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076B1 - 봉합사 케이스 - Google Patents

봉합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076B1
KR101792076B1 KR1020160089942A KR20160089942A KR101792076B1 KR 101792076 B1 KR101792076 B1 KR 101792076B1 KR 1020160089942 A KR1020160089942 A KR 1020160089942A KR 20160089942 A KR20160089942 A KR 20160089942A KR 101792076 B1 KR101792076 B1 KR 101792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winding
needle
base memb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경
박은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수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수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수처스
Priority to KR102016008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65D85/2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for needles, nails or like elongate smal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hand-held during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2050/005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with a lid or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9Other types of filamentary materials or special applications
    • B65H2701/3918Surgical su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부재와 외벽부를 구비하여 소정 형상의 공간부를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봉합사를 권취하기 위한 소정 높이로 돌출된 2개 이상의 제1 권취부, 상기 제1 권취부의 외곽에 구비되되 상기 외벽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2개 이상의 제2 권취부, 봉합니들을 고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제1 니들고정부 및 봉합사를 집기 위한 절개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봉합사 케이스{SUTURE CASE}
본 발명은 봉합사에 연결된 니들의 형태나 니들의 연결여부와 관계없이 봉합사를 보관할 수 있고, 또 봉합사가 엉킴 없이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풀릴 수 있는 봉합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수술용 봉합사는 수술,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부를 봉합 및 결찰하는 데 사용하는 실로서, 인체에 흡수될 수 있는 재질이면서 탄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여 끊어지지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케이스 내에 보관한 다음, 이를 멸균 처리된 포장지에 밀봉시킴으로써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봉합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봉합사의 일단부에 봉합 니들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봉합 니들을 통해 봉합사가 조직의 손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손상부가 봉합될 수 있다.
한편 조직의 손상부는 조직의 위치나 손상 정도에 따라 봉합 니들의 형상을 달리하여야 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봉합 니들은 직선형 니들과 커브형 니들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직선형 니들과 커브형 니들은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각 니들의 형상에 맞도록 봉합사 케이스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외에도 봉합사는 외과적 수술 동안의 사용을 위해 케이스로부터 개방되어야 하는데, 이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속한 수술을 위해 봉합사가 엉킴 없이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풀릴 수 있어야 한다.
상기와 관련하여, 미국특허 제7,520,382호에서 봉합사를 보관하기 위한 타원 형상의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봉합사 패키지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는 그 외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는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봉합사 보유 영역을 한정하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행문헌의 기술은 복수개의 돌출부를 통해 봉합사가 안정적으로 권취될 수는 있으나, 봉합사 분배시 촘촘하게 형성된 돌출부에 봉합사가 쉽게 걸릴 수 있어 봉합사가 패키지로부터 용이하게 풀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봉합사의 걸림을 방지하고자 미국특허 제6,047,815호에서는 내표면, 외표면으로 구성된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의 테두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 형성된 외벽부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표면은 상기 외벽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봉합사를 권취하기 위한 타원 형상의 트랙벽이 형성되고, 상기 트랙벽은 소정 간격으로 홈이 형성된 봉합사 패키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문헌의 기술은 전체가 타원 형상으로 구성된 트랙벽에 봉합사가 권취되므로 봉합사가 트랙벽에 닿는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봉합사 분배시 봉합사와 트랙벽 사이에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봉합사의 엉킴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 봉합사의 엉키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76,925호에는 판형의 제1 베이스 부재,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제1 외벽부,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내측면에 상호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봉합사를 권취하기 위한 제1 및 제2 권취 지주부, 상기 제1 및 제2 권취 지주부 상단에 형성되어 각 지주부 내로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한 복수개의 날개부 및, 상기 제1 베이스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봉합사에 결합된 바늘을 고정하기 위한 바늘 고정홈, 상기 바늘 고정홈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제1 베이스 부재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바디부와; 판형의 제2 베이스 부재, 상기 제2 베이스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제2 외벽부 및 상기 날개부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개의 개구부를 포함하는 커버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의 내측면과 커버부의 내측면이 대향되어 결합되되, 상기 바늘 고정홈 및 절개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결합된 봉합사 케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의 기술은 두 개의 권취 지주부에 타원형으로 권취된 봉합사가 날개부에 의해 각 지주부 내로 고정될 수 있어 바디부 및 커버부의 결합시 봉합사가 일정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봉합사가 엉킴 없이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풀릴 수 있으나, 형상이 다른 봉합 니들을 함께 수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미국특허 제7,520,382호 미국특허 제6,047,815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576,925호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봉합사와 연결된 니들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니들을 고정할 수 있는 봉합사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니들의 형상이 상이한 2종류의 니들을 함께 고정할 수 있는 봉합사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와 니들의 연결 유무에 관계없이 봉합사를 권취하여 고정할 수 있는 봉합사 케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가 엉킴 없이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풀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늘이 형성된 봉합사의 가시 손상을 최소화하며 실에 대한 메모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봉합사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봉합사 케이스는, 베이스부재와 외벽부를 구비하여 소정 형상의 공간부를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되, 봉합사를 권취하기 위한 소정 높이로 돌출된 2개 이상의 제1 권취부, 상기 제1 권취부의 외곽에 구비되되 상기 외벽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2개 이상의 제2 권취부, 봉합니들을 고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제1 니들고정부 및 봉합니들을 집기 위한 절개부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권취부는 6개 이상으로 가상의 원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권취부는 4개 이상으로 가상의 사각형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사 케이스는, 제1 권취부의 가상의 원형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 권취부의 일측 모서리부와 상기 제1 니들고정부와 연장되는 가상의 일직선상에 1 개 이상의 제1 니들 보조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사 케이스는, 상기 제1 권취부의 가상의 원형 내부에 제2 니들고정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니들고정부와 제2 니들고정부는 각각 4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권취부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보조권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벽부의 소정 위치에는 1개 이상의 절곡된 날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벽부의 소정 위치에는 1개 이상의 단턱면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의 소정 위치에는 1개 이상의 봉합사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봉합사 고정부에는 봉합사를 지지하는 홈부가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케이스는 소정 높이로 돌출된 제1 니들고정부와 제2 니들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어 직선형 니들과 커브형 니들을 선택적 또는 함께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니들고정부가 2개 이상 구비되므로, 봉합사의 양 말단부에 연결된 직선형 니들을 모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케이스는 제1 니들보조고정부를 구비하고 있어 직선형 니들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제1 권취부에 봉합사가 원형으로 권취되므로, 봉합사와 제1 권취부 간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봉합사 분배시 봉합사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봉합사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케이스의 외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봉합사 케이스의 외부측면도이다.
도 3는 도 1의 봉합사 케이스의 외부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봉합사 케이스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봉합사 케이스에 직선형 니들이 부착된 봉합사가 보관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봉합사 케이스에 커브형 니들이 부착된 봉합사가 보관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봉합사가 엉킴 없이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풀릴 수 있고, 또 니들의 형태나 니들의 부착여부에 관계없이 봉합사를 보관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케이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봉합사 케이스의 외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봉합사 케이스의 외부측면도, 도 3은 도 1의 봉합사 케이스의 외부평면도, 도 4는 도 1의 봉합사 케이스의 내부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봉합사 케이스에 직선형 니들이 부착된 봉합사가 보관된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1의 봉합사 케이스에 커브형 니들이 부착된 봉합사가 보관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케이스는 수술용 봉합사를 보관, 운반 및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형상의 공간부를 갖는 몸체부(1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 케이스의 몸체부(100)는 베이스부재(110), 외벽부(120), 제1 권취부(130), 제2 권취부(140), 제1 니들고정부(150), 제2 니들고정부(160), 절개부(170), 제1 니들고정부(210) 및 제2 니들고정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봉합사 케이스를 구성하는 몸체부(100)의 베이스부재(110)는 외벽부(120)와 제1, 2 권취부(130, 140) 등을 형성시켜 봉합사 및/또는 니들이 부착된 봉합사를 권취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바닥면은 대략 편평한 평면이며, 바닥면 테두리를 따라 연장되며 일정 높이를 갖는 외벽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바닥면은 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으나, 커브형 니들과 직선형 니들을 함께 고정 수용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벽부(120)의 높이는 사용자가 한손으로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4 내지 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3mm인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외벽부(120)는 외측으로 절곡된 1개 이상의 단턱면(120a, 120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단턱면(120a, 120b)은 몸체부(100)와 결합되는 커버부(미도시)가 안착될 수 있는 단면을 제공하고, 또 단턱면(120a, 120b)으로 인하여 베이스부재(110)의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손으로 파지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바닥면에는 봉합사를 권취하기 위한 제1 권취부(130)와 제2 권취부(14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권취부(130)와 제2 권취부(140)는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권취부(130)는 소정의 높이와 길이를 가지며 봉합사가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호 일정간격 이격된 최소 2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개 이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권취부(130)는 가상의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봉합사 분배시 봉합사와 제1 권취부(130)간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봉합사의 엉킴을 방지할 수 있고, 또 직선형 니들이나 커브형 니들을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권취부(130)에 봉합사가 원형으로 권취되어 봉합사의 분배 형태를 단순화할 수 있어 종래 8자 형태로 권취된 봉합사의 메모리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권취부(140)는 봉합사에 직선형 니들이 연결된 경우, 직선형 니들이 쉽게 고정되고 또 봉합사의 권취를 용이하도록 도와준다. 도 4 및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권취부(140)는 베이스부재(110)의 외벽부(120)와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제1 권취부(130)의 외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사에 직선형 니들이 연결된 경우, 상기 제1 권취부(130)에 봉합사를 권취한 후 제2 권취부(140)를 경유시키고, 제2 권취부(140)의 모서리부를 통과하는 위치에서부터 직선형 니들(N)을 위치한 후 제1 니들고정부(1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권취부(140)는 베이스부재(110)의 외벽부(120)를 따라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벽부(120)의 모서리 부근에 서로 마주보도록 2개 이상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권취부(140)를 4개 이상으로 구비시키는 경우에는 외벽부(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상의 사각형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외벽부(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제2 권취부(140)를 4개 이상 형성시키면 봉합사의 길이에 크게 구애받지 않으면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봉합사의 길이를 고려하여 상부면에 위치한 2개의 제2 권취부(140)를 이용하거나 또는 4개의 제2 권취부(140)를 이용하여 권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니들고정부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권취부(130)에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보조권취부(13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130, 140)들을 경유하는 길이와 봉합사의 길이가 상이하여 제대로 권취하기 어려운 경우라도, 상기 한 쌍의 제1 보조권취부(130a) 사이를 경유시킴으로써 봉합사의 길이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봉합사를 안정적으로 권취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아울러 상기 외벽부(120)의 소정 위치에는 1개 이상의 절곡된 날개부(1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180)는 제1 권취부(130) 및/또는 제2 권취부(140)에 권취된 봉합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몸체부(100)와 커버부(미도시)가 결합한 경우 권취된 봉합사가 케이스 내에서 일정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봉합사가 엉킴 없이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풀릴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재(110)에는 봉합사와 연결된 니들을 고정하기 위하여 최소 한 종류 이상의 니들고정부가 형성된다.
제1 니들고정부(150)는 상기 제1 권취부(130)의 가상의 원형 내측 및/또는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권취부(140)를 경유한 봉합사와 연결된 직선형 니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직선형 니들(N)이 봉합사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봉합사는 제1 권취부(130) 및 제2 권취부(140)를 경유하게 되고, 이와 연결된 직선형 니들(N)은 다수개의 제1 권취부(130) 공간부 사이를 통과한 후 제1 니들고정부(150)에 고정된다.
여기서, 봉합사의 양측 말단부 모두에 직선형 니들이 연결된 경우라도 니들을 모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니들고정부(150)는 2개 이상인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권취부(130)의 가상의 원형 내부 및/또는 외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 권취부(140)의 일측 모서리부와 상기 제1 니들고정부(150)와 연장되는 가상의 일직선상에 니들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제1 니들 보조고정부(150a)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1 니들 보조고정부(150a)는 직선형 니들이 짧은 경우 더욱 효과적이고, 제1 니들 보조고정부(150a)는 1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직선형 니들이 고정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니들 보조고정부(150a)의 개수를 달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형 니들이 오른쪽 상측에서부터 왼쪽 하측으로 고정되는 경우, 한 개의 제1 니들고정부(150) 전후로 각각 1개씩의 제1 니들 보조고정부(150a)가 구비되는 반면, 직선형 니들이 왼쪽 상측에서부터 오른쪽 하측으로 고정되는 경우에는 니들 보조고정부(150a)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이는 봉합사 사용시 어떠한 니들을 먼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제1 니들 보조고정부(150a)의 구비여부로 암시를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니들 보조고정부(150a)는 1개 이상으로 구비하되, 직선형 니들의 사용 순서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상이한 개수로 형성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니들고정부(150)와 제1 니들 보조고정부(150a)는 직선형 니들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직선형 니들을 강제 끼움식으로 고정하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갖는 절개홈(미도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용도나 목적에 따라 봉합사는 다양한 형태, 즉 니들이 연결 되어 있는 봉합사, 니들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봉합사, 직선형 니들이 연결되어 있는 봉합사, 커브형 니들이 연결되어 있는 봉합사 또는 봉합사의 한쪽 또는 양쪽에 니들이 부착되어 있는 봉합사 등 다양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봉합사 케이스는 특정 형상의 봉합사만 보관할 수 있어, 봉합사의 형태에 따라 봉합사 케이스를 개별적으로 제작하여야 하고 이는 제작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진다.
도 6은 커브형 니들이 부착된 봉합사가 보관된 단면도로서, 제1 권취부(130)의 가상의 원형 내측에는 제2 니들고정부(16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 니들고정부(160)는 커브형 니들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1개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니들고정부(150)와 마찬가지로 니들을 고정할 수 있는 절개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봉합사의 일측은 직선형 니들(N), 타측은 커브형 니들(N)이 연결된 경우라도 보관이 가능하다. 즉 봉합사 일측의 직선형 들(N)은 도 5와 같이 제1 니들고정부(150) 및/또는 제1 니들 보조고정부(150a)에 고정시키고, 타측의 커브형 니들(N)은 도 6과 같이 제2 니들고정부(16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110)의 소정 위치에는 봉합사를 고정하는 1개 이상의 봉합사 고정부(210, 22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봉합사의 일측에만 니들이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봉합사만 권취하여 보관할 경우 매우 유리하다. 상기와 같은 봉합사 고정부(210, 220)는 소정의 폭을 갖는 절개홈(미도시)에 봉합사를 강제 끼움씩으로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봉합사 케이스는 직선형 니들(N), 커브형 니들(N)을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수용 고정하고, 또 니들이 연결되지 않은 봉합사만을 수용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부재(110)의 소정 위치에는 제1 권취부(130)의 가상의 원형 내측에 베이스부재(110)의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17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부(170)는 도 1,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110)의 소정 위치에 사각 형상으로 부분 절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부분 절개된 절개부(170)가 형성됨으로써, 니들 홀더 등의 도구로 봉합 니들을 쉽게 잡을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재(110)의 단면은 폭이 상이한 2개의 사각형이 연결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권취부(130)가 형성된 베이스 부재(110)의 제1폭(A)이 제1 권취부(130) 외부에 형성된 제1 니들고정부(150)가 구비된 제2폭(B) 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베이스부재(110)의 형상은 전술한 외벽부(120) 외측으로 절곡된 1개 이상의 단턱면(120a, 120b)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외벽부(120) 소정위치에 형성된 제1 통공부(190)는 멸균시 가스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베이스부재(110) 소정위치에 형성된 제2 통공부(200)는 봉합사 권취시 작업을 원활하기 할 수 있도록 몸체부(100)를 고정하는 지그와 결합되며, 또 멸균시 가스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몸체부(100)는 봉합사와 니들을 장착시킨 후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몸체부(100)는 통상적으로 성형 가능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일례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의 폴리올레핀 물질 또는 폴리에스테르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 내에 구비되는 봉합사 및 니들은, 통상적인 외과 수술용에서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봉합사는 인체 내에서 일정한 기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분해가 되는 흡수성 외과용 봉합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몸체부(100) 및 커버부(미도시)가 결합된 봉합사 케이스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멸균 처리된 포장지, 일례로 일회용 알루미늄 포장지에 포장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몸체부
110: 베이스부재
120: 외벽부
120a: 제1단턱면 120b : 제2 단턱면
130: 제1 권취부 130a : 제1 보조권취부
140: 제2 권취부
150 : 제1 니들고정부 150a : 제1 니들 보조고정부
160 : 제2 니들고정부
170 : 절개부
180 : 날개부
190 : 제1통공부
200 : 제2통공부
210 : 제1 봉합사고정부
220 : 제2 봉합사고정부
A : 제1폭
B : 제2폭

Claims (11)

  1. 베이스부재(110)와 외벽부(120)를 구비하여 소정 형상의 공간부를 갖는 몸체부(100)를 포함하되,
    봉합사를 권취하기 위한 소정 높이로 돌출된 2개 이상의 제1 권취부(130), 봉합니들을 고정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제1 니들고정부(150) 및 봉합니들을 집기 위한 절개부(170)가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권취부(130) 내부에 제2 니들고정부(1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취부(130)의 외곽에 구비되되 상기 외벽부(120)와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소정 높이로 돌출된 2개 이상의 제2 권취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취부(130)는 6개 이상으로 가상의 원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제2 권취부(140)는 4개 이상으로 가상의 사각형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취부(130)의 가상의 원형 내부 및/또는 외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2 권취부(140)의 일측 모서리부와 상기 제1 니들고정부(150)와 연장되는 가상의 일직선상에 1 개 이상의 제1 니들 보조고정부(150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니들고정부(150)와 제2 니들고정부(160)는 각각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
  7.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권취부(130)는 소정의 각도로 절곡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1 보조권취부(13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
  8.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120)의 소정 위치에는 1개 이상의 절곡된 날개부(1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
  9.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120)의 소정 위치에는 1개 이상의 단턱면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
  10.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소정 위치에는 1개 이상의 봉합사 고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고정부에는 봉합사를 지지하는 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케이스.


















KR1020160089942A 2016-07-15 2016-07-15 봉합사 케이스 KR101792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42A KR101792076B1 (ko) 2016-07-15 2016-07-15 봉합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42A KR101792076B1 (ko) 2016-07-15 2016-07-15 봉합사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076B1 true KR101792076B1 (ko) 2017-11-01

Family

ID=60382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942A KR101792076B1 (ko) 2016-07-15 2016-07-15 봉합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397A (ko) 2019-02-18 2020-08-26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사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5876A (ja) 2003-01-15 2004-08-05 Iken Kogyo:Kk 針付き縫合糸の包装用支持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5876A (ja) 2003-01-15 2004-08-05 Iken Kogyo:Kk 針付き縫合糸の包装用支持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397A (ko) 2019-02-18 2020-08-26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사 케이스
WO2020171432A3 (ko) * 2019-02-18 2020-11-19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사 케이스
KR102271460B1 (ko) * 2019-02-18 2021-06-30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사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88833C (en) Suture packaging
JP4480575B2 (ja) 縫合糸保持パッケージ
US6135272A (en) Package for sutures
US3857484A (en) Suture package
US3444994A (en) Suture package
US20070227914A1 (en) Suture package
US4549649A (en) Unitary armed suture mounting board
US5704469A (en) Suture tray package having grooved winding surface
JP5503455B2 (ja) 内部縫合糸パッケージ
EP2205163B1 (en) Suture packaging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9706989B2 (en) Medical suture package
JP2010082463A (ja) 縫合糸パッケージング
US6644469B2 (en) Large needle oval wound plastic suture package
ES2535107T3 (es) Paquetes de bandeja de suturas
KR101792076B1 (ko) 봉합사 케이스
US20180206842A1 (en) Suture carri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same
KR101576925B1 (ko) 봉합사 케이스
KR102271460B1 (ko) 봉합사 케이스
CA3025214C (en) Package for sutures and needles
CA1232876A (en) Unitary armed suture mounting board
WO2022058250A1 (en) Article, method for producing a knotting device for the article, method for producing an article and method for forming and tightening a kn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