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982B1 -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982B1
KR101792982B1 KR1020170093891A KR20170093891A KR101792982B1 KR 101792982 B1 KR101792982 B1 KR 101792982B1 KR 1020170093891 A KR1020170093891 A KR 1020170093891A KR 20170093891 A KR20170093891 A KR 20170093891A KR 101792982 B1 KR101792982 B1 KR 101792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message
subject
grou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미승
오동석
서미경
김정구
이신영
이윤정
Original Assignee
국민건강보험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민건강보험공단 filed Critical 국민건강보험공단
Priority to KR102017009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06F19/3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보험 가입자의 검진결과를 송신하는 검진기관 서버, 청구 명세서 내역 정보를 송신하는 통합급여정보시스템; 및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건강 메시지 관리 시스템의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는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으로부터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 및 검진결과를 받는 통신 모듈; 상기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 및 검진결과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 및 검진결과를 분석해 기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대상자들을 분류하고, 분류된 대상자들의 의료정보 데이터의 제공을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에 요청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HEALTHCARE MESSAGE MANAG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사후관리를 위해 보험가입자에게 발송되는 SMS(단문자 서비스: Short Message Service)는 일률적이고 비전문적인 느낌이 많이 있다. 또한, 단문자 서비스를 받는 보험가입자들은 나에게 도움이 되지 않고, 때로는 스팸 메시지처럼 느껴진다고 한다. 나아가, 기존의 단문자 서비스는 다양한 고객의 상황에 맞출 수 없는 반복적이고 번거로운 업무시스템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보험가입자의 유형에 맞는 맞춤형 컨텐츠를 개발하고, 업무 효율성을 위한 자동 전송 시스템을 구축이 필요하다. 더해서, 현재의 SMS를 단순히 LMS(장문자 서비스: Long Message Service) 발송으로 하는 것이 아닌, 특정 메시지 전송 정책을 통해 LMS 컨텐츠의 구조와 문장을 개발해야 하고, 본사 또는 지사 담당자의 효율적 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국민건강보험의 다양한 사용자 접점(전화상담, 교육 프로그램, SMS 발송 등) 간 유기적인 연결을 고려하는 장문자(LMS) 서비스 컨텐츠 구축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사/지사 담당자의 효율적 업무를 지원하는 건강관리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대한 가치 제고 및 업무에 대한 신뢰도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보험 가입자의 검진결과를 송신하는 검진기관 서버, 청구 명세서 내역 정보를 송신하는 통합급여정보시스템; 및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건강 메시지 관리 시스템의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는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으로부터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 및 검진결과를 받는 통신 모듈; 상기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 및 검진결과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 및 검진결과를 분석해 기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대상자들을 분류하고, 분류된 대상자들의 의료정보 데이터의 제공을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에 요청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모듈은: 대상자의 검진결과, 문진표, 상담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대사증후군 업무처리를 수행하고, 위험요인에 따라 추가적인 그룹 설정을 수행하는 2차 기준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조건을 통해 상응하는 대상자들을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위험요인에 대한 기준으로 복부비만, 중성지방, HDL, 혈압 및 혈당에 대한 것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부비만, 중성지방, 혈압 및 혈당이 각각에 대한 기설정된 수치보다 높고, 상기 HDL이 기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경우로 설정하고, 상기 위험요인의 기준 개수에 따라 주의군 및 위험군으로 나누어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모듈은: 대상자의 검진결과, 문진표, 상담결과 정보 및 청구명세 내역을 수집하여 만성질환 업무처리를 수행하고, 추가적인 기준에 따라 대상자들을 당뇨병군, 고혈압군, 당뇨병과 고혈합이 함께 있는 복합군으로 그룹을 나누어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모듈은: 분류된 대상자의 따라 기설정된 포맷으로 컨텐츠의 시작 문구 구조 및 발신처 문구 구조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의 본문 구조 및 내용은 대상자의 건강위험 요인 또는 질환, 및 전송 시기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포맷 중에서 선택해 자동으로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컨텐츠의 본문 구조의 포맷을 목적, 지침, 참여의 플로우를 설정하고, 상기 플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내용을 대상자의 건강위험 요인 또는 질환, 상태 및 전송 시기를 고려하여 자동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목적, 지침, 참여의 플로우를 설정하되, 상기 목적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내용은 상기 대상자의 건강위험 요인 또는 질환에 관한 키워드를 포함하도록 선택하고, 상기 지침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내용은 정보성 메시지를 위하여 질문과 답변 형태로 설정하며, 상기 참여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내용은 독려를 위한 청유형 구조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해 자동 매칭을 수행하며, 상기 자동 매칭을 수행할 때, 전송 시기 및 상태를 추가적으로 고려하되, 현 시점 상의 계절, 날씨 및 대상자의 상담결과정보에 따른 대상자의 기호 및 선호도를 고려한 지침상의 답변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자동 매칭을 수행할 때, 전송 시기 및 상태를 추가적으로 고려할때, 계절, 명절, 시간, 요일을 포함하는 건강 메시지를 받는 시점에 따라 대상자에게 알맞은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대상자가 메시지를 받는 계절 및 명절에 따라 그에 맞는 특화 메시지를 전송하되, 양력으로 3~5월은 봄, 6~8월은 여름, 9~11월은 가을, 12~2월은 겨울로 정의하여 계절에 맞는 미리 설정된 제철 음식, 운동 특화 메시지를 전송하며, 명절의 경우에는 명절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영양, 스트레스 극복 방법, 장기간 운전에 따른 주의사항 등의 특화 메시지를 전송하며, 요일의 경우에는 발송시점을 하루 중 대상자들의 생활 패턴에 따라 오전 11시에는 영양에 대한 정보를 담은 특화 메시지를 보내고, 예정 퇴근 시간인 오후 5시에는 절주를 하도록 유도하는 특화 메시지를 보내고, 저녁 시간인 7시에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을 권하는 특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국민건강보험의 다양한 사용자 접점(전화상담, 교육 프로그램, SMS 발송 등) 간 유기적인 연결을 고려하는 장문자(LMS) 서비스 컨텐츠 구축 기반 마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사/지사 담당자의 효율적 업무를 지원하는 건강관리 메시지 전송 시스템에 대한 가치제고 및 공단업무에 대한 신뢰도 제고가 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S30에서의 대상자를 분류하는 과정에 관한 본 발명의 구체적으로 특정 프로세스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S40에서의 대상자의 그룹 및 상황에 따라 컨텐츠를 생성하는 관정에 관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정 프로세스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3의 S50에서의 대상자의 상황에 맞추어 발송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에 관한 본 발명의 구체적으로 특정 프로세스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사증후군 대상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사증후군 대상자에게 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성질환 대상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에 관하여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를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기', '~블록',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그렇지만 '~부', '~기', '~블록', '~모듈' 등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 '~기', '~블록',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 '~기', '~블록',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기', '~블록',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기', '~블록',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이하,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라 함)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도이다.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대사증후군 또는 만성질환자에게 건강관리 메시지를 보내는 컴퓨팅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네트워크(30)를 통해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 대상자 단말 장치(40) 및 검진기관 서버(5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자 단말 장치(40)는 도 1에서는 1개만을 도시했으나 2개 이상의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이 상기 네트워크(3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상자 단말 장치(40)는 대상자가 보유하는 컴퓨팅 장치로서, 일예로는 모바일 디바이스(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말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로 제한되지 않고 데스크탑, 랩탑 등 각종 개인용 컴퓨터 일 수도 있다.
상기 대상자 단말 장치(40)가 모바일 디바이스인 경우, 상기 건강 메시지 ㄱ관리 장치(10)와 상기 대상자 단말 장치(4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대상자 단말 장치(40)가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와 상기 대상자 단말 장치(40)는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로 청구서 명세 내역을 포함하는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내역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과 대상자의 진료내역을 공유할 수 있어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에 진료자의 청구서 명세내역 등의 정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대상자의 동의를 통해 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대상자의 동의 외에 추가적인 인증 절차가 요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절차는 건강메시지 관리 장치(10)의 인증 모듈(400)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은 상기 건강메시지 관리 장치(10)를 통해 제공된 진료자 명세내역을 위한 프로그램에 해당할 수 있으며, 공단 서버 내부에서 운영된다.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은 진료자의 청구서 명세내역을 포함하는 진료내역을 상기 건강메시지 관리장치(10)에 포함된 저장 모듈(200)에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으로부터 접속이 요청되면 대상자의 정보제공 동의에 따라 상기 건강 관리 메시지 장치(10)는 저장모듈(200)에 저장공간을 할당하여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과 주고받는 의료정보 데이터 및 그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검진기관 서버(50)와 통신하여 진료자의 검진결과, 문진표 등을 통신 모듈(10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통신 모듈(100), 저장 모듈(200), 처리 모듈(300) 및 인증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00)은 통신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장치로서, 일 예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100)은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 대상자 단말장치(40), 검진기관 서버(5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모듈(100)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대상자 단말 장치(4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용 회선을 통해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 검진기관 서버(50) 및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모듈(200)은 대상자의 의료정보를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에 공간을 할당하여 저장하는 장치로서, 일 예로는 HDD, SSD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 모듈(200)은 데이타베이스로, 상기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내역, 청구명세서 내역, 문진표 및 검진결과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처리 모듈(300)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일 예로는 CPU, GPU, AP 등 각종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 모듈(200)에 저장된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내역, 청구명세서 내역, 문진표 및 검진결과를 분석해 대사증후군 및 만성질환 각각에 관하여 기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대상자들을 분류한다.
나아가, 상기 처리 모듈(300)은 대상자의 진료내역 정보, 검진결과정보 및 상담결과정보를 이용해 맞춤 정보를 담은 컨텐츠를 생성한 후, 대상자에게 맞춤 정보를 담은 컨텐츠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모듈(300)은 건강 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송하는데 기준을 보유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문장구조는 일관된 하나의 주제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하고, 가독성을 위해 적절한 여백을 두어야 하고, 메시지의 시작은 주목도를 높이는 문구를 사용해야 하고, 전체적인 구조가 목적, 정보, 참여의 흐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기준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목적이란 메시지를 받는 목적을 밝히는 것을 말하며, 정보는 건강, 운동, 음식 및 스트레스에 대한 건강 메시지 정보를 말한다. 그리고, 참여는 행동변화 및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독려형, 소통형 문구로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특정 기준에 의거하여 자신의 질병을 잘 이해하는 전문가로부터 맞춤 관리를 받는다는 느낌을 받도록 메시지 문구를 제작하고, 맞춤 건강 정보를 적절히 제공해서 대상자를 잘 이해하는 지킴이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한다는 느낌이 들도록 메시지를 구성한다.
더 나아가, 일방적인 정보 제공에 그칠 것이 아니라, 건강 메시지를 통해 쌍방이 입체적으로 소통하고, 대상자 스스로 생각하게 할 수 있는 대화유도형 메시지를 지향하는 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에서 발송되는 메시지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정보성 내용을 담고 있는 알림 메시지, 대상자에 맞추어 건강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 메시지로 구분될 수 있다. 알림 및 건강 메시지의 스토리 라인의 전반적인 메시지 발송 기준은 상기 처리 모듈(300)에서 결정한다.
나아가, 알림 메시지는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전체적인 과정에서 정해진 이벤트 발생시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고, 대상자에게 빈번하게 발송되어 대상자가 스팸으로 여기지 않도록 정보성 알림 메시지 위주로 발송하도록 할 수 있다.
더해서, 예컨대 건강 메시지는 발송을 시작하고 3주차까지는 일주일에 두 번씩 메시지를 발송하고, 5주차부터는 2주일에 한 번의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하지만, 메시지 발송 횟수는 정해진 것은 아니고 담당자의 판단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첫주에는 건강관리에 대한 동기 부여 및 해당 질환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발송할 수 있다. 그리고, 발송 3주차 및 15주차에는 스트레스 극복에 관한 메시지를 발송하고, 마지막 주차에는 건강관리에 대한 주의 환기 및 사후 건강관리에 대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나아가, 기설정된 발송 기간 중 나머지 주차는 영양 및 운동에 대한 메시지를 번갈아 발송할 수 있다. 중간에 지역자원 정보가 있을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담당자와 날짜와 시간을 조율해서 추가로 발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모듈(300)은 시기별, 대상자가 속해 있는 분류 등 여러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판단해서 대상자에게 알맞은 맞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예컨대, 1주차, 2주차, 3주차에 발송되는 영양, 운동, 스트레스는 해당 계절에 적합한 메시지로 맞추어서 발송할 수 있다. 그리고, 3주차 이후부터 발송되는 메시지는 대상자 그룹(주의군, 위험군) 별 요인에 맞는 특화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더해서, 생활습관 중 금연 및 절주에 대한 메시지가 필요한 대상자는 15, 17, 19, 21 주차에 공통 메시지 대신에 금연, 절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또한, 명절이 포함되어 있는 주는 명절 메시지를 발송하고, 발송 예정이였던 메시지는 다음주에 발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모듈(300)은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l0)에서 발송되는 메시지의 발송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모듈(300)은 대상자가 건강메시지 발송 서비스를 신청한 다음날부터 발송을 시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메시지 발송 예정일이 주말 및 공휴일일 경우에는 그 다음주 평일 중에 가장 빠른 날에 발송하도록 할 수 있다. 메시지 발송을 시작하고 3주차까지는 발송횟수를 주 2회로 할 수 있다.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의 전반적인 서비스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건강검진을 받은 결과, 예를 들어, 대사증후군 또는 만성질환 진단을 받은 대상자로 선정이 되면 1차적으로 기본적인 안내문을 발송한다. 여기서, 안내문은 상담 전에 미리 대상자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역할을 하며, 안내문에 대상자가 진단받은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도 함께 보낼 수 있다.
그 뒤, 상담 직전(당일)에 스팸으로 오해하지 않도록 전화 예정이라는 문자메시지 알림을 제공하고, 전화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이 후, 전화 상담이 실패할 경우, 추후 일정을 잡아 반복적으로 전화 상담을 시도할 수 있다.
만약, 전화 상담을 성공했다면, 대상자에게 앞으로 발송될 건강 메시지의 활용방법, 차후에 제공되는 건강 노트 및 지침서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대상자를 다시 한번 분류해서 해당 질환의 위험군에게만 한정적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예산적인 문제로 해당 질환의 위험군에게만 제공하는 것이지 해당 질환의 질환자 전부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대상자별 개인적인 의료정보를 기본으로 건강생활 카테고리(건강, 영양 등)에 적합한 시기적 이슈 요인(계절, 명절, 날씨, 시간대)과 사회 제도적 요인(65세 이상 고령자, 임산부 외 노약자)을 함께 고려해서 맞춤형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있어, 개인정보활용 동의 수집에 대한 동의(우편 또는 전화)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메시지 내용에 대한 정책은 기설정된 메시지 정책을 통해서 정해진다. 메시지 내용에 대한 정책에는 정보, 문장 수준, 구성방식, 발송시점, 발송빈도 등 다양한 컨텐츠들에 대한 정책이 정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대상자에게 알맞은 맞춤 컨텐츠를 대상자의 환경적 요인을 분석해 추천해줄 수 있고, 지역자원을 연계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 가능하며, 미리 정해진 컨텐츠가 아니더라고 담당자가 직접 문구를 수정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가 수행하는 건강 메시지 관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상기 검진기관 서버(50) 및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으로부터 검진결과, 문진표, 청구 명세 내역을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한다(S10). 여기서, 전송받은 데이터는 대상자들의 개인정보가 그대로 드러나지 않도록, 개인 프로필(이름, 주소,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등)에 관련된 내용은 모두 암호화하여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로 전송될 수 있다. 단지, 암호화된 대상의 어떤 질환을 진단받았는지 확인하는 용도로만 사용된다.
더해서,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해서 사전에 정해진 건강보험공단 담당자의 인증키를 전달하여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으로부터 받은 환자들의 의료정보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이 과정에는,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20)과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 간의 인증키를 확인할 수 있으며, 건강보험공단의 담당자의 권한을 부여하는 검증값을 이용할 수도 있고, 대상자에 의한 동의에 의한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의 인증 모듈(400)에 의해 수행된다.
이후 상담 대상자를 선정하여 상담 실시가 이루어져 입력된 상담결과정보를 수신하고(S20), 상기 검진결과, 문진표, 청구명세 내역 및 상담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그룹을 분류한다(S30). 이때, 대사증후군의 경우, 검진결과, 문진표 및 상담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을 분류하고, 만성질환의 경우 검진결과, 문진표, 청구명세 내역 및 상담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그룹을 분류할 수 있다.
이후 대상자가 분류된 그룹 및 상황에 따라 컨텐츠(대상자에게 발송할 메시지)를 생성하여(S40), 생성된 컨텐츠의 발송시점(요일 및 시간 등)을 결정한 뒤(S50), 상기 통신 모듈(100)을 통해 건강관리 메시지를 상기 대상자 단말장치(50)로 보낸다(S60).
도 4는 도 3의 S30에서의 대상자를 분류하는 과정에 관한 본 발명의 구체적으로 특정 프로세스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처리 모듈(300)은 1차 기준 정보에 해당하는 검진결과, 문진표, 수집한 상담결과 정보를 수집하여(S31), 이를 분석해 대사증후군에 대한 분류를 수행한다.
대사증후군에 대한 분류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위험요인을 고려한 추가적인 그룹 설정 기준인 2차 기준에 따라 대상자들을 주의군과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S33 내지 S35).
상기 처리 모듈(300)은 상기 2차 기준에 따라 대상자들을 주의군과 위험군으로 분류할 때, 위험요인의 개수가 두개 이하인 경우 주의군으로 분류하고 위험요인의 개수가 세 개 이상이면 위험군으로 분류하며, 이후 상기 주의군 및 위험군의 대상자들 각각을 혈압과 혈당을 기준으로한 3차 기준에 따라 기본군, 혈압 관리군, 혈당 관리군 및 복합관리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S76).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모듈(300)은 상기 2차 기준에 따라 대상자들을 주의군과 위험군으로 분류할 때, 위험요인의 개수가 두개 이하인 경우 주의군으로 분류하고 위험요인의 개수가 세 개 이상이면 위험군으로 분류하며, 이후 상기 주의군 및 위험군의 대상자들 각각을 혈압과 혈당을 기준으로 한 3차 기준에 따라 기본군, 혈압 관리군, 혈당 관리군 및 복합관리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진결과, 문진표, 상담결과 정보를 기준으로 1차적으로 대사증후군 업무로 나누고(S31), 2차적으로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위험요인(복부비만, 높은 중성지방, 낮은 HDL, 높은 혈압 및 높은 혈당)을 기준으로 기본군, 혈압관리군, 혈당관리군 및 복합 관리군으로 분류하고, 위험요인의 개수에 따라 주의군 및 위험군으로 나눌 수 있다(S33).
더 상세하게는,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위험요인이 복부비만, 높은 중성지방, 낮은 HDL, 높은 혈압, 높은 혈당을 기준으로 위험요인이 1~2개이면 주의군, 3~5개이면 위험군으로 분류한다(S34, S35). 대사증후군의 경우에는 각각의 주의군 및 위험군을 혈압과 혈당에 이상이 없으면 기본군, 혈압이 높으면 혈압관리군, 혈당이 높으면 혈당관리군, 혈압과 혈당에 모두 이상이 있으면 복합 관리군으로 나눈다. 이렇게 총 8개의 그룹으로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위험 요인에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36).
또한 상기 처리모듈(300)은 만성 질환의 경우 추가 기준에 따라 대상자들을 고혈압군, 당뇨병과 고혈압이 함께 있는 복합군으로 그룹을 나누어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만성질환자 같은 경우에는 당뇨병, 고혈압, 당뇨병과 고혈압이 함께 있는 복합군으로 총 3개의 그룹으로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질환에 맞게 그룹을 나눌 수 있다(S77).
여기서, 고혈압 단계의 대상자는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이 90mmHg 이상인 자에게 해당할 수 있고, 고혈압 전단계의 대상자는 수축기 혈압이 120~139mmHg인 자에 해당할 수 있다. 그리고, 당뇨 질환 대상자는 8시간 이상 금식 후에 측정한 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경부 당부하 검사 2시간 후 혈당이 200mg/dL 이상인 경우를 당뇨병이라 한다. 물을 많이 마시거나 소변이 많아지고 체중이 감소하는 동시에 식사와 무관하게 측정한 혈당이 200mg/dL 이상일 때도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도 5는 도 3의 S40에서의 대상자의 그룹 및 상황에 따라 컨텐츠를 생성하는 과정에 관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정 프로세스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처리 모듈(300)은 대상자의 그룹 및 상황에 따라 컨텐츠의 시작 및 발신처 문구 구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모듈(300)은 분류된 대상자의 그룹 및 상황에 따라 기설정된 포맷으로 컨텐츠의 시작 문구 구조 및 발신처 문구 구조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의 본문 구조 및 내용은 대상자의 그룹 및 상황, 전송시기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포맷 중에서 선택해 자동으로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상자가 대사 증후군이라면, 시작문구는 " 안녕하세요. 국민의 건강한 삶을 돕는 건강지킴이 국민건강보험입니다.", 발신처 문구는 "오늘의 건강을 전하는 건강지킴이 ☎ 0000-0000 (강남지사)"로 표기하고, 대상자의 질환이 만성 질환이라면, 시작문구는 " 안녕하세요. 국민의 건강한 삶을 돕는 건강파트너 국민건강보험입니다.", 발신처 문구는 "당신과 함께하는 건강파트너 ☎ 0000-0000 (강남지사)"가 된다.
그리고, 본문은 대상자에 따라 기준에 맞추어 미리 작성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기준으로 소분류-단계-종류에 따라서 본문에 내용을 채워 넣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처리 모듈(300)은 상기 컨텐츠의 본문 구조의 포맷을 목적, 정보, 참여의 플로우를 설정하고, 상기 플로우에는 각각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내용을 대상자의 그룹 및 상황, 전송 시기를 고려하여 자동 매칭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S50에서의 대상자의 상황에 맞추어 발송시점을 결정하는 과정에 관한 본 발명의 구체적으로 특정 프로세스를 나타내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대상자가 건강 메시지를 받는 시점(예를 들면, 계절, 시간, 요일 등)에 따라 알맞은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대상자가 문자를 받는 계절 및 명절에 따라 그에 맞는 특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력으로 3~5월은 봄, 6~8월은 여름, 9~11월은 가을, 12~2월은 겨울로 정의하고 계절에 맞는 제철 음식, 운동 특화 메시지를 전송한다.
더해서, 명절(구정, 추석)이 있는 경우에는 명절에 맞는 영양, 스트레스 극복 방법, 장기간 운전에 따른 주의사항 등의 특화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대상자가 건강 메시지를 받는 시점을 시간 및 요일의 관점에서도 적용해볼 수 있다. 이는, 발송시점을 하루의 시간 중 대상자들의 생활 패턴에 따라 발송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점심을 먹기 전인 오전 11시에는 영양에 대한 정보를 담은 메시지를 보내고, 퇴근 시간으로 예상되는 오후 5시에는 절주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는 메시지를 보내고, 저녁 시간대는 퇴근 후 간단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을 권하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더해서, 발송메시지를 문자서비스 신청 초기에는 빈도를 높혀서 발송하고, 주말 및 공휴일이 예정된 발송시점이라면 평일로 변경해서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의 메시지는 크게 알림 메시지와 건강 메시지로 구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사증후군 대상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예시적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사증후군 대상자에게 건강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사증후군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전체 서비스 흐름을 기준으로 이벤트 발송 시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자에게 빈번하게 발송되어 대상자가 스팸으로 여기지 않도록 정보성 알림 메시지 위주로 발송한다. 예를 들면, 자가지침서, 건강노트, 금연치료사업, 자가측정기 대여 및 반납에 대한 안내를 보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해당 주차 별로 대상자에게 발송하는 건강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렇게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처리 모듈(300)은 해당 주차에 맞는 컨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를 평가하고 기 발송된 메시지의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대상자 단말장치(40)로 건강 메시지를 보내고 난 후, 건강 메시지 만족도를 물어보는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여기서, 만족도를 물어보는 이유는 시스템의 신뢰도 및 대상자의 만족도를 누적한 데이터를 이용해서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에 있다.
건강 메시지 만족도를 얻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에서 대상장 단말 장치(40)로 받은 메시지의 만족도를 평가 요청을 송신한다. 여기서, 평가 방법은 메시지를 통한 답변이 될 수도 있고, 유선통화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뒤, 상기 대상자 단말장치(40)로부터 만족도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처리 모듈(300)은 대상자의 응답을 바탕으로 결과를 만족도를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장 모듈(200)에 분석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해서 저장하고, 이를 추후 메시지 전송에 반영할 수 있다.
이후, 대상자 단말장치(40)로 만족도 평가에 대한 응답에 감사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도 9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성질환에 관하여 시계열적으로 나열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a)는 건강메시지의 스토리라인의 공통형 서비스에 관한 것이며, (b)는 건강메시지의 스토리라인의 선택형 서비스에 관한 것이며, (c)는 추구관리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a)와 (b)의 경우 1주차~4주차까지의 각 컨텐츠 발송 시점 등이 도 9에서 보는 것처럼 차이를 지닌다. (c)의 경우 10주차 이후의 추구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a)와 (b)의 공통형, 선택형에 무관하게 (a) 및 (b)에 도시된 9주차 이후에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를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대상자 조회, 전체문구 열람, 전송예정 문구 및 지역자원 연계 메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용보기를 선택하면 해당 내용을 미리 팝업창으로 확인할 수 있다.
더해서, 담당자가 직접 메시지를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하며, 발송시점도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송결과 내역 조회가 가능해서 대상자 관리가 편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10)는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위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통해서만 정해진다.

Claims (7)

  1. 건강보험 가입자의 검진결과를 송신하는 검진기관 서버, 청구 명세서 내역 정보를 송신하는 통합급여정보시스템; 및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건강 메시지 관리 시스템의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는: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으로부터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 및 검진결과를 받는 통신 모듈;
    상기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 및 검진결과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및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건강보험 가입자의 진료 및 검진결과를 분석해 기설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대상자들을 분류하고, 분류된 대상자들의 의료정보 데이터의 제공을 상기 통합급여정보시스템에 요청하되, 대상자의 검진결과, 문진표, 및 상담결과 정보를 수집하여 대사증후군 업무처리를 수행하고, 위험요인에 따라 추가적인 그룹 설정을 수행하는 2차 기준에 해당하는 기설정된 조건을 통해 상응하는 대상자들을 분류하고, 상기 위험요인에 대한 기준으로 복부비만, 중성지방, HDL, 혈압 및 혈당에 대한 것으로 설정하고, 상기 복부비만, 중성지방, 혈압 및 혈당이 각각에 대한 기설정된 수치보다 높고, 상기 HDL이 기설정된 수치보다 낮은 경우로 설정하고, 상기 위험요인의 기준 개수에 따라 주의군 및 위험군으로 나누어 분류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은:
    분류된 대상자의 따라 기설정된 포맷으로 컨텐츠의 시작 문구 구조 및 발신처 문구 구조를 결정하고, 상기 컨텐츠의 본문 구조의 포맷을 목적, 지침, 및 참여의 플로우로 설정하고, 상기 플로우 각각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내용을 대상자의 건강위험 요인, 질환, 및 전송 시기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포맷 중에서 선택해 자동으로 매칭하여 추천하며,
    상기 목적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내용은 상기 대상자의 건강위험 요인 또는 질환에 관한 키워드를 포함하도록 선택하고, 상기 지침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내용은 정보성 메시지를 위하여 질문과 답변 형태로 설정하고, 상기 참여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내용은 독려를 위한 청유형 구조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해 자동 매칭을 수행하며, 상기 자동 매칭을 수행할 때, 전송 시기 및 상태를 추가적으로 고려하되, 현 시점 상의 계절, 날씨 및 대상자의 상담결과정보에 따른 대상자의 기호 및 선호도를 고려한 지침상의 답변을 설정하며,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자동 매칭을 수행할 때, 전송 시기 및 상태를 추가적으로 고려시에 계절, 명절, 시간, 및 요일을 포함하는 건강 메시지를 받는 시점에 따라 대상자에게 알맞은 특화 메시지를 전송하되,
    양력으로 3~5월은 봄, 6~8월은 여름, 9~11월은 가을, 12~2월은 겨울로 정의하여 계절에 맞는 미리 설정된 제철 음식, 및 운동 특화 메시지를 최초 전송 시점으로부터 1주차 내지 3주차 사이를 포함하는 시점에 전송하며,
    명절의 경우에는 명절에 상응하는 미리 설정된 영양, 스트레스 극복 방법, 및 장기간 운전에 따른 주의사항을 포함한 특화 메시지를 전송하며,
    요일의 경우에는 발송시점을 하루 중 대상자들의 생활 패턴에 따라 오전 11시에는 영양에 대한 정보를 담은 특화 메시지를 보내고, 예정 퇴근 시간인 오후 5시에는 절주를 하도록 유도하는 특화 메시지를 보내고, 저녁 시간인 7시에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운동을 권하는 특화 메시지를 보내며,
    상기 절주를 유도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생활습관 특화메시지는 최초 전송 시점으로부터 15주차 내지 21주차 사이를 포함하는 시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대상자의 검진결과, 문진표, 상담결과 정보 및 청구명세 내역을 수집하여 만성질환 업무처리를 수행하고,
    추가적인 기준에 따라 대상자들을 당뇨병군, 고혈압군 또는 당뇨병과 고혈합이 함께 있는 복합군으로 그룹을 나누어 분류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93891A 2017-07-25 2017-07-25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 KR101792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91A KR101792982B1 (ko) 2017-07-25 2017-07-25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891A KR101792982B1 (ko) 2017-07-25 2017-07-25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982B1 true KR101792982B1 (ko) 2017-11-20

Family

ID=60809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891A KR101792982B1 (ko) 2017-07-25 2017-07-25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9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669B1 (ko) * 2018-08-14 2019-03-12 국민건강보험공단 모바일 단말기와 연계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알고리즘 제공 방법
WO2022211385A1 (ko) * 2021-03-30 2022-10-06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질병 예측치의 분포를 이용한 건강관리 상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600B1 (ko) * 2014-11-11 2015-04-08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개인 건강 기록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600B1 (ko) * 2014-11-11 2015-04-08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 개인 건강 기록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 MK뉴스 [BIO & MEDICINE] 건보공단 빅데이터의 진화 (2016.07.13 게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669B1 (ko) * 2018-08-14 2019-03-12 국민건강보험공단 모바일 단말기와 연계된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알고리즘 제공 방법
WO2022211385A1 (ko) * 2021-03-30 2022-10-06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질병 예측치의 분포를 이용한 건강관리 상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an Rhoon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the behaviour change techniques and digital features in technology-driven type 2 diabetes prevention interventions
Kim et al. Effects of health literacy and social capital on health information behavior
Agarwal et al. Reducing 9-1-1 emergency medical service calls by implementing a community paramedicine program for vulnerable older adults in public housing in Canada: a multi-site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oker et al. Improving access to and utilization of adolescent preventive health care: the perspectives of adolescents and parents
Connell et al. Client initiated termination of therapy at NHS primary care counselling services
Curry et al. Behavioral counseling research and evidence-based practice recommendation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perspectives
Jacobson et al. Using existing employee assistance program case files to demonstrate outcomes
US20080312510A1 (en) Wellness programs, including computer implemented wellness programs
Lucky et al. Blood pressure screenings through community nursing health fairs: motivating individuals to seek health care follow-up
Raven et al. Vulnerable patients’ perceptions of health care quality and quality data
Ferdinands et al.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atisfaction and child fluency in the Lidcombe Program: Clinic versus telehealth delivery
Kapadia et al. Ethnic differences in women’s use of mental health services: do social networks play a role? Findings from a national survey
Shannon et al. Stigma, help‐seeking, and counseling with African American male college students
Cronin et al. What about value for money? A cost benefit analysis of the South Eastern Sydney Recovery and Wellbeing College
KR101792982B1 (ko) 건강 메시지 관리 장치
Kajaria-Montag et al. Continuity of care increases physician productivity in primary care
McNulty et al. Neighborhood disadvantage and verbal ability as explanations of the Black–White difference in adolescent violence: Toward an integrated model
Wang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obile AAC: a virtual therapist and speech assistant for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Bewick et al. Routine outcome measurement completion rates of the CORE-OM in primary care psychological therapies and counselling
Kaltner et al.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 transprofessional healthcare role intervention in an acute medical setting
Laing et al. Provider perceptions of mHealth engagement for low‐resourced, safety‐net communities
Somma et al. International research workshop on health-related stigma and discrimination
Marhefka The Impact of Digital Self-Scheduling on No-Show Event Rates in Outpatient Clinics
Bandi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rediabetes decision aid in primary care: examining patient-reported outcomes by language preference and educational attainment
Shields et al. Factors related to the delivery of trauma services in outpatient treatment progra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