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467B1 -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분리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분리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467B1
KR101788467B1 KR1020160103764A KR20160103764A KR101788467B1 KR 101788467 B1 KR101788467 B1 KR 101788467B1 KR 1020160103764 A KR1020160103764 A KR 1020160103764A KR 20160103764 A KR20160103764 A KR 20160103764A KR 101788467 B1 KR101788467 B1 KR 101788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organism
pigment
present
producing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권
노지현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0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4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5Raman scattering
    • G01N21/658Raman scattering enhancement Raman, e.g. surface plasm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4Raman spectrometry; Scattering spectrometry ; Fluorescence spectro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용한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생물의 배양 및 추출 과정 없이 라만 분광법을 활용하여 환경 시료로부터 유용한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동정하고, 이를 시료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분리하는 방법{METHOD FOR DETECTING AND SEPARATING MICROORGANISMS PRODUCING A DYE IN REAL-TIME}
본 발명은 유용한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생물의 배양 및 추출 과정 없이 라만 분광법을 활용하여 환경 시료로부터 유용한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동정하고, 이를 시료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색소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색소는 천연색소와 합성색소로 구분되며, 대부분의 경우 착색률이 좋고 값이 저렴한 합성색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색소는 오염 물질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알러지, 천식, 간 독소, 아토피성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등 인체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 합성색소의 안전성에 대한 논란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논란에 힘입어, 최근 광물, 식물, 동물 및 미생물로부터 추출되는 천연색소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미생물 색소는 착색률 및 균질성이 높고 재배지, 기후 등의 영향을 받지 않아 대량 추출이 가능하므로, 합성색소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현재, 미생물 유래 색소의 경우, 미생물을 배양하고 추출 과정을 거치는 등 노동집약적이고 시간소모적인 단계를 거쳐야만 상업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색소의 생산 유무를 검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색소 및 미생물 자원을 발굴하는데 있어 한계가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미생물 색소는 미세한 화학 구조의 차이에 의하여 색소의 기능이 발현되는 것으로, 이러한 미생물 유래 색소의 화학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는 고비용의 분석 절차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천연색소의 생산에 미생물을 이용하는 연구가 다수 보고되고 있으나, 환경으로부터 채취한 시료로부터 유용한 미생물을 검출 및 동정하기 위하여 시료를 배양하고 전 처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절차가 복잡하고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특허등록 제1574435호 한국 특허공개 제2009-0045245호
미생물의 전처리, 즉 배양 및 추출 과정 없이 라만 분광법을 활용하여 환경 시료로부터 유용한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동정하고, 이를 시료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a) 시료를 투명 채널에 주입하는 단계; (b)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상기 투명 채널에 조사하여 상기 시료의 라만(Raman)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라만 스펙트럼 중 980 내지 1040㎝-1, 1130 내지 1190㎝-1 및 1490 내지 1550㎝-1의 세 영역에서 피크(peak)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색소 생산 미생물을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출된 색소 생산 미생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상기 (a) 내지 (c) 단계에 이어서, (c') 상기 검출된 빛의 스펙트럼 중 1200 내지 1300㎝-1 및 2000 내지 2900㎝- 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영역에서의 피크의 존부 및 강도에 따라 세균을 동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색소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플렉시루빈(flexirubin), 스시토네민(scytonemin), 베타-카로틴(beta-carotene), 아스타잔틴(astaxanthin), 제아잔틴(zeaxanthin), 멜라닌(melanin), 프로디지오신(prodigiosin) 및 잔토모나딘(xanthomonad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500 내지 550㎚의 파장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조사는 20초 내지 1분간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상기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방법에 있어서, (d) 단계에서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는 광학 핀셋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학 핀셋은 500 내지 550nm 또는 1050 내지 1100nm 범위의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방법은 환경으로부터 채취한 시료 중의 미생물의 배양 및 추출 등의 전처리 과정 없이 유용한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검출, 동정 및 분리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므로, 유용한 미생물을 검출 등을 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 비용 및 노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색소 생산 미생물의 검출 및 분리 방법의 각 단계를 보여주는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a) 세균 파라코쿠스 카로티니파시엔스(Paracocus carotinifaciens) 및 (b) E.coli(에스케리키아 콜리, Escherichia coli)로부터 측정된 라만 스펙트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3은 세균 파라코쿠스 카로티니파시엔스로부터 측정된 라만 스펙트럼에서의 피크의 라만 시프트(Raman shift)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라만 스펙트럼에 기반한 색소 특성의 구분을 나타낸다.
도 5는 세균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 도 6은 가엣불리박터 새만구멘시스(Gaetbulibacter saemankumensis), 도 7은 마이크로박테리움 올레이보란스(Microbacterium oleivorans), 도 8은 오 셔노바실러스(Oceanobacillus), 및 도 9는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의 라만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a) 시료를 투명 채널에 주입하는 단계; (b)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상기 투명 채널에 조사하여 상기 시료의 라만(Raman)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라만 스펙트럼 중 980 내지 1040㎝-1, 1130 내지 1190㎝-1 및 1490 내지 1550㎝-1의 세 영역에서 피크(peak)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색소 생산 미생물을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출된 색소 생산 미생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a) 단계는 시료를 투명 채널에 주입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본 (a) 단계에서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채취한 시료 자체를 별도의 미생물 배양 및 추출 과정 없이, 투명 채널, 예컨대 유리관, 바람직하게는 평판형 유리 모세관(flat type glass capillary tube)에 주입한다. 구체적으로는, 투명 채널의 1/2을 멸균된 PBS 완충액으로 채운 후, 나머지 1/2에 시료를 주입한다. 경우에 따라, 시료 중의 미생물의 농도가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시료를 증류수에 일정 비율로 희석시킨 후 투명 채널에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단계는 시료를 전처리하는 단계를 생략하여 본 발명의 방법 전체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줄여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미생물"은 단세포이며 연구실에서 번식 및 취급 가능한 유기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체로서는 세균, 효모, 균류 및 기생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균은 바람직하게는 그람음성균 또는 그람양성균일 수 있으며, 상기 그람음성균은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 에스케리키아(Escherichia)속, 살모넬라균(Salmonella)속, 적리균(Shigella)속, 엔테로박터(Enterobacter)속, 클렙시엘라(Klebsiella)속, 세라티아(Serratia)속, 프로테우스(Proteus)속, 캄필로박터(Campylobacter)속, 헤모필루스(Haemophilus)속, 모르가넬라(Morganella)속, 비브리오(Vibrio)속, 예시니아(Yersinia)속, 아시네토박터(Acinetobacter)속, 스테노트로포모나스(Stenotrophomonas)속, 브레분디모나스(Brevundimonas)속, 랄스토니아(Ralstonia)속, 아크로모박터(Achrmobacter)속, 푸소박테리움(Fusobacterium)속, 프레보테라(Prevotella)속, 브란하멜라(Branhamella)속, 나이세리아(Neisseria)속, 버크홀데리아(Burkholderia)속, 시트로박터(Citrobacter)속, 하프니아(Hafnia)속, 에드워드시에라(Edwardsiella andrillae)속, 에로모나스(Aeromonas)속, 모락셀라(Moraxella)속, 브루셀라(Brucella)속, 파스튜렐라(Pasteurella)속, 박테로이데스(Bacteroides)속, 프로비덴시아(Providencia)속 및 레지오넬라(Legionella)속에 속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그람양성균은 장구균(Enterococcus), 연쇄구균(Streptococcus),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바실러스(Bacillus)속, 페니바실러스(Paenibacillus)속, 유산간균(Lactobacillus)속, 리스테리아(Listeria)속, 펩토스트렙토코커스(Peptostreptococcus)속, 프로피온산균(Propionic acid bacteria)속,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속, 가드네렐라(Gardnerella)속, 코쿠리어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속 및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속에 속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효모 및 균류는 칸디다(Candida)속, 크립토코커스(Cryptococcus)속, 노카르디아(Nocardia)속, 푸른곰팡이(Penicillium)속, 알터나리아(Alternaria)속, 로도토룰라(Rhodotorula)속, 아스페르길루스(Aspergillus)속, 푸사리움(Fusarium)속,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s)속 및 트리코스포론(Trichosporon)속에 속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생충은 트리파노소마(Trypanosoma)속, 바베시아(Babesia)속, 리슈마니아(Leishmania)속, 말라리아원충(Plasmodium)속, 부케리어(Wucheria)속, 브루지아(Brugia)속, 온코세르카(Onchocerca)속 및 네글레리아(Naegleria)속에 속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시료"는 주변 환경 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존재가 의심되는 또는 의심될 수 있는 모든 물질을 제한 없이 포함한다. 상기 시료가 액상인 경우에는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시료가 고상(예컨대, 토양)인 경우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추출법을 통하여 미생물을 액상의 2차 시료로 옮긴 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수행에 사용되는 시료의 양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선택에 의하여, 방법의 범용성, 감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상기 투명 채널에 조사하여 상기 시료의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단계를, 상기 (c) 단계는 상기 라만 스펙트럼 중 980 내지 1040㎝-1, 1130 내지 1190㎝-1, 및 1490 내지 1550㎝- 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상기 세 영역 모두에서 피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색소 생산 미생물을 검출하는 단계, 즉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여 시료를 분광 해석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c') 상기 검출된 빛의 스펙트럼 중 1200 내지 1300㎝-1 및 2000 내지 2900㎝- 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영역에서의 피크의 존부 및 강도에 따라 세균을 동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광법을 사용하여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1 이상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미생물에 의하여 생산되는 색소별로 유사한 형태를 가지므로, 기존의 색소를 생산할 수 있는 미생물에 대한 관측값과 비교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생물이 색소를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라만 분광법"에는 표면 증감 라만 분광법(SERS), 공간 오프셋 라만 분광법(SORS), 투과 라만 분광법 및 공명 라만 분광법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 상기 라만 스펙트럼 중 980 내지 1040㎝-1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995 내지 1015㎝-1의 영역,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6㎝-1의 위치에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검측 대상인 미생물 중에 C-H 결합을 갖는 물질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ii) 상기 라만 스펙트럼 중 1130 내지 1190㎝-1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1145 내지 1165㎝-1의 영역,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6㎝-1의 위치에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검측 대상인 미생물 중에 C-C 결합을 갖는 물질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또한, (iii) 상기 라만 스펙트럼 중 1490 내지 1550㎝-1의 영역, 1510 내지 1530㎝-1의 영역, 보다 바람직하게는 1521㎝-1의 위치에 피크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검측대상인 미생물 중에 C=C 결합을 갖는 물질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상기 (i) 내지 (iii)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영역 또는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i) 내지 (iii)의 세 영역 또는 위치에서 피크가 관찰되는 경우, 당해 미생물이 색소를 생산할 수 있음을 도출할 수 있다.
(iv) 상기 라만 스펙트럼 중 1200 내지 1300㎝-1의 영역과 2000㎝-1 이상의 영역,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900㎝-1 영역에서 피크의 존부 및 강도에 따라 세균을 동정할 수 있다. 상기 영역에서 총 1 이상,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개의 피크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약 25종의 세균을 이용하여 라만 스펙트럼에 따른 색소의 구분 가부를 평가하였으며, 각 세균이 생산하는 색소의 색 또는 화학구조에 의하여 각 색소가 구분 가능함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광원"은 시료에 조사하는 광의 공급처를 의미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적절한 광원에서 선택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레이저일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전자선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선이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500 내지 550㎚, 바람직하게는 532nm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조사는 10초 내지 5분간, 바람직하게는 20초 내지 1분간, 바람직하게는 30초간 이루어질 수 있다. 조사 시간이 10초 미만인 경우 스펙트럼 상의 노이즈와 피크를 구별하기가 어렵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d) 단계는 상기 (c) 단계에서 검출된 색소 생산 미생물을 광학 핀셋(optical tweezer)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핀셋은 현미경에 레이저광을 도입하여 대물렌즈에 집광시킴으로써 관찰면에 존재하는 특정 물질을 포획하여 이동시키는 기술을 의미하며, 이를 통하여 (c) 단계에서 색소 생산 미생물로 판별된 미생물을 시료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학 핀셋은 500 내지 550nm 또는 1050 내지 1100nm 범위의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공초점 라만 현미경의 스펙트럼 처리
카로틴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세균 파라코쿠스 카로티니파시엔스와 색소를 생산하지 않는 E.coli의 경우, 어떠한 라만 스펙트럼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관찰하였다.
먼저, 준비한 시료를 알루미늄으로 코팅된 슬라이드(DRL사) 상에 두어 건조시킨 후, 빙냉 증류수에 담구어 세척하여 완충액 성분의 잔여물을 제거하고 다시 건조시켰다.
단일 균체 세포 스펙트럼을 532㎚ 네오디뮴(neodymium)-이트륨(yttrium) 알루미늄 가넷 레이저나 300 또는 600 그루브/㎜ 회절 격자가 장착된 기기인 Lab Ram ARAMIS(Horiba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스펙트럼을 400 내지 3200㎝-1의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라만 스펙트럼을 하기와 같이 처리하였다: 먼저, 최적화된 변수들(smoothing = true, iteration = 70, window = "15")을 이용하여, 민감한 반복적 비선형 피크-클리핑(peak-clipping) 알고리즘으로 배경 보정을 수행 후, 각각의 스펙트럼을 스펙트럼 강도 절대값의 총합으로 정규화시켰다.
관찰 결과, 파라코쿠스 카로티니파시엔스의 스펙트럼에서는 1006, 1156 및 1521㎝-1의 위치에서 피크가 관찰되는 반면, E.coli의 경우, 950 내지 2000㎝-1의 영역에서 강력한 피크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및 3 참조).
실시예 1. 라만-활성화된 세균의 확인 및 분리
모세관(직사각형 유리 모세관, 0.10×1.00㎜, CM Scientific사)를 사용 전 밤새 500에서 멸균처리하고, 0.5% 트윈(Tween) 20 및 멸균 PBS 완충액으로 모세관의 절반을 채웠다. 수중 환경 물질로부터 채취된 시료를 1:50으로 희석시키고, 상기 모세관에 주입하였다. 시료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료가 첨가된 모세관의 말미를 바셀린(petroleum jelly)으로 밀봉하였다.
그 후, 모세관을 라만 분광기 상에 장착된 60× 수침 대물(UplanSApo, Olympus사)에 위치시켰다. 균체를 1064㎚ 레이저(mpc6000, Laser Quantum사)로 광학적으로 포집하고, 균체의 스펙트럼에서 대부분의 관련 있는 라만 피크를 포함시키기 위하여, 600 내지 3000㎝-1의 범위에 걸쳐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세균 중의 색소 스펙트럼(1006㎝-1, 1156㎝-1, 1521㎝-1)이 동정된 경우, 당해 세균을 모세관의 멸균한 말미로 이동시켰다.
다중 표지된 세균에 대하여 상기 단계를 반복하여, 모세관의 말미를 잘라내어 멸균된 0.2㎕ 튜브에 넣었다. 상기 튜브의 뚜껑을 닫고, 간단히 원심분리 시켜(10초 미만) 정렬된 세균들을 튜브로 회수하였다. 모세관의 벽면에 붙어있을 수 있는 세균을 세척해내기 위하여, 멸균된 PBS 완충액 2㎕를 모세관 조각에 주입하고, 재차 원심분리시켰다. 그리하여, 색소를 생산하는 세균만을 분리해내었다.
실시예 2. 세균이 생산하는 색소의 동정
균체의 라만 스펙트럼 중 1200 내지 1300㎝-1 및 2000 내지 2900㎝-1 영역의 피크의 존부 및 강도에 따라 세균이 생산하는 색소를 동정할 수 있으므로, 이를 추가적으로 관찰하였다.
2.1. 멜라닌을 생산하는 세균의 동정
멜라닌(melanin)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튜링겐시스(Bacillus thuringiensis)의 라만 스펙트럼을 관찰하였다(도 5 참조). 1006, 1156 및 1521㎝-1의 세 피크 외에 2298, 2432 및 2652㎝-1에서 피크가 관찰되었다.
2.2. 아스타잔틴을 생산하는 세균의 동정
아스타잔틴(astaxanthin)을 생산하는 파라코커스 카로티니파시엔스(Paracoccus carotinifaciens)의 라만 스펙트럼을 관찰하였다(도 4 참조). 1006, 1156 및 1521㎝-1의 세 피크 외에 2427 및 2663㎝-1에서 피크가 관찰되었다.
2.3. 제아잔틴을 생산하는 세균의 동정
제아잔틴(zeaxanthin)을 생산하는 가엣불리박터 새만구멘시스(Gaetbulibacter saemankumensis)의 라만 스펙트럼을 관찰하였다(도 6 참조). 1006, 1156 및 1521㎝-1의 세 피크 외에 2432 및 2588㎝-1에서 피크가 관찰되었다.
2.4. 카로티노이드를 생산하는 세균의 동정
카로티노이드(carotenoids)를 생산하는 마이크로박테리움 올레이보란스(Microbacterium oleivorans) 및 오셔노바실러스(Oceanobacillus)의 라만 스펙트럼을 관찰하였다(도 7 및 8 참조). 1006, 1156 및 1521㎝-1의 세 피크 외에 2432 및 2674㎝-1에서 피크가 관찰되었다.
2.5. 베타-카로틴을 생산하는 세균의 동정
베타-카로틴(beta-carotene)을 생산하는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의 라만 스펙트럼을 관찰하였다(도 9 참조). 1006, 1156 및 1521㎝-1의 세 피크 외에 2432 및 2677㎝-1에서 피크가 관찰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a) 시료를 투명 채널에 주입하는 단계;
    (b)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상기 투명 채널에 조사하여 상기 시료의 라만(Raman) 스펙트럼을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라만 스펙트럼 중 980 내지 1040㎝-1, 1130 내지 1190㎝-1 및 1490 내지 1550㎝-1의 세 영역에서 피크(peak)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관찰함으로써 플렉시루빈(flexirubin), 스시토네민(scytonemin), 베타-카로틴(beta-carotene), 아스타잔틴(astaxanthin), 제아잔틴(zeaxanthin), 멜라닌(melanin), 프로디지오신(prodigiosin) 및 잔토모나딘(xanthomonad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검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검출된 색소 생산 미생물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c) 단계 이후에,
    (c') 상기 검출된 빛의 스펙트럼 중 1200 내지 1300㎝-1 및 2000 내지 2900㎝-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영역에서의 피크의 존부 및 강도에 따라 세균을 동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500 내지 550㎚의 파장을 갖는 것인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조사는 20초 내지 1분간 이루어지는 것인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는 광학 핀셋을 이용하는 것인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핀셋은 500 내지 550nm 또는 1050 내지 1100nm 범위의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인 색소 생산 미생물의 분리 방법.
KR1020160103764A 2016-08-16 2016-08-16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분리하는 방법 KR101788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64A KR101788467B1 (ko) 2016-08-16 2016-08-16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분리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64A KR101788467B1 (ko) 2016-08-16 2016-08-16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분리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467B1 true KR101788467B1 (ko) 2017-10-19

Family

ID=6029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764A KR101788467B1 (ko) 2016-08-16 2016-08-16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분리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4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4659A (zh) * 2021-10-13 2022-01-28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基于单细胞拉曼光谱的好氧不产氧光合细菌检测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3671A (ja) 2009-03-23 2010-10-07 National Yang Ming Univ 表面増強ラマン散乱(sers)を使用した微生物鑑定またはその形態変化検出方法
JP2015507182A (ja) 2011-12-19 2015-03-05 オプティカル・ダイアグノスティクス・リミテッド 培養下での微生物を識別するための分光学的な手段および方法
JP2015144607A (ja) 2008-10-31 2015-08-13 ビオメリュ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マン分光法を使用した微生物の分離、キャラクタリゼーションおよび/または同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4607A (ja) 2008-10-31 2015-08-13 ビオメリュ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マン分光法を使用した微生物の分離、キャラクタリゼーションおよび/または同定方法
JP2010223671A (ja) 2009-03-23 2010-10-07 National Yang Ming Univ 表面増強ラマン散乱(sers)を使用した微生物鑑定またはその形態変化検出方法
JP2015507182A (ja) 2011-12-19 2015-03-05 オプティカル・ダイアグノスティクス・リミテッド 培養下での微生物を識別するための分光学的な手段およ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질산화 미세집락의 대량고속 분리를 위한 라만분광법과 미세유체칩 융합기술 개발’, 2013년 선정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유형 : 박사후국외연수) 결과보고서 (2015.05.3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84659A (zh) * 2021-10-13 2022-01-28 自然资源部第二海洋研究所 一种基于单细胞拉曼光谱的好氧不产氧光合细菌检测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FTIR and Raman imaging for microplastics analysis: State of the art, challenges and prospects
Lee et al. Raman microspectroscopy for microbiology
Gowen et al. Recent applications of hyperspectral imaging in microbiology
Kim et al. Raman spectroscopy compatible PDMS droplet microfluidic culture and analysis platform towards on-chip lipidomics
CA2741008C (en) Methods for s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organisms using identifier agents
Harz et al. Vibrational spectroscopy—A powerful tool for the rapid identification of microbial cells at the single‐cell level
EP2174116B1 (en) Method for typing an individual strain of micro-organism species
Kotanen et al.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spectroscopy for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microbial pathogens isolated from human serum
Teodor et al. Non-destructive analysis of amber artefacts from the prehistoric Cioclovina hoard (Romania)
Baumeister et al. Live single-cell metabolomics with matrix-free laser/desorption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to address microalgal physiology
Vitali et al. Microplastics and nanoplastics in food, water, and beverages, part II. Methods
Wei et al. Microalgal detection by Raman microspectroscopy
Yakubovskaya et al. Tear down the fluorescent curtain: a new fluorescence suppression method for Raman microspectroscopic analyses
Sivakumar et a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live and dead Escherichia coli by laser-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
Pinzaru et al. Live diatoms facing Ag nanoparticles: surface enhanced Raman scattering of bulk Cylindrotheca closterium pennate diatoms and of the single cells
Liu et al. Laser tweezers Raman spectroscopy combined with deep learning to classify marine bacteria
Krause et al. The investigation of single bacteria by means of fluorescence staining and Raman spectroscopy
KR101788467B1 (ko) 색소를 생산하는 미생물을 실시간으로 검출 및 분리하는 방법
Rüger et al. High-throughput screening Raman microspectroscopy for assessment of drug-induced changes in diatom cells
Li et al. Single-cell Raman sorting
Pilát et al. Raman tweezers in microfluidic systems for analysis and sorting of living cells
Side Probing and sorting single cells: the application of a Raman-activated cell sorter
Raimondi et al. Remote detection of laser-induced autofluorescence on pure cultures of fungal and bacterial strains and their analysis with multivariate techniques
Cheng et al. Coumarin 6 staining method to detect microplastics
Sobhani et al. Collecting microplastics in gardens: Case study (ii) from rop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