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216B1 - Weight exercise apparatus - Google Patents

Weight exercis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216B1
KR101792216B1 KR1020160157157A KR20160157157A KR101792216B1 KR 101792216 B1 KR101792216 B1 KR 101792216B1 KR 1020160157157 A KR1020160157157 A KR 1020160157157A KR 20160157157 A KR20160157157 A KR 20160157157A KR 101792216 B1 KR101792216 B1 KR 101792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cable
rotation
weigh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1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펀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펀키
Priority to KR1020160157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2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weight training. More specifically, provided is a device for weight training, which allows a user to workout with weights using a load derived from elastic force, unlike common dumbbells which involve uses of additional weights, while the user performs the same motion as he or she does with the common dumbbells. The device for weight training can be simply made of light synthetic resin materials, and is easy to carry and move, convenient to manage, and is lightweight. In addition, the device for weight training enables the user to conveniently workout with weights anywhere and anytime.

Description

웨이트 운동 기구{WEIGHT EXERCISE APPARATUS}{WEIGHT EXERCISE APPARATUS}

본 발명은 웨이트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덤벨이나 아령과 마찬가지 동작으로 운동을 수행하되 별도의 무게추를 구비한 일반 덤벨이나 아령과는 달리 탄성력에 의한 운동 하중을 이용하여 웨이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순히 경량 소재의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여 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나 더욱 편리하게 웨이트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ight exercis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unlike a general dumbbell or a dumbbell having a separate weight, in which movement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dumbbell or a dumbbell, a weight movement can be performed using a dynamic load caused by an elastic force, Which is easy to carry, and is easy to carry and carry, so tha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weight movement more conveniently at any time and anywhere.

현대인들의 생활 수준 향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면서 다양한 운동으로 건강을 지키는 생활 체육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 중에 운동 기구를 통해 근력을 향상시키는 웨이트 운동 기구가 있는데, 이는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상체나 하체에 대한 근력 운동을 행하는 것이다.As the living standards of modern people improve their interest in health, life sports that protect their health through various exercises are becoming common. Among them, there is a weight exercise device which improves the muscle strength through the exerciser, which is to perform a muscle exercise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or the lower body by using a hand or a foot.

이러한 웨이트 운동 기구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것 중 하나가 덤벨이다. 덤벨은 기본적으로 어깨 또는 팔근육을 강화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중심 부분에 위치한 손잡이 봉의 양단에 무게추가 결합된 형태로 구성된다.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weight exercises is the dumbbell. The dumbbell is basically designed to strengthen the shoulder or arm muscles, and is composed of a weight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bar located at the center.

이러한 덤벨 중 피트니스용 덤벨은 손잡이 봉과 무게추가 하나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제작되므로, 사용자가 덤벨을 이용하여 운동시 해당 덤벨의 일정 중량만을 이용하여 운동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일반적인 덤벨은 팔을 이용하여 들어 올리는 단조로운 방법으로 운동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쉽게 훈련에 대한 흥미를 잃게 하며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Since the fitness dumbbell of the dumbbell is manufactured in such a way that the handle bar and the weight are integrally formed, the user uses the dumbbell to exercise using only a certain weight of the dumbbell during exercise. Particularly, the conventional dumbbell conventionally exercises in a monotonous way of lifting by using an arm,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may easily lose interest in training and cause injury.

또한, 이러한 일체형 덤벨은 덤벨의 중량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다양한 운동을 위해서는 다양한 중량의 덤벨을 배치하여야 하고, 이는 배치 공간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덤벨을 구매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tegral dumbbell can not change the weight of the dumbbell, various dumbbells having various weights are required for various exercises, which requires a lot of space for arranging, and also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 plurality of dumbbells must be purchased.

국내특허공개 제10-2014-0031759호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031759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덤벨이나 아령과 마찬가지 동작으로 운동을 수행하되 별도의 무게추를 구비한 일반 덤벨이나 아령과는 달리 탄성력에 의한 운동 하중을 이용하여 웨이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순히 경량 소재의 합성 수지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여 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나 더욱 편리하게 웨이트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mbbell and a dumbbell which perform exercise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dumbbell or a dumbbell, It can b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of light material simply by making weight movement by using load. It is light and easy to handle, and it is easy to carry, and it is portable and easy to carry, making weight movement more convenient anytime and anywhere. And to provide a weight exercising apparatus for exercising a weigh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 부재의 탄성 강도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운동 하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웨이트 운동 기구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웨이트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the dynamic load of the elastic member by varying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Thereby providing a fitness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이트 운동 동작시 회전하는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 등을 감지하여 웨이트 운동 횟수를 산출하고, 이를 별도의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운동 의욕을 고취시킴은 물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동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ovement of a user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times of weight movement by sensi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ng body during a weight movement operation, The information can be immediately recognized by the user, thereby promoting the motivation to exercise, as well as providing a weight exercise apparatus that enables systematic and efficient exercise manag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웨이트 운동 횟수를 감지하여 산출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웨이트 운동 동작인 경우에만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운동 동작을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웨이트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eight exercise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by inducing a correct exercise operation to the user by counting the number of exercises only in the case of correct weight exercise operation in the process of sensing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weight exercises .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손잡이 봉; 상기 손잡이 봉의 양단에 상기 손잡이 봉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바디;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시 상기 회전 바디에 탄성 회전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및 일단이 상기 회전 바디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 바디에 권취되는 작동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케이블이 상기 회전 바디로부터 권취 해제되도록 견인됨에 따라 상기 회전 바디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bar which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so as to be held by a user,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ull rod around a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pull rod;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to the rotating body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And an operating cable wound around the rotating body with one end thereof being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wherein the rotating body is formed to rotate as the operating cable is pulled to be unwound from the rotating body. Provide exercise equipment.

이때, 상기 탄성 부재는 중심부가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고 외측 끝단부가 상기 회전 바디에 결합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be a spiral spring having a center portion coupled to the center shaft and an outer end portion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또한, 상기 손잡이 봉의 양단부에는 상기 회전 바디의 외부 공간을 감쌀 수 있는 커버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housing that can cover the outer space of the rotating body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bar, and a cabl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housing to allow the operation cable to penetrate.

또한, 상기 작동 케이블의 타단에는 걸림 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a hooking ring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cable.

또한, 상기 웨이트 운동 기구는,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 센서 모듈; 및 상기 회전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된 값을 인가받아 상기 작동 케이블의 견인 횟수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eight movement mechanism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etection sensor module capable of sensing rotation of the rotatio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value sensed by the rotation sensor module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on cable.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별도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작동 케이블의 견인 횟수를 별도의 외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may transmit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on cable to another external terminal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unit.

또한, 상기 손잡이 봉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케이블의 견인 횟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can be formed on the handle bar, and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on cab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회전 감지 센서 모듈은, 상기 회전 바디에 장착되는 인식 마크와, 상기 인식 마크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손잡이 봉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장착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한 상기 인식 마크의 감지 순서를 통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 케이블의 견인 횟수를 연산할 수 있다.The rotation sensor module may include a recognition mark mounted on the rotary body and a plurality of sensors mounted on the handle ba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sequentially sense the recognition mark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sensing sequence of the recognition mark by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number of pulling operations of the operation cabl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determined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또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한 상기 인식 마크의 감지 신호를 통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구간마다 각각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수를 판단하고,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에 더하여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수를 고려하여 상기 작동 케이블의 견인 횟수를 연산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ng body for each section having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throug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recognition mark by the plurality of the sensors,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ng cable can be calc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ng body.

또한, 상기 손잡이 봉은, 상기 손잡이 봉의 길이 방향 중간 구간을 이루는 중공 원통형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중심축을 이루는 중심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와 중심축 부재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ull rod may include a hollow cylindrical body member constituting an intermediate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ll rod and a central shaft member coupled to both side ends of the body member and constituting the central shaft so that the rotary body is rotatably engaged, The body member and the central shaft member may be detachably coupled.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덤벨이나 아령과 마찬가지 동작으로 운동을 수행하되 별도의 무게추를 구비한 일반 덤벨이나 아령과는 달리 탄성력에 의한 운동 하중을 이용하여 웨이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순히 경량 소재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여 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나 더욱 편리하게 웨이트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a general dumbbell or a dumbbell having a separate weight, in which movement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dumbbell or a dumbbell, a weight movement can be performed by using a dynamic load caused by an elastic force, It is lightweight and easy to handle, so that it is easy to carry out, and it is easy to carry and carry, so tha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weight movement more conveniently anytime and anywhere.

또한, 탄성 부재의 탄성 강도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운동 하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웨이트 운동 기구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variously set to variously change the dynamic loa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various weight adjusting mechanisms having various elastic restoring forces in the same shape and size.

또한, 웨이트 운동 동작시 회전하는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 등을 감지하여 웨이트 운동 횟수를 산출하고, 이를 별도의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어 운동 의욕을 고취시킴은 물론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동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by detect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ng body rotating during the weight movement operation, the number of weight movements is calculated and transmitted to another external terminal or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exercise management can be achieved.

또한, 웨이트 운동 횟수를 감지하여 산출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웨이트 운동 동작인 경우에만 운동 횟수로 카운트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운동 동작을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ocess of sensing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weight movements, only the exercise operation is counted in the case of the accurate weight movement oper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by inducing the accurate exercise operation to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감지 센서 모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line of a weight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eight exercis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2 to describe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rotation detection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operation using a weight mov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감지 센서 모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를 이용한 운동 동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line of a weight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eight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for explaining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rotation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movement operation using a weight mov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는 덤벨 형태로 제작되어 무게추에 의한 운동 하중을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탄성 복원력에 의한 운동 하중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손잡이 봉(100), 회전 바디(200), 탄성 부재(300) 및 작동 케이블(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eight lift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dumbbell so as not to generate a dynamic load due to weight, but to generate a dynamic load by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e lifting rod includes a pull rod 100, ), An elastic member (300), and an operation cable (400).

손잡이 봉(10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일반적인 덤벨 손잡이 봉과 마찬가지 형태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또한, 외주면 일측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미끄럼 방지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bar 100 is formed long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handle bar 100 can be held by the user. The handle bar 10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imilar to a general dumbbell handle bar, but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In addition, a plurality of non-slidable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prevent slippage.

이러한 손잡이 봉(100)은 손잡이 봉(100)의 길이 방향 중간 구간을 이루는 중공 원통형 본체 부재(110)와, 본체 부재(110)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회전 바디(2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심축(121)을 이루는 중심축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심축 부재(120)는 속이 찬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 부재(1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 부재(110)와 중심축 부재(12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나사 결합되거나 끼워맞춤 결합되는 등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pull rod 100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body member 110 which forms a middl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ll rod 100 and a hollow cylindrical body member 110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member 110 to rotate the rotary body 200 And a central shaft member 120 constituting a center shaft 121. [ The central shaft member 12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the body member 11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to form a receiving space therein. The body member 110 and the central shaft member 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coupled in various coupling schemes, for example, screwed or fit-coupled.

회전 바디(200)는 손잡이 봉(100)의 양단에 손잡이 봉(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 바디(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원통형 드럼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단순한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그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The rotating body 200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bar 100 about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121 of the handle bar 100. [ The rotating body 200 may be formed as a hollow cylindrical drum as shown in FIG. 2, but may be formed in a simple flat plate shape or the like.

작동 케이블(400)은 일단이 회전 바디(20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 바디(200)에 권취되며, 타단에는 별도의 걸림 고리(41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에 걸거나 또는 다른 기구를 이용하여 걸림 고리(410)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 바디(200)가 드럼 형태로 형성된 경우, 작동 케이블(400)은 회전 바디(200)의 외주면에 권취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케이블(400)은 회전 바디(200)로부터 권취 해제되도록 작동 케이블(400)의 타단을 견인함에 따라 회전 바디(20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회전 바디(20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회전 바디(200)에 권취되도록 구성된다.The operation cable 400 is wound around the rotating body 200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operation cable 400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200 and a separate hook 41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cable 400, So that it can be fixed by hooking the hooking ring 410. When the rotating body 200 is formed in a drum shape, the operating cable 400 can b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200. The operation cable 400 is configured to rotate in one direction as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cable 400 is pulled so as to be unwound from the rotation body 200. When the rotation body 200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be wound on the rotating body 200 when rotated.

탄성 부재(300)는 회전 바디(200)의 회전시 회전 바디(200)에 탄성 회전 복원력을 가하도록 장착되는데, 예를 들면, 스파이럴 스프링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스파이럴 스프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부가 손잡이 봉(100)의 중심축(121)에 결합되고 외측 끝단부가 회전 바디(200)의 내주면 일측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The elastic member 300 is installed to apply an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to the rotating body 200 when the rotating body 200 rotates.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300 may be applied in the form of a spiral spring. 3, the center portion of the spiral spring is coupled to the center shaft 121 of the handle bar 100, and the outer end of the spiral spring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body 200. [

한편, 손잡이 봉(100)의 양단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바디(200)의 외부 공간을 감쌀 수 있는 커버 하우징(500)이 결합되고, 커버 하우징(500)의 일측에는 작동 케이블(4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케이블 관통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1 and 2, a cover housing 500, which can cover the outer space of the rotating body 20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bar 100, and at one side of the cover housing 500, A cable through hole 510 may be formed so that the cable 400 can penetrate.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는 사용자가 작동 케이블(400)의 걸림 고리(410)를 발이나 별도 고정 기구 등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잡이 봉(100)을 손에 쥐고 팔을 굽히거나 펴는 방식으로 일반 아령과 마찬가지의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작동 케이블(400)이 견인되거나 견인 해제되며, 회전 바디(200)가 회전하고, 이 과정에서 탄성 부재(300)에 의해 회전 바디(200)에 탄성 회전 복원력이 작용하므로, 팔을 굽히거나 펴는 과정에서 운동 하중이 발생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weight lift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the handle bar 100 in a state where the user fixes the engagement ring 410 of the operation cable 400 on a foot or a separate fixing mechanism or the like The operation cable 400 is pulled or released, and the rotating body 200 is rotated. In this process, the elastic member 300 rotates Since the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acts on the body 200, a motion load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ending or stretching the arm.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케이블(400)을 당겨 사용자의 발에 걸림 고리(410)를 고정시키고, 그 상태에서 손잡이 봉(100)을 손에 쥐고 팔을 굽히게 되면, 손잡이 봉(100)이 상향 이동하게 되므로, 작동 케이블(400)을 중심으로 볼 때, 작동 케이블(400)은 손잡이 봉(100)의 커버 하우징(500)으로부터 하향 견인되는 상대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 케이블(400)이 견인되므로, 회전 바디(20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5, when the operation cable 400 is pulled to fix the hooking ring 410 on the user's foot and the handle bar 100 is held in the hand and the arm is bent in this state, The operation cable 400 is moved downward from the cover housing 500 of the handle bar 100 so as to move relative to the operation cable 400 when the handle 100 is moved upward. Accordingly, since the operating cable 400 is pulled, the rotating body 20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이때, 회전 바디(20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 부재(300)에 의해 탄성 회전 복원력이 가해지므로, 이러한 탄성 회전 복원력이 운동 하중으로 작용하게 되고,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 봉(100)을 쥐고 팔을 굽히는 동작은 탄성 회전 복원력에 의한 운동 하중에 대해 저항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is applied by the elastic member 300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the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acts as a dynamic load. Therefore, when the user grasps the pull rod 100,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it is resistant to the dynamic load due to the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즉, 일반적인 아령은 무게추의 자중에 의한 운동 하중을 이용하여 웨이트 운동을 하게 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는 탄성 회전 복원력에 의한 운동 하중을 이용하여 웨이트 운동을 하게 된다.That is, a general dumbbell exercises a weight movement by using a dynamic weight due to the weight of the weight, but the weight exerci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rcises a weight using a dynamic load due to the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이 상태에서 팔을 펴는 동작은 상대적으로 힘을 들이지 않고 수행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팔을 펴는 과정에서 힘을 전혀 가하지 않는다면, 탄성 회전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 봉(100)이 빠르게 하향 이동하게 되므로, 팔을 펴는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여 천천히 팔을 펼 수 있도록 하여 운동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force is not applied at all during the process of stretching the arm, the handle bar 100 moves downward rapidly due to the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Therefore, In the course of expanding the arms,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exercise effect by applying a certain amount of force so that the arms can be slowly opened.

이는 일반적인 아령의 운동 과정과 마찬가지 방식이므로, 사용자가 특별한 어려움 없이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아령 운동에서도 팔을 펴는 동작에서 아령의 자중에 의한 하향 하중이 작용하므로,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여 천천히 팔을 펴는 방식으로 운동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 또한 팔을 펴는 과정에서 탄성 회전 복원력에 저항하는 일정 정도의 힘을 가하여 팔을 천천히 펴도록 하게 되므로, 운동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 과정 또한 일반적인 아령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This is similar to a general dumbbell movement proces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it without difficulty. In other words, even in a general dumbbell exercise, since the downward load due to the weight of the dumbbell is applied in the operation of extending the arm, the exercise state is continuously maintained by applying a certain amount of force and slowly spreading the arm. The weight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applies a certain amount of force against the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during the stretching of the arm so that the arm is slowly stretched so that the exercise condition can be maintained and the exercise process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dumbbell Can be performed.

한편, 탄성 부재(300)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00)는 스파이럴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작동 케이블(400)을 회전 바디(200)로부터 권취 해제되게 견인하게 되면, 회전 바디(200)가 도 3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 회전 복원력이 작용하여 회전 바디(200)를 원상 복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 케이블(400)에 대한 견인력을 해제하면, 회전 바디(200)를 탄성 회전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 복귀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 케이블(400)은 회전 바디(200)에 다시 감기게 된다.3, the elastic member 3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piral spring. In this case, when the operation cable 40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body 200, The rotation body 20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 shown in FIG. 3, whereby the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of the spiral spring acts to return the rotation body 200 to the original state Elastic rotation force is generated. Accordingly, when the pulling force on the operation cable 400 is released, the rotating body 20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and the operating cable 400 is wound on the rotating body 200 again .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는 별도의 무게추를 구비한 아령과는 달리 탄성력에 의한 운동 하중을 이용하여 웨이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단순히 경량 소재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볍고 취급이 용이하여 관리가 편리함은 물론 휴대 및 운반이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나 더욱 편리하게 웨이트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eight exerci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erform a weight exercise using a dynamic load due to an elastic force, unlike a dumbbell having a separate weight, It can be made of resin material. It is light, easy to handle, easy to carry, and easy to carry and carry, making it possible to exercise weight anytime and anywhere more conveniently.

또한, 탄성 복원력에 의한 운동 하중은 탄성 부재(300)의 탄성 강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탄성 복원력을 갖는 웨이트 운동 기구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ynamic load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can be variously set according to the elastic strength of the elastic member 300, and the weight lifting mechanism having various elastic restoring forces can be variously manufactured and used in the same shape and siz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트 운동 기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바디(20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 센서 모듈(600)과, 회전 감지 센서 모듈(600)에 의해 감지된 값을 인가받아 작동 케이블(400)의 견인 횟수를 연산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 케이블(400)의 걸림 고리(410)를 고정시킨 상태로 손잡이 봉(100)을 손에 쥐고 팔을 접었다 펴는 동작을 1회 수행할 때마다, 작동 케이블(400)이 1회 견인되었다 해제되므로, 작동 케이블(400)의 1회 견인 횟수는 곧 사용자가 팔을 접었다 펴는 동작을 1회 수행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동 케이블(400)에 대한 견인 횟수는 사용자의 웨이트 운동 횟수를 의미한다.2, a weight move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detection sensor module 600 capable of sens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body 200, And a control unit 700 for receiving the sensed value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on cable 400. Each time the user performs the operation of folding and stretching the arm while holding the handle bar 100 in the hand with the engagement ring 410 of the operation cable 400 being fixed, the operation cable 400 is pulled once The number of times of pulling the operation cable 400 once means that the user has performed the operation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arm once. Therefore, the number of traction on the operation cable 400 means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exercises the weight.

또한, 제어부(700)는 연산된 작동 케이블(400)의 견인 횟수 정보를 별도의 통신부(720)를 통해 스마트 폰과 같은 외부 단말기(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또는 이와는 별개로 디스플레이부(750)에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may transmit the count information of the operated cable 400 to an external terminal (not shown) such as a smart phone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unit 720, and at the same time or separately, (750).

이때, 손잡이 봉(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부재(110)와 중심축 부재(120)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데, 본체 부재(11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이러한 본체 부재(110)의 내부 공간에 제어부(700)가 내장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750)는 본체 부재(110)의 외측면에 외부 노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 부재(110)의 내부 공간에는 PCB 기판(710)이 내장되고, PCB 기판(710)에 배터리(730), 제어부(제어칩)(700) 및 통신부(720) 등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본체 부재(110)의 외측면에는 별도의 전원 버튼(740) 등의 조작부가 형성될 수 있다.2, the handle bar 1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member 110 and the central shaft member 120. A receiving space is formed in the body member 110, The control unit 70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ember 110 and the display unit 750 may be externally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10. [ A PCB 710 is embed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member 110 and a battery 730, a control unit (control chip) 700, a communication unit 720, and the like are mounted on the PCB substrate 710 . Further, an operation unit such as a power button 74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10.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의 웨이트 운동 횟수 또는 시간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부(750)를 통해 출력하거나 별도의 외부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운동 기록을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운동 의욕을 고취시키고 운동 계획 관리를 더욱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information such as a user's number of times of weight exercise or time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750 or transmitted to a separate external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instantly recognize his or her own exercise record, And make exercise planning management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한편, 회전 감지 센서 모듈(6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바디(200)에 장착되어 회전 바디(200)와 함께 회전하는 인식 마크(610)와, 인식 마크(610)를 순차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 봉(100)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장착되는 감지 센서(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 센서(620)는 광센서, 홀센서 등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인식 마크(610)는 해당 종류의 센서에 대응하여 감지 센서(620)가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는 인식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빛 반사판, 자석 등이 적용될 수 있다.2 and 4, the rotation sensor module 600 includes a recognition mark 610 mounted on the rotation body 200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on body 200, a recognition mark 610 And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620 mounted on the handle bar 10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be sequentially sensed. The detection sensor 620 may be composed of various sensors such as an optical sensor and a hall sensor and the recognition mark 610 may be formed as recognition means capable of quickly detecting the detection sensor 620 corresponding to the sensor of the corresponding type . For example, a light reflector, a magnet, or the like can be applied.

이러한 회전 감지 센서 모듈(600)의 작동 원리를 살펴보면,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식 마크(610)는 회전 바디(200)의 일측에 하나 결합되어 회전 바디(20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고, 복수개의 감지 센서(620)는 이러한 인식 마크(610)를 감지하도록 제 1 감지 센서(621), 제 2 감지 센서(622) 및 제 3 감지 센서(623)가 원주 방향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바디(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복수개의 감지 센서(620)는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 1 감지 센서(621), 제 2 감지 센서(622) 및 제 3 감지 센서(623)가 순차적으로 인식 마크(610)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바디(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 3 감지 센서(623), 제 2 감지 센서(622) 및 제 1 감지 센서(621)의 순서로 인식 마크(610)를 감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 the recognition mark 6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ry body 200 and rotates integrally with the rotary body 200, And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620 detect the recognition mark 610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detection sensor 621,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22 and the third detection sensor 623 are arrang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Respectively. 4A, when the rotation body 200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620 detect the movement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621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body 200, The second sensing sensor 622 and the third sensing sensor 623 sequentially sense the recognition mark 610. [ On the contrary, when the rotating body 200 rotat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4 (b), the third sensing sensor 623, the second sensing sensor 622, and the first sensing sensor 621 The recognition mark 610 is detected in order.

따라서, 제어부(700)는 이러한 복수개의 감지 센서(620)에 의한 인식 마크(610) 감지 순서를 통해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감지 센서(621), 제 2 감지 센서(622) 및 제 3 감지 센서(623)의 순서로 인식 마크(610)를 감지하면,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은 반시계 방향임을 알 수 있고, 제 3 감지 센서(623), 제 2 감지 센서(622) 및 제 1 감지 센서(621)의 순서로 인식 마크(610)를 감지하면,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임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700 can determin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through the sensing sequence of the recognition mark 610 by the plurality of the sensing sensors 620. For example, when the recognition mark 610 is detected in the order of the first detection sensor 621,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22, and the third detection sensor 623, When the recognition mark 610 is detected in the order of the third detection sensor 623, the second detection sensor 622 and the first detection sensor 621,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body 200 is Clockwise direction.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700)는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회전 방향 전환 감지를 통해 작동 케이블(400)의 견인 횟수를 연산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700 can determine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and calculate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on cable 400 through the detection of the rotation direction change.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잡이 봉(100)을 손에 쥐고 팔을 1회 굽혔다가 펴면, 팔을 굽히는 과정에서 회전 바디(200)가 작동 케이블(400)의 견인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팔을 펴는 과정에서 회전 바디(200)가 탄성 회전 복원되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여기서,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은 반시계->시계 방향이 아니라 이와 반대로 시계->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bar 100 and bends and stretches the arm once, the rotating body 200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pulling the operating cable 400 in the course of bending the arm , The rotating body 200 is elastically rotated and restored and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course of expanding the arm. Of course, here,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may be counterclockwise -> counterclockwise but not counterclockwise -> counterclockwise.

이와 같이 작동하게 되면, 제어부(700)는 회전 감지 센서 모듈(600)에 의해 감지된 값을 연산하여 회전 바디(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후, 다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In this operation, the controller 700 calculates a value sensed by the rotation sensor module 600, and determines that the rotary body 200 ha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n rotated clockwise .

이때, 제어부(700)는 이와 같이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이 바뀔 때마다 이를 작동 케이블(400)의 견인 횟수 1회로 연산할 수 있다. 즉,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에서 시계 방향으로 바뀌면, 작동 케이블(400)이 1회 견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작동 케이블(400)의 1회 견인의 의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 봉(100)을 잡고 팔을 1회 접었다 펴는 동작을 수행한 것을 의미한다.At this time, each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is changed, the control unit 700 can calculate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on cable 400 once. That is,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is changed from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the clockwise direc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cable 400 is once pulled. The one-time pulling of the operating cable 400 means that the user holds the pull rod 100 and folds and folds the arm once, as described above.

제어부(700)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산한 작동 케이블(400)의 견인 횟수를 디스플레이부(750)에 출력하거나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여 운동 정보를 사용자에게 즉각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may output the number of traction of the operation cable 400 calculated in this manner to the display unit 750 or transmit it to the external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immediately recognize the exercise information.

한편,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이 바뀔 때마다 작동 케이블(400)이 1회 견인된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사용자가 팔을 접었다 펴는 동작을 정상적으로 완전하게 수행하지 않고, 일정 부분의 작은 구간에서만 팔을 접었다 펴는 경우에도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이 바뀌게 되므로, 이 또한 1회 견인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웨이트 운동 동작이 아니므로, 1회 견인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cable 400 has been pulled once every time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is changed, the user does not normally perform the folding and straightening operation of the arm,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is changed even when the arm is folded, so that it is also determined that the rotating body 200 has been pulled once. In this case, since it is not a normal weight movement operation, it is preferable not to judge that it has been pulled onc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700)는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 전환 상태에 더하여 회전 바디(200)가 동일한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구간마다 감지되는 회전 바디(200)의 회전수를 고려하여 작동 케이블(400)이 1회 견인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회전 바디(200)의 회전수는 감지 센서(620)를 통해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판단되는 구간마다 인식 마크(610)가 몇번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알 수 있다.According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body 200, which is sensed for each interval in which the rotating body 200 indicates the same rotational directio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cable 400 has been pulled onc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ng body 200 can be determined by determining how many times the recognition mark 610 is sensed for each section determined to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through the sensing sensor 620.

즉, 사용자가 손잡이 봉(100)을 잡고 팔을 1회 접었다 펴는 동작을 정상적으로 완전하게 수행하면, 팔을 접는 과정과 팔을 펴는 과정에서 작동 케이블(400)의 작동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게 되므로,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이 전환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 시간 동안 회전 바디(200)의 회전수는 각각 동일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팔을 접는 과정에서 회전 바디(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3회 회전한 것으로 감지되면, 팔을 펴는 과정에서는 이에 대응되어 회전 바디(200)가 시계 방향으로 3회 회전한 것으로 감지된다. 그러나, 사용자의 웨이트 운동 동작이 정확하지 않고 부정확하고 불완전하게 수행된 경우라면, 팔을 접는 과정과 팔을 펴는 과정에서 그 동작 길이가 달라져 회전 바디(200)의 회전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팔을 펴는 과정에서 회전 바디(200)가 시계 방향으로 3회 회전한 것으로 감지되었는데, 팔을 접는 과정에서 회전 바디(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2회 회전한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bar 100 and folds the arm once and then completes the operation normally, the operation cable 400 is formed to have the same working length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arm and extending the arm,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body 200 is formed to be equal to each other during the forward and backward times based on a time point whe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is switched. For example, if it is detected that the rotary body 200 is rotated three tim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during the folding process of the arms, in the course of expanding the arms, it is determined that the rotary body 200 is rotated three tim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do. However, if the weight motion of the user is performed incorrectly and incompletely and precisely,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ng body 200 may be changed by changing the operation length of the arm during the folding process and the arm extension process. That is, it is detected that the rotating body 200 is rotated three tim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course of expanding the arm, but it can be detected that the rotating body 200 is rotated twic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during the folding of the arm.

따라서, 감지 센서(620)의 감지 신호를 통해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나타나는 구간마다 회전 바디(200)의 회전수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회전 바디(200)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나타나는 구간마다 회전 바디(200)의 회전수가 동일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만 작동 케이블(400)이 1회 견인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디스플레이부(750)에 출력할 수 있다.Therefore,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ng body 200 is determined by intervals of intervals in which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200 appears in the same direction through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ing sensor 62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operating cable 400 has been pulled once and can be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750 only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ng body 200 is the same for every section appearing in the same direction.

이러한 작동 케이블(400) 견인 횟수 연산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웨이트 운동 동작이 정확한 경우에만 웨이트 운동 횟수로 판정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확한 운동 동작을 유도하여 운동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By determining the number of weight exercises only when the weight movement operation of the user is correct according to the operating frequency calculation method of the operating cable 400,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xercise effect by inducing the correct exercise operation to the us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손잡이 봉
110: 본체 부재 120: 중심축 부재
200: 회전 바디
300: 탄성 부재
400: 작동 케이블 410: 걸림 고리
500: 커버 하우징 510: 케이블 관통홀
600: 회전 감지 센서 모듈
610: 인식 마크 620: 감지 센서
700: 제어부 750: 디스플레이부
100: handle bar
110: body member 120: central shaft member
200: rotating body
300: elastic member
400: Operation cable 410: Retaining ring
500: cover housing 510: cable through hole
600: Rotation sensor module
610: recognition mark 620: detection sensor
700: control unit 750: display unit

Claims (10)

삭제delete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일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손잡이 봉;
상기 손잡이 봉의 양단에 상기 손잡이 봉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바디;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시 상기 회전 바디에 탄성 회전 복원력을 가하는 탄성 부재;
일단이 상기 회전 바디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 바디에 권취되는 작동 케이블;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는 회전 감지 센서 모듈; 및
상기 회전 감지 센서 모듈에 의해 감지된 값을 인가받아 상기 작동 케이블의 견인 횟수를 연산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케이블이 상기 회전 바디로부터 권취 해제되도록 견인됨에 따라 상기 회전 바디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중심부가 상기 중심축에 결합되고 외측 끝단부가 상기 회전 바디에 결합되는 스파이럴 스프링으로 적용되고,
상기 회전 감지 센서 모듈은
상기 회전 바디에 장착되는 인식 마크와, 상기 인식 마크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손잡이 봉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개 장착되는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한 상기 인식 마크의 감지 순서를 통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을 판단하고, 판단된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 케이블의 견인 횟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
A handle bar formed to be elongated in one direction so as to be held by a user;
A rotat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pull rod around a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pull rod;
An elastic member for applying an elastic rotation restoring force to the rotating body when the rotating body rotates;
An operating cable wound around the rotating body with one end thereof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A rotation sensor module capable of sens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controller for receiving the value sensed by the rotation sensor module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on cable,
Wherein the rotating body is configured to rotate as the operating cable is pulled to be unwound from the rotating body,
The elastic member is applied as a spiral spring in which a central portion is coupled to the central shaft and an outer end portion is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The rotation sensor module
And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mounted on the handle bar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sequentially detect the recognition marks,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through the sensing sequence of the recognition marks by the plurality of sensing sensors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pulling operations of the operating cable by using the determined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Weight exercise apparatu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봉의 양단부에는 상기 회전 바디의 외부 공간을 감쌀 수 있는 커버 하우징이 결합되고, 상기 커버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케이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cover housing capable of wrapping an outer space of the rotating body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handle bar, and a cable through hol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ver housing so that the operation cable can penetr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케이블의 타단에는 걸림 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
The method of claim 3,
And a hooking ring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operation cabl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별도의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작동 케이블의 견인 횟수를 별도의 외부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on cable to a separate external terminal through a separate communication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봉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동 케이블의 견인 횟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A display unit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is formed on the handle ba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on cab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개의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한 상기 인식 마크의 감지 신호를 통해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이 동일한 구간마다 각각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수를 판단하고,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 방향에 더하여 상기 회전 바디의 회전수를 고려하여 상기 작동 케이블의 견인 횟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rotating body for each section having the sam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through the sensing signal of the recognition mark by the plurality of the sensing sensors,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pulls of the operation cable in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weight cab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봉은
상기 손잡이 봉의 길이 방향 중간 구간을 이루는 중공 원통형 본체 부재와, 상기 본체 부재의 양측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중심축을 이루는 중심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와 중심축 부재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트 운동 기구.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andle bar
And a central shaft member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member and constitutes the central shaft so that the rotary body is rotatably engaged,
Wherein the body member and the central shaft member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KR1020160157157A 2016-11-24 2016-11-24 Weight exercise apparatus KR101792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157A KR101792216B1 (en) 2016-11-24 2016-11-24 Weight exercis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157A KR101792216B1 (en) 2016-11-24 2016-11-24 Weight exercis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216B1 true KR101792216B1 (en) 2017-11-06

Family

ID=6038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157A KR101792216B1 (en) 2016-11-24 2016-11-24 Weight exercis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216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739A1 (en) * 2019-07-15 2021-01-21 정한겸 Portable cable fitness equipment
KR20210008801A (en) * 2019-07-15 2021-01-25 정한겸 Portable cable fitness equipment
WO2021034671A1 (en) * 2019-08-16 2021-02-25 Anchor Health And Fitness, Inc. Modular cable-based resistance workout device
KR102321990B1 (en) * 2021-04-30 2021-11-05 강명식 Lower body muscle strength exercise equipment
KR20220033817A (en)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휴먼밸런스 Core cable exercis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head
US20220401791A1 (en) * 2020-12-18 2022-12-22 Ambition Pink Co.,Ltd Portable smart hand grip
US12179054B2 (en) 2021-09-20 2024-12-31 Russell Breaux Automatic spotter lift force calculator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39Y1 (en) * 2003-01-22 2003-05-09 고화석 muscular motion apparatus
JP2004248786A (en) * 2003-02-19 2004-09-09 Sds:Kk Pull machine for muscular strength train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2139Y1 (en) * 2003-01-22 2003-05-09 고화석 muscular motion apparatus
JP2004248786A (en) * 2003-02-19 2004-09-09 Sds:Kk Pull machine for muscular strength training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10739A1 (en) * 2019-07-15 2021-01-21 정한겸 Portable cable fitness equipment
KR20210008801A (en) * 2019-07-15 2021-01-25 정한겸 Portable cable fitness equipment
KR102254492B1 (en) * 2019-07-15 2021-05-21 정한겸 Portable cable fitness equipment
WO2021034671A1 (en) * 2019-08-16 2021-02-25 Anchor Health And Fitness, Inc. Modular cable-based resistance workout device
US12005285B2 (en) 2019-08-16 2024-06-11 Anchor Health And Fitness, Inc. Modular cable-based resistance workout device
KR20220033817A (en)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휴먼밸런스 Core cable exercis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head
US20220401791A1 (en) * 2020-12-18 2022-12-22 Ambition Pink Co.,Ltd Portable smart hand grip
KR102321990B1 (en) * 2021-04-30 2021-11-05 강명식 Lower body muscle strength exercise equipment
US12179054B2 (en) 2021-09-20 2024-12-31 Russell Breaux Automatic spotter lift force calculator an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u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2216B1 (en) Weight exercise apparatus
US7628737B2 (en) Repetition sensor in exercise equipment
EP3023086B1 (en) Exercise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of hand grip and wrist
US7621853B2 (en) Ropeless jump rope
AU2011343490B2 (en) Wheeled exercise device
US6540649B1 (en) Exercise apparatus and kits
US11752383B2 (en) Dynamic training device
KR101941698B1 (en) Smart exercise bar for training, measurement and evaluation
CA2930057C (en) Anchored resistance exercise device with sensor
US6090017A (en) One-way travel computation detect device for exerciser
KR20200079106A (en) Multifunctional muscle exercise equipment
WO2014174475A1 (en) An exercise device
KR101487243B1 (en) Exercise instrument having a rope-skipping function
EP3714949A1 (en) Smart exercise load apparatus for muscular exercise equipment
KR101497869B1 (en) A sporting apparatus for multi purpose
EP4218957A1 (en) Smart exercise handle
KR102436607B1 (en) Attached internet of thing fitness exercise information colle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797862B1 (en) portable exercise equipment using elastic band
KR102254492B1 (en) Portable cable fitness equipment
WO2010090302A2 (en) Device for teaching downswing in golf swing
TWI363177B (en)
WO2021010739A1 (en) Portable cable fitness equipment
JP6106378B2 (en) Training apparatus and training method
KR20170053754A (en) Movement momentum measure device controlled by fishing and momentum measure method using the same
KR101958999B1 (en) Equipment for abdominal muscles spor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