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156B1 -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156B1
KR101785156B1 KR1020150134461A KR20150134461A KR101785156B1 KR 101785156 B1 KR101785156 B1 KR 101785156B1 KR 1020150134461 A KR1020150134461 A KR 1020150134461A KR 20150134461 A KR20150134461 A KR 20150134461A KR 101785156 B1 KR101785156 B1 KR 101785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ironment
user
value
preferenc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5528A (ko
Inventor
정기택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15013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1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3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5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L67/1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H04L12/2829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nvolving user profiles according to which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is automatically trigge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가 수행하는 방법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INDOOR ENVIRONMENT FOR UNSPECIFIED INDIVIDUALS}
아래의 설명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건물들은 대형화, 고기능화되어 감에 따라 공조, 위생, 전력, 조명, 방범, 방재, 수처리 등의 각종 설비들이 복잡하게 설치되고, 이들 설비들을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해 다양한 건물설비 관리 자동화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건물설비 관리 자동화 시스템은 건물에 설치되는 각종 건물설비와,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관리 제어하는 중앙관제장치와, 현장기기들의 작동을 제어하며, 현장기기들의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대응하고, 수집 분석한 정보를 중앙관제장치로 전송하는 원격제어반으로 구성된다.
원격제어반은 중앙관제장치의 제어를 받아 현장기기들을 제어하기도 하지만, 현장기기들의 작동을 독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독립적인 운영도 가능하다.
건물설비 관리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기술의 일 예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7672호(등록일 2006년 02월 25일)에는 건물내 설비별 운전정보와 건물 내외의 각종 실시간 환경정보를 계측하여 수집/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물내 각 실에 대한 재실자의 환경 요구 수준을 예측하여 설비의 정격특성에 맞는 최적 운전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건물 자동화 시스템은 각 실내공간마다 환경값이 사전에 지정되어 해당 값을 자동으로 유지하거나 재실자의 행동을 센서를 통해 관측하고 그에 맞는 환경값으로 조절하는 수준에 불과하다.
개인별 단말기를 통해 특정되는 개인의 선호 환경값에 따라 실내환경을 제공하되 공통된 장소에 다수 개인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의 선호 환경 조건을 절충한 실내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최대다수가 만족할 수 있는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가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가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실내 환경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자 기기의 위치와 연관된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로컬 서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로컬 서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서버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선호 환경값 관리부; 상기 전자 기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서버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선호 환경값 관리부;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실내 환경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자 기기의 위치와 연관된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로컬 서버를 확인하는 로컬 서버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로컬 서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에서 선호 환경값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상기 전자 기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가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여 상기 로컬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해지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상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선호 환경값 또는 상기 수신된 선호 환경값을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선호 환경값에 따라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자동화 기기들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개인별 단말기를 통해 특정되는 개인의 선호 환경값에 따라 실내환경을 제공하되 공통된 장소에 다수 개인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의 선호 환경 조건을 절충한 실내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최대다수가 만족할 수 있는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맞춤형 실내환경 제공을 위한 로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자동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앙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컬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이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전자 기기 1(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은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이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건물 자동화를 위한 로컬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 기기 1(110)을 통해 미리 설정된 개인의 선호 환경값에 따라 해당 건물 내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 가능한 건물 내 자동화 기기(환경 설비)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개인에게 적합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전자 기기 1(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전자 기기 1(110)과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전자 기기 1(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전자 기기 1(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전자 기기 1(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전자 기기 1(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전자 기기 1(110)은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주변 환경 상태(예컨대, 온도, 습도, 조도, 공기질 등)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예컨대,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먼지측정센서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건물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 자동화 시스템의 궁극적인 목적은 개인에게 맞는 실내환경(예컨대, 온도, 습도, 조도, 공기질 등)을 실시간으로 자동 제공하는 것이다. 건물 자동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환경설비(예컨대, 에어컨, LED 등), 환경센서(예컨대,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먼지측정센서 등), 네트워크, 패턴 분석 등과 관련된 기술들이 향상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맞춤형 실내환경 제공을 위한 로컬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로컬 시스템은 개인 단말기(301), 로컬 서버(300), 로컬 단말기(310), RTLS(real time location service system)(320), 환경 센서(330), 환경 설비(34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3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각 구성 요소의 수가 도 3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개인 단말기(301)는 건물이나 건물 내 각 장소에 위치하는 개인을 특정하기 위한 단말기로,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중 하나에 해당될 수 있다. 건물이나 건물 내 각 장소에는 불특정 단말기가 수시로 출입하는 형태로 다수의 개인 단말기(301)가 존재할 수 있다.
로컬 서버(300)는 RTLS(320)를 통해 건물 내 각 장소에 대해 실시간으로 재실자를 확인하여 해당 장소의 실내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로컬 서버(30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개인 단말기(301)가 특정 장소의 재실자로 확인되는 경우 개인 단말기(301)를 통해 특정되는 개인의 선호 환경값을 바탕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로컬 서버(300)는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서버(160)에 해당될 수 있다.
로컬 단말기(310)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으며, 건물 자동화를 위한 로컬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리자용 전자 기기에 해당될 수 있다. 일례로, 로컬 단말기(31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들(300, 320, 330, 340))과 통신할 수 있다.
RTLS(320)는 제한된 공간에서 이동 객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RTLS(320)는 로컬 서버(300)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각 개인 단말기(301)의 위치가 건물 내 어느 장소에 있는지 확인하여 확인된 위치 정보를 로컬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환경 센서(330)는 건물의 실내환경과 관련된 환경 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CO2(이산화탄소)센서, VOC(휘발성 유기화합물)센서, 산소센서, 가스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설비(340)는 건물의 냉/난방, 급/배수, 전기, 공기조화, 방재, 위생, 조명 등 실내환경과 관련된 자동화 기기로, 로컬 서버(300)의 명령에 따라 환경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환경 설비(340)는 건물 내 각 장소 별로 및/또는 환경 요소 별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로컬 시스템은 개인 단말기(301)를 통해 특정되는 개인의 선호 환경값에 따라 개인 단말기(301)가 위치하는 장소의 실내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물 자동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로컬 서버(및/또는 로컬 단말기)(300-1, 300-2, 300-3, ..., 300-n), 복수의 개인 단말기(301-1, 301-2, 301-3, ..., 301-n) 및 중앙 서버(40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4는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각 구성 요소의 수가 도 4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앙 서버(400)는 서비스 1차 제공자로서 건물 자동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로컬 서버(300-1, 300-2, 300-3, ..., 300-n)를 대상으로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을, 복수의 개인 단말기(301-1, 301-2, 301-3, ..., 301-n)를 대상으로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중앙 서버(400)는 도 1과 도 2를 통해 설명한 서버(150)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복수의 로컬 서버(300-1, 300-2, 300-3, ..., 300-n) 및 복수의 개인 단말기(301-1, 301-2, 301-3, ..., 301-n)와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서버(400)는 건물 자동화를 위해 필요한 전반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구축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400)는 건물 내에서 개인이 선호하는 실내환경을 누리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자동화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의 정보 및 권한을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서버(400)는 건물 자동화 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례로 독립된 서비스 형태의 플랫폼으로 구현되거나, 혹은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신저 플랫폼이나 소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플랫폼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로컬 서버(300-1, 300-2, 300-3, ..., 300-n)는 건물의 전체 혹은 일부에 대한 운영 내지 관리를 자동화 하여 내실자에게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자동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2차 제공자로서, 건물 자동화 업체나 건물 관리자가 운영하는 로컬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로컬 서버(300-1, 300-2, 300-3, ..., 300-n) 각각은 서로 다른 2차 제공자가 소유하거나 운영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건물에서 각각 별도의 로컬 시스템 상에 존재할 수 있다. 로컬 서버(300-1, 300-2, 300-3, ..., 300-n)와 함께, 건물 내에 네트워크, 환경설비, 환경센서, RTLS를 포함하여 도 3과 같이 건물 자동화를 위한 로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러한 로컬 서버(300-1, 300-2, 300-3, ..., 300-n)는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1차 제공자인 중앙 서버(400)로부터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으며,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건물 자동화를 위한 시스템 환경을 설정하고 운영할 수 있다.
개인 단말기(301-1, 301-2, 301-3, ..., 301-n) 각각은 건물 및 특정 실내공간 이용 시 개인이 선호하는 실내환경을 누리기 위한 서비스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 해당되며,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1차 제공자인 중앙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 단말기(301-1, 301-2, 301-3, ..., 301-n)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개인의 선호 환경값을 입력 받아 단말 내부에 저장하거나 중앙 서버(400)에 저장되도록 중앙 서버(4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2차 제공자가 관리하는 임의의 건물에 들어가 있는 경우 개인 단말기(301-1, 301-2, 301-3, ..., 301-n)는 중앙 서버(400) 또는 해당 건물의 로컬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실내환경 정보(즉, 각종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상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개인 단말기(301-1, 301-2, 301-3, ..., 301-n)는 현재 위치에 대해 수신된 실내환경 정보를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으로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개인 단말기(301-1, 301-2, 301-3, ..., 301-n)는 사용자가 특정 조건 대상(예컨대, 노약자나 장애인, 아이 동반 등)인 경우 1차 제공자인 중앙 서버(400)의 승인을 통해 우선 순위자로 등록될 수 있으며 선호 환경값 외에 실내환경에 대한 적정환경범위(상한/하한)를 설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도 4에서는 중앙 서버(40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 중앙 서버(400)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개인 단말기(301-1, 301-2, 301-3, ..., 301-n)에 설치된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에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이 저장되고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개인 단말기(301-1, 301-2, 301-3, ..., 301-n)에서 직접 로컬 서버(300-1, 300-2, 300-3, ..., 300-n)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전달하여 사용자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상품 카테고리 분류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어느 한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며, 이때 서버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중앙 서버(400)에 해당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400)의 프로세서(500)는 선호 환경값 관리부(510), 위치 결정부(520), 및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500)의 구성요소들은 도 6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610 내지 630)을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위해 해당 중앙 서버(400)의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610)에서 중앙 서버(400)는 중앙 서버(400)가 제공하는 건물 자동화 서비스의 사용자인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호 환경값 관리부(510)는 중앙 서버(400)가 단계(610)를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환경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선호 환경값은 실내환경과 관련된 요소에 대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환경 정보로서, 예컨대 온도, 습도, 오염도 등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선호 환경값은 건물 및/또는 장소 별로 각각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 대상인 환경 요소 별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전자 기기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해 중앙 서버(400)에 접속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중앙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선호 환경값을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수신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개인 정보로서 기록 및 관리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전자 기기가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위치 결정부(520)는 중앙 서버(400)가 단계(620)를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중앙 서버(400)는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목록을 관리할 수 있고, 전자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다가 전자 기기가 위치 정보 목록에 포함된 장소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가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전자 기기에 대해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로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530)는 중앙 서버(400)가 단계(630)를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저장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장소에 대응되는 로컬 서버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로컬 서버에서는 중앙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실내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해당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즉, 환경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로컬 서버는 관리 장소에 위치한 재실자를 대상으로 재실자의 선호 환경값에 따라 해당 장소의 환경 설비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개인에게 적합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중앙 서버(400)는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과 아울러, 추가 정보의 일례로서 사용자와 관련된 특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로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731)에서 중앙 서버(400)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응되는 특정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조건은 노약자나 장애인, 아이 동반 등 사전에 정의된 기준의 환경 배려 대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중앙 서버(400)는 중앙 서버(400)의 플랫폼 상에 사전에 등록된 개인 정보(예컨대, 메신저 상의 개인 정보 등)를 기준으로 사용자가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개인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내부 혹은 외부 승인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에 대한 승인을 거쳐 사용자가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732)에서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가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전자 기기에 대해 저장된 선호 환경값과 함께, 단계(731)에서 확인된 특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로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앙 서버(400)는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노약자나 장애인, 아이 동반 등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데 고려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대응되는 특정 조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과 함께 해당 로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일례로, 특정 조건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에 대한 우선순위나 가중치 등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조건의 종류(예컨대, 노약자, 장애인, 아이 동반 등)나 레벨(예컨대, 장애 등급 등) 등에 따라 우선순위나 가중치가 결정될 수 있다. 중앙 서버(400)는 사용자가 노약자나 장애인, 아이 동반 등의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에 특정 조건에 대응되는 우선순위나 가중치를 부여하여 로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중앙 서버(400)는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사용자에게 실내 환경의 적정 환경 범위(예컨대, 상한 환경값, 하한 환경값 등)를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중앙 서버(400)는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는 사용자가 노약자나 장애인, 아이 동반 등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전자 기기로 실내 환경의 적정 환경 범위에 대한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전자 기기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중앙 서버(400)의 요청에 따라 실내 환경의 적정 환경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적정 환경 범위를 중앙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서버(400)는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과 특정 조건에 대한 정보, 그리고 사용자가 설정한 실내 환경의 적정 환경 범위를 해당 로컬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중앙 서버(400)에서 전자 기기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여 전자 기기가 특정 장소(즉,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들어서면 해당 장소의 로컬 서버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자동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제공하는 방법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일례로, 전자 기기로부터의 명시적 요청에 따라 중앙 서버(400)가 전자 기기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로컬 서버를 찾아 선호 환경값을 제공하는 실시예 또한 구현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400)의 프로세서(800)는 선호 환경값 관리부(810), 로컬 서버 확인부(820), 및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8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서(800)의 구성요소들은 도 9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910 내지 930)을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중앙 서버(400)는 중앙 서버(400)가 제공하는 건물 자동화 서비스의 사용자인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호 환경값 관리부(810)는 중앙 서버(400)가 단계(910)를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910)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5 내지 도 6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단계(920)에서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로부터 실내 환경 제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실내 환경 제어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에 실내 환경 제어 요청에 따라 전자 기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확인된 전자 기기의 위치와 연관된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로컬 서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컬 서버 확인부(820)는 중앙 서버(400)가 단계(920)를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중앙 서버(400)는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 목록을 관리할 수 있고,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실내 환경 제어 요청에 따라 위치 정보 목록에 포함된 장소 중 전자 기기의 현재 위치와 일치하거나 설정 반경 내로 인접한 장소를 확인한 후 헤딩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로컬 서버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930)에서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로부터 실내 환경 제어 요청이 수신된 시점에 확인된 로컬 서버로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에 대해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830)는 중앙 서버(400)가 단계(930)를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910)의 구체적인 내용은 도 5 내지 도 7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로부터 명시적인 요청이 있을 때 전자 기기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로컬 서버를 찾아 해당 로컬 서버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중앙 서버(400)는 메신저 등의 전송 매체를 통해 사용자들 간에 선호 환경값을 공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530, 830)는 중앙 서버(400)가 공유 과정을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중앙 서버(400)는 사용자나 사용자와 관계(예컨대, 친구 등)가 설정된 상대방의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와 상대방 간에 각자의 선호 환경값을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와 상대방 간에 공유된 선호 환경값은 각자의 선호 환경값을 수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앙 서버(400)는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이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들어가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해당 장소의 로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서버(400)는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이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들어가는 경우 해당 장소의 현재 환경 상태값을 사용자에게 우선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호자가 피보호자가 위치하는 장소의 환경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피보호자의 현재 환경 상태가 만족스럽지 못할 경우 해당 장소의 환경 상태를 보호자가 설정해 놓은 선호 환경값으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중앙 서버(400)를 통해 사용자들 간에 선호 환경값을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근거리 통신(예컨대, NFC 등) 등으로 전자 기기들 간에 직접 송수신하여 공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더 나아가, 중앙 서버(400)는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설정하는데 활용 가능한 정보로서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환경 상태를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서버(400)의 프로세서(1000)는 환경 상태값 제공 제어부(1010), 및 선호 환경값 관리부(10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5 또는 도 8을 통해 설명한 중앙 서버(400)의 구성 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000)의 구성요소들은 도 11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1110 내지 1120)을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1110)에서 중앙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의 현재 위치와 관련된 로컬 서버로부터 전자 기기가 위치한 장소의 환경 상태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해당 전자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환경 상태값 제공 제어부(1010)는 중앙 서버(400)가 단계(1110)를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중앙 서버(400)는 전자 기기로부터 명시적인 요청이 수신되는 시점이나 일정 주기마다 로컬 서버로 해당 장소의 환경 상태값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로컬 서버에서는 중앙 서버(400)의 요청에 따라 전자 기기가 위치하는 장소의 환경 센서를 통해 현재 환경 상태값(예컨대, 현재 온도, 습도, 조도 등)을 획득하여 중앙 서버(4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어, 중앙 서버(400)는 로컬 서버로부터 수신된 환경 상태값을 전자 기기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에 전자 기기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중앙 서버(400)로부터 사용자가 현재 위치한 장소의 환경 상태값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하고, 이때 선호 환경값의 설정 환경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기기 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자신이 위치하는 장소의 환경 상태값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의 환경상태가 만족스러운 경우 간단한 동작(예컨대, 클릭, 탭 등)으로 선호 확인 의사를 전달하여 현재 환경 상태값을 선호 환경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1120)에서 중앙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로부터 전자 기기로 전송한 환경 상태값에 대한 선호 확인이 수신되는 경우 선호 확인에 응답하여 해당 환경 상태값을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호 환경값 관리부(1020)는 중앙 서버(400)가 단계(1120)를 수행하도록 중앙 서버(4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현재 환경상태에 기초하여 자신의 선호 환경 값을 수정할 수 있으며, 이때 선호 환경값은 건물 및/또는 장소 별로 혹은 환경 요소 별로 수정 가능하다. 단계(1120)의 생략된 내용은 도 5 내지 도 6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기기 1(110)의 프로세서(212)는 인터페이스 제공 제어부(1210), 선호 환경값 관리부(1220), 및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12)의 구성요소들은 도 13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1310 내지 1340)을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위해 메모리(21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는 전자 기기 1(110)에 설치 및 구동되어 전자 기기 1(110)로 서버(일례로 서버(150)에 대응되는 중앙 서버(400))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전자 기기 1(110)은 전자 기기 1(1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전자 기기 1(110)에서 주변 환경 상태(예컨대, 온도, 습도, 조도, 공기질 등)를 감지하기 위한 환경센서(미도시)(예컨대,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먼지측정센서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1310)에서 전자 기기 1(11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 기기 1(1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전자 기기 1(110)에서 실내 환경에 대한 선호 환경값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 제공 제어부(1210)는 전자 기기 1(110)이 단계(1310)를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기기 1(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선호하는 환경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선호 환경값은 실내환경과 관련된 요소에 대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환경 정보로서, 예컨대 온도, 습도, 오염도 등에 대한 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선호 환경값은 건물 및/또는 건물 내 장소 별로 각각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 대상인 환경 요소 별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 1(110)은 전자 기기 1(1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전자 기기 1(110) 상의 환경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환경 상태값을 직접 측정한 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 환경 상태값을 자신이 선호하는 환경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1320)에서 전자 기기 1(110)은 전자 기기 1(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전자 기기 1(110)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중앙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호 환경값 관리부(1220)는 전자 기기 1(110)이 단계(1320)를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호 환경값이 설정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에서 접근 가능한 전자 기기 1(110) 상의 저장 매체에 상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호 환경값이 설정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중앙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중앙 서버(400)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자 기기 1(110)로부터 수신된 선호 환경값을 전자 기기 1(110)의 사용자와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1330)에서 전자 기기 1(110)은 전자 기기 1(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전자 기기 1(110)이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여 해당 로컬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해지는 경우 전자 기기 1(110)의 저장 매체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확인하거나 또는 중앙 서버(400)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요청하여 중앙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호 환경값 관리부(1220)는 전자 기기 1(110)이 단계(1330)를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로컬 서버, 즉 맞춤형 실내 환경을 제공하는 장소와 연관된 로컬 서버를 식별할 수 있으며, 로컬 서버가 식별된 후 전자 기기 1(110)의 저장 매체 또는 중앙 서버(400)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1340)에서 전자 기기 1(110)은 전자 기기 1(110)의 저장 매체로부터 확인된 선호 환경값 또는 중앙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선호 환경값을 전자 기기 1(110)이 위치하는 장소의 로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호 환경값 관리부(1220)는 전자 기기 1(110)이 단계(1330)를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1230)는 전자 기기 1(110)이 단계(1340)를 수행하도록 전자 기기 1(110)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기기 1(110)은 전자 기기 1(110)의 저장 매체나 중앙 서버(400)에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해 놓은 선호 환경값을 보관하고 있다가 사용자가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해당 장소에 대응되는 로컬 서버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로컬 서버에서는 전자 기기 1(11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실내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해당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즉, 환경 설비)를 제어할 수 있다. 로컬 서버는 관리 장소에 위치한 재실자를 대상으로 재실자의 선호 환경값에 따라 해당 장소의 환경 설비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개인에게 적합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전자 기기 1(110)에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로컬 서버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이 중앙 서버(400)에 저장되는 경우 중앙 서버(400)에서 전자 기기 1(1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직접 로컬 서버로 전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그리고, 전자 기기 1(110)은 전자 기기 1(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로컬 서버 또는 중앙 서버(400)로부터 로컬 서버에서 제공하는,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환경 상태값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 된 환경 상태값에 대한 선호 확인이 입력되는 경우 전자 기기 1(110)의 저장 매체 또는 중앙 서버(400)에 저장된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상기 디스플레이 된 환경 상태값으로 수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자 기기 1(110)은 전자 기기 1(1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이 있거나 일정 주기, 혹은 특정 이벤트(예컨대, 장소 이동 등에 따른 이벤트) 등이 감지되는 경우에 전자 기기 1(110) 상의 하드웨어 구성요소로 포함된 환경센서를 통해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환경 상태값을 직접 측정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된 환경 상태값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 확인이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상기 디스플레이 된 환경 상태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자 기기 1(110)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로서, 전자 기기 1(110)를 통해 현재 장소의 환경 상태값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간단한 클릭 등으로 현재 환경 상태값에 대한 선호 의사를 입력하면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기기 1(110)은 중앙 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플랫폼 등을 통해 사용자 및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 간에 개인 별로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공유할 수 있다. 일례로, 중앙 서버(400)는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이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들어가는 경우 해당 장소의 현재 환경 상태값을 사용자의 전자 기기 1(110)로 전송할 수 있고, 이에 전자 기기 1(110)은 전자 기기 1(110)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중앙 서버(400)로부터 상대방이 위치한 장소의 현재 환경 상태값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확인 가능한 상태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기기 1(110)은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이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들어가는 경우 상대방이 위치해 있는 장소의 실내 환경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에 따라 제어될 수 있도록 중앙 서버(400)로 요청하고, 이에 중앙 서버(400)에서는 전자 기기 1(11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을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이 위치하는 장소의 로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서 생략된 사항은 도 1 내지 도 11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컬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례로, 로컬 서버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서버(160)에 해당될 수 있으며, 도 2를 통해 설명한 서버(150)의 내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로컬 서버의 프로세스는 도 14의 방법이 포함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로컬 서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위해 로컬 서버의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로컬 서버는 건물 내 특정 장소(예컨대, 장소 A)에 현재 위치하는 재실자를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로컬 서버는 실내 RTLS(real time location service)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 기기와의 통신을 통해 장소 A에 재실자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1401).
로컬 서버는 장소 A에 재실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1402) 확인 결과 재실자가 없는 경우 장소 A의 환경 설비에 대한 아이들(idle)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로컬 서버는 장소 A에 재실자가 있는 경우 재실자 리스트에 대응되는 개인 별 선호 환경값을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1403). 다른 예로, 로컬 서버는 장소 A에 위치하는 재실자 각각에 대하여 재실자의 전자 기기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 재실자가 사전에 설정해 놓은 선호 환경값을 전자 기기로부터 직접 수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때, 선호 환경값은 장소 별로 각각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각 환경 요소(예컨대 온도, 습도, 오염도 등) 별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선호 환경값에는 재실자와 연관된 특정 조건(예컨대, 노약자나 장애인, 아이 동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특정 조건에 대한 정보는 선호 환경값에 대한 우선순위나 가중치 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로컬 서버는 장소 A에 위치하는 재실자가 복수 명인지 여부를 확인한 후(1404) 확인 결과 재실자가 한 명인 경우 중앙 서버로부터 수신된 재실자의 선호 환경값을 장소 A에 대한 목표 환경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1405).
한편, 로컬 서버는 장소 A에 위치하는 재실자가 복수 명인 경우 복수의 재실자 중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우선순위자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406). 로컬 서버는 복수의 재실자 중 우선순위자가 있는 경우 장소 A에 대한 실내 환경에 대하여 우선순위자에 해당되는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해 놓은 실내 환경의 적정 환경 범위를 적용할 수 있다(1407). 다시 말해, 우선순위자는 선호 환경값과 함께 적정 환경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예를 들어 적정 환경 범위는 실내 환경에 대한 상한값과 하한값으로 작용될 수 있다.
로컬 서버는 장소 A에 위치하는 재실자가 복수 명인 경우 각 재실자의 선호 환경값을 단일화 하여 단일화 된 선호 환경값을 장소 A에 대한 목표 환경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1408). 일례로, 로컬 서버는 재실자 리스트에 대응되는 개인 별 선호 환경값을 평균하여 평균값으로 적정 환경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로컬 서버는 각 재실자 별로 선호 환경값에 재실자에 대응되는 특정 조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적정 환경값을 도출할 수 있다.
로컬 서버는 장소 A에 대한 목표 환경값이 설정되면 장소 A의 환경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환경센서(예컨대,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먼지측정센서 등)를 통해 장소 A에서 측정된 현재 센서값을 확인한 후(1409), 장소 A의 현재 센서값과 단계(1405 또는 1408)에서 설정된 목표 환경값을 비교하여 두 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1410).
로컬 서버는 단계(1410)의 확인 결과 장소 A의 현재 센서값과 목표 환경값의 차이가 임계치 이내이면 장소 A의 실내환경을 제어하기 위한 환경설비의 현재 가동 상태를 유지하고 두 값의 차이가 임계치를 벗어나면 장소 A에서 측정되는 센서값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면서 센서값이 목표 환경값에 가까워지도록 환경설비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1411). 로컬 서버의 제어 하에 있는 건물이나 장소는 각 환경요소 별로 환경센서 및/또는 환경설비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로컬 서버는 특정 장소에 위치하는 재실자의 전자 기기를 통해 미리 설정된 개인의 선호 환경값에 따라 재실자에게 적합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재실자가 다수인 경우에는 개인 별로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단일화 하여 상호 간에 절충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로컬 서버는 노약자나 장애인과 같이 특정 조건의 개인에 대한 선호 환경값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거나 특정 조건의 개인이 설정한 적정 환경 범위(상한/하한)를 적용함으로써 환경 배려 대상을 고려한 최적의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4에서 생략된 사항은 도 1 내지 도 13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개인별 단말기를 통해 특정되는 개인의 선호 환경값에 따라 실내환경을 제공하되 공통된 장소에 다수 개인들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의 선호 환경 조건을 절충한 실내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최대다수가 만족할 수 있는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3)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가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플랫폼 상에 사전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실내 환경의 적정 환경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권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적정 환경 범위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를 제어하되,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적정 환경 범위를 적용하고,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 간에 선호 환경값을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의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컴퓨터로 구현되는 서버가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실내 환경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자 기기의 위치와 연관된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로컬 서버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로컬 서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플랫폼 상에 사전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실내 환경의 적정 환경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권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적정 환경 범위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를 제어하되,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적정 환경 범위를 적용하고,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 간에 선호 환경값을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의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환경값은 상기 로컬 서버에서 제어 가능한 환경 요소 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에 대한 정보는 상기 선호 환경값에 대하여 상기 특정 조건에 대응되는 우선순위나 가중치로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장소의 현재 환경 상태값을 수신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값에 대한 선호 확인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호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값에 따라 상기 선호 환경값을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간에 공유된 선호 환경값을 각자의 선호 환경값을 수정하는데 이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의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장소의 현재 환경 상태값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자동화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목표 환경값을 도출하되, 상기 장소에 복수의 재실자가 존재하는 경우 각 재실자의 선호 환경값을 평균하여 상기 목표 환경값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실자 중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우선순위자가 있는 경우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에 대하여 상기 우선순위자에 의해 설정된 적정 환경 범위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서버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선호 환경값 관리부;
    상기 전자 기기의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기기가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
    상기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는,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플랫폼 상에 사전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실내 환경의 적정 환경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고,
    상기 권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적정 환경 범위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를 제어하되,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적정 환경 범위를 적용하고,
    상기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 간에 선호 환경값을 공유하는 것으로,
    상기 상대방의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서버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부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선호 환경값 관리부;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된 실내 환경 제어 요청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전자 기기의 위치와 연관된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는 로컬 서버를 확인하는 로컬 서버 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로컬 서버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는,
    상기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플랫폼 상에 사전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실내 환경의 적정 환경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고,
    상기 권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적정 환경 범위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선호 환경값에 기반하여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동화 기기를 제어하되,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적정 환경 범위를 적용하고,
    상기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 간에 선호 환경값을 공유하는 것으로,
    상기 상대방의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상기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삭제
  16.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장소의 현재 환경 상태값을 수신하여 상기 전자 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를 제어하는 환경 상태값 제공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호 환경값 관리부는,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값에 대한 선호 확인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호 확인에 응답하여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값에 따라 상기 선호 환경값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환경값 제공 제어부는,
    상기 상대방의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상기 장소의 현재 환경 상태값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전자 기기에서 구동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에서 선호 환경값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상기 전자 기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기기가 로컬 서버에 의해 실내 환경이 제어되는 장소에 위치하여 상기 로컬 서버로의 접속이 가능해지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상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설정된 선호 환경값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선호 환경값 또는 상기 수신된 선호 환경값을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에서는 상기 중앙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플랫폼 상에 사전에 등록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실내 환경의 적정 환경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하고 상기 권한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적정 환경 범위를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로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로컬 서버에서 상기 전송된 선호 환경값에 따라 상기 장소의 실내 환경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장소에 설치된 자동화 기기들을 제어하되, 상기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적정 환경 범위를 적용하고,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 간에 선호 환경값을 공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와 관계가 설정된 상대방의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선호 환경값이 상기 로컬 서버로 전달되도록 상기 중앙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자 기기 상의 환경센서를 통해 측정된 현재 환경 상태값을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값에 대한 선호 확인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값을 상기 사용자의 선호 환경값으로서 상기 전자 기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중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로컬 서버 또는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로컬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장소의 현재 환경 상태값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값에 대한 선호 확인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저장 매체 또는 상기 중앙 서버에 저장된 선호 환경값을 상기 현재 환경 상태값으로 수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21. 삭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의 전자 기기가 상기 장소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전자 기기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상기 로컬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장소의 현재 환경 상태값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상기 상대방 간에 공유된 선호 환경값은 각자의 선호 환경값을 수정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KR1020150134461A 2015-09-23 2015-09-23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785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61A KR101785156B1 (ko) 2015-09-23 2015-09-23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4461A KR101785156B1 (ko) 2015-09-23 2015-09-23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28A KR20170035528A (ko) 2017-03-31
KR101785156B1 true KR101785156B1 (ko) 2017-10-12

Family

ID=58501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4461A KR101785156B1 (ko) 2015-09-23 2015-09-23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860B1 (ko) * 2018-12-06 2020-08-10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동일 실내공간에서의 복수의 사용자를 위한 환경동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5528A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553B2 (en) Sensor-based human authorization evaluation
US966808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smart environment devices via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US20190171171A1 (en) Zone-based building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CN107004312B (zh) 用于提供进入建筑物中的访客受控通路的方法
JP5901217B2 (ja) 機器遠隔制御システムおよび機器遠隔制御方法
EP315871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smart environment devices via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s
CN105556995A (zh) 使用地理围栏周界用于能量高效的建筑物控制
KR101821456B1 (ko)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12154384A (zh) 用于优化的智能建筑物的用户配置文件
CN112204590A (zh) 检测智能建筑物中的异常行为
KR101785156B1 (ko)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맞춤형 실내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553320B1 (en) Detection and handling of home owner moving by a home monitoring system
CN111213186B (zh) 基于历史信息为建筑物占用者创建建筑物路径的方法
US20200380431A1 (en) Environmental preference based desk exchange platform
US20210312403A1 (en) Identifying attendee availability and current location, and scheduling a meeting in the nearest available conference room
US20210191779A1 (en) Operating system level distributed ambient computing
CN114930793A (zh) 用于场境隐私的操作系统等级辅助功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