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576B1 -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 - Google Patents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576B1
KR101786576B1 KR1020160154406A KR20160154406A KR101786576B1 KR 101786576 B1 KR101786576 B1 KR 101786576B1 KR 1020160154406 A KR1020160154406 A KR 1020160154406A KR 20160154406 A KR20160154406 A KR 20160154406A KR 101786576 B1 KR101786576 B1 KR 10178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amount
water
dischar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만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환경보건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환경보건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환경보건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54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3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 라인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 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로 형성하고, 상기 정수 이외의 물을 폐수로 형성하는 필터링 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수를 외부로 출수하는 출수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링 부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설정되는 폐수 유량을 이루도록 상기 출수부로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폐수의 양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된 정수 이외의 폐수의 양을 개인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정수기는 상수원과 연결되는 배관을 통해 수돗물 혹은 지하수를 공급받아 필터를 통해 정수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깨끗한 물을 제공하여 음용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수원에서 공급되는 원수에 포함된 이물을 거르기 위한 필터는 주로 역삼투압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역삼투압 방식의 필터가 구비되는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게 된다.
역삼투압 방식의 정수기는 침전필터, 모터펌프, 선카본필터, 폐수방출구, 역삼투압필터, 후카본필터, 유브이 살균장치 및 정수탱크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역삼투압필터에서 정수와 폐수로 유입된 원수가 분리되고 상기 폐수는 상기 폐수방출구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정수기는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정수시키고, 정수된 이외의 물을 폐수로 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그러나, 종래의 정수기는 계절 및 개인적인 상태를 고려하지 않고, 설정된 양의 폐수를 일률적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폐수로 배수되는 양이 일률적으로 설정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정수의 양이 결정되어, 장기간 버려지는 물의 양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 공개번호 20-1998-0062052호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된 정수 이외의 폐수의 양을 개인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적 및, 계절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폐수량을 맞춤식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는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 라인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 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로 형성하는 필터링 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수를 외부로 출수하는 출수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출수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필터링 부를 통해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정수를 설정된 유량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폐수로 형성하는 배출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설정되는 폐수 유량을 이루도록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폐수 유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폐수는, 상기 정수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출수부는, 일단이 상기 필터링 부의 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출수 라인과, 상기 출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출수 라인으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출수 라인으로부터 분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 라인을 구비하되, 상기 폐수는, 상기 필터링 부를 통해 필터링된 정수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버려지는 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배출 라인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되는 폐수의 양을 측정하는 배출 유량 센서와, 상기 배출 라인과 상기 출수 라인의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폐수를 상기 배출 라인의 타단 및 상기 출수 라인으로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삼방 밸브와,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폐수의 양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설정기와, 상기 배출 유량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배출되는 폐수의 양이 상기 설정되는 폐수의 양에 이르도록 상기 삼방 밸브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기에는, 서로 다른 폐수의 양을 갖는 개인 정보들이 설정되는 저장기와, 상기 개인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상기 개인 정보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폐수의 양을 상기 설정되는 폐수의 양으로 재설정하는 재설정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정기에는, 온도에 따르는 상기 폐수의 양이 설정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외부의 온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설정된 상기 온도에 따르는 상기 폐수의 양 중, 상기 측정된 상기 외부의 온도에 해당되는 폐수의 양으로 상기 설정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에는, 상기 측정되는 폐수의 양이 실시간으로 저장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출 유량 센서로부터 상기 측정되는 폐수의 양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측정되는 폐수의 양이 전송되지 않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저장된 폐수의 양이 시간에 따라 반복되도록 상기 삼방 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정수된 정수 이외의 폐수의 양을 개인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적 및, 계절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폐수량을 맞춤식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설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삼방 밸브 및 출수부의 교체 가능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는 크게 본체부(100)와, 필터링 부(200)와, 출수부(300)와, 배출부(400) 및 조절부(5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의 원수, 정수 및 폐수를 정의한다.
상기 원수는, 상기 필터링 부(200)로 유입되기 전, 즉, 이물질이 필터링 되기 전 상태의 물이다. 상기 정수는, 필터링 부(200)를 통해 필터링된 물이다. 이는 출수부(300)를 따라 유동되어 후술되는 출수 라인(310)을 따라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즉 출수 라인(310)을 따라 유출되는 정수는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다.
상기 폐수는 정수된 물이 외부로 별도의 배출부(400)를 통해 배출되어 버려지는 물이다. 물론, 상기 폐수 역시 정수된 물이기 때문에 음용이 가능하나, 출수 라인(310)을 따라 유출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배출 라인(410)을 따라 유동되어 외부로 버려져 음용에 사용되지 않은 상태의 물의 의미이다.
상기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삭제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부에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유입 받는 유입 라인(100a)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필터링 부(200)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링 부(200)는 상기 유입 라인(100a)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로 형성하고, 상기 정수 이외의 물을 폐수로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링 부(200)는 다수의 단위 필터(210)를 구비하여 본체부(100)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단위 필터(210)는 유입되는 원수가 유동되어 순차적으로 필터링되도록 필터 라인(220)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출수부(300)는 필터링 부(200)를 통해 필터링된 정수를 외부로 출수한다.
상기 출수부(300)는 일단이 상기 필터링 부(200)의 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출수 라인(310)과, 상기 출수 라인(310)에 설치되며, 상기 출수 라인(310)으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3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수 라인(320)의 단부에는 출수를 위한 출수 밸브(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출수 라인(320)의 일단은 마지막의 단위 필터(210)와 연결된다.
상기 유량 센서(220)는 필터링 부(200)를 통해 정수된 물이 외부로 출수되는 유량을 측정하여 후술되는 제어기(540)로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배출부(400)는 상기 필터링 부(200)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폐수를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부(400)는, 상기 출수 라인(310)으로부터 분기되며, 타단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 라인(41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 라인(410) 상에는 배출되는 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배출 유량 센서(51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출수 라인(310)에서 분기되는 부분에는, 정수된 물을 출수 라인(310) 및 배출 라인(410)으로의 유량을 조절하여 유동시키는 삼방 밸브(520)가 설치된다.
상기 삼방 밸브(520)는 제 1,2밸브 개폐구가 형성되며, 후술되는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2밸브 개폐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제 1밸브 개폐구는 출수 라인(310) 측으로 개방되는 개폐구이고, 제 2밸브 개폐구는 분기되는 부분에서 배출 라인(410) 측으로 개방되는 개폐구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설정되는 폐수 유량을 이루도록 상기 출수부(300)로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폐수의 양을 가변적으로 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상술한 조절부(500)는 상기 배출 라인(410)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되는 폐수의 양을 측정하는 상기의 배출 유량 센서(510)와, 상기 삼방 밸브(520)와, 상기 배출부(400)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폐수의 양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설정기(530)와, 상기 배출 유량 센서(510)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배출되는 폐수의 양이 상기 설정되는 폐수의 양에 이르도록 상기 삼방 밸브(52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540)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설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설정기(530)는, 서로 다른 폐수의 양을 갖는 개인 정보들이 설정되는 저장기(531)와, 상기 개인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532)와, 상기 개인 정보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폐수의 양을 상기 설정되는 폐수의 양으로 재설정하는 재설정기(533)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개인마다 다른 폐수의 양을 저장기(531)를 통해 설정하고, 선택기(532)를 통해 해당 개인의 개인 정보를 선택하면, 재설정기(533)는 선택된 개인 정보에 해당되는 폐수의 양을 이루도록 재설정한다.
이에 따라, 제어기(540)는 출수 버튼(미도시)을 통해 출수를 지시 받으면, 출수 라인의 단부에 설치되는 출수 밸브를 개방하게 되고, 삼방 밸브(520)를 사용하여 폐수의 유량 및 정수의 유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540)는 배출 유량 센서(510)로부터 측정되는 폐수의 유량을 전송 받아, 실시간으로 폐수의 양을 모니터링하여, 이를 기초로 삼방 밸브(520)의 구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개인에 따라 폐수의 양을 미리 설정하여 정수되는 물을 출수하도록 함으로써, 일률적으로 버려지는 폐수의 양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설정기(530)에는, 온도에 따르는 상기 폐수의 양이 설정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조절부(500)는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외부의 온도를 상기 제어기(540)로 전송하는 온도 센서(5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540)는, 설정된 상기 온도에 따르는 상기 폐수의 양 중, 상기 측정된 상기 외부의 온도에 해당되는 폐수의 양으로 실시간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기(540)는 본체부의 외부 온도를 온도 센서(535)로부터 전달받고, 외부의 온도에 해당되는 폐수의 양으로 재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온도 변화에 따라 폐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여름철의 경우 실내 온도가 상승됨으로 겨울철에 비해 상대적으로 폐수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함으로써, 정수된 물에 페수의 양이 증가되어 부유물이 포함될 수 있는 문제점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몰론, 계절 요인외, 각 실내의 온도 차이에 따라 폐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제어기(540)에는 상기 측정되는 폐수의 양이 실시간으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540)는, 상기 배출 유량 센서(510)로부터 상기 측정되는 폐수의 양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측정되는 폐수의 양이 전송되지 않는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범위 내에 저장된 폐수의 양이 시간에 따라 반복되도록 상기 삼방 밸브(520)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삼방 밸브(520)의 이상 작동으로 인해 측정되는 폐수의 양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제어기(540)는 삼방 밸브(520)의 구동을 가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즉, 제어기(540)는 이상 상태가 발생되기 이전의 설정된 시간, 예컨대 10분 동안의 삼방 밸브(520)의 구동으로 인한 폐수의 양으로 설정된 가상 운용 시간 동안 폐수의 양을 설정하여 삼방 밸브(520)의 구동을 모사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기(540)는 삼방 밸브(520)의 교체 신호를 알리는 알람을 알람 발생기를 사용하여 외부로 알리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삼방 밸브 및 출수부의 교체 가능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체부(10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개구(101)를 회전 개폐하는 도어(110)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110)의 일측부에는 개구(101)의 일측에 연결되는 회전축(120)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120)은 회전 모터(미도시)의 축에 연결되고, 회전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이에 따라, 회전축(120)의 회전에 따라 도어(110)는 회전 개폐된다.
상기 도어(110)에는 출수 라인(310)이 관통되고, 배출 라인(410)의 타단은 본체부(100)의 하단을 통해 관통된다.
상기 출수 라인(310) 및 배출 라인(410)은 가요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출수 라인(310)과 배출 라인(410)의 분기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삼방 밸브(520)는, 필터링 부(200)로부터 연장되는 출수 라인(310)의 단부와 탈착되는 탈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탈착 구에는 씰링(521)이 형성된다. 여기서, 필터링 부(200)로부터 연장되는 출수 라인(310)은 스테인 레스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삼방 밸브(520)는 수직 프레임(700)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700)의 하단은, 실린더(600)에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600)는 수평 방향을 따라 신축되는 축(610)을 갖고, 상기 축(610)은, 상기 수직 프레임(700)의 하단에 연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상단에는 레일(160)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160)은 수직 프레임(700)의 상단과 레일 결합된다.
따라서, 수직 프레임(700)의 축(610)의 신축에 따라 수평 이동하는 경우 수직 프레임(700)의 상단은 레일(160)에 의해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제어기(5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삼방 밸브(520)의 이상이 발생되는 경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도어(110)를 개방하고, 실린더(600)를 사용하여 축(610)을 구동시켜 삼방 밸브(520)가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700)을 개구(101) 측으로 이동 배치시켜 교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스테인레스로 형성되는 출수 라인(310)의 단부는 삼방밸브(520)의 탈착구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정수된 정수 이외의 폐수의 양을 개인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개인적 및, 계절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폐수량을 맞춤식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 라인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 라인으로부터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여 정수로 형성하는 필터링 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수를 외부로 출수하는 출수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출수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필터링 부를 통해 형성되어 상기 출수부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정수를 설정된 유량으로 외부로 배출하여 폐수로 형성하는 배출부; 및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며, 설정되는 폐수 유량을 이루도록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폐수 유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폐수는, 상기 정수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출수부는, 일단이 상기 상기 필터링 부의 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출수 라인과, 상기 출수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출수 라인으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정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부는, 일단이 상기 출수 라인으로부터 분기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배출 라인을 구비하되, 상기 폐수는, 상기 필터링 부를 통해 필터링된 정수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버려지는 물이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배출 라인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되는 폐수의 양을 측정하는 배출 유량 센서와, 상기 배출 라인과 상기 출수 라인의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폐수를 상기 배출 라인의 타단 및 상기 출수 라인으로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삼방 밸브와,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폐수의 양이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설정기와, 상기 배출 유량 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상기 배출되는 폐수의 양이 상기 설정되는 폐수의 양에 이르도록 상기 삼방 밸브를 구동시키는 제어기를 구비하고,
    상기 설정기에는,
    온도에 따르는 상기 폐수의 양이 설정되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외부의 온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온도 센서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설정된 상기 온도에 따르는 상기 폐수의 양 중, 상기 측정된 상기 외부의 온도에 해당되는 폐수의 양으로 실시간으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기에는,
    서로 다른 폐수의 양을 갖는 개인 정보들이 설정되는 저장기와,
    상기 개인 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기와,
    상기 개인 정보들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폐수의 양을 상기 설정되는 폐수의 양으로 재설정하는 재설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
  6. 삭제
KR1020160154406A 2016-11-18 2016-11-18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 KR10178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406A KR101786576B1 (ko) 2016-11-18 2016-11-18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406A KR101786576B1 (ko) 2016-11-18 2016-11-18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576B1 true KR101786576B1 (ko) 2017-10-19

Family

ID=6029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406A KR101786576B1 (ko) 2016-11-18 2016-11-18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5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4264A (zh) * 2019-03-29 2019-06-14 珠海西格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蒸汽灭菌器的滤水检测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047A (ja) 2011-08-04 2013-03-14 Green Arm Co Ltd 飲用水製造装置及び飲用水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49047A (ja) 2011-08-04 2013-03-14 Green Arm Co Ltd 飲用水製造装置及び飲用水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4264A (zh) * 2019-03-29 2019-06-14 珠海西格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蒸汽灭菌器的滤水检测系统
CN109884264B (zh) * 2019-03-29 2023-12-29 珠海西格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蒸汽灭菌器的滤水检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5822B2 (en) Water conditioning systems having diversion devices
EP2102112B1 (en) Filter and sterilization apparatus
KR20120047141A (ko) 자동세정수단을 갖는 정수기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의 자동세정방법
KR101786576B1 (ko) 폐수량 조절이 가능한 정수기
CN113979494A (zh) 净水机及净水机控制方法
KR20170105940A (ko) 수처리장치
AU2014101637A4 (en) A water treatment facility
ES2685218B2 (es) Sistema de control domótico de una instalación de fontanería y método de funcionamiento para incrementar la eficiencia hídrica de la misma.
KR101109014B1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KR20150135812A (ko) 초기우수 처리수단을 갖는 우수재활용장치
CN217173313U (zh) 净水机
CN216890148U (zh) 净水设备
KR101645182B1 (ko) 정수기
CN206940634U (zh) 净水系统
CN210085106U (zh) 一种净水器
KR101198652B1 (ko) 자가 살균 시스템을 구비한 정수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살균 방법
JP2007120263A (ja) 水供給システム
CN215975082U (zh) 净水机
WO2018224713A1 (es) Dispositivo de tratamiento de agua
WO2012067518A1 (en) Filter arrangement for removal of particles in a liquid, and method for selective flushing of the filter arrangement
KR20120113166A (ko) 정수기용 세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정수기
JPS62254804A (ja) 逆浸透淡水化装置のフラツシング方式
EP4036065A1 (en) Water purifier
EP4177423A1 (en) Modulating valve for the cleaning of pool filters
KR102037982B1 (ko) 지능형 빗물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