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151B1 -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151B1
KR101790151B1 KR1020160092141A KR20160092141A KR101790151B1 KR 101790151 B1 KR101790151 B1 KR 101790151B1 KR 1020160092141 A KR1020160092141 A KR 1020160092141A KR 20160092141 A KR20160092141 A KR 20160092141A KR 101790151 B1 KR101790151 B1 KR 101790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housing
contact
frame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인석
김영일
고흥열
김정훈
최명섭
박희태
Original Assignee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텍전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2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6Arrangements of fuses, resistors, voltage arrester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08Tools for inserting and removing f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6Mounting of monitoring devices, e.g. current transformers

Abstract

본 기재의 수배전반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고, 고체절연재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이 공기로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 퓨즈,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점과 이격되게 위치된 제2 접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 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퓨즈와 상기 제1 접점 또는 상기 퓨즈와 상기 제2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환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배전반{Switch apparatus}
본 발명은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약 20,000V 정도의 전압으로 만들어진 전기는 송전에 적합한 초고압으로 승압되어 1차 변전소로 송전된다. 1차 변전소에서는 공급받은 전력을 22.9kV로 강하시켜 2차 변전소 또는 각 수용가로 공급하게 된다.
1차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가공배전선과 지중배전선으로 구성된 배전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설비로 공급되며 특고수용가, 고압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저압수용가에까지 공급된다.
수배전반은 도시, 주거단지에서 사용하는 장치로 전력을 분배해 주고, 전력계통에 발생되는 서지나 사고 발생시 차단기 작동 후 안전을 위하여 신속한 개폐를 하여 고장구간을 분리하고, 타 건전계통으로부터 정전구간에 전력을 공급하여 정전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수배전반은 전신주 근처 또는 변전소 등에 설치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전신주에 다양한 케이블이나 관리용 제품들이 설치되면서 수배전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수배전반의 내부에는 퓨즈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퓨즈의 신속한 교체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6915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가 가능한 수배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퓨즈의 신속한 교체가 가능한 수배전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배전반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고, 내부 공간이 공기로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 퓨즈;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점과 이격되게 위치된 제2 접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 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퓨즈와 상기 제1 접점 또는 상기 퓨즈와 상기 제2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프레임의 조작 유닛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조작 유닛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부재;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출입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일단이 상기 회전 부재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구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 변환 부재; 상기 퓨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정 부재; 및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부분은 상기 동력 변환 부재에서 상기 회전 부재에 결합되지 않은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동력 변환 부재의 구간 왕복 운동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자유단이 상기 제1 접점 또는 상기 제2 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도전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고체절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전 부재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동력 변환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동력 변환 부재는 원호(arc)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퓨즈는,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해 1° 이상 45° 이하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수배전선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고, 내부 공간이 공기로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 퓨즈;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점과 이격되게 위치된 제2 접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 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퓨즈와 상기 제1 접점 또는 상기 퓨즈와 상기 제2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환 유닛;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퓨즈가 외부로 출입될 수 있게 하는 도어 부재; 및 상기 스위치의 전환 유닛에 의해 상기 퓨즈와 상기 제1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부재가 개폐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 부재의 잠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퓨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량을 계량하는 계기용 변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배전반은 리드 전극이 고체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하우징들의 간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배전반은 퓨즈가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키와 상관없이 퓨즈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은 퓨즈와 제1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도어 부재가 개폐되지 않는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가 퓨즈 교체 작업중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수배전반에 포함된 하우징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전환 유닛에 포함된 스위치가 제1 접점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전환 유닛에 포함된 스위치가 제2 접점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수배전반에서 도어 부재가 개방되어 퓨즈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수배전반에 포함된 하우징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프레임(110), 하우징(120), 퓨즈(130) 및 전환 유닛(140)을 포함한다.
프레임(1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의 몸체가 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작 유닛(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조작 유닛은 사용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조작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조작 유닛은 버튼과 엑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엑추에이터가 동작하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엑추에이터는 일례로 회전 모터, 선형 모터 및 솔레노이드 등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든 장치가 될 수 있다.
하우징(120)은 후술할 퓨즈(130)와 전환 유닛(140)을 수용한다. 하우징(120)은 프레임(110) 내부에 위치된다. 하우징(120)은 고체절연재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121)이 공기로 채워진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절연 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체절연재는 일례로 강화플라스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하우징(120)은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하우징(120)들 각각의 측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위치될 수 있다.
퓨즈(130)는 과부하시 전류를 차단한다. 이러한 퓨즈(130)는 하우징(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프레임(110)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120)의 일측에는 퓨즈(130)가 수용가능한 크기의 수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2)는 퓨즈(130)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리드 전극(123)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 전극(123)는 하우징(120)의 수용부(122)에 형성된다.
리드 전극(123)은 하우징(120)과 인접한 다른 부품과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한 리드 전극(123)은 퓨즈(130)의 일단과 하우징(120)의 상단에 걸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리드 전극(123)은 고체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120)에 의해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우징(120)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되므로, 하우징(120) 각각에 포함된 리드 전극(123)들 각각도 서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리드 전극(123)이 고체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120)에 의해 감싼 구조가 아니라 리드 전극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된 구조에서는 리드 전극들의 간격이 매우 인접하게 위치되면 공기중으로 전하가 이동되어 리드 전극(123) 사이에서 스파크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리드 전극들의 간격을 일정 거리 이격시켜야 한다. 따라서, 수배전반의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리드 전극(123)이 고체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120)으로 감싸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20)들의 간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크기를 소형화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수용부(122)의 일측은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퓨즈(130)는 수용부(122)의 개구된 부분을 통하여 출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퓨즈(13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퓨즈(13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퓨즈(130)는 일반적인 계폐기에 포함된 퓨즈(130)일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환 유닛(140)은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전원과 퓨즈(130)의 연결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이를 위한 전환 유닛(140)은 제1 접점(141), 제2 접점(142) 및 스위치(143)를 포함한다.
제1 접점(141)은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121)에 위치되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접점(141)은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접점(141)은 진공 인터럽터(123)와 연결될 수 있고, 진공 인터럽터(123)는 전원 공급 케이블(10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접점(142)은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121)에 위치되고,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접점(141)과 이격되게 위치된다. 제2 접점(142)의 위치는 일례로 프레임(110)에서 조작 유닛이 형성된 부분과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스위치(143)는 하우징(120) 내부에 위치되어 조작 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퓨즈(130)와 제1 접점(141) 또는 퓨즈(130)와 제2 접점(142)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수배전반(100)에 전원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 스위치(143)는 퓨즈(130)와 제1 접점(141)을 연결한다. 그리고, 수배전반(100)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스위치(143)는 퓨즈(130)와 제2 접점(142)을 연결하여, 수배전반(100) 내부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전술한 전환 유닛(140)은 고체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주변의 금속성 부재와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20)의 내부에 전환 유닛(140)을 설치하여 모듈화 할 수 있으므로, 수배전반(100)의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계기용 변성기(160, MOF: Metering Out Fit)를 포함할 수 있다. 계기용 변성기(160)는 프레임(110) 내부에 위치되고, 퓨즈(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량을 계량한다.
이러한 계기용 변성기(160)는 계량기 검침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계기용 변성기(160)는 전환 유닛(140)과 퓨즈(130)를 통하여 공급된 전기를 변압 및 변류할 수 있다. 계기용 변성기(160)는 전원 출력 케이블(10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전환 유닛(140)에 포함된 스위치(143)가 제1 접점(141)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전환 유닛(140)에 포함된 스위치(143)가 제2 접점(142)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술한 스위치(143)는 일례로 회전 부재(144), 동력 변환 부재(145), 고정 부재(146) 및 도전 부재(147)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부재(144)는 프레임(110)의 조작 유닛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조작 유닛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를 위한 회전 부재(144)의 형상은 특정 형상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일부분이 조작 유닛에 결합되어 조작 유닛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회전 부재(144)는 일정 구간을 왕복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동력 변환 부재(145)는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동력 변환 부재(145)는 하우징(120)의 일측을 출입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일단이 회전 부재(144)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동력 변환 부재(145)는 회전 부재(144)의 회전을 구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한다.
동력 변환 부재(145)의 형상은 일례로 원호(arc)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 변환 부재(145)는 회전 부재(144)의 회전 왕복 운동에 의해 곡선 구간 왕복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6)는 퓨즈(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고정 부재(146)는 하우징(120)에서 퓨즈(130)가 수용되는 수용부(122)의 일측을 관통하여 일단은 내부 공간(121)에 위치되고, 타단은 퓨즈(130)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 부재(146)는 도전체일 수 있다.
도전 부재(147)는 일단은 고정 부재(14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부분은 동력 변환 부재(145)에서 회전 부재(144)에 결합되지 않은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전 부재(147)는 동력 변환 부재(145)의 구간 왕복 운동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자유단이 제1 접점(141) 또는 제2 접점(142)에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이를 위한 도전 부재(147)는 일례로 베이스부(146a)와 연장부(146b)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46a)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일단은 고정 부재(14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연장부(146b)는 베이스부(146a)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베이스부(146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부에 동력 변환 부재(14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전 부재(147)의 제조 방법은 일례로 베이스부(146a)와 연장부(146b)는 각각 제조한 다음 서로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할 수 있고, 서로 일체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도 2로 되돌아가서 전술한 퓨즈(130)는 프레임(110)의 바닥면에 대해 1° 이상 45° 이하로 경사지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퓨즈(13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프레임(110)의 일부분을 개방하여 사용자 쪽으로 퓨즈(130)를 당겨서 하우징(120)으로부터 퓨즈(130)를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퓨즈가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된 경우에는 사용자의 키가 프레임의 크기만큼 커야 퓨즈를 하우징으로부터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퓨즈(130)가 프레임(110)의 바닥면에 대해 전술한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됨으로써, 사용자의 키와 상관없이 퓨즈(130)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수배전반에서 도어 부개가 개방되어 퓨즈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도어 부재(15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부재(150)는 프레임(110)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퓨즈(130)가 외부로 출입될 수 있게 한다. 도어 부재(150)는 퓨즈(130)가 하우징(120)이 수용된 상태에서, 퓨즈(130)에서 프레임(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한 단부에 인접한 프레임(110)의 일부분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도어 부재(150)는 프레임(1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어부는 스위치(143, 도 4 참조)의 전환 유닛(140)에 의해 퓨즈(130)와 제1 접점(141, 도 4 참조)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도어 부재(150)가 개폐되지 않도록 도어 부재(150)의 잠금을 제어한다. 이를 위한 제어부는 도어 부재(150)의 개폐를 제한하는 미도시된 잠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장치가 도어 부재(15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어 부재(150)를 열수 없다.
그러나, 스위치(143, 도 4 참조)의 전환 유닛(140)에 의해 퓨즈(130)와 제2 접점(142, 도 4 참조)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퓨즈(13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잠금 장치가 도어 부재(150)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도어 부재(150)를 자유롭게 열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배전반(100)은 상기와 같은 제어부에 의해 사용자가 퓨즈(130) 교체 작업중 감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어부는 일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도어 부재(150)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수배전반 110: 프레임
120: 하우징 121: 내부 공간
122: 수용부 130: 퓨즈
140: 전환 유닛 141: 제1 접점
142: 제2 접점 143: 스위치
144: 회전 부재 145: 동력 변환 부재
146: 고정 부재 146a: 베이스부
146b: 연장부 147: 도전 부재
150: 도어 부재 160: 계기용 변성기

Claims (7)

  1.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고, 내부 공간이 공기로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 퓨즈;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점과 이격되게 위치된 제2 접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 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퓨즈와 상기 제1 접점 또는 상기 퓨즈와 상기 제2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프레임의 조작 유닛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조작 유닛에 의해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부재;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출입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일단이 상기 회전 부재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구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 변환 부재;
    상기 퓨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정 부재; 및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부분은 상기 동력 변환 부재에서 상기 회전 부재에 결합되지 않은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동력 변환 부재의 구간 왕복 운동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자유단이 상기 제1 접점 또는 상기 제2 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도전 부재;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고체절연재로 이루어진 수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일단은 상기 고정 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단부에 상기 동력 변환 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변환 부재는 원호(arc) 형상인 수배전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는,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해 1° 이상 45° 이하로 경사지게 위치된 수배전반.
  6.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조작 유닛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고, 내부 공간이 공기로 채워진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된 퓨즈;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고, 접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접점과 이격되게 위치된 제2 접점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조작 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퓨즈와 상기 제1 접점 또는 상기 퓨즈와 상기 제2 접점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환 유닛;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퓨즈가 외부로 출입될 수 있게 하는 도어 부재; 및
    상기 스위치의 전환 유닛에 의해 상기 퓨즈와 상기 제1 접점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부재가 개폐되지 않도록 상기 도어 부재의 잠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7. 제1 항 및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퓨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량을 계량하는 계기용 변성기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20160092141A 2016-07-20 2016-07-20 수배전반 KR101790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41A KR101790151B1 (ko) 2016-07-20 2016-07-20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41A KR101790151B1 (ko) 2016-07-20 2016-07-20 수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151B1 true KR101790151B1 (ko) 2017-10-26

Family

ID=6030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141A KR101790151B1 (ko) 2016-07-20 2016-07-20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151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5742C2 (ru) Электрическое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вязанный с ним электр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EP2560177B1 (en) Solid insulated switchgear
US20080217153A1 (en) Insulating Body For a Medium-Voltage Switchgear Assembly
KR20130105350A (ko) 스위치 기어
US9362061B2 (en) Switching device and a switchgear
EP1921646A3 (en) Three-pole apparatus for a medium or high voltage cubicle comprising such a three-pole apparatus
RU2410789C2 (ru) Контак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огранич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который ограничивает отклонение подвижной контакт-детали
CN103608884A (zh) 开关装置和开关柜
RU2344506C1 (ru) Вакуум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JP4572145B2 (ja) ガス絶縁スイッチギヤ
US10290437B1 (en) Interrupter spring guide assembly
US3579045A (en) High voltage air terminal chamber for indoor power center with interlocks between fuse drawers and circuit breakers, fuse clamping and latching means, and universally pivotal terminal means
KR101790151B1 (ko) 수배전반
KR20050003962A (ko) 누전 차단기
KR101100706B1 (ko) 가스절연개폐기의 부스바 연결장치
KR101904882B1 (ko) 가스 절연 개폐기의 개폐 장치
KR101883432B1 (ko) 보조스위치 일체형 진공차단기
KR101813973B1 (ko) 수배전반
US3562452A (en) Interlock between circuit interrupters and drawout fuse drawers of indoor power center
KR101829225B1 (ko) 체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20170075961A (ko) 퓨즈를 내장한 개폐기
KR101100711B1 (ko) 스위치기어의 접지개폐기구
KR101879339B1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RU2420847C2 (ru) Силовой выключатель с корпусом
KR101748725B1 (ko)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