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357B1 - Dishwasher - Google Patents

Dish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357B1
KR101791357B1 KR1020160134894A KR20160134894A KR101791357B1 KR 101791357 B1 KR101791357 B1 KR 101791357B1 KR 1020160134894 A KR1020160134894 A KR 1020160134894A KR 20160134894 A KR20160134894 A KR 20160134894A KR 101791357 B1 KR101791357 B1 KR 101791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overflow pipe
disposed
ove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8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영일
Original Assignee
송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일 filed Critical 송영일
Priority to KR102016013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3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3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7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 A47L15/007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of non-domestic use type, e.g. commercial dishwashers for bars, hotels, restaurants, canteens or hospitals with a plurality of fluid recirculation arrangements, e.g. with separated washing liquid and rinsing liquid recirculation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체부와,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식기를 지지하는 선반부와, 사용수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와,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의 사용수를 상기 식기에 각각 분사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부와,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유닛을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오버플로우 유닛은 해당사용수 탱크의 저부의 물을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여 침전물을 배출시킨다. 오버플로우관은 배수수단으로 제공되는 소켓부 내에서 배수 밸브와 결합되고, 탱크 저부의 사용수를 오버플로우하기 위한 유입공을 하부에 구비한다.At least one spraying portion arranged to spray the use water of one or more of the use water tanks to the tableware,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spraying portion And an overflow unit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use water tanks. The overflow unit includes an overflow pipe arranged to discharge the water at the bottom of the service water tank, thereby discharging the deposit. The overflow pipe is connected to a drain valve in a socket portion provided as a drain means and has an inflow hole at the bottom for overflowing the number of used tanks.

Description

식기 세척기{DISHWASHER}Dishwasher {DISHWASHER}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용된 사용수의 청결도가 향상되는 사용수 저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d water storage device and a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in which cleanliness of received water is improved.

설거지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식기 세척기가 개발되어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선반 또는 랙에 식기를 얹은 상태에서 노즐을 이용하여 세척수 및/또는 헹굼수를 강하게 분사하여 식기의 세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가정용이나 업소용이 모두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나, 통상 대량의 식기가 사용되는 업소에서는 거의 필수적인 장비이다.Dishwasher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automatically perform washing dishes. Generally, the dishwasher performs cleaning of dishes by strongly spraying wash water and / or rinse water by using a nozzle while a tableware is placed on a shelf or a rack. Such a dishwasher has been developed for both home use and commercial use, but it is almost indispensable in shops where a large amount of tableware is used.

통상, 식기 세척지는 애벌 세척을 한 식기를 선반에 배열한 상태에서 세척 노즐과 헹굼 노즐을 순차로 가동시켜서 세척과 헹굼을 행한다. 이렇게 세척과 헹굼을 하기 위한 사용수는 각각 세척수 탱크와 헹굼수 탱크에 일정량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연속적인 세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Normally, the dishwasher sequentially rinses the washing nozzle and the rinsing nozzle in a state in which the tableware having been subjected to the avalanche cleaning is arranged on the shelf, thereby performing washing and rinsing. The water used for washing and rinsing can be continuously washed by maintain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in the washing water tank and the rinse water tank, respectively.

상술한 세척수 및 헹굼수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도어부가 마련되어 선반, 분사노즐, 사용수 탱크 상부 등을 커버하게 되고, 그로 인해 분사에 사용된 사용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된다. 세척수 탱크에는 망이 배치되어 세척 또는 헹굼 과정에서 사용된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세척수 탱크로 유입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세척수 탱크에 수용된 세척수는 주기적으로 배출하여 청결한 수질이 유지되도록 한다.A door for forming the chamber in which the washing water and the rinsing water are sprayed is provided to cover the shelf, the spray nozzle,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tank, and the like, so that the water used for spraying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The washing water tank is provided with a net so that the washing water or rinse water used in the washing or rinsing process flows into the washing water tank to be reused. Of course,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wash water tank is periodically discharged to maintain clean water quality.

사용수 탱크들은 지하수나 수돗물을 공급받아서 일정량을 저장한 상태로 이용한다. 특히, 헹굼수 탱크의 헹굼수는 상대적으로 더 청결한사용수가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지속적 또는 주기적으로 오버플로우 시켜서 청결도를 유지한다.Use water tanks are supplied with ground water or tap water and use a certain amount of water stored. In particular, the rinse water of the rinse water tank maintains cleanliness by continuously or periodically overflowing, since relatively clean usage water must be used.

그런데, 기존의 식기 세척기들은 헹굼수 탱크에 수용된 헹굼수 또는 사용수가 매우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이 지나면 불순물이 생성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헹굼수 탱크에 수용된 사용수를 오버플로우시켜서 배출하는 메커니즘을 채택하고 있으나, 하부의 침전물들은 오버플로우 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그대로 잔류하여 수질이 저하된다. 이러한 침전물들은 지하수에서 많이 발생하는 스케일 등이 쌓이는 것으로서, 헹굼수 분출을 위한 펌프나 배관에도 퇴적되어 막힘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However, although the conventional dishwashers must maintain the rinsing water or the used water contained in the rinsing water tank in a very clean state, there is a problem that impurities are generat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echanism for overflowing the used water accommodated in the rinse water tank is adopt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lower sediments are difficult to overflow and thus remain as they are and the water quality is lowered. These sediments accumulate on the scale, which is often generated in the groundwater, and accumulate on pumps and piping for rinse water ejection to cause clogging.

한국특허출원 10-2006-0138987Korean Patent Application 10-2006-0138987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수용된 사용수의 청결도를 높일 수 있는 사용수 저장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provides a used water storage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cleanliness of accommodated water.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개선된 사용수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ishwasher including the improved use water storage devic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용 사용수 저장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사용수를 수용가능한 저장공간을 가지는 통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개폐가능하게 배치되는 덮개부; 및 일단부가 상기 통체의 저장공간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통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통체의 저장공간에 수용된 사용수를 오버플로우시키는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일단부가 상기 저장공간의 중간 높이 이하에 배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water storage device for a dishwasher, comprising: a cylinder having an opening in its upper portion and having a storage space capable of receiving used water; A lid part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arranged to close the opening part; And an overflow pipe having one end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cylinder and the other en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ylinder to overflow the usage wat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cylinder, Is disposed below the intermediate height of the storage space.

상기 덮개부는 상기 오버플로우관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공을 제공할 수 있다.The lid part may provid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verflow pipe is inserted.

상기 통체는 저면에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가능한 소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소켓부에 상기 일단부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일단부위와 근접한 비삽입 부위의 측면에 상기 저장공간의 사용수가 관내로 유입되는 유입공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The overflow pipe includes a socket portion into which the one end portion of the overflow pipe is inserted, and a portion of the one en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The overflow pipe has a non- The inlet pipe may have one or more inlet holes through which the use water of the storage space flows into the pipe.

상기 통체의 외측에서 상기 소켓부에 장착되는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drain valve mounted to the socket portion from the outside of the cylinder.

상기 오버플로우관에는 누름날개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의 상면을 압박할 수 있다.The overflow pipe is provided with a pushing blade to pres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unit.

상기 오버플로우관 및 상기 배수 밸브는 각각 상기 소켓부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overflow pipe and the drain valve may be coupled to the socket portion in a threaded manner.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저장공간 내에 위치하는 부위의 상부에 배치된 제1공기홀과 상기 통체 외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된 제2공기홀을 더 구비할 수 있다.The overflow pip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ir hole disposed at a top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and a second air hole disposed at a portion located outside the cylinder.

본 발명은 또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며, 이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식기를 지지하는 선반부; 사용수가 수용되는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의 사용수를 상기 식기에 각각 분사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청구항 1 내지 7 중 하나의 사용수 저장 장치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ishwasher comprising: a body portion; A shelf disposed on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tableware; At least one use water tank in which the use water is received; At least one jetting portion arranged to jet the used water of the at least one use water tank to the tableware,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said at least one use water tank may be the usage water storage device of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는 세척수 탱크와 헹굼수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수 저장 장치는 상기 헹굼수 탱크에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use water tank may include a wash water tank and a rinse water tank, and the use water storage device may be applied to the rinse water tank.

상기 헹굼수 탱크는 외부로부터 사용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세척수 탱크는 상부에 배치된 거름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헹굼수 탱크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사용수와 헹굼 동작 또는 세척 동작 후 상기 거름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사용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The rinse water tank receives and stores the used water from the outside, and the rinse water tank includes a filtering mean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inse water tank for overflowing from the rinse water tank, and after the rinsing operation or the washing operation, And may be to receive and store the input usage water.

본 발명에 따르면, 식기 세척에 사용되는 사용수의 청결도가 높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헹굼수 탱크의 저부로부터 헹굼수를 오버플로우시킴으로써 저장된 헹굼수에서 침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침전물로 인한 배관이나 펌프의 막힘을 예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장치의 주요 요소들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헹굼수 탱크의 덮개부를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한 압박을 이용하여 통체에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은 덮개부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요소를 간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liness of the used water used for washing dishes can be kept high. In particular, by overflowing the rinse water from the bottom of the rinse water tank, it becomes possi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precipitate from the stored rinse water. This can prevent piping or clogging of the pump due to the sediment, thereby preventing failure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apparatus. Furthermore, the lid portion of the rinse water tank is tightly attached to the cylinder using a pressing operation using an overflow pipe. This configuration not only facilitates detachment and attachment of the lid part but also simplifies the elements of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내부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식기 세척기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수 저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도 6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a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사용수 저장 장치에 채용되 오버플로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dishwasher of FIG. 1;
3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dishwasher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age wat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Fig. 5. Fig.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CC 'in FIG.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7A.
9A to 9C are views showing an overflow pipe employed in the usage wat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먼저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사용수 탱크에 수용된 사용수를 탱크 내 낮은 위치로부터 오버플로우시킴으로써 침전물까지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식기 세척기용 사용수 저장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이는 헹굼수와 같이 상대적으로 더 청결도가 요구되는 헹굼수의 청결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침전물이 배관이나 펌프 내에 퇴적되는 현상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사용수 저장 장치에 장착되는 오버플로우관을 이용하여 누름방식으로 덮개부를 통체에 밀착시키는 구성을 채택한다. 따라서 덮개부의 탈부착이 매우 용이하고 덮개부의 밀착 결합을 위한 요소들이 간소화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in accordance wit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a high degree of cleanliness of the rinsing water which is relatively clean, such as rinsing water, and suppress the deposition of sediment in the pipe or the pump. Further, a configuration is adopted in which the lid portion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ylinder by a pressing method using an overflow pipe mounted on the used water storage device. Therefor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lid part is very easy, and the elements for the close fit of the lid part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식기 세척기용 사용수 저장 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며, 이하에서는 사용수 저장 장치를 먼저 설명한다. 이러한 사용수 저장 장치는 식기 세척기에 예를 들어 헹굼수 탱크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그에 한정되지 않고 세척수 탱크 등의 다른 사용수 저장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d water storage device for a dishwasher and a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as described above. Hereinafter, the used water storage device will be described first. Such a usage water storage device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for example, a rinse water tank in a dishwas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applied to other usage water storage devices such as a washing water tank.

먼저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the dishwasher will be described.

<식기 세척기><Dish Wash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기 세척기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 내부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식기 세척기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몇몇 요소들은 생략하여 도시하였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hwas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dishwasher of FIG. 3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interior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the dishwasher of FIG. In the following drawings, several elements are omitted for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의해 지지되는 선반부(20)와, 사용수가 수용된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31, 32)와,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31, 32)의 사용수를 식기에 각각 분사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부(41, 42)를 포함한다. 또한 분사에 의한 세척과 헹굼이 이루어지는 챔버를 형성하도록 개폐가능한 도어부(60)가 구비될 수 있다.The dishwash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shelf 20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 and at least one usable water tank 31, And at least one jetting section 41, 42 arranged to jet the used water of one or more of the use water tanks 31, 32 to the tableware, respectively. And a door portion 60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to form a chamber in which washing and rinsing by spraying are formed.

특히,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31, 32)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유닛을 포함하며, 오버플로우 유닛은 해당 사용수 탱크(31 또는 32)의 저부의 사용수를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오버플로우관(323)을 포함으로써 탱크의 저부에서 존재할 수 있는 침전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ish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verflow unit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service water tanks 31, 32, The overflow tube 323, which is arranged to discharge, can be used to easily discharge sediments that may be present at the bottom of the tank.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오버플로우관(323)이 채용되는 개선된 구성의 사용수 저장 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예를 들어 헹굼수 탱크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dish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configuration of the usage water storage device in which the overflow pipe 323 is employed, which can be suitably applied to, for example, a rinse water tank.

보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체부(10)는 식기 세척기의 구성요소들을 수용하거나 지지하는 요소로서, 프레임, 플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본체부(10)는 선반부(20)를 지지하고, 또한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커버부 또는 도어부(60)를 지지한다.Describing the dishwasher more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frame, a plate, or the like as an element for receiving or supporting the components of the dishwasher. For example, the body portion 10 supports the shelf portion 20 and also supports the cover portion or the door portion 60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도어부(60)는 기계적 메커니즘을 통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간을 이동할 수 있다. 폐쇄위치에 있을 경우, 도어부(60)는 선반부(20), 분사부(41, 42) 등을 내부에 포함한 상태에서 분사부(41, 42)로부터 분사되는 사용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본체부(10)에 밀착되어 챔버를 형성한다.The door portion 60 is mov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through a mechanical mechanism. When the door portion 60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door portion 60 is closed so that the water sprayed from the jetting portions 41 and 42 is not leaked to the outside in a state including the shelf portion 20, the jetting portions 41 and 42, Thereby forming a chamber.

또한,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31, 32)가 본체부(1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부(60)가 닫힐 때 사용수 탱크(31, 32)들의 상부가 도어부(60)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분사부(41, 42)들로부터 분사된 사용수가 사용수 탱크(31, 32)들 중 어느 하나로 낙하되어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분사되어 사용된 물은 세척수 탱크(31)로 유입되어 세척수로 재활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e or more use water tanks 31, 32 are disposed in the main body portion 10. Therefore, when the door portion 60 is closed, the upper portions of the use water tanks 31 and 32 are positioned in the door portion 60. [ 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use water jetted from the jetting sections 41 and 42 to be dropped into any one of the use water tanks 31 and 32 to be recycl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water used for injection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water tank 31 and can be recycled as washing water.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와 헹굼수를 분리하여 분사하고 또한 그를 위해 세척수와 헹굼수를 세척수 탱크(31)와 헹굼수 탱크(32)에 각각 분리하여 수용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and injects wash water and rinse water separately, and separately stores wash water and rinse water into the wash water tank 31 and the rinse water tank 32, respectively.

또한, 하나 이상의 분사부(41, 42)는 세척수 노즐부(41)와 헹굼수 노즐부(42)를 포함하며, 이들은 세척수 탱크(31)와 헹굼수 탱크(32)에 저장된 세척수와 헹굼수를 각각 선반부(20)에 배열된 식기들에 분사한다. 일반적으로, 세척수를 먼저 분사한 후 헹굼수를 분사하게 된다.The one or more jetting sections 41 and 42 include a washing water nozzle section 41 and a rinse water nozzle section 42. The washing water tank 31 and the rinse water tank 3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ashing water To the dishes arranged on the shelf 20, respectively. Generally,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first, and then the rinse water is sprayed.

본체부(10) 내에는 사용수 탱크(31, 32)들 외에 펌프(35, 45), 배관, 전원부, 배선, 밸브, 제어요소 등의 구성요소들이 수용된다.Components such as pumps 35 and 45, piping, power supply, wiring, valves and control elements ar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 in addition to the use water tanks 31 and 32.

헹굼수 탱크(32)와 세척수 탱크(31)에는 외부로부터 지하수 또는 수돗물 등의 사용수가 유입되어 정해진 량이 탱크 내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사용수 공급관(33)이 헹굼수 탱크(32)에 연결되어 헹굼수 탱크(32)를 채우고 난 뒤, 헹굼수 탱크(32)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사용수로 세척수 탱크(31)를 채우게 된다.The rinsing water tank 32 and the washing water tank 31 are filled with the use water such as ground water or tap water from the outside, and a predetermined amount is received in the tank. To this end, after the use water supply pipe 33 is connected to the rinse water tank 32 to fill the rinse water tank 32, the washing water tank 31 is filled with the use water overflowing from the rinse water tank 32 .

헹굼수 탱크(32)와 세척수 탱크(31)에는 수위센서(35)가 배치되어 일정 수위 이하가 되면 제어요소(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헹굼수 탱크(32)에 사용수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필요에 따라서는 세척수 탱크(31)로 오버플로우되어 세척수 탱크를 채우게 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최초 탱크(31, 32)를 채우거나 일과 후 세척수 탱크(31)를 비웠을 때에 헹굼수 탱크(32)의 오버플로우를 이용하여 세척수 탱크(31)를 채우게 되지만, 일단 세척수 탱크(31)까지 채워진 뒤에는 세척 및 헹굼 동작에서 사용된 후 낙하되는 사용수를 세척수 탱크(31)에 재수집함으로써 세척수 탱크(31)가 채워지게 된다. 사용수 공급 제어를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34)가 채용될 수 있다.When the water level sensor 35 is disposed in the rinsing water tank 32 and the washing water tank 31 and the water level i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rinsing water tank 32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element , And if necessary, overflows to the wash water tank 31 to fill the wash water tank. The overflow of the rinse water tank 32 is used to fill the rinse water tank 31 when the initial tanks 31 and 32 are filled or the rinse water tank 31 is empty after the routine as described below, Once the washing water tank 31 is filled up, the washing water tank 31 is filled by collecting the used water falling down after being used in the washing and rinsing operations into the washing water tank 31. A solenoid valve 34 may be employed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water.

헹굼수 탱크(32)에는 오버플로우 유닛이 배치되어 헹굼수 탱크(32)의 사용수가 외부로 오버플로우되도록 한다. 헹굼수 탱크(32)에서 오버플로우되는 사용수(헹굼수)는 예를 들어 세척수 탱크(31)로 유입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헹굼수 탱크(32)에는 또한 히터(327)가 배치되어 헹굼수로 사용되는 사용수를 정해진 온도로 가열한다. 이러한 헹굼수 탱크(32)에는 본 발명의 개선된 사용수 저장 장치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An overflow unit is disposed in the rinse water tank 32 so that the number of uses of the rinse water tank 32 overflows to the outside. (Rinsing water) overflowing from the rinsing water tank 32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water tank 31, for example, and recycled. A heater 327 is also disposed in the rinse water tank 32 to heat the water used as rinse water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this rinse water tank 32, the configuration of the improved usage wat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세척수 탱크(31)의 상부에는 메시망(312)과 같은 거름수단이 배치되어 세척 및 헹굼 분사에 사용된 사용수 및 헹굼수 탱크(32)로부터 오버플로우된 헹굼수가 걸러져서 세척수 탱크(31) 내로 유입될 수 있다.3, a filtering means such as a mesh net 312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tank 31 so that the used water used for washing and rinsing spray and the rinsing water overflowed from the rinsing water tank 32 are filtered And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sh water tank 31.

도 4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세척수 탱크(31)와 헹굼수 탱크(32)에는 각각 배수수단(311, 325)이 배치되어 일정 시간의 사용 후에는 사용수를 배출할 수 있다. 특히, 헹굼수 탱크(32)에 배치되는 배수수단은 소켓부(325)가 적용되어 배수, 오버플로우관(323)의 고정 및 지지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4, draining means 311 and 325 are disposed in the washing water tank 31 and the rinse water tank 32, respectively, so that the used water can be discharged 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use. Particularly, the drainage means disposed in the rinse water tank 32 is applied with a socket portion 325 to serve as drainage, fixing and support of the overflow pipe 323,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는 특히, 도 2와 도 4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헹굼수 탱크(32)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유닛이 헹굼수 탱크(32)의 저부로부터 사용수를 오버플로우시키도록 배치된다. 오버플로우관(323)은 헹굼수 탱크(32)의 저부에 침전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고, 메시망(312)에 의해 걸러진 후에 세척수 탱크(31) 내로 유입되어 세척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부호 314는 막대형 배수구 마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헹굼수 탱크(32)에는 본 발명의 개선된 사용수 저장 장치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2 and 4, the dish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overflows the used water from the bottom of the rinse water tank 32, and the overflow unit, which is disposed in the rinse water tank 32, . The overflow pipe 323 discharges the material settled at the bottom of the rinse water tank 32 to the outside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washing water tank 31 after being filtered by the mesh net 312 and used as the washing water. In FIG. 4, reference numeral 314 denotes a bar size drain cap. As described above, the improved usage wat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such a rinse water tank 32, which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below.

분사부(41, 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척수 노즐부(41)와 헹굼수 노즐부(42)를 포함한다. 각 노즐부(41, 42)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노즐관을 이 세척수 탱크(31)와 헹굼수 탱크(32) 내로 연결되어 각각의 펌프의 구동에 의해 세척수 또는 헹굼수를 각각 분사한다.The jetting portions 41 and 42 include a washing water nozzle portion 41 and a rinse water nozzle portion 42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nozzle units 41 and 42 can be rotatably installed and each nozzle pipe is connected to the rinse water tank 31 and the rinse water tank 32 so that the rinse water or the rinse water Respectively.

최초 헹굼수 탱크(32)와 세척수 탱크(31)에 사용수를 채우는 경우나, 일과가 종료되어 청소 등을 위해 세척수 탱크(31)를 비웠을 때에는 헹굼수 탱크(32)로 사용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헹굼수 탱크(32)를 채운 후 오버플로우관(323)을 통해 세척수 탱크(31)로 오버플로우되는 사용수를 채우게 된다.When the first rinse water tank 32 and the rinse water tank 31 are filled with the used water or when the rinse water tank 31 is empty for cleaning after the routine is completed, The rinse water tank 32 is filled, and the overflow water is filled into the wash water tank 31 through the overflow pipe 323.

세척 단계에서, 헹굼수 탱크(32)와 세척수 탱크(31)가 모두 채워진 상태에서 먼저 펌프의 동작으로 세척수 탱크(31) 내 세척수를 식기에 분사한다. 분사되어 사용된 세척수는 낙하되어 세척수 탱크(31) 상부에 배치된 거름수단인 메시망(312)을 통과하여 세척수 탱크(31)로 유입될 것이다.In the cleaning step, the rinsing water tank 32 and the rinsing water tank 31 are both filled, and the rinsing water in the rinsing water tank 31 is sprayed onto the tableware by the operation of the pump first. The washing water used for spraying is dropped and flows into the washing water tank 31 through the mesh net 312 which is a filtering means disposed above the washing water tank 31.

세척 단계가 종료된 후, 헹굼수 탱크(32) 내의 헹굼수를 식기에 분사하여 식기를 헹굼 세척하며, 마찬가지로 사용된 헹굼수는 낙하되어 세척수 탱크(31)로 유입된다.After the washing step is finished, the rinsing water in the rinsing water tank 32 is sprayed onto the tableware to rinse the tableware. Similarly, the used rinsing water falls and flows into the washing water tank 31.

사용 중에는 헹굼수 탱크(32)와 세척수 탱크(31)의 수위는 수위센서(35)들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되며, 통상적으로 헹굼수 탱크(32)는 외부로부터 사용수를 공급받게 되고 세척수 탱크(31)는 사용된 후의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거름수단인 메시망(312)을 통해 공급되어 채워지게 된다.During use, the level of the rinse water tank 32 and the rinse water tank 31 is sensed and controlled by the level sensor 35. Normally, the rinse water tank 32 receives the use water from the outside, 31 are supplied and filled through the mesh net 312, which is the washing water or the rinse water after being used.

<식기 저장 장치><Tableware Storag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용수 저장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도 6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a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내지 9c는 본 발명의 사용수 저장 장치에 채용되 오버플로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age wat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of Fig. 5. Fig.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C-C 'of FIG.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7A. 9A to 9C are views showing an overflow pipe employed in the usage wat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참고적으로, 사용수 저장 장치는 상술한 식기 세척기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고, 따라서 이해의 편의를 위해 헹굼수 탱크(32)에 적용된 동일한 도면부호가 적용될 수 있다.For reference, the usage water storage device can be preferably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dishwasher, and thu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pplied to the rinse water tank 32 can be applied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본 발명의 식기 저장 장치(32)는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는 통체(321)와,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통체(321)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322)와, 통체(321) 내에 수용된 사용수를 외부로 오버플로우시키도록 설치되는 오버플로우관(323)을 포함한다.The dishwasher storage device 32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body 321 having an opening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a lid portion 322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coupled to the tubular body 321 so as to close the opening portion, And an overflow pipe (323) installed to overflow to the outside.

통체(321)는 내부에 사용수를 수용/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가지며, 개구부에는 덮개부(322)가 배치된다. 통체(321)에는 사용수 공급관(33)이 연결되어 지하수나 수돗물과 같은 사용수가 공급되어 채워진다(도 2 및 도 4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통체(321)에는 수위센서(35)가 설치되어 정해진 수위 이하로 내려가는 것을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고 제어부는 공급 메커니즘을 제어하여 사용수를 저장공간으로 공급하게 된다.The tubular body 321 ha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 storing the used water therein, and a lid part 322 is disposed in the opening part. The tubular body 321 is connected to a use water supply pipe 33 to be filled with water for use such as ground water or tap water (see FIGS. 2 and 4).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level sensor 35 is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body 321 to sense the water level down to a predetermined level or less,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upply mechanism to supply the used water to the storage space.

덮개부(322)는 통체(321)에 개폐가능하게 결합하여 통체(321)의 개구부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덮개부(322)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관(323)의 결합 시에 오버플로우관(323)에 의한 누름 동작에 의해 통체(321)에 밀착되어 저장공간을 기밀시키도록 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덮개부(322)와 통체(321) 사이에는 실링부재(324)가 배치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덮개부(322)는 오버플로우관(323)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관통공을 제공한다.The lid part 322 is openably and closably connected to the cylinder 321 to seal the opening of the cylinder 321. The lid portion 32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ylindrical body 321 by a pressing operation by the overflow pipe 323 when the overflow pipe 323 is engaged, Respectively. Preferably, a sealing member 324 is disposed between the lid portion 322 and the cylinder 321 to maintain airtightness. To this end, the lid 322 provides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overflow tube 323 is inserted.

통체(321)의 내부의 저면에는 소켓부(325)가 구비된다. 이러한 소켓부(325)는 오버플로우관(323)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을 제공함과 동시에 배수구 역할을 수행한다. 소켓부(325)에는 통체(321)의 외측에서 배수 밸브(326)가 배치되어 배수구를 개폐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배수 밸브(326)와 오버플로우관(323)은 각각 소켓부(325)와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즉, 오버플로우관(323)은 소켓부(325)의 상부와 결합되고, 배수 밸브(326)는 소켓부(325)의 하부와 결합된다. 오버플로우관(323)은 소켓부(325)와 결합되면서 누름날개(3234)를 이용하여 덮개부(322)를 하향 압박하게 되며, 그로 인해 덮개부(322)는 통체(321)에 밀착된다. 또한 배수 밸브(326)에는 밸브콕이 배치되어 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A socket portion 325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321. The socket portion 325 serves as a drain hole while providing a hole into which the overflow pipe 323 can be inserted. A drain valve 326 is disposed in the socket portion 325 from the outside of the cylinder 321 to open and close the drain port. More preferably, the drain valve 326 and the overflow pipe 323 are screwed to the socket portion 325, respectively. That is, the overflow pipe 323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325, and the drain valve 326 is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ocket portion 325. The overflow pipe 323 is coupled with the socket 325 and presses the lid part 322 downward using the pushing blade 3234 so that the lid part 32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ylindrical body 321. Further, a valve cock is disposed in the drain valve 326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오버플로우관(323)은, 도 9a 내지 9c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일단부(3231)와 타단부(3232)를 가지는 관형이다. 이러한 오버플로우관(323)은 덮개부(322)에 제공되는 관통공을 통하여 통체(321)의 내부, 즉 저장공간으로 일단부(3231)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오버플로우관(323)의 일단부(3231)는 저장수위의 중간부위 이하에 이르도록 저위에 위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오버플로우관(323)은 일단부위와 근접한 비삽입 부위의 측면에 저장공간의 사용수가 관내로 유입되는 유입공(3233)을 하나 이상 가질 수 있다.The overflow tube 323 is tubular, having one end 3231 and the other end 3232, as best seen in Figs. 9A-9C. One end portion 3231 of the overflow pipe 323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ylinder 321 through the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lid portion 322, that is, into the storage space. Preferably, one end 3231 of the overflow pipe 323 is located at a lower level to reach the middle of the storage level. More preferably, the overflow pipe 323 may have at least one inflow hole 3233 through which the use water of the storage space flows into the tube at a side of the non-insertion site near the one end.

도 7a 및 7b에서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오버플로우관(323)은 소켓부(325)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 밸브(326)와 결합된다. 다양한 결합방식이 채용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나사결합 방식이 채용되어 오버플로우관(323)의 일단부위와 배수 밸브(326)가 나사결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7a는 오버플로우관(323)과 배수 밸브(326)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고, 7b는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도 5 역시 오버플로우관(323)과 배수 밸브(326)가 결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를 보여준다.7A and 7B, this overflow pipe 323 is engaged with the drain valve 326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325. As shown in FIG. Various coupling methods may be employed, but for example, a screw coupling method may be adopted so that the one end portion of the overflow pipe 323 and the drain valve 326 can be screwed into each other. FIG. 7A shows a state in which the overflow pipe 323 and the drain valve 326 are combined, and FIG. 7B shows the separated state. 5 also shows a state in which the overflow pipe 323 and the drain valve 326 are not engaged and separated.

오버플로우관(323)의 상부의 외둘레에는 누름날개(3234)가 구비되어, 배수 밸브(326)와 결합 시 누름날개(3234)가 덮개부(322)의 상면을 압박하게 된다. 누름날개(3234)와 덮개부(322) 사이에는 와셔 또는 실링부재(328)가 배치될 수 있다.A pushing vane 3234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verflow pipe 323 so that the pushing vane 3234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322 when the drain valve 326 is engaged. A washer or sealing member 328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ushing vane 3234 and the lid 322.

오버플로우관(323)에는 제1공기홀(3235)과 제2공기홀(3236)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overflow pipe 323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ir hole 3235 and a second air hole 3236.

제1공기홀(3235)은 오버플로우관(323)이 배수 밸브(326)와 결합 시 통체(321) 내부에 위치하도록 오버플로우관(323)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공기홀(3235)로는 헹굼수 분사 시에 헹굼수 탱크(32) 또는 사용수 저장 장치(32) 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홀이다. 통상, 제1공기홀(3235)은 헹굼수 탱크(32) 또는 사용수 저장 장치(32)의 수위센서(35)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분사 동작 시에 탱크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여 원활한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공기홀(3235)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헹굼수 분사 동작 시에 오버플로우관(323)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오버플로우관(323)의 일단부(3231)에 형성된 헹굼수의 유입공(3233)을 통해 헹굼수 내로 배출될 수 있지만, 그렇게 되면 헹굼수에 버블이 발생되면서 침전물 등이 부상과 부유가 심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first air hole 3235 is formed in the overflow pipe 323 so that the overflow pipe 323 is positioned inside the cylinder 321 when the drain valve 326 is engaged with the drain valve 326. The first air hole 3235 is a hole for injecting air into the rinsing water tank 32 or the water storage device 32 when the rinsing water is sprayed. The first air hole 3235 is dispos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rinsing water tank 32 or the water level sensor 35 of the used water storage device 32 so as to supply air into the tank at the time of the spray operation, . When the first air hole 3235 is not provided, the air flows in through the overflow pipe 323 during the rinsing water injection operation, so that the inflow hole of the rinsing water formed in the one end 3231 of the overflow pipe 323, The rinsing water may be discharged into the rinsing water through the rinsing pump 3233. Howeve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rinsing water, resulting in a problem that the sediment or the like is excessively floated and floated.

바람직하게 제1공기홀(3235)은 유입공(3233) 보다 지름이 작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오버플로우관(323)을 통해 헹굼수 탱크(32)의 사용수를 세척수 탱크(31)로 오버플로우시킬 경우에는 하부의 유입공(3233)과 제1공기홀(3235) 모두로 사용수가 유입되게 되며, 유입공(3233)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하부의 사용수가 더 많이 유입되면서 하부의 침전물을 오버플로우시키게 된다. 물론, 제1공기홀(3235)을 통해서도 사용수와 더불어 상부의 부유물들을 오버플로우시키게 된다.Preferably, the first air hole 3235 may be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inflow hole 3233. This configuration can be used for both the lower inflow hole 3233 and the first air hole 3235 when the overflow pipe 323 overflows the water used in the rinsing water tank 32 to the wash water tank 31 And the inflow hole 3233 is relatively large, so that the amoun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inflow hole 3233 is increased to overflow the lower portion of the sediment. Of course, the first air holes 3235 also overflow the upper floats together with the used water.

제2공기홀(3236)은 통체(321) 외부에 위치하는 오버플로우관(323)에 배치된다. 제2공기홀(3236)으로는 분사 동작이나 오버플로우 동작에서 외부 공기가 장치 또는 탱크(32) 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제2공기홀(3236)은 오버플로우관(323)의 상단 부위가 절곡되어 아래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오버플로우 동작이나 세척 또는 헹굼 동작 시에 헹굼수 탱크 상에 있는 사용수에 관의 끝단의 구멍이 잠길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그 경우 사용수가 헹굼수 탱크(32)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2공기홀(3236)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제2공기홀(3236)은 절곡된 부위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분사 동작에서 낙하되는 사용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air hole 3236 is disposed in the overflow pipe 323 located outside the cylinder 321. The second air hole 3236 functions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device or the tank 32 in the injection operation or the overflow operation. Particularly,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overflow pipe 323 is folded down and the second air hole 3236 is directed downward, the overflow pipe 3236 is prevented from overflowing from the end of the pipe to the used water on the rinsing water tank during the overflow operation, A second air hole 3236 is required in order to suppress the backflow of the usage water to the rinsing water tank 32. In this case, Preferably, the second air holes 3236 are disposed below the folded portions so that the used water dropped in the spray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이하에서는 사용수 저장 장치를 헹굼수 탱크(32)로 적용한 예를 들어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e use water storage device is applied to the rinse water tank 32, for example.

위에서도 간략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최초로 헹굼수 탱크(32)와 세척수 탱크를 사용수로 채우거나, 일과 후 세척수 탱크를 비운 후 탱크들을 채울 때는 헹굼수 탱크(32)로 사용수를 공급하여 오버플로우관(323)을 통해 세척수 탱크(31)를 채우게 된다.As described briefly above, when the rinse water tank 32 and the rinse water tank are filled with the working water for the first time, or the rinse water tank 32 is filled with the water after the rinse water tank is emptied, The washing water tank 31 is filled with the water.

세척 동작이나 헹굼 동작 시에는 분사 후 낙하되는 세척수 또는 헹굼수가 세척수 탱크(31) 상에 배치된 거름수단인 메시망(312)을 통해 세척수 탱크(31)로 유입되어 세척수 탱크(31)를 채우게 된다.In the cleaning operation or the rinsing operation, the washing water or the rinsing water dropped after the injection i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water tank 31 through the mesh net 312, which is a filtering means disposed on the washing water tank 31, to fill the washing water tank 31 .

헹굼 동작 시에 분사되어 헹굼수 탱크(32) 내에서 감소하는 사용수는 사용수 공급관(33)을 통해 외부의 지하수나 수돗물이 공급되어 수위센서(35)의 높이로 유지되도록 한다.The use water that is sprayed during the rinsing operation and decreases in the rinsing water tank 32 is supplied with the ground water or tap wat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33 to be maintained at the height of the water level sensor 35.

통상적으로 하루 일과와 같이 일정시간의 작동 후에는 세척수 탱크(31)의 마개(314)를 제거하여 세척수 탱크(31)를 비우고 청소 등을 수행한다.Aft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s usual, the cap 314 of the washing water tank 31 is removed to empty the washing water tank 31 and perform cleaning.

이와 같이 예를 들어 헹굼수 탱크(32)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사용수 저장 장치는 스케일과 같이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미세한 침전물들이 헹굼수 탱크(32) 내에 퇴적되지 않고 오버플로우관(323)의 유입공(3233)을 통해 오버플로우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헹굼수 탱크(32)를 매우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식기를 보다 청결한 상태로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관 등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적정한 위치에 제1 및 제2공기홀(3235, 3236)가 배치되어 버블 등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분사 및 오버플로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헹굼수 탱크(32)의 덮개부(322)를 오버플로우관(323)의 결합 시 누름날개(3234)를 이용하여 통체(321)에 결합시킴으로써 덮개부(322)의 착탈이 용이하여 청소나 정비 시 편리할 뿐만 아니라 결합을 위한 부품이 간소화되는 이점도 제공한다. 배수 밸브(326)는 오버플로우관(323)과 결합되어 오버플로우관(323)을 지지하고 또한 덮개부(322)의 밀착이 이루어지게 하며, 작업자는 배수 밸브(326)를 풀어 헹굼수 탱크(32)의 청소나 정비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use wat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pplied to the rinse water tank 32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does not deposit fine naturally occurring precipitates such as scales in the rinse water tank 32, The rinse water tank 32 can be maintained in a very clean state by allowing the overflow discharge to be made through the hole 3233. [ Therefore, the tableware can be cleaned more cleanly, and the problem of clogging of the nozzle tube or the like does not occur.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air holes 3235 and 3236 are disposed at appropriate positions, so that injection and overflow can be smoothly performed without causing bubbles or the like. When the lid portion 322 of the rinse water tank 32 is coupled to the tubular body 321 by using the pushing vane 3234 when the overflow pipe 323 is coupled to the lid 322, It is not only convenient for maintenance, but also offers the advantage of simplifying parts for combination. The drain valve 326 is coupled with the overflow pipe 323 to support the overflow pipe 323 and to make the lid 322 closely contact the drain valve 326. The drain valve 326 is coupled to the rinse water tank 32 can be cleaned or repaired.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 본체부 20: 선반부
31: 세척수 탱크 32: 헹굼수 탱크
33: 사용수 공급관 34: 솔레노이드 밸브
35, 45: 펌프 311: 배수수단
314: 마개 321: 통체
322: 덮개부 323: 오버플로우관
324, 328: 실링부재 325: 소켓부
326: 배수밸브 327: 히터
3231: 일단부 3232: 타단부
3233: 유입공 3234: 누름날개
3235: 제1공기홀 3236: 제2공기홀
41: 세척수 노즐부 42: 헹굼수 노즐부
10: main body part 20: shelf part
31: wash water tank 32: rinse water tank
33: Used water supply pipe 34: Solenoid valve
35, 45: pump 311: drainage means
314: Stopper 321:
322: lid part 323: overflow pipe
324, 328: sealing member 325:
326: drain valve 327: heater
3231: one end portion 3232: the other end portion
3233: inflow hole 3234: pushing blade
3235: first air hole 3236: second air hole
41: wash water nozzle part 42: rinse water nozzle part

Claims (10)

식기 세척기로서: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에 배치되어 식기를 지지하는 선반부;
세척수 탱크와 헹굼수 탱크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수 탱크의 사용수를 상기 식기에 각각 분사하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헹굼수 탱크는 외부로부터 사용수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상기 세척수 탱크는 상부에 배치된 거름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헹굼수 탱크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사용수와 헹굼 동작 또는 세척 동작 후 상기 거름수단을 통해 유입되는 사용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며,
상기 헹굼수 탱크는: 상부에 개구부를 가지며, 사용수를 수용가능한 저장공간을 가지는 통체;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개폐가능하게 배치되는 덮개부; 및 일단부가 상기 통체의 저장공간에 배치되고 타단부는 상기 통체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통체의 저장공간에 수용된 사용수를 오버플로우시키는 오버플로우관;을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일단부가 상기 저장공간의 중간 높이 이하에 배치되는 것인, 식기 세척기.
As a dishwasher:
A body portion;
A shelf disposed on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tableware;
At least one use water tank including a wash water tank and a rinse water tank; And
And one or more jetting portions arranged to jet the used water of the at least one service water tank to the tableware, respectively,
The rinse water tank receives and stores the used water from the outside, and the rinse water tank includes a filtering mean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inse water tank for overflowing from the rinse water tank, and after the rinsing operation or the washing operation, And supplies and stores the used water,
The rinse water tank comprising: a cylinder having an opening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storage space capable of receiving used water; A lid part which is openably and closably arranged to close the opening part; And an overflow pipe having one end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cylinder and the other end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ylinder to overflow the used wat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cylinder, And wherein the additional portion is disposed below the middle height of the storage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오버플로우관이 삽입 관통되는 관통공을 제공하는 것인, 식기 세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id part provi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overflow pipe is insert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체는 저면에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상기 일단부가 삽입가능한 소켓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소켓부에 상기 일단부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일단부와 근접한 비삽입 부위의 측면에 상기 저장공간의 사용수가 관내로 유입되는 유입공을 하나 이상 가지는 것인, 식기 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tubular body has a socket por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which the one end portion of the overflow tube can be inserted,
Wherein the overflow pipe has a portion of the one end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Wherein the overflow pipe has at least one inflow hole into which the use water of the storage space flows into the side of a side of the non-insertion area close to the one en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외측에서 상기 소켓부에 장착되는 배수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식기 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drain valve mounted to the socket section on the outside of the tubular body.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에는 누름날개가 구비되어,
상기 덮개부의 상면을 압박하는 것인, 식기 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overflow pipe is provided with a pushing blade,
And presses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part.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 및 상기 배수 밸브는 각각 상기 소켓부와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인, 식기 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overflow tube and the drain valve are coupled to the socket portion in a threaded manner, respectivel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저장공간 내에 위치하는 부위의 상부에 배치된 제1공기홀과 상기 통체 외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된 제2공기홀을 더 구비하는 것인, 식기 세척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verflow pipe further comprises a first air hol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a portion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and a second air hole disposed at a portion located outside the cylind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34894A 2016-10-18 2016-10-18 Dishwasher KR1017913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894A KR101791357B1 (en) 2016-10-18 2016-10-18 Dish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894A KR101791357B1 (en) 2016-10-18 2016-10-18 Dishwas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357B1 true KR101791357B1 (en) 2017-10-27

Family

ID=6030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894A KR101791357B1 (en) 2016-10-18 2016-10-18 Dishwa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35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027B1 (en) * 2004-04-30 2006-05-10 미아물산주식회사 a washing water tank of dishwasher
KR101214726B1 (en) * 2011-06-15 2012-12-24 동양셰프(주) A dish washer having the drainage pipe with separate sp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027B1 (en) * 2004-04-30 2006-05-10 미아물산주식회사 a washing water tank of dishwasher
KR101214726B1 (en) * 2011-06-15 2012-12-24 동양셰프(주) A dish washer having the drainage pipe with separate sp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7133B2 (en) Use of recycled wash and rinse water for the pre-rinse operation of dishes
KR101266870B1 (en) Dish Washer
EP3290358B1 (en) Multi-purpose water tank
JPH03207326A (en) Sink mount type dish-washing machine
CN102281810B (en) Dishwasher, and process for rinsing of wash items
CN107249406B (en) Automatic coffee and tea machine and automatic brewing machine
CN211883691U (en) Continuous filtering device for dish-washing machine
KR101791357B1 (en) Dishwasher
KR100772225B1 (en) A sump of a dish washer
KR200480074Y1 (en) Cleaner discharger for toilet bowl
KR100617161B1 (en) driving apparatus of dishwasher
CN209091282U (en) A kind of dish-washing machine disintegrating slag forced-ventilated mechanism
JP2020096665A (en) Bathtub washing device
CN214804527U (en) Tableware recycling and pre-cleaning device
KR102350017B1 (en) Pre-dishwasher
KR100655717B1 (en) dish washer
AU2008329559A1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KR100577027B1 (en) a washing water tank of dishwasher
JP2023124525A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apparatus
JP2002325716A5 (en)
KR20060057553A (en) Ultrasonic sterilization cleaner
JP4477786B2 (en) Dishwasher
EP0021276A1 (en) Household appliance, especially dish-washing machine with a water-softening device
KR20100109300A (en) Rinse fixed quantity supply apparatus and dish washer having the same
JP5982620B2 (en)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