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148B1 - Fluid Transfer Apparatus Of Ship - Google Patents

Fluid Transfer Apparatus Of Sh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148B1
KR101792148B1 KR1020160122787A KR20160122787A KR101792148B1 KR 101792148 B1 KR101792148 B1 KR 101792148B1 KR 1020160122787 A KR1020160122787 A KR 1020160122787A KR 20160122787 A KR20160122787 A KR 20160122787A KR 101792148 B1 KR101792148 B1 KR 101792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ing
deck
pipe portion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7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형우
장항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2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1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1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는 보조선박의 데크의 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인접한 자선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무어링유닛, 상기 데크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선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유닛 및 상기 데크 및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자선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한다.A fluid conveying apparatus for marine vess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oring unit installed longitudinally on one side of a deck of an auxiliary ship and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an adjacent charger, And a transfer unit installed on the de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unit for transferring the fluid to the charger.

Description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Fluid Transfer Apparatus Of Ship}[0001] Fluid Transfer Apparatus Of Ship [0002]

본 발명은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규모차이가 큰 선박간에 유체 등을 손쉽게 이송할 수 있는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 conveyance apparatus for ship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id conveyance apparatus for ships capable of easily transferring fluid between ships having large scale differences.

STS(Ship-To-Ship) Cargo Transfer Operation은 인접한 두 척 이상의 선박을 측면으로 연결하여 화물을 전달하는 작업을 말한다. 상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박간의 건현(freeboard, 乾舷) 차이가 허용수치 이하가 되어야 한다.Ship-To-Ship (STS) Cargo transfer operation refers to the operation of delivering cargo by connecting two or more adjacent vessels side by side.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operation, the difference between freeboard and freeboard between the ships should be less than the allowable value.

일반적으로, 대형선박과 인접한 또 다른 대형선박과는 상기 선박 내에 설치된 ballast tank(배의 중심을 잡아 주는 기능을 하는 평형수가 저장된 물탱크)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간의 건현 차이를 줄인다. In general, a large-sized ship and another large-sized ship adjacent to the large-sized ship reduce the difference in freeboard between the ships by using a ballast tank (a water tank storing a ballast water serving as a center of the ship) installed in the ship.

그러나, 선박은 그 자체의 건현(freeboard)의 한계치가 기설정되어 있고,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 변동가능한 건현 수치 구간이 별도로 정해져 있으므로, 대형선박과 소형선박과 같이 양 선박간의 규모 차이가 큰 경우는 ballast tank를 이용하여 건현차이를 줄이는 것이 어려워, 결과적으로, STS 작업을 수행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freeboard limit of a ship is preset, and the loadable freewheeling range is separately determined, when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hips is large, such as a large ship and a small ship, it is difficult to reduce the freeboard difference by using a ballast tank, an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perform the STS operation.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a method for solving such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인접한 자선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무어링유닛을 보조선박의 데크의 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며, 상기 자선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유닛을 상기 데크의 중앙부에 설치하며, 보조선박으로부터 상기 자선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상기 데크 및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에 설치함으로써, 보조선박과 자선과 같이 양 선박간의 규모차이가 큰 경우에도, 상기 무어링데크의 기능으로 인해 손쉽게 보조선박과 자선을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유닛과 이송유닛의 기능으로 인해 손쉽게 보조선박으로부터 자선으로 유체 등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oring unit that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an adjacent charit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of a deck of an auxiliary ship, The elevating unit which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the charity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deck and the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the fluid from the auxiliary vessel to the charity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and the elevating unit, The auxiliary ship and the charity can be easily fixed due to the function of the mooring deck even when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hips is larg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uid conveyance device for a ship for conveying a fluid.

본 출원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는, 보조선박의 데크의 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인접한 자선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무어링유닛, 상기 데크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선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유닛 및 상기 데크 및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자선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uid transportation device for a marine vessel, comprising: a mooring unit installed longitudinally on one side of a deck of an auxiliary ship and vertically lifting up and d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adjacent charities; An elevating unit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and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the charger, and a transferring unit installed on the deck and the elevat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fluid to the charring line.

무어링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은 동일한 높이로 승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ooring unit and the elevating unit are elevated to the same height.

무어링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은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oring unit and the elevating unit are preferably operated hydraulically.

이송유닛은 상기 보조선박의 데크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배관부, 상기 제1배관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배관부, 상기 제2배관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배관부 및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배관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배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first piping part install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deck of the auxiliary ship, a second piping part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iping part, and a second piping part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piping part And a fourth piping unit install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unit and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piping unit.

송강유닛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2배관부 및 제3배관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접혀서 상기 제1배관부, 제2배관부, 제3배관부 및 제4배관부가 모두 수평방향을 이룰 수 있다. The feeding unit is folded so that the second pipe portion and the third pipe portion are oppo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ipe portion, the second pipe portion, the third pipe portion and the fourth pipe portion all form a horizontal direction .

승강유닛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2배관부 및 제3배관부가 상기 제1배관부 및 제4배관부와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펴질 수 있다.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unit is lowered, the conveying unit can be extended so that the second pipe portion and the third pipe portion are perpendicular to the first pipe portion and the fourth pipe portion.

제1배관부, 제2배관부, 제3배관부 및 제4배관부는 각각 swivel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pipe portion, the second pipe portion, the third pipe portion, and the fourth pipe portion are preferably connected in a swivel mann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fluid transportation device for marine vessel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보조선박과 자선과 같이 양 선박간의 규모차이가 큰 경우에도, 무어링유닛의 기능을 통해 손쉽게 보조선박과 자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even when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essels is large, such as the auxiliary vessel and the charity,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auxiliary vessel and the charity through the function of the mooring unit.

둘째, 보조선박과 자선과 같이 양 선박간의 규모차이가 큰 경우에도, 승강유닛과 이송유닛의 기능으로 손쉽게 보조선박으로부터 자선으로 유체 등을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ly, even when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essels such as the auxiliary vessel and the charity is large, the fluid can be easily transferred from the auxiliary vessel to the charity by the function of the elevating unit and the transfer uni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의 무어링유닛 및 승강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의 승강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의 승강유닛 및 이송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의 이송유닛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The foregoing summary, as well a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set forth below, may be better understood when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figures for purposes of illustrat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cise arrangements and instrumentalities shown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ship's fluid convey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mooring unit and a lifting unit of a fluid transportation apparatus for marine vessel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lifting unit of a fluid transportation apparatus for a 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and FIG.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use state of the elevating unit and the conveying unit of the fluid conveying apparatus for marine vessel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use state of a transfer unit of a fluid conveyance apparatus for a shi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상세한 설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그 형상에 대하여는 제한 없이 다양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을 명시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urth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is only an example for facilitating understanding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may be various without limitation, thereby indicating that the scope of the right is not limited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As shown in Figure 1,

본 발명은 보조선박(20)을 상기 보조선박(20) 대비 규모 차이가 큰 자선(30, 子船)과 무어링(mooring, 배를 메어 두는 행위)하고, 상기 보조선박(20)으로부터 상기 자선(30, 子船)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ooring a submarine 20 with a charger 30 having a larger scale than the submarine 20, (30, child boa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는 개략적으로, 무어링유닛(200), 승강유닛(300) 및 이송유닛(500)으로 구성된다. The fluid conveying apparatus for marine vess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ughly comprises a mooring unit 200, an elevating unit 300 and a conveying unit 500.

무어링(mooring, 배를 메어 두는 행위)유닛은 보조선박(20)의 데크(deck, 갑판)의 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인접한 자선(30, 子船)의 건현(freeboard, 乾舷) 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한다. The mooring unit is installed longitudinally on one side of the deck of the auxiliary vessel 20 and is connected to the freeboard of the adjacent vessel 30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보조선박(20)과 자선(30)이 길이방향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면, 보조선박(20)에 설치된 무어링유닛(200)을 상기 자선(30)의 건현(freeboard)에 대응되도록 상승 또는 하강시킨 후, 로프(600)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선박(20)과 자선(30)을 고정시키면 된다. The mooring unit 200 installed on the auxiliary ship 20 is raised or lowered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the charity vessel 30 when the auxiliary vessel 20 and the charity vessel 30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uxiliary ship 20 and the charity line 30 may be fixed by using the rope 600 after descending.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유체 이송장치는 보조선박(20)과 자선(30)과 같이, 양 선박간의 규모차이가 큰 경우에도, 손쉽게 보조선박(20)과 자선(30)을 고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auxiliary vessel 20 and the charity line 30 even when the sca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essels is large, such as the auxiliary vessel 20 and the charity line 30 have.

상기 무어링유닛(200)의 승강은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ooring unit 200 is hydraulically operat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Referring to Figures 1 to 3,

승강유닛(300)은 보조선박(20)의 데크의 중앙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며, 인접한 자선(30) 자선(30)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한다. The elevating unit 300 is vertical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deck of the auxiliary vessel 20 and vertically moves up and d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the adjacent charger 30.

상기 승강유닛(300)은 무어링유닛(200)과 동일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강유닛(300)의 승강은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vating unit 300 is preferably raised or lowered to the same height as the mooring unit 200, a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ing unit 300 is preferably performed by a hydraulic operation.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Referring to Figures 4-6,

이송유닛(500)은 보조선박(20)의 데크 및 승강유닛(300)의 상면에 설치되며, 보조선박(20)으로부터 자선(30)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The transfer unit 5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ck of the auxiliary ship 20 and the elevation unit 300 and serves to transfer the fluid from the auxiliary ship 20 to the charity line 30. [

이송유닛(500)은 제1배관부(510), 제2배관부(520), 제3배관부(530) 및 제4배관부(540)로 구성된다. The transfer unit 500 includes a first pipe unit 510, a second pipe unit 520, a third pipe unit 530, and a fourth pipe unit 540.

제1배관부(510)는 보조선박(20)의 데크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The first piping part 510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deck of the auxiliary ship 20.

제2배관부(520)는 상기 제1배관부(510)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배관부(530)는 상기 제2배관부(520)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The second pipe portion 52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ipe portion 510 and the third pipe portion 530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pipe portion 520.

그리고, 제4배관부(540)는 상기 승강유닛(3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배관부(530)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The fourth pipe portion 540 is horizontal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unit 300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pipe portion 530 in a rotatable manner.

따라서, 상기 이송유닛(500)은 승강유닛(300)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접이식으로 작동된다. Accordingly, the transfer unit 500 is operated in a folding manner as the lifting unit 300 is lifted or lowered.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배관부(510), 제2배관부(520), 제3배관부(530) 및 제4배관부(540)는 각각 상기 제1배관부(510), 제2배관부(520), 제3배관부(530) 및 제4배관부(540)와 연통되는 관절부(570)로 연결되어 있다. 6, the first pipe portion 510, the second pipe portion 520, the third pipe portion 530, and the fourth pipe portion 540 are connected to the first pipe portion 510, The second pipe portion 520, the third pipe portion 530 and the fourth pipe portion 540. The joint portion 570 is connected to the second pipe portion 520, the third pipe portion 530 and the fourth pipe portion 540, respectively.

상기 관절부(570)는 회전 가능한 다양한 배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위블(swivle) 방식의 회전수단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블(swivle)이란 파이프, 케이블 등의 연결부위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The joint part 570 may be a variety of rotatable pipes or the like and may be connected by a swivel type rotating means. A swivel is a device that can be freely rotated by being inserted into a connection part of a pipe, a cable, or the lik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Referring to Figures 4-6,

우선, 모선(10)과 보조선박(20)을 인접하여 위치시킨 후, 상기 모선(10)과 보조선박(20) 내에 설치된 ballast tank(미도시, 배의 중심을 잡아 주는 기능을 하는 평형수가 저장된 물탱크)를 이용하여 상기 모선(10)과 보조선박(20)간의 건현 차이를 줄인다. 그리고, 상기 모선(10)으로부터 보조선박(20)으로 석유, 천연가스 등 이송하고자 하는 유체를 하역장치(80)를 이용하여 운반한다. First, after the mother ship 10 and the auxiliary ship 20 ar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 ballast tank (not shown in the figure) installed in the auxiliary ship 20 Water tank) is used to reduce the freeboard difference between the bus bar 10 and the auxiliary vessel 20. Then, the fluid to be conveyed from the bus bar 10 to the auxiliary ship 20 is conveyed by using the cargo handling device 80.

그리고, 자선(30)을 보조선박(20)과 인접하여 위치시킨다. Then, the charity line 3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auxiliary ship 20.

이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선박(20)에 설치된 승강유닛(300)은 상승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보조선박(20)의 데크 및 승강유닛(300)의 상면에 설치된 이송유닛(500)은 수평방향을 이루게 된다. 6A, since the elevating unit 300 installed on the auxiliary ship 20 is in an elevated state, the elevating unit 300 is installed on the deck of the auxiliary ship 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unit 300 The transfer unit 500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즉, 제1배관부(510)는 보조선박(20)의 데크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있고, 제4배관부(540)는 이송유닛(50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제2배관부(520)는 상기 제1배관부(510)와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며, 제3배관부(530)는 상기 제2배관부(520)와 서로 대향되도록 접혀있게 된다.That is, the first piping unit 510 is fix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deck of the auxiliary ship 20, and the fourth piping unit 540 is horizontal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500 The second pipe portion 520 is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first pipe portion 510 and the third pipe portion 530 is folded to face the second pipe portion 520 .

이후, 보조선박(20)에 설치된 승강유닛(300)을 일정높이만큼 하강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관부(520) 및 제3배관부(530)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위치된다. 6 (b), when the elevation unit 300 installed on the auxiliary vessel 20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second piping 520 and the third piping 530 ar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spectively.

즉, 제1배관부(510) 및 제4배관부(540)는 각각 데크와 승강유닛(300)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서로 대향되도록 접혀 있는 제2배관부(520)와 제3배관부(530)가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since the first piping part 510 and the fourth piping part 540 are fixed to the deck and the elevation unit 300, the second piping part 520 and the third piping part 530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유닛(300)을 자선(30)의 건현(freeboard)에 대응될 정도로 더욱 하강시키면, 이송유닛(500)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관부(520) 및 제3배관부(530)는 제1배관부(510) 및 제4배관부(540)와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펴지게 된다. 5, when the elevating unit 300 is further lowered to a degree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the charger 30, the conveying unit 500 is moved in a direction The second pipe part 520 and the third pipe part 530 are exten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pipe part 510 and the fourth pipe part 540.

결과적으로, 제1배관부(510)는 데크에 설치되어 있고, 제4배관부(540)의 일단은 자선(30)의 상부에 위치해 있으므로, 이송유닛(500)인 제1,제2,제3,제4배관부(510, 520, 530, 540)를 통하여 자선(30)에 설치된 수급배관(미도시)에 유체를 이송시키면 된다.As a result, since the first pipe portion 510 is installed on the deck and one end of the fourth pipe portion 540 i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harger 30, the first, second, (Not shown) installed in the charity line 30 through the fourth piping sections 510, 520, 530, 540,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유체 이송장치는 보조선박(20)과 자선(30)과 같이, 양 선박간의 규모차이가 큰 경우에도, 전술한 승강유닛(300)과 이송유닛(500)의 기능으로 인해 손쉽게 보조선박(20)으로부터 자선(30)으로 유체 등을 이송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ca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hips is large, such as the auxiliary ship 20 and the charity line 30, the function of the lift unit 300 and the transfer unit 500 It is possible to easily transfer the fluid or the like from the auxiliary ship 20 to the charity line 30.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obvious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모선 20: 보조선박
30: 자선 200: 무어링유닛
300: 승강유닛 500: 이송유닛
510: 제1배관부 520: 제2배관부
530: 제3배관부 540: 제4배관부
570: 관절부 600: 로프
10: Mothership 20: Secondary vessel
30: Charity line 200: Mooring unit
300: lift unit 500: conveying unit
510: first piping section 520: second piping section
530: Third piping section 540: Fourth piping section
570: joint part 600: rope

Claims (7)

보조선박의 데크의 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인접한 자선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무어링유닛;
상기 데크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선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유닛; 및
상기 데크 및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자선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보조선박의 데크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배관부와, 상기 제1배관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배관부와, 상기 제2배관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배관부 및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배관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이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제2배관부 및 제3배관부가 서로 대향되도록 접혀서 상기 제1배관부, 제2배관부, 제3배관부 및 제4배관부가 모두 수평방향을 이루는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
A mooring unit installed longitudinally on one side of the deck of the auxiliary vessel and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the adjacent charity;
An elevating unit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eck to vertically move up and d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the charity; And
A deck and a transfer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fluid to the charger;
/ RTI >
The transfer unit
A second pipe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ipe portion, and a second pipe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pipe portion, the first pipe portion being install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deck of the auxiliary ship, And a fourth piping part which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unit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piping part,
The second piping section and the third piping section are folded so that the second piping section and the third piping section are oppo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piping section, the second piping section, the third piping section, and the fourth piping section are all horizontally oriented, Device.
보조선박의 데크의 일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인접한 자선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무어링유닛;
상기 데크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자선의 건현과 대응되는 높이로 상하로 승강하는 승강유닛; 및
상기 데크 및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자선으로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보조선박의 데크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배관부와, 상기 제1배관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배관부와, 상기 제2배관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배관부 및 상기 승강유닛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3배관부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배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제2배관부 및 제3배관부가 상기 제1배관부 및 제4배관부와 수직방향을 이루도록 펴지는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
A mooring unit installed longitudinally on one side of the deck of the auxiliary vessel and vertically moving up and d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the adjacent charity;
An elevating unit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eck to vertically move up and down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eeboard of the charity; And
A deck and a transfer uni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unit, for transferring the fluid to the charger;
/ RTI >
The transfer unit
A second pip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piping portion and a second pip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piping portion, And a fourth piping part which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unit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hird piping part,
Wherein the second piping unit and the third piping unit are arrang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piping unit and the fourth piping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on unit is lower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어링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은 동일한 높이로 승강하는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ooring unit and the elevation unit are raised and lowered at the same heigh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무어링유닛 및 상기 승강유닛은 유압식으로 작동하는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ooring unit and the elevation unit are hydraulically oper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관부, 제2배관부, 제3배관부 및 제4배관부는 각각 swivel 방식으로 연결된 선박용 유체 이송 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piping unit, the second piping unit, the third piping unit, and the fourth piping unit are connected in a swivel manner.
KR1020160122787A 2016-09-26 2016-09-26 Fluid Transfer Apparatus Of Ship KR1017921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787A KR101792148B1 (en) 2016-09-26 2016-09-26 Fluid Transfer Apparatus Of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787A KR101792148B1 (en) 2016-09-26 2016-09-26 Fluid Transfer Apparatus Of Sh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148B1 true KR101792148B1 (en) 2017-10-31

Family

ID=60301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787A KR101792148B1 (en) 2016-09-26 2016-09-26 Fluid Transfer Apparatus Of Sh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14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916Y1 (en) * 2003-04-07 2003-07-16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The pontoon type freight amassment floor of wharf with difference of tide level
KR101185528B1 (en) * 2010-11-11 2012-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916Y1 (en) * 2003-04-07 2003-07-16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The pontoon type freight amassment floor of wharf with difference of tide level
KR101185528B1 (en) * 2010-11-11 2012-09-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structur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5753B1 (en) Mooring apparatus
US8312828B2 (en) Preloading to reduce loads and save steel on topsides and grillage of catamaran systems
US20100187192A1 (en) Offshore cargo rack for use in transferring fluid holding tank loads between a marine vessel and an offshore platform
WO1999050582B1 (en) Marine pipelay system
US20110170988A1 (en) Cargo transfer system
GB2095787A (en) Pipe laying vessel
US3198157A (en) Draft reducing device for vessels
US3765463A (en) Offshore terminal
US7419329B1 (en) Semi-submersible dry-docking lift apparatus
KR100466881B1 (en) A cargo-handling apparatus for operation at both side of ship
EP0094434A1 (en) Work ship for installing large offshore structure
KR100420296B1 (en) Loading / unloading device for loading or unloading petroleum products
WO2010096373A2 (en) Skid shoe assembly for loading and transporting large structures
US3841501A (en) Ship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KR101792148B1 (en) Fluid Transfer Apparatus Of Ship
US3452787A (en) Offshore articulated fluid conveying apparatus
US9499239B2 (en) Integrated heavy lift and logistics vessel
US7426897B2 (en) Mooring apparatus
US4335981A (en) Cargo handling equipment
EP1400442B1 (en) Mooring apparatus
US3245438A (en) Ship mooring device
US3964423A (en) Offshore terminal
KR20110081662A (en) Container handling system and method
US3934289A (en) Marine fluid transfer apparatus
WO2002004287A1 (en) Installation and removal of decks on and from offshore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