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181B1 -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181B1
KR101789181B1 KR1020160068718A KR20160068718A KR101789181B1 KR 101789181 B1 KR101789181 B1 KR 101789181B1 KR 1020160068718 A KR1020160068718 A KR 1020160068718A KR 20160068718 A KR20160068718 A KR 20160068718A KR 101789181 B1 KR101789181 B1 KR 101789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ales
information
seller
photo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페24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페24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4Referral rewar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9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for generating compari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앙태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에서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 상기 게시된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고유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품 고유 주소를 회원 및 비회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ELECTRONIC COMMERCE OPE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본 발명은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상품 광고 효과를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활성화되면서 많은 소비자들은 의류를 구매하면 정성껏 코디를 하고 스마트폰으로 셀카를 찍어 이 사진을 SNS에 공유하고 다른 사람들의 반응을 즐긴다.
이때, 모델이 아닌 일반인의 착용샷 한 장은 백마디의 상품후기보다 더 많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한마디로 스마트폰에 저장된 착용샷 셀카는 상품후기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SNS가 가진 정보 전달의 파급력은 이제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없을만큼 검증되었으며 이 파급력을 상품 판매의 수단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는 끊임없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SNS를 활용한 전자상거래 방법은 SNS 운영자로 하여금 해당 사이트의 성격에 맞는 상품에 대한 소개나 추천을 해주어도 본인에게는 이득이 없으므로 굳이 열심히 알리지도 않게 된다. 또한, SNS를 활용하여 상품 광고를 하기 위해 SNS 운영자가 직접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상품으로의 접근 경로를 생성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SNS 운영자를 통한 상품 광고는 포털 사이트의 스폰서링크, 파워/프리미엄링크 등에 비해서 광고 노출이 훨씬 적은 실정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일반인들의 의류 착용 사진 및 상품구매정보 등을 이용하여 동일 제품을 상품 데어터베이스(DB)로부터 자동으로 검색하고 판매 사이트에 노출시켜 줌으로써 상품 후기를 적극적으로 판매에 활용함과 동시에 상품별로 상품고유 주소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품 주소를 SNS에 공유하면 할수록 상품주소 공유자에게 더 많은 수익이 돌아가도록 하여 소비자들에 의한 자발적인 마케팅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앙태에 따른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은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 상기 게시된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고유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품 고유 주소를 회원 및 비회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고유 주소는 회원 또는 비회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인 네트워크 공간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커뮤니케이션 앱(APP: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고유 주소를 공유하는 개인 네트워크 공간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고유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접속한 회원 또는 비회원에게 대응되는 상품 고유 주소를 다수 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 생성된 상품 고유 주소는 회원 또는 비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각각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은 상기 게시된 상품 착용 사진에 의해 판매가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 회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회원이 상기 게시된 상품을 열람하는 경우, 제 1 회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상품 고유 주소 및 제 2 회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상품 고유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상품 고유 주소는 회원의 식별 정보 및 상품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URL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된 상품 고유 주소를 통해 제 3 자의 상품 구매가 이루어질 경우, 제 3 자의 상품 결제대금의 제 1 부분이 제 2 회원에게 지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된 상품 고유 주소를 통해 제 3 자의 상품 구매가 이루어질 경우, 제 3 자의 상품 결제대금의 제 2 부분이 제 1 회원에게 지급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기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의 검색은 상기 상품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와 입점계약을 체결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구축될 수 있다.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판매자의 디바이스를 통한 판매자의 동의를 수신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판매자의 상품이 한 개인 경우,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상품의 판매자의 디바이스로 판매 의사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판매 문의를 받은 판매자의 디바이스로부터 판매 결정 의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최신 상품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상품의 게시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상태 정보가 변경된 상품의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상품이 복수 개인 경우, 최저가를 기준으로 한 개의 결과만 리턴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상품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상품과 관련된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로 판매 의사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판매 문의를 받은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판매 결정 의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가 복수일 경우, 상기 복수의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 판매 가격을 문의하는 단계, 상기 판매 가격 문의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판매 가격을 비교하여 최종 판매 상품 및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종 판매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에 대한 최신 상품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최종 판매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의 게시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상태 정보가 변경된 상품의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 의사 문의 및 그에 대한 응답은 판매자 전용 어드민(admin)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앙태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장치는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상품 검색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사이트 게시부, 상기 게시된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고유 주소를 생성하는 상품 고유 주소 생성부, 상기 생성된 상품 고유 주소를 회원 또는 비회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앙태에 따른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은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웹 사이트에 게시하며, 상기 게시된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고유 주소를 생성하여 회원 및 비회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 및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에 등록된 제 1 회원의 디바이스로써,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서버로 상품 착용 사진을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상품 고유 주소를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하는 제 1 회원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앙태에 따른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은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된 상품 착용 사진에 의해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 1 회원에게 상품 결제대금의 일정 부분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일반인들의 스마트폰에 저장된 의류 착용샷을 상품후기로써 좀 더 적극적으로 SNS에서 활용하는 한편, 착용샷을 제공한 이용자에게도 일정한 대가를 지급하여 이용자, 판매자 및 구매자 모두에게 수익 창출과 양질의 정보 제공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상품 검색 결과가 하나인 경우, 판매자를 결정하여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상품 검색 결과가 둘 이상인 경우, 판매자를 결정하여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 정보를 공유하고 리워드를 적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운영 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용어 정리
본 명세서에 걸쳐서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과 관련된 다음의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먼저, 시스템 제공자는 운영자라고 불릴 수 있고, 전체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개발, 관리하고 시스템이 제공되는 사이트를 운영하는 운영자이다. 시스템 제공자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를 통해 사이트를 운영한다.
판매자는 쇼핑몰 운영자일 수 있고, 상품 정보를 운영자에게 제공하고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업무(예컨대, 상담, 배송, 반품 등)를 수행한다.
파트너 회원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으로, 가입 후, 파트너 회원으로 등록한 회원이다. 파트너 회원은 자신이 구매한의류 등의 상품을 착용한 상품 착용 사진과 해당 상품의 구매와 관련된 상품 구매 정보를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로 제공한다.
일반 회원은 시스템 제공자가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후, 상품 주소를 자신의 SNS에 공유한다.
시스템 제공자, 판매자, 파트너 회원 및 일반 회원은 각자 자신의 디바이스를 가지고 서로 통신하면서 로그인, 상품 광고, 판매, 구매, 결제, 리워드 지급 등의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단말이라고 불릴 수 있다. 이는 이동국(MS),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 사용자 터미널(UT; User Terminal), 무선 터미널, 액세스 터미널(AT), 터미널,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S; Subscriber Station), 셀룰러 전화,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무선 통신 디바이스, 무선송수신유닛(WTRU;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이동 노드, 모바일, 모바일국, 개인 휴대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 랩톱, 넷북, 개인용 컴퓨터, 무선 센서, 소비자 전자기기(CE) 또는 다른 용어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 네트워크 공간은 특정인이 웹 상에서 점유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하는 네트워크 공간으로써, SNS 및 커뮤니케이션 어플(Communication App)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SNS를 예를 들어 기재한 부분은 SNS 이외의 다른 개인 네트워크 공간이 사용되어도 무방할 수 있다.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100), 판매자(또는 판매자 디바이스)(110), 파트너회원 디바이스(120), 일반회원 디바이스(130) 및 방문자 디바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100)는 시스템 제공자에 의해 관리되는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자 디바이스(110), 파트너회원 디바이스(120) 및 일반회원 디바이스(130)와 통신가능하다.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100)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웹 사이트를 운영하고, 상기 웹 사이트는 판매자(110)의 상품을 디스플레이하여 회원들의 상품 구매를 지원할 수 있다.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100)는 외부 데이터베이스(105)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5)에는 판매자(110)의 상품 정보 및 상품의 판매자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와 파트너회원 및 일반회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품 정보는 파트너회원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되는 상품착용사진 및/또는 상품 구매 정보에 매칭되는 상품을 검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검색 결과에는 판매자의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A 쇼핑몰이 제공한 상품이라는 결과가 반환될 수 있다.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100)는 먼저 판매자(110)와 입점 계약을 체결하여 판매자(110)들이 보유하고 있는 다수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105)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파트너회원 디바이스(120)로부터 상품 후기에 해당하는 구매 상품 착용 사진을 수신하여 이와 대응되는 판매자(110)의 상품에 대해 파트너회원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상품 착용 사진과 상품 정보를 웹 사이트에 게시한다. 그리고는, 게시된 상품 사진 정보에 대한 일반회원 디바이스(130)로부터의 상품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 이때, 결제대금의 일부를 파트너회원의 계좌로 지급할 수 있다.
판매자(110)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100)로 각자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모든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일부 상품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판매자(110)는 다수일 수 있으며, 판매자(110)는 자신의 디바이스를 통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판매자(110)가 해당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이용할지 말지에 대한 입점계약은 반드시 온라인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판매자(110)는 실제 자신의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에 따라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판매 문의에 대응하여 판매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전자상거래 운영서버(100)로 제공할 수 있고, 이때, 해당 상품의 판매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파트너회원 디바이스(120)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비스에 파트너회원으로써 가입한 회원의 디바이스이다. 파트너회원 디바이스(120)는 회원이 구매한 상품의 착용사진 정보 및 구매 정보를 전자상거래 운영서버(100)에 등록할 수 있다. 다만, 파트너회원 디바이스(120)가 사진을 제공한 하면 모든 사진이 전자상거래 운영서버(100)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등록되는 것은 아니고, 파트너회원 디바이스(120)가 제공한 사진과 매칭되는 상품 결과가 검색되는 경우, 해당 사진에 상품 정보를 포함시켜 웹 사이트에 등록할 수 있다. 파트너회원(120)은 추후 웹 사이트에 게시된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가 상품 착용 사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 일정 부분의 결제금액을 리워드(reward)로써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회원 또는 비회원의 식별 정보 및 상품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되는 상품 고유 주소를 획득하여 자신의 SNS(122)에 게시할 수 있고, SNS(122)에 게시된 상품 고유 주소를 통해 방문자(140)를 통한 판매가 이루어지면 일정 부분의 결제대금을 역시 리워드로 취할 수 있다.
일반회원 디바이스(130)는 일반회원으로 가입한 회원의 디바이스로써, 전자상거래 운영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게시된 상품에 대해 구매 요청을 전송하고 결제를 통해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일반회원 디바이스(130)에 의해 웹 사이트에서 상품이 열람되면, 상품고유주소가 생성될 수 있고, 이를 획득한 일반회원 디바이스(130)는 상품고유주소를 자신의 SNS(132)에 개시할 수 있다. 추후 방문자 디바이스(140)를 통해 방문자가 SNS(132)에 게시된 상품고유주소를 타고 해당 상품을 구매할 시 일정부분의 결제대금을 전자상거래 운영서버(1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파트너회원과 일반회원은 처음 서비스에 가입할 시 회원 정보에 개인 정보뿐만 아니라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개인 네트워크 공간의 주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100)는 상기 개인 네트워크 공간 정보를 가지고, 파트너회원 또는 일반 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생성되는 상품 고유 주소 정보를 공유시킬 수 있다.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스템 제공자는 판매자와 입점계약을 체결한 후,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를 통해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쇼핑몰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10). 이때, 제공받는 상품 정보는 상품 관련 사진, 상품 명칭, 상품 식별 번호, 판매자 식별 정보, 상품 가격, 상품 재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품정보의 수신은 다른 단계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주기적으로 계속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는, 파트너회원은 자신이 촬영한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구매 정보를 파트너회원 디바이스를 통해 전자상거래 운영서버로 업로드한다(S220). 그러면,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는 업로드된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S230). 이때, 상품의 검색은 파트너회원 디바이스를 통해 업로드된 상품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파트너회원이 업로드한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검색하고 나면, 전자상거래 운영서버는 검색 결과를 참조하여 판매자에게 판매의사를 문의하고, 판매자가 판매를 결정하면 해당 결정을 수신한다(S240). 그리고는, 판매자가 판매하기로 결정한 해당 상품을 웹 사이트에 게시한다(S250). 게시되는 상품이 내용은 상품 착용 사진과 상품 정보를 조합하여 게시할 수 있다. 이때, 게시되는 상품 정보의 종류는 운영자가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가격, 사이즈, 판매 쇼핑몰, 및/또는 브랜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전자상거래 운영서버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는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파트너회원의 업로드 및 업로드된 사진에 대응하는 상품의 판매자로부터의 판매 결정 과정이 완료된 상품들이 다수 전시될 수 있다. 이때, 상품 정보와 상품 착용 사진이 함께 게시될 수 있다. 또한, 상품 정보와 상품 착용 사진이 게시된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상품 고유 주소가 회원 또는 비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배포되면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는 상품 고유 주소와 함께 상품 착용 사진이 게시되어 타 방문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
이렇게 다수 전시된 상품들에 대해 일반회원들에 대한 상품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S260). 일반회원이 상품을 구매하게 되면, 해당 상품의 착용사진을 제공한 파트너회원에게 결제금액 대비 일정 비율의 금액이 리워드로써 연관된 계좌로 지급될 수 있다(S270).
그리고, 게시된 상품 별로 상품고유주소가 생성될 수 있고, 이를 일반회원 자신의 SNS에 공유할 수 있다(S280). 상품고유주소는 일반회원이 상품을 열람할 때 상품별로 생성될 수 있다. 일반회원의 경우 파트너회원처럼 상품 착용 사진을 업로드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의 SNS를 이용하여 열람하거나 구매한 상품을 광고할 수 있고, 자신의 SNS에 방문하는 방문자들로 하여금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회원 역시 광고 활동에 대한 수익금으로 방문자의 구매에 대응하여 일정부분 리워드를 지급받을 수 있다(S290). 즉, 일반회원의 SNS에 게시된 상품고유주소를 타고 들어와 상품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SNS에 상품고유주소를 게시한 일반회원에게 결제금액 대비 일정비율의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이때, 방문자의 구매 상품에 대해 상품착용사진을 등록한 파트너회원도 일정비율을 리워드를 지급받을 수 있다. 상품고유주소는 일반회원뿐만 아니라 파트너회원 것도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트너회원도 자신이 업로드한 상품 착용 사진이 함께 표시되도록 하는 상품고유주소를 자신의 SNS에 공유할 수 있다.
위 과정을 통해, 파트너회원은 일반회원의 구매에 의해 광고에 따른 이익을 받을 수 있고, 일반회원은 자신의 SNS에 올린 상품고유주소를 이용한 방문자회원의 구매에 의해 이익을 받을 수 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 도 3 내지 도 6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축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상거래 운영서버(310)의 서버스 제공자는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는 판매자와 입점 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는 판매자 디바이스(320)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자와 판매자간의 오프라인 커넥션(connection)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자상거래 운영서버(310)의 서버스 제공자는 입점계약을 체결한 판매자의 판매자 디바이스(320)로부터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전자상거래 운영서버(310)의 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할 수 있다. 각 판매자 디바이스(320)는 각각 데이터베이스(322)들에 자신의 쇼핑몰에서 관리되고 있는 상품들의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판매자 디바이스(320)는 쇼핑몰 데이터베이스(322)에 저장된 상품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312)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정보는 상품 카테고리, 상품 사이즈, 컬러, 제조사, 상품 사진, 현재 재고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 쇼핑몰마다 다르게 표기되는 상품 카테고리, 사이즈, 컬러 등의 상품정보는 전자상거래 운영서버(310)에서 제공하는 일정한 규격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 운영서버(310)의 서버스 제공자는 운영자 데이터베이스(312)에 상품정보를 저장할 때, 게시상태 정보로써 "false"로 설정할 수 있다. "false"는 현재 게시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true"가 되면 웹 사이트에 실제 게시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파트너회원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착용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의 경우 그 게시상태 정보가 "false"에서 "true"로 전환될 수 있다. 판매자의 상품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와 서비스 제공자의 데이터베이스(312)는 주기적으로 동기화할 수 있다.
상품 사진, 상품 정보 등록 및 상품 검색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품 정보에 대한 운영서버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고 나면, 파트너회원은 전자상거래 운영서버로 상품 착용 사진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품 착용 사진과 함께 상품 구매 정보를 전자상거래 운영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상거래 운영서버는 상품 착용 사진이 등록되면, 등록된 상품 착용 사진과 동일한 상품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검색의 편의를 위해 사진과 함께 제공되는 상품 구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상품 구매 정보는 구매한 쇼핑몰, 상표, 사이즈, 상품 명칭, 구매 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품 사용 후기 역시 함께 등록할 수 있다. 구매자의 경우, 상품 착용 사진의 미적 감각과 사용 후기의 내용을 보고 나서 구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파트너회원의 좋은 미적 감각은 해당 상품의 광고 효과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등록된 상품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정확한 검색을 위해, 기본적으로 상품 착용 사진을 기반으로 그 형태를 비교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판매자로부터 제공된 상품 정보 및/또는 사진과 가장 유사한 상품을 검색하고, 추가적으로 등록된 상품 구매 정보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내 상품 정보와 비교를 통해 유사 상품을 검색할 수 있다. 즉, 1차적으로 (1) 등록된 사진과 데이터베이스 내 상품 정보, (2) 사진과 데이터베이스 내 사진을 대비하여 검색을 수행하고, 2차적으로 추가등록된 상품 구매 정보와 데이터베이스 내 상품 정보를 비교하여 유사 검색결과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검색 결과가 검색되면 판매자가 제시한 최저가를 기준으로 1개의 결과만 리턴할 수 있다.
판매자 결정 및 상품 게시 단계 - 하나의 상품 검색
도 4는 상품 검색 결과가 하나인 경우, 판매자를 결정하여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내 등록 상품 착용 사진과 유사한 상품이 복수 개 검색될 수도 있고 단수 개 검색될 수도 있는데, 하나만 검색된 경우, 먼저 검색 결과에서 상품의 판매자를 확인하고, 확인된 상품의 판매자에게 판매의사를 문의한다(S402). 판매의사 문의는 운영자가 제공하는 판매자 전용 어드민(admin)을 통해서 확인 가능하다. 빠른 의사 결정을 위해 SMS 문자 서비스, 이메일, 또는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판매문의가 발송되었음을 판매자 디바이스(410)로 안내할 수 있다.
판매자 디바이스(410)는 판매자의 입력을 통해 판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404). 이때, 판매자는 해당 제품의 재고현황 등을 고려하여 판매를 결정할 수 있다. 판매 결정 역시 운영자가 제공하는 판매자 전용 어드민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판매가 결정되면 최신 상품정보로 판매자 디바이스(410)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S406), 이와 동기화를 통해 운영서버(400)의 데이터베이스 역시 최신 상품 정보로 업데이트된다(S408). 또한, 운영서버(400)는 게시상태 정보를 "false"에서 "true"로 업데이트 한다.
판매 결정에 의해 게시상태가 "true"로 변경되면, 해당 상품이 웹 사이트에 노출된다(S410).
판매자 결정 및 상품 게시 단계 - 둘 이상의 상품 검색
도 5는 상품 검색 결과가 둘 이상인 경우, 판매자를 결정하여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영서버(500)는 파트너회원 디바이스가 등록한 상품 착용 사진과 일치하는 둘 이상의 상품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판매자들에게 판매의사를 문의한다(S502). 판매의사 문의는 판매자 전용 어드민을 통해 확인가능하다. 판매의사 문의가 발송되면, 판매자들의 빠른 의사 결정을 위해, 판매자 디바이스(510, 520)로 SMS 문자 서비스, 이메일, 또는 통신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여 발송 안내를 전달할 수 있다.
판매자 디바이스(510, 520)는 판매의사 문의에 응답하여 판매 여부를 결정한 후, 결정된 내용을 판매자 전용 어드민을 통해 운영서버(500)로 회신할 수 있다(S504). 만약, 이때, 여러 판매자들 중 일부 판매자는 판매를 거부하고, 다른 일분의 판매자는 판매를 수락할 경우, 수락한 판매자의 상품에 대해서 최저가를 기준으로 게시될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복수 판매자들에게 판매 문의를 한 상태에서 하나의 판매자만의 판매의사를 회신할 경우, 앞선 하나의 상품 검색시의 처리 과정과 준용하여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만약, 모든 판매자들이 판매를 거부할 경우, 해당 상품은 게시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510, 520)로부터 판매의사가 회신되는 경우, 운영서버(500)는 복수의 판매자들에게 동시에 판매가격(입찰가격)을 문의한다(S506). 이때, 판매자가 판매가격을 제시하지 않으면 원래 상품 가격을 판매가격으로 책정한다.
판매자들은 각자 자신들이 생각하는 최적의 판매가격을 판매자 디바이스(510, 520)를 통해 제시한다(S508). 운영서버(500)는 정해진 기간 내에 접수된 판매가격들을 비교하여 판매자를 결정한다(S510). 이때, 최저가를 적은 판매자를 최종 판매자로 결정할 수 있다. 판매자가 결정되고 나면, 자동으로 판매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S512). 즉, 판매자는 판매자 디바이스(520)를 통해 해당 상품의 재고 상황 등을 고려하여 최종 판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판매 결정 역시 운영자가 제공하는 판매자 전용 어드민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판매가 결정되면 최신 상품정보로 판매자 디바이스(520)의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S514), 이와 동기화를 통해 운영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 역시 최신 상품 정보로 업데이트된다(S516). 또한, 운영서버(500)는 게시상태 정보를 "false"에서 "true"로 업데이트 한다.
판매 결정에 의해 게시상태가 "true"로 변경되면, 해당 상품이 웹 사이트에 노출된다(S518).
상품 판매 및 리워드 적립 - 일반회원의 구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상거래 운영서버는 파트너회원이 제공한 사진에 상품 정보를 추가하여 해당 상품을 웹 사이트에 게시할 수 있다. 일반 회원은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이렇게 게시된 상품을 보고 구매 요청을 전자상거래 운영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위 과정을 통해 일반회원의 상품 구매가 이루어지면 해당 상품의 착용사진 및/또는 상품정보를 제공한 파트너회원에게 결제금액 대비 일정 비율의 리워드가 지급될 수 있다.
상품정보 공유 및 리워드 적립 - SNS 방문자의 구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품 정보를 공유하고 리워드를 적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반회원은 일반회원 디바이스(510)를 통해 운영서버(600)에서 제공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에 로그인 요청을 전달한다(S602). 로그인 요청을 위해 일반회원 디바이스(510)는 회원 ID 및 그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운영서버(600)는 수신되는 회원 ID와 패스워드가 서버가 보유하고 있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맞는지 확인하고 로그인 요청을 처리한다(S604). 로그인이 완료된 일반회원은 일반회원 디바이스(610)를 통해 웹 사이트에 게시된 상품을 열람할 수 있다(S606). 상품을 열람하면 운영서버(600)는 해당 상품에 대한 일반회원의 상품고유주소를 생성한다(S608). 상품고유주소는 로그인한 회원의 회원 ID와 현재 열람중인 상품의 상품 ID 정보가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후 상품고유주소를 통해 판매가 이루어질 시, 판매에 영향을 미친 회원을 식별할 수 있다. 생성된 상품고유주소는 일반회원 디바이스(610)로 제공될 수 있다. 상품고유주소는 변조방지를 위해 암호화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고유주소는 URL Shortener를 이용하여 간단한 URL로써 제공될 수 있다. 즉, 상품고유주소는 특정 상품 페이지로의 링크 정보일 수 있다.
상품고유주소를 획득한 일반회원 디바이스(610)는 자신의 SNS(615)에 획득한 상품고유주소를 공유할 수 있다(S610). 즉, 일반회원은 자신의 ID 정보가 포함된 상품고유주소를 SNS(615)에 공유할 수 있다. 방문자는 방문자 디바이스(620)를 통해 SNS(615)에 방문하여 공유된 상품고유주소를 클릭할 수 있다(S612). 상품고유주소 클릭을 통해, 특정 상품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다. 그리고는, 방문자는 해당 상품 페이지에서 상품을 보고 방문자 디바이스를 통해 상품을 구매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S614). 그리고는, 해당 상품의 결제대금을 운영서버(600)로 지급할 수 있다(S616).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고유주소는 반드시 일반회원의 열람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고, 파트너회원의 요청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파트너회원의 회원 ID와 요청 대상 상품 ID(이는 자신이 상품 착용 사진을 업로드한 상품일 수 있음)를 포함시켜 파트너회원의 것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파트너회원의 상품고유주소는 파트너회원 디바이스(미도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반회원 역시 요청에 의해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고유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품고유주소 생성은 상품을 게시하고 있는 웹 사이트에서 "공유하기" 아이콘을 클릭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공유하기" 아이콘을 클릭하면, 운영서버(600)는 요청한 회원의 ID를 조회하여 회원의 ID와 상품 ID를 조합함으로써 상품 게시 웹 페이지로 접속가능한 링크 주소인 상품고유주소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되는 상품고유주소는 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될 수 있다. 이는 운영서버(600)가 직접 사전에 보유한 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공유시킬 수 있고, 또는 회원에게 이메일 또는 다른 방식으로 상품고유주소를 제공한 뒤, 회원이 직접 자신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해당 주소를 올림으로써 공유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상품고유주소가 공유되면 웹 사이트와 연결되어 웹 사이트에 게시된 상품 착용 사진이 표시된다. 방문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게시된 상품 착용 사진을 보고 상품고유주소를 클릭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다.
운영서버(600)는 해당 상품주소를 통해 구매가 이루어지면, 구매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방문자의 접근 경로를 분석하고 상품 구매에 활용되었던 상품고유주소를 확인한다. 복수 개의 상품고유주소를 이용하고 난 후, 상품 구매가 이루어진 경우, 구매 직전에 방문한 SNS(615)에 게시된 상품고유주소가 실제 구매에 활용된 상품고유주소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는 구매 유도에 활용된 상품고유주소에 포함된 일반회원 ID를 추출하여 방문자의 구매를 유도한 일반회원을 식별하고 해당 회원에게 결제금액의 일정 부분을 리워드로써 지급한다(S618).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일반회원의 SNS에 게시된 상품고유주소를 통해 방문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 일반회원에게 결제대금의 2%를, 위 구매 상품과 관련된 상품 착용 사진을 등록한 파트너회원에게는 결제대금의 20%를 지급하는 식으로, 서로 다른 리워드가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파트너회원의 SNS에 게시된 상품고유주소를 통해 방문자가 상품을 구매하는 경우는 등록한 파트너회원에게 지급되는 결제대금의 20%만이 지급될 수 있다. 즉, 특정 상품이 판매되면 그와 관련된 상품 착용 사진을 등록한 파트너회원은 20% 비율의 판매 대금을 획득할 수 있다. 일반회원에게 지급되는 결제대금 비율과 파트너회원에게 지급되는 결제대금 비율은 운영자의 설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위 과정은 반드시 회원에게만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비회원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비회원은 미리 입력된 회원 개인 정보가 없으므로, 상품고유정보 생성을 위해 비회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창을 띄우고, 해당 창에 비회원의 정보를 입력하게 하여 위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비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 주소 입력도 가능하다. 더욱이, 비회원의 계좌 정보도 입력함으로써 비회원의 SNS에 방문한 방문자의 상품 구매에 대응하여 일정 비율의 리워드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회원에게 할당되는 리워드 비율과 비회원이게 할당되는 리워드 비율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전자상거래 운영 장치의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운영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운영장치(700)는 데이터베이스(705), 수신부(710), 상품검색부(720), 판매결정부(730), 전송부(740), 사이트 게시부(750), 상품고유주소 생성부(760), 구매요청 분석부(770), 결제 처리부(780) 및 대금 지급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요소는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로써 구현가능하고, 상기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각 기능에 맞는 명령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제 명령어 및 기타 데이터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705)는 전자상거래 서비스와 입점계약을 맺은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수신부(710)는 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 열람 및 구매 요청, 및 판매/구매 결정 관련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는 통신 프로세서 및/또는 안테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부(710)는 파트너회원의 디바이스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업로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품 구매 정보 또한 함께 수신될 수 있다. 더욱이,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판매 의사 결정 관련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일반회원 디바이스 및 방문자 디바이스로부터 구매 결정 관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품 검색부(720)는 수신부(710)에서 수신되는 파트너회원 디바이스로부터의 상품 착용 사진을 기준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정보 중 일치된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 엔진일 수 있다. 상품 검색부(720)는 상품 착용 사진의 이미지 정보에서 컬러 정보를 획득하여 그에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컬러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705) 내의 상품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또는, 상품 착용 사진과 함께 제공되는 상품 정보(예컨대, 상품 구매 정보)를 기반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상품 정보를 갖는 데이터베이스(705) 내의 상품 정보를 찾는다. 그리고는, 검색 결과를 반환할 수 있다.
판매 결정부(730)는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판매자를 상품 데이터베이스(705)의 상품 정보의 판매자 정보를 통해 식별하여 해당 판매자에게 판매 의사를 문의하고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다. 이때 문의 및 응답은 판매자 어드민을 통해 이루어진다. 판매 의사 문의에 따라 판매 의사 문의를 안내하는 이메일, SMS 문자 서비스 등이 병행될 수 있는데, 이는 전송부(740)를 통해 수행된다. 전송부(740)는 타 디바이스로 정보를 발송하는 구성요소로써, 수신부(710)와 마찬가지로 통신 프로세서 및/또는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송부(740)와 수신부(710)는 하나의 통신 프로세서로써 구현될 수 있다.
사이트 게시부(750)는 판매 결정이 수신된 경우, 해당 상품을 사이트에 게시하는 구성요소이다. 사이트 게시부(750)는 판매 결정이 확정된 상품의 파트너회원 디바이스로부터의 상품 착용 사진과 그에 대응하는 상품 정보를 포함시켜 등록을 위한 상품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웹 사이트에 등록한다.
상품고유주소 생성부(760)는 웹 사이트에 게시된 상품에 대한 열람이 이루어지는 경우, 열람을 요청한 회원의 ID와 열람이 된 상품의 ID를 포함하는 상품고유주소를 생성한다. 상품고유주소 생성부(760)는 요청에 의해 상품고유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파트너회원 및/또는 비회원의 요청(예컨대, "공유하기" 요청)에 의해 각 회원 또는 비회원에 대응되는 상품고유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상품고유주소는 게시된 상품의 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한 경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클릭한 방문자를 상기 웹 사이트로 이끈다. 예컨대, 상품고유주소는 URL로써 제공될 수 있다. 생성된 상품고유주소를 전송부(740)를 통해 생성 또는 열람을 요청한 회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품고유주소는 생성 또는 열람을 요청한 회원 또는 비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될 수 있다.
구매요청 분석부(770)는 수신부(710)를 통해 수신된 특정 방문자로부터의 구매 요청을 분석한다. 구매요청 분석부(770)는 구매 요청을 한 방문자가 구매를 요청한 상품에 접근한 경로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구매 직전에 방문한 SNS 주소 및 해당 SNS에 게시된 상품고유주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는, 상품고유주소를 파싱하여 방문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친 회원을 식별할 수 있다. 또는, 파트너회원의 상품착용사진에 따른 웹 사이트 게시 내용을 가지고 일반회원의 구매요청이 수신된 경우, 해당 구매요청을 분석하여 웹 사이트 게시와 관련된 파트너회원을 식별하고 이에 따른 리워드가 지급될 수 있도록 한다.
결제 처리부(780)는 구매요청에 대응하여 구매요청을 한 방문객 및/또는 일반회원의 디바이스로부터의 구매대금 결제를 처리한다.
대금 지급부(790)는 결제 처리부(780)에서 처리된 결제대금의 일부 비율에 해당하는 리워드 금액을 구매요청 분석부(770)를 통해 확인된 일반회원 및/또는 파트너회원에게 지급한다. 대금 지급부(790)는 각 회원의 계좌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다. 대금 지급부(790)는 결제 처리부(780)에서의 결제 내용을 분석한 후, 미리 설정된 리워드 비율(리워드 비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경가능)을 해당 결재금액에 곱하여 생성된 리워드 분을 판매 상품의 판매의 광고에 관여한 일반회원 및/또는 파트너회원에게 지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품의 판매에 일반회원과 파트너회원이 모두 관여한 경우, 일반회원에게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율의 리워드고, 파트너회원에게는 상대적으로 큰 비율의 리워드가 지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회원도 자신의 SNS에 게시된 상품고유주소를 통해 타 방문객이 상품을 구매했다면 리워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품 판매에 관여한 회원 또는 비회원에게 지급되는 리워드는 결재금액 전체가 아닌 구매 상품의 순수익분을 기준으로 산정될 수도 있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 - 상품 착용 사진은 회원이 직접 판매자의 상품을 착용하고 촬영한 사진을 의미함 - 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
    상기 게시된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고유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상품 고유 주소를 회원 및 비회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 고유 주소를 공유하는 개인 네트워크 공간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함께 표시하며,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는 복수의 판매자와 입점계약 관계를 맺으며,
    상기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과 관련된 판매자가 복수여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판매자가 복수인 경우, (i)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의 판매 의사 및 (ii) 상기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가 제시한 상품의 판매 가격을 기반으로 결정된 특정 판매자의 상품의 상품 정보가 웹 사이트에 게시되고,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와 연관된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로 판매 의사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판매 문의를 받은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판매 결정 의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가 복수일 경우, 상기 복수의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 판매 가격을 문의하는 단계;
    상기 판매 가격 문의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판매 가격을 비교하여 최종 판매 상품 및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최종 판매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에 대한 최신 상품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최종 판매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의 게시상태 정보 - 게시상태 정보는 웹 사이트를 통한 상품의 노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임 - 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상태 정보가 변경된 상품의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고유 주소는 회원 또는 비회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네트워크 공간은 SNS(Social Network Service) 또는 커뮤니케이션 앱(APP: application)을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고유 주소를 생성하는 단계는 접속한 회원 또는 비회원에게 대응되는 상품 고유 주소를 다수 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 생성된 상품 고유 주소는 회원 또는 비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각각 분배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된 상품 착용 사진에 의해 판매가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 회원에게 리워드를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회원이 상기 게시된 상품을 열람하는 경우, 제 1 회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상품 고유 주소 및 제 2 회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상품 고유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생성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고유 주소는 회원의 식별 정보 및 상품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URL로써 제공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된 상품 고유 주소를 통해 제 3 자의 상품 구매가 이루어질 경우, 제 3 자의 상품 결제대금의 제 1 부분이 제 2 회원에게 지급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원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된 상품 고유 주소를 통해 제 3 자의 상품 구매가 이루어질 경우, 제 3 자의 상품 결제대금의 제 2 부분이 제 1 회원에게 지급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구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상기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의 검색은 상기 상품 구매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와 입점계약을 체결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상품정보를 제공받아 구축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판매자의 디바이스를 통한 판매자의 동의를 수신하여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판매자의 상품이 한 개인 경우,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상품의 판매자에게 판매 의사를 문의하는 단계;
    상기 판매 문의를 받은 판매자로부터 판매 결정 의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판매자의 상품에 대한 최신 상품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상품의 게시상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상태 정보가 변경된 상품의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되는 상품이 복수 개인 경우, 최저가를 기준으로 한 개의 결과만 리턴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16. 삭제
  17. 제 14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매 의사 문의 및 그에 대한 응답은 판매자 전용 어드민(admin)을 통해 확인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18.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장치에 있어서,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 - 상품 착용 사진은 직접 판매자의 상품을 착용하고 촬영한 사진을 의미함 - 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상품 검색부;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사이트 게시부;
    상기 게시된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고유 주소를 생성하는 상품 고유 주소 생성부;
    상기 생성된 상품 고유 주소를 회원 또는 비회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 고유 주소를 공유하는 개인 네트워크 공간은 상기 상품 고유 주소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함께 표시하며,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는 복수의 판매자와 입점계약 관계를 맺으며,
    상기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과 관련된 판매자가 복수여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판매자가 복수인 경우, (i)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의 판매 의사 및 (ii) 상기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가 제시한 상품의 판매 가격을 기반으로 결정된 특정 판매자의 상품의 상품 정보가 웹 사이트에 게시되고,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함에 있어, 상기 사이트 게시부는:
    상기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와 연관된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로 판매 의사를 문의하고;
    상기 판매 문의를 받은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판매 결정 의사를 수신하며;
    상기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가 복수일 경우, 상기 복수의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 판매 가격을 문의하고;
    상기 판매 가격 문의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판매 가격을 비교하여 최종 판매 상품 및 판매 가격을 결정하며;
    상기 최종 판매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에 대한 최신 상품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최종 판매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의 게시상태 정보 - 게시상태 정보는 웹 사이트를 통한 상품의 노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임 - 를 갱신하며; 그리고
    상기 게시상태 정보가 변경된 상품의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장치.
  19.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 - 상품 착용 사진은 직접 판매자의 상품을 착용하고 촬영한 사진을 의미함 - 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웹 사이트에 게시하며, 상기 게시된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고유 주소를 생성하여 회원 및 비회원 중 적어도 하나의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 및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전자상거래 서비스에 등록된 제 1 회원의 디바이스로써,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서버로 상품 착용 사진을 전송하고, 상기 생성된 상품 고유 주소를 개인 네트워크 공간에 공유하는 제 1 회원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상품 고유 주소를 공유하는 개인 네트워크 공간은 상기 상품 고유 주소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함께 표시하며,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는 복수의 판매자와 입점계약 관계를 맺으며,
    상기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과 관련된 판매자가 복수여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판매자가 복수인 경우, (i)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의 판매 의사 및 (ii) 상기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가 제시한 상품의 판매 가격을 기반으로 결정된 특정 판매자의 상품의 상품 정보가 웹 사이트에 게시되고,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함에 있어,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는:
    상기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와 연관된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로 판매 의사를 문의하고;
    상기 판매 문의를 받은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판매 결정 의사를 수신하며;
    상기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가 복수일 경우, 상기 복수의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 판매 가격을 문의하고;
    상기 판매 가격 문의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판매 가격을 비교하여 최종 판매 상품 및 판매 가격을 결정하며;
    상기 최종 판매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에 대한 최신 상품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최종 판매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의 게시상태 정보 - 게시상태 정보는 웹 사이트를 통한 상품의 노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임 - 를 갱신하며; 그리고
    상기 게시상태 정보가 변경된 상품의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시스템.
  20.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에 있어서,
    판매자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제 1 회원으로부터 상품 착용 사진 - 상품 착용 사진은 직접 판매자의 상품을 착용하고 촬영한 사진을 의미함 - 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정보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게시된 상품 착용 사진에 의해 상품의 판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 1 회원에게 상품 결제대금의 일정 부분을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게시된 상품에 대한 웹 사이트로의 접속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상품 고유 주소를 공유하는 개인 네트워크 공간은 상기 상품 고유 주소와 상기 상품 착용 사진을 함께 표시하며,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는 복수의 판매자와 입점계약 관계를 맺으며,
    상기 상품 착용 사진과 대응되는 상품과 관련된 판매자가 복수여서, 상기 검색 결과에 대응하는 판매자가 복수인 경우, (i)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의 판매 의사 및 (ii) 상기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가 제시한 상품의 판매 가격을 기반으로 결정된 특정 판매자의 상품의 상품 정보가 웹 사이트에 게시되고,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함에 있어, 상기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는:
    상기 복수의 대응하는 판매자와 연관된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로 판매 의사를 문의하고;
    상기 판매 문의를 받은 복수 개의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판매 결정 의사를 수신하며;
    상기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가 복수일 경우, 상기 복수의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 판매 가격을 문의하고;
    상기 판매 가격 문의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판매 결정 의사를 전송한 판매자의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판매 가격을 비교하여 최종 판매 상품 및 판매 가격을 결정하며;
    상기 최종 판매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에 대한 최신 상품정보로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최종 판매 상품으로 결정된 상품의 게시상태 정보 - 게시상태 정보는 웹 사이트를 통한 상품의 노출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임 - 를 갱신하며; 그리고
    상기 게시상태 정보가 변경된 상품의 상품 착용 사진 및 상품 정보를 상기 웹 사이트에 게시하는 전자상거래 운영 서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운영 방법.
KR1020160068718A 2016-06-02 2016-06-02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789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718A KR101789181B1 (ko) 2016-06-02 2016-06-02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718A KR101789181B1 (ko) 2016-06-02 2016-06-02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181B1 true KR101789181B1 (ko) 2017-11-20

Family

ID=6080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718A KR101789181B1 (ko) 2016-06-02 2016-06-02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1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7874B1 (ko) * 2020-09-18 2021-05-28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맞춤형 o4o 서비스 구축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20220001589A (ko) * 2020-06-30 2022-01-06 심동민 사회 관계망 서비스 제공방법
US11605256B2 (en) * 2020-03-12 2023-03-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locations shared among multiple operato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96B1 (ko) * 2012-11-30 2014-01-21 오드컨셉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을 위한 상품관리 시스템 및 상품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996B1 (ko) * 2012-11-30 2014-01-21 오드컨셉 주식회사 온라인 쇼핑을 위한 상품관리 시스템 및 상품관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5256B2 (en) * 2020-03-12 2023-03-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locations shared among multiple operators
KR20220001589A (ko) * 2020-06-30 2022-01-06 심동민 사회 관계망 서비스 제공방법
KR102483661B1 (ko) 2020-06-30 2022-12-30 심동민 사회 관계망 서비스 제공방법
KR102257874B1 (ko) * 2020-09-18 2021-05-28 주식회사 팀즈아이앤씨 맞춤형 o4o 서비스 구축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46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ssage alerts and referrals
US9984338B2 (en) Real time e-commerce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and interacting with consumers
US200903273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nsumption network
US20110196724A1 (en) Consumer-oriented commerce facilitation services, applications, and devices
US20110320318A1 (en) Context-aware shopping services on mobile
KR20180099254A (ko) 쇼핑 후기의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6722375B2 (ja) 知人の商品購買履歴、関心商品及び利用後記を活用した商品販売システム
KR101231946B1 (ko) 코디네이션시스템을 이용한 상품 판매 및 경영관리시스템
US2015028708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online marketplace for local merchants
US11593841B2 (en) Promotional system interaction tracking
KR20190043994A (ko) 쇼핑 후기의 생성 및 공유를 위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KR20190143775A (ko) 리워드 플랫폼 운영 방법
KR101789181B1 (ko) 전자상거래 운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60180421A1 (en) Consumer-directed social e-commerce retailer marketplace and offer management system
JP2012068868A (ja) 商品毎の二次元コードを利用するショッピングカートシステム
KR20090016164A (ko) 판매자가 상품 페이지에 삽입한 스크립트 코드를 이용하여채팅 서비스, 전자 상거래 서비스 및 광고 제공 서비스를제공하는 커뮤니티 서비스 시스템 및 커뮤니티 서비스 방법
KR20090022083A (ko) 공동구매와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KR20060058802A (ko)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버디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433693B1 (ko) 다양한 컨텐츠 마케팅 제작을 구비한 온라인 마케팅광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49482B1 (ko) 위치 기반의 부동산 중개 의뢰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30257A (ko) 쇼핑로그 배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25939A (ko) 인맥정보 기반의 컨텐츠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89610A (ko) Sns를 이용한 상품 쇼핑 방법
WO20180944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online marketplace and analytics
US20190228436A1 (en)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based marketing apparatu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