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810B1 -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810B1
KR101786810B1 KR1020160063899A KR20160063899A KR101786810B1 KR 101786810 B1 KR101786810 B1 KR 101786810B1 KR 1020160063899 A KR1020160063899 A KR 1020160063899A KR 20160063899 A KR20160063899 A KR 20160063899A KR 101786810 B1 KR101786810 B1 KR 101786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face
feature
feature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운성
이기열
김지호
전보미
Original Assignee
(주)씨유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유박스 filed Critical (주)씨유박스
Priority to KR1020160063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04
    • G06K9/0026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상기 안면 및 상기 손가락에 대한 윤곽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 상기 안면 및 상기 손가락을 인식하여 상기 안면의 특징점과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 인증서버로부터 미리 전송받은 기준값을 토대로 2개의 킷값을 생성하고, 상기 2개의 킷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징점을 특징 데이터로 변경하는 특징점 처리부; 및 상기 기준값을 수신하고 상기 특징 데이터를 상기 인증서버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안면과 지문의 특징점 일부를 스왑하여 하나의 바이오 정보만을 이용하는 인증수단보다 정확도 및 보안성이 증대되고 사용자가 휴대하는 단말기의 듀얼카메라를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TO GENERATE FEATURE DATA USING DUAL CAMERA}
개시된 기술은 듀얼 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 정보에 대한 보안을 유지하고 종래의 패드워드가 갖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사용자의 지문이나 홍채 또는 목소리를 이용하여 신분을 감별하는 바이오 패스워드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바이오 패스워드는 사용자가 패스워드를 외우지 않아도 되고 별도의 인증수단을 챙길 필요가 없어서 보안유지와 편의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기술로 수요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바이오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의 신분을 증명하는 장소나 공간이 공항이나 출퇴근 단말기와 같이 한정적인 부분에서만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바이오정보의 정확도가 감지환경에 따라 다소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패스워드를 이용하는 방식과 비교하여 보다 널리 이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최근에는 단순히 하나의 바이오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한 사람에게서 복수의 바이오정보를 감지하여 이들을 통해 사용자의 신분을 확인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의 안면과 지문을 인식하는 종래기술인 한국 공개특허 10-2010-0041562호 (발명의 명칭 : 인증 대상자의 안면 인식과 지문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수행 방법 및 시스템)을 참조하면, 안면과 지문을 함께 감지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안면과 지문으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각각 유사도를 비교하기 때문에 단순히 하나씩 바이오정보를 순차적으로 감지하여 대상정보와 비교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을 여전히 해소하지는 못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바이오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종래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에 탑재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이나 지문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데 듀얼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고 복수개의 바이오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이나 사용자 친화적인 UI에 대한 기술 역시도 요구되고 있다.
개시된 기술은 듀얼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지문을 촬영하고 이미지에서 특징점을 추출하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상기 안면 및 상기 손가락에 대한 윤곽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 상기 안면 및 상기 손가락을 인식하여 상기 안면의 특징점과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 인증서버로부터 미리 전송받은 기준값을 토대로 2개의 킷값을 생성하고, 상기 2개의 킷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징점을 특징 데이터로 변경하는 특징점 처리부 및 상기 기준값을 수신하고 상기 특징 데이터를 상기 인증서버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2 측면은 단말기에 탑재된 제 1 카메라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제 2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상기 안면 및 상기 손가락에 대한 윤곽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안면 및 상기 손가락을 인식하여 상기 안면의 특징점과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인증서버로부터 미리 전송받은 기준값을 토대로 2개의 킷값을 생성하고, 상기 2개의 킷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징점을 특징 데이터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인증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은 사용자의 안면 및 지문에 대한 이미지에서 추출한 특징점들을 섞어서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여 하나의 바이오 정보만을 이용하는 인증수단보다 정확도 및 보안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에 탑재된 듀얼카메라를 이용하여 특징 데이터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어서 빠르게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인증을 위한 번거로운 과정이나 절차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듀얼카메라를 이용하여 안면과 지문을 촬영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를 위한 듀얼카메라의 UI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면의 특징점과 지문의 특징점의 일부를 스왑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기(110) 및 인증서버(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110)는 2개의 카메라(111, 112)와 프레임 추출부(113), 특징점 추출부(114), 특징점 처리부(115), 전송부(116) 및 제어부(117)를 포함하고, 인증서버(120)는 기준값 처리부(121), 처리부(122), 전송부(123) 및 데이터베이스(124)를 포함한다.
스마트 단말기(110)는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를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패드 또는 노트일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110)는 제 1 카메라(111) 및 제 2 카메라(112)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기(110)는 듀얼카메라(111, 112)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손가락을 각각 촬영한다. 일 실시예로 제 1 카메라(111)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고, 제 2 카메라(112)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촬영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단말기(110)는 듀얼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과 손가락을 각각 촬영할 수 있다. 물론 제 1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촬영하고 제 2 카메라(112)를 이용하여 안면을 촬영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듀얼카메라(111, 112)를 탑재하는 스마트 단말기(110)는 단말기의 종류나 모델에 따라 카메라가 동시에 동작할 수도 있고 따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 1 카메라(111) 및 제 2 카메라(112)는 제어부(117)에서 전송되는 하나 또는 두개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고, 제어부(117)는 하나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듀얼카메라(111, 112)를 동시에 제어하거나 두 개의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듀얼카메라(111, 112) 서로 다른 타이밍에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듀얼카메라(111, 112)가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되어 있으나 스마트 단말기(110)의 종류에 따라 같은 면에 함께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단말기(110)는 사용자를 위한 듀얼카메라의 UI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400)에 제 1 카메라(111)와 제 2 카메라(112)가 구동되는 화면을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400)에 듀얼카메라가 동작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스마트 단말기(110)는 두 카메라의 화면을 서로 다른 비율로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카메라 화면(410)은 손가락의 지문이 제대로 촬영되고 있는지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므로 보다 큰 비중으로 표시할 수 있고, 제 2 카메라 화면(420)은 상대적으로 작게 표시할 수 있다. 물론, 디스플레이(400)에 1:1 비율로 표시하거나 제 2 카메라 화면(420)을 더 크게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110)는 디스플레이(400)를 통해 사용자가 자신의 안면이나 손가락을 촬영하는 중에 진짜 본인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liveness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카메라(111, 112)가 동작하는 중에 스마트 단말기(110)의 제어부(117)에서 사용자가 눈을 깜빡이도록 메시지나 음성을 제공하거나 손가락을 접었다 펴게 하는 등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진위 여부 및 위조 여부를 구분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프레임 추출부(113)는 제 1 카메라(111) 및 상기 제 2 카메라(112)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사용자의 안면 및 손가락에 대한 윤곽을 추출한다. 일 실시예로 프레임 추출부(113)는 제 1 카메라(111)로부터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미지를 소정의 방식으로 변환하여 안면의 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같은 방법으로 제 2 카메라(112)에서 지문이 촬영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지문의 윤곽선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윤곽선을 추출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시스템의 전반적인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 1 카메라(111)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에는 복수의 안면이 촬영될 수도 있고, 제 2 카메라(1120)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에는 복수의 손가락이 촬영될 수도 있다. 프레임 추출부(113)는 이러한 경우 어느 것이 사용자의 안면이고 손가락인지를 구분하기 위해서 촬영된 이미지에 포함된 윤곽선들을 추출한다.
특징점 추출부(114)는 안면 및 손가락을 인식하여 각각 특징점을 추출한다. 일 실시예로, 특징점 추출부(114)는 프레임 추출부(113)에서 1차적으로 사용자의 안면과 손가락에 대한 윤곽선이 추출된 이미지를 수신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안면이나 손가락을 선택하거나 제어부(117)에서 자동으로 사용자의 안면이나 손가락을 인식하여 특징점을 추출하고 손가락을 인식하여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여기에서 특징점 추출부(114)는 안면과 지문에 대한 특징점을 각각 추출한다. 각각의 특징점은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일종의 집합 형태를 갖는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의 특징점이 ‘1234567’이라면 지문의 특징점은 ‘7654321’으로 서로 다른 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징점 처리부(115)는 인증서버(120)로부터 미리 전송받은 기준값을 토대로 2개의 킷값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로, 특징점 처리부(115)는 킷값 생성부(115a)를 포함하고, 전송부(116)를 통해 인증서버(120)에서 전송받은 기준값을 토대로 2개의 킷값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준값은 인증서버(120)의 기준값 처리부(121)에서 생성되고, 인증서버(120)는 생성된 기준값을 전송부(123)을 통해 스마트 단말기의 전송부(116)로 전송한다. 따라서 스마트 단말기(110) 및 인증서버(120)는 서로 동기화된 기준값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인증서버(120)는 기준값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고유번호와 기준값을 생성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인증서버(120)는 스마트 단말기(110)의 고유번호, 자신의 고유번호 및 기준값을 생성하는 현재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기준값을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기(110)와 인증서버(120)의 고유번호는 예컨대, ID 값이나 핀넘버 또는 씨리얼넘버와 같이 단말기나 서버의 고유한 정보를 의미한다. 그리고 인증서버(120)는 소정의 함수를 이용하여 이러한 고유번호와 기준값을 생성하고자 하는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랜덤하게 변환하여 기준값으로 생성할 수 있고, 각 변수를 조합하여 기준값을 생성할 수도 있다. 두 개 이상의 변수를 조합하는 경우 조합하는 순서 또한 섞어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특징점 처리부(115)는 안면과 지문의 특징점을 섞어서 특징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징점 처리부(115)는 스왑테이블을 이용하여 두 개의 특징점의 일부 값을 스왑하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특징점 처리부(115)는 안면에 대한 특징점 ‘1234567’과 지문에 대한 특징점 ‘7654321’을 저장하고, 인증서버(120)의 기준값 처리부(121)에서 생성된 기준값 ‘a'를 전송받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개의 킷값을 생성한다. 그리고 하나의 킷값을 이용하여 스왑테이블 ‘137’을 생성한다. 스왑테이블을 생성하는 방식은 예컨대, 2개의 킷값 중 하나에 소정의 변환함수를 적용하여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왑테이블을 생성하면 특징점 처리부(115)는 두 특징점의 일부 값을 스왑테이블을 참조하여 스왑한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왑테이블이 ‘137’이라면, 첫 번째, 세 번째 및 일곱 번째 값을 서로 스왑하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특징점 처리부(115)는 두 개의 킷값 중 나머지 하나를 이용하여 특징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예컨대, 킷값을 비밀키로 이용하여 특징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안면과 지문의 특징점의 일부 값을 스왑하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전송부(116)는 스마트 단말기(110)와 인증서버(120) 간에 통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로, 전송부(116)는 인증서버(120)의 전송부(123)과 무선으로 연결되어 기준값을 수신하거나 특징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방법은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21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한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110)는 듀얼카메라를 탑재하고 있고, 듀얼카메라 중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지문을 촬영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단말기(110)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촬영함으로써 손가락의 지문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한다. 예컨대, 스마트 단말기(110)는 듀얼카메라 중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을 촬영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사용자의 안면과 손가락을 촬영한 두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미지의 윤곽선을 추출한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110)는 종래의 다양한 edge detection 알고리즘들 중 하나를 두 이미지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안면 윤곽선과 손가락 윤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윤곽선을 추출하여 이미지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특징점을 추출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부분만을 추출하여 처리속도를 개선하고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안면과 지문에 대한 특징점을 추출한다. 특징점을 추출하는데 있어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예컨대 복수개의 값을 포함하는 그룹이나 집합 형태의 특징점을 추출한다. 즉,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안면의 특징점은 ‘1234567’으로, 지문의 특징점은 ‘7654321’으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S24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안면의 특징점과 지문의 특징점을 각각 추출한다.
S250a 내지 S250d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각각 추출된 특징점을 특징 데이터로 변환한다. 먼저 S250a 단계에서는 2개의 킷값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로 인증서버(120)에서 전송된 기준값을 토대로 킷값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OTP 모듈을 이용하여 킷값을 생성할 수 있다.
S250b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기(110)가 스왑테이블을 생성한다. 스왑테이블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예컨대, 2개의 킷값중 하나의 킷값에 변환함수를 적용하여 스왑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S250c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기(110)가 스왑테이블을 참조하여 안면의 특징점과 지문의 특징점의 일부 값을 스왑하여 특징 데이터를 생성한다.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있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S250d 단계에서는 스마트 단말기가 앞서 스왑테이블을 생성하는데 이용한 킷값이 아닌 나머지 하나의 킷값을 이용하여 특징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예컨대, 비밀키를 이용하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킷값을 비밀키로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징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S260 단계에서 스마트 단말기(110)는 특징 데이터를 인증서버(12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110)와 인증서버(120)에 각각 포함된 전송부(116, 123)들이 서로 간에 연결된 통신경로에 따라 특징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한편, 특징 데이터를 수신한 인증서버(120)는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서 이하의 단계를 수행한다.
S211 단계에서 인증서버(120)는 기준값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기준값은 킷값을 생성하기 위한 디폴트값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로, 인증서버(120)는 스마트 단말기(110)에서 특징 데이터를 전송받기 이전에 기준값을 생성할 수 있다.
S212 단계에서 인증서버(120)는 기준값을 이용하여 두 개의 킷값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로, 인증서버(120)는 OTP 모듈을 이용하여 킷값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인증서버(120)가 생성하는 두 개의 킷값은 스마트 단말기(110)가 생성하는 두 개의 킷값과 서로 동일한 값을 의미한다. 즉, 스마트 단말기(110) 및 인증서버(120)는 서로 동기화된 기준값을 이용하여 서로 동일한 두 개의 킷값을 생성한다.
S213 단계에서 인증서버(120)는 두 개의 킷값 중 하나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특징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예컨대, 스마트 단말기(110)가 특징 데이터를 암호화하는데 비밀키로 이용한 킷값과 동일한 킷값으로 특징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다.
S214 단계에서 인증서버(120)는 나머지 하나의 킷값으로 스왑테이블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로, 스왑테이블 역시 스마트 단말기(110)와 마찬가지로 변환함수를 적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S214 단계에서 인증서버(120)가 생성한 스왑테이블은 앞서 스마트 단말기(110)가 생성한 스왑테이블과 동일한 값을 갖는다.
S215 단계에서 인증서버(120)는 스왑테이블을 참조하여 스왑된 특징점을 복원한다. 일 실시예로, 스마트 단말기(110)가 스왑테이블 ‘137’에 따라 첫 번째, 세 번째, 일곱 번째 값을 스왑했다면, 인증서버(120) 역시 스왑테이블 ‘137’에 따라 첫 번째, 세 번째, 일곱 번째 값을 다시 원래대로 복원한다. 따라서, 안면 특징점은 다시 ‘1234567’로 복원되고, 지문 특징점은 ‘7654321’로 복원된다.
S216 단계에서 인증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124)에 기 저장된 값과 복원된 값을 비교한다. 일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124)에 저장된 값과 복원된 특징점의 값이 서로 일치하는지 불일치하는지 비교할 수 있다. 만약 두 값이 서로 일치하면 인증서버(120)는 사용자가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고, 불일치하면 인증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217 단계에서 인증서버(120)는 비교결과를 스마트 단말기(110)에 전송한다. 일 실시예로, 인증에 성공하면 인증성공을 알리는 메시지나 알림을 전송하고 인증에 실패하면 인증실패나 재전송을 요구하는 메시지나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안면과 지문에 대한 특징점을 섞어서 자신의 인증을 위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스마트 단말기 111 : 제 1 카메라
112 : 제 2 카메라 113 : 프레임 추출부
114 : 특징점 추출부 115 : 특징점 처리부
115a : 킷값 생성부 116 : 전송부
117 : 제어부 120 : 인증서버
121 : 기준값 처리부 122 : 처리부
123 : 전송부 124 : 데이터베이스
S210 : 사용자 안면 촬영 S220 : 사용자 지문 촬영
S230 : 윤곽선 추출 S240 : 특징점 추출
S250a : 2개의 킷값 생성 S250b : 스왑테이블 생성
S250c : 특징점 스왑 S250d : 특징 데이터 암호화
S260 : 특징 데이터 전송 S211 : 기준값 생성
S211a : 기준값 전송 S212 : 2개의 킷값 생성
S213 : 특징 데이터 복호화 S214 : 스왑테이블 생성
S215 : 특징점 복원 S216 : DB에 저장된 값과 비교
S217 : 비교결과 전송
400 : 디스플레이 410 : 제 1 카메라 화면
420 : 제 2 카메라 화면

Claims (10)

  1.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제 1 카메라;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촬영하는 제 2 카메라;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상기 안면 및 상기 손가락에 대한 윤곽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부;
    상기 안면 및 상기 손가락을 인식하여 상기 안면의 특징점과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부;
    인증서버로부터 미리 전송받은 기준값을 토대로 2개의 킷값을 생성하고, 상기 2개의 킷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징점을 특징 데이터로 변경하는 특징점 처리부; 및
    상기 기준값을 수신하고 상기 특징 데이터를 상기 인증서버에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특징점 처리부는 상기 2개의 킷값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안면의 특징점과 상기 지문의 특징점 일부를 스왑하여 상기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하나 또는 두개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되, 상기 하나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시에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상기 두 개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타이밍에 상기 이미지를 촬영하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추출부는 킷값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킷값 생성부는 상기 기준값을 이용하여 상기 2개의 킷값을 생성하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처리부는 상기 2개의 킷값 중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징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6. 단말기에 탑재된 제 1 카메라가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에 탑재된 제 2 카메라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이미지를 전송받아 상기 안면 및 상기 손가락에 대한 윤곽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안면 및 상기 손가락을 인식하여 상기 안면의 특징점과 지문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단계;
    인증서버로부터 미리 전송받은 기준값을 토대로 2개의 킷값을 생성하고, 상기 2개의 킷값을 이용하여 상기 특징점을 특징 데이터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특징 데이터를 압축하여 상기 인증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특징 데이터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2개의 킷값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안면의 특징점과 상기 지문의 특징점 일부를 스왑하여 상기 특징 데이터를 생성하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메라 및 상기 제 2 카메라는 하나 또는 두개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되, 상기 하나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동시에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상기 두 개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서로 다른 타이밍에 상기 이미지를 촬영하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 데이터로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2개의 킷값 중 다른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특징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서버는 자신의 고유번호, 상기 단말기의 고유번호 및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값을 생성하는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방법.
KR1020160063899A 2016-05-25 2016-05-25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786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899A KR101786810B1 (ko) 2016-05-25 2016-05-25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899A KR101786810B1 (ko) 2016-05-25 2016-05-25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810B1 true KR101786810B1 (ko) 2017-10-18

Family

ID=6029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899A KR101786810B1 (ko) 2016-05-25 2016-05-25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8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13B1 (ko) * 2014-01-29 2014-12-15 주식회사 민앤지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813B1 (ko) * 2014-01-29 2014-12-15 주식회사 민앤지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4500B2 (ja) 可変キーパッドと生体認証を利用した本人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US83471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a user eye characteristic
US9330272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with enhanced security and method for accessing encrypted information by the apparatus
EP3196801B1 (en) Face recognitio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10929849B2 (en) Method and a system for performing 3D-based identity verification of individuals with mobile devices
US20120110341A1 (en) Mobile Device Transaction Us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JP560376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7099834A1 (ja) 顔認証装置、顔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460580B (zh) 图像采集装置、服务器及加、解密方法
CN111095246B (zh) 用于认证用户的方法和电子设备
JP2022145793A (ja) 認証サーバ、認証サーバ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65102A (ja) 生体認証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CN108932420B (zh) 人证核验装置、方法和系统以及证件解密装置和方法
US1158671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uthenticating a user
CN111581622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10365531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uthenticating a user
KR101786810B1 (ko)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특징 데이터 생성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600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biometric authentication
KR101808809B1 (ko) 특징 데이터 전송 방법, 특징 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Tallapragada et al. Multilevel Network Security Based on Iris Biometric
CN105389027A (zh) 一种虹膜加密鼠标
CN104601333A (zh) 一种基于人机特征的二维码远程认证方法
WO2018113803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method
JP7248184B2 (ja) サーバ、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Benlamri et al. Secure human face authentication for mobile e-government transa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