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944B1 - 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ation and removal - Google Patents

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ation and remov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944B1
KR101787944B1 KR1020170021483A KR20170021483A KR101787944B1 KR 101787944 B1 KR101787944 B1 KR 101787944B1 KR 1020170021483 A KR1020170021483 A KR 1020170021483A KR 20170021483 A KR20170021483 A KR 20170021483A KR 101787944 B1 KR101787944 B1 KR 101787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oil
clearance
fastening
suppo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무영
Original Assignee
김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영 filed Critical 김무영
Priority to KR1020170021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9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9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ed and removed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ed and removed, which is improved to prevent earth and sand from scattering and being infiltrated from a soil wall drilled for building construction, and to be quickly installed and remov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ed and removed comprises: a plurality of supports embedded under a drilled surface of the ground, wherein the drilled surface is generated by drilling a portion of the ground; and a soil retaining plate adhering to one side of the supports to prevent earth and sand from being infiltrated from the soil wall, or varying a length of both dead ends to release the adhering condition. Therefore, as a length of both dead ends of the soil retaining plate is varied to adhere to the supports, the soil retaining plate can be quickly installed and removed.

Description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ation and removal}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il retaining plate,

본 발명은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건설공사를 위해 굴토된 토벽으로부터 토사의 비산 및 토사의 침입을 방지하고, 설치 및 회수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il plate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recover, and which prevents scattering of gravel and soil from the excavated soil wall for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recover.

일반적으로, 토류판은 건축, 건설 공사에서 지하 흙막이공의 토압을 지지하는 구조물로서, 영구 구조물로 사용되거나 가설 구조물로 일시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In general, earth plates are structures that support the earth pressure of underground earth retaining walls i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and may be used as permanent structures or as temporary structures temporarily.

종래의 토류판은 지하 굴토공사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지반의 굴토면에 설치된 인접하는 H형강의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로서, 비공사 구역의 지반을 안정화시키고 발파 굴토로 인한 돌 및 토사의 비산을 방지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Conventional soil plate is a type that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adjacent H-shaped beams installed on the oyster surface of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in an underground excavation earthworks. It stabilizes the ground of the non-construction area and prevents scattering of stones and gravel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in advance.

상기의 토류판 시공은 지반의 굴토면에 소정 간격으로 지지대가 설치되고, 일정 심도로 지반을 굴토함으로써 형성되는 토벽의 지지대의 경간을 확인하여 토류판을 절단한 후에 토류판을 적층하여 설치하게 된다.In the soil plate construction, the support plate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oyster surface of the ground, the soil plate is cut off after confirming the span of the support plate of the toe wall formed by excavating the ground with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n the soil plate is stacked.

그러나 종래의 토류판은 토벽으로부터 지하수를 흡수하여 중량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토벽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휨 모멘트에 의해 작용되는 인장과 압축에 의해 휘어짐이 발생됨으로써, 건축·건설 공사의 현장에 설치 및 회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oil plate absorbs the ground water from the bottom wall, and not only the weight increases, but also the buckling caused by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by the load of the bottom wall causes buckling due to compression and compression. There is a problem that recovery is difficult.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0785호, 강화 플라스틱 토류판'은 지반의 일부를 굴토하여 매설된 복수의 기초말뚝과 기초말뚝 사이에 설치되는 토류판이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어 경량화되고, 토류판의 내부에 구비된 중공에 보강부가 설치됨으로써, 설치 및 회수작업이 용이하다고 개시되어 있다.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00785, 'Reinforced Plastic Soil Plate ", which is made by reinforcing plastic material, is made lightweight by providing a plurality of base piles buried with a part of the ground and buried therebetween, And the reinforcing portion is provided in the hollow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casing.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토류판은 복수의 기초 말뚝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복수의 기초 말뚝에 밀착되도록 별도의 제작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설치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2차 굴착 또는 설치된 토류판의 하면에 토류판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하단부터 토류판 제거 시 복수의 기초 말뚝에 밀착되게 제작된 토류판의 회수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soil plat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requires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plurality of foundation piles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foundation piles,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install the soil plate and it is not easy to recover the soil plate ma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 plurality of foundation piles when removing the soil plate from the bottom.

또한, 상기 선행문헌의 토류판은 복수로 적층되는 경우, 사이 공간으로 토사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the soil from entering the interspace when the soil plate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are stacked in plural.

따라서, 복수의 지지대 간의 이격 거리에 따라 복수의 지지대에 밀착되며, 토벽으로부터 토사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a soil plate which is closely attached to a plurality of supports in accordance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is easy to install and recover, which can prevent the ingress of soil from the soil wall.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0785호, 강화 플라스틱 토류판'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0078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류판의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며,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된 토류판이 체결된 상태로 인상되어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회수작업이 개선된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nitary napkin for sanitary napkin which is capable of changing the lengths of both ends of a sanitary napkin by pulling up a plurality of sanitary napkin And a soil plate with improved recovery and collection and installation and recovery.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류판이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되며,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된 토류판에 형성되는 토사의 침입 경로가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토벽으로부터 토사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을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gravels from the earth wall by facilitating the installation and recovery of the earthworks by laminating and joining the earth plates in plural and extending the intrusion path of the gravels formed in the plurality of stacked- It is to provide one soil boar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은, 지반의 일부를 굴토하여 생성된 상기 지반의 굴토면에 매설되는 복수의 지지대;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일측에 밀착되어 토벽으로부터 토사의 침입을 방지하거나, 상기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되는 토류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il plat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recover,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s embedded in a surface of a ground generated by excavating a part of a ground; And a soil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to prevent the ingress of the gravel from the toe wall, or the length of both ends is changed so that the close contact is released.

그리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토류판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가 연결되도록 하되, 일면에 상기 토류판의 양 끝단이 밀착되는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토류판은, 양 끝단의 내부에 형성된 인입 공간에 마련되되, 상기 홈부에 삽입된 후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인입 공간으로부터 유격되어 상기 웨브의 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유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And the plurality of supports are formed with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to form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oil plate is inserted, And a web to which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re connected so that both ends of the soil plate are closely contacted to one surface of the web, wherein the soil plate is provided in an inlet space formed at both ends, And a plurality of clearances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space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web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또한, 상기 복수의 유격부는, 상기 인입 공간으로부터 상기 외력에 의해 유격되는 제1 유격부재와 상기 제2 유격부재; 및 상기 토류판의 전면(前面)에 형성된 제1 개구부에 인입되어 상기 제1 유격 부재와 상기 제2 유격부재에 탈착되고, 상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외력을 상기 제1 유격부재와 상기 제2 유격부재에 전달하는 유격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clearances may include a first clearanc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let space by the external force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And a first clearance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earth plate to b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first clearance member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so that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clearance member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a clearance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clearance to the member.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은, 상기 토류판이 상기 홈부에 복수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적층된 복수의 토류판이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된 복수의 토류판 간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침입 경로로 상기 토사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토류판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reign matter plate,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recover, when a plurality of the foreign matter plates are stacked in the groove, a plurality of stacked foreign matter plates are fastened, And a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arth plate to prevent intrusion of the gravel into the intrusion path formed on the earth plate.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토류판의 하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인입되게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토류판의 상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토류판이 복수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체결홈에 인입되어 상기 복수의 적층된 토류판이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a fastening groove formed to extend along a width of a lower side of the toner plate, And a fastening member protruding along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rrent plate and being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to fasten the plurality of stacked toner plates when the toner plates are stacked.

그리고 상기 체결홈 및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토사의 하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체결된 토류판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의 영향으로 상기 복수의 체결된 토류판 간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류판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And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fastening member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oil plate so as to prevent the fasten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astened soil plat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in the plurality of fastened soil plates by the load of the gravel, Respectively.

또한,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된 토류판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토사의 침입 경로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게 절곡형성됨으로써, 상기 침입 경로로 상기 토사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may be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as to extend the length of the intrusion path of the gravel to be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fined toner plates to prevent intrusion of the gravel into the intrusion path can do.

그리고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는, 상기 토벽과 밀착되는 상기 토류판의 후면(後面)에 가장 근접한 체결부재가 상기 토류판의 너비면적을 따라 양 끝단까지 연장형성 됨으로써, 상기 토사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may prevent penetration of the gravel by forming a fastening member closest to the back face of the foreign matter plate closely contacting the foreign matter wall to extend to both ends along the width area of the foreign matter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은, 상기 홈부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토류판에 인상력을 가하여, 상기 토류판이 인상되어 설치 및 회수되도록 하는 인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unit for lifting and discharging the soil plate by applying a pulling force to the soil plat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o.

그리고 상기 인상부는, 상기 토류판에 형성된 제2 개구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하측에 마련되고, 회전력이 가해져 회전된 후에 상기 인상력이 가해지면, 상기 토류판의 하측에 결착됨으로써, 상기 토류판이 인상되도록 하는 인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after the rotating force is applied after the rotating force is applied, the pulling-up portion is tied to the lower side of the soil plate, Up member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토류판은, 상기 토사의 하중에 의해 상기 토류판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에 대한 내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토사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토류판의 전면의 일부가 휘어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soil plate may be 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soil plate separated from the soil is bent so that the resistance against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on the soil plate is increased by the load of the soil.

이에 의해, 복수의 지지대에 밀착되게 토류판의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토류판의 설치 및 회수 작업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lengths of both ends of the soil plate are chang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upports, so that the time for installing and collecting the soil plate can be saved.

그리고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된 토류판이 체결된 상태로 인상되어 시공됨으로써, 토류판의 설치 및 회수작업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acked and fastened stacked sheets are pulled up in a fastened state, the time for installing and collecting the stacked sheets can be saved.

또한, 토류판이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되는 경우,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된 토류판 간의 사이 공간에 토사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건축·건설 공사의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arth plates are laminated and fastened in plur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try of the earth and san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tacked and fastened soil plates, thereby assuring the safety of workers i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분리식 토류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분리식 토류판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격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분리식 토류판의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토류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과 자립식 토류판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에 지지보 및 보강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과 인상부의 결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침입 경로가 연장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침입 경로가 연장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ble type confection plate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re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using a detachable plate for easy installation and recov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components of a separable soi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learanc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varying the lengths of both ends of a separabl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separable soil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standing type soi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tached plate and a self-stand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beam and a reinforcement unit are installed on a detachable soil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ble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separable soil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binding method between a separable soil plate and a pull-up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part for extending the intrusion path of the grav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part for extending the penetration path of the grav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도 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for allow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ufficiently convey the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분리식 토류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분리식 토류판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detachabl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achable detachabl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은 토류판의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되는 분리식 토류판일 수 있다.Before referring to FIGS. 1 and 2, a foreign matter plate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re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eparable foreign matter plate in which the length of both ends of the foreign matter plate is variab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은 지지대(100), 토류판(20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soil plate for easy installation and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upport 100 and a soil plate 200.

지지대(100)는 지반의 일부를 굴토하여 생성된 굴토면에 복수로 매설된다.The support platform 100 is embedded in a plurality of the excavated surfaces generated by excavating a part of the ground.

여기서, 지지대(100)는 단면의 형상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통상적인 H형빔으로 마련되며, 토류판(200)이 'H'자 형상의 홈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supporting table 100 is provided with a normal H-shaped beam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of 'H' shape, and the current plate 200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having an 'H' shape.

토류판(200)은 사각 기둥 형상의 부재로서 토벽으로부터 토사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지지대(100)의 홈부에 삽입되어 설치된다.The soil plate 200 is a quadrangular columnar member and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groove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to prevent the scattering of the gravel from the earth wall.

여기서, 토류판(200)은 복수의 지지대(100) 간의 이격 거리에 상관없이 복수의 지지대(100)의 홈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양 끝단의 길이가 외력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Here, the length of both ends of the dust plate 200 may be vari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dust plate 200 is inserted into the groove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irrespectiv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이때, 토류판(200)은 양 끝단의 길이가 외력에 의해 가변됨으로써, 복수의 지지대(100)의 홈부에 용이하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지지대(100)로부터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length of both ends of the current plate 200 is varied by the external force, it is easily installed in the groove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and can be easily recovered from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되는 토류판(200)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에서 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soil plate 200 in which the lengths of both ends are variable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토류판(200)은 복수의 지지대(100)의 홈부에 복수로 적층되게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ust plate 200 may be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grooves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in a stacked manner.

이때, 토류판(200)은 지지대(100)의 홈부에 복수로 적층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복수로 적층되는 최대 높이는 복수의 지지대(10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dust collecting plate 200 can be adjusted in a plurality of the grooves of the support 100, and the maximum height of the plurality of stacking plates 200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격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분리식 토류판의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separable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clear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varying the lengths of both ends of a separable pl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variable length of a separable pl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대(100)는 토류판(200)이 삽입되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해, 상부 플랜지(101), 하부 플랜지(102) 및 웨브(103)로 형성된다.3 to 6, the support 100 is formed of an upper flange 101, a lower flange 102, and a web 103 in order to insert the soil board 200 therein.

즉, 토류판(200)은 상부 플랜지(101)와 하부 플랜지(10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 후에 웨브(103)의 일면에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That is, the current plate 200 may be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web 103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flange 101 and the lower flange 102.

이에, 토류판(200)은 토벽의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부 플랜지(101)와 하부 플랜지(10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사이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Thus, the soil plate 200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flange 101 and the lower flange 102, even though the load of the soil wall is applied, so that the soil plate 200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interspace.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토류판(200)은 제1 유격부(210) 및 제2 유격부(220)가 마련된다.3 to 6, the current plate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clearance part 210 and a second clearance part 220.

제1 유격부(210)는 토류판(200)의 양 끝단 중 일단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기 위해 제1 유격부재(211) 및 제1 유격제어부(212)로 마련된다.The first clearance portion 210 is provided as a first clearance member 211 and a first clearance control portion 212 so that the length of one end of the opposite end of the current plate 200 may be varied.

제1 유격부재(211)는 일단의 내부에 형성된 인입 공간에 마련되되, 외력에 의해 유격되어 토류판(200)의 일단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is provided in a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the one end, and can be spaced apart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length of one end of the current plate 200 can be varied.

이를 통해, 토류판(200)의 일단은 복수의 지지대(100) 간의 이격 거리와 상관없이 웨브(103)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Thus, one end of the current plate 2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web 103 irrespectiv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 supports 100.

여기서, 제1 유격부재(211)는 웨브(103)의 일면에 밀착되기 위해 너비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learance members 211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to come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web 103.

제1 유격제어부(212)는 제1 유격부재(211)에 외력을 전달하기 위해, 토류판(200)의 전면(前面)에 형성된 제1 개구부(201)에 인입되어 제1 유격부재(211)에 탈착될 수 있다.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2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201 formed on the front face of the dust plate 200 to transmit the external force to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It can be detached.

또한, 제1 유격제어부(212)는 제1 유격부재(211)가 외력에 의해 유격되는 동안만 제1 유격부재(211)와 결합되고, 제1 유격부재(211)의 유격이 종료되면, 제1 유격부재(21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212 is engaged with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only while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is released by an external force. When the clearance of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is terminated, 1 can be drawn out from the shorting member 211.

한편, 토류판(200)은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제1 유격부재(211)의 유격이 종료된 후에 제1 유격부재(211)로부터 제1 유격제어부(212)가 인출되면, 제1 개구부(201)를 통해 제1 유격부재(211)가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개구부(210)가 밀폐되도록 하는 제1 밀폐부재(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212 is pulled out of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after the clearance of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is terminated, the first clearance member 201 A first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seal the first opening 210 to prevent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being broken through the first opening 210.

제2 유격부(220)는 토류판(200)의 양 끝단 중 타단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하기 위해 제2 유격부재(221) 및 제2 유격제어부(222)로 마련된다.The second clearance part 220 is provided as a second clearance member 221 and a second clearance control part 222 in order to vary the length of the other end of the current plate 200.

제2 유격부재(221)는 타단의 내부에 형성된 인입 공간에 마련되되, 외력에 의해 유격되어 토류판(200)의 타단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the other end, and may be spaced apart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length of the other end of the current plate 200 may be varied.

이를 통해, 토류판(200)의 타단은 복수의 지지대(100) 간의 이격 거리와 상관없이 웨브(103)의 일면에 밀착될 수 있다.Thus, the other end of the current plate 20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web 103 irrespective of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 supports 100.

여기서, 제2 유격부재(221)는 제1 유격부재(211)와 마찬가지로, 웨브(103)의 일면에 밀착되기 위해 너비방향으로 유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learance members 221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so as to come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web 103, like the first clearance members 211.

제2 유격제어부(212)는 제2 유격부재(221)에 외력을 전달하기 위해, 토류판(200)의 전면(前面)에 형성된 제1 개구부(201)에 인입되어 제2 유격부재(221)에 탈착될 수 있다.The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2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opening 201 formed in the front face of the current plate 200 to transmit the external force to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It can be detached.

또한, 제2 유격제어부(222)는 제2 유격부재(221)가 유격되는 동안만 제2 유격부재(221)와 결합되고, 제2 유격부재(221)의 유격이 종료되면, 제2 유격부재(22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The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222 is engaged with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only while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is released and when the clearance of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is terminated, (Not shown).

한편, 토류판(200)은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제2 유격부재(221)의 유격이 종료된 후에 제2 유격부재(221)로부터 제2 유격제어부(222)가 인출되면, 제1 개구부(201)를 통해 제2 유격부재(221)가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개구부(201)가 밀폐되도록 하는 제2 밀폐부재(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222 is pulled out of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after the clearance of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is terminated, the first clearance 201 A second sealing member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seal the first opening 201 to prevent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being broken through the first opening 201.

이를 통해, 토류판(200)은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부 플랜지(101)와 하부 플랜지(102)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되, 양 끝단이 웨브(103)의 일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length of both ends of the current plate 200 can be varied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flange 101 and the lower flange 102, and both ends of the current plate 200 can be close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web 103 .

또한, 토류판(200)은 제1 유격부재(211)와 제2 유격부재(221)가 유격되어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부 플랜지(101)와 하부 플랜지(102)의 사이 공간으로부터 함께 인출되는 경우에 복수의 지지대(100)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horting members 211 and 2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ength of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horting members 211 and 221 are varied to separate the first flange 101 and the second flange 102 from each other. It can be recovered from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한편, 토류판(200)은 제1 유격부재(211)와 제2 유격부재(221)가 상부 플랜지(101)와 하부 플랜지(102)의 사이 공간으로부터 함께 인출되지 않아도 회수될 수 있다.The current plate 200 can be recovered without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being drawn out together from the space between the upper flange 101 and the lower flange 102.

이는 제1 유격부재(211)와 제2 유격부재(22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격제어부(212)와 제2 유격제어부(222)를 통해 서로 다른 외력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격되는 방향 및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다.6,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may be subjected to different external forces through 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212 and the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222, This may be possible because of the different directions and distances.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유격부재(211)와 제2 유격부재(221)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1 유격제어부(212)와 제2 유격제어부(222) 중에 제2 유격제어부(222)에만 외력이 가해지면, 제2 유격부재(221)만 인입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s 212 and 222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222 and the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222 are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are exposed to the outside, Only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can be drawn into the insertion space.

이를 통해, 제1 유격부재(211)와 제2 유격부재(221)에 모두 외력을 전달하지 않아도, 토류판(200)의 타단과 웨브(103)의 이격을 통해 토류판(200)이 복수의 지지대(100)로부터 회수됨으로써, 능률적인 토류판(200)의 회수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is prevents the foreign matter 200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plurality of supports (not shown) through the separation of the other end of the foreign matter 200 and the web 103 without transmitting external forces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members 211, 1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efficient recycling operation of the soil plate 200 is possible.

또한, 제1 유격부재(211)와 제2 유격부재(221)는 토벽과의 마찰력에 의해 토류판(200)의 인입 공간으로 유격되지 않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does not protrude into the inlet space of the dust plate 200 due to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의 제1 유격부(210) 및 제2 유격부(220)는 제1 레일(미도시) 및 제2 레일(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and second clearance portions 210 and 220 of the other embodiments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ail (not shown) and a second rail (not shown).

제1 레일(미도시)은 제1 유격부재(211)가 인입되는 인입 공간의 내벽에 마련되되, 제1 유격부재(211)와 결합됨으로써, 제1 유격부재(211)가 제1 유격제어부(212)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유격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let space through which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is inserted and is coupled to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so that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is engaged with 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212 can be easily released.

제2 레일(미도시)은 제2 유격부재(211)가 인입되는 인입 공간의 내벽에 마련되되, 제2 유격부재(221)와 결합됨으로써, 제2 유격부재(221)가 제2 유격제어부(222)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유격되도록 할 수 있다.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is coupled to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by being engaged with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let space into which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11 is inserted, 222 by the external force.

첨언하여, 토류판(200)은 토벽의 하중에 의해 휨 모멘트에 대한 내력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해 토사로부터 이격되는 전면(前面)의 일부가 휘어지는 절곡면(203)이 형성될 수 있다.The soil plate 200 may be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203 in which a part of the front surface, which is separated from the earth, is bent so as to increase the proof against the bending moment by the load of the earth wall.

이를 통해, 토류판(200)은 절곡면(203)에 의해 토벽의 하중으로부터 가해지는 휨 모멘트가 경감되며, 휨 모멘트로부터 발생되는 압축과 인장 작용에 의해 내구성이 약화되어 굴곡 및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current plate 200 reduces the bending moment applied from the load of the toe wall by the bent surface 203, and the durability is weakened due to the compression and tensile action generated from the bending moment, hav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립식 토류판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과 자립식 토류판이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lf-standing type soi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of a separated soil plate and a self-standing soil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토류판(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되어 복수의 지지대(100)에 설치되는 분리식 토류판(200)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토벽의 지형 상태 또는 건축·건설 현장의 상태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는 자립식 토류판(200)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oil board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as a detachable soil board 200 having a variable length at both ends and installed on a plurality of supports 100. However, As shown in FIG. 7,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free standing soil plate 200, the length of the free ends of the free standing soil plate 200 is not variable.

이때, 도 7에 도시된 토류판(200)은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게 되되, 도 1 내지 도 6에서 상술한 토류판(200)의 양 끝단의 최대 가변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ngth of both ends of the current plate 200 shown in FIG. 7 is not variable, but may be the same as the maximum variable length of both ends of the current plate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이에, 분리식 토류판(200)과 자립식 토류판(200)이 토벽의 지형 상태 또는 건축·건설 현장의 상태에 따라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parable soil plate 200 and the self-supporting soil plate 200 can be us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topography of the top wall or the condition of the building or construction site.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대(100)에 길이방향으로 상측부터 자립식 토류판(200-1)이 설치되고, 자립식 토류판(200-1)의 설치가 완료되면, 분리식 토류판(200-2)이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self-standing type soil plate 200-1 is install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 platforms 100 from the upp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stallation of the self-supporting type soil plate 200-1 is completed , And a detachable current plate 200-2 may be install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에 지지보 및 보강유닛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beam and a reinforcement unit are installed on a detachable soil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토류판은 건축·건설 현장의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지지보(300) 및 보강유닛(400)이 더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soil board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eam 300 and a reinforcement unit 400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at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sites.

지지보(300)는 복수로 적층된 토류판(200)의 전면(前面) 또는 후면(後面)에 결합될 수 있다.The support beam 300 may be coupled to a front surface or a rear surface of the stacked soil plate 200.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지지보(300)가 전면에 결합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support beam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being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한편, 지지보(300)는 결합부재(미도시)를 통해 토류판(200)에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beam 300 may be coupled to the dust plate 200 through a coupling member (not shown).

여기서, 결합부재(미도시)는 제1 유격부재(211)와 제2 유격부재(221)의 유격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게 토류판(200)에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engaging membe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turntable 200 so as to prevent the clearance between the first clearance member 211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221 from occurring.

이를 통해, 토벽으로부터 토사가 비산되는 경우, 토류판(200) 근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As a result, safety of the operator working near the soil plate 200 can be assured when the soil is scattered from the top wall.

이와 달리 만약, 지지보(300)가 토류판(200)의 후면에 결합되면, 토벽을 굴토하여 형성된 지하 공간에서의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Otherwise, if the support beam 300 i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dust plate 200, the safety of the operator in the underground space formed by excavating the bottom wall can be assured.

보강유닛(400)은 지지보(300)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휨 모멘트의 영향으로 지지보(400)에 굴곡 및 절단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지지대(100)와 지지보(3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unit 4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upport rods 100 and support rods 300 to prevent bending and cutting phenomenon of the support rods 400 from occurring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by the load of the support rods 300. [ ). ≪ / RTI >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보강유닛(400)은 상부 플랜지(101) 또는 하부 플랜지(102) 중 하나의 플랜지의 일면에 결합되며, 지지보(300)의 휨 모멘트가 경감되도록 하게 지지보(3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inforcement unit 400 is coupled to one side of a flange of one of the upper flange 101 and the lower flange 102, so that the bending moment of the support beam 300 is reduced, Can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이와 달리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의 보강유닛(400)은 지지보(300)가 슬라이딩되어 위치가 변경되도록 하기 위한 이송 수단(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reinforcing unit 400 of another embodiment may be combined with a conveying unit (not shown) for allowing the support beam 300 to slide and change its position.

이를 통해, 보강유닛(400)은 지지보(3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inforcement unit 400 can cause the support beam 300 to move upward or downward.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토류판은 상술한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복수의 지지대(100)에 밀착되게 토류판(200)의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토류판(200)의 설치 및 회수 작업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The length of both ends of the soil plate 200 is varied so that the soil plate 2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so that the time for installing and recovering the soil plate 200 is Can be saved.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의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식 토류판과 인상부의 결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ble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components of a separable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inding method of the separable type soil plate and the pull-up unit according to the example.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의 토류판은 본 실시예의 토류판과 달리, 체결부(500) 및 인상부(6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to 12, unlike the current plate of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plate 500 and the lifting unit 600 may be further configured in the current plate of another embodiment.

체결부(500)는 복수로 적층되는 토류판(200)이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체결부재(510) 및 체결홈(520)이 마련된다.The fastening part 50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510 and a fastening groove 520 for fastening the toner plate 200 stacked in a plurality.

체결부재(510)는 토류판(200)의 상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토류판(200)이 복수로 적층되는 경우에 체결홈(520)과 체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51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along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urrent plate 200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510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520 when a plurality of the current plates 200 are stacked.

구체적으로, 체결부재(510)는 제1 체결부재(510-1), 제2 체결부재(510-2) 및 제3 체결부재(510-3)로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astening member 510 may be provided as a first fastening member 510-1, a second fastening member 510-2, and a third fastening member 510-3.

이때, 제1 체결부재(510-1)와 제2 체결부재(510-2)는 토류판(200)의 상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되, 토류판(200)의 양 끝단에 이격된 상태로 각각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fastening member 510-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510-2 ar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widthwise area of the top plate 200, and are spaced apart from both ends of the top plate 200 Respectively.

반면, 제3 체결부재(510-3)는 토류판(200)의 상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되, 토류판(200)의 양 끝단에 연장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510-3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width of the top plate 200, and may extend to both ends of the top plate 200. [

체결홈(520)은 토류판(200)의 하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인입되게 형성됨으로써, 토류판(200)이 복수로 적층되는 경우에 체결부재(510)가 체결될 수 있다.The fastening groove 520 is formed to extend along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200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510 can be fastened when a plurality of the bottom plates 200 are stacked.

이때, 체결홈(520)은 체결부재(510)가 복수로 마련됨에 따라, 복수로 적층되는 토류판(200)의 체결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 제1 체결홈(520-1), 제2 체결홈(520-2) 및 제3 체결홈(520-3)으로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510 are provided in the fastening groove 520, the first fastening groove 520-1, the second fastening groove 520-1, A second fastening groove 520-2 and a third fastening groove 520-3.

다른 실시예의 토류판은 체결부재(510)와 체결홈(520)이 3개의 체결부재 및 3개의 체결홈으로 마련된다고 한정하였으나, 이는 국한되지 아니한다.The confinement plate of another embodiment is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fastening member 510 and the fastening groove 520 are provided with three fastening members and three fastening groov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체결부재(510)와 체결홈(520)은 복수로 적층된 토류판(200)이 단순히 체결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복수로 적층된 토류판(200)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침입 경로(B)로 토사(A)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510 and the fastening groove 520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stacked stacked sheets 200 not only to be fastened but also to an intrusion path B formed in a space between stacked stacked sheets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oil A from intruding.

토벽으로부터 토사(A)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부재(510)와 체결홈(5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astening member 510 and the fastening groove 520 for preventing the ingress of the soil A from the bottom wall will be described later.

인상부(600)는 토류판(200)이 인상되어 복수의 지지대(100)에 설치되거나 회수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The lifting unit 600 is provided for lifting up the toner plate 200 so as to be installed on or recovered from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이를 위해, 인상부(600)는 토류판(200)이 인상되도록 하기 위해 인상부재(610)가 마련된다.To this end, the lifting unit 600 is provided with a lifting member 610 for lifting the lifting plate 200.

인상부재(610)는 토류판(200)의 하측에 결착된 후에 가해지는 인상력을 통해 토류판(200)이 인상되도록 하기 위해 인상부(60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The pulling member 61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unit 600 to pull up the current plate 200 through a pulling force applied after the lowering member 200 is attached.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인상부(600)는 토류판(200)에 형성된 제2 개구부(202)를 관통하여 토류판(200)의 내부에 수용되되, 인상부재(610)가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력이 가해져 인상부(600)가 회전되면, 인상부재(610)가 토류판(200)의 하측에 형성된 제2 개구부(202)에 걸쳐지게 되며, 그 후에 가해지는 인상력에 의해 토류판(200)이 인상되도록 함으로써, 토류판(200)이 복수의 지지대(100)에 설치 및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ull-up unit 600 is received in the inside of the dust plate 200 through the second opening 202 formed in the dust plate 200, and the pull-up member 61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pull-up member 600 is rotated, the pull-up member 610 extends over the second opening 202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urrent plate 200, and the pull plate 200 is pulled up by the pull- So that the soil plate 200 can be installed and recover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이때 만약, 토류판(200)이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되는 경우, 인상부(600)는 인상부재(610)가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된 토류판(200) 중 가장 하측에 적층된 토류판(200)에 결착됨으로써,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된 토류판(200)이 인상되도록 함으로써,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된 토류판(200)이 복수의 지지대(100)에 설치 및 회수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oil plate 200 is stacked and fastened in plural, the lifting unit 600 is attached to the soil plate 200 stacked on the lowermost one of the soil plates 200 in which the lifting members 610 are stacked and fastened in plural, The plurality of laminated and coupled soil plates 200 can be installed and recover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by pulling up the laminated soil plates 200 in a plurality.

한편, 인상부(600)는 토류판(200)이 복수의 지지대(100)에 설치 및 회수되는 경우에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ifting unit 600 is used only when the soil plate 200 is installed and recovered on the plurality of supports 100.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침입 경로가 연장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part for extending the penetration path of the gravel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체결부(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체결부재(510) 및 복수의 체결홈(520)으로 마련된다.Referring to FIG. 13, the fastening part 5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51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520,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복수의 체결부재(510)는 토벽으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토류판(200)의 전면에 근접한 순서대로 제1 체결부재(510-1), 제2 체결부재(510-2) 및 제3 체결부재(510-3)로 마련되고, 복수의 체결홈(520)은 복수의 체결부재(510)와 체결되기 위해 제1 체결홈(520-1), 제2 체결홈(520-2) 및 제3 체결홈(520-3)으로 마련된다.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510 are connected to the first fastening member 510-1, the second fastening member 510-2 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510 3), and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520 are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grooves 520-1, the second coupling grooves 520-2, and the third coupling grooves 520-1 to be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510, (520-3).

또한, 제1 체결부재(510-1) 및 제2 체결부재(510-2)는 토류판(200)의 상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되, 토류판(200)의 양 끝단에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member 510-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510-2 ar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width of the top plate 200 and are spaced apart from both ends of the top plate 200 .

반면, 제3 체결부재(510-3)는 토류판(200)의 상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되, 토류판(200)의 양 끝단에 연장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ird fastening member 510-3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width of the top plate 200, and may extend to both ends of the top plate 200. [

이를 통해, 다른 실시예의 토류판은 제3 체결부재(510-3)과 제3 체결홈(520-3)의 체결을 통해 형성되는 침입 경로로 토사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ust plate of another embodiment can prevent the penetration of the gravel into the intrusion path formed through the fastening of the third fastening member 510-3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 520-3.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토류판(200-1) 및 제2 토류판(200-2)이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적층 및 체결되는 경우, 복수로 체결된 토류판(200-1,200-2)의 후면에 밀착되는 토벽으로부터 토사(A)가 제3 체결부재(510-3)와 제3 체결홈(520-3)에 형성되는 침입 경로(B)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toner plate 200-1 and the second toner plate 200-2 are stacked and faste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13B, The soil A is prevented from infiltrating into the intrusion path B formed in the third fastening member 510-3 and the third fastening groove 520-3 from the toe wall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fastening member 200-1, can do.

한편, 복수의 체결부재(510)와 복수의 체결홈(520)은 침입 경로(B)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게 절곡형성됨으로써, 토사(A)가 침입 경로(B)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510 and the plurality of fastening grooves 520 are bent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as to extend the length of the intrusion path B so that the soil A penetrates into the intrusion path B Can be prevented.

반면, 제1 체결부재(511-1)과 제2 체결부재(511-2)는 제3 체결부재(511-3)와 달리, 복수의 토류판(200-1,200-2)간의 체결이 용이하게 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게 절곡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unlike the third fastening member 511-3, the first fastening member 511-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511-2 are formed so that fastening between the plural dust plates 200-1 and 200-2 is facilitated , And can be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사의 침입 경로가 연장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fastening part for extending the penetration path of the grav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의 토류판은 다른 실시예의 토류판과 다르게 제1 체결부재(511-1)과 제2 체결부재(511-2)도 제3 체결부재(511-3)과 마찬가지로, 토류판(200)의 상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되, 토류판(200)의 양 끝단에 연장형성되되, 토류판(200)으로부터 각각 다른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unlike the current plate of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fastening member 511-1 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511-2, like the third fastening member 511-3, Protruding along the width of the top plate 200 and extending at both ends of the top plate 200 and protruding from the top plate 200 at different heights.

구체적인 예를 들면, 복수의 체결부재(510)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체결부재(510-3), 제2 체결부재(510-2) 및 제1 체결부재(510-1) 순으로 토류판(200)으로부터 높게 돌출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A,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510 may include a third fastening member 510-3, a second fastening member 510-2, 510-1 in this order from the soil plate 200 in this order.

그리고 복수의 체결부재(510)는 각각 다른 높이로 돌출되어도 소정의 곡률을 가지게 절곡형성됨으로써, 복수의 토류판 간의 체결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을 다른 실시예의 토류판과 동일할 수 있다.Also,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510 may be form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that they can be easily fastened between the plurality of soil plates, even if they protrude at different heights.

이를 통해, 또 다른 실시예의 토류판은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토류판의 침입 경로(B)보다 침입 경로(B1,B2,B3)가 더 연장되도록 함으로써, 토사(A)의 침입을 보다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14 (B), the intrusion paths B1, B2 and B3 are further extended than the intrusion path B of the soil plate of the other embodiment, Can be prevented more easily.

정리하면, 다른 실시예 또는 또 다른 실시예의 토류판은 상술한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그리고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된 토류판(200)이 체결된 상태로 인상되어 시공됨으로써, 토류판(200)의 설치 및 회수작업 시간이 절약될 수 있다.In summary, the soil plate of another embodiment or another embodiment is constructed by pulling up the soil plate 200 in the state of being fastened by a plurality of stacked and fastened soil plates 200, The time for the recovery operation can be saved.

또한, 토류판(200)이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되는 경우, 복수로 적층 및 체결된 토류판(200) 간의 사이 공간에 토사(A)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건축·건설 공사의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oil board 200 is stacked and fastened in plur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gress of the soil A into the space between the stacked and fastened soil boards 200, thereby assuring the safety of workers in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work can do.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지지대 101: 상부 플랜지 102: 하부 플랜지
103: 웨브 200: 토류판 201: 제1 개구부
202: 제2 개구부 203: 절곡면 210: 제1 유격부
211: 제1 유격부재 212: 제1 유격제어부 220: 제2 유격부
221: 제2 유격부재 222: 제2 유격제어부 300: 지지보
400: 보강유닛 500: 체결부 510: 체결부재
520: 체결홈 600: 인상부 610: 인상부재
A: 토사 B: 침입 경로
100: Support base 101: Upper flange 102: Lower flange
103: web 200: soil plate 201: first opening
202: second opening portion 203: bent surface 210: first clearance portion
211: first clearance member 212: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220: second clearance member
221: second clearance member 222: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300: support beam
400: reinforcement unit 500: fastening part 510: fastening member
520: fastening groove 600: lifting portion 610: lifting member
A: Earth B: Intrusion path

Claims (11)

지반의 일부를 굴토하여 생성된 상기 지반의 굴토면에 매설되는 복수의 지지대;
상기 복수의 지지대의 일측에 밀착되어 토벽으로부터 토사의 침입을 방지하거나, 상기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도록 양 끝단의 길이가 가변되는 토류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토류판이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 및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가 연결되도록 하되, 일면에 상기 토류판의 양 끝단이 밀착되는 웨브;를 포함하고,
상기 토류판은,
양 끝단의 내부에 형성된 인입 공간에 마련되되, 상기 홈부에 삽입된 후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인입 공간으로부터 유격되어 상기 웨브의 일면에 밀착되는 복수의 유격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유격부는,
상기 인입 공간으로부터 상기 외력에 의해 유격되는 제1 유격부재와 제2 유격부재; 및
상기 토류판의 전면(前面)에 형성된 제1 개구부에 인입되어 상기 제1 유격 부재와 상기 제2 유격부재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외력을 상기 제1 유격부재와 상기 제2 유격부재에 각각 전달하는 제1 유격제어부와 제2 유격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지지대는,
상기 토류판이 삽입되도록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토류판에 인상력을 가하여, 상기 토류판이 인상되어 설치 및 회수되도록 하는 인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상부는,
상기 토류판에 양 측이 돌출된 원 형상으로 타공되어 형성된 제2 개구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하측에 마련되고, 양 측이 돌출된 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회전력이 가해져 회전된 후에 상기 인상력이 가해지면, 상기 토류판의 하측에 결착됨으로써, 상기 토류판이 인상되도록 하고, 다시 회전되면 상기 결착이 해제되어, 상기 인상부가 상기 토류판으로부터 해제 가능하도록 하는 인상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유격부재 및 상기 제2 유격부재는,
상기 제1 유격제어부 및 제2 유격제어부가 각각 결합되어 외력을 전달하면, 상기 인입 공간으로부터 유격되어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어느 하나의 지지대의 웨브의 일면 및 상기 복수의 지지대 중 다른 하나의 지지대의 웨브의 일면에 각각 밀착되어, 상기 토류판이 상기 복수의 지지대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유격부재 및 상기 제2 유격부재는,
상기 제1 유격제어부 및 상기 제2 유격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달된 외력과 반대 방향의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지지대의 웨브의 일면 및 상기 다른 하나의 지지대의 웨부의 일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토류판이 상기 복수의 지지대로부터 이탈되도록 하며,
상기 토류판은,
상기 제1 유격제어부 및 상기 제2 유격제어부가 상기 제1 유격부재 및 상기 제2 유격부재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제1 유격부재 및 상기 제2 유격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개구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마련되어, 토벽에서 비산되는 토사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지지보; 및
상기 지지대의 전면 또는 후면과 상기 지지보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보를 보강하는 보강유닛;이 더 포함되고,
상기 보강유닛은,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지지보의 높이가 변경되도록 하는 이동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
A plurality of supports embedded in the surface of the ground generated by excavating a part of the ground;
And a soil plate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to prevent the ingress of the gravel from the soil wall or the length of both ends is changed so that the close contact is released,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s comprises:
An upper flange for forming a groove portion into which the soil plate is inserted; And
And a web on which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re connected,
The soil plate
And a plurality of clearances provided in the lead-in spac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eb and spaced apart from the lead-in space and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web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
Wherein the plurality of clearances
A first clearance member and a second clearance member spaced apart from the inlet space by the external force; And
Wherein the first clearance member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are inserted into a first opening formed in a front surface of the turntable and are detachable from the first clearance member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And a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respectively,
Wherein the plurality of supports comprises:
A groove is formed to insert the soil plate,
And a lifting unit for lifting the soil plate to be installed and recovered by applying a pulling force to the soil plate inserted into the groove,
Wherein,
A second opening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earth plate, the second opening being formed on the lower sid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protruded on both sides, A lifting member for binding the lower surface of the soil plate to raise the soil plate when the pulling force is applied thereto and releasing the binding when the surface plate is rotated again so that the lifting unit can be released from the soil plate,
Wherein the first clearance member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Wherein 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let space and to be separated from one surface of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and a web of the other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s, Respectively, so that the soil plate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upports,
Wherein the first clearance member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When 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transmit an external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ransmitted external force, 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are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web of one of the supports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web of the other support, And the soil plate is released from the plurality of supports,
The soil plate
When the first clearance control unit and the second clearance control unit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clearance member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the first clearance member and the second clearance member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opening,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the first opening from the outside,
A support beam provided orthogonal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ar to protect the operator from the gravel scattered at the toe wall; And
And a reinforcement unit coupled to a front surface or a rear surface of the support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er to reinforce the supporter,
Wherein the reinforcing unit comprises:
And a moving means that sl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to change the height of the support bea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이 상기 홈부에 복수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적층된 복수의 토류판이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체결된 복수의 토류판 간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침입 경로로 상기 토사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토류판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prevent intrusion of the gravel-like material through an intrusion path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gravel-like plates sandwiched between the plurality of gravel- And a fasten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respectivel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토류판의 하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인입되게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토류판의 상측의 너비면적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토류판이 복수로 적층되는 경우, 상기 체결홈에 인입되어 상기 복수의 적층된 토류판이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astening portion
A coupling groove formed to be pulled along the width of the bottom plate of the soil plate; And
And a fastening member protruding along the width of the top plate and projecting into the fastening groove when the top plate is stacked to fasten the plurality of stack plates. And a soil plate which is easy to recov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 및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토사의 하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체결된 토류판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의 영향으로 상기 복수의 체결된 토류판 간의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토류판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복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astening groove and the fastening member
And a plurality of bolts are provided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earth plate so as to prevent the fastening between the plurality of fastened soil plates due to the effect of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on the fastened soil plates by the load of the gravel Easy to install and reco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체결된 토류판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는 상기 토사의 침입 경로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가지게 절곡형성됨으로써, 상기 침입 경로로 상기 토사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Wherein the guide member is bent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that the length of the intrusion path of the gravel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plurality of confined dust plates is extended, thereby preventing the intrusion of the gravel by the intrusion path. Easy to us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체결부재는,
상기 토벽과 밀착되는 상기 토류판의 후면(後面)에 가장 근접한 체결부재가 상기 토류판의 너비면적을 따라 양 끝단까지 연장형성 됨으로써, 상기 토사의 침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Wherein a fastening member closest to a rear face of the foreign matter plate closely adhered to the bottom wall extends to both ends along a width area of the foreign matter plate to thereby prevent intrusion of the foreign matter. .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은,
상기 토사의 하중에 의해 상기 토류판에 발생되는 휨 모멘트에 대한 내력이 증가되도록 상기 토사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토류판의 전면의 일부가 휘어지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설치 및 회수가 용이한 토류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il plate
Wherein a part of a front surface of the soil plate spaced from the soil is bent so that a proof against a bending moment generated on the soil plate is increased by a load of the gravel.
KR1020170021483A 2017-02-17 2017-02-17 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ation and removal KR1017879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83A KR101787944B1 (en) 2017-02-17 2017-02-17 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ation and remov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83A KR101787944B1 (en) 2017-02-17 2017-02-17 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ation and remov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944B1 true KR101787944B1 (en) 2017-11-15

Family

ID=6038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483A KR101787944B1 (en) 2017-02-17 2017-02-17 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ation and remov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944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609A (en) * 2019-05-28 2019-08-23 中铁十一局集团城市轨道工程有限公司 A kind of mechanization demolition red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brace in foundation pit
KR102088161B1 (en) * 2019-09-25 2020-03-12 주식회사 유성디앤에스 Structure of self-stand retaining wall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179Y1 (en) * 2005-06-20 2005-09-20 이평우 Reinforcement armature inserted revet
KR100567853B1 (en) * 2006-01-04 2006-04-05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KR100637711B1 (en) * 2006-07-25 2006-10-27 (주)기하동문기술사건축사사무소 An assembly earth plate using houses
KR200437825Y1 (en) * 2007-04-10 2008-01-03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A retaining panel easy removal
KR101388478B1 (en) * 2013-08-29 2014-04-23 윤인병 Arch-shaped retaining pane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179Y1 (en) * 2005-06-20 2005-09-20 이평우 Reinforcement armature inserted revet
KR100567853B1 (en) * 2006-01-04 2006-04-05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Structure for retaining wall
KR100637711B1 (en) * 2006-07-25 2006-10-27 (주)기하동문기술사건축사사무소 An assembly earth plate using houses
KR200437825Y1 (en) * 2007-04-10 2008-01-03 주식회사 다우컨설턴트 A retaining panel easy removal
KR101388478B1 (en) * 2013-08-29 2014-04-23 윤인병 Arch-shaped retaining pan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609A (en) * 2019-05-28 2019-08-23 中铁十一局集团城市轨道工程有限公司 A kind of mechanization demolition reduction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brace in foundation pit
KR102088161B1 (en) * 2019-09-25 2020-03-12 주식회사 유성디앤에스 Structure of self-stand retaining wal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48056A1 (en) Water barrier-type earth blocking structure for temporary facility and method of constructing same
US11746493B2 (en) Wall sinking construction method
KR100633796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mid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KR102082333B1 (en) Prestressed pile and Self relianc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787944B1 (en) soil retaining plate easily installation and removal
KR101640449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open cutting in tunnel portal area
KR101448216B1 (en) Retaining wall with multiple pile
KR101300785B1 (en) Retaining wall made from reinforced plastic
KR101862208B1 (en)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uon mothod thereof
KR100521076B1 (en) Panel protecting soil
KR101474338B1 (en) Furlable earth retaining structure for provisional faciliti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503871B1 (en) Device for strengthening retaining board
KR101677236B1 (en) Double-layered steel plate cutoff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cutoff wall of temporary facility using the same
KR100808977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rner supporting beam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JP3382183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and roof cylinder used therefor
KR100710757B1 (en) Structure and assembly for protecting landslide
JP5476953B2 (en) Structure of mountain retain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066728B1 (en) Apparatus for building retaining wall
KR102075861B1 (en) Front Block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218722B1 (en) Anchor nut for connecting reinforcing strip of slope wall
KR20110037317A (en) Device for connecting block in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100724781B1 (en) A sheathing board
JP4438540B2 (en) Stress bearing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continuous wall
KR100592397B1 (en) storey spacing support ssoldier pile soil retaining wall
KR200424972Y1 (en) Board protecting landslide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