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823B1 -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823B1
KR101786823B1 KR1020160093921A KR20160093921A KR101786823B1 KR 101786823 B1 KR101786823 B1 KR 101786823B1 KR 1020160093921 A KR1020160093921 A KR 1020160093921A KR 20160093921 A KR20160093921 A KR 20160093921A KR 101786823 B1 KR101786823 B1 KR 101786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user
emotion
representative
pro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권
김용
오효정
Original Assignee
(주)바른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른교육 filed Critical (주)바른교육
Priority to KR1020160093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8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은, SNS에 새로운 사진이 등록될 때마다, 상기 사진에 대응되는 게시글을 기반으로 상기 사진의 대표 감성을 추출 및 태깅한 후 데이터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에 현재 감성 상태를 직접 문의하거나, 상기 SNS에 새로이 등록되는 게시글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감성을 유추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사진이 변경되거나 사용자 현재 감정이 변경되면, 상기 데이터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사진들을 기반으로 상기 프로필 사진에 대응되는 포토 모자이크를 구성 및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PHOTO IN SNS}
본 발명은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은, SNS에 새로운 사진이 등록될 때마다, 상기 사진에 대응되는 게시글을 기반으로 상기 사진의 대표 감성을 추출 및 태깅한 후 데이터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에 현재 감성 상태를 직접 문의하거나, 상기 SNS에 새로이 등록되는 게시글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감성을 유추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사진이 변경되거나 사용자 현재 감정이 변경되면, 상기 데이터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사진들을 기반으로 상기 프로필 사진에 대응되는 포토 모자이크를 구성 및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최근 통신기술의 발달로 통신기기 이용자들은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다수와 관계를 맺고 커뮤니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상대방에게 자신의 감정이나 의사표현을 좀 더 명확하고 적극적으로 수행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자들은 이모티콘과 같은 감정표현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감정 및 의사를 보다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커뮤니티 서비스에서는 텍스트 작성 중 기본으로 제공되는 이모티콘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이모티콘들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실감나게 전달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임의로 이미지를 변경할 수 없어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으로, 종래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010525호(2014.01.27.)는 이모티콘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이모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영상을 이모티콘 서비스 장치에 전달한 후 캐리커쳐 샘플들을 수신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에서 얼굴 특징점들을 검출한 후 검출된 얼굴 특징점과 유사한 얼굴 이미지에 대하여 특징점들을 변경하거나 특징점들이 변경된 이미지에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효과를 제공하여 다수의 캐리커쳐 샘플들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캐리커쳐 샘플들을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이모티콘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130717 A1호(2012.05.24.)는 개인화된 카툰 아바타를 위한 실시간 동화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음성과 움직임 데이터에 기반을 두어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상체 부분의 움직임 집합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니메이션된 모델을 트레이닝 시키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스는 감정상태를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미리 정의된 구문을 하나 이상의 애니메이션된 모델과 링크시킨다. 모델을 생성한 후에, 상기 프로세스는 실시간으로 음성을 입력받고, 다음으로 실시간 음성입력에 문맥을 매칭한 하나 이상의 미리 정해진 구문에 기반하여 표현된 감정상태를 식별한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스는 실시간 음성입력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애니메이션된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상체 부분의 애니메이션된 움직임 시퀀스를 생성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SNS 에서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경우, 현재의 감성 상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해당 감성과 연결된 사진을 수집하여 이를 포토 모자이크 형태로 프로필 사진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은, SNS에 새로운 사진이 등록될 때마다, 상기 사진에 대응되는 게시글을 기반으로 상기 사진의 대표 감성을 추출 및 태깅한 후 데이터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에 현재 감성 상태를 직접 문의하거나, 상기 SNS에 새로이 등록되는 게시글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감성을 유추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사진이 변경되거나 사용자 현재 감정이 변경되면, 상기 데이터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사진들을 기반으로 상기 프로필 사진에 대응되는 포토 모자이크를 구성 및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진의 대표 감성을 추출 및 태깅한 후 데이터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상기 게시글을 구성하는 단어를 품사별로 분류하는 단계;
품사별 감정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단어에 대한 감정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감정 특징을 이용하여 미리 훈련된 감정 분류기를 통해 상기 문장의 대표 감정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토 모자이크를 구성 및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사진들 각각의 대표 색상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사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의 대표 색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진들을 상기 분할된 영역의 크기에 따라 축소한 후, 색상 기준으로 상기 축소된 사진들을 상기 분할된 영역 각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포토 모자이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포토 모자이크를 생성하는 단계는
동일 대표 색상을 가지는 상기 분할된 영역과 사진이 다수개이면, 상기 다수개의 사진을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사진 중복 사용율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친구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SNS 에서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경우, 현재의 감성 상태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해당 감성과 연결된 사진을 수집하여 이를 포토 모자이크 형태로 프로필 사진을 표현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SNS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주변 지인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의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에 의해 표시된 포토 모자이크의 예시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도 1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시스템의 대표도이다.
SNS에 새로운 사진이 등록될 때마다, 상기 사진에 대응되는 게시글을 기반으로 상기 사진의 대표 감성을 추출 및 태깅한 후 데이터서버에 업로드하는 제1 단계; 프로필 사진을 등록하는 제2 단계; 사용자에 현재 감성 상태를 직접 문의하거나, 상기 SNS에 새로이 등록되는 게시글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감성을 유추하는 제3 단계; 상기 프로필 사진이 변경되거나 사용자 현재 감정이 변경되면, 상기 데이터서버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사진들을 기반으로 상기 프로필 사진에 대응되는 포토 모자이크를 구성 및 게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서버(1)와, 사용자가 사용하고 서버(1)와 네트워크 통신으로 연결된 단말기(10)의 제공 환경에서 구현된다.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는 이미지 형태 화일로 제공되는 사진(30) 데이터와, 상기 사진(30)과 함께 게시되며 문자 형태 정보로 제공되는 문자(31) 데이터이다.
서버(1)에는 사진(30)과 동기화되어 제공되는 문자(31) 데이터에서 단어들을 추출하여 감성을 판단하는 감성판단부(2)가 제공된다. 감성판단부(2)에서는 DB(3)에 각 단어들이 가지는 감성을 매칭을 시켜놓는다. 문자(31) 데이터에서 특정 감성과 매칭되는 단어들이 많은 경우, 해당되는 사진(30)은 상기 감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이를 사용자의 현재의 감성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후 상기 사진(30)에 상기 감성 상태를 자동적으로 태깅하게 되어 이를 사진(30)과 함께 정보로 저장한다.
예를 들어, DB(3)에 "여행" 이라는 단어에는 감성 상태가 "행복", "즐거음", "편안함" 등이, "선물"이라는 단어에는 "행복", "기쁨" 등의 감성 상태가 매칭되어 있다. "이별"이라는 단어에는 "슬픔" ,"공허함", "아픔" 등의 감성 상태가, "눈물"이라는 단어에는 "슬픔", "아픔" 등의 감성 상태가 매칭되어 있다.
에를 들어, 문자(31) 데이터에 "여행", "선물" 의 단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각 단어에 대응되는 감성 상태의 개수를 카운팅하게 되는데, "행복"이 2회, "즐거움"이 1회, "편안함"이 1회, "기쁨"이 1회가 된다. 이 경우에는 가장 많이 카운팅된 감성 상태인 "행복"이 대표 감성 상태로 해당 사진에 태깅되는 것이다. 물론 한가지의 감성 상태 이외에 2순위까지의 감성 상태가 복수개로 태깅되는 것도 가능하다.
감성판단부(2)에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한 후, 사진(30)과 이에 해당하는 대표 감성은 데이터서버(4)에 업로드된다.
사용자가 단말기(10)를 이용하여 SNS에 프로필 사진을 올리게 된다. 보통 프로필 사진을 올리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올리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프로필 사진만을 올리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찍어서 기존에 올렸던 사진들을 감성 태그를 활용하여 검색 요청을 할 수 있고, 검색 결과 리스트를 활용하여 원하는 사진을 프로필 사진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성판단부(2)는 이 경우, 사용자가 해당 SNS에 프로필 사진을 등록한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 시간 전후로 하여 사용자가 해당 SNS 등에 올린 게시글을 검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게시글의 문자에 포함된 단어를 기반으로 하여 앞에서 설명한 대표 감성을 찾는 과정을 수행한다. 그 결과 얻어진 대표 감성을 해당 프로필 사진의 대표 감성으로 유추한다. SNS에 새로이 등록되는 게시글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현재 감성을 유추하는 단계를 설명한 것이다.
만약, 이러한 과정없이 감성판단부(2)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10)로 현재 감성 상태를 문의하는 질문을 보낼 수 있고, 사용자가 이에 답하여 프로필 사진과 대표 감성을 유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업로드 된 프로필 사진에 대한 대표 감성이 유추되면, 사진편집부(5)는 데이터 서버(4)를 검색하여 상기 특정된 대표 감성에 대응하는 저장된 사진들을 받아오게 된다. 그리고, 받아온 사진들을 작게 리사이징 하여 프로필 사진의 형태와 색채에 맞추어, 상기 받아온 사진들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으로 재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기법을 포토 모자이크 기법이라고 하고, 이에 대한 예시적인 사진은 도 3에 표시하였다. 모아진 사진들을 이용하여 프로필 사진의 포토 모자이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사진의 대표 감성을 추출 및 태깅한 후 데이터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게시글을 구성하는 단어를 품사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수행되는데, 이때에는 형태소 분석기(6)를 이용한다. 형태소 분석기 등이 서버에서 구현되는 것은 일반적인 기술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품사별 감정 사전(7)을 이용하여 상기 단어에 대한 감정 특징을 추출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B(3)에 상기 단어별로 감성을 매칭시켜 놓고 해당 데이터를 활용한다.
상기 추출한 감성 특징을 이용하여 미리 기준을 설정해놓은 감정 분류기(8)를 통해 상기 문장의 대표 감정을 분류하는 것은, 단어에 따라 매칭되는 감성이 많이 나온 순으로 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감성을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진편집부(5)가 포토 모자이크를 구성 및 게시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획득된 사진들 각각의 대표 색상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사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의 대표 색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진들을 상기 분할된 영역의 크기에 따라 축소한 후, 색상 기준으로 상기 축소된 사진들을 상기 분할된 영역 각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포토 모자이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동일 대표 색상을 가지는 상기 분할된 영역과 사진이 다수개이면, 상기 다수개의 사진을 순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사진 중복 사용율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와, 사용자 친구들의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의 현재 감정에 대응되는 대표 감성이 태깅된 사진들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서버
2 : 감성판단부
3 : DB
4 : 데이터서버
5 : 사진편집부
10 : 단말기

Claims (3)

  1.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버와 사용자의 단말기가 네트워크 통신으로 연결되며, 사용자를 통해 SNS에 새로운 사진이 등록될 때마다, 감상 판단부를 통하여 상기 사진에 대응되는 게시글을 기반으로 상기 사진의 대표 감성을 추출하고 태깅한 후에, 상기 사진과 상기 사진의 대표 감성 정보를 데이터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사용자의 현재 감성 상태를 직접 문의하거나, 상기 감상 판단부를 통하여 상기 프로필 사진을 등록한 시점의 전후로 상기 SNS에 올린 사용자의 게시글을 검색하여 사용자의 현재 감성을 유추하는 단계;
    상기 업로드된 프로필 사진의 대표 감성이 유추되면, 사진 편집부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서버에 저장된 상기 대표 감성에 대응하는 저장된 사진을 검색하여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사진들을 기반으로 상기 프로필 사진에 대응되는 포토 모자이크를 구성 및 게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의 대표 감성을 추출하고 태깅한 후에, 상기 사진과 상기 대표 감성 정보를 데이터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는,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상기 게시글을 구성하는 단어를 품사별로 분류하는 단계;
    품사별 감정 사전을 이용하여 상기 단어에 대한 감정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단어의 감정 특징을 이용하여 미리 훈련된 감정 분류기를 통해 문장의 대표 감정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 더 포함하며,
    상기 포토 모자이크를 구성 및 게시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사진들 각각의 대표 색상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사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의 대표 색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진들을 상기 분할된 영역의 크기에 따라 축소한 후, 색상 기준으로 상기 축소된 사진들을 상기 분할된 영역 각각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포토 모자이크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60093921A 2016-07-25 2016-07-25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 KR101786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921A KR101786823B1 (ko) 2016-07-25 2016-07-25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921A KR101786823B1 (ko) 2016-07-25 2016-07-25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823B1 true KR101786823B1 (ko) 2017-10-25

Family

ID=6030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921A KR101786823B1 (ko) 2016-07-25 2016-07-25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8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718A (ko) * 2017-08-03 2019-02-13 김남균 사진 인식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WO2019172463A1 (ko) * 2018-03-06 2019-09-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프로필 사진을 추천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4718A (ko) * 2017-08-03 2019-02-13 김남균 사진 인식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KR101961024B1 (ko) 2017-08-03 2019-03-21 김남균 사진 인식을 이용한 정보제공시스템
WO2019172463A1 (ko) * 2018-03-06 2019-09-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프로필 사진을 추천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3460B2 (en) Dynamic mask application
US10311619B1 (en) Video stream customization using graphics
CN107657056B (zh) 基于人工智能展示评论信息的方法和装置
CN113111026A (zh) 具有共享兴趣的消息的图库
CN110134806B (zh) 上下文用户简档照片选择的方法和系统
KR102102571B1 (ko)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9530041A (ja) 検索クエリに基づいたソース画像の顔とターゲット画像との結合
CN103988202A (zh) 基于索引和搜索的图像吸引力
KR101905501B1 (ko)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 및 장치
US11853399B2 (en) Multimodal sentiment classification
JP2021504803A (ja) 画像選択提案
CN112069326A (zh) 知识图谱的构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6528676A (zh) 基于人工智能的实体语义检索处理方法及装置
KR20210107608A (ko)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애니메이션 미디어 컨텐츠 아이템에서 시간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3378583A (zh) 对话回复方法及装置、对话模型训练方法及装置、存储介质
KR101786823B1 (ko) Sns의 프로필 사진 제공 방법
JP7315321B2 (ja) 生成装置、生成方法および生成プログラム
CN117173497B (zh) 一种图像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409788B2 (en) Method for clustering at least two timestamped photographs
US20210075754A1 (en) Method for sharing a photograph
CN107656760A (zh) 数据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
KR101757184B1 (ko) 감정표현 콘텐츠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분류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7342B1 (ko) 사진 이모티콘 생성 및 판매 방법
WO2022068456A1 (zh) 信息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11651280B2 (e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