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959B1 -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959B1
KR101788959B1 KR1020160016988A KR20160016988A KR101788959B1 KR 101788959 B1 KR101788959 B1 KR 101788959B1 KR 1020160016988 A KR1020160016988 A KR 1020160016988A KR 20160016988 A KR20160016988 A KR 20160016988A KR 101788959 B1 KR101788959 B1 KR 101788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mobile device
application
url
a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515A (ko
Inventor
백영선
박무성
황성현
정원만
김태우
김윤정
유원석
주은종
허솔
최종인
Original Assignee
브이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6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9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9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간편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본인인증 혹은 점유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인증 기술이 개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은 인증 시스템에 상기 모바일 기기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고유 ID를 포함하며 인증 앱의 실행을 위한 앱 실행 URL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앱 실행 URL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앱에서 상기 사용자 고유 ID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시스템에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간편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본인인증 혹은 점유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인터넷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온라인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대부분의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들은 인터넷을 통해 해당 시스템에 접근하는 클라이언트 기기가 해당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자격을 가지는지 여부를 인증한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사용자 인증방법은 사용자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방법으로서,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할 때 사용자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추후 해당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속하고자 할 때 기등록한 사용자 식별자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그 사용자의 본인 여부를 검증한다. 이 외에도 지문인식, 홍채인식, IC CHIP 등 각각을 이용한 인증이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에는 다양한 개인 정보들이 관리되고 있고, 최근 인터넷 뱅킹 서비스, 온라인 주식 거래 서비스 등을 통해 실질적인 금전 거래가 온라인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통한 무형의 자산(예컨대, 온라인 게임에서의 아이템, 사이버 머니 등)이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에 대해 보다 강력한 본인 인증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관련하여 사이트 혹은 장소별로 요구하는 인증 수단들이 다양화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단말의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일방적인 인증 수단의 처리를 요구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특정 서비스에 접속하는 사용자가 실제로 접속을 시도하고 있는 모바일 기기 즉, 휴대폰을 점유하고 있는지에 대한 점유 인증이 문제된다. 나아가 해당 모바일 기기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적법한 사용자인지에 대한 본인 인증도 문제가 되고 있다.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997-7001374호는 '인증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을 사용한 거래 시스템'을 개시하며, 한국공개특허 제2002-0089416호는 '인증방법, 인증시스템, 인증장치 및 인증용 모듈'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편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모바일 기기 점유 인증 혹은 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정확한 휴대폰 점유인증을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사 기기 인증 서비스와 연동하여 모바일 기기의 본인 인증 기술로도 활용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에 있어서, 인증 시스템에 상기 모바일 기기의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고유 ID를 포함하며 인증 앱의 실행을 위한 앱 실행 URL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앱 실행 URL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앱에서 상기 사용자 고유 ID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시스템에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메세징 앱을 통하여 상기 앱 실행 URL을 수신받고,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메세징 앱에 수신된 상기 앱 실행 URL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앱 실행 URL을 수신 후 자동 실행하여 푸쉬(Push) 방식으로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고유 ID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상기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점유 인증 완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고유 ID는 암호화되어 상기 앱 실행 URL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인증 시스템에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 및 기기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고유 ID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 및 기기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시스템에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은 인증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로부터 모바일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고유 ID 및 인증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앱 실행 URL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에 상기 앱 실행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의 상기 인증 앱을 통하여 제2 사용자 고유 ID의 검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고유 ID와 상기 제2 사용자 고유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검증의 결과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앱 실행 URL을 상기 모바일 기기의 메세징 앱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바일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 및 기기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 및 기기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사 서버에 본인 인증을 위한 정보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모바일 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인증 요청 수신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고유 ID 및 인증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앱 실행 URL을 생성하는 앱 실행 URL 생성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앱 실행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송신부; 및 상기 모바일 기기의 상기 인증 앱을 통하여 제2 사용자 고유 ID의 검증 요청을 수신하는 ID 비교 검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1 사용자 고유 ID와 상기 제2 사용자 고유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검증의 결과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면서도 신뢰성이 높은 모바일 기기 점유 인증 혹은 본인 인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정확한 휴대폰 점유인증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사 기기 인증 서비스와 연동하여 모바일 기기의 본인 인증 기술로도 활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은 먼저, 1) 인증 시스템(100)으로 모바일 기기(200)가 인증을 요청한다. 이 때, 모바일 기기(200)의 인증 앱(201)을 통하여 모바일 기기의 번호 및 기기 정보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인증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앱(201)은 모바일 일반결제 앱과 같은 인증을 필요로 하는 앱일 수 있다.
2) 이 후, 인증 시스템은 SMS 메시지 또는 푸시 방식으로 App URL Scheme을 포함한 Unique ID를 모바일 기기(200)의 메시징 앱(202)에 전송할 수 있다. App URL Scheme은 앱 실행 URL로 Unique ID는 사용자 고유 ID일 수 있다. 이 때, App URL Scheme은 소정의 앱을 다른 앱이나 웹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앱 고유의 값이다. 이러한 App URL Scheme을 이용하여 지정된 단말의 지정된 앱에게만 Unique ID를 전달할 수 있다. (Ex; ispmobile://uniqueid=jdiew9131434kj8)
3) 그리고, 메시징 앱(202)으로 수신된 App URL Scheme에 대한 선택 혹은 푸시 방식으로 인증 앱(201)이 구동되며, 인증 앱(201)에는 사용자 고유 ID 즉, Unique ID가 전달된다.
4) 이 후, 인증 앱(201)에서는 인증 시스템(100)에 수신한 Unique ID의 검증을 요청하고, 5) 검증 결과를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받아 모바일 기기의 점유 인증 절차를 마무리할 수 있다. 이 때, 인증 시스템(100)에서는 인증 앱(201)으로부터 수신한 Unique ID와 메시징 앱(202) 측에 전달하였던 Unique ID가 동일한 경우 모바일 기기에 대한 점유 인증을 유효하게 인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모바일 기기(200) 측면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은 먼저, 인증 시스템에 상기 모바일 기기의 인증을 요청한다(S110). S110 단계에서는 인증 시스템에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 및 기기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고유 ID를 포함하며 인증 앱의 실행을 위한 앱 실행 URL을 수신한다(S120). S120 단계에서는 모바일 기기의 메세징 앱을 통하여 상기 앱 실행 URL을 수신받을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고유 ID는 암호화되어 상기 앱 실행 URL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고유 ID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 및 기기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시스템에서 생성할 수 있다.
S120 단계 이후, 앱 실행 URL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한다(S130). S130 단계에서는 메세징 앱에 수신된 상기 앱 실행 URL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S130 단계에서는 앱 실행 URL을 수신 후 자동 실행하여 푸쉬(Push) 방식으로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앱에서 상기 사용자 고유 ID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시스템에 검증을 요청한다(S140).
사용자 고유 ID를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 상기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점유 인증 완료에 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50).
이하에서는 도 1의 인증 시스템(100) 측면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 시스템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은 먼저, 모바일 기기로부터 모바일 인증 요청을 수신한다(S210). S210 단계에서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 및 기기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고유 ID 및 인증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앱 실행 URL을 생성한다(S220).
S220 단계 이후, 모바일 기기에 상기 앱 실행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S230). S230 단계에서는 앱 실행 URL을 상기 모바일 기기의 메세징 앱을 통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S230 단계에서는 앱 실행 URL을 상기 모바일 기기에 푸쉬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의 상기 인증 앱을 통하여 제2 사용자 고유 ID의 검증 요청을 수신한다(S240).
최종적으로 제1 사용자 고유 ID와 상기 제2 사용자 고유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검증의 결과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달한다(S250).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은 통신사 서버(300)와 인증 시스템(100)의 통신을 통한 본인 인증 기능을 추가로 더 진행하여 모바일 기기(100)에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00)가 인증 시스템(100)에 모바일 인증 요청 즉, 점유 인증 및 본인 인증을 요청하면서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 및 기기 정보 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더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인증 시스템(100)은 모바일 기기의 전화번호 및 기기 정보값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사 서버(300)에 본인 인증을 위한 정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모든 형태의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원리들의 교시들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프로그램 저장부 상에서 실재로 구현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임의의 적절한 아키텍쳐를 포함하는 머신에 업로드되고 머신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머신은 하나 이상의 중앙 처리 장치들(CPU), 컴퓨터 프로세서,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입/출력(I/O) 인터페이스들과 같은 하드웨어를 갖는 컴퓨터 플랫폼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플랫폼은 운영 체제 및 마이크로 명령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및 기능들은 마이크로 명령 코드의 일부 또는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고, 이들은 CPU를 포함하는 다양한 처리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로, 추가 데이터 저장부 및 프린터와 같은 다양한 다른 주변 장치들이 컴퓨터 플랫폼에 접속될 수 있다.
첨부 도면들에서 도시된 구성 시스템 컴포넌트들 및 방법들의 일부가 바람직하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므로, 시스템 컴포넌트들 또는 프로세스 기능 블록들 사이의 실제 접속들은 본 발명의 원리들이 프로그래밍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의 교시들이 주어지면, 관련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이들 및 유사한 구현예들 또는 구성들을 참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에 있어서의 인증 시스템(100)은 인증요청 수신부(110), 앱 실행 URL 생성부(120), 송신부(130) 및 ID 비교 검증부(1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에 있어서의 인증 시스템(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과 그 기술적 특징을 같이 한다. 따라서, 중복되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인증요청 수신부(110)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모바일 인증 요청을 수신한다.
앱 실행 URL 생성부(120)는 모바일 기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고유 ID 및 인증 앱을 실행시키기 위한 앱 실행 URL을 생성한다.
송신부(130)는 모바일 기기에 앱 실행 URL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송신부(130)는 후술하는 ID 비교 검증부(140)에 의한 검증 결과 즉, 제1 사용자 고유 ID와 상기 제2 사용자 고유 ID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 검증의 결과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전달할 수 있다.
ID 비교 검증부(140)는 모바일 기기의 상기 인증 앱을 통하여 제2 사용자 고유 ID의 검증 요청을 수신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인증 시스템
110; 인증요청 수신부
120; 앱 실행 URL 생성부
130; 송신부
140; ID 비교 검증부

Claims (10)

  1. 모바일 기기에서의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인증 앱을 통하여, 인증 시스템에 모바일 기기의 번호 및 기기 정보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면서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점유 인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의 메시징 앱을 통하여, 상기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앱 실행 URL(App URL Scheme) - 상기 앱 실행 URL은 사용자 고유 ID를 포함함 - 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앱 실행 URL에 기초하여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 앱을 통하여, 상기 인증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 고유 ID를 전송하면서 상기 사용자 고유 ID에 대한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앱을 통하여, 상기 인증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고유 ID에 대한 검증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앱 실행 URL은
    상기 인증 앱에 대한 고유의 값을 나타내는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메세징 앱에 수신된 상기 앱 실행 URL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통해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앱 실행 URL을 수신 후 자동 실행하여 푸쉬(Push) 방식으로 상기 인증 앱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고유 ID는 암호화되어 상기 앱 실행 URL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 인증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16988A 2016-02-15 2016-02-15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1788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988A KR101788959B1 (ko) 2016-02-15 2016-02-15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988A KR101788959B1 (ko) 2016-02-15 2016-02-15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15A KR20170095515A (ko) 2017-08-23
KR101788959B1 true KR101788959B1 (ko) 2017-11-15

Family

ID=59759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988A KR101788959B1 (ko) 2016-02-15 2016-02-15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021B1 (ko) * 2019-07-02 2021-09-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Ip주소와 sms를 이용한 본인인증 방법 및 통신사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15A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526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ard payment service using a mobile phone number
KR20160006185A (ko) 이중 인증
AU2020202106B2 (en) Method, device, server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user
CN106548338B (zh) 资源数值转移的方法和系统
KR101741917B1 (ko) 음성인식을 활용한 인증 장치 및 방법
CN103107888B (zh) 面向移动终端的动态多属性多级别的身份认证方法
US20210406866A1 (en) Method for Processing a Transaction, Corresponding Device, System and Program
US20170032369A1 (en) Method, device and first server for authorizing a transaction
US10616262B2 (en) Automated and personalized protection system for mobile applications
EP3334086A1 (en) Online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smart card, smart card and authentication server
KR101788959B1 (ko) 모바일 기기 인증 장치 및 방법
KR101748615B1 (ko) 접속 정보 확인에 기초한 모바일 간편 결제 보조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5556531A (zh) 使用带外通道进行用户认证的方法和系统
US20200005306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transaction, corresponding terminal, server and computer program
KR102267628B1 (ko) 일회성 식별자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인증 시스템
TWI603222B (zh) Trusted service opening method, system,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on the internet
KR101754682B1 (ko) 타인 명의의 휴대전화를 이용한 본인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11620646B2 (en) Method for carrying out a transaction, terminal, server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KR102189630B1 (ko) 인증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90128778A (ko) 인증비콘을 이용하여 근접거리내 스마트폰 이용자간 거래를 검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196337B1 (ko) 클라우드 방식 인증서 운영 방법
KR101843644B1 (ko) 3차원 터치를 이용한 인증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6562880A (zh) 一种交易数据鉴权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5099708A (zh) 一种身份验证方法
KR20210039120A (ko) 인증 서버, 인증 기기, 단말 및 그 동작 방법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