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595B1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6595B1 KR101786595B1 KR1020160165330A KR20160165330A KR101786595B1 KR 101786595 B1 KR101786595 B1 KR 101786595B1 KR 1020160165330 A KR1020160165330 A KR 1020160165330A KR 20160165330 A KR20160165330 A KR 20160165330A KR 101786595 B1 KR101786595 B1 KR 101786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harging
- connection terminal
- coupling
- conn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6—End pieces terminating in a screw clamp, screw or nut
-
- H01M2/30—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는: 배터리의 포스트단자가 결합되는 접속단자부와, 접속단자부와 포스트단자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부 및 결속부에 구비되어 충전케이블의 집게와 연결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relating to a vehicle battery connecting device is disclosed. The disclosed vehicle battery connecting device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to which a post terminal of a battery is coupled; and a coupling portion that is provided in a coupling portion for maintaining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nd the post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clamp of the charging cabl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케이블의 집게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onnect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connect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be stably connected to a grip of a charging cabl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터리는 엔진이 가동중인 경우에는 크랭크축과 맞물린 팬벨트(fan belt)에 의해 발전기에 충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엔진의 가동이 멈춘 경우나 팬벨트가 끊어진 경우에는 발전기에 충전이 되지 못하므로 지속적으로 방전이 된다.Generally, in a battery of an automobile, when the engine is running, the generator is continuously charged by a fan belt engaged with the crankshaft. However, when the engine is stopped or the fan belt is broken, So that it is continuously discharged.
여기서, 운전자가 부주의로 예컨데 전조등을 점등시킨 상태로 자동차를 주차시키거나 혹은 정차시키고 장시간 동안 자리를 비우게 되는 경우에 계속해서 배터리의 방전이 진행되므로, 배터리의 충전량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저하되고, 이와 같은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 완전히 방전되어 시동스위치 조작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Here, when the driver inadvertently parks the vehicle in a state in which the headlamp is lit, for example, or if the vehicle is park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discharge of the battery continues, so that the charged amount of the battery gradually decreases over time If such a state continues for a long time, the discharge switch is completely discharged and the operation of the ignition switch itself becomes impossible.
따라서, 상기한 배터리가 방전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차량의 시동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임시변통으로 점프선 등을 매개로 주위 차량이나 다른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자차의 발전기를 가동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attery reaches the discharge state, the vehicle can not be started. Therefore, the generator of the vehicle is operated using the surrounding vehicle or other charging device through a jump line or the like to temporarily charge the battery.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02216호 (2006.09.27., 발명의 명칭 : 차량의 배터리 케이블용 커넥터)가 있다.Related Prior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6-0102216 (September 27, 2006, entitled "Vehicle Battery Cable Connector") is available.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포스트단자와의 견고한 고정은 물론, 충전케이블의 집게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connect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can be firmly fixed to a battery post terminal as well as stably connected to a grip of a charging cabl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는 배터리의 포스트단자가 결합되는 접속단자부와,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포스트단자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에 구비되어 충전케이블의 집게와 연결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connec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to which a post terminal of a battery is coupled, a coupling portion to maintain the coupling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nd the post terminal, Terminal.
또한, 상기 접속단자부는 상기 포스트단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접속단자부의 각 단부에 굴절되어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결속편부 및 상기 결속편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post terminal, and the binding portion is bent and extended at each end of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nd the pair of binding piece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the binding piece portion are fastened And a fastening member.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속편부를 관통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결속편부의 밀착상태를 유지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너트부재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 bolt memb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piece, and a nut member coupled to the bolt member to maintain the fastening piece in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piece, wherein the filling terminal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nut member .
또한,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너트부재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접어지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harging terminal may include an exten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d portion of the nut member, and a refraction portion hingedly connected to the extension portion to be selectively folded.
또한, 상기 충전단자에는 충전케이블 집게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결속강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harging terminal is provided with a binding strengthening portion for improving the binding force with the charging cable clamp.
또한, 상기 접속단자부는 외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와의 견고한 고정은 물론, 외측으로 연장되는 충전단자에 의해 충전케이블의 집게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ehicle batter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grip of the charging cable by the charging terminal extending outward as well as firmly fixed to the battery post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충전단자에 결속강화부가 구비되어 충전케이블 집게의 연결시 임의적으로 분리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충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harging terminal from being separated or shaken arbitrarily when the charging cable clamp is connected by providing the charging terminal at the charging terminal, thereby preventing the charging fail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atter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atter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 state of use of the vehicle batter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battery connection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vehicle batter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atter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batter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battery connec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battery connec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100)는 접속단자부(110), 결속부(120) 및 충전단자(130)를 포함한다.1 to 5, a vehicle
접속단자부(110)는 배터리(10)의 포스트단자(15)와 결합된다. 접속단자부(1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의 링(ring) 모양을 가질 수 있으며, 링 형상으로 된 접속단자부(110)의 접속홀부(112) 내측으로 포스트단자(15)가 수용된다.The
보다 자세하게, 접속단자부(110)는 'C'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결속부(120)에 의해 포스트단자(15)에 결속된다.More specifically, the
이러한 접속단자부(110)는 도체로 제작되어 포스트단자(15)에 연결됨으로써, 배터리(10)의 전력을 케이블 등을 통해 전기전력부품으로 공급된다. 이때, 접속단자부(110)에는 외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114)가 구비된다.The
결속부(120)는 접속단자부(110)와 포스트단자(15)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결속부(120)는 접속단자부(110)의 각 단부에 굴절되어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결속편부(122) 및 결속편부(122)가 상호 밀착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124)를 포함한다.The
체결부재(124)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편부(122)를 관통하는 볼트부재(125) 및 볼트부재(125)에 결합되어 결속편부(122)의 밀착상태를 유지시키는 너트부재(126)를 포함한다. 즉, 결속편부(122)를 관통한 볼트부재(125)의 단부에 너트부재(126)가 나사 결합되므로써, 링 형상의 접속단자부(110)가 포스트단자(15)의 둘레를 압박하여 고정된다.The fastening
이때, 볼트부재(125)에는 너트부재(126)의 과도한 결합을 방지하도록 간격유지관(127)이 구비된다.At this time, the
충전단자(130)는 결속부(120)에 구비되어 충전케이블의 집게와 연결된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단자(130)는 너트부재(126)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The
이는 충전케이블 집게의 연결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충전단자(130)는 너트부재(126)보다 작게 형성되어 포스트단자(15) 체결 시 작업공구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작업공구에 의한 너트부재(126)의 체결시 충전단자(130)에 작업공구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secure the connection space of the charging cable clamp. At this time, the
충전단자(130)에는 충전케이블 집게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결속강화부(140)가 형성된다. 결속강화부(140)는 충전단자(130)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다각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속강화부(140)를 다각면으로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한 것이 아니며, 충전케이블 집게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너트부재(126)와 충전단자(130) 사이에는 충전케이블 집게의 결합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142)이 형성된다. Between the
한편,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단자(230)는 너트부재(126)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232) 및 연장부(232)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접어지는 굴절부(234)를 포함한다. 즉, 굴절부(234)는 연장부(232)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하부로 접어져 은폐되거나, 펼쳐져 연장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5, the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vehicle battery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포스트단자(15)에 접속단자부(110)를 결합한다. 접속단자부(110)의 접속홀부(112)에 포스트단자(15)를 끼우고, 상호 마주보는 결속편부(122)를 볼트부재(125)와 너트부재(126)에 의해 결속한다. 이때, 마주하는 결속편부(122) 사이의 볼트부재(125) 상에 간격유지관(127)이 구비되어 너트부재(126)의 과도한 나사 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assembling of the
이때, 너트부재(126)의 단부에는 일체로 충전단자(130)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외측으로 연장되므로 충전케이블 집게의 연결이 용이하다.At this time, since the
충전단자(130)는 너트부재(126)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작업공구에 의한 너트부재(126)의 결합시 접촉되지 않아 작업공구의 접촉에 의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충전단자(130)에는 다각면으로 형성되는 결속강화부(140)가 형성되어 충전케이블 집게와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는 충전단자(130)와 집게가 임의적으로 분리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충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너트부재(126)와 충전단자(130) 사이에는 충전케이블 집게의 결합시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홈(142)이 형성되어 충전케이블 집게가 충전단자(130)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한편,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단자(230)는 너트부재(126)에 연장형성되는 연장부(232) 및 연장부(232)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접어지는 굴절부(234)로 이루어져, 굴절부(234)의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부피를 축소할 수 있고, 충전이 필요할 때만 사용할 수 있다. 5, th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포스트단자와의 견고한 고정은 물론, 외측으로 연장되는 충전단자에 의해 충전케이블의 집게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충전단자에 결속강화부가 구비되어 충전케이블 집게의 연결시 임의적으로 분리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충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ttery connecting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terminal can be stably fixed to the battery post terminal, and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grip of the charging cable by the charging terminal extending out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disconnection or jiggling arbitrarily at the time of connection of the charging cable clamp, thereby preventing defective charging.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구조적 변경 없이 충전케이블 집게의 연결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안정적 연결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a connection space of the charging cable clamps without any structural change, thereby enabling stable connectio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 110 : 접속단자부
112 : 접속홀부 114 : 연결단자
120 : 결속부 122 : 결속편부
124 : 체결부재 125 : 볼트부재
126 : 너트부재 127 : 간격유지관
130 : 충전단자 140 : 결속강화부
142 : 이탈방지홈 230 : 충전단자
232 : 연장부 234 : 굴절부100: vehicle battery connecting device 110: connection terminal portion
112: connection hole portion 114: connection terminal
120: binding part 122: binding part
124: fastening member 125: bolt member
126: nut member 127: clearance maintenance tube
130: Charging terminal 140:
142: Disengagement prevention groove 230: Charging terminal
232: extension part 234:
Claims (6)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포스트단자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결속부; 및
상기 결속부에 구비되어 충전케이블의 집게와 연결되는 충전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부는, 상기 포스트단자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접속단자부의 각 단부에 굴절되어 연장되고,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결속편부; 및 상기 결속편부가 상호 밀착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속편부를 관통하는 볼트부재; 및 상기 볼트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결속편부의 밀착상태를 유지시키는 너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너트부재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
A connection terminal portion to which a post terminal of the battery is coupled;
A binding portion for hold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nd the post terminal; And
And a charging terminal provid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clamp of the charging cable,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post terminal,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coupling piece portions that are bent and extended at respective ends of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and face each other; And a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fastening piece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 bolt member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piece; And a nut member coupled to the bolt member to maintain a tight contact state of the binding piece,
Wherein the charging terminal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nut member.
상기 충전단자는 상기 너트부재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접어지는 굴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terminal comprises: an extension formed integrally with an end of the nut member; And
And a refraction portion hingedly connected to the extended portion to be selectively folded.
상기 충전단자에는 충전케이블 집게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결속강화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ing terminal is formed with a binding strengthening portion for improving a coupling force with the charging cable clamp.
상기 접속단자부는 외부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단자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접속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termin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330A KR101786595B1 (en) | 2016-12-06 | 2016-12-06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330A KR101786595B1 (en) | 2016-12-06 | 2016-12-06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9851A Division KR101830417B1 (en) | 2017-09-18 | 2017-09-18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KR1020170119853A Division KR101820157B1 (en) | 2017-09-18 | 2017-09-18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KR1020170119850A Division KR101830416B1 (en) | 2017-09-18 | 2017-09-18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KR1020170119852A Division KR101830418B1 (en) | 2017-09-18 | 2017-09-18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6595B1 true KR101786595B1 (en) | 2017-10-18 |
Family
ID=6029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5330A KR101786595B1 (en) | 2016-12-06 | 2016-12-06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659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0416B1 (en) * | 2017-09-18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KR101830417B1 (en) * | 2017-09-18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KR101830418B1 (en) * | 2017-09-18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JP7555675B2 (en) | 2020-09-16 | 2024-09-25 | 矢崎総業株式会社 | Battery Terminal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21219A (en) | 1990-03-27 | 1993-06-22 |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 Battery terminal connector |
-
2016
- 2016-12-06 KR KR1020160165330A patent/KR10178659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21219A (en) | 1990-03-27 | 1993-06-22 |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 Battery terminal connecto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30416B1 (en) * | 2017-09-18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KR101830417B1 (en) * | 2017-09-18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KR101830418B1 (en) * | 2017-09-18 | 2018-02-20 | 주식회사 경신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JP7555675B2 (en) | 2020-09-16 | 2024-09-25 | 矢崎総業株式会社 | Battery Terminal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6595B1 (en)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
US5672442A (en) | Battery terminal and post with rotation inhibiting means | |
US6602090B2 (en) | Connector | |
CN206834426U (en) | A kind of anti-pull wiring harness connector | |
CN102576950A (en) | Improved clamp for connection to the poles of electrical battery | |
KR101830418B1 (en)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
JP2018534739A (en) | Battery electrode and electrical contact unit for forming an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battery electrode and an automobile electrical system | |
US6459233B1 (en) | Cable attachment assembly for battery of vehicle | |
KR101830417B1 (en)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
KR101820157B1 (en)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
KR101830416B1 (en) | Battery contact device for vehicles | |
KR101366118B1 (en) | Terminal for battery | |
US9660363B2 (en) | Battery terminal | |
US20170141512A1 (en) | Electric Device | |
KR100921485B1 (en) | An electrode holder for arc welding | |
KR101792045B1 (en) | Battery post terminal clamp | |
KR101663283B1 (en) | Cable connection Device for Battery Jump Start and Earth TerminalApparatus to be Terminal Part away from Gripping Part | |
KR101776328B1 (en) | Terminal for battery | |
KR101916397B1 (en) | A battery clamping lug for vehicle battery post pole | |
US7354302B1 (en) | Car battery terminal quick connect handle | |
KR200444032Y1 (en) | A fuel connector remover | |
US1527400A (en) | Cable tap | |
EP3333055B1 (en) | Straddled vehicle | |
JP2011023133A (en) | Electric plug | |
KR100345232B1 (en) | a batery connection structure of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