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708B1 -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708B1
KR101790708B1 KR1020160020705A KR20160020705A KR101790708B1 KR 101790708 B1 KR101790708 B1 KR 101790708B1 KR 1020160020705 A KR1020160020705 A KR 1020160020705A KR 20160020705 A KR20160020705 A KR 20160020705A KR 101790708 B1 KR101790708 B1 KR 101790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guide hole
upper guide
lower guide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594A (ko
Inventor
공태현
이동국
문종훈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0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7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조골 내에 임플란트가 식립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날부와, 상기 드릴날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릴날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커팅날이 형성되지 않은 기둥형태의 생크부를 가지는 드릴과 함께 사용되어 드릴의 치조골 상 위치를 가이드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치조골과 접촉될 수 있으며 중앙에 상기 드릴날부가 끼워지는 하부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져서 통형상을 이루는 하부 측벽부로 구성된 하부가이드 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상기 바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부 가이드홀과 동축상에 상기 드릴의 생크부가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가이드홀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의 생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가이드 부재의 하부 측벽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측벽부로 구성된 상부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가이드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홀은 상기 드릴의 걸림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Position guide apparatus for dental drill}
본 발명은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링을 수행하는 치과용 드릴이 흔들림 없이 지지되고 치조골의 특정 깊이에서 드릴을 정지시킬 수 있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 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란 치조골 또는 악골 내에 생체친화적인 매식체를 넣어서 교합력을 부담함으로써 자연치아와 같은 역할과 기능을 하게 하는 것인데, 이때 상기 생체친화적인 매식체를 치아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라고 부른다.
이러한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시작 단계로, 잇몸을 절개하여 치골을 노출시킨 후, 상기 치골의 상단에 임플란트 픽스쳐(Fixture)를 삽입하기 위한 홀(Hole)을 천공하게 된다. 이후, 상기 홀은 작은 직경부터 시작하여 큰 직경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드릴을 이용하여 천공되고, 천공되는 위치와 방향은 향후 임플란트의 보철적, 기계적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상적인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치골을 천공하기 위한 드릴의 위치와 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종래에는 임플란트 시술 전, 환자의 구강상태를 진단 및 분석한 후 임플란트 식립 위치를 대략적으로 계획하고, 이를 바탕으로 오로지 술자의 판단에 의한 치조골에 대한 천공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술자의 판단에만 의존한 기존 방식은 술자의 기술적인 변수가 존재하고 초기에 계획한 위치와 방향에 치골이 천공되는 것은 매우 어렵게 되고, 특히 구강 내부의 공간이 협소하여 임플란트의 식립과 보철물 방향이 술자가 의도된 위치와 다소 어긋날 수 있게 된다.
또한, 천공 깊이를 가늠할 수 없어서 신경 손상과 같은 2차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즉, 지나치게 깊게 치조골에 구멍을 뚫는 경우에는 치조골의 아래 부분을 지나는 신경을 손상시키거나 건드리게 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마비증상이 오거나 심한 경우 심한 통증에 시달리는 2차 부작용 등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치골 천공의 위치와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가이드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36288호로 등록되어 있게 된다. 상기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가이드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를 이루는 외부링(100)과, 상기 외부링(100)보다 지름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링(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링(200)을 포함하는 몸체(A)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부링(100)은 치아가 발치된 부분에 놓이게 되며, 상기 내부링(200)은 외부링(100)과 동심원을 구성하며 내측을 따라 임플란트 드릴의 드릴날이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부링(100)과 내부링(200)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외부링(100)과 내부링(200)의 사이에는 상하로 관통된 공간(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술자는 상기 공간(10)을 통해 수술시야가 확보되므로 드릴링의 각도, 방향 등을 관찰하며 드릴링을 진행할 수 있다. 더욱이 드릴링시 열이 발생되어 치조골이 녹아내리거나 괴사될 수 있는데, 상기 공간(10)을 통해 치아가 발치된 부분에서 드릴링되는 지점에 식염수 등과 같이 열을 식혀줄 수 있는 액체를 뿌려줌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부링(100)과 내부링(200)은 가로로 놓인 막대형태의 연결부(110)에 의해 상기 공간(10)이 형성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110)는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링(100)과 내부링(200)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외부링(100) 및 내부링(2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가이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대상 치아를 발치한 곳에 인접치아의 크기, 임플란트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이에 적합한 몸체(A)를 선택하게 된다. 그 후 상기 몸체(A)를 발치된 부분에 위치시킨 다음 드릴날을 상기 내부링(200)의 내측을 따라 삽입시킴으로써 발치된 부분의 중앙을 손쉽게 드릴링이 가능하며, 또한 수술부위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상기 몸체(A)를 드릴에 맞춰 끼워 넣은 후 수술부위로 드릴을 이동하여 드릴링을 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A)를 인접치아간의 중심점에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인접치아에 꽉 끼워지는 외부링(100)을 가진 몸체(A)를 선택하거나 인접치아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정도의 외부링(100)을 가진 몸체(A)를 선택한 후 드릴링 할 수 있다. 인접치아에 꽉 끼워지는 몸체(A)를 선택한 경우 이를 인접치아 사이에 끼운 후 인접치아가 생성된 각도를 고려하여 드릴링을 하며, 인접치아와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정도의 몸체(A)를 선택한 경우 인접한 두 치아 사이에서 동일한 거리에 있는 부위를 중심점으로 상기 몸체(A)를 놓은 후 인접치아가 생성된 각도를 고려하여 드릴링한다
이러한 종래의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링 가이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먼저, 상술한 종래기술은 드릴이 단일의 내부링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있기 때문에 드릴링 과정에서 드릴이 좌우로 흔들릴 염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서 시술의 정확성을 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정 깊이에서 드릴을 정지할 수 있는 기능이 없기 때문에 천공 깊이를 확인 할 수 없어 술자가 어디까지 천공하고 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으며 이에 따라서 드릴이 치조골 내 깊숙하게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신경 손상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드릴링을 하기 위한 손 이외에 가이드 기구를 잡기 위한 다른 손이 필요해서 시술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릴링을 수행하는 치과용 드릴이 흔들림 없이 지지되고 치조골의 특정 깊이에서 드릴을 정지시킬 수 있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는,
치조골 내에 임플란트가 식립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날부와, 상기 드릴날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릴날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커팅날이 형성되지 않은 기둥형태의 생크부를 가지는 드릴과 함께 사용되어 드릴의 치조골 상 위치를 가이드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치조골과 접촉될 수 있으며 중앙에 상기 드릴날부가 끼워지는 하부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져서 통형상을 이루는 하부 측벽부로 구성된 하부가이드 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상기 바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부 가이드홀과 동축상에 상기 드릴의 생크부가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가이드홀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의 생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가이드 부재의 하부 측벽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측벽부로 구성된 상부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가이드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홀은 상기 드릴의 걸림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상기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커버부로부터 상기 상부 측벽부의 하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에서 상기 절개홈에 의하여 서로 이격된 부분은 측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서, 상기 커버부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홀의 주변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홀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드릴의 선단이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부 가이드 홀에 진입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서, 상기 상부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는 탄성을 가지면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서, 상기 하부 가이드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홀 크기, 각각의 거리 또는 상기 하부 가이드홀과 상기 상부가이드 홀의 각각의 내경 크기에 따라서 소재의 색상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드릴은, 치조골 내에 임플란트가 식립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날부와, 상기 드릴날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릴날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커팅날이 형성되지 않은 기둥형태의 생크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위치 가이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치조골과 접촉될 수 있으며 중앙에 상기 드릴날부가 끼워지는 하부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져서 통형상을 이루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고, 하부 가이드홀과 동축상에 상기 드릴의 생크부가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가이드홀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의 생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가이드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홀은 상기 드릴의 걸림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치과용 위치 가이드 장치에서,
상기 바닥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위치 가이드 장치에서,
상기 바닥부의 외면은 볼록한 경사면, 직선형 경사면, 오목한 경사면 중 어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는, 치과용 드릴이 하부가이드의 하부 가이드홀과, 상부 가이드부재의 상부 가이드홀에 각각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드릴링 과정에서 좌우 흔들림이 없이 수직으로 드릴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는, 드릴의 걸림부가 하부 가이드 홀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치조골의 특정 깊이에서 드릴을 정지시킬 수 있어 신경의 손상과 같은 2차 부작용의 초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2의 평면도.
도 3은 도 3 및 도 4는 치조골 내에 도 1의 장치를 식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5의 장치를 아래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5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평면도.
도 10은 도 5를 수직으로 잘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 및 도 12는 도 5의 장치를 이용하여 드릴링을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10)는, 치과용 드릴이 치조골 내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에서 치과용 드릴의 위치를 정밀하게 가이드하여 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천공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치과용 드릴(40)은 드릴날부(41)와, 걸림부(42)와 생크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드릴날부(41)는 치조골 내에 임플란트가 식립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나선으로 감긴 복수의 날이 외주면에 형성된 것이다. 상기 걸림부(42)는 상기 드릴날부(4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릴날부(41)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것으로서 대략 링형태를 가진다.
상기 생크부(32)는 상기 걸림부(42)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42)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것으로서, 커팅날이 외주면에 형성되지 않은 기둥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생크부(32)의 상단에는 핸드피스와 같은 회전공구가 끼워지는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치과용 드릴의 천공 위치를 가이드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10)는, 하부가이드 부재(20)와 상부가이드 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가이드 부재(20)는, 바닥부(21)와 하부 측벽부(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21)는, 치조골과 접촉될 수 있으며 대략 원판형태를 가지며 중앙에 상기 드릴날부(41)가 끼워지는 하부 가이드홀(211)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하부 가이드홀(211)은 드릴날부(41)의 외경과 동등하거나 다소 클 수 있다. 드릴날부(41)의 외경과 동등한 경우에는 드릴날부(41)를 좌우 흔들림없이 지지할 수 있으며, 드릴날부(41)의 외경보다 큰 경우에는 그 사이로 치조골을 분쇄한 골편 등을 용이하게 내부 공간에 수용할 수 있으며 식염수 등을 천공지점에 공급하여 절삭으로 인한 과열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홀(211)은 드릴(40)의 걸림부(4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드릴(40)의 걸림부(42)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짐에 따라서 드릴(40)이 특정깊이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바닥부(21)가 치조골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드릴(40)의 걸림부(42)가 하부 가이드홀(211)의 주변에 걸리게 되는 경우에는 드릴(40)의 절삭 깊이가 술자가 원하는 정도로 정밀하게 제한되기 때문에 신경 손상 등의 염려가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측벽부(22)는 상기 바닥부(2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져서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최종적인 보철물(크라운)의 방향은 올바른 임플란트 식립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초기단계인 드릴링의 위치와 방향을 올바르게 결정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하부 측벽부(22)가 치아와 유사한 형태인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보철물의 크기와 방향을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부 측벽부(22)의 상단에는 상부 측벽부(32)와 억지끼움되기 위한 단턱(221)이 마련되어 있게 된다. 즉, 하부 측벽부(22)의 단턱(221)에 상부 측벽부(32)가 끼워짐으로서 하부 측벽부(22)와 상부 측벽부(32)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측벽부(22)와 상부 측벽부(32)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서 내부에 존재하는 골편(드릴(40)과정에서 치조골을 절삭하여 생성된 골편)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게 된다.
성가 상부 가이드 부재(20)는, 커버부(31)와 상부 측벽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부(31)는 상기 바닥부(21)의 상측에 상기 바닥부(21)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부 가이드홀(211)과 동축상에 상기 드릴(40)의 생크부(32)가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홀(311)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가이드홀(311)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절개홈(312)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40)의 생크부(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부 가이드홀(311)의 내경은 생크부(32)의 외경과 동등하거나 다소 클 수 있다. 또한 상부 가이드홀(311)의 내경은 상기 드릴(40)의 걸림부(42) 외경보다 작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가이드홀(311)의 내경이 생크부(32)의 외경과 동등하기 때문에 생크부(32)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가이드홀(311)의 내경이 드릴(40)의 걸림부(42) 외경보다 작게 됨에 따라서 드릴(40)의 걸림부(42)가 상부 가이드홀(311)을 통과하여 커버부(31) 아래에 배치된 후에는 커버부(31) 아래에서 그 위치를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1)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홀(311)의 주변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홀(311)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313)이 형성되어 있어서 드릴(40)의 선단이 상기 경사면(313)에 접촉되어 상부 가이드홀(311)에 진입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측벽부(32)는 상기 커버부(3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가이드 부재(20)의 하부 측벽부(2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개홈(312)은 상기 커버부(31)로부터 상기 상부 측벽부(32)의 하측까지 연장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0)에서 상기 절개홈(312)에 의하여 서로 이격된 부분('탄성부'라고 함)은 그 측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ㄱ"형상을 가지고 생크부(32)를 가이드하는 탄성부가 존재함에 따라서 상부가이드 홀의 탄성 압력과 마찰력을 작용시켜 상기 드릴(40)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술자가 위치 가이드 장치를 별도로 잡고 시술을 시작할 필요가 없다. 일단 드릴(40)의 걸림부(42)가 탄성부를 통과하여 커버부(31)의 아래에 배치된 후에는 탄성부를 탄성변형시킬 수 있는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상기 드릴(40)은 커버부(3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커버부(31) 아래에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한손으로도 드릴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드릴(40)의 걸림부(42)가 일단 커버부(31)를 통과한 후에는 드릴(40)이 소정의 범위(상부 가이드홀(311)과 하부 가이드 홀 사이에서 걸림부(42)가 놓이는 위치)내에서 상하 이동가능하다. 이와 같이 드릴링 과정에서 드릴(40)과 위치 가이드 장치(10)가 소정의 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상대이동가능함에 따라서 드릴날부(41)를 따라 이동하는 골편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즉, 드릴링 초기에는 위치 가이드 장치(10)가 상대적으로 드릴(40)의 하측에 배치되고 드릴링 과정에서 드릴(40)이 치조골 내에 깊숙하게 위치되는 경우 치조골벽을 따라서 가이드 장치(10)가 드릴(4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드릴날부(41)를 따라서 이동되는 골편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10)에서, 상기 상부가이드 부재(30) 및 상기 하부가이드 부재(2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게 된다. 위치 가이드 장치(10)가 전체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인접치아에 근접하게 드릴링을 해도 치아와 연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또한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10)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서, 드릴링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시술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즉,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드릴날부(41)가 치조골에 놓이는 위치 및 드릴링하는 모습 등을 전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서 시술의 실패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부 가이드홀(211)과, 상기 상부 가이드홀(311)의 크기, 각각의 거리 또는 상기 하부 가이드홀(211)과 상기 상부가이드 홀의 각각의 내경 크기에 따라서 소재의 색상이 다르게 적용되어 있어서 필요한 위치 가이드 장치(10)를 신속하게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10)에 대한 작동모습을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잇몸(미도시)을 절개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하기 위한 치조골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후, 치과용 드릴을 위치 가이드 장치(10) 내에 장착한다. 구체적으로는 드릴(40)의 드릴날부(41)를 상부 가이드홀(311)을 통과시켜 하부 가이드홀(211) 상에 위치하도록 함과 동시에 드릴(40)의 걸림부(42)를 상부 가이드홀(311)을 통과시켜 커버부(31) 아래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부(42)는 상부 가이드홀(311) 주변의 커버부(31)에 걸려서 커버부(3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치조골 상의 위치를 향하여 드릴(40)을 하강시킨다.
드릴(40)이 하강하면서 치조골(B)에 구멍(H)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바닥부(21)가 치조골(B) 상면에 접촉하면서 드릴(4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드릴날부(41)에 의하여 얻어지는 골편이 위치 가이드 장치(10) 내부(C)에 채워지게 된다. 한편, 드릴(40)의 걸림부(42)가 하부 가이드홀(211)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드릴(40)의 하강은 멈추게 되고 드릴링 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가이드는 원주방향으로 절개 되어있는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상부가이드 홀의 탄성 압력과 마찰력을 작용시켜 상기 드릴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술자가 가이드를 별도로 잡고 시술을 시작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위치 가이드 장치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어 있어 드릴링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시술의 오류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철물의 방향은 올바른 임플란트 식립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초기단계인 드릴링의 위치와 방향을 올바르게 결정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위치 가이드 장치는 치아와 유사한 형태인 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보철물의 크기와 방향을 예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부가이드 홀은 특정 깊이에서 상기 드릴이 정지 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술자가 치골의 천공 깊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가이드 부재와 하부가이드부재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유지 보수 및 골편 획득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가이드 부재와 상기 하부가이드 부재에는 동축상으로 상부 가이드 홀과 하부 가이드 홀이 존재하고 때문에 드릴링 과정에서 드릴이 흔들림없이 수직으로 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치 에 근접하게 드릴링을 해도 치아와 연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색상으로 위치 가이드 장치의 구멍 직경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드릴 가이드 기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드릴링의 과정에서 드릴에 대하여 상승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골편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는 도 13, 도 15 및 도 16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13, 도 15 및 도 16의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상부측벽부와 하부측벽부가 서로 분리가능한 것이 아니라 서로 일체화되어 측벽부를 구성하고, 바닥부의 형상이 하면이 평평한 형상이 아니라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진다는 차이점이 있으며, 그 외의 구성요소들은 중복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가이드 장치는, 상기 위치 가이드 장치(100)는, 적어도 일부가 치조골과 접촉될 수 있으며 중앙에 상기 드릴날부가 끼워지는 하부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져서 통형상을 이루는 측벽부(120)와, 상기 측벽부(120)와 연결되고, 하부 가이드홀과 동축상에 상기 드릴의 생크부가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가이드홀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의 생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커버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가이드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홀은 상기 드릴의 걸림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닥부(110)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부(110)의 외면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경사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경사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경사면 중 어느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위치 가이드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먼저, 위치 가이드 장치(100)를 치조골(B)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드릴링을 시작하므로 확실하고 정확한 드릴링을 할 수 있다. 즉, 위치 가이드 장치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된 드릴 선단부가 치조골의 표면에 확실하게 접촉하여 드릴링 전 드릴을 치조골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안정적인 드릴링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바닥부(110)가 오목형상(볼록, 직선 포함)을 가지는 경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치조골에서 시술 할 경우 천공되는 깊이에 갭(시술자가 7mm 드릴링 했을 경우 실제로 6mm만 드릴링 됨)이 발생하지 않아 시술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로부터 합리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20...하부가이드 부재
21...바닥부 211...하부 가이드홀
22...하부 측벽부 221...단턱
30...상부가이드 부재 31...커버부
311...상부 가이드홀 312...절개홈
313...경사면 32...상부 측벽부
40...드릴 41...드릴날부
42...걸림부 43...생크부

Claims (9)

  1.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드릴은,
    치조골 내에 임플란트가 식립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날부와, 상기 드릴날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릴날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커팅날이 형성되지 않은 기둥형태의 생크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위치 가이드 장치는,
    치조골과 접촉될 수 있으며 중앙에 상기 드릴날부가 끼워지는 하부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져서 통형상을 이루는 하부 측벽부로 구성된 하부가이드 부재; 및
    상기 바닥부의 상측에 상기 바닥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하부 가이드홀과 동축상에 상기 드릴의 생크부가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가이드홀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의 생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하부가이드 부재의 하부 측벽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측벽부로 구성된 상부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가이드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홀은 상기 드릴의 걸림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드릴의 걸림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 홀 사이에서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은 상기 커버부로부터 상기 상부 측벽부의 하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에서 상기 절개홈에 의하여 서로 이격된 부분은 측단면이 "ㄱ"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홀의 주변에는, 상기 상부 가이드홀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드릴의 선단이 상기 경사면에 접촉되어 상부 가이드 홀에 진입하는 것을 가이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재는 탄성을 가지면서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 홀 및 하부가이드 홀의 외형 크기, 각각의 거리, 또는 각각의 내경 크기에 따라서 소재의 색상이 다르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7.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과용 드릴은,
    치조골 내에 임플란트가 식립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드릴날부와, 상기 드릴날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드릴날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커팅날이 형성되지 않은 기둥형태의 생크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위치 가이드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치조골과 접촉될 수 있으며 중앙에 상기 드릴날부가 끼워지는 하부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세워져서 통형상을 이루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와 연결되고, 하부 가이드홀과 동축상에 상기 드릴의 생크부가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상부 가이드홀로부터 방사형으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상기 드릴의 생크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가이드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홀은 상기 드릴의 걸림부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고 있고,
    상기 드릴의 걸림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홀과, 상기 상부 가이드 홀 사이에서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외면은 볼록한 경사면, 직선형 경사면, 오목한 경사면 중 어느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KR1020160020705A 2016-02-22 2016-02-22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KR101790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05A KR101790708B1 (ko) 2016-02-22 2016-02-22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705A KR101790708B1 (ko) 2016-02-22 2016-02-22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94A KR20170098594A (ko) 2017-08-30
KR101790708B1 true KR101790708B1 (ko) 2017-10-26

Family

ID=5976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0705A KR101790708B1 (ko) 2016-02-22 2016-02-22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7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57A (ko) * 2017-12-15 2019-06-2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시술용 드릴가이드
KR20220080396A (ko) * 2020-12-07 2022-06-14 김정희 의료 부속품용 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9131A (zh) * 2018-08-07 2018-12-11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种植牙备孔装置
CN109480966A (zh) * 2019-01-11 2019-03-19 张炎松 一种获取片状牙龈组织的装置及方法
KR102354007B1 (ko) * 2020-04-06 2022-01-21 (주)메디메카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의 가이드 장치
KR102415024B1 (ko) * 2020-06-26 2022-06-2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골전도 임플란트 수직 드릴링 가이드 및 편평도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6665A (ja) * 2011-09-26 2013-04-18 Gc Corp ストッパー及びストッパーセット
KR101545973B1 (ko) * 2015-01-30 2015-08-21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66665A (ja) * 2011-09-26 2013-04-18 Gc Corp ストッパー及びストッパーセット
KR101545973B1 (ko) * 2015-01-30 2015-08-21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176616 U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157A (ko) * 2017-12-15 2019-06-25 (주)이비아이 임플란트시술용 드릴가이드
KR102009404B1 (ko) 2017-12-15 2019-08-12 주식회사 이비아이 임플란트시술용 드릴가이드
KR20220080396A (ko) * 2020-12-07 2022-06-14 김정희 의료 부속품용 캡
KR102508246B1 (ko) * 2020-12-07 2023-03-09 김정희 의료 부속품용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594A (ko)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708B1 (ko) 치과용 드릴의 위치 가이드 장치
KR100946269B1 (ko) 임플란트용 천공 드릴
US20090274996A1 (en) Bone cutt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EP2921128B1 (en) Guide jig
US8770974B2 (en) Set of dental drills
KR20100066506A (ko) 임플란트 식립용 천공기구, 핸드피스, 핸드피스용 어댑터 및 서지컬 가이드
KR101610341B1 (ko) 임플란트용 드릴링 장치
CA2693264A1 (en) An implant drill
KR101067485B1 (ko) 임플란트 드릴용 스토퍼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US20150202023A1 (en) Bone pen, bone pin, bone pen set, bone pin set and bone pen kit including the same and initial drill
TWI563986B (zh) 植牙手術導引裝置組
KR101705871B1 (ko) 임플란트 가이드 어셈블리
US5827288A (en) Circular hole forming apparatus
KR10154597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가이드휠
EP3730089B1 (en) Direction confirmation pin for placing fixture for implant and guide tap drill kit
JP5855378B2 (ja) 歯科用穿孔ドリルキット
KR101265819B1 (ko) 임플란트 시술용 포인트 드릴 보조구
KR101500126B1 (ko) 잇몸의 조직을 뚫는 잇몸펀치
KR20190072157A (ko) 임플란트시술용 드릴가이드
KR101181923B1 (ko) 상악동 거상술 시술용 드릴
JP6708605B2 (ja) インプラント窩チェック用器具
KR20110066315A (ko) 천공 깊이 제한유닛 및 그를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2108530B1 (ko) 임플란트 핸드피스
EP4147668A1 (en) Implantation kit enabling implant hole preparation on bone in only one drilling with one single osteotome
KR102354009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용 식립 가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