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602B1 - Multi-tap - Google Patents

Multi-t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602B1
KR101791602B1 KR1020160160366A KR20160160366A KR101791602B1 KR 101791602 B1 KR101791602 B1 KR 101791602B1 KR 1020160160366 A KR1020160160366 A KR 1020160160366A KR 20160160366 A KR20160160366 A KR 20160160366A KR 101791602 B1 KR101791602 B1 KR 101791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electronic product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3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상우
Original Assignee
손상우
(주)그린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상우, (주)그린환경산업 filed Critical 손상우
Priority to KR102016016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6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6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ulti-tap capable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facilitating the insertion of a plurality of electronic product plugs. More particularly, the multifunctional multi-tap includes: a power lin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nnected to a socket to receive external power; a body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line and detachably attached to office supplies; a plurality of power applying par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to be drawn out of or stored inside the body part to the outside, having at least two or more electronic product plugs inserted to apply external power to an electronic product; and a control part for shutting off the external power applied to the power applying part so as to shut off the preliminary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power applying part.

Description

다기능 멀티탭{MULTI-TAP}Multifunctional multi-tap {MULTI-TAP}

본 발명은 안전사고 방지는 물론, 다수의 전자제품 플러그가 삽입되기 용이한 다기능 멀티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multi-tap which is easy to insert a plurality of electronic product plugs as well as safety accident prevention.

멀티탭은 건물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와 각종 전기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된 콘센트에 연결하여 여러 개의 전기 기구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기구이다. A multi-tap is a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outlet installed on a building wall to various electric devices, and is a device that allows a plurality of electric devices to be simultaneously used by being connected to a fixed outlet.

멀티탭은 일측면에 다수개의 전기 플러그 삽입홈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가전 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23842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multi-tap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ectric plug insertion grooves on one side thereof and is used to supply electricity to a plurality of household appliances. The background technology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3-0023842.

일반적으로 멀티탭은 여러 개의 전기 플러그를 동시에 꽂을 수 있도록 다수개의 플러그 삽입홈이 바디의 일측면에 다수개 배치된다.In general, a plurality of plug insertion grooves are disposed on one side of a body so that a plurality of electric plugs can be inserted simultaneously.

그러나, 종래의 멀티탭은 전기 플러그를 꽂아 사용하다보면 인접 플러그에 간섭을 받아 사용하기가 매우 불편한 점이 있어 플러그의 방향을 엇갈리게 배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전기 플러그의 형상 또는 크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플러그에 간섭을 받게 되는 불편함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ulti-tap is very inconvenient to use due to the interference with the neighboring plug when the plug is used by inserting the plug, the direction of the plug is used in a staggered arrangement. However, due to the variety of shapes or sizes of electrical plugs, the inconvenience of interference with adjacent plugs remained.

또한 전기 플러그를 삽입하는 플러그 삽입홈이 외부로부터 항시 개방된 상태를 가지고 있어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lug insertion groove for inserting the electric plug has a state in which it is always open from the outside, so tha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enters and causes a safety accident such as a fire or the lik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기 플러그의 형상에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다수의 전기 플러그를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탭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tap capable of using a plurality of electric plug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hape of the electric plug.

또한 항시 개방상태인 플러그 삽입홈을 필요시에만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물질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is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a foreign matter by allowing the plug insertion groove, which is always open, to be opened only when necessary.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멀티탭은 소정길이를 갖되 콘센트와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인가받는 전원선과, 상기 전원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사무용품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또는 수납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제품 플러그가 삽입되어 상기 전자제품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다수의 전원인가부 및 상기 전원인가부에 삽입된 상기 전자제품의 예비전력을 차단할 수 있게 상기 전원인가부로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각각의 상기 전원인가부는 상기 몸체부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전기제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자 하는 전원인가홈이 형성된 수납체, 상기 수납체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상기 전자제품에 인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극판, 상기 수납체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수몸체가 상기 몸체부에서 인출 또는 수납시에 상기 몸체부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전극판이 전기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functional multi-tap comprising: a power supply lin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connected to an outlet to receive external power; a body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power supply line; A plurality of power applying unit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and being capable of being drawn out or stored outwar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and having at least two or more plugs of the electronic appliances inserted therein to apply external power to the electronic appliance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unit to shut off the external power a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so as to cut off the preliminary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inserted into the body,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product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An electrode plate provided in the housing body and adapted to apply external power applied through the body portion to the electronic product, an electrode plat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And a switch that is pressurized by the body when the lead-in or lead-out is performed so that the electrode plate can be electrically activated or deactivated.

또한 상기 몸체부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면에는 상기 전원인가부가 인출 또는 수납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출입공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전원선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전원선을 통해 인가되는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인가부에 인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원인가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전원인가부가 상기 출입공 외부로 인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수납시에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는 누름돌기가 돌출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body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has a body formed with at least two outlets for receiving or accommodating the power application unit,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ower line, And a pus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dy for pushing the switch when the power applying unit is pulled out of the access hole or housed inside the body is protruded from the bod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납체 내부에 구비되는 수신부 및 상기 몸체부 외부에서 원격으로 상기 수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receiver for receiving the signal from the receive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receiver remotely from the outside of the receiver.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에 형성된 출입공을 통해 인출/수납 가능한 수납체가 전자제품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품에 전원을 인가시에만 외부로 인출되어 전원인가홈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원인가홈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안정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capable of being drawn out / stored through an access hole formed in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and only when the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product, the power supply groove is open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또한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삽입설치된 수납체의 상면이나 하면에 전원인가홈을 형성하여 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러그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상관없이 각각 수납체에 삽입시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a power supply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which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body in a plurality of lengthwise directions, so that the plug of the electronic appliance can be connected.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멀티탭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멀티탭의 출원단자와 전원인가단자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멀티탭의 측면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멀티탭의 수납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멀티탭의 사용상태도.
1 illustrates a multi-function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movement of an application terminal and a power application terminal of a multifunctional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4 is an enlarged side view of a multi-function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using of a multi-function multi-ta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use state diagram of a multi-function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멀티탭(이하, 간략하게 '멀티탭'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ulti-function multi-ta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1)은 크게 전원선(100), 몸체부(200), 전원인가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1, the multi-tap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upply line 100, a body 200, a power applying unit 300, and a controller 400.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원선(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몸체부(200)에 외부전원을 인가하여 전자제품(E)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입력단자(110) 및 출력단자(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ower supply line 100 supplies power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product E by applying external power to the body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ncludes an input terminal 110 and an output terminal 120.

예컨대 입력단자(110)는 소정길이를 갖는 전원선(100) 일단에 형성되며, 220V나 110V 전용 콘센트와 결합하여 상기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전자제품(E)에 인가시키기 위한 통상의 플러그(일명 돼지코)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example, the input terminal 1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ower supply line 1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nnected to a 220V or 110V exclusive socket, (Aka pig nos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출력단자(120)는 전원선(100) 타단에 형성되며, 후술하는 전원인가단자(211)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입력단자(110)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인가단자(211)를 거쳐 각각의 전원인가부(300)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전원선(100)과 몸체부(200)를 따로 보관하거나 필요에 따라 길이가 다른 전원선(100)을 별도 구매하여 몸체부(200)와 콘센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output terminal 1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ower supply line 10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211 described later so that an external power suppli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110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211 The user can separately store the power supply line 100 and the body unit 200 or separately purchase the power supply line 100 having different lengths according to need, So that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ocket 200 and the receptacle.

아울러 출력단자(120)는 전원인가단자(211) 내부에서 소정거리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output terminal 120 is installed to be movable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power applying terminal 211.

예컨대 콘센트와 연결된 전원선(100)이 바닥에 늘어져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실수로 상기 전원선(100)에 발이 걸려 콘센트와 연결된 입력단자(110) 또는 전원인가단자(211)와 연결된 출력단자(120)가 이탈하여 본 발명인 멀티탭(1)을 통해 연결된 모든 전자제품이 일시에 전원인가가 중단되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ower supply line 100 connected to an outlet is used in a state of being laid on the floor, a user may accidentally step on the power supply line 100 and an input terminal 110 connected to the outlet or an output terminal 120 are disconnected, all the electronic products connected through the multi-tap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at a time, resulting in inconvenience to the user.

하여, 출력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인가단자(211)가 일정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발에 의해 전원선(100)이 걸려도 전자제품에 인가하고자 하는 전원이 차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power supply terminal 21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20 can be moved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power supply to be applied to the electronic product is not blocked even if the power supply line 100 is caught by the user's foot will be.

이를 위해, 전원인가단자(211)는 몸체(210) 내부에 형성된 이동홈(24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전원인가단자(211) 상부 또는 하부에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출력단자(1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한다.A power supply terminal 211 is movably installed along a moving groove 240 formed in the body 210. A stopper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r a lower portion of the power supply terminal 211 to connect the output terminal 120 So that the movement distance can be limited.

아울러 전원인가단자(211) 내부에는 출력단자(120)가 일정거리 이동한 이후에도 전원이 지속적으로 전자제품에 인가될 수 있도록 관 형태의 전원인가관(241)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tube-shaped power supply pipe 241 is formed in the power supply terminal 211 so that power can be continuously applied to the electronic product even after the output terminal 120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그리고, 상기 몸체부(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다수의 전원인가부(300)가 개별적으로 인출가능하도록 수납되되 상술한 전원선(100)에 의해 콘센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전원이 각각의 전원인가부(300)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의자, 책상 등과 같은 사무용품(D)이나 벽면 등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부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몸체(210) 및 부착판(2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body part 200 is accommodated such that a plurality of power applying units 30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taken out individually, So that external power can be applied to the respective power applying units 300,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attached to the office supplies D such as a chair, a desk or the like, And includes a body 210 and an attachment plate 230.

예컨대 몸체(210)는 전체적으로 기둥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외면에는 출력단자(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인가단자(211) 및 수납체(310)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출입공(212)의 구성을 포함한다.For example, the body 210 is formed to have a columnar shape as a whole, and a power supply terminal 21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120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0, and a configuration of the inlet / .

전원인가단자(211)는 몸체(210) 외면에 형성되되 출력단자(120)와 전기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한다.The power applying terminal 211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10 and electrically coupled to the output terminal 120 in a detachable manner.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원인가단자(211)는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 등이 상기 전원인가단자(211)에 유입되지 않게 미사용시에는 개폐가능한 커버(미도시)가 몸체(210)에 형성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a cover (not shown),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when the power supply terminal 211 is not in use, is formed in the body 210 so tha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do not flow into the power supply terminal 211, .

출입공(212)은 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되되 내부에 수납된 수납체(31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The access holes 212 ar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210 so that the accommodating body 310 housed therein can be drawn out to the outside.

예컨대 출입공(212)은 수납체(31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몸체(210)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납체(310)가 몸체(210)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항시 개방된 입구(213)와 상기 입구(213) 양측이 개방되어 출입공(212) 내부에 삽입된 수납체(310)를 외부로 인출시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측면개방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let hole 212 is formed in the body 210 so as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receptacle 310, and is opened at all times so that the receptacle 310 can be drawn out of the body 210 The side openings 214 are opened to allow the user to easily grasp and pull out the accommodating body 310 inserted into the inlet and outlet holes 212 when the inlet 213 and the inlet 213 are opened. Can be formed.

아울러 입구(213)와 측면개방부(214)의 경계를 이루는 지지기둥(215)에는 상기 입구(213) 방향으로 누름돌기(216)가 돌출형성되어 출입공(212) 내부에서 외부로 수납체(310)를 인출시에 상기 수납체(310) 측면에 형성된 스위치(320)가 가압되어 전극판(312)이 온(ON) 상태를 갖게 전기적으로 활성화한다.A pushing protrusion 216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inlet 213 on the support pillar 215 forming the boundary between the inlet 213 and the side opening 214 so that the pushing protrusion 216 protrudes from the inside of the inlet / The switch 320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310 is pressed to electrically activate the electrode plate 312 so that the electrode plate 312 is ON.

나아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외부로 인출된 수납체(310)를 다시 출입공(212) 내부로 수납시에는 누름돌기(216)가 동일방법에 의해 다시 스위치(320)를 가압하여 전극판(312)이 오프(OFF) 상태를 가질 수 있게 전기적으로 비활성화시킨다.The pushing protrusion 216 presses the switch 320 again by the same method to return the accommodating body 310 to the outside of the electrode plate 312, Is electrically deactivated so as to have an OFF state.

따라서, 단순히 수납체(310)를 출입공(212)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또는 수납하는 동작만으로도 신속하게 전극판(312)을 전기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가 되도록 함으로써, 편리한 멀티탭(1)의 사용이 이루어지게 된다.(도 5 참조)Therefore, the electrode tab 312 can be electrically activated or deactivated promptly by simply pulling out or storing the receptacle 310 from the inside of the access hole 212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nvenient use of the multi-tab 1 is achieved (See FIG. 5)

이때, 누름돌기(216)는 반원 형상을 갖도록 돌출형성되어 수납체(310)와 접촉시에 상기 수납체(310)는 물론, 스위치(320)의 손상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ushing protrusion 216 is protruded to have a semicircular shape so as to prevent damage or breakage of the switch 320 as well as the accommodating body 310 when the pushing protrusion 216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ccommodating body 310 Do.

또한 출입공(212) 내부에 위치하는 몸체(210)의 상/하면에는 각각 수납체(310)의 가이드홈(313)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체(310)가 출입공(212)을 통해 인출 또는 수납시에 용이하게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217)가 돌출형성된다.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210 located inside the access hole 212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313 of the accommodating body 310 so that the accommodating body 310 can be drawn out through the access hole 212, Guide protrusions 217 are protrud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guided and moved at the time of storage.

이때, 가이드홈(313)은 수납체(310)가 몸체(210) 외부로 인출시에 상기 수납체(310)가 몸체(210)에 걸리도록 하여 인출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groove 313 is formed with a stopper that restricts the pull-out distance so that the housing body 310 is hooked on the body 210 when the housing body 310 is pulled out of the body 210 .

부착판(230)은 몸체(210)에 형성된 삽입공(221)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공기흡착방식으로 사무용품(D)이나 벽면에 몸체(210)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부착될 수 있게 하며, 통상의 공기흡착방식이나 접착력에 의해 접착방식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도 6 참조)The attachment plate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insertion hole 221 formed in the body 210 so that the body 210 can be attached to the office supply D or the wall surface in an air- , And any one of bonding methods can be used by a normal air suction method or an adhesive force (see FIG. 6).

아울러 삽입공(221)은 몸체(210)의 측면,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한 곳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부착판(230)에 의해 상기 몸체(210)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At least one of the insertion holes 221 is formed on one of the side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0 so that the body 210 can be installed in the lateral or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attachment plate 230.

따라서, 사용자는 부착판(230)을 통해 본 발명인 멀티탭(1)이 항시 육안으로 식별될 수 있는 위치(즉, 전자제품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여 전원인가부(300)와 전자제품(E) 간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install the multi-tap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a position where the multi-tap 1 can be visually recognized at all times (i.e., close to the electronic product) through the attachment plate 230, (E).

그리고, 상기 전원인가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몸체(210)에 다수 형성된 출입공(212)에 각각 외부로 인출되거나 또는 수납 가능하도록 구비되되 전원인가단자(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인가단자(211)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전자제품(E)에 인가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납체(310) 및 스위치(3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ower applying uni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outlets 212 formed in the body 210, (310) and a switch (320) in a configura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211) to apply external power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211) to the electronic product .

예컨대 수납체(310)는 전체적으로 정/직육면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각각의 출입공(212) 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의 수납체(310)는 전원인가홈(311), 전극판(312), 가이드홈(313) 및 손잡이(314)를 포함한다.For example, the housing 310 is formed to have a generally rectangular /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can be slidably received in the respective entry / exit holes 212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A groove 311, an electrode plate 312, a guide groove 313, and a handle 314.

아울러 수납체(31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전원인가홈(311)에 삽입되는 전자제품(E)의 플러그 형상이나 크기 등에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게 상기 플러그가 상기 전원인가홈(3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몸체(210) 길이방향을 중심으로 사방(전/후/좌/우)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수납체(3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전원인가홈(311)을 형성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receptacle 310 is provided with the power supply groove 311 and the power supply recess 311 so that interference does not occur with the plug shape and size of the electronic product E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groove 311 (Front / rear / left /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21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body 310, And a groove 311 is formed.

전원인가홈(311)은 수납체(310)에 형성되어 전자제품(E)의 플러그가 삽입시에 전극판(3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The power supply groove 311 is formed in the accommodating body 310 so that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plate 312 when inserting the plug.

전극판(312)은 전원인가단자(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수납체(310) 내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전원인가단자(211)에서 인가되는 외부전원이 전원인가홈(311)에 결합하는 전자제품(E)의 플러그를 통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The electrode plate 312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31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applying terminal 211. An external power source applied from the power applying terminal 211 is coupled to the power applying groove 311 And can be applied through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E).

가이드홈(313)은 상술한 가이드돌기(217)와 대응하는 위치의 수납체(310)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17)가 내부에 삽입되어 출입공(212)에 수납된 수납체(310)가 외부로 인출되거나 다시 상기 출입공(212) 내부로 수납되기 위해 슬라이드 이동시에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The guide groove 313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body 31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217 described above and the guide protrusion 217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12 The storage body 310 can be stably moved at the time of slide movement so as to be drawn out to the outside or stored inside the entrance hole 212 again.

손잡이(314)는 수납체(310) 전면 또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출입공(212) 내부로 수납된 상기 수납체(31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인출 또는 수납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handle 314 may be formed on the front or both sides of the housing 310 and may be used by the user to easily hold the housing 310 accommodated in the access hole 212 for drawing or storing .

또한 스위치(320)는 수납체(310)가 인출 또는 수납시에 지지기둥(215)에 형성된 누름돌기(216)에 의해 가압되어 전극판(312)이 전기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도리 수 있도록 수납체(31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The switch 320 is pressed by the pushing protrusion 216 formed on the support pillar 215 when the receptacle 310 is pulled out or retracted so that the electrode plate 312 is electrically activated or deactivated, 310, respectively.

이때, 스위치(320)는 전원인가홈(311)이 몸체(210) 외부로 전부 노출된 이후에 누름돌기(216)에 의해 스위칭 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체(310) 측면 후방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출입공(212)에 완전히 수납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파지시에 스위치(320)를 가압하지 못하도록 측면개방부(214)에 형성된 가림판(218)에 의해 몸체(210) 외부로부터 가려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witch 320 is installed close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310 so that the switch 320 can be switched by the pushing protrusion 216 after the power supply groove 311 is complete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210, The cover 320 can be shielded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210 by the cover plate 218 formed in the side opening portion 214 so that the user can not press the switch 320 when the user holds the switch 320. [ .

아울러 스위치(320)는 수납체(310) 내부에 형성된 램프 등과 같은 발광소자(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수납체(310)가 출입공(212) 외부로 인출시에 발광하여 사무용품(D)에 부착한 상태에서 조명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switch 3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330 such as a lamp formed inside the housing 310 so that the housing 310 emits light when the housing 310 is drawn out of the access hole 212, It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lighting.

그리고,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원격으로 수납체(3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예비전류에 따른 에너지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신부(410), 컨트롤러(4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receiving unit 410 and a controller 420 to prevent a waste of energy due to a preliminary current by controlling a power source applied to the housing 310 remotely by a user .

수신부(410)는 각각의 수납체(310) 내부에 설치되며, 컨트롤러(4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320)에서 전극판(312)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회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ceiving unit 41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housings 310 so that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312 from the switch 320 can be blocked in a circuit by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20.

컨트롤러(420)는 통상의 리모컨을 의미하며, 각각의 수납체(310)에 구비된 수신부(410)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roller 420 refers to a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and allows the receiving units 410 provided in the respective receptacles 310 to be individually controlled.

예컨대 컨트롤러(420)는 각각의 수신부(410)가 갖는 서로 다른 고유정보와 일치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다수의 수신부(410)가 일괄적으로 제어되지 않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420 transmits a control signal coinciding with the unique information of each receiving unit 410 so that the plurality of receiving units 410 are not collectively contro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탭(1)의 작동 및 작용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multi-tap 1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센트에 전원선(100)의 입력단자(110)를 연결하고, 출력단자(120)는 몸체(210)에 형성된 전원인가단자(211)에 삽입하여 외부전원이 몸체(210)로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1, an input terminal 110 of a power supply line 100 is connected to an outlet, and an output terminal 120 is inserted into a power supply terminal 211 formed in the body 210, To be applied to the body (210).

그 다음, 부착판(230)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책상 등과 같은 사무용품(D)이나 벽면에 부착하여 고정한 후, 출입공(212) 내부에 수납된 수납체(310) 양 측면을 파지하여 상기 출입공(212) 외부로 인출한다.Then, after attaching and fixing to the office supplies D such as a user's desk or the wall surface using the attachment plate 230 and then fixing the two sides of the accommodating body 310 received in the access hole 212, (212).

이때, 수납체(310) 외면에 형성된 스위치(320)는 인출과 동시에 지지기둥(215)에 돌출형성된 누름돌기(216)의 가압에 의해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 전극판(312)에 외부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발광소자(330)를 발광시켜 특히, 야간에 조명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witch 3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is electrically activated by the pushing protrusion 216 protruding from the support pillar 215, and the external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312 At the same time, the light emitting device 330 emits light so that it can be used as an illumination substitute, especially at night.

마지막으로 외부로 인출된 수납체(310) 상면이나 하면에 형성된 전원인가홈(311)에 전자제품(E)의 플러그를 삽입시켜 전극판(312)에 인가된 외부전원이 전자제품(E)으로 인가되어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A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E is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groove 3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body 310 drawn out to the outside and external power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312 is supplied to the electronic product E So that it can operate.

아울러 사용자는 전원인가홈(311)에 플러그가 삽입된 전자제품(E)을 미 동작시에 예비전류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컨트롤러(420)를 통해 해당 전자제품(E)의 플러그가 삽입된 수납체(310)의 수신부(410)를 원격으로 제어하여 전극판(312)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user inserts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E through the controller 420 so as to prevent energy waste due to the preliminary current when the electronic product E in which the plug is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groove 311 is not operat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nergy loss by remotely controlling the receiving portion 410 of the inserted housing 310 to cut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de plate 312.

이때, 컨트롤러(420)의 제어신호는 발광소자(330)의 소등에 의해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회로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42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control signal by turning off the light emitting element 330.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멀티탭(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210)에 형성된 출입공(212)을 통해 인출/수납 가능한 수납체(310)가 전자제품(E)과 연결되어 상기 전자제품(E)에 전원을 인가시에만 외부로 인출되어 전원인가홈(311)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원인가홈(311)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안정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multi-tap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and is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E through a receiving hole 212 formed in the body 210, The power supply groove 311 can be opened only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electronic product E so as to block the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power supply groove 311, Effect.

또한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몸체(210)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삽입설치된 수납체(310)의 상면이나 하면에 전원인가홈(311)을 형성하여 전자제품(E)의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러그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상관없이 각각 수납체(310)에 삽입시켜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 power supply groove 3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body 31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and is inserted into the body 210 in the lengthwise direction so that the plug of the electronic product E can be connected, The power source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310 regardless of the shape or the size of the housing 310. [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bu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f you are a person, you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1: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멀티탭
100: 전원선 110: 입력단자
120: 출력단자 200: 몸체부
210: 몸체 211: 전원인가단자
212; 출입공 213: 입구
214: 측면개방부 215: 지지기둥
216: 누름돌기 217: 가이드돌기
218: 가림판 220: 덮개
230: 부착판 300: 전원인가부
310: 수납체 311: 전원인가홈
312: 전극판 313: 가이드홈
314: 손잡이 320: 스위치
330: 발광소자 400: 제어부
410: 수신부 420: 컨트롤러
1: Multifunctional multi-tap
100: power line 110: input terminal
120: output terminal 200:
210: body 211: power supply terminal
212; Entrance hall 213: entrance
214: side opening part 215: supporting column
216: pushing projection 217: guide projection
218: Screening plate 220: Cover
230: Attachment plate 300: Power supply unit
310: housing body 311: power supply home
312: electrode plate 313: guide groove
314: Handle 320: Switch
330: light emitting device 400:
410: Receiving unit 420: Controller

Claims (3)

소정길이를 갖되 콘센트와 연결되어 외부전원을 인가받으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입력단자(110) 및 출력단자(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원선(100);
상기 전원선(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사무용품(D)과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몸체부(20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 또는 수납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전자제품(E) 플러그가 삽입되어 상기 전자제품(E)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는 다수의 전원인가부(300); 및
상기 전원인가부(300)에 삽입된 상기 전자제품(E)의 예비전력을 차단할 수 있게 상기 전원인가부(300)로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단자(120)는 전원인가단자(211)의 내부에서 소정거리 이동가능하도록 전원인가단자(211)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각각의 상기 전원인가부(300)는
상기 몸체부(200) 내부에서 외부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전자제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자 하는 전원인가홈(31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200)의 길이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사방에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되, 각각 개별적으로 인출되는 수납체(310), 상기 수납체(310)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200)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상기 전자제품(E)에 인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극판(312), 상기 수납체(310) 외면에 형성되되 상기 수납체(310)가 상기 몸체부(200)에서 인출 또는 수납시에 상기 몸체부(20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전극판(312)이 전기적으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위치(32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200)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면에는 상기 전원인가부(300)가 인출 또는 수납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출입공(212)이 형성된 몸체(210); 및
상기 전원선(100)과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되 상기 전원선(100)을 통해 인가되는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인가부(300)에 인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전원인가단자(211);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210)는 상기 전원인가부(300)가 상기 출입공(212) 외부로 인출되거나 또는 내부로 수납시에 상기 스위치(320)를 가압하는 누름돌기(216)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수납체(310) 내부에 구비되는 수신부(410) 및 상기 몸체부(200) 외부에서 원격으로 상기 수신부(41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멀티탭.
A power supply line 10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being connected to an outlet to receive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including an input terminal 110 and an output terminal 120 for supplying power;
A body part 2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line 100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office supplies D;
At least two or more electronic product (E) plugs are insert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or stored from the inside of the body part (200) to the outsid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dy part (200) A plurality of power application units 300 for a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And
And a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external power applied to the power applying unit (300) so as to cut off the preliminary power of the electronic product (E) inserted into the power applying unit (300)
The output terminal 1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ower applying terminal 211 so as to be movable a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power applying terminal 211,
Each of the power application units 300
A power supply groove 311 to be slidable outwardly from the inside of the body 200 an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roduc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body 200, And an external power source which is provided in the housing 310 and is applied through the body part 200 to the electronic product E, And an electrode plate 312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to allow the housing body 310 to be detached from the body 200 by the body 200 when the body 310 is taken out or stored in the body 200. [ And a switch (320) provided so that the electrode plate (312) can be electrically activated or deactivated,
The body portion 200
A body 210 having a columnar shape and having at least two outlets 212 through which the power application unit 300 can be drawn out or stored; And
And a power supply terminal 211 detachably coupled to the power supply line 100 and adapted to be a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300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100,
The body 210 is formed with a pushing protrusion 216 for pushing the switch 320 when the power applying unit 300 is drawn out of the access hole 212 or stored therein,
The control unit 400
And a controller (420) for controlling the receiver (410) remotely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art (20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60366A 2016-11-29 2016-11-29 Multi-tap KR1017916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366A KR101791602B1 (en) 2016-11-29 2016-11-29 Multi-t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366A KR101791602B1 (en) 2016-11-29 2016-11-29 Multi-ta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602B1 true KR101791602B1 (en) 2017-11-20

Family

ID=6080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366A KR101791602B1 (en) 2016-11-29 2016-11-29 Multi-ta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602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8392B1 (en) Arrangement for energized rail for movable sockets
US10736189B2 (en) Modularized light system, control module thereof and power module thereof
KR100991709B1 (en) Automatic in and out apparatus of multi concent
JP5827761B2 (en) Multi-outlet convenient for organizing excess parts of cables connected to electrical products
KR101310351B1 (en) Cutoff plug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KR101791602B1 (en) Multi-tap
KR20110065800A (en) (multi-tap concentic plug)
KR20160142688A (en) An ac and dc complex outlet
KR100838147B1 (en) Exposure type outlet box for apartment house
JP2011146328A (en) Distribution equipment
KR101268527B1 (en) 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power saving of push type
KR101376132B1 (en) Multi-outlet device for controlling standby power of electric applliances by using remote controller
ITPO20090012A1 (en) INTELLIGENT EXTINGUISHING DEVICE FOR MULTIPLE SOCKETS
KR20160142707A (en) An ac and dc complex outlet
KR101626608B1 (en) Layed type outlet box of apartment house
KR20210035432A (en) Automatic in and out apparatus of Multi Concent
KR101232820B1 (en) Power control apparatus
US20160181750A1 (en) Electrical Extension Cord with Remote Power Control
KR20160026414A (en) Multifunctional cord reel consent
KR101513141B1 (en) A outlet structure of power saving
KR20170024738A (en) Automatic in and out apparatus of Multi Concent
KR101657193B1 (en) Emergency switching box for building
KR101502814B1 (en) Multitap
KR20130004175U (en) plug
KR20150097881A (en) 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intercepting standby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