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304B1 - Concrete file structure - Google Patents

Concrete fil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304B1
KR101789304B1 KR1020170007165A KR20170007165A KR101789304B1 KR 101789304 B1 KR101789304 B1 KR 101789304B1 KR 1020170007165 A KR1020170007165 A KR 1020170007165A KR 20170007165 A KR20170007165 A KR 20170007165A KR 101789304 B1 KR101789304 B1 KR 101789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ile
concrete
connecting member
bolt fasten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은경
유영문
Original Assignee
한은경
유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은경, 유영문 filed Critical 한은경
Priority to KR102017000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30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3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30Prefabricated piles made of concrete or reinforced concrete or made of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3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composed of segments
    • E02D5/526Connection means between pil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는 인장강선이 내장된 콘크리트 파일몸체의 양단부에 볼트체결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파일, 및 다른 콘크리트 파일과의 결합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볼트체결부에 탈착가능하게 볼트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적재 장소의 종류를 줄일 수 있어 적재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하고 출고하는데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ile structure, wherein a concrete pile structure includes a concrete pile having bolt fastening portions at both ends of a concrete pile body having a tensile steel wire embedded therein, and a bolt fasten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kinds of loading places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s which are bolted to each oth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loading space as well as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for loading and unloading.

Description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 CONCRETE FILE STRUCTURE }Concrete file structure {CONCRETE FIL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의 기초공사에 사용되는 피에이치씨 파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pil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e structure used for foundation of a soft foundation.

일반적으로, 연약지반 위에 도로, 교량, 건물 등이 그대로 구축되면 전단면침하량이 과대해지고 지지력이 부족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지지층에 지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콘크리트파일을 다수 연결하여 해머를 사용하여 파일을 연약지반에 항타하는 파일기초를 이용한다. Generally, when roads, bridges, buildings, etc. are built on soft ground, if the settlement amount of the cross section is excessive, and safety problems arise due to insufficient bearing capacity, a plurality of concrete files are connected by using a hammer It uses a file base to mount files on a soft ground.

콘크리트 파일의 항타 시공에는 철근콘크리트 파일(RC pile),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파일(PC pile), 원심력 고강도 콘크리트 파일(PHC pile) 등 현장 또는 공장에서 제작한 후에 시공 장소로 옮겨 설치하는 파일이 널리 이용된다.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file, the files to be moved to the construction site after being manufactured in the field or factory are widely used such as RC pile, PC pile, and centrifugal high strength concrete pile (PHC pile) .

PHC 파일(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은 원심력을 응용하여 만든 것으로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78.5MPa 이상인 프리스트레스 방식에 의한 고강도 말뚝을 말한다. The PHC file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is made by applying the centrifugal force and refers to a high strength pile made of prestressed concrete with a compressive strength of 78.5 MPa or more.

PHC 파일은 하나만을 단독 사용하여 항타하거나, 다수개를 길이방향으로 연결 사용하여 항타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 파일의 단부에는 다른 콘크리트 파일과 연결하거나 또는 지반 측 최하단부에 설치하기 위한 조인트캡이 구비되는데, 콘크리트 파일의 단독 또는 연결 사용 여부나 연결 사용 시 설치 위치에 따라 어느 한쪽 단부에만 조인트캡이 결합되는 타입과 양단 모두에 조인트캡이 결합되는 타입이 있다.
가령, 최상단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10)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에만 조인트캡(120)이 구비되어 있고, 중간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10)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 모두에 조인트캡(12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10)의 경우에도 양단에 조인트캡(120. 120')이 구비되는데 특히 하단에 구비되는 조인트캡(120')에는 항타시 직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마밀라슈(125)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d)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 파일(110)을 도시한 것인데, 콘크리트 파일(110)의 하단에만 마밀라슈(125)를 구비한 조인트캡(120')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면부호 114는 콘크리트 파일(110)의 단부의 강성 확보를 위해 그 외주면에 설치하는 보강링을 나타낸 것이다.)
The PHC file can be used as a sole propulsion device or as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connected devices.
At this time, the end of the concrete pile is provided with a joint cap for connection to other concrete pile or for installation at the bottom of the ground. Depending on whether the concrete pile is used alone or connected, There is a type in which a joint cap is combined with a type to be combined with both ends.
For example, the concrete pile 110 located at the uppermost stage is provided with the joint cap 120 only at the lower end as shown in FIG. 1 (a), and the concrete pile 110 located at the middle is provided with A joint cap 120 is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ends, respectively. Also, in the case of the concrete pile 11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as shown in (c), the joint caps 120 and 120 'are provided at both ends. In particular, the joint cap 120' There is provided a polishing pad 125 for improving the polishing rate. (D) shows a concrete pile 110 that is used alone, and a joint cap 120 'having a mummy shoe 125 only at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e 110 is provided. (Reference numeral 114 denotes a reinforcing ring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crete pile 110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crete pile 11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콘크리트 파일(10)의 인장강선(111)의 일단 또는 양단에 조인트캡(120, 120')이 고정결합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성형함으로써 콘크리트 파일(110)과 조인트캡(120)이 일체로 제조되었다.
이 경우, 콘크리트 파일(110)은 콘크리트 파일의 단독 또는 연결 사용 여부나 연결 사용 시 설치 위치(상부, 중간부, 하부)에 따라 조인트캡(120)(120')의 구비 여부(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는지 여부와 그 종류은 어떠한지 여부)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시공현장의 요구조건에 따라 길이와 직경이 다르게 제조된다.
1, conventionally, concrete piles 110 (120, 120 ') are formed by casting concrete in a state where joint caps 120 and 120' are fixedly connected to one end or both ends of a tensile steel wire 111 of a concrete pile 10, And the joint cap 120 are integrally manufactured.
In this case, the concrete pile 110 may be provided on one or both ends of the joint cap 120 or 120 'depending on whether the concrete pile is used alone or connected, or the installation position (upper, middle, Whether or not they are provided and what kind thereof) are different, and the length and diameter are manufact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construction site.

다시 말하면 길이별, 직경별, 조인트캡(120)(120')의 종류별로 콘크리트 파일(110)의 종류가 다양하게 생산되므로, 종류별로 콘크리트 파일(110)을 적재하여야 했다. 즉 길이와 직경이 동일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파일(110)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결합된 조인트캡(120)(120')의 구비 여부(일단 또는 양단에 구비되는지 여부와 그 종류은 어떠한지 여부)가 동일한 것들끼리 적재해야 했다. 이로 인해 적재공간을 방대하게 확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적재장소의 종류에 맞게 적재하고 출고하는 데에도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types of the concrete piles 110 are variously produc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lengths, diameters, and joint caps 120 and 120 ', the concrete piles 110 have to be stacked by type. That is, whether or not the joint caps 120 and 120 'integrally fixedly coupled to the ends of the concrete piles 110 (whether they are provided at one end or both ends and their types) are the same I had to load things together.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not only a large space is required for loading but also a lot of time is required for loading and unloading according to the type of loading place.

(선행특허문헌)(Prior Patent Literature)

(특허문헌1)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5069호(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25069

(특허문헌2) 등록특허 제10-0946897호(Patent Document 2) Registration No. 10-094689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적재 장소의 종류를 줄일 수 있어 적재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하고 출고하는데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oncrete pi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kinds of the stacking places, thereby not onl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stacking space but also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oncrete pile structur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는, 인장강선이 내장된 콘크리트 파일몸체의 양단부에 볼트체결부가 구비된 콘크리트 파일, 및 다른 콘크리트 파일과의 결합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볼트체결부에 탈착가능하게 볼트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pile having bolt fastening portions at both ends of a concrete pile body having a tensile steel wire embedded therein, And a connecting member detachably bolted to the fasten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관통공이 형성된 도넛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볼트체결부에 대응되게 볼트결합공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e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of a donut-shaped plate having a through hole, and may have a bolt coupl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bolted portion of the concrete pi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볼트체결부에 볼트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콘크리트 파일의 볼트체결부에 볼트결합된 연결부재와 용접되어 2개의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welded to a bolt-fastening portion of the concrete pile and a connecting member bolted to the bolt fastening portion of another concrete pil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관통공의 단부에 다른 연결부재와의 용접결합시 그 연결부재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링 형상의 슬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 ring-shaped sleev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connecting member when the end of the through hole is welded to another connecting member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중앙에 마밀라슈가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mummer shoe at the cen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단부에 결합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직경보다 큰 연장부가 상기 마밀라슈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e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ille shaft so that an extension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ncrete pile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pile when the pile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oncrete pile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의 볼트결합을 위한 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너트홈을 구비하고, 상기 너트홈의 단부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몸체의 단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며, 상기 너트홈에 상기 인장강선을 지지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ut groove into which a fastening bolt for bolt connection with the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and an end of the nut groov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nd of the concrete pile body And a stepped portion for supporting the tensile steel wire may be formed in the nut gro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파일은 상기 콘크리트 파일몸체의 단부 외주면에 고정결합된 보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pile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ring fixed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crete pile bod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에 의하면, 콘크리트 파일들을 연결하는 부재를 콘크리트 파일과 별로도 제조한 후 탈부착시킴으로써 콘크리트 파일의 직경과 길이만 동일하면 한 곳에 적재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적재 장소의 종류를 줄일 수 있어 적재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하고 출고하는데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mbers connecting the concrete piles can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concrete piles, and then detached and attached, so that they can be stacked in one place when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concrete piles are the sam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ype of the loading place, thereby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loading space,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loading and unload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파일의 최하단부에 구비되는 연결부재를 콘크리트 파일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연장시킴으로써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의 주면 마찰력을 높여 시공내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연장부분을 마밀라슈와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전단력에 의해 파단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member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concrete pile can be extend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pile,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of the concrete pile structure and increasing the proof stress.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lower the breaking performance by the shear forc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를 나타낸 개략적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을 나타낸 개략적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파일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파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념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FIG. 2 is a schematic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crete p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crete file shown in FIG. 2,
4 is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of a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6 to 7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crete pile shown in FIG. 2,
9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ncrete pile structure shown in FIG. 9;
1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assembly state of the concrete pile structure shown in Fig. 9,
FIG. 1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oupling member shown in FIG. 12;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는, 인장강선(12)이 내장된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양단부에 볼트체결부(13)가 구비된 콘크리트 파일(10), 및 콘크리트 파일(10)의 단독 또는 연결 사용 여부나 연결 사용 시 설치 위치(상부, 중간부, 하부)에 따라 콘크리트 파일(10)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의 볼트체결부(13)에 탈착가능하게 볼트결합되는 연결부재(20)(20')(20")를 포함한다.2 to 8, a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crete pile body 11 having a tensile steel wire 12 therein, a concrete pile having bolt fastening portions 13 at both ends thereof, The concrete pile 10 and the concrete pile 10 are connected to the bolt fastening portion 13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concrete pile 10 according to whether the concrete pile 10 is used alone or in connection, 20 ", 20 ", which are detachably bolted together.

콘크리트 파일(10)은 PHC 파일(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로,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내부에 프리텐션을 위한 인장강선(12)과 나선철근(도면미도시)이 매립되어 있다. The concrete file 10 is a PHC file (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and a tensile steel wire 12 and a spiral reinforcing bar (not shown) are embedded in the concrete pile body 11 for pretensioning.

콘크리트 파일몸체(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장강선(12)과 나선철근이 거푸집에 안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원심성형한 후 양생된 것이다. 콘크리트 파일몸체(11)는 중공부(11a)를 가진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concrete pile body 11 is cured after casting concrete by centrifugal molding in a state that the tensile steel wire 12 and the spiral reinforcing bar are seated in the form as described later. The concrete pile body 11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11a.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양단부 외주면에 보강링(14)이 고정결합되어 있다. 보강링(14)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인장강선(12)의 단부와 평행한 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됨으로써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결합된다. 보강링(14)은 콘크리트 파일몸체(11)와 일체로 고정결합되어 콘크리트 파일(10)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파일(10) 단부의 강성을 높이게 된다. As shown in FIG. 3, reinforcing rings 14 are fixedly coupled to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both end portions of the concrete pile body 11. The reinforcing ring (14) is firmly fixed to the end of the concrete pile body (11) by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in a state of being placed at a position parallel to the end of the tensile steel wire (12) before pouring concrete. The reinforcement ring 14 is integrally fixedly coupled to the concrete pile body 11 to form the concrete pile 10, thereby enhancing the rigidity of the ends of the concrete pile 10. [

인장강선(12)은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고 외력에 의해 프리텐션이 가해져 고강도의 콘크리트 파일(10)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인장강선(12)의 양단부에는 볼트체결부(13)가 구비되어 있다. The tensile steel wire 12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e body 11 and pretensioned by an external force to make a concrete pile 10 of high strength. At both ends of the tensile steel wire 12, bolt fastening portions 13 are provided.

볼트체결부(13)는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양단부에 일부가 매립되어 고정결합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몸체(11)에 매립되어 설치된 인장강선(12)의 양단에 볼트체결부(13)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The bolt fastening portion 13 is partially embedded in both ends of the concrete pile body 11 and is fixedly coupled. 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3, bolt fastening portions 13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a tensile steel wire 12 embedded in the concrete pile body 11.

볼트체결부(13)는 인장볼트(1) 내지 체결볼트(30)가 결합되는 너트홈(13a)을 구비하고 인장강선(12)의 헤드를 지지할 수 있는 단턱부(13b)를 구비하여 단면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장볼트(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리텐션공정에 사용되고, 체결볼트(30)는 연결부재(20)(20')(20")를 콘크리트 파일(10)에 볼트체결할 때 사용된다. 너트홈(13a)에 인장강선(12)의 헤드가 삽입된 상태에서 단턱부(13b)에 걸려 볼트체결부(13)가 인장강선(12)을 지지하게 된다. The bolt fastening portion 13 is provided with a step portion 13b having a nut groove 13a to which the tension bolt 1 to the fastening bolt 30 is coupled and capable of supporting the head of the tensile steel wire 12, Quot; C " shape as a whole. The tension bolt 1 is used in a pre-tensioning process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tightening bolt 30 is used when bolting the connecting member 20, 20 ', 20 "to the concrete pile 10. [ The bolt fastening portion 13 supports the tensile steel wire 12 by being caught by the step portion 13b in a state where the head of the tensile steel wire 12 is inserted into the groove 13a.

너트홈(13a)의 단부는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단부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즉 너트홈(13a)의 단부는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외부로 노출되게 매립되어 고정됨으로써 후술하는 연결부재(20)(20')(20")가 결합될 때 체결볼트(30)가 체결될 수 있게 된다. The end portion of the nut groove 13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crete pile body 11. The ends of the nut grooves 13a are buried and expos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ncrete pile body 11 so that the fastening bolts 30 are fastened when the connecting members 20, 20 ', 20 " .

볼트체결부(13)는 복수개가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환형으로 구비되어 있다. A plurality of bolt fastening portions 13 are annularly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e body 1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20)는 관통홀(21)이 형성된 도넛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파일(10)의 볼트체결부(13)에 대응되게 다수개의 볼트결합공(22)을 구비하고 있다. 다수개의 볼트결합공(22)은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환형으로 구비되어 있다.4 and 5, the connecting member 20 is formed of a donut-shaped plate having a through-hole 21 formed therein. The connecting member 20 has a plurality of bolt- (22). The plurality of bolt coupling holes 22 are annularly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e body 11.

연결부재(20)는 콘크리트 파일(10)의 볼트체결부(13)에 볼트결합된 상태에서 다른 콘크리트 파일(10)의 볼트체결부(13)에 볼트결합된 연결부재(20)와 용접되어 2개의 콘크리트 파일(10)을 연결시킨다. 연결부재(20)의 가장자리에는 용접을 위한 모따기부(23)가 형성되어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20 is welded to the connecting member 20 bolted to the bolt connecting portion 13 of the other concrete pile 10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member 20 is bolted to the bolt connecting portion 13 of the concrete pile 10, Thereby connecting the concrete piles 10. A chamfered portion 23 for welding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connecting member 20.

연결부재(20)는 다수개의 콘크리트 파일(10)이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파일(10)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콘크리트 파일(10)들이 연속하여 연결되는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재(20)를 사용하게 되고, 중간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2종의 연결부재(20, 20')를 사용(구체적으로 상단에는 연결부재(20')를 사용하고, 하단에는 연결부재(20)을 사용)하게 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2종의 연결부재(20', 20")를 사용(구체적으로 상단에는 연결부재(20')를 사용하고, 하단에는 연결부재(20")를 사용)하게 된다. The connecting member 20 has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concrete piles 10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concrete piles 10 are connected in series. That is, as shown in FIG. 11, when the three concrete piles 10 are continuously connected, the concrete pile 10 positioned at the top uses the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S. 4 and 5, The concrete pile 10 positioned in the middle uses the two kinds of connecting members 20 and 20 'shown in Figs. 5 and 6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20' is used at the upper end and the connecting member 20 ' The concrete pile 10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is used with the two kinds of connecting members 20 'and 20' 'shown in Figs. 6 and 7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20 ', And the lower end thereof uses a connecting member 20' ').

상술하면, 상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경우 상단부에는 어떠한 형태의 연결부재(20)도 결합되지 않고, 하단부에만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재(20)가 결합된다. 중간 위치의 콘크리트 파일(10)의 상단부에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재(20')가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연결부재(20)가 결합된다. 하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상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재(20')가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연결부재(20")가 결합된다. In the case of the concrete pile 10 positioned at the upper part, the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 5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nly, without any connecting member 20 being connected to the upper end. The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 6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pile 10 at the intermediate posi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 5 is coupled to the lower end. The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 6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pile 10 positioned at the lower part and the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 7 is coupled to the lower end.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재(20')는 관통홀(21)의 단부에 링 형상의 슬리브(24)가 형성되어 다른 연결부재(20)의 관통홀(21)에 끼워지게 된다. 슬리브(24)는 관통홀(2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다른 연결부재(20)와의 용접결합시 그 연결부재(20)의 관통홀(21)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2개의 연결부재(20)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슬리브(24)를 구비한 연결부재(20')는 2개의 연결부재(20)(20')가 맞대어져 결합되는 연결부분에 적용된다. 가령 상술한 바와 같이 중간의 콘크리트 파일(10)의 상단부에는 상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의 관통홀(21)에 끼워지도록 슬리브(24)를 구비한 연결부재(20')가 결합된다. 또한, 하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상단부에도 중간의 콘크리트 파일(10)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의 관통홀(21)에 끼워지도록 슬리브(24)를 구비한 연결부재(20')가 결합된다. The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 6 is formed with a ring-shaped sleeve 24 at the end of the through hole 21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of the other connecting member 20. The sleeve 24 protrudes outwardly of the through hole 21 and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through hole 21 of the connecting member 20 when the other connecting member 20 is welded to the two connecting members 20 ). Thus, the connecting member 20 'with the sleeve 24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portion where the two connecting members 20, 20' are butted together.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intermediate concrete pile 10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20 having a sleeve 24 to b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21 of the connecting member 20,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e structur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20 ').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pile 1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is also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20 having the sleeve 24 so as to b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21 of the connecting member 20, 20 ').

도 7에 도시된 연결부재(20")는 중앙에 마밀라슈(25)가 형성되어 있다. 마밀라슈(mamila shoe)는 항타시 파일이 옆으로 밀리는 현상을 감소시켜 직진성을 높이기 위해 채택된 것으로,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중공부(11a) 쪽을 향해 개략 뿔 형상의 오목한 구조로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밀라슈(25)를 구비한 연결부재(20")는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The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 7 is formed at its center with a mamilla shoe 25. The mamila shoe is used to reduce the tendency of the pile to slide sideways, And is form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hollow portion 11a of the concrete pile body 11 in the form of a concave cone-like concave structure. Therefore, as shown in Fig. 9, 20 ")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e 10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도 9(c)에 도시된 콘크리트 파일(10)은 도 11에 도시된 (a)(b)(c)의 콘크리트 파일(10) 중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 콘크리트 파일(10)의 하단부에는 마밀라슈(25)를 구비한 연결부재(20")를 결합시킨다. The concrete pile 10 shown in Fig. 9 (c)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crete pile 10 shown in Figs. 11 (a) Thereby joining the connecting member 20 "having the mirror seal 25 thereon.

도 9(d)에 도시된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는 다수개의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가 연결되지 않고 하나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로, 콘크리트 파일(10)의 하단부에 마밀라슈(25)를 구비한 연결부재(20")가 결합되어 있다. 즉 하나의 콘크리트 파일(10)만을 지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 파일(10)의 상단부에는 별도의 연결부재(20)(20')(20")를 결합시키지 않고 하단부에만 연결부재(20)를 결합시키게 되는데 이때 하단부에 결합되는 연결부재(20")는 항타시 지면과 접촉하게 되므로 마밀라슈(25)를 구비한 것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The concrete pile structure shown in FIG. 9 (d) is a case where a plurality of concrete pile structures are not connected but one is used alone, and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mica shoe 25 at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e 10 20 '' ar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pile 10 when only one concrete pile 10 is to be installed on the ground, The connecting member 20 ''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anding surface of the landing gear so that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mirror shaft 25 is used.

이하 콘크리트 파일(10)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pile structure includ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pile 10 will be describ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 제조방법은, 양단부에 볼트체결부(13)를 고정결합하여 콘크리트 파일(10)을 제조하는 파일 제조단계(S10), 연결부재(20)(20')(20")를 제조하여 파일 제조단계(S10)에서 제조된 콘크리트 파일(10)과 별개로 보관하는 연결부재 준비단계(S20), 현장시공을 위해 복수개의 콘크리트 파일(10)들을 연결하고자 할 때 연결부재 준비단계(S20)에서 제조되어 보관 중인 연결부재(20)(20')(20")를 각 콘크리트 파일의 단부에 구비된 볼트체결부(13)에 볼트결합시키는 연결부재 조립단계(S30), 및 연결부재 조립단계(S30)에서 콘크리트 파일(10)의 양단에 볼트결합된 연결부재(20)(20')들을 결합하여 콘크리트 파일(10)들을 연결하는 파일 연결단계(S40)를 포함한다.(파일 연결단계(S40)는 콘크리트 파일(10)을 2개 이상 연결 사용하는 경우에만 필요한 단계라 할 것이다.)10,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crete pil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e manufacturing step S10 for manufacturing a concrete pile 10 by fixing bolt fastening portions 13 at both ends thereof, a connecting member 20 A connecting member preparation step S20 for manufacturing the concrete pile 10 'and the concrete pile 10 manufactured in the pile manufacturing step S10,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ncrete piles 10 for the field construction A connecting member assembling step of assembling the connecting members 20, 20 ', 20 ", which are manufactured and stored in the connecting member preparing step S20, to the bolt connecting parts 13 provided at the ends of the concrete piles, A file connecting step S40 for connecting the concrete piles 10 by coupling the connecting members 20 and 20 'bolted to both ends of the concrete pile 10 in the connecting member assembling step S30, (The file connection step S40 is a case where two or more concrete files 10 are connected and used It will be referred to only the necessary step.)

도 8을 참조하면 파일 제조단계(S10)는 인장강선(12)의 양단에 볼트체결부(13)를 각각 결합시키고 볼트체결부(13)의 외측에 마감부재(2)(2')를 설치한 후 인장볼트(1)로 마감부재(2)(2')를 관통하여 볼트체결부(13)에 볼트체결하는 강선조립단계(S11), 마감부재(2)에 인장력을 가하여 인장강선(12)에 프리텐션을 가하는 인장단계(S12), 인장단계(S12)에서 인장강선(12)이 인장된 상태로 거푸집(6)을 합형하고 콘크리트 파일몸체(11)를 원심성형하는 성형단계(S13), 및 양생 후 거푸집(6)과 마감부재(2)(2')를 제거하면서 인장볼트(1)를 볼트체결부(13)로부터 풀어 제거하는 해체단계(S14)를 포함하고 있다. 8, in the file production step S10, the bolt fastening portions 13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ensile steel wire 12 and the closing members 2 and 2 'are installed outside the bolt fastening portions 13 A steel wire assembling step S11 for bolting the bolts to the bolt fastening portions 13 through the fastening members 2 and 2 'with the tension bolts 1 and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fastening members 2, A molding step S13 for molding the concrete pile body 11 by squeezing the mold 6 in a state in which the tensile steel wire 12 is tensioned in the stretching step S12, And a disassembling step S14 of removing the tension bolt 1 from the bolt fastening part 13 while removing the mold 6 and the closure members 2 and 2 'after curing.

강선조립단계(S11)에서는 인장강선(12)의 양단에 볼트체결부(13)를 각각 결합시켜 성형단계(S13)에서 생성되는 콘크리트 파일몸체(11)의 양단부에 연결부재(20)(20')(20")를 각각 탈착가능하게 볼트결합할 수 있게 한다. 인장강선(12)의 양단에 볼트체결부(13)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볼트체결부(13)의 단부에 마감부재(2)(2')를 위치시키고 인장볼트(1)로 마감부재(2)(2')를 볼트체결부(13)에 결합시킨다. 마감부재(2)(2')에는 볼트관통공(3)이 형성되어 있다. 인장볼트(1)는 마감부재(2)(2')의 볼트관통공(3)을 관통하여 볼트체결부(13)에 볼트결합된다. 일단의 마감부재(2)에는 인장샤프트(4)가 고정결합되어 있다. 인장샤프트(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인장부재(5)가 위치이동가능하게 스크류결합되어 있다. 인장단계(S12)에서 인장샤프트(4)는 인장기구(도면미도시)에 의해 축방향으로 견인되면서 마감부재(2)와 함께 인장강선(12)을 인장시키게 된다. 인장샤프트(4)가 결합된 마감부재(2)는 거푸집(6)의 내부에 위치시키고 인장강선(12)의 타단에 결합된 마감부재(2')는 거푸집(6)의 외측 단부에 걸려 지지된다. 거푸집(6)의 일단에는 인장부재(5)가 걸려 지지된다. In the steel wire assembling step S11, the bolt fastening portions 13 are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tensile steel wire 12 to connect the connecting members 20 and 20 'to both ends of the concrete pile body 11 generated in the molding step S13. The bolts 13 are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tensile steel wire 12 and are fastened to the ends of the bolt fastening portions 13 by fastening members 2, The bolts 3 are positioned in the closing members 2 and 2 and the closing members 2 and 2 'are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portions 13 with the tension bolts 1. The fastening members 2 and 2' The tension bolt 1 is bolted to the bolt fastening portion 13 through the bolt through hole 3 of the closure member 2 or 2 '. The one end closure member 2 is provided with a tension shaft The tension shaft 4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shaft 4.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nsion shaft 4 and is screwed so that the tension member 5 can be moved in position. (Not shown) And is pulled in the axial direction to tension the tension steel wire 12 together with the closing member 2. The closing member 2 to which the tension shaft 4 is coupled is placed inside the formwork 6 and the tensile steel wire 12 Is attached to the outer end of the formwork 6. A tension member 5 is hung on one end of the formwork 6. The tension member 5 '

인장단계(S12)에서는 인장샤프트(4)를 견인하여 인장강선(12)을 인장시킨 후 인장부재(5)를 이동시켜 거푸집(6)의 단부에 지지되게 한다. 인장부재(5)를 인장샤프트(4)의 축을 따라 위치이동시켜 거푸집(6)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거푸집(6)의 일단에는 마감부재(2')가 지지되고 타단에는 인장부재(5)가 지지된다. 이와 같이 인장강선(12)이 인장된 상태에서 거푸집(6)의 양단을 마감부재(2')와 인장부재(5)로 지지함으로써 인장강선(12)에 프리텐션이 가해진 상태로 콘크리트 파일몸체(11)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In the tensile step S12, the tension shaft 5 is pulled to pull the tensile steel wire 12, and then the tensile member 5 is moved to be supported at the end of the die 6. The tension member 5 is supported at the one end of the formwork 6 and the tension member 5 is supported at the other end by moving the tension member 5 along the axis of the tension shaft 4 and being supported by the formwork 6. [ do. In this state, both ends of the formwork 6 are supported by the closure member 2 'and the tension member 5 in the state that the tensile steel wire 12 is pulled, so that the tensile steel wire 12 is subjected to pretensioning, 11 can be formed.

성형단계(S13)에서는 거푸집(6)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합형하고 원심성형방식으로 콘크리트 파일몸체(11)를 성형한다. 인장단계와 성형단계에 대해서는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0032호 및 제2013-0125069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원심성형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튜브 형상으로 양생되면 거푸집(6)과 마감부재(2)(2') 및 인장볼트(1)를 해체하게 된다.In the molding step S13,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mold 6, and the concrete pile body 11 is molded by a centrifugal molding method. The stretching step and the forming step are describ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Laid-Open Nos. 2010-0110032 and 2013-0125069 and will not be described here. When the concrete is cured in a tube shape as shown in Fig. 3 by centrifugal molding, the mold 6, the closure members 2, 2 'and the tension bolt 1 are disassembled.

해체단계(S14)에서 인장볼트(1)를 볼트체결부(13)로부터 풀어 제거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10)의 양단부에 볼트체결부(13)의 단부가 각각 외부로 노출된다. 해체작업이 완료된 콘크리트 파일(10)은 시공주문이 들어올 때까지 직경별, 길이별로 야적장에 적재하여 둔다. 연결부재 준비단계(S20)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연결부재(20)(20')(20")를 제조한 후 시공주문이 들어올 때까지 보관하여 둔다. 시공주문이 들어오면 연결부재 조립단계(S30)를 수행한다. When the tension bolt 1 is loosened and removed from the bolt fastening portion 13 in the disassembling step S14, the end portions of the bolt fastening portions 13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concrete pile 10 as shown in Fig. Exposed. The concrete pile 10, which has been completely dismantled, is loaded on the yard by diameter and length until the order of construction is received. In the connecting member preparation step S20, the connecting members 20, 20 'and 20' 'shown in FIGS. 5 to 7 are manufactured and stored until the order for installation is received. The assembling step S30 is performed.

연결부재 조립단계(S30)에서는 시공주문이 들어오면 주문에 맞는 연결부재(20)(20')(20")를 선택하여 콘크리트 파일(10)에 결합시킨 후 시공현장으로 이송시킨다. In the connecting member assembling step S30, when a construction order arrives, the connecting members 20, 20 'and 20' 'corresponding to the order are selected and coupled to the concrete pile 10, and then transferred to the construction site.

여기서, 콘크리트 파일(10)의 양단부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길이와 직경이 동일한 것끼리 적재하여 보관하고 시공주문이 들어오면 연결부재(20)(20')(20")만 결합하여 출고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파일(10)의 양단에 연결부재(20)(20')(20")에 해당하는 부품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길이와 직경이 동일할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20)(20')(20")에 해당하는 부품의 형상이 동일한 것들끼리 적재해야 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연결부재(20)(20')(20")를 콘크리트 파일(10)과 별로도 제조한 후 탈부착시킬 수 있게 되어 직경과 길이만 동일하면 한 곳에 적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적재 장소의 종류를 줄일 수 있어 적재하고 출고하는데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Since the both ends of the concrete pile 10 are formed identically, the same length and diameter of the concrete pile 10 are stored and stored, and when the order is received, only the connecting members 20, 20 'and 20 " Conventionally, since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members 20, 20 'and 20' 'are integral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crete pile 10, not only the length and the diameter are the same, but also the connecting member 20 20 'and 2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loaded in the same manner.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s 20, 20' and 20 '' ar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concrete piles 10 So that it can be loaded in one place if the diameter and length are the sa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ype of the loading plac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time for loading and unloading.

파일 연결단계(S40)는 연결부재 조립단계(S30)를 거친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를 시공현장으로 이송한 후 시공현장에서 수행한다. 파일 연결단계(S40)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현장에서 각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의 연결부재(20)(20')들을 맞대어 용접한다. 다수개의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를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서로 맞대어진 연결부재(20)(20')들의 모따기부(23)에 용접하여 다수개의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를 결합하게 된다. 다수개의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가 일자형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항타작업을 시작하게 된다. In the file connection step S40, the concrete pile structure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assembling step S30 is transferred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n the construction is carried out. In the file connecting step S40, as shown in FIG. 11, the connecting members 20 and 20 'of the respective concrete pile structures are welded at the construction site. A plurality of concrete pile structures are continuously connec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welded to the chamfered portions 23 of the connecting members 20 and 20 ' The piling operation is started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concrete pile structures are joined together in a straight line.

도 12 내지 도 13에는 연결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연결부재(20''')는 중앙에 마밀라슈(25)가 형성되고 테두리부에 연장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2의 연결부재(20''')는 도 7에 도시된 연결부재(20")에 비해 연장부(26) 만큼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12 to 13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The connecting member 20 '' 'shown in FIG. 12 is formed with a mirror seal 25 at the center and an extension 26 at the edge.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20 '' 'of FIG. 12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extending portion 26 as compar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20' 'shown in FIG.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파일(10)의 단부에 연결부재(20''')가 볼트결합되면 연장부(26)는 콘크리트 파일(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다. 도 7의 연결부재(20")는 콘크리트 파일(10)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콘크리트 파일(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는 반면, 도 13에 도시된 연결부재(20''')는 연장부(26) 만큼 콘크리트 파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이 경우, 연장부(26)의 직경은 인접한 보강링(14)보다 크다.As shown in FIG. 13, when the connecting member 20 '' 'is bolted to the end of the concrete pile 10, the extending portion 26 protrudes outward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oncrete pile 10. The connecting member 20 '' of FIG. 7 is formed to be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concrete pile 10 and does not protrude outside the concrete pile 10, whereas the connecting member 20 '' ' The diameter of the extending portion 26 is larger than that of the adjacent reinforcing ring 14.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extending portion 26 is larger than that of the adjacent reinforcing ring 14. [

마밀라슈(25)가 구비된 연결부재(20''')는 콘크리트 파일(10)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하단부에 결합되고, 콘리리트 파일(10)을 연결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하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10)의 하단부에 결합되므로, 연장부(26)가 콘크리트 파일(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의 직경이 전체적으로 확장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고, 그로 인해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의 외주면을 따라 작용하는 마찰력이 커지게 되어 시공내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The connecting member 20 '' 'provided with the mirror seal 25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e 10 when the concrete pile 10 is used alon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e 10 when the concrete pile 10 is connected.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extension 26 outwardly of the concrete pile 10 results in an overall expansion of the diameter of the pile of concrete pile 10. As a result, The frictional force act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creased, and the construction resistance can be increased.

여기서, 연결부재(20''')는 연장부(26)와 마밀라슈(25)를 일체로 하여 성형된다. 따라서 연장부(26)를 별도로 제조하여 마밀라슈(25)에 결합시키는 방식에 비해 연장부(26)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장부(26)에 외력이 가해질 때 연장부(26)만 파단되지 않게 연장부(26)의 경계부분 전단력이 크게 높아지게 된다. Here, the connecting member 20 ''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extension portion 26 and the mummillash 25.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the extension portion 26 as compared with a method of separately manufacturing the extension portion 26 and connecting the extension portion 26 to the mirror seal 25, and also,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xtension portion 26, The shearing force of the boundary portion of the extended portion 26 is greatly increas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the modification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콘크리트 파일
11 : 콘크리트 파일몸체
11a : 중공부
12 : 인장강선
13 : 볼트체결부
13a : 너트홈
13b : 단턱부
14 : 보강링
20,20',20",20''' : 연결부재
21 : 관통홀
22 : 볼트결합공
23 : 모따기부
24 : 슬리브
25 : 마밀라슈
26 : 연장부
30 : 체결볼트
1 : 인장볼트
2,2' : 마감부재
3 : 볼트관통공
4 : 인장샤프트
5 : 인장부재
6 : 거푸집
10: Concrete file
11: Concrete pile body
11a: hollow portion
12: Tensile steel wire
13: bolt fastening portion
13a: nut groove
13b:
14: reinforcing ring
20, 20 ', 20 ", 20 "':
21: Through hole
22: bolt coupling ball
23: chamfering
24: Sleeve
25: Mamilashu
26: Extension
30: fastening bolt
1: Tension bolt
2,2 ': Closing member
3: Bolt through ball
4: Tension shaft
5: Tension member
6: Form

Claims (1)

인장강선이 내장된 콘크리트 파일몸체의 양단부에 볼트체결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콘크리트 파일몸체의 단부 외주면에 보강링이 고정결합된 콘크리트 파일; 및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볼트결합되고,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하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볼트결합되는 연결부재(20''');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20''')는,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하단부의 볼트체결부에 상기 콘크리트 파일을 연결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하부에 위치하는 콘크리트 파일의 하단부의 볼트체결부에 탈착가능하게 볼트결합되도록 콘크리트 파일의 볼트체결부에 대응되는 볼트결합공을 구비하되, 중앙에 상기 콘크리트 파일의 하단부에 결합 시 상기 콘크리트 파일몸체의 중공부 쪽을 향해 오목한 구조로 결합되도록 마밀라슈가 일체 형성되고, 테두리부에 연장부가 콘크리트 파일의 반경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인접한 보강링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밀라슈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파일 구조체.
A concrete file having a bolt fastening portion at both ends of a concrete pile body having a tensile steel wire embedded therein and a reinforcing ring fixedly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concrete pile body; And
When the concrete pile is used alone, it is detachably bolted to a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e. When the concrete pile is connected, a connecting member 20 '', which is detachably bol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e located at the lowermost part, ');
Including,
The connecting member 20 '''
When the concrete pile is used alone, when the concrete pile is connected to the bolt fastening part at the lower end thereof, the bolt fastening part of the concrete pile is detachably fastened to the bolt fastening part of the lower end part of the concrete pile located at the lowermost part. And a masonry shoe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lt coupling hole to correspond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concrete pile body when the concrete pile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ile at the cent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mummillash so as to protrude outwardly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ring an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adjacent reinforcing ring.
KR1020170007165A 2017-01-16 2017-01-16 Concrete file structure KR1017893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165A KR101789304B1 (en) 2017-01-16 2017-01-16 Concrete fil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165A KR101789304B1 (en) 2017-01-16 2017-01-16 Concrete file structur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497 Division 2016-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304B1 true KR101789304B1 (en) 2017-10-23

Family

ID=6029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165A KR101789304B1 (en) 2017-01-16 2017-01-16 Concrete fil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30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306A (en) * 2019-04-01 2020-10-12 이엑스티 주식회사 Modular p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49B1 (en) * 2009-10-27 2010-11-23 (주) 포유엔지니어링 Phc pile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49B1 (en) * 2009-10-27 2010-11-23 (주) 포유엔지니어링 Phc pile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306A (en) * 2019-04-01 2020-10-12 이엑스티 주식회사 Modular pile
KR102273698B1 (en) * 2019-04-01 2021-07-06 케이에이치이엔티 주식회사 Modular pi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004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joint piles
US7546656B2 (en) Method of installing prefabricated, segment concrete filled tube members
JP5258099B2 (en) Prestressed concrete pil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necting pile head and footing
JP5006588B2 (en) Column / beam connection method
KR101789302B1 (en) Concrete file structure
JP5456947B1 (en) Composite pile
KR101264918B1 (en) Sealing plate for fabrication of concrete pile and fabrication apparatus &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48500A (en) Hybrid pile combined steel tubular pile and PHC pile with bolting type connecting member
KR101789304B1 (en) Concrete file structure
KR102069419B1 (en) Composite pile internally reinforced by steel tube
JP2024009337A (en) Concrete pile with double steel pipe. production device thereof, and pile head joint structure
JP5420392B2 (en) Pile head structure of steel pipe concrete pile
KR101726278B1 (en) Coupling structure for PHC file
KR20110026206A (en) Joint for concrete pile
KR101194382B1 (en) Concrete Pile, Device of Manufactu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or the Same
JP5207108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joining pier and footing
KR101205893B1 (en) Connecting device for PHC pile ends
KR101644449B1 (en) Phc pile using joint plate and connecting fin
JP5601787B2 (en) Colum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lumn structure
KR20160012670A (en) Rebar connecting implement and concrete embede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0923107B1 (en) Centrifugal concrete pile for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826244B1 (en) Composite p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924682B2 (en) Pile hea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1270502B1 (en) Precast concrete for member of framework with none sleeve
KR101859146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bination P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