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874B1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874B1
KR101788874B1 KR1020110023191A KR20110023191A KR101788874B1 KR 101788874 B1 KR101788874 B1 KR 101788874B1 KR 1020110023191 A KR1020110023191 A KR 1020110023191A KR 20110023191 A KR20110023191 A KR 20110023191A KR 101788874 B1 KR101788874 B1 KR 101788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dle
connector
cradle body
connector member
pi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1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5643A (en
Inventor
김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23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874B1/en
Priority to CN2011201765394U priority patent/CN202118452U/en
Publication of KR2012010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6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77Arrangements for enabling portable transceivers to be used in a fixed position, e.g. cradles or boos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 H04M1/12Adjustable supports, e.g. exten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측면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부재; 상기 회동 부재에 제공되는 탄성편; 및 상기 회동 부재에 장착되며 일부분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부재는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 본체 상에서 회동하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커넥터 부재를 기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 상에서 커넥터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단말기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사용자가 단말기를 거치 또는 분리하는 방향으로 커넥터 부재가 회동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부재나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손상될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lting device comprising: a tilt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a cradle main body; An elastic piece provided on the tiltable member; And a connector member mounted on the pivoting member and partially projecting out of the cradle body, wherein the connector member pivots on the cradle body as the pivoting member is rotated, A holder for holding the connector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stationary state. The holder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or member is rotatable on the main body of the cradle so that the connector member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places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or separated, The risk of damage to the connector can be mitigated.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RADLE FOR PORTABLE TERMINAL}[0001]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휴대용 게임기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여 충전하거나, 영상이나 음성 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nd a portable game machin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a portable terminal or providing a video or audio output function .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통신 기능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기로서, 그 용도에 따라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휴대용 게임기, 전자 수첩, 전자 사전 등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관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만으로 이루어지는 바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힌지 장치로 결합하여 서로에 대하여 회동하는 폴더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서로에 대하여 선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Generally, a portable terminal is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carry and use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being carried by a user, and may be variously classified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portable game machine, an electronic notebook, .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bar-shaped terminal including only one housing, the folder-type terminal where the pair of housing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hinge device and rotat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e pair of housings face each other A sliding type terminal which is linearly mov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like.

한편, 최근에는 이동통신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인마다 보유하고 있는 추세이며, 전자/통신 기술의 발달은 하나의 단말기 내에 다양한 기능을 탑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나 휴대용 게임기, 전자 수첩, 전자 사전 등의 기능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고 있으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 하면서도 게임이나 전자 수첩, 인터넷 접속 등의 기능을 탑재한 단말기도 등장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have become commonpla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being owned by individual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male or female, and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 communication technology enables various functions to be loaded in 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trend, functions of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portable game machine, an electronic notebook, an electronic dictionary, and the like are mounted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is a main function while a function of a game, an electronic notebook, The terminal is also emerging.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들에는 별도의 거치대가 제공되어 왔다. 거치대는, 말 그대로, 필요에 따라 단말기를 장착하여 원하는 곳에 거치시킬 수 있는 구성품으로서, 사용자는 단말기를 거치대에 장착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충전을 진행할 수 있으며, 제품에 따라서는 배터리 팩만을 충전할 수 있게 구성되기도 한다. 또한, 거치대는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 기기,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와의 접속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펌웨어 업데이트나 저장된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se portable terminals have been provided with a separate stand. The holder is literally a component that can be mounted on a terminal at a desired position as required. The user can charge the terminal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terminal is mounted on the holder. Depending on the product, It is also possible to construct it. In addition, the cradle may allow the portable terminal to connect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thereby enabling updating of the firmware of the portable terminal or sharing of stored information.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이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로 집적화되면서, 거치대 또한 충전 기능과 외부 기기 접속 외에도, 음향이나 영상 출력을 위한 도킹 스테이션으로도 활용되기에 이르렀다. 즉, 거치대가 개인용 컴퓨터의 키보드나 모니터에 배치되거나 거치대 자체에 스피커 장치가 탑재되는 것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단말기 자체를 조작하는 것보다 편리하게 키보드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거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대에 장착한 상태에서 단말기에 저장된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 재생시 음향이나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integrated in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the cradle is also used as a docking station for sound and video output in addition to charging function and external device connection. That is, the stand is placed on a keyboard or a monitor of a personal computer, or a speaker device is mounted on the stand itself.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rate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keyboard or input information, rather than operating the terminal itself, and can also receive information such as sound or sound when playing music or video file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t is possible to output an image.

따라서 단순한 충전이나 개인용 컴퓨터 등의 접속을 위해서만 사용되던 거치대에 휴대용 단말기를 장착하는 일이 더 잦아지고 있다. 이때, 거치대의 커넥터 부재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안정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커넥터 부재는 일정 길이만큼 인터페이스 커넥터로 삽입되는데, 커넥터 부재가 인터페이스 커넥터로 삽입되어야 하는 방향과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방향이 대체로 서로 일치되지 못한다. 이로 인하여 거치대의 커넥터 부재나 휴대용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손상되거나 인터페이스 커넥터 주변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이 긁힘 등으로 인해 손상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또한, 단말기를 거치대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인터페이스 커넥터에 삽입된 커넥터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말기를 분리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Therefore, it is more and more common to install a portable terminal in a cradle used only for simple charging or connection of a personal computer. At this time, in order to stably connect the connector member of the cradle and the interface connector of the terminal, the connecto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terface connector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terface connector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applies force are substantially It does not match. As a result, the connector member of the cradle and the interface connector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amaged, and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often damaged due to scratches or the like in the vicinity of the interface connector. Further, even when th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there is a need to separate the termin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or member inserted into the interface connector.

이에, 본 발명은 단말기 장착시 커넥터 부재나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and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mitigate damage to a connector member or an interface connector of a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를 분리할 때 커넥터 부재가 일정 범위에서 회동함으로써 커넥터 부재나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prevent a connector member or an interface connector of a terminal from being damaged by rotating the connector member within a certain range when the terminal is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를 분리할 때 커넥터 부재가 일정 범위에서 회동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nd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 user by rotating the connector member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hen the terminal is detached.

이에, 본 발명은,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측면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부재; 상기 회동 부재에 제공되는 탄성편; 및 상기 회동 부재에 장착되며 일부분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부재는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 본체 상에서 회동하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커넥터 부재를 기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를 개시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lting apparatus comprising: a tilt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a cradle main body; An elastic piece provided on the tiltable member; And a connector member mounted on the pivoting member and partially projecting out of the cradle body, wherein the connector member pivots on the cradle body as the pivoting member is rotated, A holder for holding the connector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stationary state.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 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된 개구; 상기 개구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회동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 돌기가 각각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cradle includes: an opening formed in a portion of the cradle body;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respectively; And pivoting protrusions respectively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pivoting member, and each of the pivoting protrusions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이때, 상기 커넥터 부재는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회동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 부재의 일부분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or member is coupled to the pivoting member inside the cradle body, and a part of the connector member protrudes out of the cradle body through the opening.

또한, 상기 탄성편은 상기 회동 부재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며, 상기 개구의 양측에서 상기 탄성편들의 단부가 각각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측면에 지지되도록 절곡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piece is preferably bent so as to extend from both sides of the tiltable member and to support the ends of the elastic pieces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respective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이때, 상기 거치대는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의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대들을 더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radle may further include supporting rods each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radle main body to support the ends of the cradle.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는, 거치대 본체 상에서 커넥터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단말기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 사용자가 단말기를 거치 또는 분리하는 방향으로 커넥터 부재가 회동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부재나 인터페이스 커넥터가 손상될 위험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넥터 부재가 인터페이스 커넥터로 삽입되는 방향 등을 의식할 필요가 없으므로, 편안하게 단말기를 거치대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된다. The holder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nector member is rotatable on the main body of the cradle so that the connector member can b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ser places the terminal when the terminal is mounted or separated, The risk of damage to the connector can be mitigated. Further,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be consciou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necto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interface connector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comfortably mount or detach the terminal from the cradl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의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치대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가 거치대 본체에 조립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가 거치대 본체 상에서 회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of a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nector assembly shown in Figure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radle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shown in FIG. 2 is assembled to a cradle body,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shown in Fig. 4 is rotated on the cradle bod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100)는 거치대 본체(101)에 커넥터 조립체(102)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 조립체(102)는 커넥터 부재(123)와, 탄성편(121b)이 형성된 회동 부재(121)를 구비하는데, 상기 회동 부재(121)가 상기 거치대 본체(101)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탄성편(121b)은 상기 회동 부재(121)를 기 설정된 위치에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 부재(123)는 상기 회동 부재(121)에 결합되어 그 일부분을 상기 거치대 본체(101)의 외부로 돌출시키게 된다. 도시되지 않은 단말기가 상기 거치대(100)에 장착되거나 상기 거치대(100)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커넥터 부재(123)는 상기 회동 부재(121)와 함께 상기 거치대 본체(101) 상에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 부재(121)의 회동에 따라 상기 탄성편(121b)은 탄성력을 축적하면서 변형되는데, 상기 탄성편(121b)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회동 부재(121)를 회동시키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회동 부재(121)를 최초의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1 to 3, a cradle 100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connector assembly 102 is rotatably disposed on a cradle main body 101. Specifically, the connector assembly 102 includes a connector member 123 and a tiltable member 121 formed with an elastic piece 121b. The tiltable member 121 rotates inside the cradle body 101 And the resilient piece 121b is kept stationary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The connector member 123 is coupled to the tiltable member 121 to project a portion of the connector member 123 to the outside of the cradle body 101. The connector member 123 rotates together with the tiltable member 121 on the cradle body 101 when a terminal (not shown) is mounted on the cradle 100 or separated from the cradle 100. The elastic piece 121b is deformed while accumulating the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ivoting member 121.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in the elastic piece 121b is transmitted to the pivot member 121 when the external force for rotating the pivot member 121 is removed, The member 121 is moved to the initial assembling position.

상기 회동 부재(121)는 그의 양 측면에서 각각 연장되는 회동 돌기(121a)들을 구비하며, 상기 탄성편(121b)은 상기 회동 돌기(121a)들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회동 부재(121a)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 부재(121)에는 그의 양면을 관통하는 결합홀(121d)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부재(123)의 하단 부분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 회동 부재(121)가 상기 거치대 본체(101)에 결합되면, 상기 탄성편(121b)은 상기 거치대 본체(101)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121b)에 의해 상기 회동 부재(121)는 상기 거치대 본체(101) 상에서 일정한 위치에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The pivoting member 121 has pivot projections 121a extending from both sides thereof and the resilient piece 121b is loca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pivot protrusions 121a so that the amount of the pivot member 121a Respectively. The pivoting member 121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21d passing through both sides thereof to receiv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nnector member 123. [ When the tiltable member 121 is coupled to the cradle body 101, the resilient piece 121b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101. The pivoting member 121 is kept stationar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radle body 101 by the resilient piece 121b in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and FIG.

상기 커넥터 부재(123)의 하단면에는 신호 배선들과 접속되는 접속핀(123b)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커넥터(123a)가 상기 접속핀(123b)들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부재(123)가 상기 결합홀(121d)에 배치되면, 상기 접속핀(123b)들은 상기 회동 부재(121)의 하면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회동 부재(121)의 하면에는 지지 기판(12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기판(125)에는 상기 접속핀(123b)들과 상응하는 접속홀(125b)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납땜 등에 의해 상기 접속핀(123b)들은 각각 상기 접속홀(125b)들에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접속핀(123b)들은 상기 지지 기판(125)상에 형성되는 신호 배선들과 접속된다. Connection pins 123b connected to the signal wires are dispos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onnector member 123 and the connector 123a extend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connection pins 123b. When the connector member 123 is disposed in the engagement hole 121d, the connection pins 123b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iltable member 121. At this time, a supporting substrate 125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iltable member 121. The supporting board 125 is formed with connection holes 125b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pins 123b and the connection pins 123b are fixed to the connection holes 125b by soldering or the like. The connection pins 123b are connected to signal wirings formed on the support substrate 125. [

한편, 상기 회동 부재(121)에는 스크루(screw) 체결을 위한 보스(121c)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기판(125)에는 스크루 홀(125a)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부재(123)가 상기 지지 기판(125)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보스(121c)를 관통하여 스크루를 상기 스크루 홀(125a)에 체결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커넥터 부재(123)는 상기 회동 부재(121)에 고정된다. On the other hand, bosses 121c for screw tightening are formed on the tiltable member 121, and screw holes 125a are formed on the support substrate 125. The screw member is screwed into the screw hole 125a through the boss 121c in a state where the connector member 123 is fixed to the support substrate 125. [ As a result, the connector member 123 is fixed to the tiltable member 121.

이하에서는 도 4를 더 참조하여, 상기 커넥터 조립체(102)가 상기 거치대 본체(101)에 설치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서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102) 중 상기 지지 기판(125)이 제거된 모습이 도시되고 있음에 유의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102 is installed in the cradle body 10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Note that in FIG. 4, the support substrate 125 of the connector assembly 102 is removed.

상기 거치대 본체(101)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지지 부재(111a)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111a)에는 각각 슬릿이 형성되어 상기 회동 부재(121)의 회동 돌기(121a)들이 결합된다. 상기 회동 돌기(121a)들은 각각 상기 슬릿 내에서 회전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회동 부재(121)는 상기 거치대 본체(101)의 내측면 상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 부재(121)가 상기 거치대 본체(10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 부재(121)가 대면하는 상기 거치대 본체(101)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개구의 양측에 각각 상기 지지 부재(111a)들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 돌기(121a)가 상기 지지 부재(111a)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회동 부재(121)가 상기 개구와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다. A pair of support members 111a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radle body 101 so as to face each other. Slits are formed in the support member 111a so that the pivoting protrusions 121a of the pivoting member 121 are engaged. Each of the pivoting protrusions 121a is rotated in the slit so that the pivoting member 12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101. An opening is formed in the cradle body 101 facing the pivoting member 121 in a state where the pivoting member 121 is engaged with the cradle body 101. [ In other words, the support members 111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and as the rotation protrusion 121a is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 111a, the rotation member 12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Is installed.

상기 회동 부재(121)가 상기 거치대 본체(101)에 설치되면, 상기 탄성편(121b)은 상기 거치대 본체(101)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편(121b)은 상기 회동 부재(121)의 양 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그 단부가 대략 90도 정도 절곡되어 상기 거치대 본체(101)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편(121b)은 도 4에 도시된 형상을 유지하는 탄성체 재질, 예를 들면, 우레탄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회동 부재(121)가 회동하는 때 상기 탄성편(121b)은 상기 회동 부재(121)의 회동과 상응하게 변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며, 상기 탄성편(121b)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회동 부재(121)를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 부재(111a)들과 인접하게 지지대(111b)들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121b)의 단부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111b)에는 일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121b)의 단부를 수용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탄성편(121b)이 단순히 상기 지지대(111b)에 접촉되어 있는 경우, 상기 탄성편(121b)이 변형되는 때 미끄럼 등에 의해 상기 탄성편(121b)의 단부 위치가 이동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대(111b)에 형성된 홈은 상기 탄성편(121b)의 단부를 수용하여 상기 탄성편(121b)이 변형되어 탄성력을 축적하더라도 상기 탄성편(121b)의 단부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When the pivoting member 121 is installed on the cradle body 101, the resilient piece 121b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101. More specifically, the elastic pieces 121b extend in directions away from both sides of the tiltable member 121, and are bent at approximately 90 degrees to be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unit main body 101 . The elastic piece 121b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urethane or silicone, which maintains the shape shown in FIG. When the tiltable member 121 rotates, the elastic piece 121b is deform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tiltable member 121 to accumulate an elastic force, and the elastic force accumulated in the elastic piece 121b is transmitted to the tiltable member 121, (121)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101, support belts 111b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support members 111a to support the ends of the elastic claws 121b.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base 111b to accommodate the end of the elastic piece 121b. This is because, when the elastic piece 121b is simply in contact with the support base 111b, the end position of the elastic piece 121b may be moved by sliding or the like when the elastic piece 121b is deformed. The groove formed in the support base 111b receives the end of the elastic piece 121b and prevents the end of the elastic piece 121b from moving even if the elastic piece 121b is deformed to accumulate an elastic force.

이때, 상기 회동 부재(121)에 결합된 상기 커넥터 부재(123)의 일부분, 더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123a)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거치대 본체(101)의 외부로 돌출된다. 즉, 상기 개구는 상기 거치대 본체(101)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게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 부재(123)의 일부분을 상기 거치대 본체(101)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재(123)의 일부분이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거치대 몸체(101)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함으로써, 도면상에서는 상기 개구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고 있음에 유의한다. At this time, a part of the connector member 123 coupled to the tiltable member 121,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or 123a, protrudes outside the cradle body 101 through the opening. That is, the opening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radle main body 101, so that a part of the connector member 123 protrudes outside the cradle main body 101. In describ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connector member 123 protrudes through the opening to the outside of the cradle body 101, so that the opening is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drawing .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02)가 회동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사용자가 상기 거치대(100)에 단말기를 장착하거나 장착된 단말기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커넥터(123a)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는데, 상기 회동 부재(121)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이동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커넥터(123a)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상기 회동 부재(121)가 상기 회동 돌기(121a)와 지지 부재(111a)들을 통해 상기 거치대 몸체(10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도 5는 사용자의 단말기 장착 또는 분리 동작에 따라 상기 커넥터 조립체(102),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 부재(121)가 회동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탄성편(123b)이 변형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편(123b)을 우레탄이나 실리콘 재질로 제작한다면, 단말기의 장착이나 분리 동작이 반복되더라도, 상기 탄성편(123b)이 피로누적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102 shown in FIG. 4 is rotated. When the user attaches a terminal to the cradle 100 or desires to remove the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123a may be moved. The tiltable member 121 may be moved in a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connector 123a is allowed to be changed.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tiltable member 1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cradle body 101 through the rotation protrusions 121a and the support members 111a.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102, more specifically, the pivoting member 121 is rotated according to a user's terminal mounting or dismounting operation, and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iece 123b is deformed . As described above, if the elastic piece 123b is made of urethane or silicone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astic piece 123b from being damaged by fatigue accumulation have.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00: 거치대 101: 거치대 몸체
102: 커넥터 조립체 121: 회동 부재
121a: 회동 돌기 121b: 탄성편
123: 커넥터 부재
100: Cradle 101: Cradle body
102: connector assembly 121: pivoting member
121a: rotation protrusion 121b: elastic piece
123: connector member

Claims (6)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에 있어서,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 탄성편들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측면 상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회동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에 장착되며 일부분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커넥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편들은 상기 회동 부재의 양 측면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그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커넥터 부재는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거치대 본체 상에서 회동하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커넥터 부재를 기 설정된 위치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In a cradle of a portable terminal,
A pivoting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the pivoting member including elastic pieces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thereof; And
And a connector member mounted on the pivoting member and partially protruding outside the cradle body,
The elastic pieces extending in directions away from both sides of the tiltable member, the end portions of the elastic pieces being bent and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radle body,
Wherein the connector member pivots on the cradle body when the pivoting member is rotated, and the elastic piece keeps the connector member in a stopped stat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된 개구;
상기 개구의 양측에 각각 제공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회동 부재의 양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회동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동 돌기가 각각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opening formed in a portion of the cradle body;
A support member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respectively; And
Further comprising pivoting protrusions each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pivoting member,
And the rotation protrusion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member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부재는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회동 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커넥터 부재의 일부분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거치대 본체의 외부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The cradle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or member is coupled to the pivoting member inside the cradle body, and a portion of the connector member protrudes outside the cradle body through the open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의 일부분에 형성된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구의 양측에서 상기 탄성편들의 절곡된 단부가 각각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측면에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pening formed in a portion of the cradle body,
And the bent ends of the elastic pieces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are respectively support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radle body.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의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탄성편의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대들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The cradle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bas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radle main body and supporting the end of the cradl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들 각각에 형성된 홈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홈들은 각각 상기 탄성편들 중 하나의 단부를 수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grooves formed in each of said supports,
And the grooves each receive one end of the elastic pieces.
KR1020110023191A 2011-03-16 2011-03-16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KR101788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191A KR101788874B1 (en) 2011-03-16 2011-03-16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CN2011201765394U CN202118452U (en) 2011-03-16 2011-05-25 Rack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191A KR101788874B1 (en) 2011-03-16 2011-03-16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643A KR20120105643A (en) 2012-09-26
KR101788874B1 true KR101788874B1 (en) 2017-10-20

Family

ID=4545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191A KR101788874B1 (en) 2011-03-16 2011-03-16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8874B1 (en)
CN (1) CN202118452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707B1 (en) 1999-01-07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radle for hand-held personal compu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707B1 (en) 1999-01-07 200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radle for hand-held personal compu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118452U (en) 2012-01-18
KR20120105643A (en)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7172B2 (en) Mounting structur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68306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wo-piece housing
KR101420876B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US853754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s
KR101927201B1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KR200240552Y1 (en) Portable computer with speakers
JPWO2007086117A1 (en) Electronic device and supporting member
KR101808862B1 (en) Ground devic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788874B1 (en)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JP2004135119A (en) Cradle of portable digital assistant, and cradle connection method
TW201521297A (en) Connector structur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404505Y1 (en) Portable computer with rotary speaker unit
KR101708502B1 (en) Port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360901B1 (en) Mobile station having cassette type memory
KR20130138047A (en) Data terminal equipment having display module of flip and sliding type
JPH09179658A (en) Electronic appliance
KR20130013942A (en) Cradling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CN115596759A (en) Rotating shaft module, folding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342941Y1 (en) Slide-type cellular phone with rotatable camera module and the slide mechanism therefor
KR100697648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CN118131924A (en) Nib subassembly, capacitance pen and electronic equipment subassembly
CN112350081A (en) Ground clamp, shell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598122B1 (en) Portable display apparatus
JP2004127735A (en) Apparatus with jack
JP2003150286A (en) Electronic equipment and personal compu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