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417B1 -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 Google Patents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417B1
KR101792417B1 KR1020160063385A KR20160063385A KR101792417B1 KR 101792417 B1 KR101792417 B1 KR 101792417B1 KR 1020160063385 A KR1020160063385 A KR 1020160063385A KR 20160063385 A KR20160063385 A KR 20160063385A KR 101792417 B1 KR101792417 B1 KR 10179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ube
teeth
tooth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윤식
김민지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63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417B1/ko
Priority to PCT/KR2017/005138 priority patent/WO201720448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7Material properties using shape memory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는, 치아의 교정을 위한 와이어(wire); 및 사이에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를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positioning)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를 벤딩(bending)시킨 후 상기 와이어가 복원되는 과정에 의해서 상기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치아 사이의 공간, 예를 들면 발치 공간을 클로징하기 위한 치아 교정을 브라켓을 배제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행할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를 공간 방향으로 고르게 당길 수 있어 치아 교정의 신뢰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Device and method for orthodontic treatment}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사이의 공간, 예를 들면 발치 공간을 클로징하기 위한 치아 교정을 브라켓을 배제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행할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이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치아의 불균일한 치열 상태 또는 불균일한 부정교합은 치아 자체의 발육 이상, 턱뼈의 발육 이상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불균일한 치열 상태 또는 부정교합 상태의 치아를 갖는 사람들은 타인과 대화를 하거나 웃을 때 그 치열 상태로 인해 입을 가리게 되고 또한 대인 관계에 있어 소극적이 되어 원만한 사회 생활을 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아울러 음식물 섭취 시에도 음식물을 균일하게 분쇄하지 못하며, 또한 치아 사이에 음식물이 끼어 각종 치아 질병 또는 소화기 계통의 질병이 초래될 수도 있다.
이에,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치아에 지속적인 힘을 가하여 치아를 둘러싼 치조골의 개조와 함께 치아의 이동을 발생시키는 치아 교정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치아 교정 기술이 적용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치아 교정기는, 예를 들면, 대한민국특허출원번호 10-2013-0064601호에 개시된 것처럼, 각 치아의 전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복수 개의 교정용 브라켓과, 교정용 브라켓들을 연결시켜 고정하는 와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교정용 브라켓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됨으로써 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의 전면에 접착한 후 구강 내에서 와이어를 교정용 브라켓들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치아 교정을 할 때 입이 돌출되어 있거나 치아가 심하게 틀어져 있을 경우 발치 교정을 하게 되는데, 이 때 발치 공간을 클로징하기 위한 치아 교정이 실행된다. 발치 공간을 두고 치아 교정기를 이용하여 양 옆에 있는 치아를 발치 공간으로 잡아 당겨 발치 공간을 클로징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발치 공간을 클로징하기 위한 치아 교정기에 있어서는, 브라켓을 장착하고 와이어를 고정하는 구조를 가졌기 때문에 장착 과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장착 과정 중에 통증을 유발하였고, 아울러 와이어의 단부가 구강 내를 찔러 상처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치아 사이의 공간, 예를 들면 발치 공간을 클로징하기 위한 치아 교정을 브라켓을 배제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행할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를 공간 방향으로 고르게 당길 수 있어 치아 교정의 신뢰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는, 치아의 교정을 위한 와이어(wire); 및 사이에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를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positioning)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를 벤딩(bending)시킨 후 상기 와이어가 복원되는 과정에 의해서 상기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치아 사이의 공간, 예를 들면 발치 공간을 클로징하기 위한 치아 교정을 브라켓을 배제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행할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를 공간 방향으로 고르게 당길 수 있어 치아 교정의 신뢰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치아에서 상하의 2열로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되도록 슬롯(slot)을 각각 구비하는 제1 튜브 및 제2 튜브이며, 상기 와이어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상기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 중 하나의 치아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상기 치아들 중 다른 하나의 치아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튜브 및 제2 튜브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는 레진(resin)으로 마련되며, 상기 치아에 상기 와이어를 먼저 배치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치아에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를 상기 치아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치아의 머리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상대적으로 축 회전시키기 위해, 가운데 부분이 2열로 배치되는 상기 와이어의 중앙 영역을 구부린 후 상기 고정부로 상기 와이어를 포지셔닝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치아에 축 회전을 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치아의 축 회전을 위한 힘 조절이 가능하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 간에 연결되어, 상기 치아들을 상기 공간으로 잡아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인력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력 제공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2열로 배치되는 상기 와이어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치아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라운드 와이어(round wire)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마련되어 벤딩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치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의 치아 교정 방법은, 치아의 교정을 위한 폐루프 형상의 와이어; 및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에서 각각 상하의 2열로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되도록 슬롯을 각각 구비하는 제1 튜브 및 제2 튜브를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치아 교정기의 치아 교정 방법으로서, 상기 와이어를 상기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에 배치하는, 와이어 배치 단계; 및 상기 와이어가 상기 치아에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를 갖는 상기 고정부를 상기 치아들에 각각 장착하는, 고정부 장착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치아의 위치 조절을 위해, 상기 와이어의 벤딩 방향 및 벤딩 정도가 조절되고 상기 치아에 대한 상기 와이어의 배치에 대응되게 상기 고정부는 상기 치아에 장착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와이어 배치 단계 시 배치되는 상기 와이어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라운드 와이어이고, 상기 와이어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마련되어 벤딩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치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 사이의 공간, 예를 들면 발치 공간을 클로징하기 위한 치아 교정을 브라켓을 배제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행할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를 공간 방향으로 고르게 당길 수 있어 치아 교정의 신뢰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가 발치 공간을 사이에 둔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장착된 치아 교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튜브 및 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인력 발생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에 굴곡을 발생시킨 후 고정부로 와이어를 고정하여 치아의 뿌리 부분이 축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가 발치 공간을 사이에 둔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장착된 치아 교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튜브 및 와이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인력 발생부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에 굴곡을 발생시킨 후 고정부로 와이어를 고정하여 치아의 뿌리 부분이 축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100)는, 특히 발치 공간(101S)과 같은 공간을 클로징(closing)하여 치아 교정을 하는 치아 교정기(100)로서, 치아의 교정을 위한 와이어(110, wire)와, 사이에 예를 들면 발치 공간(101S)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101: 101a, 101b)들에 각각 구비되어 와이어(110)를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positioning)시키는 고정부(120)와, 양측의 치아(101a, 101b)들을 발치 공간(101S) 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인력을 제공하는 인력 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발치 공간(101S) 또는 벌어진 공간을 깔끔하게 클로징함으로써 치아 교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치아 교정을 할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와이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0)에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어 고정부(120)가 장착된 치아(101a, 101b)들 간의 힘을 적절히 조절하여 치아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치아 교정을 위한 힘을 제공하고, 아울러 후술하겠지만 치아(101a, 101b)의 위치 조절을 위한 힘을 제공하는 것이다.
와이어(11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라운드 와이어(110)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면 0.007 내지 0.022 인치의 수치를 가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0.008 내지 0.012 인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110)는 종래에 사용되는 와이어의 일반적인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지만 교정하고자 하는 치아에 힘 전달을 제대로 할 수 있으며, 아울러 직경이 작기 때문에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와이어(110)의 직경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와이어(110)는 교정될 치아(101a, 101b)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기억될 수 있도록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체에 무해한 Ni-Ti 합금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치아 교정기(100)를 치아(101a, 101b)에 장착하면 와이어(110)가 형상 기억된 모습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치아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정부(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사이에 발치 공간(101S)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101a, 101b)들에 각각 장착되어 와이어(110)를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120)는, 치아(101a, 101b)에서 상하의 2열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는, 상호 동일한 튜브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 와이어(110)가 포지셔닝되지만 이동 가능하도록 슬롯(120s)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면 제1 튜브(121)의 슬롯(120s)의 내경은 와이어(110)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제1 튜브(121)의 슬롯(120s)에서 와이어(11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와이어(110)가 튜브 내측에 위치되되 어느 정도의 움직임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고정부(120), 즉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는 레진(resin)으로 마련될 수 있다. 레진은 인체에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도 흐름성이 있고 아울러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금방 경화되기 때문에 치아(101a, 101b)에 고정부(120)를 견고히 부착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와이어(110)는 2열로 길게 마련되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마련되며, 와이어(110)의 일측이 발치 공간(101S)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101a, 101b)들 중 하나의 치아(101a)에 구비되는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와이어(110)의 타측이 치아(101a, 101b)들 중 다른 하나의 치아(101b)에 구비되는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이 가능하도록 먼저 와이어(110)를 치아(101a, 101b)에 배치한 후 배치된 와이어(110)에 레진으로 마련되는 튜브(121, 123)를 장착함으로써, 발치 공간(101S)을 사이에 두고 양측의 치아(101a, 101b)에 발치 공간(101S)을 클로징하기 위한 치아 교정기(100)를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레진으로 마련되는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로 와이어(110)를 고정하는 경우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의 내측과 와이어(110)가 밀착됨으로써 튜브(121, 123)들에 대해 와이어(110)가 단단히 고정되지만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와이어(110)의 외면에 무독성이면서도 침에 녹는 물질을 도포한 후 튜브(121, 123)를 장착하고, 이후 도포된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튜브(121, 123)의 슬롯(120s)에 와이어(110)를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시킬 수 있다. 다만, 튜브의 슬롯(120s)에 대해 와이어(110)를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하기 위한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와이어(110)는 전술한 것처럼 형상 기억 합금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와이어(110)의 벤딩 정도 및 벤딩 방향 그리고 그에 대응되는 고정부(120)의 장착 구조를 이용하여 치아(101a, 101b)의 머리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상대적으로 축 회전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 부분이 아래로 벤딩된 와이어(110)의 일측 부분을 치아(101)의 전면에 배치한 후 일측 부분에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를 경사지게 장착하는 경우, 와이어(110)가 원래의 형상으로 펴지려 하기 때문에 치아(101)의 뿌리 부분이 발치 공간(101S) 방향으로 축 회전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와이어(110)의 벤딩 방향 그리고 벤딩 정도에 따라 치아(101)의 머리 부분 또는 뿌리 부분을 상대적으로 축 회전시킴으로써 위치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의 상호 간격 그리고 배치 방향을 따라 치아(101)의 위치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튜브(121)와 제2 튜브(123)가 상대적으로 이격 배치되는 경우, 동일한 와이어(110) 크기더라도 치아(101)에 더 큰 축 회전력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110)의 직경이 클수록 치아(101)에 가해지는 축 회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치아 교정기(100)의 경우, 발치 공간(101S)을 클로징하기 위해 발치 공간(101S)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101a, 101b)들을 발치 공간(101S) 방향으로 당기는 인력 제공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인력 제공부(130)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하나의 치아(101a)에 일단이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치아(101b)에 타단이 고정될 수 있다. 인력 제공부(130)의 양단의 고정을 위해 레진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인력 제공부(130)가 치아(101a, 101b)를 전체적으로 발치 공간(101S) 방향으로 당길 수 있도록 인력 제공부(130)의 양단은 발치 공간(101S)에 인접한 치아(101a, 101b)의 일측에서 중앙 부분, 즉 무게 중심을 형성하는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인력 제공부(130)의 종류 및 장착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아(101a, 101b) 발치 공간(101S)으로 당길 수 있다면 다른 종류 또는 장착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치아 교정기(100)의 발치 공간(101S)을 클로징하기 위한 치아 교정 방법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교정기(100)의 치아 교정 방법은, 전술한 것처럼, 와이어(110)를 발치 공간(101S)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101a, 101b)들에 배치하는 와이어 배치 단계와, 와이어(110)가 치아(101a, 101b)에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되도록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를 치아(101a, 101b)들에 장착하는 고정부 장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와이어 배치 단계 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와이어(110)에 벤딩을 형성한 후 와이어(110)를 해당 치아(101)에 배치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치아(101)의 뿌리 부분을 축 회전시키기 원하는 경우 도 5에서처럼 와이어(110)의 중앙 부분을 하방으로 벤딩시키면 되고, 반대로 치아(101)의 뿌리 부분에 대해 머리 부분을 축 회전시키고자 하는 경우 와이어(110)의 중앙 부분을 상방으로 벤딩시킨 후 와이어(110)를 배치시키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고정부 장착 단계 시, 배치된 와이어(110)의 경사 방향에 맞게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를 치아(101)에 장착할 수 있다. 즉, 와이어(110)가 벤딩되는 경우 와이어(110)의 일측 부분 역시 경사진 방향을 향하게 되는데, 이에 대응되게 제1 튜브(121) 및 제2 튜브(123)를 치아(101)에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부(120)의 장착이 완료되면, 와이어(110)가 기억된 형상, 즉 펴진 상태로 복원되는데 이 때 고정부(120)가 장착된 치아(101)에 축 회전을 위한 힘이 가해져 치아(101)의 위치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치아(101a, 101b) 사이의 공간, 예를 들면 발치 공간(101S)을 클로징하기 위한 치아 교정을 브라켓을 배제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실행할 수 있어 치아 교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공간(101S)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101a, 101b)를 공간 방향으로 고르게 당길 수 있어 치아 교정의 신뢰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치아 교정기
101 : 치아
110 : 와이어
120 : 고정부
121 : 제1 튜브
123 : 제2 튜브
130 : 인력 제공부

Claims (11)

  1. 치아의 교정을 위한 와이어(wire); 및
    사이에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를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positioning)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를 벤딩(bending)시킨 후 상기 와이어가 복원되는 과정에 의해서 상기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치아에서 상하의 2열로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이동 가능하게 포지셔닝되도록 슬롯(slot)을 각각 구비하는 제1 튜브 및 제2 튜브이며,
    상기 와이어는 폐루프(closed loop)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상기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 중 하나의 치아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상기 치아들 중 다른 하나의 치아에 구비되는 상기 제1 튜브 및 제2 튜브에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는 개별적으로 상기 치아에 구비되며, 상기 와이어에 의한 축 회전력 조절을 위해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의 상호 간격의 조절이 가능한, 치아 교정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는 레진(resin)으로 마련되며,
    상기 치아에 상기 와이어를 먼저 배치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치아에 포지셔닝되도록 상기 제1 튜브 및 상기 제2 튜브를 상기 치아에 장착시키는, 치아 교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치아의 머리 부분 및 뿌리 부분을 상대적으로 축 회전시키기 위해, 가운데 부분이 2열로 배치되는 상기 와이어의 중앙 영역을 구부린 후 상기 고정부로 상기 와이어를 포지셔닝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의 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치아에 축 회전을 위한 힘을 제공하는, 치아 교정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치아들 간에 연결되어, 상기 치아들을 상기 공간으로 잡아 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인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치아 교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력 제공부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서 2열로 배치되는 상기 와이어의 사이 영역에서 상기 치아들에 연결되는, 치아 교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라운드 와이어(round wire)인, 치아 교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마련되어 벤딩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는 것을 이용하여 상기 치아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하는, 치아 교정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63385A 2016-05-24 2016-05-24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KR10179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85A KR101792417B1 (ko) 2016-05-24 2016-05-24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PCT/KR2017/005138 WO2017204486A1 (ko) 2016-05-24 2017-05-18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85A KR101792417B1 (ko) 2016-05-24 2016-05-24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417B1 true KR101792417B1 (ko) 2017-11-01

Family

ID=6038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385A KR101792417B1 (ko) 2016-05-24 2016-05-24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2417B1 (ko)
WO (1) WO201720448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64B1 (ko) * 2019-04-05 2020-10-14 주식회사 디오 치열 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3832B (zh) * 2018-04-09 2020-07-31 四川大学 滑动式间隙维持器及正畸装置
CN112674889B (zh) * 2020-12-11 2022-05-10 珠海市人民医院 一种方便调节距离的牙齿矫正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58444A1 (en) * 2010-03-05 2012-03-08 Allesee Timothy J Variable Extension Spring For Orthodontics
KR101547795B1 (ko) * 2015-03-16 2015-08-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JP6000132B2 (ja) * 2003-03-03 2016-09-28 ショ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Schott AG 金属固定材ブッシュ及び金属固定材ブッシュの心材を製造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2B2 (ja) * 1992-05-21 1994-01-05 トミー株式会社 歯列矯正用引張コイルばねの製造方法
EP2467089A2 (en) * 2009-08-20 2012-06-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traoral orthodontic corrector
KR101158726B1 (ko) * 2010-11-16 2012-06-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열교정기구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시스템
KR20160001380A (ko) * 2014-06-27 2016-01-06 이종호 자가 결찰형 슬롯을 구비한 치아교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0132B2 (ja) * 2003-03-03 2016-09-28 ショ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Schott AG 金属固定材ブッシュ及び金属固定材ブッシュの心材を製造する方法
US20120058444A1 (en) * 2010-03-05 2012-03-08 Allesee Timothy J Variable Extension Spring For Orthodontics
KR101547795B1 (ko) * 2015-03-16 2015-08-26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64B1 (ko) * 2019-04-05 2020-10-14 주식회사 디오 치열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204486A1 (ko) 201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795B1 (ko)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JP6884816B2 (ja) 取り外し可能な歯列矯正装置
KR101551608B1 (ko)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그리고 그의 치아 교정 방법
KR101792417B1 (ko)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US20150125802A1 (en) Orthodontic device
AU2018205609B2 (en) Orthodontic system with variably-sized archwire slot
KR20090077067A (ko) 텔레스코핑 가능한 부분, 크림핑 가능한 부분 및 맞물리는 부분을 가진 교정기 조립체 및 관련 방법
US8727769B2 (en) Dental retainer having improved joint with labial bow
CA2741557C (en) Dental retainer having improved joint
CN106580489B (zh) 一种矫治力施加方便的磨牙矫治器
US102998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low palate expansion
EP2957255B1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US20140302451A1 (en) Removable orthodontic retainer
KR100985778B1 (ko) 자력을 이용한 설측 치아교정장치
KR101551604B1 (ko) 와이어 포지셔닝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그리고 그의 치아 교정 방법
KR20060099554A (ko) 치아교정구와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방법
KR101779697B1 (ko) 와이어 포지셔닝부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KR102053161B1 (ko) 치아 교정 장치
EP3334368A1 (en) An orthodontic bracket
KR200437951Y1 (ko) 치열 교정용 탄성체
KR101129136B1 (ko) 치열 교정용 와이어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
KR101919204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KR102000352B1 (ko) 플레이트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및 그 플레이트 와이어의 제조 방법
KR101177204B1 (ko) 치열 교정장치
WO2019138141A1 (es) Dispositivo ortodoncic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