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331B1 - Toilet bowl cover - Google Patents

Toilet bowl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331B1
KR101790331B1 KR1020160068229A KR20160068229A KR101790331B1 KR 101790331 B1 KR101790331 B1 KR 101790331B1 KR 1020160068229 A KR1020160068229 A KR 1020160068229A KR 20160068229 A KR20160068229 A KR 20160068229A KR 101790331 B1 KR101790331 B1 KR 10179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olarizing lens
toilet
hol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2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제영
Original Assignee
양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제영 filed Critical 양제영
Priority to KR1020160068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3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3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4Sanitary equipment, e.g. mirrors, showers, toilet seats or paper dispen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H05B37/022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변기 안의 내용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하는 변기 커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는, 상기 좌판의 상면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좌변기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좌변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커버에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홀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는 제2관통홀과,상기 제1관통홀에 결합되되, 상기 좌변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내벽을 따라 2개의 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2개의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설치되는 제1편광렌즈와, 상기 지지부재의 나머지 하나의 홈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편광렌즈와 편광축이 좌우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2편광렌즈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oilet cover is disclosed which enables the presence of contents in a toilet to be checked in a state that the toilet cover is closed. 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ver hing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toilet seat and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ver for allowing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to be visually confirme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ver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an opening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and openable to the inside of the left air chamber so as to be visually recognizable, A first polarizing lens provided in one of two grooves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a second polarizing lens provided in the other one of the grooves of the supporting member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first polarizing lens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are disposed such that the polarization axis thereof is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Description

변기 커버{TOILET BOWL COVER}Toilet cover {TOILET BOWL COVER}

본 발명은 변기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변기 안의 내용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하는 변기 커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cover that enables the presence of contents in a toilet to be confirmed in a state where the toilet cover is closed.

일반적으로 변기커버는 좌변기의 내부를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변기시트에 물이 튀는 것을 커버하도록 구비되고 있다. 따라서, 좌변기를 사용하기 전의 준비 과정이나, 좌변기를 관리(청소)하는 과정에서 변기커버를 직접 개방하여야만 내부의 청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변기 안의 내용물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변기 커버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관련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10-0900927호가 존재한다.Generally, the toilet cover is provided so as to cover the splash of water on the toilet seat while preventing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from being visibl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liness of the interior can be confirmed only when the toilet cover is directly opened in the preparation process before using the toilet seat or during the cleaning (cleaning) of the toilet seat.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re is a need for a toilet cover which can check whether the contents of the toilet bowl are present in a state where the toilet bowl cover is closed. Meanwhile, Korean Patent No. 10-0900927 exists as a related art.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변기 안의 내용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contents of a toilet bowl are present in a closed state of the toilet bowl.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간에 편광축이 좌우 대칭되는 복수개의 편광렌즈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예에 따라 변기 안의 내용물이 잘보이도록 하거나 잘 보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urality of polarizing lenses whose polarization ax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ereby enabling the contents in the toilet bowl to be well visible or invisible depending on the use examp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는, 좌변기의 개구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면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좌변기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좌변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커버에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홀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는 제2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에 결합되되, 상기 좌변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내벽을 따라 2개의 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2개의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설치되는 제1편광렌즈와, 상기 지지부재의 나머지 하나의 홈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편광렌즈와 편광축이 좌우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2편광렌즈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oilet cover comprising: a seat plate rotatably coupled to an opening in a left side lid; a cover hing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late to open /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ver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ver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hole, A supporting member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left side of the left side portion so as to be openable to the naked eye to be visually recognizable and having two grooves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opening portion; A second polarizing lens which is dispos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other one of the grooves of the supporting member, the second polarizing lens being arranged such that the polarization axis thereof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polarizing lens; .

이 때, 상기 제1관통홀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좌변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through-hole may be punched to be inclined rearwar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e the inside of the left-hand side from the outside.

이 때, 상기 커버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변기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커버의 정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램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lamp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for irradiating light into the left side of the cover; a sensor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over for sensing an approach of a user;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control unit.

이 때, 상기 제2편광렌즈의 상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평광렌즈가 상기 나머지 하나의 홈에서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ing lens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knob for allowing the second polarizing lens to be rotatable by the user in the remaining one groove.

이 때,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커버의 상면, 내주면 및 하면에 밀착되도록 "ㄷ"자 형상을 갖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될 수 있는 슬롯(살빼기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has a " C "shap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rotatable slot (depressed portion) .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는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는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변기 안의 내용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contents in the toilet bowl to be checked in a state in which the toilet cover is clo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는 상호 간에 편광축이 좌우 대칭되는 복수개의 편광렌즈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예에 따라 변기 안의 내용물이 잘보이도록 하거나 잘 보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olarizing lenses whose polarization axes are symmetrical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ontents in the toilet bowl to be easily visible or invisible according to the use examp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sectional views of a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components of a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6 are sectional views of a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for explaining components of a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toilet sea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의 구성요소로는 좌판, 커버, 제1관통홀, 제2관통홀, 지지부재, 제1편광렌즈, 제2편광렌즈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요소는 반드시 필수적으로 채택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구성요소의 일부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Referring to FIG. 1, constituent elements of 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seat plate, a cover, a first through hole, a second through hole, a supporting member, a first polarizing lens, and a second polarizing len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not necessarily essential and that som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may be omitted or other constituent elements may be add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상기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판은 좌변기의 개구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좌판의 상면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좌변기의 개구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left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cover is hinged to the rear of the upper side of the seat so as to open and close the left side door. .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은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좌변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 2 관통홀은 상기 제 1 관통홀과 마찬가지로 상기 커버에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홀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의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으나, 일반적인 변기의 모양을 고려할 때, 전방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향이 있음으로 상기 제 2 관통홀이 상기 제 1 관통홀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와 같은 크기는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변기커버의 모양과 형태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 1 관통홀과 상기 제 2 관통홀의 크기는 변경가능한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over so that the inside of the left side can be visually confirmed. The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over like the first through hole, 1 through-holes. Also,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owever, considering the general shape of the toilet bowl, the second through hole tends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front portion,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such a size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and that the siz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hape of the toilet cover.

상기 지지부재의 경우 상기 제1관통홀에 결합되되, 상기 좌변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내벽을 따라 2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support member, an opening is coupled to the first through hole so that the inside of the left lid can be visually opened, and two grooves are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opening.

상기 제 1 편광렌즈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지지부재의 2개의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편광렌즈의 경우 상기 지지부재의 나머지 하나의 홈(상기 제 1 편광렌즈가 설치되지 않은 나머지 홈)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in one of two grooves of the supporting member of the supporting member,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polarizing lens, the other one of the grooves of the supporting member The remaining grooves are not rotatable.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 2 편광렌즈의 상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손잡이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손잡이의 존재로 인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제 2 편광렌즈가 상기 나머지 하나의 홈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ing lens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knob as shown in FIG. 6,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is moved by the user due to the presence of the rotary knob, It is designed to rotate in the groove.

상기 제 1 편광 렌즈와 상기 제 2 편광 렌즈의 관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 편광렌즈와 상기 제 2 편광렌즈는 편광축이 상호 간에 좌우로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설명한 회전 손잡이를 사용자가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상기 제 1 편광렌즈와 상기 제 2 편광렌즈 상호 간의 편광축이 변경됨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변기커버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polarizing lens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olarizing axes of the first polarizing lens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s the polarization axis between the first polarized lens and the second polarized lens is changed due to the user rotating the above-described rotary knob, the user can utilize 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예컨대, 변기 내부의 내용물을 확인하고자 할 때(청소나 관리를 위하여)와 상기 변기 내부의 내용물을 확인하고 싶지 않을 때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 손잡이가 존재함에 따라 사용자는 용이하게 복수개의 편광렌즈 상호 간의 편광축을 제어할 수 있게 되게 된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when to check the contents inside the toilet (for cleaning or management) and when to check the contents inside the toilet. As the rotary knob is presen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polarization axis of the plurality of polarizing lenses.

상기 제 1 관통홀의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좌변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the first through ho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be inclined toward the rear so as to easily see the inside of the toilet seat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커버의 상면, 내주면 및 하면에 밀착되도록 "ㄷ"자 형상을 갖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될 수 있는 슬롯(살빼기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제 1 편광렌즈와 제 2 편광렌즈의 삽입이 용이하고 상기 제 1 편광렌즈와 상기 제 2 편광렌즈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회전 손잡이의 회전을 유도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has a " C "shape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 rotatable slot (a depressed portion) of the rotor can be formed. Due to such a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the first polarizing lens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stably fix the first polarizing lens and the second polarizing lens, and to induc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는 실시예에 따라 상기 커버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변기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커버의 정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램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램프와 감지센서와 제어부가 더 포함됨에 따라 사용자가 변기에 가까이 접근할 경우 램프를 작동시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인 복수개의 편광렌즈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더욱 더 발휘 할 수 있도록 내부를 밝혀줄 수 있게 된다.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p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for irradiating light into the left side of the cover, a sensor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cover for sensing the approach of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operating the lamp when the user's access is detected. As shown in FIG. 9, the lamp, the sensing sensor, and the control unit are further included, so that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oilet, the lamp is operated. Therefore,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lurality of polarizing lenses So that the interior can be illuminated so that it can be used even more.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는 변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변기 안의 내용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상호 간에 편광축이 좌우 대칭되는 복수개의 편광렌즈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예에 따라 변기 안의 내용물이 잘보이도록 하거나 잘 보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oilet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toilet cover can be checked whether or not the contents are present in the closed state of the toilet, and a plurality of polarization lenses whose polarization axes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re provided, Thus, the contents of the toilet can be easily seen or controlled.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Thus,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adaptation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n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in order to achieve the intende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functional blocks shown in the drawings are separately included or all the steps shown in the drawings are not necessarily followed in the order shown, It can be in the range.

10: 변기커버
20: 제 1 관통홀
40: 제 2 관통홀
22: 지지부재
10: toilet cover
20: First through hole
40: second through hole
22: Support member

Claims (5)

좌변기의 개구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면 후방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좌변기의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형성되어 상기 좌변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커버에 형성되되, 상기 제1관통홀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는 제2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에 결합되되, 상기 좌변기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가능하게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내벽을 따라 2개의 홈이 형성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2개의 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설치되는 제1편광렌즈와,
상기 지지부재의 나머지 하나의 홈에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편광렌즈와 편광축이 좌우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제2편광렌즈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A seat plate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left side lid,
A cover hinged to the rea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so as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of the seat,
A first through-hole formed in the cover and allowing the inside of the left-hand side to be visually confirme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the cover and disposed forward of the first through hole,
A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first through-hole, the support member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left-hand side so as to be visually opened, and having two grooves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opening;
A first polarizing lens provided in one of two grooves of the support member,
And a second polarizing lens tha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other one of the grooves of the support member, the second polarizing lens being disposed such that a polarization axis thereof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irst polarizing len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홀은,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좌변기의 내부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through-
And the user is pierced obliquely toward the rea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e the inside of the left-hand side from the outsid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좌변기 내부로 빛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커버의 정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에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램프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The method of claim 2,
A lamp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for irradiating light into the left lid,
A sensor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over to sense a user's approach,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activating the lamp when an approach of the user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편광렌즈의 상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2편광렌즈가 상기 나머지 하나의 홈에서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The method of claim 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olarizing lens,
Further comprising a rotary knob for allowing the user to rotate the second polarizing lens in the remaining one of the groov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은
상기 커버의 상면, 내주면 및 하면에 밀착되도록 "ㄷ"자 형상을 갖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손잡이의 회전될 수 있는 슬롯(살빼기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커버.
The method of claim 4,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Shap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And a rotatable slot (depression) of the rotary knob is formed.
KR1020160068229A 2016-06-01 2016-06-01 Toilet bowl cover KR1017903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229A KR101790331B1 (en) 2016-06-01 2016-06-01 Toilet bowl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229A KR101790331B1 (en) 2016-06-01 2016-06-01 Toilet bowl c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331B1 true KR101790331B1 (en) 2017-10-25

Family

ID=6029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229A KR101790331B1 (en) 2016-06-01 2016-06-01 Toilet bowl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331B1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6178A (en) * 2018-10-23 2019-01-29 井方豪 A kind of multifunctional massage closestool
KR101978613B1 (en) 2018-12-18 2019-05-14 박주현 See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cover and toilet seat cover
KR101994810B1 (en) * 2018-11-15 2019-07-01 박화영 Toilet transparent lid for public restroom
KR102129463B1 (en) * 2019-08-15 2020-07-02 박화임 Supporter for toilet seat cover
KR102290083B1 (en) 2020-10-23 2021-08-17 김동욱 Internally identifiable toilet cover and toilet residue alarm system
KR20220047048A (en) 2020-10-08 2022-04-15 홍승목 Smart Toilet Seat Cover Having Toilet Condition Monitoring Part
KR20220063455A (en) * 2020-11-10 2022-05-17 전기영 Cover for sedentary toile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76178A (en) * 2018-10-23 2019-01-29 井方豪 A kind of multifunctional massage closestool
KR101994810B1 (en) * 2018-11-15 2019-07-01 박화영 Toilet transparent lid for public restroom
KR101978613B1 (en) 2018-12-18 2019-05-14 박주현 See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cover and toilet seat cover
KR102129463B1 (en) * 2019-08-15 2020-07-02 박화임 Supporter for toilet seat cover
KR20220047048A (en) 2020-10-08 2022-04-15 홍승목 Smart Toilet Seat Cover Having Toilet Condition Monitoring Part
KR102290083B1 (en) 2020-10-23 2021-08-17 김동욱 Internally identifiable toilet cover and toilet residue alarm system
WO2022086016A1 (en) * 2020-10-23 2022-04-28 김동욱 Toilet cover capable of checking inside and toilet residue alarm apparatus
KR20220063455A (en) * 2020-11-10 2022-05-17 전기영 Cover for sedentary toilet
KR102514139B1 (en) * 2020-11-10 2023-03-24 전기영 Cover for sedentary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331B1 (en) Toilet bowl cover
AU2006352109B2 (en) A door support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JP4636148B2 (en) Drum washing machine
EP2402497B1 (en)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EP2754746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JP2006020808A (en) Game machine
JP4539504B2 (en) Drum washing machine
JP2005111027A5 (en)
KR10264335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777978B1 (en) Toilet seat cover with rotating assembly
JP6123075B2 (en) Drum washing machine
JP2014050561A (en) Heated toilet seat device
US20230371762A1 (en) Toilet cover capable of checking inside and toilet residue alarm apparatus
JP5014084B2 (en) Remote control fixture
JP7161278B2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JP6576252B2 (en) Toilet seat device
JP2021074423A (en) Drum-type washing machine
KR102004280B1 (en) Cock module of water purifier
JP2007167384A (en) Bathroom counter
JP2006247100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102549986B1 (en) Universal toilet locking device
JP6952491B2 (en) Toilet seat device
JP2018015132A (en) Drum-type washing machine
JP2006122148A (en) Toilet bowl device
EP3617385A1 (en) A door for washing and/or dry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