position where the section where the section starts to be extende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eiling, and the reinforcing area (Y) is determined.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110)은 콘크리트 기둥(1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다수의 보강판(111, 112, 113, 114)이 기둥(10)의 둘레의 일부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2 and 3, the reinforcing plate 110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concrete column 10,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111, 112, 113, As shown in FIG.

여기서, 보강판(110)은 강재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보강 섬유 판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둥(10)의 보강 영역(Y)의 외표면(10s)에 비접착 상태로 밀착 설치되어, 콘크리트 기둥(10)의 외표면을 물리적으로 구속한다. The reinforcing plate 11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o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inforcing fiber panel or may be formed in a non-adhered state on the outer surface 10s of the reinforcing region Y of the column 10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10 is physically confined.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기둥(10)에 지진이 발생되면, 지진에 의한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취약 영역(즉, 'Y'로 표시된 보강 영역)에 하중이 집중되면서, 기둥(10)에 배근된 철근(미도시)의 바깥 영역(c)의 콘크리트가 인장 응력에 견디지 못하고 탈락하는 현상이 발생되지만, 상기와 같이, 보강판(110)이 콘크리트 기둥(10)의 표면에 밀착되게 설치하면, 지진에 의한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기둥(10)의 표면이 보강판(110)에 의하여 구속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기둥의 철근의 외측 콘크리트의 변위가 보강판(110)에 의해 물리적으로 억제함에 따라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 표면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Generally, when an earthquake occurs in the concrete column 10, a load is concentrated in a weak region (that is, a reinforcing region indicated by 'Y') where the load due to the earthquake acts most, When the reinforcing plate 110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10 as described above, the concrete in the outer region (c) of the concrete column (not shown) may fall off without being able to withstand the tensile stress. The surface of the column 10 is held by the reinforcing plate 110 so that the displacement of the outer concrete of the reinforcing plate of the column is physically suppressed by the reinforcing plate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er surface from falling off.

도4 및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111, 112, 113, 114; 110)은 균일한 두께의 강판을 절곡 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되며, 양단부(111a, 112a, 113a, 114a)는 'ㄷ'자 단면으로 절곡 형성되어, 기둥의 둘레 방향으로 인접한 보강판에 대하여 서로 마주보는 연결면(111s, 112s, 113s, 114s)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인접한 보강판(111, 112, 113, 114)의 단부(111a, 112a, 113a, 114a)에 서로를 마주보는 연결면(111s, 112s, 113s, 114s)이 형성됨에 따라, 보강판(111, 112,...)을 연결하는 연결봉(122)의 설치가 용이하고 연결봉(112)에 의해 도입되는 인장력을 보강판(111, 112,...)의 판면으로 전달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A,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113, 114 and 110 are manufactured simply and inexpensively by bending a steel plate having a uniform thickness. Both end portions 111a, 112a, 113a and 114a are bent in a U-shaped cross section to form connection faces 111s, 112s, 113s and 114s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reinforcing plat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lumn.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surfaces 111s, 112s, 113s, and 114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end portions 111a, 112a, 113a, and 114a of the adjacent reinforcing plates 111, 112, 113, and 114,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connecting rod 122 connecting the connecting rods 111, 112, ... and enhance the effect of transmitting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by the connecting rod 112 to the plate surface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have.

한편,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111, 112,...)의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 블록(125)을 용접 고정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결면(111s', 112s')을 형성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5B, the connecting surfaces 111s 'and 112s' are formed by welding and fixing the connecting block 125 having the threads at the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You may.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연결면(111s, 112s,... ; 111s', 112s',...)'이라 함은, 보강판(111, 112,...)의 판면으로부터 기둥의 반경 방향(기둥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부(120)의 연결봉(122)이 된 표면을 지칭하며, 상호 인접한 보강판(111, 112,...)의 연결면(111s, 112s,...; 111s', 112s',...)이 평행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평행으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The connecting surfaces 111s, 112s, ..., 111s ', 112s',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the shapes of the columns from the plate surface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Refers to a surface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direction away from the column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112s, ..., 111s ', 112s', ... are preferably parallel but may not necessarily be formed in parallel.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11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보강판(111), 제2보강판(11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3, the reinforcing plate 110 is formed to include at least two first reinforcing plates 111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112. [

상기 연결부(120)는, 도4 및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111, 112,...)의 단부(111a, 112a)에 마련된 연결면(111s, 112s)을 연결하고 외주면의 일부 이상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122)과, 연결봉(122)의 수나사산에 체결되어 보강판(111, 112,...)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절 너트(1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다각형 기둥인 경우에는 다각형 단면의 변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120 connects connecting surfaces 111s and 112s provided at the end portions 111a and 112a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and 112 as shown in FIG. 4 and FIG. 5A, And a control nut 124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coupled to the male thread of the connecting rod 122, In the case of a polygonal column, i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ide of the polygonal cross section.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결부(120)는 다각형 단면(도면에는 사각형 단면)의 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결부(120)는 중앙부로부터 모서리를 향하여 치우쳐 위치할 수도 있다.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tha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ide of the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the drawing), and the connecting portion 120 may be biased from the central portion toward the corner have.

여기서, 연결봉(122)은, 제1보강판(111)의 제1연결면(111s)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고 제1방향으로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1연결봉(122a)과, 제2보강판(112)의 제2연결면(112s)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고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으로 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연결봉(122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절 너트(124)에는 제1연결봉(122a)의 수나사산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제2연결봉(122b)의 수나사산에 맞물리는 암나사산이 타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1연결봉(122a)과 제2연결봉(122b)은 제1연결부(111s)와 제2연결면(112s)의 사이에 위치한 조절 너트(124)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에 따라, 조절 너트(12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연결봉(122a, 122b; 122)과의 체결 길이가 조절되면서 연결봉(122)의 길이가 조절된다. The connecting rod 122 includes a first connecting rod 122a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irst connecting face 111s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111 and formed with a male thread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ng rod 122b passing through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112s of the connecting member 112 and having a male thread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adjusting nut 124 is formed with a female screw thread at one end thereof engaged with the male threa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22a and a female screw thread at the other end thereof engaged with the male threa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122b, The first connecting rod 122a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122b are connected by an adjusting nut 124 locat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111s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112s.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122 is adjusted whil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122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adjusting nut 124.

그리고, 보강판(111, 112,...)의 연결면(111s, 112s,...)의 관통공과 정렬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고정 블록(126)이 보강판(111, 112,...)의 'ㄷ'자 단면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어, 각각 제1연결봉(122a) 및 제2연결봉(122b)에 체결된다. 고정 블록(126)은 'ㄷ'자 단면의 보강판 단부(111a, 112a,...)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므로, 조절 너트(124)의 회전(124d)에 따라 연결봉(122)의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다. The fixing block 126 having the female screw holes aligned with the through holes of the connecting faces 111s, 112s, ...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And is fastened to the first connecting rod 122a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122b, respectively. Since the rotation of the fixing block 126 is restricted by the reinforcing plate end portions 111a, 112a, ... of the 'D' shap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rod 122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124d of the adjusting nut 124 Can be adjusted freely.

예를 들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너트(124)를 정방향으로 회전(124d)시키면, 고정 너트(124)의 내부에서 제1연결봉(122a)과 제2연결봉(122b)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제1연결봉(122a)의 끝단과 제2연결봉(122b)의 끝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88a, 88b)으로 이동하는 데, 제1연결봉(122a)과 제2연결봉(122b)은 고정 블록(126)의 암나사산에 체결된 상태이므로, 제1보강판(111)과 제2보강판(112)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보강판(111)과 제2보강판(112)의 타측 단부(111a, 111b)는 각각 제4보강판(114) 및 제3보강판(113)의 단부(114a, 113a)에 연결 고정된 상태이므로, 연결봉(122a, 122b)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면, 제1보강판(111)과 제2보강판(112)에도 인장력(P1)이 판면에 작용하게 된다. 4, when the fixing nut 124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124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rod 122a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122b in the fixing nut 124 is Th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rod 122a and th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rod 122b move in the directions 88a and 88b approaching to each other while the first connecting rod 122a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122b are fixe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1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112 are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close to each other. The other end portions 111a and 111b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1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112 are connected to the end portions 114a and 113a of the fourth reinforcing plate 114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113, The tensile force P1 acts o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1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112 when tensile force acts on the connecting rods 122a and 122b.

그리고, 조절 너트(124)에 의하여 보강판(111, 112,...)의 연결면(111s, 112s,...) 사이의 거리가 정해진 거리에 도달하고, 정해진 인장력이 연결봉(122)에도 작용한 상태가 되면, 연결봉(122a, 122b)에 체결되어 있던 고정너트(129)를 연결면(111s, 112s,...)으로 밀착시켜, 보강판(111, 112,...)에 정해진 인장력(P1,...)이 도입된 상태를 고정시킨다.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surfaces 111s, 112s, ...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reaches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adjusting nut 124 and a predetermined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rod 122 The fixing nuts 129 fastened to the connecting rods 122a and 122b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onnecting surfaces 111s and 112s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inforcing plates 111, Thereby fixing the state in which the tensile forces P1, ... are introduced.

한편, 보강판(111, 112,...)에 인장력(P1, P2...)을 도입하기 위한 연결부(120')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봉을 포함하지 않고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강판(111)과 제2보강판(112)의 단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연결 블록(125', 125)이 고정되어, 연결 블록(125, 125')을 관통하는 연결 봉(122')의 일단부에는 고정 너트(126')를 체결해두고 연결 봉(122')의 타단부에는 조절 너트(124')를 체결해두어, 조절 너트(124')를 죄는 것에 의하여 연결봉(122')에 인장력을 도입하면서 보강판(111, 112)의 판면에 인장력(P1)을 도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5b의 구성은, 도5a의 구성에 비하여, 보강판(111, 112)의 두께만큼 연결봉(122')과 보강판(111)까지의 거리(e')가 더 멀어진다는 점에서 불리한 측면이 있지만, 일측에서 조절 너트(124')를 조여 보강판(111, 112)에 인장력(P1)을 작용하므로, 인장력(P1)을 도입하는 작업이 수월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ng portions 120 'for introducing the tensile forces P1, P2, ... to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may be configured not to include the connecting rods in the opposite directions . 5B, connecting blocks 125 'and 125 having through holes are fixed to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1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112 so that the connecting blocks 125 and 125' A fixing nut 126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connecting rod 122'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rod 122 'and an adjusting nut 124' is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122 ' To introduce the tensile force P1 to the plate surface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and 112 while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connecting rod 122 'by tightening the connecting rod 122'. 5B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distance e 'between the connecting rod 122' and the reinforcing plate 111 is further increased by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and 112 as compared with the configuration of FIG. 5A However, since the tension P1 is applied to the reinforcing plates 111 and 112 by tightening the adjusting nut 124 'at one sid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the work of introducing the tensile force P1 is facilitated.

한편,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는 연결 블록(125, 125')이 보강판(111, 112,...)의 끝단에 결합되는 대신에, 보강판(111, 112,...)의 끝단부의 상면에 결합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연결 블록(125, 125')이 보강판(111, 112,...)의 상면에 결합되면, 보강판(111, 112,...)과 연결 블록(125, 125')의 용접 연결부(77)가 연결 블록(125, 125')의 양측에 형성되므로, 보다 견고하게 연결 블록(125, 125')을 보강판(111, 112,...)에 결합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연결봉(122')에 보다 큰 인장력을 도입하여 보강판(111, 112,...)에도 보다 큰 인장력(P1,...)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5C, the connection block 120 ''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blocks 125 and 125 'to the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and 112, The connecting blocks 125 and 125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and 112. In this way, when the connecting blocks 125 and 125' ar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And the welding connection portions 77 of the connection blocks 125 and 12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locks 125 and 125' so that the connection blocks 125 and 125 ' A larger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rod 122 'so that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can also be attached to the plates 111, 112,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e.

도5b 및 도5c에 도시된 연결부(120', 120")의 구성은 연결 블록(125, 125') 내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대신에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기둥(10)의 표면이 원형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연결 봉(122')을 연결 블록(125, 125')에 설치하는 것과, 연결 봉(122')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것에 의하여 보강판(111, 112,...)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s 120 'and 120' 'shown in FIGS. 5B and 5C may be modified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10 is formed in a circular or rectangular shape by forming a through hole instead of forming a thread in the connection block 125 or 125'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may be formed by installing the connecting rods 122 'in the connecting blocks 125 and 125' and introducing a tensile force to the connecting rods 122 ' So that it is easy to introduce a tensile force.

한편, 본 발명은 도5a 내지 도5c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5a 내지 도5c에 도시된 구성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연결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5a의 연결봉(122a, 122b) 및 조절 너트(124)의 구성을 도5b 및 도5c의 구성에 적용할 수 있다. 즉, 도5b 및 도5c의 연결봉(122')을 서로 다른 방향의 수나사산이 형성된 2개의 연결봉으로 형성하고, 연결 블록(125, 125')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대신에 2개의 연결봉의 수나산과 맞물리는 암나사공으로 형성되고, 조절 너트(124')를 연결 블록(125, 125')의 사이에서 2개의 연결봉과 맞물리는 형태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5A to 5C, and may be formed by various combinations of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5A to 5C. That is, the configurations of the connecting rods 122a and 122b and the adjusting nut 124 in Fig. 5A can be applied to the configurations of Figs. 5B and 5C. That is, the connecting rod 122 'shown in FIGS. 5B and 5C is formed of two connecting rods having male threads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Instead of forming the through-holes in the connecting blocks 125 and 125' And by positioning the adjusting nut 124 'in the form of engaging with two connecting rods between the connecting blocks 125 and 125'.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11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제1보강판(111), 제2보강판(112)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각각의 보강판(111, 112,...)은 콘크리트 기둥(10)의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 영역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연결봉(122)에 인장력이 도입된 상태로 보강판(111, 112,...)을 연결 설치함에 따라, 보강판(111, 112,...)에는 판면을 따라 인장력(P1)이 작용한다. 3, the reinforcing plate 110 includes at least two first reinforcing plates 111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112, and each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are arranged so as to surround at least one vertex area of the concrete column 10 and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are connected and installed with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rod 122 , The tensile force P1 acts on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along the plate surface.

이에 따라, 도3을 기준으로, 중앙 상측의 연결부(120)가 위치한 기둥 벽면(10A)과 접촉하는 제1보강판(111) 및 제2보강판(112)의 1A영역 및 2A영역에는 판면을 따라 인장력(P1)이 도입되고, 꼭지점 영역을 기준으로 우측 연결부(120A) 및좌측 연결부(120B)가 위치하는 기둥 벽면(10B, 10C)과 접촉하는 제1보강판(111) 및 제2보강판(112)의 1B영역 및 2B영역에는 벽면(10B, 10C)을 누르는 가압력(S1)이 작용하게 된다.3, the plates 1A and 2A of the first and second reinforcing plates 111 and 112,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column wall surface 10A where the central upper connecting portion 120 is locate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111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111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lumn wall surfaces 10B and 10C where the tensile force P1 is introduced and the right connecting portion 120A and the left connecting portion 120B are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vertex point region, The pressing force S1 pressing the wall surfaces 10B and 10C acts on the 1B region and the 2B region of the substrate 112. [

이와 유사하게, 제2보강판(112) 및 제3보강판(113)을 연결하는 연결부(120B)에 작용하는 인장력(P2)에 의하여, 꼭지점 영역을 기준으로 상측 연결부(120) 및 하측 연결부(120C)가 위치하는 기둥 벽면(10A, 10D)과 접촉하는 제2보강판(112) 및 제3보강판(113)에는 벽면(10A, 10D)을 가압하는 가압력(S2)이 작용한다. 그리고, 제3보강판(113) 및 제4보강판(114)을 연결하는 연결부(120C)에 작용하는 인장력(P3)에 의하여, 꼭지점 영역을 기준으로 좌측 연결부(120B) 및 우측 연결부(120A)가 위치하는 기둥 벽면(10C, 10B)과 접촉하는 제3보강판(113) 및 제4보강판(114)에는 벽면(10C, 10B)을 가압하는 가압력(S3)이 작용한다. 또한, 제4보강판(114) 및 제1보강판(111)을 연결하는 연결부(120A)에 작용하는 인장력(P4)에 의하여, 꼭지점 영역을 기준으로 상측 연결부(120) 및 하측 연결부(120C)가 위치하는 기둥 벽면(10A, 10D)과 접촉하는 제1보강판(111) 및 제4보강판(114)에는 벽면(10A, 10D)을 가압하는 가압력(S4)이 작용한다. Similarly, by the tensile force P2 acting on the connecting portion 120B connecting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112 and the third reinforcing plate 113,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120 and the lower connecting portion 120 A pressing force S2 for pressing the wall surfaces 10A and 10D acts on the second gusset plate 112 and the third gusset plate 113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column wall surfaces 10A and 10D on which the first wall surfaces 10A and 10OC are located. The left connection part 120B and the right connection part 120A are formed with a tensile force P3 acting on the connecting part 120C connecting the third reinforcing plate 113 and the fourth reinforcing plate 114, A pressing force S3 for pressing the wall surfaces 10C and 10B acts on the third reinforcing plate 113 and the fourth reinforcing plate 114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column wall surfaces 10C and 10B in which the wall surfaces 10C and 10B are locate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ortions 120 and 120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tensile force P4 acting on the connecting portion 120A connecting the fourth reinforcing plate 114 an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111, A pressing force S4 for pressing the wall surfaces 10A and 10D is applied to the first reinforcing plate 111 and the fourth reinforcing plate 114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column wall surfaces 10A and 10D in which the wall surfaces 10A and 10D are located.

이 때, 보강판(111, 112,....)의 내표면이 콘크리트 내벽(10s)을 가압하는 면압의 크기 편차를 최소화하는 조건으로, 각 연결부(120, 120A,...)에서 도입되는 인장력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inner surface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are introduced from the respective connecting portions 120, 120A, ... with the condition that the size variation of the surface pressure pressing the inner wall 10s of the concrete is minimized.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magnitude of the tensile force.

여기서,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둥(10)의 꼭지점 영역이 뾰족하지 않고 챔퍼(chamfer)가 형성된 경우에는, 보강판(111, 112,...)의 형상에도 챔퍼가 그대로 형성되게 제작할 수도 있으며, 'ㄱ'자 단면의 보강판(111, 112,...)과 콘크리트 기둥(10)의 사잇 빈 공간에 채움재(130)를 채워 시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기둥(10)의 챔퍼 영역에 채움재(130)를 채워 시공함으로써, 'ㄱ'자 단면의 보강판(110)에 판면 방향으로의 인장력(P1, P2, P3, P4)이 꼭지점 영역에서 소산되지 않고 기둥 벽면(10A, 10B, 10C, 10D)을 가압하는 가압력(S1, S2, S3, S4)이 보다 크게 작용하게 하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여기서, 채움재(130)는 에폭시, 무수축 몰탈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이 틈새를 완전히 메우기 위하여 팽창재가 함유된 몰탈로 형성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A, when the vertex of the concrete column 10 is not sharp and a chamfer is formed, chamfers are formed in the shapes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Or may be formed by filling the filler material 130 in the gap between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of the 'a' -shaped section and the concrete column 10. As described above, by filling the filler material 130 in the chamfered region of the concrete column 10, tensile forces P1, P2, P3 and P4 in the plate surface direction are applied to the reinforcing plate 110 of the ' S2, S3, and S4 that press the column wall surfaces 10A, 10B, 10C, and 10D without being dissipated from the column wall surfaces 10A, 10B, 10C, and 10D. Here, the filling material 130 may be formed of epoxy, non-shrinkage mortar, or the like, and may be formed of a mortar containing an expanding material to completely fill the gap.

한편,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판(111, 112,...)의 기둥의 꼭지점 등 볼록부를 감싸는 영역에는 휨 강성을 보강하는 휨강성 보강 부재(118)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휨강성 보강부재(118)는 용접으로 결합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볼트 등 다양한 결합 수단에 의하여 보강판(111, 112,....)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휨 강성 보강 부재(118)는 꼭지점을 둘러싼 영역에 작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휨 강성 보강 부재(118)의 끝단이 연결부(120)에 인접한 위치까지 보다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B, a bending stiffness reinforcing member 118 for reinforcing bending stiffness may be additionally formed in a region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Here, the bending stiffness reinforcing member 118 is configured to be coupled by welding, but may be coupled to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by various coupling means such as bolts. The flexural rigidity reinforcing member 118 may be formed to be small in the region surrounding the vertex but may be extended to a position where the end of the flexural rigidity reinforcing member 118 is adjacent to the connecting portion 120.

이를 통해, 기둥 꼭지점 부근에서 보강판(111, 112,...)의 휨 변형량이 억제되면서, 보강판(111, 112,...)의 일단에 도입되는 판면 방향의 인장력(P1, P2,...)이 꼭지점을 기준으로 보강판의 타측 영역에서 기둥 벽면을 가압하는 가압력(면압, S1, S2,...)을 보다 크고 적은 편차로 확실하게 도입할 수 있게 된다. The tensile forces P1, P2, ... in the direction of the sheet surface introduced into one end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while suppressing the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Surface pressure, S1, S2, ...) that presses the column wall surface in the other area of the reinforcing plate on the basis of the vertexes can be surely introduced with a larger and smaller deviation.

이렇듯, 연결부(120, 120A, 120B, 120C; 120)에 의하여 보강판(111, 112,...)에 인장력을 도입하면, 꼭지점과 같이 볼록하게 튀어나온 볼록부의 반대측에서는 보강판(111, 112,....)이 기둥 벽면을 가압하는 가압력(S1, S2, S3, S4)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보강 구조는 보강판(110)이 보강 영역(Y)의 기둥 벽면(10s)을 둘레 전체에 걸쳐 가압할 수 있게 되므로, 콘크리트 기둥에 인가되는 지진 등의 반복 하중에 의하여 기둥 단면에 발생되는 인장 응력을 보강판(110)에 의한 가압력(S1, S2, S3, S4)으로 상쇄시킬 수 있게 되므로, 지진의 발생에도 보다 신뢰성있게 기둥의 내하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by the connecting portions 120, 120A, 120B and 120C,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ar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convex portions protruding like the vertexes. , ....) can exert a pressing force (S1, S2, S3, S4) for pressing the wall surface of the column. As a result,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reinforcing plate 110 to press the column wall surface 10s of the reinforcing region Y 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and therefore, by the repeated load such as an earthquake applied to the concrete column, Since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in the cross section can be canceled by the pressing forces S1, S2, S3, and S4 by the reinforcing plate 110,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load carrying capacity of the column can be more reliably maintained even when an earthquake occurs can be obtained .

한편, 보강판(110)의 판면에 인장력(P1, P2,...)을 도입하는 것은 연결봉(122)에 인장력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연결봉(122)의 중심축과 보강판(110)의 판면 까지의 거리(e)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연결봉(122)에 도입되는 인장력에 의하여 보강판(110)의 끝단부가 살짝 들리는 휨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The introduction of the tensile forces P1, P2, ... to the pla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0 is performed by introducing a tensile force to the connecting rod 122. The center shaft of the connecting rod 122 and the reinforcing plate 110 Since the distance e to the pla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0 is spaced apart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0 due to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rod 122,

이와 같은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보강판(110)의 단부(111a,...)를 절곡 가공하여 연결면(111s)을 형성하고, 연결봉(122)의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고정 블록(126)을 연결면(111s, 112s)에 배치함으로써, 보강판(111, 112,...)의 상측에는 죌 필요가 없는 고정 블록(126)만 위치시키고, 연결면(111s, 112s)의 사이에 조절 너트(126)와 고정 너트(129)만을 배치시켜, 조절 너트(126)를 죌 수 있는 거리(z)를 기둥 벽면(10s)에 대하여 확보하는 짧은 거리로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연결봉(122)과 보강판(110)의 판면까지의 거리(e)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order to minimize such a phenomenon, the ends 111a of the reinforcing plate 110 are bent so as to form a connecting surface 111s, and a fixing block 112, Only the fixing block 126 which is not necessary to be positioned above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 ... is disposed on the connecting surfaces 111s and 112s, It is possible to arrange only the adjusting nut 126 and the fixing nut 129 between the connecting rod 106 and the connecting rod 106 so that the distance z at which the adjusting nut 126 can be pulled is secured to the column wall 10s. 122 and the pla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0 can be minimized.

여기서, 조절 너트(126)와 기둥 벽면(10s)까지의 거리(z)는 기둥 벽면(10s)과 접촉하지 않는 거리이면 충분하므로, 5mm ~ 10mm 이하로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봉(122)과 보강판(110)의 판면까지의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연결봉(122)에 의해 높은 인장력(P1,...)이 도입되더라도, 보강판(110)의 단부의 들뜸 현상이 거의 해소될 수 있다.The distance z between the adjusting nut 126 and the column wall surface 10s may be set to be 5 mm to 10 mm or less since a distance that does not contact the column wall surface 10s is sufficient.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rod 122 and the pla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0 is minimized so that even if a high tensile force P1 is introduced by the connecting rod 122, The phenomenon can be almost solv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10)의 보강 구조(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기둥 단면을 이루는 직사각형인 기둥(10)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3각형 또는 5각형 이상의 다양한 다각형 단면의 기둥에도 적용 가능하다. The reinforced structure 100 of the concrete colum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rectangular column 1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columns of various polygonal sections or more.

도면에는, 하나의 보강판(111, 112,...)이 하나의 꼭지점 영역을 감싸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나의 보강판으로 2개 이상의 꼭지점 영역을 동시에 감싸는 길이로 구성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In the figure,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reinforcing plate 111, 112, ... surrounds one vertex region is exemplif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single reinforcing plate simultaneously surrounds two or more vertex regions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sist of lengths.

이 경우에, 보강판에 의하여 콘크리트 기둥의 벽면에 면압(가압력)을 인가하기 위해서는, 보강판은 기둥 횡단면의 꼭지점과 같은 볼록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절곡 형성되고, 보강판의 단부를 연결부(120)에 의하여 연결하여 인장력을 도입하는 구성에 의해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apply the surface pressure (pressing force) to the wall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by the reinforcing plate, the reinforcing plate is bent and formed into a shape including a convex portion like a vertex of the column cross section, So as to introduce a tensile force.

한편, 도면에는, 다수의 보강판(111, 112)으로 콘크리트 기둥(10)을 둘러싸는 띠 모양을 다수로 이격 배치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보강판으로 콘크리트 기둥(10)을 둘러싸는 띠 모양을 다수로 밀착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meantime, a plurality of strips surrounding the concrete column 10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111 and 112, but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may be used to surround the concrete column 1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losely arranged in a plurality of strip shape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기둥(10)의 보강 영역(Y)의 높이(H1, H2) 전부를 하나의 보강판(111', 112',113',...:110')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7 to 9, all of the heights H1 and H2 of the reinforcing area Y of the concrete column 10 to be reinforced are connected to one reinforcing plate (not shown) 111 ', 112', 113 ', ..., 110'.

이 경우에는, 하나의 보강판(111',...)의 높이가 크므로, 콘크리트 기둥(10)의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20)는 기둥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로 정해진다. 여기서, 보강판(111', 112',...)을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부(120)의 연결봉(122)에 의해 도입되는 인장력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조절 너트(124)의 조절 순서를 적절히 분산시켜야 한다. 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of one reinforcing plate 111 'is large,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120 connec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10 are determined along the column height direction. Herein, in order to minimize the deviation of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by the connecting rod 122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120 when the reinforcing plates 111 ', 112', ... are installed, It should be dispersed properly.

보강 영역(Y)의 전체 높이(H1, H2)에 걸쳐 하나의 보강판(111', 112',...)으로 밀착 설치하므로, 보강판의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기둥의 외벽 전체를 하나의 부재로 틈새없이 감싸므로, 지진 등의 반복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철근과 외벽 사이(c)의 외벽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nce the reinforcing plate is closely attached to the entire height H1 and H2 of the reinforcing area Y by one reinforcing plate 111 ', 112',...,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reinforcing plate can be shortened,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suppres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outer wall concret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outer wall (c) falls off when a cyclic load such as an earthquake acts.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의 횡단면 형상이 곡면으로만 이루어진 원형 기둥(10') 또는 타원형 기둥에도 적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0 and 11,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ircular column 10 'or an elliptical column having a curved cross-sectional shape.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만 이루어진 기둥(10')은 보강판(211, 212; 210)이 곡면 형태로 형성되므로, 도3의 실시 형태와 달리 꼭지점 부근을 감싸지 않더라도, 볼록한 볼록부를 전 구간에서 감싼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보강판(211, 212)의 단부를 잇는 연결부(120)에 의하여, 보강판(211, 212)의 판면 방향으로 인장력이 도입되면, 보강판(211, 212)의 내표면이 원형 기둥(10')의 내벽을 가압하는 가압력(S1)이 동일하게 작용한다. As shown in FIG. 11, since the reinforcing plates 211, 212 and 210 are formed in a curved shape in the column 10 'made only of a curved surface, unlike the embodiment of FIG. 3, It is wrapped in the whole section. Therefore, when a tensile force is introduced in the direction of the pla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s 211 and 212 by the connecting portions 120 connecting the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s 211 and 212, the inner surfaces of the reinforcing plates 211 and 212 are inserted into the circular columns The pressing force S1 for pressi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wall 10 'acts the same.

도면에는, 다수의 보강판(211, 212)으로 콘크리트 기둥(10')을 둘러싸는 띠 모양을 다수로 이격 배치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지만, 다수의 보강판으로 콘크리트 기둥(10')을 둘러싸는 띠 모양을 다수로 밀착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figure, a plurality of strips surrounding a concrete column 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211 and 212, but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may be used to surround the concrete column 10' And may be configured to be closely arranged in a plurality of strip shapes.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기둥(10')의 단면이 곡면으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도, 보강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기둥(10)의 보강 영역(Y)의 높이(H1, H2) 전부를 하나의 보강판(211', 212')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하나의 보강판(211',...)의 높이가 크므로, 콘크리트 기둥(10)의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20)는 기둥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로 정해진다. 마찬가지로, 보강판(211', 212',...)을 설치함에 있어서, 다수의 연결부(120)의 연결봉(122)에 의해 도입되는 인장력의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조절 너트(124)의 조절 순서를 적절히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10 'is only curved as shown in Fig. 12, the height of the reinforcing area Y of the concrete column 10 to be reinforced All of the reinforcing plates H1 and H2 may be formed as one reinforcing plate 211 'or 212'. Also 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of one reinforcing plate 211 'is large,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120 connect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10 are determined along the column height direction. Similarly, in order to minimize the variation in the tensile force introduced by the connecting rod 122 of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120 when the reinforcing plates 211 ', 212', ... are installed, It is preferable to disperse them appropriately.

보강 영역(Y)의 전체 높이(H1, H2)에 걸쳐 하나의 보강판(111', 112',...)으로 밀착 설치하므로, 보강판의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기둥의 외벽 전체를 하나의 부재로 틈새없이 감싸므로, 지진 등의 반복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철근과 외벽 사이(c)의 외벽 콘크리트가 탈락하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nce the reinforcing plate is closely attached to the entire height H1 and H2 of the reinforcing area Y by one reinforcing plate 111 ', 112',..., The construction time of the reinforcing plate can be shortened, It is possible to more reliably suppress the phenomenon in which the outer wall concrete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outer wall (c) falls off when a cyclic load such as an earthquake acts.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기둥(10, 10')을 보강 시공하는 방법을 상술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reinforcing concrete pillar 10,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보강하고자 하는 기둥(10, 10')에 대하여 보강 영역(Y)을 결정하고, 보강 영역(Y)의 콘크리트 외벽을 허용 범위 이내로 평탄하고 매끄러운 표면이 되도록 면처리를 행한다. First, the reinforcing area Y is determined with respect to the columns 10 and 10 'to be reinforced, and the surface treatment is performed so that the concrete outer wall of the reinforcing area Y becomes a flat and smooth surface within an allowable range.

그리고 나서, 콘크리트 기둥(10)의 둘레의 일부를 제1보강판(111)으로 감싸고, 콘크리트 기둥(10)의 둘레의 다른 일부를 제2보강판(112)으로 감싸며, 콘크리트 기둥(10)의 둘레의 또 다른 일부를 제3보강판(113)으로 감싸고, 콘크리트 기둥(10)의 둘레의 나머지를 제4보강판(114)으로 감싸게 배치하면서, 이들 보강판(111, 112, 113, 114)을 연결부(120)로 연결한다.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10 is then wrapped with the first reinforcement plate 111 and the other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10 is wrapped with the second reinforcement plate 112,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113, and 114 are disposed to surround another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10 with the third reinforcing plate 113 while the rest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10 is surrounded by the fourth reinforcing plate 114. [ To the connection part (120).

그리고, 연결부(120)의 조절 너트(122)를 조절하여, 연결봉(122)에 의도한 인장력을 도입하고, 이에 의하여 각각의 보강판(111, 112, 113, 114)의 판면에 인장력(P1, P2, P3, P4)을 도입한다. 이때, 콘크리트 기둥(10)의 표면은 매끄럽게 면처리 되어 있으므로, 보강판(111, 112, 113, 114)에 작용하는 인장력(P1, P2, P3, P4)에 의한 인장 변위가 생기더라도, 보강판(111,...)은 콘크리트 기둥(10)의 표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원활한 인장 변위가 발생되고, 볼록부를 기준으로 반대측의 보강판 영역에 콘크리트 벽면을 가압하는 면압(S1, S2, S3, S4)이 도입된다.The adjusting nut 122 of the connecting portion 120 is adjusted to introduce the desired tensile force into the connecting rod 122 so that tensile forces P1, P2, P3, P4). At this time, since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10 is smoothly processed, even if tensile displacement due to the tensile forces P1, P2, P3 and P4 acting on the reinforcing plates 111, 112, 113 and 114 is generated, (S1, S2, S3, S4) that smoothly tensile displacement occurs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10), and presses the concrete wall surface on the opposite reinforcing plate region with respect to the convex portion, .

이를 통해, 보강판(110)에 가압된 상태로 둘러싸인 콘크리트 기둥(10)은, 지진이 발생되어 인장 하중과 압축 하중이 반복하여 작용하더라도, 기둥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 외측의 콘크리트가 보강판(110)에 의해 변위가 구속되어 탈락하지 않으며, 지진에 의한 인장 응력의 일부 이상이 보강판(110)에 의해 가압된 면압에 의해 상쇄됨으로써, 보다 높은 내하 능력을 갖는 보강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ensile load and compressive load are repeatedly generated due to earthquake, the concrete column 10 surrounded by the reinforcing plate 110 in a state of being pressed by the reinforcing plate 110, 110, and a part or more of the tensile stress due to the earthquake is canceled by the surface pressure pressed by the reinforcing plate 110, thereby realizing a reinforcing structure having a higher load-carrying capacity.

상기와 같은 보강 방법은, 도2 및 도10에 도시된 다수의 띠를 이루면서 보강판(111,...; 211,...)이 보강 영역(Y)에 배치하는 경우와, 도7 및 도12에 도시된 하나의 보강판(111',...; 211',...)으로 보강 영역(Y)을 감싸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reinforcing plates 111, ..., 211, ... are arranged in the reinforcing area Y while forming a plurality of bands shown in Figs. 2 and 10,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milarly applied to a case where the reinforcing region Y is surrounded by one reinforcing plate 111 ', ..., 211', ... shown in FI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10': 기둥 14: 바닥
16: 천장 100: 보강 구조
110: 보강판 111: 제1보강판
111a, 112a, 113a, 114a: 단부
111s, 112s, 113s, 114s: 연결면
112: 제2보강판 113: 제3보강판
114: 제4보강판 118: 휨강성 보강부재
120, 120': 연결부 122: 연결봉
122a: 제1연결봉 122b: 제2연결봉
124, 124': 조절 너트 125, 125': 연결 블록
126: 고정 블록 129: 고정 너트
130: 채움재 Y: 보강 영역
P1, P2, P3, P4: 인장력
S1, S2, S3, S4: 가압력(면압)
10, 10 ': column 14: bottom
16: ceiling 100: reinforced structure
110: reinforcing plate 111: first reinforcing plate
111a, 112a, 113a, 114a:
111s, 112s, 113s, 114s: connecting surface
112: second reinforcing plate 113: third reinforcing plate
114: fourth reinforcing plate 118: bending stiffness reinforcing member
120, 120 ': connection part 122: connecting rod
122a: first connecting rod 122b: second connecting rod
124, 124 ': adjusting nut 125, 125': connecting block
126: Fixing block 129: Fixing nut
130: Filler Y: Reinforcement area
P1, P2, P3, P4: tensile force
S1, S2, S3, S4: pressing force (surface pressure)

Claims (22)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로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보강판과,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를 감싸되, 상기 제1보강판의 제1단부와 상기 제2보강판의 제2단부에는 상기 기둥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이 형성된 보강판과;
상기 제1단부의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단부의 상기 제2연결면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체결되어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정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의 거리를 조절하는 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연결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밀착하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봉의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여, 상기 연결봉에 인장 응력이 도입된 상태로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As a non-adhesive reinforced structure of concrete columns,
A first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nother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nd a reinforcing plate having a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a second connecting surface formed at an end portion and a second end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the reinforcing plate being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column;
A connecting rod that penetrates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of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of the second end portion and connects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of the second end portion, A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a nut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on surface;
A fixing block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and having an end fixed to the connecting rod;
Wherei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connected with tensile stress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r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연결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ㄷ'자형 단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블록을 'ㄷ'자형 단면에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is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C' -shaped section, and the fixing block is accommodated in a 'C' -shaped section .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로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보강판과,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를 감싸되, 상기 제1보강판의 제1단부와 상기 제2보강판의 제2단부에는 상기 기둥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이 형성된 보강판과;
상기 제1단부의 상기 제1연결면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제1수나산이 형성된 제1연결봉과 상기 제2단부의 상기 제2연결면을 관통하고 외주면에 상기 제1수나사산과 반대 방향의 제2수나사산이 형성된 제2연결봉을 포함하는 연결봉과, 상기 제1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제1암나사산과 상기 제2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제2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봉의 일단과 상기 제2연결봉의 타단과 동시에 맞물려 체결 설치되어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조정 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연결면의 거리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 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상기 연결봉에 인장 응력이 도입된 상태로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As a non-adhesive reinforced structure of concrete columns,
A first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nother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pillar, And a reinforcing plate having a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a second connecting surface formed at an end portion and a second end portion of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the reinforcing plate being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column;
A first connecting rod pass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of the first end and having a first connecting par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of the second end, A first connecting thread including a second connecting rod having a male thread and a second connecting thread formed with a second male thread and a second female threa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male thread and a second female thread to be engaged with the second male thread, And an adjusting nut which is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rod so as to be engaged and fixed so as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the connecting portion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And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re connected with a tensile stress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rod by tightening the adjusting nut.
횡단면이 다각형 단면으로 형성된 콘크리트 기둥의 비접착 보강구조로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보강판과,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를 감싸되,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은 각각 상기 다각형 단면의 꼭지점을 하나 이상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보강판과;
상기 제1보강판의 제1단부와 상기 제2보강판의 제2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보강판의 일단과 상기 제2보강판의 타단의 거리를 조절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다각형 단면에는 꼭지점의 일부를 제거한 챔퍼(chamfer) 단면이 형성되고, 상기 챔퍼 단면에는 채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As a non-adhesive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concrete column whose cross section is formed by a polygonal section,
A first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nother part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The two reinforcing plates each include a reinforcing plate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of the vertexes of the polygonal section;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Wherein a chamfer section having a portion of the vertexes removed is formed in the polygonal section, and a fill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chamfer section.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횡단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진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외표면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is formed to have a curved section, an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re formed to be curved surfaces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제 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횡단면은 다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은 각각 상기 다각형 단면의 꼭지점을 하나 이상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ross-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is formed in a polygonal cross-section, and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re each formed to surround at least one of apexes of the polygonal cross-sec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다각형 단면의 변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a side of the polygonal cross-section.
제 4항에 있어서,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은 상기 꼭지점을 감싸는 영역에서 휨 강성을 보강하는 휨강성 보강 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are formed with a bending stiffness reinforcing member that reinforces the bending stiffness in a region surrounding the vertexes.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in a manner to surround a convex portion protruding convexly with respect to a transverse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또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3보강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3보강판의 일단부는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 중 어느 하나 이상과 제2연결부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further comprises a third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nother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nd one end of the third reinforcing plate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by a second connecting member.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을 띠 모양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높이 방향으로 다수 이격되거나 연속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in a shape that the concrete columns are surrounded by a band, and the reinforcing plates are spaced apart or continuously arrang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crete columns.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을 50cm 이상의 높이를 갖는 띠 모양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의 사이에 서로 다른 높이에 다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s disposed in a shape such that the concrete column is surrounded by a belt having a height of 50 cm or more, and the connecting portion is disposed at a plurality of different heights between the first end portion and the second end portion. Column reinforced structure.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은 평탄한 면으로 면처리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판이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s closely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is faced with a flat surface.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바닥 하단으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단면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까지의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at least partially in a range from a bottom bottom of the concrete column to a position spaced upward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천장 하단으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단면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까지의 범위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s installed at least partially in a range from a lower end of the concrete column to a position spaced downward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a thickness of a section of the concrete column.
제 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은 금속 재질과 보강섬유판넬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구조.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reinforcing plate is one or more of a metal material and a reinforcing fiber panel.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방법으로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일부를 감싸는 제1보강판과,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2보강판을 포함하는 보강판을 준비하되, 상기 제1보강판의 제1단부와 상기 제2보강판의 제2단부에는 상기 기둥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절곡 형성된 제1연결면 및 제2연결면이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둘레를 상기 보강판으로 감싸게 설치하는 보강판 설치단계와;
연결봉이 상기 제1단부의 상기 제1연결면과 상기 제2단부의 상기 제2연결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를 연결시키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단부와 상기 제2단부 사이의 거리를 조정 너트로 조절하여 상기 제1보강판과 상기 제2보강판을 서로 근접시키면서 상기 보강판의 판면이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외표면에 밀착되게 하되, 상기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연결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밀착되게 고정 블록을 배치시키고 상기 연결봉의 단부가 상기 고정 블록에 고정되게 하는 보강판 밀착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방법.
As a reinforcing method of a concrete column,
A reinforcing plate including a first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nd a second reinforcing plate surrounding another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ncrete column, A reinforcing plate mounting step of mounting a reinforcing plate on the second end of the reinforcing plate, the reinforcing plate having a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a second connecting surface bent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pillar, ;
Wherein a connecting rod passes through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of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of the second end to connect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and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The distance between the ends of the reinforcing plat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nut so that the plate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while bringing the first reinforcing plate and the second reinforcing plate close to each other, A step of placing a fixing block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two connecting surfaces and fixing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to the fixing block;
And reinforcing the concrete column.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기둥의 표면을 평탄한 면으로 면처리하는 면처리 단계를;
상기 보강판 밀착단계 이전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 surface treatment step of treating the surface of the concrete column with a flat surface;
Further comprising: prior to the step of adhering the reinforcing plate.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면 및 상기 제2연결면 중 어느 하나 이상은 'ㄷ'자형 단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블록을 'ㄷ'자형 단면에 수용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기둥의 보강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ng surface and the second connecting surface is formed to have a 'C' -shaped cross section, and the fixing block is arranged to be accommodated in a 'C' -shaped section Reinforcement meth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49034A 2017-04-17 2017-04-17 Reinforced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and method thereof KR1017937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34A KR101793701B1 (en) 2017-04-17 2017-04-17 Reinforced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34A KR101793701B1 (en) 2017-04-17 2017-04-17 Reinforced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701B1 true KR101793701B1 (en) 2017-11-03

Family

ID=6038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034A KR101793701B1 (en) 2017-04-17 2017-04-17 Reinforced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701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390B1 (en) * 2018-03-27 2018-10-11 (주)양대이엔지 Apparatus for reinforcing structure, reinforced structure and method for reinforcing load-bearing structre
GB2572999A (en) * 2018-04-19 2019-10-23 Tectonic Facades Ltd Strengthening assemblies
KR20200007574A (en) * 2018-07-13 2020-01-2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Seismic retrofit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 unbonded fastening structure
KR20200008685A (en) * 2018-07-17 2020-01-29 (주)아리터 Method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of a concrete columns
KR20200028778A (en) * 2018-09-07 2020-03-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olumn reinforcement device and method of pilotis building
KR102507389B1 (en) * 2021-10-27 2023-03-06 이보베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ement apparatus for column
KR102659958B1 (en) * 2022-01-24 2024-04-2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Structure reinforcement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929A (en) * 2001-01-23 2002-08-09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Reinforcing apparatus and reinforcing method of concrete barlike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0929A (en) * 2001-01-23 2002-08-09 High Frequency Heattreat Co Ltd Reinforcing apparatus and reinforcing method of concrete barlike apparatus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390B1 (en) * 2018-03-27 2018-10-11 (주)양대이엔지 Apparatus for reinforcing structure, reinforced structure and method for reinforcing load-bearing structre
GB2572999A (en) * 2018-04-19 2019-10-23 Tectonic Facades Ltd Strengthening assemblies
GB2572999B (en) * 2018-04-19 2022-09-14 Tectonic Facades Ltd Strengthening assemblies
KR20200007574A (en) * 2018-07-13 2020-01-22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Seismic retrofit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 unbonded fastening structure
KR102187169B1 (en) * 2018-07-13 2020-12-0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Seismic retrofit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s with unbonded fastening structure
KR20200008685A (en) * 2018-07-17 2020-01-29 (주)아리터 Method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of a concrete columns
KR102274029B1 (en) * 2018-07-17 2021-07-08 (주)아리터 Method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of a concrete columns
KR20200028778A (en) * 2018-09-07 2020-03-1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olumn reinforcement device and method of pilotis building
KR102134400B1 (en) * 2018-09-07 2020-07-15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Column reinforcement device and method of pilotis building
KR102507389B1 (en) * 2021-10-27 2023-03-06 이보베 Earthquake resistant reinforcement apparatus for column
KR102659958B1 (en) * 2022-01-24 2024-04-2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Structure reinforceme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701B1 (en) Reinforced structure of concrete column and method thereof
US10378197B2 (en) Method for jointing concrete column and iron beam
KR20120120626A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steel beam using tightening forces of bolts
JP20090522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between steel member and concrete member
JP6491030B2 (en) Anchor cable fixing structure
JP6717782B2 (en) Reinforcement method for existing footing
KR100506572B1 (en) Steel beam constructed prestressing segmental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7261658B2 (en) Method for joining precast concrete members
JP5525843B2 (en) Ground reinforcement structure and ground reinforcement method
EP3211156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trengthening a concrete structure, and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KR100506573B1 (en) Steel beam constructed prestressing segmental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842093B2 (en) Flat plate construction method
JP6829631B2 (en) Construction method of column base, reinforcement method of existing column base
KR101004221B1 (en) One Way Waffle Slab System Continued by Post-tensioning and Post-tensioning method of the same
KR20170040022A (en) Hybrid beam with wide PSC lower flange and enlarged section upper flange and structure frame using the same
JP4290634B2 (en)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device for reinforced concrete bar member
KR20200004971A (en) Method for reinforcing the Earthquake of a concrete columns
JP4247557B2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floor board using precast concrete slab
JP6090840B2 (en) Preload holding device
JP2014070467A (en) Fixing device for outer cable for prestress introduction in bridge girder
JP2009185488A (en) Precast concrete beam
KR102459913B1 (en) Seismic retrofit structure of RC colum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80070097A (en) Prestressed Hybrid Wide Flange Girder System Suitable For Resisting Negative Moments At Construction Stage
KR102169796B1 (en) Apparatus for close type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JPH11159012A (en) Connecting structure for precast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