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990B1 -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990B1
KR101785990B1 KR1020160160984A KR20160160984A KR101785990B1 KR 101785990 B1 KR101785990 B1 KR 101785990B1 KR 1020160160984 A KR1020160160984 A KR 1020160160984A KR 20160160984 A KR20160160984 A KR 20160160984A KR 101785990 B1 KR101785990 B1 KR 101785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weight
dehumidifier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웅
Original Assignee
김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웅 filed Critical 김세웅
Priority to KR102016016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가 배출되는 배수관; 전면이 노출되도록 벽면에 매립 시공되며 노출되는 전면에 연결구를 마련하여 상기 배수관 끝단이 수밀하게 체결되며 후면측에 배출구가 마련되는 연결소켓;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이송관; 및 하수관 또는 오수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하수관 또는 오수관으로 배수시키는 하수관 연결구;를 포함하여 건축물 시공시 전원플러그 등과 마찬가지로 연결소켓을 벽면에 매립 시공하여 정수기 또는 제습기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연결소켓에 연결시키는 것만으로도 폐수가 하수관으로 연속 배출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며, 또한 정수기 또는 제습기를 복수로 구비하더라도 연결소켓에서 이를 모두 수용하도록 구성하여 정수기 또는 제습기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대한 배수시설 확보에 용이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from Water purifier or Dehumidifier}
본 발명은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정수 및 제습과정에서 생성되는 폐수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역삼투압 정수기는 내부로 장착된 멤브레인 필터에 의해 공급되는 물(수돗물)을 정수처리하게 되는 것으로, 통상 이와 같은 역삼투압 정수기에 의해 정수 처리작업을 행할 경우, 공급되는 물의 양에 대하여 약 30% 정도는 식용 가능한 상태로 정수되고, 나머지 70%에 해당되는 물은 불순물이 함유된 폐수로서 정수기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제습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대부분의 경우 제습기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공기가 증발기를 통과할 때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습기를 제거하는 냉각식 제습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제습기는 냉매가 압축기를 통하여 증발기로부터 응축기와 모세관을 통해 다시 증발기로 순환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팬의 회전으로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흡입되면, 흡입된 공기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냉매에 의하여 이슬점 이하로 냉각되어 응축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이슬로 맺혀져 제거되고 제거된 습기는 자유 낙하하여 제습기 내부의 저수조에 저장되며, 저수조에 물이 채워지면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제습기의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제습기 내부에 장착된 저수조를 분리하여 물을 수동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제습기의 외부에 저수조와 연결된 배수펌프를 설치하여 배수펌프를 작동시켜 저수조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제습기에 내부에 설치된 배수펌프의 작동으로 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저수조의 물을 배출한다.
이러한 제습기의 저수조에 담긴 물을 배수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공개번호 10-2005-0088605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제습기의 배수는 드레인 팬을 통하여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를 제습기에서 버킷을 분리하여 수동으로 배수하거나, 또는 드레인 팬에 연결된 배수구에 드레인 파이프를 연결하여 응축수를 제습기 외부로 연속적으로 배수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의 제습기는 연속배수방법을 이용하여 배수할 경우 사용자가 제습기에 내장된 연속배수 파이프를 배수구에 직접 조립하여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이를 하수관에 직접 연결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아울러 정수기나 제습기를 복수로 구비하여 사용할 경우 각각에 대한 상기하였던 배수관련 작업들을 개별적으로 실시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8860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기 또는 제습기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건축물의 벽면을 통해 하수관으로 직접 배수되도록 구성되며 정수기 또는 제습기를 복수로 구비하더라도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는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가 배출되는 배수관; 전면이 노출되도록 벽면에 매립 시공되며 노출되는 전면에 연결구를 마련하여 상기 배수관 끝단이 수밀하게 체결되며 후면측에 배출구가 마련되는 연결소켓;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이송관; 및 하수관 또는 오수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하수관 또는 오수관으로 배수시키는 하수관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하수관 연결구는 하수관에 커플링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하수관 연결구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는 트랩부재가 구성되되, 상기 트랩부재는 상기 하수관에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연결소켓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연장관이 삽입되되, 상기 연장관은 상기 배출구에 수밀하게 삽입 고정되는 수평부와 수평부로부터 하측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이송관이 결합되는 꺽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연장관에는 상기 수평부와 꺽임부 사이에 자중에 의해 상기 연장관을 폐쇄시키다가 상기 이송관이 결합되면 개방되는 개폐부재가 구성되되, 상기 이송관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누름핀이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수평부의 상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송관이 상기 연장관에 결합되면서 상기 누름핀이 안착되도록 상기 이송관을 향하는 면에 'V'자형태로 오목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례로써,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소켓에 복수로 마련되어 복수의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배수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연결소켓의 외주면에는 차열탄성코팅층이 도포되되, 상기 차열탄성코팅층은, 수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실리카 25 내지 75중량부, 아질산칼슘 5 내지 10중량부, HTFS(Hydroxyl Terminated Functional silicone) 5 내지 10중량부,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1 내지 3중량부, 미세기포가 용존된 물 20 내지 75중량부, 습윤분산제 2 내지 5중량부, 탄닌 1 내지 3중량부,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 0.5 내지 2중량부, D-마노스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는 건축물 시공시 전원플러그 등과 마찬가지로 연결소켓을 벽면에 매립 시공하여 정수기 또는 제습기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연결소켓에 연결시키는 것만으로도 폐수가 하수관으로 연속 배출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며, 또한 정수기 또는 제습기를 복수로 구비하더라도 연결소켓에서 이를 모두 수용하도록 구성하여 정수기 또는 제습기에서 배출되는 폐수에 대한 배수시설 확보에 용이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연결소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연장관과 이송관 간 결합구조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연결소켓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이송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연결소켓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연장관과 이송관 간 결합구조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연결소켓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이송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또는 제습기(1)의 폐수 처리장치는 배수관(100), 연결소켓(200), 이송관(300) 및 하수관 연결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배수관(100), 연결소켓(200) 이송관(300) 및 하수관 연결구(400)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수관(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또는 제습기(1)에 연결되어 정수과정과 제습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수가 상기 배수관(100)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200)은 전면이 노출되도록 벽면(W)에 매립 시공되는 것으로, 도면에서와 같이 노출되는 전면에는 연결구(210)가 마련되고 벽면(W) 내부에 배치되는 후면측에는 배출구(220)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구(210)에는 상기 배수관(100)의 끝단이 수밀하게 체결되는 것이고 배출구(220) 역시 하기의 이송관(300)과 수밀하게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소켓(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210)가 형성된 면에 삽입되는 커버부재(201)를 구성함으로써, 건축물 시공시 연결소켓(200)은 벽면에 매립되고 도배 또는 페인트 등 벽면의 마감공사가 끝난 후에 상기 커버부재(201)를 연결소켓(200)의 전면부에 부착시킴으로써, 시공의 완성도를 높여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210) 또는 도면 상 커버부재(201) 중 연결구(210)에 삽입되는 부분의 내주연에는 배수관(100)과의 수밀한 체결관계를 기하기 위한 패킹부재(212)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킹부재(212)는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이송관(300)은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그 일단은 상기 배출구(220)에 연결되며 타단은 하수관 또는 오수관(P)에 연결시켜 정수기 또는 제습기(1)에서 생성되는 폐수가 배수관(100)을 통해 연결소켓(200)을 거치고 또한 이송관(300)을 통해 자연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하수관 연결구(400)는 도면에서와 같이 하수관 또는 오수관(P)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관(300)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이송관(300)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하수관 또는 오수관으로 배수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기 하수관 연결구(400)는 도 7에서와 같이 하수관 또는 오수관(P)에 커플링 형태로 수밀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하수관 연결구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는 트랩부재(410)를 구성하고 상기 트랩부재가 상기 하수관 또는 오수관(P)에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수관 또는 오수관(P)으로부터 악취 또는 해충 등이 이송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연결소켓(2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연결소켓(200)의 배출구(220)에는 연장관(230)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연장관(230)은 일측이 상기 배출구(220)에 삽입되고 타측은 연결소켓(200)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관(230)은 수평부(231)와 꺽임부(23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231)는 상기 배출구(220)에 수밀하게 삽입고정되는 것이고, 상기 꺽임부(232)는 상기 수평부(231)로부터 하측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이송관(300)이 수밀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관의 꺽임부(232)가 수평부(231)에서 하향을 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배수관(100)을 통해 연결소켓(200)에 유입되는 폐수는 하향으로 절곡되는 연결관 구조에 의해 신속하게 자연배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관은 벽면(W)에 매립 시공되는 연결소켓(200)의 매립되는 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관에 이송관(300)이 결합됨에 있어 상호 간 이탈하게 될 경우 가습기 또는 제습기로 부터 이송되는 폐수가 벽면(W)으로 누출되어 벽면(W)에 대한 누수공사를 해야 하는 등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연장관(230)과 이송관(300) 간 결합됨에 있어 연결관과 이송관(300) 간 이탈할 경우에 벽면(W)으로 폐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연장관(230)에는 그 내부 개폐부재(240)가 더 구성되는 바, 상기 개폐부재(240)는 상기 연장관(230) 내부에서 상기 수평부(231)와 꺽임부(232) 사이에 구성되어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연장관(230)을 폐쇄시키게 되며, 상기 이송관(300)이 상기 연장관(230)에 결합하게 되면 연장관(230)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관(300)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연장하는 누름핀(310)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240)는 상기 수평부(231)의 상측에 힌지(241)결합되어 이송관(300)이 결합되기 전에는 자중에 의해 도 4에서와 같이 연장관(230)을 폐쇄하게 되고, 상기 개폐부재(240) 중 상기 이송관(300)을 향하는 면에 상기 이송관(300)의 누름핀(310)과 대향하도록 'V'자 형태의 오목한 가이드홈(242)을 형성시켜 상기 이송관(300)이 상기 연장관(230)에 결합하게 되면 이송관(300)의 누름핀(310)이 상기 가이드홈(242)에 안착된 상태로 개폐부재(240)를 개방시켜 연장관(230)을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장관(230)의 내주연에는 상기 수평부(231)와 꺽김부 사이에 하부에 상기 개폐부재(240)의 폐쇄시 개폐부재(240)의 하단이 밀착되는 수밀단(233)을 마련하여 상단이 힌지(241)결합된 개폐부재(240)가 연결소켓(200)에 유입된 폐수의 수압에 의해 역방향(이송관(300)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송관(300)이 이탈하더라도 완벽하게 폐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240)의 작동상태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다시 살펴보면,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이송관(300)이 연결관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먼저 상기 누름핀(310)은 'V'자 형태의 가이드홈(242)에 안착된 상태가 되고, 상호 간 완벽한 체결을 이루게 되면 누름핀(310)이 가이드홈(242)을 통해 개폐부재(240)를 밀게 되어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관은 그 내부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핀(310)의 'V'자가 90°를 이루도록 구성하여 도 5b에서와 같이 개폐부재(24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는 끝단이 평평한 누름핀(310) 끝단은 90°를 이루는 'V'자형태의 홈에 평행상태로 유격없이 맞닿아 수압 또는 수압에 따른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누름핀(310)이 개폐부재(24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여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시간이 지나 이송관(300)이 형태 변화나 물리적 충격 등에 의해 이송관(300)이 연장관(230)에서 이탈할 경우 자동으로 도 5a와 같이 개폐부재(240)가 그 자중에 의해 연장관(230)을 폐쇄시킬 수 있어 이송관(300)과 연결부재 간 이탈에 의한 벽면(W)으로의 누수를 완벽히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연결소켓(200)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연결구(210)는 상기 연결소켓(200)에 복수로 마련되어 정수기 또는 제습기(1)가 각각 또는 혼용으로 복수 구성되더라도 각각에 연결되는 배수관(100)을 모두 수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연결소켓(20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재작될 수 있으며 그 중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연결소켓(200)이 콘크리트 재질의 벽면(W) 내부에 매립되므로 상호 간 재질의 이질성으로 인한 열팽창 계수의 차이로 인해 상호 간 접합부에서 들뜸 등 누수포인트와 구조적 건전성 저하포인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금속 재질의 연결소켓(200) 외주면에 차열탄성코팅층(미도시)이 도포되도록 하여 스틸재질의 연결소켓(200)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도록 함과 동시에 스틸재질의 연결소켓(200)으로 열전달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벽체(W)와 스틸 간 팽창률의 차이를 탄성에 의해 보완토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실시 예의 차열탄성코팅층은, 수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실리카 25 내지 75중량부, 아질산칼슘 5 내지 10중량부, HTFS(Hydroxyl Terminated Functional silicone) 5 내지 10중량부,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1 내지 3중량부, 미세기포가 용존된 물 20 내지 75중량부, 습윤분산제 2 내지 5중량부, 탄닌 1 내지 3중량부,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 0.5 내지 2중량부, D-마노스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예를 제시하고 있다.
우선, 주재로 수용성 수지가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수지로 폴리우레아 수지가 사용될 수 있는 바, 폴리우레아 수지는 내수성, 내화학성, 내염수성과 같은 화학적 특성과 내마모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수지로서, 수용성으로 인체에 무해한 환경친화적 특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기 조성에서는 충진재로 실리카가 첨가되도록 하는데 실리카의 경우 재질자체로 다공성을 가지고 있어 차열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아질산칼슘은 방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스틸재질의 표면부식에 의한 스케일의 침적을 방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코팅층의 강도 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소량을 사용하여도 연결소켓(200) 표면의 부식을 방지하는 방청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아질산칼슘(calcium nitrite)의 작용기작은 아질산이온(NO2-)이 철(Fe)로부터 용출된 철이온(Fe++)과 반응하여 녹 성분인 수산화제이철[Fe(OH)3]의 생성을 차단하면서 안정한 화합물인 Fe2O3를 생성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Fe2O3는 철재 구조물 표면에 생긴 부식 지점에 피막을 형성하여 폐쇄시키므로 철의 부식 진행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HTFS(Hydroxyl Terminated Functional silicone)은 End Group에 Hydroxyl Value를 갖는 반응성 실리콘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형성시켜 내마모성 및 물리적 특성 향상, 우수한 내스크래치성 부여, 특히 입자간 낮은 표면에너지를 부여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유연성이 확보되도록 하여 탄성기능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는 증점제로 사용되는데, 일반적인 증점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성들을 교반하는 과정에서 조기에 증점효과가 발생되어 조성간의 충분한 교반이 이루어지지 않아 물성의 균일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충진성이 저하되어 스틸재질의 연결소켓(200)에 있어 미세균열, 굴곡 등에 충분한 충진이 이루어지지 않아 사후적 부식포인트 등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에 증점제로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가 사용되도록 하는 바, 상기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는 일반적인 증점제로 메틸셀롤로오즈(MC) 등과 달리 조성재료 혼합 시 즉각적인 증점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일정 시간 경과후에 증점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증점효과가 나타나는 시기가 다소 지연된다. 즉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는 타 조성의 혼합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반시간을 제공하게 되며, 충분히 혼합된 후에 도포시 점성이 발현되어 균일한 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미세균열, 굴곡이 형성된 스틸 표면으로 균일하면서 밀실한 충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국 부착강도 및 부식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수지가 사용됨에 따라 물이 배합되는데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미세기포가 용존된 물이 배합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여기서 미세기포는 그 직경이 작은 것일수록 효과가 있을 것인데 나노사이즈를 가진 경우 더욱 효과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미세기포가 용존된 물이 배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조성들과 미세기포가 용존된 물이 배합과정에서 교반 등에 의해 페이스트에서 기포로 생성이 되는 것이다. 즉 화학적인 기포연행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더 많은 량의 기포가 페이스트에 생성되어 균일한 교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페이스트에 다량의 미세기포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경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열성을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미세기포는 상기 조성들 중에 혼입된 유기물을 분해함으로써 페이스트의 경화반응을 유기물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성을 향상시키며 페이스트에서 유기물이 분해됨에 따라 유기물이 존재하고 있던 공간을 빈공간으로 경화된 페이스트에 존재하도록 하여 이러한 빈공간에 의해 차열성이 더욱 배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미세기포가 용존된 물은 다양한 공지기술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서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Na2S2O3ㅇ5H2O)이 포함되도록 하는 이유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염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은 하기 반응기작에 의해 염소함량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Cl2 + Na2S2O3ㅇ5H2O + H2O → Na2SO4 + 2HCl + S + 5H2O
이러한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은 pH 6.5∼8.0 정도의 중성을 나타내어 페이스트의 산성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염소를 제거하여 염해저항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단,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은 상기 반응기작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 환원에 의한 유황(S)이 유리되기 쉽기 때문에 유리된 황은 황화수소(H2S) 형태로 유해가스를 유발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스는 층간 공극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유출시 독성에 의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제어하기 위해 D-마노스가 포함되도록 한다. 황화수소는 악취 및 독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서 D-마노스의 기작에 의해 활성을 저하시켜 황화수소를 무해화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코팅층은 스틸재질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도포하는 과정에서 금속이온 등이 코팅층과 스틸 접합면으로 용출되어 접합면에서 금속이온이 흡착 등에 의해 상호 부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제어하기 위해 탄닌이 포함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탄닌이 첨가됨으로써 탄닌은 금속이온 등과 결합을 통해 금속이온이 표면으로 용출되는 것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제어에 의해 코팅층과 스틸표면의 부착력을 더욱 강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배수관 200 : 연결소켓
300 : 이송관 400 : 하수관 연결구

Claims (5)

  1.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가 배출되는 배수관; 전면이 노출되도록 벽면에 매립 시공되며 노출되는 전면에 연결구를 마련하여 상기 배수관 끝단이 수밀하게 체결되며 후면측에 배출구가 마련되는 연결소켓;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이송관; 및 하수관 또는 오수관에 결합되고 상기 이송관의 타단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관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하수관 또는 오수관으로 배수시키는 하수관 연결구;를 포함하는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상기 연결소켓의 후면으로 노출되도록 연장관이 삽입되되, 상기 연장관은 상기 배출구에 수밀하게 삽입고정되는 수평부와 수평부로부터 하측을 향하도록 절곡되며 상기 이송관이 결합되는 꺽임부가 포함되고,
    상기 연장관에는 상기 수평부와 꺽임부 사이에 자중에 의해 상기 연장관을 폐쇄시키다가 상기 이송관이 결합되면 개방되는 개폐부재가 구성되되, 상기 이송관의 끝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누름핀이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수평부의 상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이송관이 상기 연장관에 결합되면서 상기 누름핀이 안착되도록 상기 이송관을 향하는 면에 'V'자형태로 오목한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 연결구는 하수관에 커플링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하수관 연결구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는 트랩부재가 구성되되,
    상기 트랩부재는 상기 하수관에 연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의 외주면에는 차열탄성코팅층이 도포되되,
    상기 차열탄성코팅층은,
    수용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실리카 25 내지 75중량부, 아질산칼슘 5 내지 10중량부, HTFS(Hydroxyl Terminated Functional silicone) 5 내지 10중량부,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1 내지 3중량부, 미세기포가 용존된 물 20 내지 75중량부, 습윤분산제 2 내지 5중량부, 탄닌 1 내지 3중량부, 티오황산나트륨 5수화물 0.5 내지 2중량부, D-마노스 0.5 내지 1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


KR1020160160984A 2016-11-30 2016-11-30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 KR101785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84A KR101785990B1 (ko) 2016-11-30 2016-11-30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984A KR101785990B1 (ko) 2016-11-30 2016-11-30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990B1 true KR101785990B1 (ko) 2017-10-17

Family

ID=60297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984A KR101785990B1 (ko) 2016-11-30 2016-11-30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9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9900A (ja) *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収納部の排湿ユニット
KR200447783Y1 (ko) * 2008-08-13 2010-02-22 양동훈 세면대 연결소켓 겸용 욕실 배수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9900A (ja) *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収納部の排湿ユニット
KR200447783Y1 (ko) * 2008-08-13 2010-02-22 양동훈 세면대 연결소켓 겸용 욕실 배수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9785C (en) Water treatment feeder device and a water treatment feeder system
CN106348454B (zh) 一种潜流人工湿地抗生物性堵塞自主释氧装置
KR101785990B1 (ko) 정수기 또는 제습기의 폐수 처리장치
ATE229839T1 (de) Vorrichtung zur rückgewinnung der schwimmstoffe in klärbecken
KR101867276B1 (ko) 오수받이용 봉수트랩
FI117093B (sv) Process och anordning för rening av avloppsvatten
Gedge Corrosion of cast Iron in potable water service
CN205501049U (zh) 一种新型移动式生活污水处理装置
GB2380189A (en) Chemical feeder for use in water treatment
KR100932953B1 (ko) 건축단지용 비탈면의 중수 저수장치
CN107055693B (zh) 正渗透工业污水处理设备及正渗透工业污水处理方法
JPS632238B2 (ko)
CN209322676U (zh) 一种工地上用的污水处理设备
WO1994010092A1 (en) Dephosphorization material and dephosphorization method
CZ148895A3 (en) Process of leaning and applying layers particularly to a piping of piping systems for water distribution
FI125389B (fi) Lattiakaivon insertti ja lattiakaivo
JP2000210682A (ja) 透析排水貯溜装置
KR101819915B1 (ko) 관 연결식 저수장치
KR100722418B1 (ko) 악취역류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오수받이
KR200389654Y1 (ko) 악취역류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오수받이
CN207551923U (zh) 一种用于改性凹凸棒土的环保型制备装置
CN208009594U (zh) 用于建筑物给排水系统的排水装置
US5846410A (en) Cassette device
KR101894569B1 (ko) 수처리 장치
DE102017120349B3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r Rohrlei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